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463A -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 - Google Patents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51463A KR20230151463A KR1020230044422A KR20230044422A KR20230151463A KR 20230151463 A KR20230151463 A KR 20230151463A KR 1020230044422 A KR1020230044422 A KR 1020230044422A KR 20230044422 A KR20230044422 A KR 20230044422A KR 20230151463 A KR20230151463 A KR 202301514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extinguishing
- extinguishing water
- sprinkler head
- sprinkler
- radia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24 troubleshoo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1—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tunnel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4—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rangible vess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소화수가 유입되는 리듀서; 상기 리듀서에 지면과 수평하도록 설치되며, 살수된 소화수가 방사되도록 소화수를 넓게 퍼트리는 디플렉터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및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측방을 향해 방사되는 소화수의 방사 반경을 줄이면서도 방사되는 거리가 연장되도록 하는 집중방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집중방사부재는 살수되는 소화수가 부딪혀 방사되기 시작하는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말단에서부터 소화수의 방사 반경을 줄이면서도 방사되는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일부분이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길이에 비례하여 연장형성되며, 스프링클러 헤드가 길게 형성되어도 집중방사부재를 스프링클러 헤드의 길이에 비례하여 연장형성하므로,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소화수가 방사되기 시작하는 디플렉터의 외경과 집중방사부재의 내경 사이의 최소거리가 좁아지게 되고, 따라서 스프링클러의 외부로 소화될 때 집중방사부재에 의해 소화수가 넓게 퍼지지 않고 소화수가 부딪혀 방사되기 시작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말단에서부터 소화수의 방사 반경을 줄이면서 방사되는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서, 2차 전지를 생산하는 공장에서 금속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또는 터널 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때 벽면에 지면과 수평하도록 설치되어 소화수를 수평하게 직선으로 방사하여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소화수의 방사 반경을 줄이면서 방사되는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집중방사부재가 스프링클러 헤드의 길이에 비례하여 연장된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는 화재 발생시 실외로부터 유입되는 소화수를 살수하여 화재를 진압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고 있고,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및 금전적 손실의 위험도가 높은 공장이나 교통 터널 내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장 중에도 2차 전지 공장은 2차 전지를 적층한 선반에서 2차 전지에 화염이 발생하는 동시에, 금속부분이 고온으로 달아오르는 금속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과 같은 천장에서 살수되는 스프링클러(100)를 사용하면 천장(200)에서 살수된 소화수가 선반(300)의 상부에 위치한 2차 전지(410)에만 접촉되고 중간부부터 하부에 위치한 2차 전지(420)에는 선반의 상부가 막고 있어 소화수가 전달되기가 어려우므로, 적층된 2차 전지 중 중간부부터 하부에 위치한 2차 전지(420)에서 금속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스프링클러(100)를 이용한 화재진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스프링클러를 측방에 수평으로 설치함으로써 2차 전지를 적층하는 선반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하더라도, 일반적인 스프링클러는 천정에 설치되어 하측으로 소화수를 살수하면서 소화수가 넓게 퍼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넓은 범위로 소화수가 살수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를 측면에 설치하였을 때 소화수가 살수구에서 수평한 방향보다 사방으로 퍼지게 되는 소화수가 많아 2차 전지가 적층된 선반 안쪽까지 유입되는 소화수가 적고 버려지게 되는 소화수가 많으며 따라서 사용되는 소화수의 양 대비 소화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방으로 퍼지는 소화수의 살수 반경을 줄이고 살수 거리를 늘림으로써 소화수가 선반 안쪽까지 유입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부재(120)를 스프링클러 헤드(110)에 체결하더라도, 스프링클러 헤드(11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면 소화수가 방사되기 시작하는 디플렉터(111)의 외경과 원뿔부재(120)의 내경 사이의 최소거리(d)가 멀어, 살수 반경이 줄어들지 못하고 넓게 퍼지게 되므로, 소화수의 소화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통 터널 내의 화재 진압을 위해 터널 천장에 설치된 스프링클러의 경우, 스프링클러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터널 내 교통을 통제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터널 천장에 설치된 해당 스프링클러에 접근할 수 없으므로, 스프링클러에 대한 고장수리나 유지보수을 위한 작업이 시간과 비용 면에서 비효율적이며, 따라서 고장수리를 직각적으로 또는 유지보수를 수시로 시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스프링클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2차 전지 공장에서 2차 전지를 적층한 선반에서 중간부부터 하부에 위치한 2차 전지에 금속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소화수가 스프링클러에서 수평하도록 방사되어 상부에 위치한 2차 전지에 막히지 않고 중간부부터 하부에 위치한 2차 전지까지 소화시킬 수 있는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수가 스프링클러에서 수평하도록 방사될 때, 소화수의 방사반경을 줄여 버려지는 소화수 양을 최소화되고, 소화수가 방사되는 거리를 연장시켜 소화수가 선반 안쪽의 2차 전지까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가 길게 형성되어 살수구에서 디플렉터가 멀리 떨어져 있어도, 살수되는 소화수가 부딪혀 방사되기 시작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디플렉터에서부터 소화수의 방사 반경을 줄이면서 방사되는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는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를 제공함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교통 터널 내에서 차량 등의 화재 진압용으로 사용히기 위해 터널 측면 하단 즉, 예컨대 보행통로나 갓길에 인접한 측벽면에 설치함으로써, 고장이 발생하거나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터널 내 교통을 통제하지 않고도 고장수리나 유지보수을 위한 작업을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를 제공함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소화수가 유입되는 리듀서; 상기 리듀서에 지면과 수평하도록 설치되며, 살수된 소화수가 방사되도록 소화수를 넓게 퍼트리는 디플렉터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및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측방을 향해 방사되는 소화수의 방사 반경을 줄이면서도 방사되는 거리가 연장되도록 하는 집중방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집중방사부재는 방사되는 소화수가 부딪혀 방사되기 시작하는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말단에서부터 소화수의 방사 반경을 줄이면서도 방사되는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일부분이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길이에 비례하여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중방사부재는,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에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로부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길이와 비례하여 연장형성되는 길이연장부; 및 상기 길이연장부의 일단에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살수구로부터 멀어질수록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방사되는 소화수가 접촉면에 부딪혀 반사되면서 중심을 향해 모여 방사될 수 있도록 하는 원뿔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상기 리듀서와 결합되는 결합부 결합되며, 외면에 상기 체결부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경보다 상기 디플렉터의 외경이 더 클 때, 상기 체결부의 내경이 상기 디플렉터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가 상기 집중방사부재를 관통하면서 상기 집중방사부재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중방사부재은 상기 원뿔부의 말단에 방사되는 소화수가 수평으로 방사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유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는 유리벌브형 스프링클러 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에 따르면, 스프링클러 헤드가 측방향을 향하도록 지면과 수평으로 위치하여 소화수가 측방을 향해 방사되도록 되어 있어 소화수가 방사될 때 선반의 상부에 막히지 않고 선반의 중간부부터 하부까지 소화수가 방사되어 접촉할 수 있게 되므로, 중간부와 하부에 위치한 2차 전지에서 화재가 발생하여도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진압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화수가 지면과 수평한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살수될 때 기존의 스프링클러 헤드를 사용하여 소화수가 수평한 방향보다 사방으로 넓게 퍼져서 살수되어도, 스프링클러 헤드에 집중방사부재가 결합되어 있어, 넓게 퍼져서 방사되는 소화수가 집중방사부재에 막혀 방사 반경이 줄면서 직선으로 분사되므로 즉, 직방사되므로 선반의 중앙부부터 하부까지 소화수가 대부분 전달되기 때문에 주변으로 버려지는 소화수가 최소한으로 줄어들게 되고, 집중방사부재가 연장형성되어 소화수 방사 거리가 연장되므로 소화수가 선반의 안쪽까지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소화수가 선반 안쪽의 2차 전지까지 골고루 전달되고, 따라서 사용되는 소화수의 양 대비 소화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 헤드가 길게 형성되어도 집중방사부재를 스프링클러 헤드의 길이에 비례하여 연장형성하므로,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소화수가 방사되기 시작하는 디플렉터의 외경과 집중방사부재의 내경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게 되고, 따라서 살수구에서 디플렉터까지의 거리가 멀어도, 스프링클러의 외부로 소화될 때 집중방사부재에 의해 소화수가 넓게 퍼지지 않고 소화수가 부딪혀 방사되기 시작하는 디플렉터에서부터 소화수의 방사 반경을 줄이므로 방사되는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교통 터널 내에서 차량 등의 화재 진압을 위해 스프링클러가 보행통로나 갓길에 인접한 터널 측면 하단에 설치되므로, 스프링클러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터널 내 교통을 통제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보행통로나 갓길 등을 통해 해당 스프링클러에 쉽게 접근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스프링클러에 대한 고장수리나 유지보수 작업을 편리하고, 안전하며, 경제적이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클러에서 소화수가 방사될 때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스프링클러에서 원뿔부재를 결합하였을 때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모습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에서 소화수가 방사될 때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에 체결부재를 추가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가 소화수를 방사할 때의 집중방사부재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에서 유도부가 구비되었을 때 소화수를 방사할 때의 집중방사부재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교통 터널의 측벽면에 적용된 사례를 개략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스프링클러에서 원뿔부재를 결합하였을 때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모습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에서 소화수가 방사될 때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에 체결부재를 추가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가 소화수를 방사할 때의 집중방사부재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에서 유도부가 구비되었을 때 소화수를 방사할 때의 집중방사부재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교통 터널의 측벽면에 적용된 사례를 개략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는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벽면(W)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2차 전지(B)가 수납된 선반(S)의 중간부부터 하부까지 소화수를 방사하여 소화수가 2차 전지(B)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듀서(10), 스프링클러 헤드(20) 및 집중방사부재(30)를 포함한다.
리듀서(10)는 건물 외부에서 소화수가 유입되는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실내의 벽면(W)에 설치되며, 건물 외부로부터 소화수가 유입되도록 연결된 소화수의 유입관이 리듀서(10)의 후단에 연결되고, 유입된 소화수가 내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관체로 형성되며, 벽면(W)에 내장되고 방사방향 끝단에 암사나부가 형성된다.
스프링클러 헤드(20)는 리듀서(10)로 유입된 소화수가 외부로 방사되는 부분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숫나사부가 형성되는 결합부(21)가 형성돼 리듀서(10)의 암나사부와 체결되며, 타단에 방사방식의 살수구(24)가 형성되어 소화수가 살수구(24)를 통해 배출될 때 방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 헤드(2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프링클러 헤드(20)가 사용될 수 있는데, 살수구가 상시 개방되어 소화수가 유입되는 즉시 소화수가 방사되는 오픈형 스프링클러 헤드와, 살수구에 끼워진 메탈퓨즈가 높은 온도에 의해 탈락되어 살수구가 개방되는 플러쉬형 스프링클러 헤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수구에 끼워진 유리벌브(23)가 높은 온도에 의해 깨져 살수구(24)가 개방되고, 살수구(24)에서 살수되는 소화수가 디플렉터(22)에 부딪혀 넓은 범위로 방사되는 유리벌브형 스프링클러 헤드(20)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클러 헤드(20)는 소화수가 살수구(24)에서 살수된 직후에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보다 넓은 각도로 퍼져서 방사되게 된다.
집중방사부재(30)는 스프링클러 헤드(20)에서 측방을 향해 방사되는 소화수의 방사 반경을 줄이면서도 방사되는 거리가 연장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깔대기 형태로 형성되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31), 길이연장부(32) 및 원뿔부(33)를 포함한다.
체결부(31)는 집중방사부재(30)가 스프링클러 헤드(20)와 결합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로 형성되어 스프링클러 헤드(20)의 분사구 방향에 위치한 수나사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길이연장부(32)는 체결부(31)로부터 스프링클러 헤드(20)의 길이와 비례하여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31)에서 스프링클러 헤드(20)의 축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장형성되어 스프링클러 헤드(20)의 외측을 내주면이 이격된 상태로 감싼다.
원뿔부(33)는 살수되는 소화수가 접촉면에 부딪혀 반사됨녀서 중심을 향해 모여서 방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31)의 말단에서 깔대기 형태로 확장되도록 연장되어 내부에 소화수가 살수되는 살수공간(33a)을 형성하며, 살수된 소화수의 방사 방향이 원뿔부(33)의 내둘레(33b)에 접촉되면서 내둘레(33b)과 평행하여 방사되도록 한다.
즉, 이러한 원뿔부(33)의 형상에 의해 2차 전지 공장에서 2차 전지를 적층한 선반에서 중간부부터 하부에 위치한 2차 전지에 금속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듀서(10)를 통해 유입된 소화수가 스프링클러 헤드(20)로 방사되면 소화수가 사방으로 퍼지게 되고, 스프링클러 헤드(20)에서 살수된 직후의 소화수를 집중방사부재(30)의 원뿔부(33)가 막게 되고, 소화수가 수압에 의해 밀려나면서 원뿔부(33)의 내둘레(33b)에 부딪혀 반사되어 중심을 향해 모이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중방사부재(30)로부터 외부로 방사되는 소화수가 원뿔부(33)가 확장되는 폭에 비례하여 방사 반경이 줄어들게 되고, 원뿔부(33)의 길이에 비례하여 방사되는 거리가 연장되게 된다.
또한, 원뿔부(33)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원뿔부(33)의 형상에 따라 집중방사부재(30)를 교체함으로써 소화수가 방사되는 거리 및 방사 넓이를 조절 가능하며, 원뿔부(33)의 말단의 외둘레의 크기를 다양한 크기로 형성하거나 원뿔부(33)의 전체 길이를 다양한 길이로 형성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조하게 되면,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1)가 사용되는 공간에 따라서 소화수가 방사되는 반경과 소화수의 방사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형성되는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 헤드(20)가 측방향을 향하도록 지면과 수평으로 위치하여 소화수가 측방을 향해 방사되도록 되어 있어, 소화수가 방사될 때 선반(S)의 상부에 막히지 않고 선반(S)의 중간부부터 하부까지 소화수가 방사되어 접촉할 수 있게 되므로, 중간부와 하부에 위치한 2차 전지(B)에서 화재가 발생하여도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진압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화수가 지면과 수평한 스프링클러 헤드(20)에서 분사될 때, 플러쉬형 스프링클러 헤드(20)와 같은 기존의 스프링클러 헤드(20)를 사용하여 소화수가 수평한 방향보다 사방으로 넓게 퍼져서 살수되어도, 스프링클러 헤드(20)에 집중방사부재(30)가 결합되어 있어, 넓게 퍼져서 방사되는 소화수가 집중방사부재(30)에 막혀 소화수의 방사 반경이 줄어드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S)의 중앙부부터 하부까지 소화수가 대부분 전달되기 때문에 주변으로 버려지는 소화수가 최소한으로 줄어들게 되고, 집중방사부재(30)가 연장형성되어 소화수가 방사되는 거리가 연장되므로 소화수가 선반의 안쪽까지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소화수가 선반(S) 안쪽의 2차 전지(B)까지 골고루 전달되고, 따라서 사용되는 소화수의 양 대비 소화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 헤드(20)가 길게 형성되어도 집중방사부재(30)를 스프링클러 헤드(20)의 길이에 비례하여 연장형성하므로, 스프링클러 헤드(20)에서 소화수가 방사되는 디플렉터(22)의 외경과 집중방사부재의 내경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게 되고, 따라서 살수구(24)에서 디플렉터(22)까지의 거리가 멀어도, 스프링클러(1)의 외부로 소화될 때 집중방사부재(20)에 의해 소화수가 넓게 퍼지지 않고 소화수가 부딪혀 방사되기 시작하는 스프링클러 헤드(20)의 말단 즉, 디플렉터(22)에서부터 소화수의 방사 반경을 줄이므로 방사되는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집중방사부재(30)는 유도부(34)를 구비할 수 있는데, 유도부(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부(33)의 말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수되는 소화수가 집중방사부재(30)에서 반사되어 외부로 방사될 뿐 아니라, 유도부(34)를 따라 이동하여 소화수의 방사방향이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원뿔부(33)를 수평으로 더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소화수가 더 먼 거리로 방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유도부(34)를 구비한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수가 집중방사부재(30)에서 외부로 방사되기 직전에 진행방향이 수평으로 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화수의 방사 거리를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는 체결부재(4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체결부재(40)는 스프링클러 헤드(20)가 크게 형성될 때 집중방사부재(30)를 쉽게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1)에 결합되며, 외면에 체결부(31)가 결합되고, 스프링클러 헤드(20)의 결합부(21)의 외경보다 디플렉터(22)의 외경이 더 클 때, 집중방사부재(30)의 체결부(31)의 내경이 디플렉터(22)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하여 디플렉터(22)가 집중방사부재(30)를 관통하면서 집중방사부재(30)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스프링클러 헤드(20)가 크게 형성되어 결합부(21)의 외경보다 디플렉터(22)의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도 스프링클러 헤드(20)가 집중방사부재(30)를 관통하면서 집중방사부재(30)와 체결될 수 있게 되므로, 집중방사부재(30)를 스프링클러 헤드(20)에 쉽게 체결할 수 있게 되고, 집중방사부재(20)의 원뿔부(33)의 형상을 다양한 형상으로 다수 형성하였을 때 스프링클러 헤드(20)가 리듀서(10)에 결합된 상태로 집중방사부재(20)를 착탈 가능하게 되어 설치요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다양한 집중방사부재(20)를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1)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교통 터널 내에 설치될 경우, 터널 내에서 발생한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게 된다. 그와 동시에, 평시 스프링클러가 고장나거나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작업자는 갓길을 통해 해당 스프링클러에 접근이 가능하므로, 터널 내의 교통을 통제하지 않고도, 수리나 보수 작업을 편리하고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
10: 리듀서
20: 스프링클러 헤드 30: 집중방사부재
31: 체결부 32: 길이연장부
33: 원뿔부
20: 스프링클러 헤드 30: 집중방사부재
31: 체결부 32: 길이연장부
33: 원뿔부
Claims (5)
-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소화수가 유입되는 리듀서(10);
상기 리듀서(10)에 지면과 수평하도록 설치되며, 살수된 소화수가 방사되도록 소화수를 넓게 퍼트리는 디플렉터(22)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헤드(20); 및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20)에서 측방을 향해 방사되는 소화수의 방사 반경을 줄이면서도 방사되는 거리가 연장되도록 하는 집중방사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집중방사부재(30)는 살수되는 소화수가 부딪혀 방사되기 시작하는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20)의 말단에서부터 소화수의 방사 반경을 줄이면서도 방사되는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일부분이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20)의 길이에 비례하여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중방사부재(30)는,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20)에 체결되는 체결부(31);
상기 체결부(31)로부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20)의 길이와 비례하여 연장형성되는 길이연장부(32); 및
상기 길이연장부(32)의 일단에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20)의 살수구(24)로부터 멀어질수록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살수되는 소화수가 접촉면에 부딪혀 반사되면서 중심을 향해 모여 방사될 수 있도록 하는 원뿔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20)의 상기 리듀서(10)와 결합되는 결합부(21) 결합되며, 외면에 상기 체결부(31)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21)의 외경보다 상기 디플렉터(22)의 외경이 더 클 때, 상기 체결부(31)의 내경이 상기 디플렉터(2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20)가 상기 집중방사부재(30)를 관통하면서 상기 집중방사부재(30)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재(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집중방사부재(30)는 상기 원뿔부(33)의 말단에 방사되는 소화수가 수평으로 방사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유도부(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20)는 유리벌브형 스프링클러 헤드(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0789 | 2022-04-25 | ||
KR20220050789 | 2022-04-2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1463A true KR20230151463A (ko) | 2023-11-01 |
Family
ID=8874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4422A Pending KR20230151463A (ko) | 2022-04-25 | 2023-04-04 |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51463A (ko) |
-
2023
- 2023-04-04 KR KR1020230044422A patent/KR20230151463A/ko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5583B1 (ko) | 화재진압용 스프링쿨러 | |
KR102037710B1 (ko) | 화재 방지 시스템 | |
EP1274489B9 (en) | Sprinklers | |
CN113993597A (zh) | 可隐藏的窗户喷洒器 | |
KR102176066B1 (ko) |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 |
WO2017156439A1 (en) | Long-throw fire sprinkler | |
KR20230151463A (ko) | 측방 직방사형 스프링클러 | |
KR20140035162A (ko) | 주변 화재 차단용 수막 형성 시스템 | |
KR102146819B1 (ko) |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 |
KR101423877B1 (ko) | 분기형 스프링클러 | |
US6745847B2 (en) | Fire extinguishing spray nozzle | |
KR20230151454A (ko) | 측방 방사형 스프링클러 | |
AU2012243478B2 (en) | A fire-fighting extinguisher nozzle; a method for fabricating such nozzl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spray of fine-droplet mist | |
KR100932322B1 (ko) | 주변의 화재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한 수막설비시스템 | |
JPH09122537A (ja) | 消火ノズル | |
JP2968932B2 (ja) | 近距離用放水ノズル | |
JP4768295B2 (ja) | 消火ヘッド | |
KR102156266B1 (ko) | 건축물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 | |
KR20180025553A (ko) | 화재 확산 방지용 수공압 분사장치 | |
KR200258499Y1 (ko) | 소방용 유체 분무 노즐 | |
KR102213957B1 (ko) | 스프링 쿨러 | |
US20210260423A1 (en) | Sprinkler Head | |
KR101047028B1 (ko) | 스프링클러 헤드 | |
KR101799182B1 (ko) | 소화용 분사노즐 | |
KR200386001Y1 (ko) | 화재진압용 측벽형 미분무수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