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65616B1 -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616B1
KR101265616B1 KR1020060069135A KR20060069135A KR101265616B1 KR 101265616 B1 KR101265616 B1 KR 101265616B1 KR 1020060069135 A KR1020060069135 A KR 1020060069135A KR 20060069135 A KR20060069135 A KR 20060069135A KR 101265616 B1 KR101265616 B1 KR 101265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dryer
air
low temperature
heat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9481A (ko
Inventor
문정욱
김영종
손영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9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616B1/ko
Priority to PCT/KR2007/003535 priority patent/WO2008013382A2/en
Priority to US12/309,483 priority patent/US20100058608A1/en
Priority to EP07768849A priority patent/EP2054543A4/en
Publication of KR20080009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8Target temperature for the drying process, e.g. low-temperature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캐비넷과,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비넷에 공급되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공기(상대적 저온공기)를 만드는 저온공기발생수단과, 상기 저온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상대적 저온공기를 상기 캐비넷에 공급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기, 히트펌프

Description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다림질유닛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다림질유닛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캐비넷 20 : 기계실
40 : 히트펌프 42 : 압축기
44 : 응축기 46 : 팽창기구
48 : 증발기 50 : 팬
60 : 스팀발생기 70 : 펌프
80 : 물공급원 90 : 다림질유닛
본 발명은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의류 등과 피건조물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피건조물을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건조조(통상 드럼이라 함),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를 만드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블로워 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 즉 가열수단에 따라 전기식 건조기 및 가스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전기식 건조기는 공기를 전기 히터에서 발생하는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며, 가스식 건조기는 공기를 가스버너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한다.
건조기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순환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건조기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피건조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상술한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가스버너 또는 전기히터에서 공기를 통상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드럼에 공급한다. 드럼이 회전하면서 드럼에 수용된 의류와 같은 피건조물과 고온 공기가 열교환되어 상기 피건조물이 건조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가스버너 또는 전기히터에서 공기를 통상 100℃ 이상으로 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의류 등과 같은 피건조물과 열교환되게 된다. 따라서, 100℃ 이상의 고온의 공기에 의한 의류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둘째,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건조 과정에서 건조조 즉 드럼이 회전(텀블링)하게 된다. 따라서, 드럼과 의류의 마찰, 의류와 의류의 마찰에 의하여 의류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어서, 니트, 와이셔츠, 기능성 고급 옷 등과 같은 예민한 의류들은 이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마찰에 의하여 린트(lint)류가 많이 발생하게 되어, 린트를 거르기 위한 린트필터 등이 사용되어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셋째, 가스식 건조기는 별도의 배관의 시공이 필요하고, 전기식 건조기는 전기히터의 작동에 따른 과다한 에너지가 사용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성능이 향상된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캐비넷과;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비넷에 공급되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공기(상대적 저온공기)를 만드는 저온공기발생수단과; 상기 저온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상대적 저온공기를 상기 캐비넷에 공급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캐비넷은 상기 피건조물을 고정 상태로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온공기발생수단은 히트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대적 저온공기는 상기 캐비넷과 상기 히트펌프를 순환하며, 상기 캐비넷에서 상기 피건조물과 열교환된 공기(열교환공기)는 상기 히트펌프의 증발기를 경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캐비넷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분사수단이 더욱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분사수단은 물공급원과, 상기 물공급원에서 공급된 물을 스팀으로 만드는 스팀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원에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공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캐비넷의 내부 및 외부 중 최소한 한 곳에는 다림질유닛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은 모듈형으로 구성되어, 다수의 모듈 을 선택적으로 조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공기(상대적 저온공기)를 만드는 저온공기 발생단계와; 상기 저온공기를 이용하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건조단계에서 상기 피건조물을 고정된 상태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건조 완료된 피건조물에 구김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건조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상기 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며 의류와 같은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캐비넷(2)과, 상기 캐비넷(2)에 상대적으로 저온의 공기(이하 편의상 "상대적 저온공기"라 함)를 만드는 저온공기발생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가스버너 또는 전기히터에서 공기를 통상 100℃ 이상으로 가열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건조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저온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50 - 75℃로 가열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상대적 저온공기란 온도가 낮은 공기라는 의미는 아니며, 온도는 비교적 고온이지만 종래의 건조기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공기에 비하여는 상대적으로 저온이라는 의미이다.
또한,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건조조(드럼)이 회전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캐비넷(2)에 의류가 고정된 상태로 수용된다. 캐비넷(2)의 내부에는 의류(9)를 거는 옷걸이(7)가 지지되는 지지부재(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의류(9)의 건조시에 캐비넷/의류, 의류/의류 사이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저온공기발생수단은 가스버너나 전기히터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히트펌프(4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가스버너를 사용하는 가스식 및 전기히터를 사용하는 전기식의 경우에는 복잡한 온도제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가스식에서는 가스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받고 외부로 연소한 공기를 배출하여야 한다. 따라서, 가스식에서 순환식으로 구성하면, 산소 부족에 의하여 정상적인 연소를 지속적으로 할 수 없으므로 외부 배기식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그런데, 외부 배기식으로 구성하면 배기용 덕트 등이 필요하여 복잡하기 때문이다.
전기식의 경우에는 순환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별도의 제습기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로서 공냉식 열교환기가 사용되므로 건조기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팬 및 덕트가 필요하여 복잡하다. 또한, 에너지 측면에서도, 전기히터는 역율이 1이므로 요구되는 열량에 해당하는 전력을 사용하지만, 히트펌프는 성능계수(COP)가 약 3정도로 요구되는 열량의 1/3에 해당하는 전력만을 사용하므로 전기히터보다 효율적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상대적 저온공기를 만들기 위하여 히트펌프(40)를 이용하는 건조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2)의 소정 위치에는 히트펌프(40)가 설치된다. 압축기(42), 응축기(44), 팽창기구(46) 및 증발기(4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히프펌프의 원리 및 구조는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히트펌프(40)의 설치 위치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캐비넷(2)의 하부 후면에 기계실(20)을 구비하고 상기 기계실(20)에 히트펌프(4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계실(20)을 제1실(22), 제2실(24) 및 제3실(26)로 구획하여, 압축기(42) 및 팽창기구(46)는 제1실(22)에 설치하고 응축기(44) 및 증발기(48)는 제2실(24)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술하는 수분분사수단의 구성요소인 스팀발생기(60)는 제1실(22)에 설치하고, 물공급원(80) 및 펌프(70)는 제3실(26)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실(24)의 전단부에는 캐비넷(2)과 연통하는 흡기구(34)가 구비되고, 상기 제2실(24)의 후단부는 상기 히트펌프(40)의 응축기(44)에서 열교환되어 만들어 지는 상대적 저온공기를 상기 캐비넷(2)에 공급하기 위하여 유로(30)에 연통된다. 물론, 상기 유로(30)의 소정 위치에는 팬(50) 또는 블로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로(30)의 후단부 소정 위치에는 캐비넷(2)의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의 배기구(3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30)는 캐비넷(2)의 후면부 및 측면부 벽면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캐비넷(2)의 내부에서 의류와 열교환되어 저온다습한 상태로 된 공기(이하 편의상 "열교환공기")는 흡기구(34)를 통하여 제2실(24)에 유입되어 응축기(44)에서 열교환되어 다시 50℃ 이상의 고온저습한 상태의 상대적 저온공기가 되 고, 상기 상대적 저온공기가 유로(30)를 경유하여 다시 캐비넷(2)에 공급된다. 즉, 열교환공기를 바로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지만, 캐비넷(2)과 히트펌프(40)를 순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흡기구(34)로 유입되는 공기는 캐비넷(2)에서 의류와 열교환하여 의류의 수분을 흡수한 다습한 상태이므로 응축기(44)에 그대로 보내어 다시 가열하기보다는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별도의 제습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히트펌프(40)의 증발기(48)를 이용하여 제습하는 것이 편리하다. 즉, 흡기구(34)의 근처에 히트펌프(40)의 증발기(48)를 배치하여 열교환공기가 상기 증발기(48)를 경유하면서 상기 열교환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상기 증발기(48) 표면에 응축되어 제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발기(48)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별도의 응축수통을 이용하여 수거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수분분사수단의 물공급원(80)을 응축수통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세 내용은 후술함)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 캐비넷(2)에 수분을 가능한 미립자 형태로 공급하는 수분분사수단이 더욱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분분사수단은 물을 미립화하여 캐비넷(2)에 수용된 의류(9)에 공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분분사수단은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만드는 스팀발생장치가 될 수 있고, 물을 초음파 진동자나 가압 스프레이 등을 이용하여 미립자로 만드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 총칭하여 수분분사수단이라 한다. 이하에서는, 수분분사수단으로서 편의상 스팀발생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수분분사수단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건조기에는 물세탁 완료되어 탈수된 세탁물이 투입되어 건조되게 된다. 그런데, 물세탁의 원리상 물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는 구김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구김은 건조기에서 전통적인 방식의 건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의류의 건조 시에 의류에 수분을 공급하면 효과적으로 구김을 제거할 수 있었다. 또한, 세탁 완료 후의 세탁물 이외에도 의류 등을 통상적으로 보관, 사용하는 경우에도 주름, 구김, 접힘 등(이하 총칭하여 "구김"이라 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의류 등의 통상적 사용, 보관에 따른 구김도 의류에 건조기에서 의류에 수분을 공급하면서 건조하면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건조 시에 의류에 수분을 공급하면, 주름제거 뿐만 아니라 정전기 방지, 탈취 등과 같은 효과가 있었다.
한편, 수분분사수단은 물공급원(80)과, 상기 물공급원(80)에서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으로 만드는 스팀발생기(60)를 포함한다. 물공급원(80)과 스팀발생기(60)의 사이에는 펌프(7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공급원(80)은 외부의 수도꼭지 등도 될 수 있으나, 물을 수용하며 착탈 가능한 물탱크와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물공급원(80) 및 펌프(70)는 기계실(20)의 제3실(26)에 구비되며, 스팀발생기(60)는 제1실(22)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발생기(60)에는 스팀유로(62)가 연결되며, 상기 스팀유로(62)에는 캐비넷(2)과 연통하는 다수의 분사구(61)가 구비된다. 그리고, 물공급원(80)은 히트펌프(40)의 증발기(48)에 인접하여 설치하여, 상기 증발기(48)의 표면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상기 물공급원(80)에서 받아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증발기(48)에서 응축하는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통과 물공급원(80)을 하나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해 진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넷(2)의 내부 및 외부 중 최소한 한 곳에는 다림질유닛(9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림질유닛(90)은 캐비넷(2)의 내부(도 3 참조) 또는 캐비넷(2)의 도어(3)의 전면(도 4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 단순한 플레이트(92)로 구성되어 별도의 다리미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플레이트(92)에 롤러 또는 프레스를 설치하여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캐비넷(2)을 모듈형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다수의 모듈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2)에 피건조물 예를 들어 탈수 완료된 세탁물 또는 잠시 입었던 의류(9)를 투입하고 건조기를 작동시킨다. 이때, 의류(9)는 옷걸이(7) 등을 이용하여 고정된 상태로 캐비넷(2)의 내부에 수용된다. 건조기가 동작하게 되면 스팀발생기(60)가 동작하게 된다. 즉, 스팀발생기(60)의 히터(미도시)가 동작되어 물이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되며, 생성된 스팀은 스팀유로(62) 및 분사구(61)를 통하여 캐비넷(2)의 내부로 분사된다. 통상 히터가 동작되면 바로 스팀이 발생하지는 않으며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스팀이 발생하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스팀의 발생량이 증가한다. 피건조물에 습기가 충분히 흡수되었으면 스팀발생기(60)의 동작이 정지된다. 이 단계에서는 히트펌프(40)는 동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히트펌프(40) 및 팬(50)이 동작한다. 즉, 공기는 응축기(44)에서 열교환되어 가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응측기에서 가열된 공기는 종래 건조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온인 상대적 저온공기이다. 상대적 저온공기는 유로(30) 및 배기구(32)를 통하여 캐비넷(2)으로 공급되고, 상기 캐비넷(2)의 내부의 의류(9)와 열교환하여 의류(9)는 건조되며 상대적 저온공기는 고습저온의 상태의 공기(열교환공기)가 된다. 열교환공기는 흡기구(34)를 통하여 유입되고, 증발기(48)를 통과하면서 응축되어 저습의 상태가 되고 응축기(44)에서 다시 고온의 상태로 되어 캐비넷(2)에 공급된다. 이때, 증발기(48)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물공급원(80)으로 회수되어, 펌프에 의하여 스팀발생기(60)에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는 의류(9)가 고정된 상태로 건조되므로, 마찰 등에 의한 의류의 손상이 방지되며 린트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상대적 저온공기에 의하여 의류(9)가 건조되므로 고온에 의한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건조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온의 가열 공기를 이용하여 의류 등을 건조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건조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온에 의한 의류의 손상이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가 캐비넷에서 고정된 상태로 건조되므로, 드럼과 의류의 마찰, 의류와 의류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의류의 손상을 방 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니트, 와이셔츠, 기능성 고급 옷 등과 같은 예민한 의류들도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 린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식 건조기에서 사용되는 배관이 불필요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전기식 건조기에서 사용되는 전기히터에 비하여 에너지가 절약된다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완료된 피건조물에 구김 또는 주름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건조물의 살균 및 냄세 제거를 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된 상태의 의류에 있는 구김 또는 주름도 별도의 다림질없이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캐비넷과;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비넷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와;
    상기 히트펌프에서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상기 캐비넷에 공급하는 유로와;
    물공급원과, 상기 물공급원에서 공급된 물을 스팀으로 만들어 상기 캐비넷에 공급하는 스팀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히트펌프의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상기 물공급원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은 상기 피건조물을 고정 상태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내부 및 외부 중 최소한 한 곳에는 다림질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은 모듈형으로 구성되어, 다수의 모듈을 선택적으로 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0. 삭제
  11. 삭제
  12.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캐비넷과;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비넷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와;
    상기 히트펌프에서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상기 캐비넷에 공급하는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넷은 모듈형으로 구성되어, 다수의 모듈을 선택적으로 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060069135A 2006-07-24 2006-07-24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65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135A KR101265616B1 (ko) 2006-07-24 2006-07-24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PCT/KR2007/003535 WO2008013382A2 (en) 2006-07-24 2007-07-23 Laundry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2/309,483 US20100058608A1 (en) 2006-07-24 2007-07-23 Laundry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07768849A EP2054543A4 (en) 2006-07-24 2007-07-23 DRYE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135A KR101265616B1 (ko) 2006-07-24 2006-07-24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481A KR20080009481A (ko) 2008-01-29
KR101265616B1 true KR101265616B1 (ko) 2013-05-22

Family

ID=3898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135A KR101265616B1 (ko) 2006-07-24 2006-07-24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058608A1 (ko)
EP (1) EP2054543A4 (ko)
KR (1) KR101265616B1 (ko)
WO (1) WO200801338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60867A1 (de) * 2003-12-23 2005-07-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Wäsche
KR100662369B1 (ko) * 2004-11-30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풍공급용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DE102007007354B4 (de) * 2006-02-20 2013-10-10 Lg Electronics Inc.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102006026251A1 (de) * 2006-06-06 2007-12-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ocknen von Waschgut
KR100830514B1 (ko) * 2006-06-12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US7997006B2 (en) * 2007-01-12 2011-08-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51034B1 (ko) 2007-08-03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176310B1 (en) * 2007-08-03 2020-10-14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8578626B2 (en) 2007-09-20 2013-11-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ete Gmbh Laundry dryer having a distributor for condensat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DE102007052839A1 (de) * 2007-11-06 2009-05-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ockner mit Wärmepumpenkreis
KR101476185B1 (ko) * 2008-03-21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467770B1 (ko) * 2008-04-01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467772B1 (ko) * 2008-04-01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ITBO20080716A1 (it) * 2008-11-28 2010-05-29 Rivacold S R L Dispositivo per la condensazione di vapore e per il recupero energetico
ES2385315T3 (es) * 2009-02-02 2012-07-23 Lg Electronics Inc. Aparato de tratamiento de ropa y método de control del mismo
FR2954781B1 (fr) * 2009-12-30 2011-12-16 Fagorbrandt Sas Procede de commande en fonctionnement d'une machine a secher le linge a pompe a chaleur et machine a secher le linge a pompe a chaleur associee
KR101672280B1 (ko) * 2010-03-03 201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790638B2 (en) 2010-03-03 2017-10-1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1245855B2 (en) 2010-04-28 2014-04-17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dryer
KR101119120B1 (ko) * 2010-04-28 2012-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DE102010034869A1 (de) 2010-08-19 2012-02-23 Haimer Gmbh Turbo-Trocknung durch Luftmesser
US10859315B2 (en) * 2011-12-29 2020-12-08 Lax Engineered Solutions Llc System with a ceiling fan and return plenum for heating, drying or curing an object
DK2759633T3 (en) * 2013-01-29 2016-02-01 V Zug Ag Household appliance with catalytic cleaning
EP2759632A1 (de) * 2013-01-29 2014-07-30 V-Zug AG Wäschebehandlungsschrank
KR102043197B1 (ko) 2013-02-28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2017532102A (ja) * 2014-09-12 2017-11-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衣類を乾燥させ且つ衛生的にする衣類ケア装置
US9322124B1 (en) * 2015-07-01 2016-04-26 Khaled J. H. Al-Hasan Portable drier for personal articles
US11332877B1 (en) * 2019-01-03 2022-05-17 Haskell M. Dighton Cold-air dryer
KR102254903B1 (ko) * 2019-10-28 202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408113B2 (en) 2020-04-03 2022-08-0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fluid additive dispenser with multiple time-delayed dispensing cups
KR102386713B1 (ko) * 2020-08-06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2344690A (zh) * 2020-11-09 2021-02-09 湖州韵峰丝绸有限公司 一种丝绸加工干燥设备
CN115726176A (zh) * 2021-08-31 2023-03-03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护理设备
WO2024065936A1 (zh) * 2022-09-29 2024-04-0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护理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898Y1 (ko) * 2000-06-16 2000-11-01 김점화 스팀 다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5484A (en) * 1988-01-13 1994-04-26 J.S.F. Holdings (Cork) Limited Clothes steaming and drying cabinet
KR960005976B1 (ko) 1991-07-31 1996-05-06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자동차의 파우어트레인의 구조
US6189346B1 (en) * 1997-07-25 2001-02-20 Whirlpool Corporation Clothes treating apparatus
JP2975352B1 (ja) * 1998-08-31 1999-11-10 株式会社太陽工業 洗濯物の乾燥仕上げ方法とその装置
US6572208B2 (en) * 2000-05-30 2003-06-03 Fagor, S. Coop. Clothes drying, dewrinkling and ironing cabinet
US20020017117A1 (en) * 2000-07-25 2002-02-14 Sunshine Richard A. Integrated laundry center
ATE343012T1 (de) * 2000-11-10 2006-11-15 Seven Air Gebr Meyer Ag Wäschetrocknerschrank
WO2004091359A2 (en) * 2003-04-15 2004-10-28 Kleker Richard G Apparatus for washing and drying garments
US7191546B2 (en) * 2004-06-18 2007-03-20 Maruca Robert E Low temperature clothes dryer
KR100595263B1 (ko) * 2004-11-10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장치의 리프레쉬 모드 제어 방법
KR100595763B1 (ko) * 2004-12-07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 겸용 의류 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898Y1 (ko) * 2000-06-16 2000-11-01 김점화 스팀 다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13382A2 (en) 2008-01-31
EP2054543A2 (en) 2009-05-06
US20100058608A1 (en) 2010-03-11
WO2008013382A3 (en) 2008-06-05
KR20080009481A (ko) 2008-01-29
EP2054543A4 (en)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616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50442B1 (ko) 의류 처리장치
KR20080078367A (ko) 건조기
RU250732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EP1845185B1 (en) Household appliance
EP2057314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EP1146161A1 (en) Accessory assembly for a clothes drum type dryer
KR20060038796A (ko) 의류건조기 일체형 세탁 장치
CN101492875A (zh) 洗涤物处理装置
CA2659256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0826205B1 (ko) 건조기
KR102633222B1 (ko) 의류처리장치
CN101517147A (zh) 复合衣物处理机
CN101522979B (zh) 复合衣物处理机及其控制方法
KR101319881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100826204B1 (ko) 건조기
KR101119120B1 (ko) 의류 처리장치
KR20080024864A (ko) 가구형상을 갖는 세탁물 처리기
KR100830513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41798B1 (ko) 건조기 일체형 세탁기
US2022038097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080100964A (ko) 의류처리장치어셈블리
KR20110079389A (ko) 가구형상을 갖는 세탁물 처리기
KR20080078366A (ko) 건조기
KR101122936B1 (ko) 다림질 기능이 구비된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6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7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