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30653A - 의류 관리기 - Google Patents
의류 관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30653A KR20240130653A KR1020240025899A KR20240025899A KR20240130653A KR 20240130653 A KR20240130653 A KR 20240130653A KR 1020240025899 A KR1020240025899 A KR 1020240025899A KR 20240025899 A KR20240025899 A KR 20240025899A KR 20240130653 A KR20240130653 A KR 202401306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regeneration
- drying
- desiccant wheel
- heat exchang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5
- 239000002274 desicc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7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7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793 Steam injection (oil indust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4—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blowers or f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된 수용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한 제1 공기를 배출하는 응축열교환기, 상기 제1 공기의 수분을 흡착한 제2 공기를 토출하는 데시칸트가 결합된 데시칸트 휠 및 상기 데시칸트 휠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건조 모드 시, 상기 제어 모듈은, 제1 시간 동안 상기 데시칸트 휠을 제1 회전속도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시간 경과 후 제2 시간 동안 상기 데시칸트 휠을 제2 회전속도로 제어하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가 거치되는 수용 공간의 공기, 공간 벽면의 수분 및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기 용이한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의류 관리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시키는 드럼타입의 건조기, 의류를 걸어두고 건조시키는 캐비닛 타입의 건조기 및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셔 등이 개발되었다.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사용된 의류에 열과 수분을 가하여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등을 제거하는 과정을 통칭하여 말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의류 관리기의 경우 의류가 수납되는 수용공간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열풍에 의한 처리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수용공간으로 공급된 열풍을 순환시켜 다시 재가열하고, 이를 다시 수용공간으로 공급하는 순환시스템으로 의류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의류의 수용공간에 대한 공기를 순환시켜 의류를 처리하는 의류 관리기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21359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고 함)는 의류관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이 개구된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어 의류 관리실의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장치,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의류 관리실을 외부와 연통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습유로, 제습유로는 의류 관리실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유로와 의류 관리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를 포함하는 구성 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의 의류 관리기는 열 교환장치가 증발기 및 응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저습 구간에서는 효율적인 건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분건조를 위해서 사용되는 히트펌프 냉방 사이클은 건조능력이 뛰어나 대용량에 건조에는 적합하나, 이러한 냉방사이클을 구성하기 위해서 고가의 컴프레서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증가되고 고주파 소음이 발생하는 등, 의류 관리기에는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00288호(이하, ‘선행문헌 2’라고 함)는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수납실을 유동하는 순환공기를 제습시키는 제습부, 수납실과 기계실을 연통시키는 순환공기 유입구 및 순환공기 유출구, 순환공기 유입구를 통해 수납실에 공급되는 순환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순환필터 유닛, 배기구 측에 구비된 제습팬 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2의 의류 관리기 역시 제습부가 히트펌프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저습 구간에서는 효율적인 건조가 어렵고, 제작비용 증가 및 소음 발생 문제가 있는 등 의류 관리기로서의 제약이 있다.
이상과 같이, 의류의 수용공간에 대한 공기를 순환시켜 의류를 처리하는 의류 관리기의 경우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제작성 및 사용성 면에서 보다 적절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위하여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또한, 의류 관리기는 의류가 거치되는 수용 공간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젖은 의류의 건조, 고내 공기 및 공간 벽면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가 거치되는 수용 공간의 공기, 공간 벽면의 수분 및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기 용이한 의류 관리기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의 제습을 위한 구조가 데시칸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의류 및 수용 공간의 수분 제거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를 리프레쉬(refresh)할 수 있도록 데시칸트를 사용하여 의류에 대한 제습 및 탈취가 이루어지며, 사용된 데시칸트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의류 처리에 대한 성능이 항상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의류가 수용된 수용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한 제1 공기를 배출하는 응축열교환기, 상기 제1 공기의 수분을 흡착한 제2 공기를 토출하는 데시칸트가 결합된 데시칸트 휠 및 상기 데시칸트 휠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건조 모드 시, 상기 제어 모듈은, 제1 시간 동안 상기 데시칸트 휠을 제1 회전속도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시간 경과 후 제2 시간 동안 상기 데시칸트 휠을 제2 회전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응축열교환기 및 상기 데시칸트 휠과 건조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건조 유로로 상기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제2 공기를 상기 수용 공간으로 토출하는 건조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2 시간 동안 상기 건조팬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은, 10분 내지 12분이고, 상기 제2 시간은, 3분 내지 5분일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속도는, 상기 제1 회전속도 대비 1배 내지 3배일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속도는, 0.56 rpm 내지 1.12 rpm 이고, 상기 제2 회전속도는, 1.12 rpm 내지 1.68 rpm 일 수 있다.
상기 응축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재생 공기를 흡입하는 재생팬 및 상기 응축열교환기, 상기 데시칸트 휠 및 상기 재생팬으로 이루어진 재생 유로 상에서 상기 재생 공기가 순환되게, 상기 재생팬에서 토출된 상기 재생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데시칸트 휠을 통과시켜 상기 응축열교환기로 토출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히터로 제1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히터로 제2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제1 전력 대비 1배 내지 1.5배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력은, 475W 내지 540W 이고, 상기 제2 전력은, 540W 내지 700W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의류가 수용된 수용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한 제1 공기를 배출하는 응축열교환기, 상기 제1 공기의 수분을 흡착한 제2 공기를 토출하는 데시칸트가 결합된 데시칸트 휠, 상기 수용 공간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상기 응축열교환기 및 상기 데시칸트 휠과 건조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건조 유로로 상기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제2 공기를 상기 수용 공간으로 토출하는 건조팬 및 상기 건조팬 및 상기 데시칸트 휠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습도가 기준 습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건조팬을 동작시키고, 상기 데시칸트 휠을 제3 시간 동안 제3 회전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3 회전속도는, 0.56 rpm 내지 1.12 rpm 일 수 있다.
상기 응축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재생 공기를 흡입하는 재생팬 및 상기 응축열교환기, 상기 데시칸트 휠 및 상기 재생팬으로 이루어진 재생 유로 상에서 상기 재생 공기가 순환되게, 상기 재생팬에서 배출된 상기 재생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데시칸트 휠을 통과시켜 상기 응축열교환기로 배출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3 시간 동안 상기 히터로 제3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3 전력은, 475W 내지 540W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의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건조 모드 시 의류가 거치된 수용 공간에 스팀을 공급한 후 수용 공간의 건조시키기 위해 데시칸트 휠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키고, 히터의 히터 용량이 가변되게 전력을 가변시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젖은 의류 및 수용 공간의 공간 벽면에 생긴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기계실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데시칸트휠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각 구성간의 연결관계 및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의류 관리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기계실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데시칸트휠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각 구성간의 연결관계 및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의류 관리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X 방향과 Y 방향 각각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Z 방향은 연직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X 방향이 좌우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때 Y 방향은 전후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X 방향이 전후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때 Y 방향은 좌우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0)에서 기계실(10)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0)에서 데시칸트휠(20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0)에서 각 구성간의 연결관계 및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0)로서, 의류를 리프레쉬(refresh)하며 열풍을 공급하는 리프레셔(refresher)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제습제 등을 구비할 수 있는 기타 장치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의류를 향해 공기(air), 열풍(heated air), 수분(water), 미스트(mist), 스팀(steam) 등을 제공하여 의류의 구김제거(removing wrinkles), 냄새제거(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제거(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또는 가열(warming)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clothes), 의복(apparel)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과 함께 인형, 수건, 이불과 같이 사람이 사용을 하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00), 캐비닛(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0), 캐비닛(100)의 내측 상부에 마련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행어, 수용공간(110)으로 건조공기와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는 건조유로(F10), 수용공간(110)으로 선택적으로 수분 및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제너레이터(700) 및 각 구성부와 연계되어 각 구성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0)에는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10)을 폐쇄하기 위한 도어(120)가 설치된다. 도어(120)의 외측에는 의류 관리기(100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이 마련된다. 도어(120)의 내측 공간부에는 컨트롤 패널과 연계되어 의류 관리기(1000)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이 구비된다. 도어(120)의 내측에는 별도의 의류를 거치하기 위한 행어가 구비될 수 있다.
수용공간(110)에는 건조유로(F10)에서 공급되는 공기 및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토출구(140)와, 토출구(140)에서 공급되어 의류를 처리한 공기 및 열풍을 순환시키기 위하여 흡입하는 흡입구(130)가 마련된다. 토출구(140)와 흡입구(130)는 후술할 기계실(10)에 설치된 건조유로(F10)의 주요 구성과 각각 연결된다.
한편, 캐비닛(100)의 수용공간(110) 하부에는 건조유로(F10) 및 재생유로(F20)의 주요 구성이 설치되는 기계실(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120)와 별도로 기계실(10)을 폐쇄하도록 기계실(10) 도어(12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10)이 수용공간(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유는 수용공간(110)으로 공급되는 열풍 및 스팀 등은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되므로, 기계실(10)이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를 향하여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기계실(10)은 급수통 및 배수통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0)는 캐비닛(100), 흡입구(130), 토출구(140), 건조유로(F10), 데시칸트휠(200), 응축열교환기(300), 건조팬(400) 및 가이드베인(500)을 포함한다.
캐비닛(100)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의류에 대한 처리가 캐비닛(100) 내부의 수용공간(110)에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구(130)는 캐비닛(100) 내부에 형성되어 수용공간(110)의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으로, 의류에 대한 처리 과정에서 저온의 습한 상태가 된 공기를 흡입하여 건조유로(F10) 및 재생유로(F20)의 주요 구성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토출구(140)는 캐비닛(100) 내부에 형성되어 수용공간(110)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부분으로, 의류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고온의 건조 공기를 수용공간(110)으로 공급할 수 있다.
건조유로(F10)는 흡입구(130)와 토출구(140) 사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부분으로, 흡입구(130)는 건조유로(F10)의 입구를 이루고, 토출구(140)는 건조유로(F10)의 출구를 이룰 수 있다.
즉, 건조유로(F10)는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가 흡입구(130)로 흡입된 후 송풍되는 과정에서 제습되며, 다시 캐비닛(1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경로의 공기 유로일 수 있다.
데시칸트휠(200)은 건조유로(F10) 상에 설치되어 건조유로(F10)를 통과하는 공기를 제습하는 부분으로, 공기중의 습기를 흡착시키는 성질을 갖는 데시칸트 물질을 축회전 가능한 휠 구조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유로(F10)를 통과하는 공기는 건조유로(F10) 상에 설치된 데시칸트휠(20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습되어 건조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건조유로(F10) 상에서 제습을 위해 설치되는 구성으로 히트펌프 방식의 열교환기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히트펌프 방식은 그 특성상 상대습도 20% 이하로는 건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히트펌프 방식의 냉방사이클을 구성하기 위해서 고가의 컴프레서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증가되고 고주파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0)는 히트펌프 방식이 아닌 데시칸트휠(200) 방식으로 제습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져, 저습 구간에서의 건조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적은 제작비용으로 의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사용 과정에서의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0)는, 흡입구(130)와 토출구(140) 사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건조유로(F10) 상에 데시칸트휠(200)이 설치되어 건조유로(F10)를 통과하는 공기를 제습하므로, 의류의 건조 효율이 향상되고 제작성 및 사용성 면에서 보다 적절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응축열교환기(300)는 건조유로(F10) 상에서 흡입구(130)와 데시칸트휠(200)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구(130)로 흡입된 공기와 내부공간의 공기가 열교환되는 부분으로, 흡입구(130)를 통해 건조유로(F10)로 이동되는 상대적 저온의 공기가 응축열교환기(300) 내부의 상대적 고온의 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유로(F10)를 통과하는 공기는 건조유로(F10) 상에 설치된 응축열교환기(3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승온되어 고온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건조팬(400)은 건조유로(F10) 상에서 데시칸트휠(200)과 토출구(140)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구(130)로부터 토출구(140)를 향하여 공기를 송풍시키는 부분으로, 건조팬(400)의 작동에 의하여 캐비닛(10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흡입된 공기를 건조유로(F10)에서 송풍시킬 수 있다.
특히, 데시칸트휠(200)의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하여 건조팬(400)은 건조유로(F10) 상에서 데시칸트휠(200)과 토출구(140)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건조팬(400)의 흡입측 유로는 면적은 크게 형성할 수 있으나, 건조팬(400)의 토출측 유로는 흡입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야 소정의 송풍 압력을 유지하며 원활한 송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기계실(10) 공간 내에서 데시칸트휠(200)의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건조유로(F10)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데시칸트휠(200)이 건조팬(400)의 토출측이 아닌 흡입측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건조팬(400)은 건조유로(F10) 상에서 데시칸트휠(200)과 토출구(140) 사이에 설치되어야 주어진 기계실(10) 공간 내에서 데시칸트휠(200)의 면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라, 건조유로(F10)는 ‘수용공간(110) → 흡입구(130) → 응축열교환기(300) → 데시칸트휠(200) → 건조팬(400) → 토출구(140) → 수용공간(110)’의 경로를 순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베인(500)은 건조팬(400)과 토출구(140) 사이에 설치되어 수용공간(110)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부분으로, 건조팬(400)에 의해 토출구(140)에서 수용공간(110)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수용공간(110)의 각 부분으로 고르게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건조팬(400)이 건조유로(F10) 상에서 데시칸트휠(200)과 토출구(140)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 이러한 배치에 따라 수용공간(11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 유동이 특정 부분으로 편중되어 불균일하게 될 수 있다.
특히, 건조팬(400)과 토출구(140)의 배치 상태에 따라 수용공간(110)의 좌우 방향(X축 방향) 상의 유동 불균일이 발생될 수 있다.
이처럼 수용공간(110)에서의 공기 유동 불균일이 발생되는 경우, 수용공간(110)의 좌우 벽면에서의 건조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건조에 불필요한 추가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의류 관리기(1000) 전체의 시스템적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0)는 건조팬(400)과 토출구(140) 사이에 가이드베인(500)을 설치함으로써, 건조팬(400)에 의해 특정 부분으로 편중될 수 있는 토출 유동을 가이드베인(500)이 분산시켜 수용공간(110)의 전체적인 부분으로 고르게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0)는, 건조팬(400)이 건조유로(F10) 상에서 데시칸트휠(200)과 토출구(140) 사이에 설치되고, 이러한 배치에 따라 수용공간(11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편중된 유량이 가이드베인(500)에 의해 분산되므로, 의류의 처리를 위한 데시칸트휠(200)의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면서도 순환 기류가 수용공간(110)의 전체적인 부분으로 고르게 공급되어 보다 효율적인 의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0)는 히터(610), 재생유로(F20) 및 재생팬(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610)는 데시칸트휠(200)의 일부분을 가열하도록 설치되는 부분으로, 히터(610)에 의해 가열되는 데시칸트휠(200)의 일부분에서는 습기가 흡착된 데시칸트가 수분과 분리되며 재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시칸트휠(200) 중 히터(610)에 의해 가열되는 부분은 데시칸트의 재생이 이루어지고, 가열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에서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데시칸트휠(200)은 소정의 제어를 통해 축회전되면서 재생 및 제습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순차적으로 교대 될 수 있다.
재생유로(F20)는 히터(610)에 의하여 가열된 데시칸트휠(200)의 일부분과 응축열교환기(300)의 내부공간 사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부분으로, 히터(610)에 의한 가열 시 데시칸트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재생유로(F20)는 데시칸트에 수분이 과다하게 흡착되어 제습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 데시칸트를 가열하여 재생시키는 과정에서 공기가 이동되는 유로일 수 있다.
재생팬(620)은 재생유로(F20) 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송풍시키는 부분으로, 재생팬(620)의 작동에 의하여 데시칸트휠(200)의 가열된 부분의 수분 및 공기를 응축열교환기(300)의 내부공간으로 송풍할 수 있고, 응축열교환기(300) 내부공간의 공기를 다시 히터(610)를 향하여 송풍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라, 재생유로(F20)는 ‘재생팬(620) → 히터(610) → 데시칸트휠(200) → 응축열교환기(300)의 내부공간 → 재생팬(620)’의 경로를 순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재생유로(F20)의 공기는 히터(610)에 의해 고온 상태가 되고 데시칸트휠(200)의 재생에 의해 습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처럼 고온의 습한 공기는 응축열교환기(300)의 내부공간으로 이동되어 응축열교환기(300)의 외부를 통과하는 건조유로(F10) 상의 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열교환기(300) 내부공간의 공기는 저온 상태가 되고, 응축열교환기(300)의 내부공간에서 수분이 응축되어 저온의 건조 공기가 되어 재생팬(620)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응축열교환기(300)의 내부공간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배수통 등으로 이동된 후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0)는, 건조유로(F10) 상에 데시칸트휠(200)이 배치되어 송풍되는 공기 중의 수분 및 세균을 포집할 뿐만 아니라, 재생유로(F20) 상에서 데시칸트휠(200)의 일부분을 가열하여 재생하므로, 의류 처리에 대한 성능이 항상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0)는 수용공간(110)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제너레이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팀제너레이터(700)는 기계실(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700)는, 스팀을 생성하고, 캐비닛(100)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수분 및 스팀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스팀제너레이터(700)에 의해 형성된 습한 공기(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공기'는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일 수 있다.)가 의류 관리기(1000)의 수용공간(110) 쪽으로 공급되고, 습기는 수용공간(110) 내부를 순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의류에 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0)는, 캐비닛(10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에 대한 스팀 처리를 수행하므로, 스팀의 고온에 의한 살균의 효과와 함께 의류 재질의 부풀림 등에 의한 리프레쉬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을 설명함에 앞서, 도 1 내지 도 5에서 언급한 동일 구성은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의류 관리기(1000)는 스팀 공급 모듈(1100), 데시칸트 건조 모듈(1200) 및 제어 모듈(13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의류 관리기(1000)는 스팀 모드 및 스팀 모드 이후 진행하는 건조 모드를 포함하는 기준 건조 코스로 동작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팀 모드 시, 스팀 공급 모듈(1100)은 제어 모듈(1300)의 제어에 따라 캐비닛(100)에 의류가 거치되는 수용 공간(110)에 수분, 즉 스팀(steam)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스팀 공급 모듈(1100)은 스팀을 생성 및 분사하는 스팀 제너레이터(700) 및 스팀 제너레이터(70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스팀 공급 모듈(1100)은 제어 모듈(1300)의 제어에 따라 소정시간 동안 스팀을 분사 및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수용 공간(110) 내에 거치된 의류가 젖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건조 모드 시, 데시칸트 건조 모듈(1200)은 제어 모듈(13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데시칸트 건조 모듈(1200)은 응축열교환기(300), 데시칸트 휠(200), 건조팬(400), 히터(610), 재생팬(620) 및 구동 모듈(12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건조 유로(F10)는 응축열교환기(300), 데시칸트 휠(200), 건조팬(400) 및 수용 공간(1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재생 유로(F20)는 응축열교환기(300), 히터(610) 및 재생팬(620)으로 재생 공기가 순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먼저, 건조 유로(F10)로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응축열교환기(300)는 캐비닛(100)의 흡입구(130)을 통해 흡입한 공기를 제1 공기로 열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는 스팀이 분사된 후이므로 저온 다습한 공기이며, 상기 제1 공기는 응축열교환기(300)의 내부로 흡입된 재생공기에 의해 열교환되어 고온 다습한 공기일 수 있다.
데시칸트 휠(200)은 상기 제1 공기의 수분을 흡착한 제2 공기를 토출하는 데시칸트(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데시칸트 휠(200)은 구동 모듈(1220)에 의해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건조팬(400)은 구동 모듈(1220)에 의해 동작하며, 건조 유로(F10)을 통해 응축열교환기(300)로 상기 공기가 흡입시키고 데시칸트 휠(200)을 통과하여 캐비닛(100)의 토출구(140)를 통해 수용 공간(110)으로 상기 제2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즉, 건조팬(400)은 수용 공간(110)의 공기를 열교환 및 수분제거하여 수용 공간(110)의 토출되게 동작할 수 있다.
히터(610)는 재생 유로(F20) 상에서 상기 재생 공기가 순환되게, 응축열교환기(300) 및 재생팬(620)에서 토출된 상기 재생 공기를 가열하여 데시칸트 휠(200)을 통과시켜 응축열교환기(300)로 토출할 수 있다.
이때, 히터(610)는 공급된 전력에 따라 히터 용량이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 재생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용량은 발열량에 대응될 수 있다.
재생팬(620)는 상기 재생 공기가 순환되게 응축열교환기(300)에서 열교환으로 저온 건조한 재생 공기를 흡입하여 히터(610)로 공급한 후 가열하고 데시칸트 휠(200)에서 흡착된 수분을 공급받아 응축열교환기(300)로 고온 다습한 재생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구동 모듈(1220)은 제어 모듈(1300)의 제어에 따라 응축열교환기(300), 데시칸트 휠(200), 건조팬(400), 히터(610) 및 재생팬(620)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구동 모듈(1220) 및 제어 모듈(1300)은 서로 다른 구성을 나타내고 설명하지만, 서로 동일 구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어 모듈(1300)은 기준 건조 코스로 동작하는 경우 스팀 모드 및 건조 모드를 순선대로 진행할 있다.
먼저, 제어 모듈(1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팀 모드 시 상기 소정시간 동안 스팀이 분사 및 유지되게 스팀 공급 모듈(1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시간은 설정된 스팀의 분사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소정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에, 제어 모듈(1300)은 스팀 모드에서 건조 모드로 전환하고, 스팀 공급 모듈(1100)의 동작을 정지시켜 스팀이 분사되지 않도록 제어할 있다.
또한, 제어 모듈(1300)은 스팀 공급 모듈(1100)이 동작을 정지하는 시점에 건조 모드로 동작하여, 응축열교환기(300), 데시칸트 휠(200), 건조팬(400), 히터(610) 및 재생팬(620)이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0)은 건조팬(400) 및 재생팬(620)을 동작시켜 수용 공간(110)에서 상기 공기를 흡입하여 수분 건조된 상기 제2 공기가 수용 공간(110)으로 토출하고, 상기 재생 공기가 순환되게 할 수 있다.
먼저, 건조 유로(F10)로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를 설명한다.
제어 모듈(1300)은 상기 공기를 응축열교환기(300)에서 열교환한 상기 제1 공기를 제1 시간 동안 데시칸트 휠(200)을 제1 회전속도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시간 경과 후 제2 시간 동안 데시칸트 휠(200)을 제2 회전속도로 제어하여, 상기 제1 공기의 수분을 흡착한 상기 제2 공기가 토출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시간은 10분 내지 12분이고, 상기 제2 시간은, 3분 내지 5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속도는 상기 제1 회전속도 대비 1배 내지 3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회전속도는 0.56 rpm 내지 1.12 rpm 이고, 상기 제2 회전속도는, 1.12 rpm 내지 1.68 rpm 일 수 있다.
상술한 상기 제1, 2 시간은 스팀 분사 모듈(1100)에서 분사된 스팀의 분사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스팀의 분사량에 따라 수용 공간(110)에 존재하는 수분을 건조할 수 있는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회전속도는 수용 공간(110)에 거치된 젖은 의류 및 수용 공간(110)의 공간 벽면에 흡착된 수분의 빠른 건조를 위해 가변되는 회전속도일 수 있다.
즉, 제어 모듈(1300)은 데시칸트 휠(200)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응축열교환기(300)에서 상기 공기를 열교환한 상기 제1 공기의 수분에 대한 흡착을 증가시켜 수용 공간(110)으로 상기 제2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용 공간(110)의 수분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
재생 유로(F20)로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를 설명한다.
제어 모듈(1300)은 재생팬(620)이 동작되게 제어하여 응축열교환기(300)에서 상기 공기를 상기 제1 공기로 열교환시키는 상기 재생 공기를 히터(61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1300)은 상기 제1 시간 동안 히터(610)로 제1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히터(610)로 제2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제1 전력 대비 1배 내지 1.5배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력은, 475W 내지 540W 이고, 상기 제2 전력은, 540W 내지 700W 일 수 있다.
즉, 히터(610)는 제어 모듈(1300)의 제어에 따라 공급되는 상기 제1, 2 전력에 따라 히터 용량, 즉 발열량을 가변시켜, 응축열교환기(300)에서 토출된 상기 재생 공기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모듈(1300)는 히터(610)에서 가열된 상기 재생 공기를 응축열교환기(310)에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건조 유로(F10)으로 흡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제1 공기로 열교환하는 시간을 감소킬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0)는 의류가 거치된 수용 공간(110)의 의류 및 공간 벽면에 흡수 및 안착한 수분를 제거하기 위해, 데시칸트 건조 모듈(1200)을 적용하여 수용 공간(110)에서 흡입한 저온 다습한 공기를 고온 건조한 공기로 열교환 및 수분 제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용 공간(110)을 신속히 건조시킬 수 있으며, 건조 모드 시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의류 관리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의류 관리기(1000)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기준 건조 코스에 포함된 스팀 모드를 동작하여 스팀 공급 모듈(1100)을 제어하여 의류가 거치되는 수용 공간(110)으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S110).
즉, 의류 관리기(1000)에 포함된 제어 모듈(1300)은 입력된 명령에 따라 스팀 공급 모듈(1100)을 소정시간 동안 스팀을 분사 및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000)는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스팀의 공급 여부를 판단하고(S120), 소정시간 동안 공급되면 건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130).
즉, 제어 모듈(1300)은 소정시간 동안 스팀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하면, 스팀 모드에서 건조 모드로 전환하고, 스팀 공급 모듈(1100)의 동작을 정지시켜 스팀이 분사되지 않도록 제어할 있다. 이때, 상기 스팀 모드를 상기 건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000)는 건조 모드 동작 시 데시칸트 건조 모듈(1200)을 동작시켜 수용 공간(110)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 및 수분이 제거된 제2 공기를 수용 공간(110)으로 토출할 수 있다(S140).
즉, 제어 모듈(1300)은 스팀 공급 모듈(1100)이 동작을 정지하는 시점에 건조 모드로 동작하여, 응축열교환기(300), 데시칸트 휠(200), 건조팬(400), 히터(610) 및 재생팬(620)이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0)은 건조팬(400) 및 재생팬(620)을 동작시켜 수용 공간(110)에서 상기 공기를 흡입하여 수분 건조된 상기 제2 공기가 수용 공간(110)으로 토출하고, 상기 재생 공기가 순환되게 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0)은 상기 공기를 응축열교환기(300)에서 열교환한 상기 제1 공기를 제1 시간 동안 데시칸트 휠(200)을 제1 회전속도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시간 경과 후 제2 시간 동안 데시칸트 휠(200)을 제2 회전속도로 제어하여, 상기 제1 공기의 수분을 흡착한 상기 제2 공기가 토출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300)은 재생팬(620)이 동작되게 제어하여 응축열교환기(300)에서 상기 공기를 상기 제1 공기로 열교환시키는 상기 재생 공기를 히터(61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1300)은 상기 제1 시간 동안 히터(610)로 제1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히터(610)로 제2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히터(610)는 제어 모듈(1300)의 제어에 따라 공급되는 상기 제1, 2 전력에 따라 히터 용량, 즉 발열량을 가변시켜, 응축열교환기(300)에서 토출된 상기 재생 공기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모듈(1300)는 히터(610)에서 가열된 상기 재생 공기를 응축열교환기(310)에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건조 유로(F10)으로 흡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제1 공기로 열교환하는 시간을 감소킬 수 있다.
의류 관리기(1000)는 설정된 건조 시간을 만족하면, 기준 코스를 종료할 수 있다(S150).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의류 관리기(1000)는 스팀 공급 모듈(2100), 데시칸트 건조 모듈(2200), 센서 모듈(2300) 및 제어 모듈(2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스팀 공급 모듈(2100) 및 데시칸트 건조 모듈(2200)은 도 6에 나타낸 스팀 공급 모듈(1100) 및 데시칸트 건조 모듈(1200)과 동일한 구성으로 설명한다.
먼저, 의류 관리기(2000)는 스팀 모드 및 스팀 모드 이후 진행하는 건조 모드를 포함하는 기준 건조 코스로 동작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팀 모드 시, 스팀 공급 모듈(2100)은 제어 모듈(2400)의 제어에 따라 캐비닛(100)에 의류가 거치되는 수용 공간(110)에 수분, 즉 스팀(steam)을 공급할 수 있다.
건조 모드 시, 데시칸트 건조 모듈(2200)은 제어 모듈(24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데시칸트 건조 모듈(2200)은 응축열교환기(300), 데시칸트 휠(200), 건조팬(400), 히터(610), 재생팬(620) 및 구동 모듈(1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6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며 동일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건조 유로(F10)는 응축열교환기(300), 데시칸트 휠(200), 건조팬(400) 및 수용 공간(1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재생 유로(F20)는 응축열교환기(300), 히터(610) 및 재생팬(620)으로 재생 공기가 순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먼저, 건조 유로(F10)로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응축열교환기(300)는 캐비닛(100)의 흡입구(130)을 통해 흡입한 공기를 제1 공기로 열교환할 수 있다.
데시칸트 휠(200)은 상기 제1 공기의 수분을 흡착한 제2 공기를 토출하는 데시칸트(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데시칸트 휠(200)은 구동 모듈(1220)에 의해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건조팬(400)은 구동 모듈(1220)에 의해 동작하며, 건조 유로(F10)을 통해 응축열교환기(300)로 상기 공기가 흡입시키고 데시칸트 휠(200)을 통과하여 캐비닛(100)의 토출구(140)를 통해 수용 공간(110)으로 상기 제2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히터(610)는 재생 유로(F20) 상에서 상기 재생 공기가 순환되게, 응축열교환기(300) 및 재생팬(620)에서 토출된 상기 재생 공기를 가열하여 데시칸트 휠(200)을 통과시켜 응축열교환기(300)로 토출할 수 있다.
재생팬(620)는 상기 재생 공기가 순환되게 응축열교환기(300)에서 열교환으로 저온 건조한 재생 공기를 흡입하여 히터(610)로 공급한 후 가열하고 데시칸트 휠(200)에서 흡착된 수분을 공급받아 응축열교환기(300)로 고온 다습한 재생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구동 모듈(1220)은 제어 모듈(2400)의 제어에 따라 응축열교환기(300), 데시칸트 휠(200), 건조팬(400), 히터(610) 및 재생팬(620)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구동 모듈(1220) 및 제어 모듈(2400)은 서로 다른 구성을 나타내고 설명하지만, 서로 동일 구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센서 모듈(2300)은 제1, 2 온도 센서(2320, 2340) 및 습도 센서(2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온도 센서(2320)는 캐비닛(110)의 흡입구(130)에서 응축열교환기(300)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온도 센서(2340)는 캐비닛(110)의 토출구(140)로 토출되는 제2 공기의 토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 센서(2360)는 수용 공간(110)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 모듈(2400)은 기준 건조 코스로 동작하는 경우 스팀 모드 및 건조 모드를 순선대로 진행할 있다.
먼저, 제어 모듈(2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팀 모드 시 상기 소정시간 동안 스팀이 분사 및 유지되게 스팀 공급 모듈(1100)을 제어할 수 있다.
소정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에, 제어 모듈(2400)은 스팀 모드에서 건조 모드로 전환하고, 스팀 공급 모듈(2100)의 동작을 정지시켜 스팀이 분사되지 않도록 제어할 있다.
또한, 제어 모듈(2400)은 스팀 공급 모듈(2100)이 동작을 정지하는 시점에 건조 모드로 동작하여, 응축열교환기(300), 데시칸트 휠(200), 건조팬(400), 히터(610) 및 재생팬(620)이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2400)은 건조팬(400) 및 재생팬(620)을 동작시켜 수용 공간(110)에서 상기 공기를 흡입하여 수분 건조된 상기 제2 공기가 수용 공간(110)으로 토출하고, 상기 재생 공기가 순환되게 할 수 있다.
먼저, 건조 유로(F10)로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를 설명한다.
제어 모듈(2400)은 상기 공기를 응축열교환기(300)에서 열교환한 상기 제1 공기를 제1 시간 동안 데시칸트 휠(200)을 제1 회전속도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시간 경과 후 제2 시간 동안 데시칸트 휠(200)을 제2 회전속도로 제어하여, 상기 제1 공기의 수분을 흡착한 상기 제2 공기가 토출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2400)은 제1, 2 온도 센서(2320, 2340)에서 측정한 흡입 온도 및 토출 온도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제2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2400)은 데시칸트 휠(200)을 제1 회전속도로 제어한 후, 상기 흡입 온도와 상기 토출 온도 사이의 차이 온도와 데시칸트 휠(200)의 동작 시간을 나눈 값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기울기가 0에 수렴되는 시점까지를 상기 제1 시간으로 결정하고, 기울기가 0에 수렴되는 시점에서 데시칸트 휠(200)을 제2 회전속도로 상기 제2 시간 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400)은 데시칸트 휠(200)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응축열교환기(300)에서 상기 공기를 열교환한 상기 제1 공기의 수분에 대한 흡착을 증가시켜 수용 공간(110)으로 상기 제2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용 공간(110)의 수분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
재생 유로(F20)로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를 설명한다.
제어 모듈(2400)은 재생팬(620)이 동작되게 제어하여 응축열교환기(300)에서 상기 공기를 상기 제1 공기로 열교환시키는 상기 재생 공기를 히터(61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2400)은 상기 제1 시간 동안 히터(610)로 제1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히터(610)로 제2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히터(610)는 제어 모듈(2400)의 제어에 따라 공급되는 상기 제1, 2 전력에 따라 히터 용량, 즉 발열량을 가변시켜, 응축열교환기(300)에서 토출된 상기 재생 공기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모듈(2400)는 히터(610)에서 가열된 상기 재생 공기를 응축열교환기(310)에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건조 유로(F10)으로 흡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제1 공기로 열교환하는 시간을 감소킬 수 있다.
제어 모듈(2400)은 상기 기준 건조 코스의 동작이 완료되면 대기 코스로 전환하여 수용 공간(110)을 현재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2400)는 습도 센서(2360)에서 측정된 습도가 설정된 기준 습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대기 코스를 상시 건조 코스로 전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어 모듈(2400)은 상시 건조 코스로 전환하면, 상기 기준 건조 코스의 건조 모드와 동일하게, 응축열교환기(300), 데시칸트 휠(200), 건조팬(400), 히터(610) 및 재생팬(620)이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2400)은 건조팬(400) 및 재생팬(620)을 동작시켜 수용 공간(110)에서 상기 공기를 흡입하여 수분 건조된 상기 제2 공기가 수용 공간(110)으로 토출하고, 상기 재생 공기가 순환되게 할 수 있다.
먼저, 건조 유로(F10)로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를 설명한다.
제어 모듈(2400)은 상기 공기를 응축열교환기(300)에서 열교환한 상기 제1 공기를 제3 시간 동안 데시칸트 휠(200)을 제3 회전속도로 제어하여, 상기 제1 공기의 수분을 흡착한 상기 제2 공기가 토출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3 회전속도는 0.56 rpm 내지 1.12 rpm일 수 있다.
제어 모듈(2400)은 데시칸트 휠(200)의 제3 회전속도를 동작시킴으로써, 응축열교환기(300)에서 상기 공기를 열교환한 상기 제1 공기의 수분에 대한 흡착을 증가시켜 수용 공간(110)으로 상기 제2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용 공간(110)의 수분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
재생 유로(F20)로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를 설명한다.
제어 모듈(2400)은 재생팬(620)이 동작되게 제어하여 응축열교환기(300)에서 상기 공기를 상기 제1 공기로 열교환시키는 상기 재생 공기를 히터(61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2400)은 상기 제3 시간 동안 히터(610)로 제3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3 전력은, 475W 내지 540W일 수 있다.
즉, 히터(610)는 제어 모듈(2400)의 제어에 따라 공급되는 상기 제3 전력에 따라 히터 용량, 즉 발열량을 가변시켜, 응축열교환기(300)에서 토출된 상기 재생 공기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회전속도 및 상기 제3 전력은 상기 기준 습도에 따라 설정된 회전속도 및 전력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2)
- 의류가 수용된 수용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한 제1 공기를 배출하는 응축열교환기;
상기 제1 공기의 수분을 흡착한 제2 공기를 토출하는 데시칸트가 결합된 데시칸트 휠; 및
상기 데시칸트 휠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건조 모드 시,
상기 제어 모듈은,
제1 시간 동안 상기 데시칸트 휠을 제1 회전속도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시간 경과 후 제2 시간 동안 상기 데시칸트 휠을 제2 회전속도로 제어하는,
의류 관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열교환기 및 상기 데시칸트 휠과 건조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건조 유로로 상기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제2 공기를 상기 수용 공간으로 토출하는 건조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2 시간 동안 상기 건조팬을 회전시키는,
의류 관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은,
10분 내지 12분이고,
상기 제2 시간은,
3분 내지 5분인,
의류 관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속도는,
상기 제1 회전속도 대비 1배 내지 3배인,
의류 처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속도는,
0.56 rpm 내지 1.12 rpm 이고,
상기 제2 회전속도는,
1.12 rpm 내지 1.68 rpm 인,
의류 관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재생 공기를 흡입하는 재생팬;
상기 응축열교환기, 상기 데시칸트 휠 및 상기 재생팬으로 이루어진 재생 유로 상에서 상기 재생 공기가 순환되게, 상기 재생팬에서 토출된 상기 재생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데시칸트 휠을 통과시켜 상기 응축열교환기로 토출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히터로 제1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히터로 제2 전력을 공급하는,
의류 관리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제1 전력 대비 1배 내지 1.5배인,
의류 관리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은,
475W 내지 540W 이고,
상기 제2 전력은,
540W 내지 700W 인,
의류 관리기. - 의류가 수용된 수용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한 제1 공기를 배출하는 응축열교환기;
상기 제1 공기의 수분을 흡착한 제2 공기를 토출하는 데시칸트가 결합된 데시칸트 휠;
상기 수용 공간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상기 응축열교환기 및 상기 데시칸트 휠과 건조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건조 유로로 상기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제2 공기를 상기 수용 공간으로 토출하는 건조팬: 및
상기 건조팬 및 상기 데시칸트 휠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습도가 기준 습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건조팬을 동작시키고, 상기 데시칸트 휠을 제3 시간 동안 제3 회전속도로 제어하는,
의류 관리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회전속도는,
0.56 rpm 내지 1.12 rpm인,
의류 관리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재생 공기를 흡입하는 재생팬; 및
상기 응축열교환기, 상기 데시칸트 휠 및 상기 재생팬으로 이루어진 재생 유로 상에서 상기 재생 공기가 순환되게, 상기 재생팬에서 배출된 상기 재생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데시칸트 휠을 통과시켜 상기 응축열교환기로 배출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3 시간 동안 상기 히터로 제3 전력을 공급하는,
의류 관리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력은,
475W 내지 540W인,
의류 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3779 | 2023-02-22 | ||
KR20230023779 | 2023-02-2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30653A true KR20240130653A (ko) | 2024-08-29 |
Family
ID=9258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25899A Pending KR20240130653A (ko) | 2023-02-22 | 2024-02-22 | 의류 관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30653A (ko) |
-
2024
- 2024-02-22 KR KR1020240025899A patent/KR20240130653A/ko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5616B1 (ko) |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2254903B1 (ko) | 의류처리장치 | |
EP2107157B1 (en) |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US20060090524A1 (en) | Multi-functional laundr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
US20100005681A1 (en) |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 |
EP2057314B1 (en) |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 |
KR20090013948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633222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090102401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30155400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0826205B1 (ko) | 건조기 | |
KR100826204B1 (ko) | 건조기 | |
KR100830513B1 (ko) |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240130653A (ko) | 의류 관리기 | |
US20220380971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10238671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40130654A (ko) | 의류 관리기 | |
KR20110079389A (ko) | 가구형상을 갖는 세탁물 처리기 | |
KR10139703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40149344A (ko) | 의류 관리기 | |
KR102687235B1 (ko) | 의류처리장치 | |
US20220380964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US20220380963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20230065663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30065662A (ko) | 의류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