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30594A - 관 조인트용 튜브 착탈 부재, 관 조인트 및 관 조인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관 조인트용 튜브 착탈 부재, 관 조인트 및 관 조인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30594A
KR20240130594A KR1020230154266A KR20230154266A KR20240130594A KR 20240130594 A KR20240130594 A KR 20240130594A KR 1020230154266 A KR1020230154266 A KR 1020230154266A KR 20230154266 A KR20230154266 A KR 20230154266A KR 20240130594 A KR20240130594 A KR 20240130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lock ring
cap
ring
pipe j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후미 마츠모토
아야메 다나카
겐지 아사쿠라
Original Assignee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13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30594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16L37/091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with a separate member for releasing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2Bends; Siphons adapted to make use of special secu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튜브 착탈 부재를 구비한 관 조인트의 조립 작업을 간소화한다.
튜브 착탈 부재(100)는, 튜브(1)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삽입된 튜브(1)를 보유 지지하는 로크 링(10)과, 로크 링(10)에 의한 튜브(1)의 보유 지지를 해방하는 릴리스 링(20)과, 로크 링(10) 및 릴리스 링(20)을 수용하는 캡(30)과, 로크 링(10) 및 릴리스 링(20)의 이동을 제한하는 버클링(40)을 구비하고, 버클링(40)은, 캡(30) 내에 마련되어 있고, 캡(30)은, 보디(2)의 외주가 끼워 넣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관 조인트용 튜브 착탈 부재, 관 조인트 및 관 조인트 조립 방법{TUBE ATTACHMENT AND DETACHMENT MEMBER FOR PIPE JOINT, PIPE JOINT AND PIPE JOINT ASSEMBLING METHOD}
본 발명은 관 조인트용 튜브 착탈 부재, 관 조인트 및 관 조인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 조인트는, 압축 공기나 가스·액체 등의 유체 배관 등에 사용된다. 특허문헌 1에는, 튜브의 빠짐 방지를 로크 링에 의해 행하는 관 조인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관 조인트는, 선단부가 로크 링에 접촉 내지 근접한 릴리스 링과, 릴리스 링에 외삽된 통 형상의 캡을 구비하고 있다. 로크 링은, 튜브의 빠짐 방지용의 클로를 갖는다. 로크 링에 튜브가 끼워 넣어지면, 로크 링의 클로가 튜브의 표면에 파고 들어가서, 로크 링에 의해 튜브가 보유 지지된다. 릴리스 링은, 로크 링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캡에 마련되어 있다. 릴리스 링을 튜브의 삽입 방향으로 압입하면, 로크 링의 클로가 안쪽으로 압박되어 튜브로부터 릴리스된다. 이에 의해, 튜브의 빼냄이 가능하게 된다. 캡은, 밸브의 하우징의 접속 구멍에 압입되어, 로크 링을 접속 구멍 내에 고정함과 함께 릴리스 링의 빠짐을 방지한다. 여기서, 하우징은 관 조인트의 보디에 상당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089884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관 조인트에서는, 관 조인트의 보디에 상당하는 하우징의 접속 구멍에 시일재, 로크 링을 구비한 버클링, 릴리스 링을 차례로 조립해 넣은 후, 캡을 상기 접속 구멍에 압입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관 조인트의 튜브 착탈부가 몇 개소 있는 경우, 관 조인트 조립 작업이 번잡하며, 조립 작업의 자동화가 곤란하다.
본 발명은 튜브 착탈 부재를 구비한 관 조인트의 조립 작업을 간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튜브와 보디를 연결하기 위한 튜브 착탈 부재에 관련되고, 상기 튜브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삽입된 상기 튜브를 보유 지지하는 로크 링과, 상기 로크 링에 의한 상기 튜브의 보유 지지를 해방하는 릴리스 링과, 상기 로크 링 및 상기 릴리스 링을 수용하는 캡과, 상기 로크 링 및 상기 릴리스 링의 이동을 제한하는 버클링을 구비하고, 상기 버클링은, 상기 캡 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캡은, 상기 보디의 외주가 끼워 넣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와 보디를 연결하기 위한 튜브 착탈 부재를 상기 보디에 설치하는 관 조인트 설치 방법에 관련되고, 상기 튜브 착탈 부재는, 상기 튜브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삽입된 상기 튜브를 보유 지지하는 로크 링과, 상기 로크 링에 의한 상기 튜브의 보유 지지를 해방하는 릴리스 링과, 상기 로크 링 및 상기 릴리스 링을 수용하는 캡과, 상기 캡 내에 마련되어 상기 로크 링 및 상기 릴리스 링의 이동을 제한하는 버클링을 구비하고, 상기 관 조인트 설치 방법은, 미리 조립된 상기 튜브 착탈 부재의 상기 캡에 상기 보디의 외주를 끼워 넣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에 릴리스 링, 로크 링을 장착하고, 버클링으로 릴리스 링과 로크 링을 캡으로부터 탈락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튜브 착탈 부재를 구성한다. 캡은 보디의 외주가 끼워 넣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시일재를 설치한 보디에 튜브 착탈 부재의 캡을 끼워 넣음으로써 관 조인트가 된다. 튜브 착탈 부재는, 관 조인트의 형상에 관계없이 공통이기 때문에, 튜브 착탈 부재만을 자동으로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튜브 착탈 부재의 반절 종단면도이며, 튜브와 보디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상세도이다.
도 3은 로크 링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로크 링에 튜브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상세도이며, 도 2에 대응하여 나타낸다.
도 5는 로크 링에 의한 튜브의 보유 지지를 해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상세도이며, 도 2에 대응하여 나타낸다.
도 6은 보디에 설치되기 전의 튜브 착탈 부재의 반절 종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에 관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튜브 착탈 부재(100)의 반절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는, 튜브(1)와 보디(2)를 튜브 착탈 부재(100)를 사용하여 연결하여 관 연결 구조로 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튜브 착탈 부재(100)와 보디(2)와 후술하는 시일 부재(50)에 의해, 관 조인트(1000)가 형성된다. 보디(2)는, 도시하지 않은 어댑터나 기기 등에 접속되는 L형 조인트이지만, 이들은 보디(2)의 일례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튜브(1)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폴리우레탄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디(2)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유리 섬유(GF)로 강화된 폴리아미드12(PA12), GF로 강화된 폴리아미드11(PA11), GF로 강화된 PPA, 구리 합금(C3771 등)이나 구리 합금 무연재,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튜브 착탈 부재(100)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된 튜브(1) 및 보디(2)는, 예를 들어 상용차(트럭이나 버스 등)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에어 브레이크 배관에 사용할 수 있다. 관 연결 구조는, 건설 기계, 공작 기계 등에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튜브(1) 및 보디(2)를 유통하는 유체는, 에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체여도 되고 액체여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2)는, L자상으로 굴곡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보디(2)는, 연직으로 연장되는 연직부(2A)와, 연직부(2A)의 상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 수평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수평부(2B)를 구비한다. 보디(2)의 내부에는, 대소 상이한 직경의 원공(3a, 3b)에 의해 L자상으로 굴곡되는 유로(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보디(2)를 L자상으로 굴곡되는 부재로 하고 있지만, 보디(2)를, F자상, T자상 또는 Y자상 등의 L자상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형상의 부재로 해도 되고, 유니온 형상이어도 된다.
보디(2)의 연직부(2A)의 외주의 중간 높이 위치에는, 플랜지부(2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C)보다 하방의 부분은, 도시하지 않은 어댑터의 내부에 끼워 넣어지는 삽입부(2A1)를 구성하고 있다.
튜브 착탈 부재(100)는, 보디(2)에 있어서의 수평부(2B)의 개구 측단부에 설치된다. 튜브 착탈 부재(100)에 의해, 튜브(1)가 보유 지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튜브 착탈 부재(100)에 의해 튜브(1)와 보디(2)가 연결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A부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2)의 수평부(2B)는, 내측 통부(2D)와, 내측 통부(2D)를 둘러싸도록 마련된 외측 통부(2E)를 갖고 있다. 내측 통부(2D)는, 외측 통부(2E)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다. 내측 통부(2D)와 외측 통부(2E)에 의해 수평부(2B)의 개구 측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통부(2D)가 튜브(1)에 삽입된다.
튜브 착탈 부재(100)는, 튜브(1)를 보유 지지하는 로크 링(10)과, 로크 링(10)에 나란히 마련된 릴리스 링(20)과, 로크 링(10) 및 릴리스 링(20)을 수용하는 캡(30)을 구비하고 있다. 로크 링(10)은, 예를 들어 금속제이다. 릴리스 링(20) 및 캡(30)은, 예를 들어 수지제이다.
도 3은 로크 링(10)의 평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링(10)은,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클로(11)와,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클로(11)를 연결하는 연결부(12)를 갖고 있다.
또한, 「둘레 방향」은, 로크 링(10)의 중심축 주위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로크 링(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 방향을 「직경 방향」이라 한다.
연결부(12)는, 클로(11)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로크 링(10)은, 클로(11)가 상대적으로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연결부(12)가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 지그재그상의 환상 부재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1)는, 로크 링(10)에 삽입된다. 튜브(1)의 삽입 방향은, 도 2에 있어서 지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이하에 있어서, 튜브(1)의 삽입 방향을 단순히 「삽입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로크 링(10)의 클로(11)는,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삽입 방향을 향하도록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도 4는 로크 링(10)에 튜브(1)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상세도이며, 도 2에 대응하여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링(10)에 튜브(1)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직경 방향으로 마주보는 클로(11)의 간격은, 튜브(1)의 외경보다 작다. 튜브(1)가 로크 링(10)에 삽입되면, 로크 링(10)의 클로(11)는, 튜브(1)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눌려, 직경 방향으로 마주보는 클로(11)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변형된다(도 2 참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1)가 로크 링(1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로크 링(10)에 복원력이 생기고, 클로(11)는,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튜브(1)에 맞닿는다. 그 때문에,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튜브(1)를 삽입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당겨서 로크 링(10)으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로크 링(10)의 클로(11)가 튜브(1)에 파고 들어간다. 따라서, 로크 링(10)으로부터 튜브(1)가 빼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크 링(10)은,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튜브(1)에 맞닿아 튜브(1)를 보유 지지한다.
릴리스 링(20)은, 로크 링(10)에 의한 튜브(1)의 보유 지지를 해방한다. 도 5는 로크 링(10)에 의한 튜브(1)의 보유 지지를 해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상세도이며, 도 2에 대응하여 나타낸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리스 링(20)은, 삽입 방향으로 로크 링(10)에 나란하게 되어 있다. 릴리스 링(20)의 중심축과 로크 링(10)의 중심축이 대략 일치하고 있고, 튜브(1)는, 릴리스 링(20)에 삽입된다.
릴리스 링(20)은, 캡(30)으로부터 삽입 방향과는 반대 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어, 유저에 의한 릴리스 링(20)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저가 릴리스 링(20)을 삽입 방향으로 누르면, 릴리스 링(20)은, 삽입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을 「전진」이라고도 칭하고, 삽입 방향과는 역방향으로의 이동을 「후진」이라고도 칭한다. 즉, 릴리스 링(20)은, 로크 링(10)에 대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캡(30)에 수용되어 있다.
유저의 조작에 의해 릴리스 링(20)이 전진하면, 릴리스 링(2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링(10)의 클로(11)를 삽입 방향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마주보는 클로(11)의 간격이 벌어져, 클로(11)는, 튜브(1)로부터 떼어내진다. 이 상태에서는, 튜브(1)를 삽입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당긴다고 해도, 로크 링(10)의 클로(11)가 튜브(1)에 파고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로크 링(10)으로부터의 튜브(1)의 빼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릴리스 링(20)은, 로크 링(10)을 변형시켜 튜브(1)로부터 로크 링(10)을 떼어놓음으로써, 로크 링(10)에 의한 튜브(1)의 보유 지지를 해방한다. 캡(30)은, 릴리스 링(20)의 후진을 제한하는 후진 제한부(31)를 갖는다. 후진 제한부(31)는, 구체적으로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장출된 단차부이다. 릴리스 링(20)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장출되는 단차부(21)를 갖고 있으며, 후진 제한부(31)는 삽입 방향으로 단차부(21)와 마주보고 있다. 후진 제한부(31)와 단차부(21)가 접촉한 상태에서는, 릴리스 링(20)은 후진하지 않는다. 따라서, 캡(30)으로부터 릴리스 링(20)이 삽입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보디(2)에 설치되기 전의 튜브 착탈 부재(100)의 반절 종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 착탈 부재(100)는, 삽입 방향으로의 로크 링(10) 및 릴리스 링(20)의 이동을 제한하는 버클링(40)을 구비하고 있다. 버클링(40)은, 예를 들어 수지제이다.
로크 링(10)은, 버클링(40) 내에 설치되어 있다. 버클링(40)에는, 로크 링(10)의 연결부(12)와 접촉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단차부에 의해, 로크 링(10)의 연결부(12)가 삽입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제한한다.
버클링(40)은,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41)을 갖는다. 경사면(41)은, 로크 링(10)의 클로(11)와 마찬가지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삽입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리스 링(20)이 로크 링(10)을 변형시켜 튜브(1)로부터 로크 링(10)을 떼어놓은 상태에서는, 경사면(41)은, 로크 링(10)의 클로(11)에 접촉하고, 릴리스 링(20)에 의한 로크 링(10)의 변형을 제한한다. 그 때문에, 로크 링(1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 링(10)이 파손되어 튜브(1)의 보유 지지를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클링(40)은, 시일 부재(50)의 백업 링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치수로 되어 있고, 또한 시일 부재(50)를 고정하는 단차 형상을 갖고 있다.
버클링(40)은, 캡(30) 내에 마련되어 있다. 버클링(40)의 중심축과 로크 링(10)의 중심축은 대략 일치하고 있고, 로크 링(10)에 튜브(1)가 삽입된 상태(도 2 참조)에서는, 버클링(40)에 튜브(1)가 삽입된다.
버클링(40)은, 캡(30)에 끼워 넣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버클링(40)의 외주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42)가 형성되어 있고, 캡(30)의 내주에는, 돌기(42)가 배치 가능한 제1 오목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42) 및 제1 오목부(32)는, 예를 들어 둘레 방향을 따라 환상으로 형성된다. 버클링(40)이 캡(30)에 삽입되면, 돌기(42)가 제1 오목부(32)에 배치되고, 버클링(40)이 캡(30)에 보유 지지된다.
또한, 캡(30)에의 버클링(40)의 끼워 넣기는, 돌기(42)와 제1 오목부(32)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버클링(40)의 외주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캡(30)의 내주에 돌기가 형성되어, 당해 오목부에 당해 돌기가 배치되어 버클링(40)이 캡(30)에 보유 지지되어도 된다. 버클링(40)의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캡(30)의 내주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당해 수나사와 당해 암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해 버클링(40)이 캡(30)에 보유 지지되어도 된다. 버클링(40)이 캡(30)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버클링(40)의 외측 형상을 캡(30)의 내측 형상보다 크게 해 두어, 캡(30)에 버클링(40)이 삽입되는 데 수반하여 버클링(40)이 캡(30)을 눌러 넓힘으로써, 버클링(40)이 캡(30)에 보유 지지되어도 된다. 또한, 버클링(40)의 재질을 금속으로 하고, 돌기(42)를 에지 형상으로 하여, 제1 오목부(3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캡(30)에 압입해도 된다.
캡(30)의 내주에는, 제1 오목부(32)와는 다른 제2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오목부(33)는, 버클링(40)보다 삽입 방향 측(도 6에 있어서의 지면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30)에는, 보디(2)의 외측 통부(2E)가 삽입된다. 캡(30)에 외측 통부(2E)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외측 통부(2E)의 외주에 형성된 돌기(2F)가 캡(30)의 제2 오목부(33)에 배치되어, 캡(30)이 보디(2)에 보유 지지된다. 즉, 캡(30)은, 보디(2)의 외주가 끼워 넣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30)에의 보디(2)의 끼워 넣기는, 돌기(2F)와 제2 오목부(33)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캡(30)의 내주에 돌기가 형성되고 보디(2)의 외주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당해 오목부에 당해 돌기가 배치되어 캡(30)이 보디(2)에 보유 지지되어도 된다. 캡(30)의 내주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보디(2)의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당해 암나사와 당해 수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해 캡(30)이 보디(2)에 보유 지지되어도 된다. 또한, 보디(2)가 캡(30)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캡(30)의 내측 형상을 보디(2)의 외측 형상보다 작게 해 두어, 캡(30)에 보디(2)가 삽입되는 데 수반하여 캡(30)이 보디(2)에 의해 눌려 넓혀짐으로써, 캡(30)이 보디(2)에 보유 지지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튜브 착탈 부재(100)에서는, 캡(30) 내에 마련된 버클링(40)이 캡(30)에 수용된 로크 링(10) 및 릴리스 링(20)의 이동을 제한하고, 캡(30)은, 보디(2)의 외주가 끼워 넣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보디(2)에는 다양한 형상(L형, F형, T형, Y형 등), 크기의 부재가 사용되지만, 튜브 착탈 부재(100)는, 대응 튜브 외경 치수가 동일한 보디이면, 동일한 부재를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튜브 착탈 부재(100)를 조립하여 보관해 두고, 보디(2)의 형상마다 다른 공정으로 조립하여, 관 조인트(1000)로서 완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튜브 착탈 부재(100)의 조립은 기계로 자동화하는 것이 용이하다.
튜브 착탈 부재(100)를 사용하여 튜브(1)와 보디(2)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튜브(1)의 외주와 보디(2)의 외측 통부(2E)의 내주 사이에 시일 부재(50)가 마련된다. 시일 부재(50)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진다. 시일 부재(50)는, 튜브(1)의 외주와 보디(2)의 외측 통부(2E)의 내주에 접촉하여 튜브(1)와 보디(2) 사이를 폐색하여, 기밀성을 확보한다. 따라서, 튜브(1)와 보디(2) 사이에서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시일 부재(50)는, 보디(2)의 외측 통부(2E)에 형성된 단차부에 수용되어 있다. 버클링(40)은, 외측 통부(2E)와 삽입 방향으로 이웃하고 있고, 외측 통부(2E)로부터 시일 부재(50)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튜브 착탈 부재(100)를 보디(2)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튜브 착탈 부재(100)의 설치에서는, 튜브 착탈 부재(100)는, 미리 조립된다.
튜브 착탈 부재(100)의 조립의 일례를 나타내면, 캡(30)에 릴리스 링(20)을 삽입 방향과는 역방향으로부터 장착한다. 버클링(40)에 로크 링(10)을 장착한다. 그 버클링(40)을 캡(30)에 압입한다. 버클링(40)의 돌기(42)가 캡(30)의 제1 오목부(32)에 배치되면, 버클링(40)이 캡(30)에 보유 지지되어, 튜브 착탈 부재(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튜브 착탈 부재(100)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캡(30)의 후진 제한부(31)에 의해, 삽입 방향과는 역방향으로의 로크 링(10) 및 릴리스 링(20)의 빠짐이 방지되고, 버클링(40)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의 로크 링(10) 및 릴리스 링(20)의 빠짐이 방지된다.
튜브 착탈 부재(100)를 보디(2)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일 부재(50)를 보디(2)의 외측 통부(2E) 내에 배치한다. 그 후, 캡(30)의 외주를 쥐고, 보디(2)의 외측 통부(2E)를 캡(30)에 삽입한다(도 4). 보디(2)의 돌기(2F)가 캡(30)의 제2 오목부(33)에 배치되면, 캡(30)이 보디(2)에 보유 지지된다. 이상에 의해, 튜브 착탈 부재(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튜브(1)를 보디(2)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1)를 튜브 착탈 부재(100)에 삽입하면 된다. 튜브(1)의 삽입에 의해, 로크 링(10)에 의해 튜브(1)가 보유 지지된다. 튜브(1)의 삽입 시에, 릴리스 링(20)을 삽입 방향으로 눌러서 로크 링(10)의 클로(11)의 간격을 벌려 두어도 된다.
튜브(1)를 보디(2)로부터 떼어내기 위해서는, 먼저, 릴리스 링(20)을 삽입 방향으로 눌러서 로크 링(10)의 클로(11)의 간격을 벌린다. 이에 의해, 로크 링(10)에 의한 튜브(1)의 보유 지지가 해방된다. 이 상태에서, 튜브(1)를 삽입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당긴다. 이에 의해, 튜브(1)가 보디(2)로부터 떼어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보디(2)는, 내측 통부(2D)를 갖고 있지만, 내측 통부(2D)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버클링(40)은, 로크 링(10) 및 릴리스 링(20)의 이동을 제한함과 함께, 릴리스 링(20)에 의한 로크 링(10)의 변형을 제한한다. 버클링(40)은, 로크 링(10) 및 릴리스 링(20)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만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릴리스 링(20)에 의한 로크 링(10)의 변형을 제한하는 부재를 버클링(40)과는 별도로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튜브 착탈 부재
1000: 관 조인트
1: 튜브
2: 보디
10: 로크 링
20: 릴리스 링
30: 캡
40: 버클링
50: 시일 부재

Claims (5)

  1. 튜브와 보디를 연결하기 위한 튜브 착탈 부재이며,
    상기 튜브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삽입된 상기 튜브를 보유 지지하는 로크 링과,
    상기 로크 링에 의한 상기 튜브의 보유 지지를 해방하는 릴리스 링과,
    상기 로크 링 및 상기 릴리스 링을 수용하는 캡과,
    상기 로크 링 및 상기 릴리스 링의 이동을 제한하는 버클링을 구비하고,
    상기 버클링은, 상기 캡 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캡은, 상기 보디의 외주가 끼워 넣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튜브 착탈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링은, 상기 튜브에 맞닿아 상기 튜브를 보유 지지하고,
    상기 릴리스 링은, 상기 로크 링을 변형시켜 상기 튜브로부터 상기 로크 링을 떼어내, 상기 로크 링에 의한 상기 튜브의 보유 지지를 해방하고,
    상기 버클링은, 상기 릴리스 링에 의한 상기 로크 링의 변형을 제한하는,
    튜브 착탈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링은, 상기 캡에 끼워 넣어져 있는,
    튜브 착탈 부재.
  4. 제1항에 기재된 튜브 착탈 부재와,
    상기 캡에 끼워 넣어진 보디와,
    상기 보디에 마련되어, 상기 튜브와 상기 보디 사이를 폐색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하는,
    관 조인트.
  5. 튜브와 보디를 연결하기 위한 튜브 착탈 부재를 상기 보디에 설치하는 관 조인트 조립 방법이며,
    상기 튜브 착탈 부재는, 상기 튜브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삽입된 상기 튜브를 보유 지지하는 로크 링과, 상기 로크 링에 의한 상기 튜브의 보유 지지를 해방하는 릴리스 링과, 상기 로크 링 및 상기 릴리스 링을 수용하는 캡과, 상기 캡 내에 마련되어 상기 로크 링 및 상기 릴리스 링의 이동을 제한하는 버클링을 구비하고,
    미리 조립된 상기 튜브 착탈 부재의 상기 캡에 상기 보디의 외주를 끼워 넣는, 관 조인트 조립 방법.
KR1020230154266A 2023-02-22 2023-11-09 관 조인트용 튜브 착탈 부재, 관 조인트 및 관 조인트 조립 방법 Pending KR202401305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3-026591 2023-02-22
JP2023026591A JP2024119585A (ja) 2023-02-22 2023-02-22 管継手用チューブ着脱部材、管継手および管継手組立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30594A true KR20240130594A (ko) 2024-08-29

Family

ID=92379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4266A Pending KR20240130594A (ko) 2023-02-22 2023-11-09 관 조인트용 튜브 착탈 부재, 관 조인트 및 관 조인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119585A (ko)
KR (1) KR20240130594A (ko)
CN (1) CN118532560A (ko)
WO (1) WO202417664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9884A (ja) 2014-10-31 2016-05-23 ニッタ株式会社 エア配管におけるバルブと継手の接続機構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3275A (ja) * 1999-11-26 2001-06-08 Onda Seisakusho:Kk 継 手
JP2001159492A (ja) * 1999-12-01 2001-06-12 Onda Seisakusho:Kk 継 手
JP2009002430A (ja) * 2007-06-21 2009-01-08 Toyox Co Ltd 管継手
JP5290815B2 (ja) * 2009-03-13 2013-09-1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管継手
KR101453395B1 (ko) * 2011-09-14 2014-11-03 가부시키가이샤온다세이사쿠쇼 조인트 및 그에 사용되는 스페이서
KR102201374B1 (ko) * 2020-06-03 2021-01-11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이음관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9884A (ja) 2014-10-31 2016-05-23 ニッタ株式会社 エア配管におけるバルブと継手の接続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532560A (zh) 2024-08-23
WO2024176647A1 (ja) 2024-08-29
JP2024119585A (ja) 202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662B1 (ko) 세경 배관 접속용 콘넥터
JP4329063B2 (ja) 管継手
US5181751A (en) Quick connector
KR920000663B1 (ko)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US5131691A (en) Snap-fit connector for connecting slender piping members at end portions
KR920000661B1 (ko)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KR920005028B1 (ko) 세경 배관 접속용 조인트
JP3452599B2 (ja) 車両用パイプ−コンテナ継手組立体
KR100362825B1 (ko) 신속접속기
EP1099895B1 (en) Connector
JP4713713B2 (ja) 流体接続を提供する継手組立体
US7328922B2 (en) Quick connector
US6945422B2 (en) In-tank fuel line quick connector assembly
US5655796A (en) Tubula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284945C (en) Contaminant resistant tube fitting
KR100605095B1 (ko) 퀵 커플러 장치
KR20240130594A (ko) 관 조인트용 튜브 착탈 부재, 관 조인트 및 관 조인트 조립 방법
EP0660907A4 (en) DISPENSER FOR CARBONIZED DRINKS.
US20050221679A1 (en) Quick connector
JP2006084027A (ja) 管及びホース接続用の継手アセンブリ
JP2010270838A (ja)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配管接続構造
EP4042053B1 (en) Quick connector
KR20040045453A (ko) 연결조립체
JPH11514425A (ja) 確認機能を備える急速接続具
JP2000055255A (ja) 細径配管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