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4934B1 - 발의 아치부위를 보호 및 지지하기 위한 아치부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발의 아치부위를 보호 및 지지하기 위한 아치부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4934B1
KR102754934B1 KR1020230057384A KR20230057384A KR102754934B1 KR 102754934 B1 KR102754934 B1 KR 102754934B1 KR 1020230057384 A KR1020230057384 A KR 1020230057384A KR 20230057384 A KR20230057384 A KR 20230057384A KR 102754934 B1 KR102754934 B1 KR 10275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h
foot
shoe
bending line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7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160487A (ko
Inventor
유인경
Original Assignee
유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경 filed Critical 유인경
Priority to KR1020230057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4934B1/ko
Publication of KR20240160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60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49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lateral arch, i.e. the cuboid b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원은 인체의 족(발)의 아치부위에 압력이 분산되도록 하고 발목을 안정적으로 보호/지지하도록 하여 발의 아치 이상증상에 따른 수많은 질병들인 무지외발증, 지반신경통. 족막염, 족막근막염 등의 발생요인들을 근본적으로 제거 및 차단해 주기 위한 아치부위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본원 구성의 아치부위 어셈블리가 신발의 밑창, 깔창, 중창에 내장된 상태의 신발착용으로 발의 아치부를 보호/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신발의 아치부위 어셈블리 관련 기술이다.
본원 기술사상은 신발의 아치부위 어셈블리 구조에서 발의 앞꿈치와 뒷꿈치 사이에 오목하게 패인 형태를 이루는 아치부위를 압박하여 밀어주기 위한 support core 구조를 엔드레스(endless) 형태로 이루기 위해 1 ~ 5 ㎜의 피아노 강선이 사용되어 좌,우 앞꿈치 사이에 5~15 ㎜ 길이로 전면 굴곡선을 형성하고, 좌, 우측 앞꿈치와 뒷꿈치 사이에 각각 15~30 ㎜ 길이로 좌,우 측면 굴곡선을 형성하고 삼각형 구조를 이루며 꼭지라운드를 형성하고, 좌,우 측면 굴곡선 사이에 내향라운드 절곡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아치부 support core 구조를 이루고, 상기 아치부 support core 구조가 신발의 밑창이나 깔창 중창에 내장되어 발의 아치 부위를 보호 및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신발의 아치부위 어셈블리를 특징으로 한다. .

Description

발의 아치부위를 보호 및 지지하기 위한 아치부위 어셈블리{ARCH TYPE ASSEMBLY FOR FOOT}
본 발명은 인체의 족(발)의 아치부위에 압력이 분산되도록 하고 발목을 안정적으로 보호/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원의 아치부위 어셈블리로 인하여 발의 아치 이상증상에 따른 수많은 질병들인 무지외발증, 지반신경통. 족막염, 족막근막염 등의 발생요인들을 근본적으로 제거 및 차단해 주기 위한 아치부위 어셈블리에 관한 기술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는 신발의 밑창, 깔창, 중창에 내장된 구조를 이루고 신발착용으로 발의 아치부를 보호/지지하는 기능성 신발로 구현될 수 있고, 본원의 아치부위 어셈블리가 실내회나 덧신에 내장된 구조를 이루어서 실내회나 덧신 착용으로 발의 아치부를 보호/지지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인간의 몸에서 모든 근육은 뇌에서 조절하는데, 특히, 소뇌는 근육의 움직임을 파악해서 움직임의 강도와 위치를 조절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속적인 운동은 뇌에 자극을 주어 소뇌의 운동 조절 기능을 향상시켜 준다는 과학적인 분석 결과와 수많은 환자들을 통해 재활치료 효과로부터 입증되고 있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신발들은 바닥이 단단한 정적인 형태이며, 일부 착화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신발 밑창을 EVA발포수지, PU, 스프링 등으로 만들기도 하였으나, 모두 보행시의 충격흡수를 위한 쿠션 기능일 뿐이고, 쿠션기능도 보행시에 무릎과 같은 관절의 충격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족(발)의 아치부위에 적절한 압력이 분산되도록 하고 발목을 안정적으로 보호/지지하며 적절한 자극을 주지는 못한다.
인간의 몸에서 발의 앞꿈치와 뒷꿈치 사이에 음푹 패인부분인 아치부위의 중요성은 이미 잘 알려진 내용과 같이 심장과 발은 일상생활 중 계속 걷고, 움직이는 동안 심장에서 뿜어낸 피를 신체의 가장 밑바닥까지 펌프질해 다시 심장으로 보내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불균형한 발의 아치상태를 수시로 파악하고 교정/관리하여야만 건강을 유지할수 있다.
사람이 살아가는 일상에서 발의 아치부위는 매일 700 여톤(체중 70kg. 보행 10,000 보 기준) 으로 많은 부담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과중한 부담을 감당해 낼수 있도록 정교하고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우리가 일상생활을 영위할수 있는 것이다.
인류는 발을 보호하기 위해 일찍부터 신발을 만들어 신어오면서 많은 종류의깔창들, 여러 가지 기능성 신발류들이 개발되어 상품화되었으나 발의 아치부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를 보호대상으로 하는 기술은 아직 개시된바 없는 것으로 조사된다.
현재까지 개발된 깔창류나 기능성 신발류들은 석유화학 제품류의 합성수지류, 합성섬유. 합성고무 등으로부터 출발된 제품 대부분은 탄성과 cushion만을 중시하여 왔을 뿐 발의 아치부위 보호를 위해서는 깔창류나 신발류의 중심부를 두껍게 하여 아치부위 보호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잠시 사용후에는 복원력이 상실되는 문제와 수명도 짧고 재생도 어려워서 신발류와 깔창 등을 다시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발의 아치균형이 무너지면 몸의 Valance가 깨지고 체중이 한쪽으로 쏠려 척추의 틀어짐이 유발되고 또한 종아리 근육이 과하게 경직되어 통증을 유발하게 되며, 아치균형이 무너진 방향으로 골반이 낮아지고 척추가 회전되면서 골반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체형의 이상이 발생하여 목, 어깨, 등까지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아치균형이 무너지면 전신관절이 무너지고 인대 등의 연부조직에 문제가 발생할수 있으며, 바닥이 딱딱한 구두와 하이힐 플랫슈즈, 워커 슬리퍼 등 발의 아치부분을 제대로 받쳐 주지 못하는 신발들은 발이 평발 등으로 변할수 있으며 만병의 근원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현재까지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신발제품류는 바닥이 단단한 정적인 형태이며, 일부 착화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신발 밑창을 EVA발포수지, PU, 스프링 등으로 만들기도 하였으나, 모두 보행시의 충격흡수를 위한 쿠션기능일 뿐이고, 본원에서와 같이 발의 앞꿈치와 뒷꿈치 사이에 음푹 패인부분인 아치부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불균형에 이르기 전 발의 아치상태를 수시로 파악하고 교정/관리하여야만 건강을 유지할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은 개시된바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본원은 인체의 족(발)의 아치부위에 압력이 분산되도록 하고 발목을 안정적으로 보호/지지하도록 하여 발의 아치 이상증상에 따른 수많은 질병들인 무지외발증, 지반신경통. 족막염, 족막근막염 등의 발생요인들을 근본적으로 제거 및 차단해 주기 위한 아치부위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본원 구성의 아치부위 어셈블리가 신발의 밑창, 깔창, 중창에 내장된 상태를 이루거나 또는 실내회나 덧신에 내장된 구조를 이루어서 실내회나 덧신 착용으로 발의 아치부를 보호/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사람들의 발에서 오목발(요족)이란 발등이 정상의 발보다 높이 올라오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발바닥의 아치가 높아서 옆에서 보면 발바닥이 위로 볼록하게 올라간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오목발은 아치가 높아 체중이 발바닥에 골고루 분산되지 못하고 발바닥 뒤꿈치나 앞쪽에 쏠려 여러 가지 질병과 건강의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데, 예를 들어 발의 외상에 대한 후유증. 마비와 같은 신경근육성 장애 아킬레스건의 손상. 족저근막염. 지잔신경증, 발목인대파열, 발목연골손상. 만성 발목 교정등. 종아리근육경직 등의 질병의 원인이 된다.
또한 평발(평편족)이란 발바닥의 안쪽아치가 비정상적으로 낮아지거나 소실되는 변형의 발을 말하는데 이차적으로 발뒤꿈치는 바깥쪽을 향하게 되고 발의 안쪽은 바깥쪽으로 향하게 되기도 하는데 신경근육성 질환과 관련된 평발이거나 또는 청소년 이후의 경골근 기능장애 등. 유연성 평편족. 족골근 결합 후경골반의 이상. 류마치스 관절염, 외상성 족골골절, 족근종족 관절손상, 발목관절의 골절과 후유증 등의 질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부류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본원에서 새롭게 개시되는 기술사상은 신발의 밑창, 깔창, 중창에 아치부위 어셈블리를 내장시킨 구조를 이루거나 또는 실내회나 덧신에 내장된 구조를 이루어서 실내회나 덧신 착용으로켜 발의 아치부위를 보호/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를 통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로써, 발의 앞꿈치와 뒷꿈치 사이에 오목하게 패인 형태를 이루는 아치부위를 압박하여 밀어주기 위한 support core 구조를 엔드레스(endless) 형태로 이루기 위해 1 ~ 5 ㎜의 피아노 강선이 사용되어 좌,우 앞꿈치 사이 길이로 전면 상향굴곡선을 형성하고, 발의 좌, 우측 앞꿈치와 뒷꿈치 사이 길이로 좌측 상향굴곡선 및 우측 상향굴곡선을 형성하되 좌측 상향굴곡선 및 우측 상향굴곡선의 중간위치에는 중심부를 향한 내향라운드 절곡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삼각형 또는 마름모 구조를 이루며 꼭지고정부를 갖는 구성으로 아치부위 support core 구조를 이루고 상기 아치부 support core 구조가 신발의 밑창이나 깔창 중창에 내장되거나 또는 실내회나 덧신에 내장된 후 피아노 강선의 탄성 및 복원력이 회복되어 발의 아치 부위를 보호 및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를 특징부로 갖는 기술이다.
본원 신발의 아치부위 어셈블리에서 좌,우 앞꿈치 사이에 형성되는 전면 굴곡선의 높이는 수평바닥면 기준에서 5~15 ㎜ 높이로 적용될 수 있고, 좌, 우측 앞꿈치와 뒷꿈치 사이에 형성되는 측면 굴곡선의 높이는 수평바닥면 기준에서 15~30 ㎜ 높이로 적용될 수 있으며, 좌,우 측면 굴곡선의 중간위치에 형성되는 내향라운드 절곡부는 폭이 2~8 ㎜ 범위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원 기술사상은 인체의 족(발)의 아치부위에 적절한 압박을 가하면서 발목을 안정적으로 보호/지지하기 위해 아치부위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이용방법으로써, 신발의 밑창, 깔창, 중창에 내장되거나 또는 실내회나 덧신에 내장되어 발의 아치부를 보호/지지하기 위한 기구로써 발의 앞꿈치와 뒷꿈치 사이에 오목하게 패인 형태를 이루는 아치부위를 압박하여 밀어주기 위한 support core 구조를 엔드레스(endless) 형태로 이루기 위해 1 ~ 5 ㎜의 피아노 강선이 사용되어 좌,우 앞꿈치 사이 길이로 전면 상향굴곡선을 형성하고, 발의 좌, 우측 앞꿈치와 뒷꿈치 사이 길이로 좌측 상향굴곡선 및 우측 상향굴곡선을 형성하되 좌측 상향굴곡선 및 우측 상향굴곡선의 중간위치에는 중심부를 향한 내향라운드 절곡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삼각형 또는 마름모 구조를 이루며 꼭지고정부를 갖는 구성으로 아치부위 support core 구조를 이루고
상기 아치부 support core 구조가 신발의 밑창이나 깔창 중창에 내장되거나 또는 실내회나 덧신에 내장된 후 피아노 강선의 탄성 및 복원력이 회복되어 발의 아치 부위를 보호 및 지지하도록 적용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의 이용방법으로 현실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실시양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에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는 첫째 발의 가로 및 세로 아치 부위의 올바른 Supporting 자극을 통해 인체의 모든 장기를 튼튼하게 해주어서 수십kg의 체중을 떠 받치면서 매일 걷고 달릴수 있게 해 주는 힘의 원동력인 아치부위를 보호/지지하여 줌으로 인간의 정상적인 신체리듬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거골하관절은 몸의 방향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발의 관절로 인체의 핸들 (steering) 이라고도 하며 발의 세로 아치는 사람이 걷거나 달릴 때 발뒤꿈치로 땅을 미는 힘이 자기 몸무게의 수배가 되도록 하면서 발은 굽거나 찌그러지지 않고 원래의 모습을 유지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사람의 직립의 힘은 발의 가로 아치에 있다고 하는데 세로 아치의 힘보다 2배나 크다고 하며 발뒤꿈치에서 앞꿈치에 이르는 세로아치의 힘에서 스프링처럼 작동하면서 힘과 유연성을 유지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넷째 발의 아치는 인체의 균형을 유지해 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족관절의 배열에 조금치의 변화라도 생기면 발이 제 역할의 수행이 불가능한데 이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 : 본원 아치부위 어셈블리가 신발 밑창에 적용되는 적용예시도.
도 3 : 본원 아치부위 어셈블리가 덧신에 적용되는 적용예시도
전술한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의 구성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원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를 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 본원의 아치부위 어셈블리는 발의 앞 꿈치와 뒷꿈치 사이에 오목하게 패인 형태를 이루는 아치부위를 압박하여 밀어주기 위해 상향 support core 구조를 엔드레스(endless) 형태로 이루기 위해 1 ~ 5 ㎜ 굵기의 피아노 강선이 사용되어 좌,우 앞꿈치 사이 길이로 전면 상향굴곡선(11)을 형성하고, 발의 좌, 우측 앞꿈치와 뒷꿈치 사이 길이로 좌측 상향굴곡선(12) 및 우측 상향굴곡선(13)을 형성하되 좌측 상향굴곡선(12) 및 우측 상향굴곡선(13)의 중간위치에는 중심부를 향한 내향라운드 절곡부(12a,13a)가 각각 형성되는 구조로 삼각형 구조 또는 마름모 구조를 이루며 꼭지고정부(14a,14b,14c)를 갖는 구성으로 아치부위 support core 구조 어셈블리(10)를 이루도록 제공되며, 상기 구성의 아치부위 support core 구조 어셈블리(10)가 신발의 밑창이나 깔창, 중창에 내장되거나 또는 실내회나 덧신에 내장되어 발의 아치 부위를 보호 및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10)로 구현된다.
본원기술로 제공되는 상기 아치부위 어셈블리(10)에서 좌,우 앞꿈치 사이에 형성되는 전면 상향굴곡선(11)의 높이(h1)는 수평바닥면 기준에서 5~15 ㎜ 높이로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고, 상기 아치부위 어셈블리(10)에서 좌, 우측 앞꿈치와 뒷꿈치 사이에 형성되는 좌측 상향굴곡(12)선 및 우측 상향굴곡선(13)의 높이(h2)는 수평바닥면 기준에서 15~30 ㎜ 높이로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 아치부위 어셈블리(10)에서 좌측 상향굴곡선(12) 및 우측 상향굴곡선(13)의 중간위치에 형성되는 내향라운드 절곡부(h3) 폭은 2~8 ㎜ 범위로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원기술러 제공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10)가 신발 밑창에 적용되는 일 적용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신발밑창(20)과 미드솔(30) 사이에 본원의 아치부위 어셈블리(10)가 내삽되고 인젝션 몰딩작업이 이루어지고 미드솔(30) 외측에 깔창(40)이 깔린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원 아치부위 어셈블리(10)가 덧신(60)에 적용되는 일 적용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에서는 직물지로 제공되는 덧신의 바닥면에 아치부위 어셈블리(10)의 꼭지고정부(14a,14b,14c)가 끼움되기 위한 걸고리부(61a,61b,61c)를 만들어 놓고 아치부위 어셈블리(10)의 상향굴곡선(13)이 수평바닥면 기준에서 5~15 ㎜ 높이를 이루며 좌측 상향굴곡(12)선 및 우측 상향굴곡선(13)의 높이(h2)도 수평바닥면 기준에서 5~15 ㎜ 높이를 이루도록 조절된 후 그 상부에 깔창형태의 덮개부가 부착된 구조를 이룬 덧신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b에서는 필요한 경우 발 뒷꿈치 꼭지점이 2개(14d,14e)로 적용될 수 있는 실시양탸를 나타낸 것이다.
본원기술에서 발의 아치 support core 구조는 피아노 강선 등이 이용되어 발아치의 support 구조는 실제 착용되는 사람의 발의 기능과 최대한 유사하게 Design 되는 것이 필요하며, 발의 내측 아치의 상향굴곡(12)선과 외측 아치의 상향굴곡선(13) 각각이 전면 상향굴곡선(11)과 만나 일체로 한 몸체(Assembly)로 구성되어 언제나 분리되지 않토록 엔드레스(endless) 구조로 제공되고 상향 support core 구조를 원활하게 이루기 위해 좌측 상향굴곡선(12) 및 우측 상향굴곡선(13)의 중간 위치에 2~8 ㎜ 범위의 폭으로 내향라운드 절곡부(h3)를 형성하여 압박되면 수평으로 펼쳐졌다가 다시 본래의 위치로 복원하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피아노 강선이 이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며, 그 재질은 sus piano 강선이 바람직한 이유는 탄성이 우수하고 복원력이 뛰어나며 내식성이 우수하고, 내마모성이 높으며 내화, 내열성도 크고 강도가 크고 항장력이 큰 특성을 가지므로 본원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덧신용으로는 1 ~ 3 ㎜의 피아노 강선이 사용될 수 있고, 신발의 밑창이내 미드솔에 내장되는 경우 3 ~ 5 ㎜ 범위의 피아노 강선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도 2에서는 신발 깔창과 중창 사이에 아치부위 어셈블리(10)를 내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Moulding 재질에 사용되는 수지가 갖고 있는 특성을 감안하여 얼마든지 다른 소재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모든 신발류와 구두 남성용 여성용의 신발과 그의 중창 깔창 등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적용하는 깔창, 중창 등의 재질과 moulding 의 경도는 기존의 신발창 방식을 기준으로 하여 안받침의 piano 강선의 탄성과 복원력 등을 감안하여 설정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은 몰론이다.
따라서 본원 기술사상은 사람의 족(발)의 아치부위에 압력이 분산되도록 하고 발목을 안정적으로 보호/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10)를 이용하여 발의 아치 이상 증상에 따른 수많은 질병들인 무지외발증, 지반신경통. 족막염, 족막근막염 등의 발생요인들을 근원적으로 제거 및 차단해 주기 위한 아치부위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은 신발의 밑창, 깔창, 중창에 내장된 상태를 이루거나 또는 실내회나 덧신에 내장된 구조를 이루어서 발의 아치부를 보호/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의 특징으로 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는 균등론적으로 유사범위까지 보호되어야 할 것이다.
10 : 아치부위 어셈블리 11 : 전면 상향굴곡선
12 : 좌측 상향굴곡선 13 : 우측 상향굴곡선
14 : 내향라운드 절곡부 15 : 꼭지고정부
20 : 신발밑창 30 : 미드솔
40 : 깔창 50 : 덧신
51 : 걸고리부

Claims (5)

  1. 신발의 밑창, 깔창, 중창에 내장되거나 또는 실내회나 덧신에 내장되어 발의 아치부위를 보호/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에 있어서,
    발의 앞꿈치와 뒷꿈치 사이에 오목하게 패인 형태를 이루는 아치부위를 압박하여 밀어주기 위한 support core 구조를 엔드레스(endless) 형태로 이루기 위해 1 ~ 5 ㎜의 피아노 강선이 사용되어 좌,우 앞꿈치 사이 길이로 전면 상향굴곡선을 형성하고, 발의 좌, 우측 앞꿈치와 뒷꿈치 사이 길이로 좌측 상향굴곡선 및 우측 상향굴곡선을 형성하되 좌측 상향굴곡선 및 우측 상향굴곡선의 중간위치에는 중심부를 향한 내향라운드 절곡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삼각형 또는 마름모 구조를 이루며 꼭지고정부를 갖는 구성으로 아치부위 support core 구조를 이루고, 상기 구성의 아치부 support core 구조가 신발의 밑창이나 깔창, 중창에 내장되거나 또는 실내회나 덧신에 내장되어 발의 아치 부위를 보호 및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위 어셈블리에서 좌,우 앞꿈치 사이에 형성되는 전면 상향굴곡선의 높이는 수평바닥면 기준에서 5~15 ㎜ 높이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위 어셈블리에서 좌, 우측 앞꿈치와 뒷꿈치 사이에 형성되는 좌측 상향굴곡선 및 우측 상향굴곡선의 높이는 수평바닥면 기준에서 15~30 ㎜ 높이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위 어셈블리에서 좌측 상향굴곡선 및 우측 상향굴곡선의 중간위치에 형성되는 내향라운드 절곡부 폭은 2~8 ㎜ 범위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
  5. 인체의 족(발)의 아치부위에 적절한 압박을 가하면서 발목을 안정적으로 보호/지지하기 위해 아치부위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이용방법에 있어서,
    신발의 밑창, 깔창, 중창에 내장되거나 또는 실내회나 덧신에 내장되어 발의 아치부를 보호/지지하기 위한 기구로써 발의 앞꿈치와 뒷꿈치 사이에 오목하게 패인 형태를 이루는 아치부위를 압박 및 밀어주기 위한 support core 구조를 엔드레스(endless) 형태로 이루기 위해 1 ~ 5 ㎜의 피아노 강선이 사용되어 좌,우 앞꿈치 사이 길이로 전면 상향굴곡선을 형성하고, 발의 좌, 우측 앞꿈치와 뒷꿈치 사이 길이로 좌측 상향굴곡선 및 우측 상향굴곡선을 형성하되 좌측 상향굴곡선 및 우측 상향굴곡선의 중간위치에는 중심부를 향한 내향라운드 절곡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삼각형 또는 마름모 구조를 이루며 꼭지고정부를 갖는 구성으로 아치부위 support core 구조를 이루고, 상기 구성의 아치부 support core 구조가 신발의 밑창이나 깔창, 중창에 내장되거나 또는 실내회나 덧신에 내장되어어 발의 아치 부위를 보호 및 지지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부위 어셈블리의 이용방법.

KR1020230057384A 2023-05-02 2023-05-02 발의 아치부위를 보호 및 지지하기 위한 아치부위 어셈블리 Active KR102754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384A KR102754934B1 (ko) 2023-05-02 2023-05-02 발의 아치부위를 보호 및 지지하기 위한 아치부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384A KR102754934B1 (ko) 2023-05-02 2023-05-02 발의 아치부위를 보호 및 지지하기 위한 아치부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60487A KR20240160487A (ko) 2024-11-11
KR102754934B1 true KR102754934B1 (ko) 2025-01-13

Family

ID=9345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384A Active KR102754934B1 (ko) 2023-05-02 2023-05-02 발의 아치부위를 보호 및 지지하기 위한 아치부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549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079B1 (ko) 2019-01-18 2020-05-13 정미승 신발용 지압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334B1 (ko) * 2005-03-02 2007-01-09 주식회사 우성우레탄 탄성띠가 구비된 발바닥 교정용 신발중창
KR100927876B1 (ko) * 2008-01-22 2009-11-25 한국신발피혁연구소 발바닥 지지구
US8850718B2 (en) * 2009-09-23 2014-10-07 Shoes For Crews, Llc Shoe with support system
KR200462766Y1 (ko) * 2010-02-23 2012-09-27 임재영 구두 중창용 허리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079B1 (ko) 2019-01-18 2020-05-13 정미승 신발용 지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60487A (ko) 2024-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4770B1 (en) Footwear with dynamic arch system
US20130160331A1 (en) Shoe Insole or Midsole with a Tri-Dome Configuration for Foot Rehabilitation
TW201531248A (zh) 可自定義組件鞋墊系統及其製造方法
US20120285040A1 (en) Spring shoe sole device
US11297894B1 (en) Functional shoe insole
US9872534B2 (en) Footwear with dynamic arch system
JP5263880B2 (ja) 靴用中敷
US10827798B2 (en) Footwear with dynamic arch system
US9392842B2 (en) Footwear with dynamic arch system
KR100960562B1 (ko)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
KR20110004572A (ko) 건강을 위한 신발 밑창
KR100955038B1 (ko) 신발 제조용 라스트
KR101196835B1 (ko) 신발패드
KR102659993B1 (ko) 기능성 슬리퍼
KR102754934B1 (ko) 발의 아치부위를 보호 및 지지하기 위한 아치부위 어셈블리
CN217446856U (zh) 一种孩童用矫正鞋垫
KR100788854B1 (ko) 롤링형 도보를 가능하게 하는 건강신발
US20240188677A1 (en) Auxiliary or integrated inner sole structure for footwear
CN209862482U (zh) 集成气囊矫正鞋垫
KR102667891B1 (ko) 교정용 슬리퍼
KR102669068B1 (ko)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
KR20060035524A (ko) 원형신발바닥에 에어백이 내장된 건강 흔들 신발
JP2023155097A (ja) スポーツ用インソール
WO2017075071A1 (en) Footwear with dynamic arch system
KR20090076501A (ko)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5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