[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47352A - Sandal-type shoe with customized insole - Google Patents

Sandal-type shoe with customized ins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47352A
KR20240147352A KR1020230043196A KR20230043196A KR20240147352A KR 20240147352 A KR20240147352 A KR 20240147352A KR 1020230043196 A KR1020230043196 A KR 1020230043196A KR 20230043196 A KR20230043196 A KR 20230043196A KR 20240147352 A KR20240147352 A KR 20240147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sandal
fixed
convex portion
type sho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1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만봉
Original Assignee
박만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만봉 filed Critical 박만봉
Priority to KR1020230043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47352A/en
Publication of KR20240147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47352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43B3/128Sandals; Strap guide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6Concave end portions, e.g. with a cavity or cut-ou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샌들형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정치료를 위해 착용자의 발 구조에 맞게 맞춤 제작되고 발의 종골을 받치는 부위에 하측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된 맞춤형 인솔을 받치는 미드솔에 상기 볼록부가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관통홀 구조 또는 홈 구조의 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보행시 맞춤형 인솔이 미드솔의 상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쏠리거나 분리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dal-type sho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ustom insole that is custom-made to fit the structure of the wearer's foot for corrective treatment and has a convex portion formed downwardly in a region supporting the calcaneus of the foot, and is fixed by inserting the convex portion into a midsole that supports the custom insole and fixing it,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the custom insole being tilted to one side or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when the wearer walks.

Description

맞춤형 인솔을 구비한 샌들형 신발{SANDAL-TYPE SHOE WITH CUSTOMIZED INSOLE}{SANDAL-TYPE SHOE WITH CUSTOMIZED INSOLE}

본 발명은 샌들형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발, 요족, O자형 다리, X자형 다리, 골반, 잘못된 보행, 발목 불안정성 등을 교정하거나, 무지외반증, 중증발 변형, 지간 신경증, 다리 절음, 아킬레스 건염, 골다공증, 척추전방전위증, 피로골절 등을 치료하거나, 발바닥, 골반, 무릎 통증 등을 치료하기 위해 착용자(환자)의 발 구조에 맞게 제작된 맞춤형 인솔을 구비한 샌들형 신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andal-type shoes, and more particularly, to sandal-type shoes having a custom insol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foot structure of a wearer (patient) to correct flat feet, cavus feet, O-shaped legs, X-shaped legs, pelvis, incorrect gait, ankle instability, etc., or to treat hallux valgus, severe foot deformity, metatarsophalangeal neuropathy, limp, Achilles tendonitis, osteoporosis, spondylolisthesis, stress fractures, etc., or to treat pain in the soles of the feet, pelvis, and knees, etc.

현대인들은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인 이유로 각종 발, 다리 질환 및 통증에 고통받고 있다. 선천적인 이유로는 가령 평발이나 요족 등과 같이 선천적으로 발의 변형을 갖고 태어난 경우일 수 있고, 후천적인 이유로는 가령 잘못된 보행이나 발에 맞지 않는 신발(하이힐 등)을 착용하는 등과 같은 잘못된 생활 습관 등을 들 수 있다. Modern people suffer from various foot and leg diseases and pains due to congenital or acquired reasons. Congenital reasons include being born with congenital foot deformities such as flat feet or cavus toes, and acquired reasons include bad lifestyle habits such as walking incorrectly or wearing shoes that do not fit the feet (such as high heels).

이와 같이 선천적이거나 또는 후천적인 이유로 인해 O자형 다리, X자형 다리, 골반, 중증발 등의 변형을 유발하거나, 무지외반증, 지간 신경증, 다리 절음, 아킬레스 건염, 골다공증, 척추전방전위증, 피로골절 등과 같은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는 일상 생활 중에 발바닥, 골반, 무릎 부위에서 통증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In this way, it can cause deformities such as O-shaped legs, X-shaped legs, pelvis, and arch of the foot due to congenital or acquired reasons, or it can cause diseases such as hallux valgus, interphalangeal neuralgia, limp, Achilles tendonitis, osteoporosis, spondylolisthesis, and stress fractures. Or it can cause pain in the soles of the feet, pelvis, and knees during daily life.

특히 빠른 산업화로 인해 근력을 사용하는 일보다 두뇌를 사용하는 IT 계열로 진화하면서 앉아서 일하는 일과 편해진 교통수단으로 인해 근육의 퇴화가 가속화되어 나이가 들수록 다리 근력이 약해지면서 발이나 다리, 관절 질환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 현대인들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In particular,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the IT industry has evolved to use the brain rather than strength, and the number of modern people suffering from foot, leg, and joint diseases is continuously increasing as they age due to accelerated muscle degeneration caused by sedentary work and 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leg muscles weaken as they age, becoming a social problem.

의료기관의 메디컬 센터나, 재활(운동) 및 교정 치료센터에 방문하여 운동과 교정치료를 병행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방법은 환자에게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일상 생활 중에 착용만으로 자연스럽게 교정치료가 가능하도록 맞춤형 깔창이 사용된다.These problems can be improved by visiting a medical center or rehabilitation (exercise) and correction treatment center and receiving exercise and correction treatment. However, these treatment methods are a great financial burden for patients. Accordingly, customized insoles are used so that correction treatment can be done naturally just by wearing them during daily life at a relatively low cost.

KR 10-2354953 B1, 2022. 01. 19.KR 10-2354953 B1, 2022. 01. 19. KR 10-1557782 B1, 2015. 09. 30.KR 10-1557782 B1, 2015. 09. 30. KR 10-1655937 B1, 2016. 09. 02.KR 10-1655937 B1, 2016. 09. 02.

맞춤형 깔창은 교정치료를 위해 착용자의 발 구조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 깔창으로서, 통상 신발 내부에 장착되는 깔창들 중 착용자(환자)의 발바닥을 직접 받치는 인솔(insole, 안창)을 의미한다. 이러한 맞춤형 인솔은 착용자마다 각각 다른 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최적화된 교정치료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착용자의 발의 구조에 맞게 최적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가령 석고나 폼 또는, 별도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발 구조의 본을 뜨고, 다시 이를 기본으로 하는 석고 발 모형을 제작한 후, 이를 기본으로 폴리프로필렌 판 등을 이용하여 쉘(shell)을 제작한 다음 쉘을 적당한 형태로 자르고 다듬은 후 여러 가지 소재를 덧붙여 완성한다. Customized insoles are insoles with various functions add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wearer's foot for corrective treatment. They usually refer to insoles that directly support the sole of the wearer's (patient's) foot among the insoles installed inside shoes. Since each wearer has a different foot structure, these customized insoles must be optimized to fit the structure of the wearer's foot in order to provide the optimal corrective treatment effect. To this end, a mold of the foot structure is taken using plaster or foam or a separate machine, and then a plaster foot model is made using this as a base. Then, a shell is made using a polypropylene plate or the like based on this, and the shell is cut and trimmed to an appropriate shape and various materials are added to complete the product.

이렇게 제작된 맞춤형 인솔은 신발의 아웃솔(outsole, 밑창)의 상부에 접착 고정되는 미드솔(midsole, 중창)의 상부에 부착된다. 미드솔은 보통 신발에 따라 신발 내부에 한 개 또는 두 개가 내장될 수 있다. 맞춤형 인솔은 신발 내부에서 미드솔의 상부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맞춤형 인솔이 미드솔로부터 분리되거나 틀어지는 경우 교정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맞춤형 인솔은 통상 강력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미드솔의 상면에 접착 고정된다. The custom insole manufactured in this way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midsole, which is adhesively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outsole of the shoe. Depending on the shoe, one or two midsoles can be built into the inside of the shoe. The custom insole must be tightly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midsole inside the shoe.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corrective treatment effect if the custom insole is separated from the midsole or becomes distorted. Accordingly, the custom insole is usually adhesive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using a strong adhesive, etc.

그러나, 맞춤형 인솔은 착용자의 발 구조에 맞게 제작됨에 따라 균일하지 않고 부위별로 굴곡이 존재한다. 특히 종골(뒷꿈치) 부위를 받치는 부분은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접착제를 이용하여 미드솔에 접착 고정하더라도 맞춤형 인솔에 가해지는 힘이 틀어지는 경우(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쏠리는 경우), 볼록한 부위가 미드솔의 상면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틀어지고, 이 과정이 반복되는 경우 접착 고정된 부분이 미드솔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since custom insoles are manufactured to fit the structure of the wearer's foot, they are not uniform and have curves in each area. In particular, since the area supporting the calcaneus (heel) is convexly protruded downward, even if it is bonded and fixed to the midsole using adhesive, if the force applied to the custom insole is distorted (if the center of gravity is shifted to one side), the convex area will be bent to one side ba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and if this process is repeated, the bonded area may frequently separate from the midsole.

맞춤형 인솔이 미드솔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행시 맞춤형 인솔의 볼록한 돌출 부위가 미드솔의 상면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쏠리거나 틀어지지 않도록 발의 측부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필요가 있다. 보행시 발의 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쏠리는 경우(기울어지는 경우), 맞춤형 인솔 또한 발이 쏠리는 방향으로 힘이 집중되기 때문에 미드솔의 상면으로부터 발이 쏠리는 방향으로 틀어지기 때문이다. In order to prevent the custom insole from separating from the midsole, it is necessary to stably hold the side of the foot so that the convex protrusion of the custom insole does not lean or twist to one side ba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when walking. This is because wh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oot leans to one side (tilts) while walking, the custom insole also focuses force in the direction the foot leans, so it twist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in the direction the foot leans.

이러한 이유로 맞춤형 인솔은 대부분 운동화나 구두 등과 같이 발의 측부를 감싸는 갑피(발의 측부를 안정적으로 지지)로 이루어진 신발에만 제한적으로 적용하여 왔다. 무더운 하절기(여름철)에 주로 착용하는 샌들형 신발의 경우에는 갑피 대신에 끈이나 밴드를 이용하여 발을 신발에 고정하기 때문에 갑피를 구비한 운동화나 구두에 비해 발의 측부를 안정적으로 잡아주지 못한다. 이 때문에 맞춤형 인솔을 샌들형 신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맞춤형 인솔의 틀어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For this reason, custom insoles have been applied only to shoes with uppers (stably supporting the sides of the feet) that wrap around the sides of the feet, such as sneakers or shoes. In the case of sandals, which are mainly worn in the hot summer season, the feet are fixed to the shoes with laces or bands instead of uppers, so they do not hold the sides of the feet as stably as sneakers or shoes with uppers. Therefore, in order to apply custom insoles to sandals, the problem of custom insoles becoming distorted must be solved.

또한, 무더운 하절기에는 높은 기온으로 인해 신발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접착 특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맞춤형 인솔이 미드솔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맞춤형 인솔의 쏠림과 분리되는 현상을 개선해야 한다.In addition, during hot summer months, the high temperature can cau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shoe to rise, which can lead to a decrease in the adhesive properties, and this can easily cause the custom insole to separate from the midsole, so the phenomenon of the custom insole slipping and separation should be improved.

따라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목적)로서, 갑피를 구비하지 않고 끈이나 밴드 등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발을 신발에 고정하는 샌들형 신발에 있어서, 맞춤형 인솔이 구조적인 특징(종골을 받치는 부위가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구조)으로 인해 미드솔의 상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쏠리거나 분리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맞춤형 인솔을 샌들형 신발에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샌들형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s a problem (purpose) to be solved, that is, in sandal-type shoes that do not have an upper and partially secure the foot to the shoe using a lace or band, etc., the problem of the customized insole being tilted to one side or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due to the structural feature (the structure in which the portion supporting the calcaneus protrudes downward) is solved, thereby providing sandal-type shoes in which the customized insole can be stably applied to the sandal-type shoes.

또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로서, 맞춤형 인솔이 미드솔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일측으로 틀어지지 않도록 하면서도, 맞춤형 인솔이 지니고 있는 기능성 특징(교정치료)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샌들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ndal shoe in which the customized insole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midsole or twisted to one side, while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corrective treatment) of the customized insole are not deteriorated.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를 통해 기재된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과제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asks described above. Various tasks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hrough the technique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and claims described below.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부착 고정된 미드솔; 및 상기 미드솔의 상부에 설치되고, 교정치료를 위해 착용자의 발 구조에 맞게 맞춤 제작되고, 발의 종골을 받치는 부위에 하측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된 맞춤형 인솔을 포함하고, 상기 미드솔에는 상기 볼록부의 외면이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샌들형 신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provides a sandal-type shoe including: an outsole; a midsole attached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sole; and a customized insol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idsole, custom-made to fit the structure of the foot of the wearer for corrective treatment, and having a convex portion formed downwardly in a portion that supports the calcaneus of the foot, wherein a fixing portion is formed in the midsole by inserting an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and being fixedly joined.

또한, 상기 볼록부가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 삽입되어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볼록부의 외면이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내면은 상기 볼록부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curv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is closely fixed and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while the convex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and fixedly joined.

또한, 상기 미드솔은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설치된 하부 미드솔; 및 상기 하부 미드솔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미드솔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미드솔 또는 상기 하부 미드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dsole includes a lower midsole installed on top of the outsole; and an upper midsole installed on top of the lower midsole, and the fixing portion can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midsole or the lower midsole.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미드솔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관통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미드솔에는 상기 상부 미드솔에 형성된 고정부에 대응하여 상부로 볼록한 형상의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미드솔에 형성된 지지부는 상기 상부 미드솔에 형성된 고정부의 하측에서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미드솔에 형성된 고정부의 상측에서 하부로 삽입 결합되는 상기 볼록부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as a through hole structure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midsole upwardly and downwardly, and a support portion having a convex shape is formed upwardly on the lower midsol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midsole, and the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lower midsole can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x portion that is inserted upward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midsole and is inserted downward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midsole.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미드솔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미드솔의 상면에서부터 하측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may be formed as a through hole structure penetrating the midsole from top to bottom, or as a groove structure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bottom to top.

또한, 상기 볼록부의 두께는 상기 고정부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Additionally, the thickness of the convex portion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depth of the fixed portion.

또한,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는 환상 구조로 이루어진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catch formed in a circular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또한,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는 브러시 형태로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 the shape of brushe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샌들형 신발에 따르면, 교정치료를 위해 착용자의 발 구조에 맞게 맞춤 제작되고 발의 종골을 받치는 부위에 하측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된 맞춤형 인솔을 받치는 미드솔에 상기 볼록부가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관통홀 또는 홈 구조의 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보행시 맞춤형 인솔이 미드솔의 상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쏠리거나 분리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andal-type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stom insole having a convex portion formed downwardly in a region supporting the calcaneus of the foot and custom-made to fit the structure of the wearer's foot for corrective treatment is formed by forming a fixing portion having a through-hole or groove structure into which the convex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in a midsole,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the custom insole being tilted to one side or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when walk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샌들형 신발에 따르면, 맞춤형 인솔에 형성된 볼록부의 외면이 고정부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지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맞춤형 인솔이 미드솔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일측으로 틀어지지 않도록 하면서도, 충격 완화와 맞춤형 인솔이 지니고 있는 기능성 특징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andal-type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formed on the customized insole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and supported and coupled, thereby preventing the customized insole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midsole or twisted to one side, while preventing the shock absorp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ustomized insole from being deteriorated.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를 통해 기재된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효과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effects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hrough the techniques described through various embodiments and claims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샌들형 신발을 구성별로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맞춤형 인솔과 미드솔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맞춤형 인솔과 미드솔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샌들형 신발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맞춤형 인솔과 미드솔을 나타낸 단면도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나타낸 단면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4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나타낸 단면도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5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나타낸 단면도들.
Figure 1 is a drawing showing a sandal-type sho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rawing showing the sandal-type shoe shown in Figure 1 broken down into its components.
FIG. 3 is a drawing showing a customized insole and midsol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stomized insole and midsole shown in Figure 3.
FIG. 5 is a drawing showing a sandal-type shoe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rawing of the sandal-type shoe shown in Figure 5 as viewed from below.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ustomized insole and midsole shown in Figure 5.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andal-type shoe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andal-type shoe according to Example 4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andal-type shoe according to Example 5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all not be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and specifically defined.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고, 도면에서 구성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고, '포함한다',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and the shapes and sizes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description. In addition, "and/or" in the specification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components. In addi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includes' and 'includ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the mentioned components.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Hereinafter,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샌들형 신발을 구성별로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drawing for explaining a sandal-type sho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rawing for disassembling the sandal-type shoe shown in FIG. 1 into its component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샌들형 신발(10)은 아웃솔(11)과, 아웃솔(11)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미드솔(12) 및 인솔(13)과, 아웃솔(11)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발을 아웃솔(11)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sandal-type shoe (10)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sole (11), a midsole (12) and an insole (13) sequentially lamin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sole (11), and a fixing member (14) fixed to the outsole (11) to fix the wearer's foot to the outsole (11).

아웃솔(11)은 지면에 직접 닿는 깔창으로, '밑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샌들형 신발(10)의 최하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아웃솔(11)은 안정적인 접지와 인솔(14)과의 사이에 내장되는 미드솔(12)을 보호하여 미드솔(12)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미끄럼 방지를 위해 바닥면(지면에 닿는 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요철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요철부의 구조 및 형상은 특별하게 제한을 두지 않는다. The outsole (11) is an insole that directly touches the ground, and is also called a 'sole', and is located at the lowest part of a sandal-type shoe (10). This outsole (11) provides stable grounding and protects the midsole (12) built between the insole (14) and prevents damage to the midsole (12). In addition, an anti-slip uneven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 surface touching the ground) to prevent slipping. At this time, there are no special restrictions on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uneven portion.

미드솔(12)은 착용자의 보행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깔창으로서, '중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미드솔(12)은 인솔(13)과 아웃솔(11) 사이에 내장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한다. 이러한 미드솔(12)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미드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상부 미드솔(121)과, 하부 미드솔(122)이 적층된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미드솔(121)과 하부 미드솔(122)은 충격 흡수를 향상시키기 위해 동일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부 미드솔(121)과 하부 미드솔(122)은 동일 또는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midsole (12) is an insole that absorbs and alleviates shock applied when the wearer walks, and is also called a 'midsole'. The midsole (12) is installed between the insole (13) and the outsole (11) to absorb shock. This midsole (12)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midsoles.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of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an upper midsole (121) and a lower midsole (122) are laminated. The upper midsole (121) and the lower midsole (122)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or different materials to improve shock absorption. In addition, the upper midsole (121) and the lower midsole (122) may be formed of the same or different thicknesses.

미드솔(12)의 상부에는 맞춤형 인솔(13)이 설치된다. 맞춤형 인솔(13)은 착용자의 발이나 다리, 관절의 교정치료를 위해 착용자의 발 구조에 최적화되어 제작된 맞춤형 깔창으로서, '안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맞춤형 인솔(13)은 착용자의 발 구조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가령 맞춤형 인솔(13)은 석고나 폼, 별도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발 구조에 맞게 본을 뜨고, 이를 기본으로 하는 석고 발 모형을 제작한 후, 이를 기본으로 쉘(shell)을 제작한 다음 쉘을 적당한 형태로 자르고 다듬은 후 여러 가지 소재를 덧붙여 완성할 수 있다. A customized insole (13)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idsole (12). The customized insole (13) is a customized insole that is optimized for the structure of the wearer's foot for corrective treatment of the wearer's foot, leg, or joint, and is also called an 'insole'. Such a customized insole (13)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wearer's foot. For example, the customized insole (13) can be manufactured by taking a mol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wearer's foot using plaster, foam, or a separate machine, manufacturing a plaster foot model based on this, and then manufacturing a shell based on this, and then cutting and trimming the shell into an appropriate shape and then adding various materials to complete the product.

미드솔(12)이 접착 고정되는 아웃솔(11)의 상면은 평평하거나 미드솔(12)이 아웃솔(11)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미드솔(12)이 내부에 수용되는 소정 깊이로 함몰된 고정홈부(11a)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부(11a)에는 하부 미드솔(122)이 삽입 수용된 후 접착제 등을 통해 아웃솔(11)의 상면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하부 미드솔(122)의 상면에는 상부 미드솔(121)이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상부 미드솔(121)의 상면에는 교정치료를 위한 기능성이 부가된 맞춤형 인솔(13)이 설치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11) to which the midsole (12) is adhesively fixed may be flat or may have a fixed groove (11a)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which the midsole (12) is received so that it can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outsole (11). The lower midsole (122) may be inserted and received in the fixed groove (11a) and then may be adhesive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11)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The upper midsole (121) may be adhesive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idsole (122). A customized insole (13) having added functionality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idsole (121).

고정부재(14)는 폭방향으로 양측부가 아웃솔(11)의 측부 및/또는 측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4)는 착용자의 발등 상부를 교차시켜 발을 고정하는 밴드 또는 끈(14a)이 설치된다. 밴드 또는 끈(14a)은 착용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재나 탄성을 갖는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밴드 또는 끈(14a)은 착용 후 강한 고정력으로 잡아당겨 고정하기 위해 일단부가 찍찍이(벨크로)이나 똑딱이 등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1에서, 고정부재(14)의 구조 및 형상, 그리고 밴드 또는 끈(14a)의 개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The fixing member (14) can be fixed to the side and/or upper side of the outsole (11)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xing member (14) is provided with a band or string (14a) that crosses the upper part of the wearer's instep to fix the foot. The band or string (14a) can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n elastic rubber material for easy wearing. In addition, the band or string (14a) can be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using a hook-and-loop fastener (Velcro) or a snap, etc., in order to fix the band or string by pulling it with a strong fixing force after wearing.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fixing member (14) and the number of the bands or strings (14a) are not limited.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맞춤형 인솔과 미드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3은 아래에서 상부 미드솔과 맞춤형 인솔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4의 (a)는 맞춤형 인솔과 미드솔의 분해 단면도이고, (b)는 조립 단면도이다. FIGS. 3 and 4 are schematic drawings of a customized insole and a midsol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rawing of the upper midsole and the customized insole viewed from below, (a) of FIG.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stomized insole and the midsole, and (b)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맞춤형 인솔(13)은 착용자의 발을 투영시켜 제작함에 따라 착용자의 발의 종골에 대응되는 부위, 즉 종골을 받치는 부위가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돌출된 부위(13a)(이하, '볼록부'라 함)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볼록 구조, 가령 반구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customized insole (13) is manufactured by projecting the wearer's foot, so th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alcaneus of the wearer's foot, i.e., the portion supporting the calcaneus, has a structure in which it protrudes downwardly in a convex manner. This protruding portion (13a)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vex portion") may be formed as a convex structure, for example, a hemispherical structure, with the diameter becoming smaller as it goes downward.

상부 미드솔(121)에는 볼록부(13a)에 대응하여 볼록부(13a)가 삽입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21a)가 형성된다. 고정부(121a)는 상부 미드솔(121)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 있다. 또는 상부 미드솔(121)의 상부에서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통홀로 이루어진다. 맞춤형 인솔(13)이 상부 미드솔(12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볼록부(13a)는 고정부(121a)와 상하로 정렬된다. 볼록부(13a)는 고정부(121a)의 내부로 삽입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암수 결합된다. The upper midsole (121) is formed with a fixing portion (121a) in which the convex portion (13a) is inserted and fixed in correspondence to the convex portion (13a). The fixing portion (121a) may be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midsole (121) vertically. Or, it may be a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midsole (121). Preferably, it is formed as a through hole. When the customized insole (13) is secur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midsole (121), the convex portion (13a) is aligned vertically with the fixing portion (121a). The convex portion (13a)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xing portion (121a). Specifically, the male and female portions are connected.

도 4의 (b)는 맞춤형 인솔(13)이 상부 미드솔(12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볼록부(13a)가 고정부(121a)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의 (b)와 같이, 볼록부(13a)는 고정부(121a)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볼록부(13a)가 고정부(121a)의 내부로 삽입 고정되면, 볼록부(13a)를 제외한 맞춤형 인솔(13)의 다른 부위에서는 하부가 상부 미드솔(121)의 상면에 긴밀하게 밀착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맞춤형 인솔(13)이 상부 미드솔(121)을 기준으로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틀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FIG. 4 (b)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x portion (13a) is inserted and joined into the interior of a fixing portion (121a) while the customized insole (13) is secur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midsole (121). As shown in FIG. 4 (b), the convex portion (13a) can be inserted and join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xing portion (121a) and fixed. When the convex portion (13a)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xing portion (121a), the lower portion of the customized insole (13) other than the convex portion (13a) can be closely supported and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idsole (121). Accordingly, the problem of the customized insole (13) being tilted and twis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midsole (121) can be prevented.

고정부(121a)는 도 3과 같이, 상부 미드솔(121)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 있다. 고정부(121a)에 볼록부(13a)가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볼록부(13a)의 둥근 형상의 외면(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 구조로 이루어짐)은 고정부(121a)의 내면에 접면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121a)의 내경은 볼록부(13a)의 외경 변화에 대응하여 내경이 하부(깊이방향)로 갈수록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xed portion (121a) may be a through hole that penetrates the upper midsole (121) from top to bottom, as shown in Fig. 3. When the convex portion (13a)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121a), the rounded outer surface (formed as a curved surface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of the convex portion (13a) may be supported b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121a). To this end,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ed portion (121a)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becomes smaller toward the bottom (in the depth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vex portion (13a).

상부 미드솔(121)에서는 고정부(121a)의 형성으로 인해 고정부(121a)에서의 충격 흡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부(121a)에 결합되는 볼록부(13a)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볼록부(13a)가 고정부(121a)의 내부에서 공중에 붕 떠있는 상태로 결합되지 않고 상부 미드솔(121)에 의해 감싸 지지되도록 고정부(121a)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upper midsole (121), the shock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fixed portion (121a) may be reduced due to the formation of the fixed portion (121a). This makes it difficult to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convex portion (13a) coupled to the fixed portion (121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vex portion (13a) is coupled to the fixed portion (121a) so that it is supported by being wrapped around by the upper midsole (121) rather than being coupled in a state of floating in the air inside the fixed portion (121a).

도 4의 (b)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1에서는 볼록부(13a)가 고정부(121a)에 결합된 상태에서 볼록부(13a)의 외면이 고정부(121a)로 삽입되는 방향(깊이방향)으로 고정부(121a)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지지되도록 한다. 이는 볼록부(13a)가 공간에 떠 있지 않고 고정부(121a)의 내면에 지지되면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볼록부(13a)의 외면이 고정부(121a)의 내면에 지지되면서 결합되도록 하여 볼록부(13a)의 외면이 고정부(121a)의 내면에 지지되는 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상부 미드솔(121)이 볼록부(13a)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할 수 있다. As shown in (b) of FIG. 4,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x portion (13a) is supported while closel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121a)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3a) is inserted into the fixed portion (121a) in a state in which the convex portion (13a) is coupled to the fixed portion (121a) (in the depth direction). This is to ensure that the convex portion (13a) is not floating in space, but is coupl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121a). In other words, by coupling while suppor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3a)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121a), the area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3a) is suppor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121a) is maximized, thereby allowing the upper midsole (121) to absorb and cushion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convex portion (13a).

볼록부(13a)의 외면은 볼록 형상과 같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볼록부(13a)의 볼록 형상의 외면에 대응하여 고정부(121a)의 내면은 오목 형상과 같은 반원 구조로 형성된다. 볼록부(13a)의 외면 경사도는 고정부(121a)의 내면 경사도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볼록부(13a)의 외면 곡률은 고정부(121a)의 내면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a)와 같이, 볼록부(13a)의 외면과 고정부(121a)의 내면은 단면 상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4의 (b)와 같이, 볼록부(13a)가 고정부(121a)에 결합될 때, 볼록부(13a)의 외면은 고정부(121a)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 지지되면서 결합된다. 가령 볼록부(13a)의 외면은 고정부(121a)의 내면에 법면 구조로 서로 긴밀하게 밀착 지지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3a)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like a convex shape. In respons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3a),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121a) is formed as a semicircular structure like a concave shape. The inclina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3a) can be formed at the same angle as the inclina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121a). In other words, the curv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3a) can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curvatu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121a). As shown in (a) of Fig. 4,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3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121a) can be formed to have incline surfaces that correspond to each other in cross section. Through this, as shown in (b) of Fig. 4, when the convex portion (13a) is coupled to the fixed portion (121a),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3a) is tightly supported and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121a). For example,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3a) can be closely suppor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121a) in a slope structure.

한편, 볼록부(13a)로 인해 맞춤형 인솔(13)이 상부 미드솔(12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블록부(13a)는 고정부(121a)의 내부로 가능한 깊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의 (a)와 같이, 볼록부(13a)의 두께 't1'은 상부 미드솔(121)의 두께 't2'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미드솔(121)의 두께는 고정부(121a)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prevent the customized insole (1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midsole (121) due to the convex portion (13a), it may be desirable for the block portion (13a) to be inserted as deeply as possible into the interior of the fixed portion (121a). To this end, as shown in (a) of Fig. 4, the thickness 't1' of the convex portion (13a) may be formed to be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t2' of the upper midsole (121). Here, the thickness of the upper midsole (121)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epth of the fixed portion (121a).

도 3에는 볼록부(13a)를 제외한 맞춤형 인솔(13)의 하부가 평평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맞춤형 인솔(13)은 착용자의 발의 구조를 그대로 투영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발의 구조에 맞는 형상을 갖는다. 가령 주상골을 받치는 부위는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고, 투자골, 설상골 및/또는 척골을 받치는 부위는 하부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지골을 받치는 부위는 지골의 끝단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상승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In Fig. 3, the lower part of the custom insole (13) except for the convex portion (13a) is illustrated as flat,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reality, the custom insole (13) is manufactured by projecting the structure of the wearer's foot as it is, so it has a shape that fits the structure of the wearer's foot. For example, the part that supports the navicular bone can be formed convexly upward, the part that supports the talus, cuneiform bone, and/or metatarsal can be formed convexly downward, and the part that supports the phalanges can be formed with a structure that gradually rises toward the ends of the phalange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샌들형 신발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웃솔과 고정부재는 생략하고 맞춤형 인솔과 미들솔만 도시하였다. Fig. 5 is a schematic drawing of a sandal-type shoe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rawing of the sandal-type shoe shown in Fig. 5 as seen from below. 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outsole and fixing members are omitted, and only the customized insole and midsole are show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샌들형 신발은 실시 예1에서와 같이, 맞춤형 인솔(23)을 받치는 미드솔(22)을 포함한다. 미드솔(22)은 상부 미드솔(221)과 하부 미드솔(222)이 상하로 적층된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sandal-type shoe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dsole (22) supporting a customized insole (23), as in Embodiment 1. The midsole (22) may be formed of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an upper midsole (221) and a lower midsole (222) are laminated vertically.

맞춤형 인솔(23)에는 종골을 받치는 부위에 볼록부(23a)가 형성되고, 상부 미드솔(221)과 하부 미드솔(222)에는 볼록부(23a)가 결합되는 고정부(221a, 222a)가 형성된다. 상부 미드솔(221)에 형성된 고정부(221a)와 하부 미드솔(222)에 형성된 고정부(222a)는 상하로 정렬된다. 고정부(221a, 222a)는 각각 관통홀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부 미드솔(221)에 형성된 고정부(221a)는 관통홀 구조, 하부 미드솔(222)에 형성된 고정부(222a)는 소정 깊이를 갖는 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A convex portion (23a) is formed in a portion supporting the calcaneus of the custom insole (23), and a fixing portion (221a, 222a) is formed in the upper midsole (221) and the lower midsole (222) to which the convex portion (23a) is joined. The fixing portion (221a) formed in the upper midsole (221) and the fixing portion (222a) formed in the lower midsole (222) are aligned vertically. The fixing portions (221a, 222a) may each be formed as a through-hole structure, or the fixing portion (221a) formed in the upper midsole (221) may be formed as a through-hole structure, and the fixing portion (222a) formed in the lower midsole (222) may be formed as a groove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맞춤형 인솔과 미드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로서, (a)는 분해 단면도이고, (b)는 조립 단면도이다. Figure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stomized insole and midsole shown in Figure 5, where (a)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and (b)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도 7과 같이, 맞춤형 인솔(23)에 형성된 볼록부(23a)가 상부 미드솔(221)과 하부 미드솔(222)에 형성된 고정부(221a, 222a)에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되기 위해서는 볼록부(23a)가 고정부(221a, 222a)에 깊게 결합되어야 한다. 상부 미드솔(221)의 두께 't21'와 하부 미드솔(222)의 두께 't22'를 합한 두께('t21+t22')는 볼록부(23a)의 두께 't11'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이때, 상부 미드솔(221)의 두께 't21'는 상부 미드솔(221)에 형성된 고정부(221a)의 깊이에 대응하고, 하부 미드솔(222)의 두께 't22'는 하부 미드솔(222)에 형성된 고정부(222a)의 깊이에 대응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in order for the convex portion (23a) formed on the customized insole (23) to be stably joined and fixed to the fixing portions (221a, 222a) formed on the upper midsole (221) and the lower midsole (222), the convex portion (23a) must be deeply joined to the fixing portions (221a, 222a). The thickness ('t21+t22') obtained by adding the thickness 't21' of the upper midsole (221) and the thickness 't22' of the lower midsole (222)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t11' of the convex portion (23a). At this time, the thickness 't21' of the upper midsole (221) may correspond to the depth of the fixed portion (221a) formed in the upper midsole (221), and the thickness 't22' of the lower midsole (222) may correspond to the depth of the fixed portion (222a) formed in the lower midsole (22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로서, (a)는 분해 단면도이고, (b)는 조립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웃솔과 고정부재는 생략하였고 맞춤형 인솔과 미들솔만 도시하였다. 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andal-type shoe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and (b)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outsole and fixing members are omitted and only the customized insole and midsole are illustrated.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샌들형 신발은 실시 예1과 마찬가지로, 종골을 받치는 부위에 볼록부(33a)를 갖는 맞춤형 인솔(33)과, 맞춤형 인솔(33)의 볼록부(33a)가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321a)가 형성된 상부 미드솔(321)을 포함한다. 상부 미드솔(321)은 하부 미드솔(322)의 상부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 sandal-type shoe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imilarly to Embodiment 1, a customized insole (33) having a convex portion (33a) at a portion supporting the calcaneus, and an upper midsole (321) having a fixing portion (321a) formed to which the convex portion (33a) of the customized insole (33) is bonded and fixed. The upper midsole (321) may be adhesively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idsole (322).

고정부(321a)의 내면에는 도 8의 (a) 및 (b)와 같이, 볼록부(33a)의 외면을 지지하거나, 또는 볼록부(33a)의 외면과 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걸림턱(321b)이 형성된다. 걸림턱(321b)은 고정부(321a)의 내면을 따라 띠 형상, 즉 환상(환형) 구조로 고정부(321a)의 내면에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321a), as shown in (a) and (b) of Fig. 8, a catch (321b) is formed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33a) or to be strongly coupl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33a). The catch (321b) may be formed in a belt shape, i.e., a ring (annular) structur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321a), one or more catches may be formed in multiple stag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321a).

도 8의 (a)와 같이, 걸림턱(321b)이 고정부(321a)의 내면을 따라 복수 개가 다단으로 형성된 경우, 고정부(321a)의 내면에서 돌출되는 걸림턱(321b)의 높이(두께)는 동일하거나, 고정부(321a)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합이 용이하도록 고정부(321a)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걸림턱(321b)은 볼록부(33a)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반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s shown in (a) of Fig. 8, when a plurality of catches (321b) are formed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321a), the height (thickness) of the catches (321b)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321a) may be the same, or may be formed to increase or decreas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fixed portion (321a). Preferably, the catches (321b) may be formed to increas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fixed portion (321a) to facilitate coupling. In this case, the catches (321b)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convex portion (33a). Alternatively, the catches (321b) may be formed in a square structure.

맞춤형 인솔(33)의 볼록부(33a)가 상부 미드솔(321)의 고정부(321a)에 결합될 때 걸림턱(321b)을 지나 깊이방향으로 깊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 미드솔(321)은 맞춤형 인솔(33)에 비해 부드러운 연질 또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convex portion (33a) of the customized insole (33) is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321a) of the upper midsole (321), the upper midsole (321) can be formed of a soft or elastic material that is softer than the customized insole (33) so that it can be coupled deeply in the depth direction past the catch (321b).

걸림턱(321b)은 고정부(321a)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으나, 홈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catch (321b)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art (321a), but may also be formed as a groove structure.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다른 예로서, 걸림턱(321b) 대신에 고정부(321a)의 내면에 브러시 형태로 복수 개의 돌기가 촘촘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돌기는 고정부(321a)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as another example, instead of the catch (321b),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densely formed in the form of brush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321a).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protrusions may increas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fixed portion (321a).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4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로서, (a)는 분해 단면도이고, (b)는 조립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웃솔과 고정부재는 생략하였고 맞춤형 인솔과 미들솔만 도시하였다.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andal-type shoe according to Example 4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and (b)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outsole and fixing members are omitted and only the customized insole and midsole are illustrated.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4에 따른 샌들형 신발은 실시 예1과 같이, 맞춤형 인솔(43)과, 맞춤형 인솔(43)의 볼록부(43a)가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421a)가 형성된 상부 미드솔(421)과, 상부 미드솔(421)의 하부를 받치는 하부 미드솔(422)을 포함하고, 하부 미드솔(422)에는 고정부(421a)의 하측에서 삽입되어 고정부(421a)의 상측에서 삽입 결합된 볼록부(43a)를 받치는 지지부(422a)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9, a sandal-type shoe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s in Embodiment 1, an upper midsole (421) having a customized insole (43) and a fixing portion (421a) formed to which a convex portion (43a) of the customized insole (43) is coupled and fixed, and a lower midsole (422)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midsole (421). The lower midsole (422) is formed with a support portion (422a) that is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421a) and supports the convex portion (43a) that is inserted and coupl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421a).

상부 미드솔(421)이 하부 미드솔(422)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부(422a)는 도 9의 (b)에서와 같이, 고정부(421a)의 하측에서 고정부(421a)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부 미드솔(421)에 형성된 고정부(421a)의 상측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볼록부(43a)의 하측을 지지한다. 이를 통해 볼록부(43a)로 전달되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With the upper midsole (421) secured to the lower midsole (422), the support portion (422a)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xing portion (421a)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421a), as shown in (b) of Fig. 9, and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convex portion (43a) formed in the upper midsole (421) and inserted into the interior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421a). Through this,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convex portion (43a) can be stably absorb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5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로서, (a)는 분해 단면도이고, (b)는 조립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정부재는 생략하였고 맞춤형 인솔, 미들솔 및 아웃솔만 도시하였다. FIG.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andal-type shoe according to Example 5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and (b)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xing members are omitted and only a customized insole, midsole, and outsole are illustrated.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5에 따른 샌들형 신발은 맞춤형 인솔(53)과, 맞춤형 인솔(53)의 볼록부(53a)가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521a)가 형성된 상부 미드솔(521)과, 상부 미드솔(521)의 하부를 받치고 상부 미드솔(521)에 형성된 고정부(521a)와 상하로 대응하는 부위(상하로 정렬되는 부위)에 상부 미드솔(521)의 고정부(521a)를 관통하는 볼록부(53a)의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522a)가 형성된 하부 미드솔(522)을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 미드솔(522)의 하부에는 하부 미드솔(522)의 하부를 받치는 아웃솔(51)이 설치되고, 아웃솔(51)에는 고정부(521a, 522a)에 삽입 결합된 볼록부(53a)를 지지하는 지지부(51a)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0, a sandal-type shoe according to Example 5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midsole (521) having a custom insole (53), a fixing portion (521a) formed to which a convex portion (53a) of the custom insole (53) is coupled and fixed, and a lower midsole (522) having a fixing portion (522a) formed to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convex portion (53a) penetrating the fixing portion (521a) of the upper midsole (521) is inserted and fix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vertically to the fixing portion (521a) formed in the upper midsole (521) and which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midsole (521) and is aligned vertically. And, an outsole (51) that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lower midsole (522)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midsole (522), and a support part (51a) that supports a convex part (53a) inserted and connected to a fixed part (521a, 522a) is formed on the outsole (51).

아웃솔(51)에 형성된 지지부(51a)은 아웃솔(51)의 다른 부위에 비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부 미드솔(521)이 하부 미드솔(522)에 안착된 상태에서 아웃솔(51)에 형성된 지지부(51a)는 도 10의 (b)에서와 같이, 고정부(521a, 522a)의 하측에서 고정부(521a, 522a)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부 미드솔(521)에 형성된 고정부(521a)의 상측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볼록부(53a)의 하부를 지지한다. 이를 통해 볼록부(53a)로 전달되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51a) formed on the outsole (51)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that is formed to be convex upward compared to other parts of the outsole (51). Accordingly, when the upper midsole (521) is secured to the lower midsole (522), the support portion (51a) formed on the outsole (51)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xing portions (521a, 522a)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ortions (521a, 522a), as shown in (b) of Fig. 10, and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convex portion (53a) that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xing portion (521a) formed on the upper midsole (521). Through this,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convex portion (53a) can be stably absorbed.

본 발명의 실시 예1 내지 실시 예4에 따른 샌들형 신발에 적용된 미드솔에 형성된 고정부의 내면은 맞춤형 인솔에 형성된 볼록부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가령 기본 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위별로 발 구조에 대응하여 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볼록부가 결합되는 고정부는 상부 미드솔 대신에 하부 미드솔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맞춤형 인솔은 고정력을 위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미드솔의 상부에 접착 고정될 수도 있다.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formed in the midsole applied to the sandal-type shoes according to Embodiments 1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formed in the customized insole. For example, the basic shape may be formed as a circle, an oval, or a square, and a curved portion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oot structure for each part. 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to which the convex portion is coupled may be formed only in the lower midsole instead of the upper midsole. In addition, the customized insole may be adhered an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midsole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for fixing forc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using specific terms, such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clearly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self-eviden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bed te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샌들형 신발
11, 51 : 아웃솔
11a : 고정홈부
12, 22 : 미드솔
13, 23, 33, 43, 53 : 맞춤형 인솔
13a, 23a, 33a, 43a, 53a : 볼록부
14 : 고정부재
14a : 밴드 또는 끈
121, 221, 321, 421, 521 : 상부 미드솔
121a, 221a, 222a, 321a, 421a, 521a, 522a : 고정부
122, 222, 322, 422, 522 : 하부 미드솔
321b : 걸림턱
51a, 422a : 지지부
10: Sandal-type shoes
11, 51 : Outsole
11a: Fixed home section
12, 22 : Midsole
13, 23, 33, 43, 53: Custom insoles
13a, 23a, 33a, 43a, 53a: Convex part
14 : Fixed member
14a : Band or string
121, 221, 321, 421, 521: Upper midsole
121a, 221a, 222a, 321a, 421a, 521a, 522a : Fixed part
122, 222, 322, 422, 522: Lower midsole
321b : stumbling block
51a, 422a : Support

Claims (8)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부착 고정된 미드솔; 및
상기 미드솔의 상부에 설치되고, 교정치료를 위해 착용자의 발 구조에 맞게 맞춤 제작되고, 발의 종골을 받치는 부위에 하측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된 맞춤형 인솔; 을 포함하고,
상기 미드솔에는 상기 볼록부의 외면이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샌들형 신발.
outsole;
A midsole attached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bove outsole; and
A custom insol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idsole, is custom-made to fit the structure of the wearer's foot for corrective treatment, and has a convex portion formed downward on the area that supports the calcaneus of the foot;
In the above midsole, a fixing part is formed by inser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art and fixing it together.
Sandal-type sho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 삽입되어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볼록부의 외면이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내면은 상기 볼록부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 샌들형 신발.
In paragraph 1,
A sandal-type shoe i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is formed to have a curv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is closely fixed and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while the convex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and fixedly join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설치된 하부 미드솔; 및
상기 하부 미드솔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미드솔;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미드솔 또는 상기 하부 미드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샌들형 신발.
In claim 1 or 2,
The above midsole is,
A lower midsol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above outsole; and
Including an upper midsole installed on top of the lower midsole;
The above fixed part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midsole or the lower midsole,
Sandal-type sho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미드솔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관통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미드솔에는 상기 상부 미드솔에 형성된 고정부에 대응하여 상부로 볼록한 형상의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미드솔에 형성된 지지부는 상기 상부 미드솔에 형성된 고정부의 하측에서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미드솔에 형성된 고정부의 상측에서 하부로 삽입 결합되는 상기 볼록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샌들형 신발.
In the third paragraph,
A sandal-type shoe in which the above fixing portion is formed as a through-hole structure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midsole upwardly and downwardly, and a support portion having a convex shape formed upwardly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ortion formed in the upper midsole is formed in the lower midsole, and the support portion formed in the lower midsole is inserted upward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formed in the upper midsole and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convex portion that is inserted and joined downward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formed in the upper mids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미드솔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미드솔의 상면에서부터 하측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 구조로 이루어진 샌들형 신발.
In paragraph 1,
A sandal-type sho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fixed part is formed by a through-hole structure penetrating the midsole from top to bottom, or by a groove structure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bottom to to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두께는 상기 고정부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작은 샌들형 신발.
In paragraph 1,
A sandal-type sho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convex portion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fixe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는 환상 구조로 이루어진 걸림턱이 형성된 샌들형 신발.
In paragraph 1,
A sandal-type shoe with a catch formed in a circular structur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fixed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는 브러시 형태로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샌들형 신발.

In paragraph 1,
A sandal-type shoe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in the shape of brush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fixed part.

KR1020230043196A 2023-03-31 2023-03-31 Sandal-type shoe with customized insole Pending KR202401473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196A KR20240147352A (en) 2023-03-31 2023-03-31 Sandal-type shoe with customized ins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196A KR20240147352A (en) 2023-03-31 2023-03-31 Sandal-type shoe with customized inso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47352A true KR20240147352A (en) 2024-10-08

Family

ID=9311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196A Pending KR20240147352A (en) 2023-03-31 2023-03-31 Sandal-type shoe with customized ins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47352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782B1 (en) 2007-08-24 2015-10-19 오소솔 리미티드 Orthotic foot device with removable support compon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354953B1 (en) 2015-07-07 2022-01-24 아이디얼 리빙 엘엘씨 Orthodontic insoles for footwear with attachable angled inserts for correcting in or hyperpronation of the foo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782B1 (en) 2007-08-24 2015-10-19 오소솔 리미티드 Orthotic foot device with removable support compon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655937B1 (en) 2007-08-24 2016-09-22 오소솔 리미티드 Orthotic foot device with removable support compon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354953B1 (en) 2015-07-07 2022-01-24 아이디얼 리빙 엘엘씨 Orthodontic insoles for footwear with attachable angled inserts for correcting in or hyperpronation of the fo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9512B1 (en) Massage shoes with combination arch support
US10188172B1 (en) Massage insole with multiple support regions
CN101262791A (en) Triplanar support system for footwear
US20120317844A1 (en) Outsole with pods and grooves
KR100796160B1 (en) Functional insole for high-heeled shoes
US20100064550A1 (en) Universal adjustable insole with an arch support and method of using it
US20190116922A1 (en) Massage shoe with arch support nodules
JP2023505321A (en) Shoes with a sole that achieves dynamic plantar arch support
KR101362512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thong portion including grooves
US11452329B2 (en) Orthopedic shoe appliance
KR102659993B1 (en) Functional Slippers
US20110289802A1 (en)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KR20240147352A (en) Sandal-type shoe with customized insole
US20230292880A1 (en) Shoe sole with shock absorbing layer structure
CN217446856U (en) Child is with correcting shoe-pad
US11793267B1 (en) Shoe and therapy system
US10349701B2 (en) Footwear having a sole formed with a cavity receiving a highly viscous gel
KR200495970Y1 (en) Slippers for correcting the human body
KR20180001749U (en) Non-Slip Patch For Shoes
JP2023023063A (en) Leather-soled sandal-type shoe
KR101722180B1 (en) Shoes for toes correction
KR102667891B1 (en) Slippers for correcting feet
US20080307672A1 (en) Toe-fortifiable footwear and toe-fortifiable insole member of footwear
KR102754934B1 (en) Arch type assembly for foot
JP7588869B2 (en) sneak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3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