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76066B1 -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066B1
KR102176066B1 KR1020200015562A KR20200015562A KR102176066B1 KR 102176066 B1 KR102176066 B1 KR 102176066B1 KR 1020200015562 A KR1020200015562 A KR 1020200015562A KR 20200015562 A KR20200015562 A KR 20200015562A KR 102176066 B1 KR102176066 B1 KR 102176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nipple
extinguishing water
spray
sprink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주) 인곡기술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곡기술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 인곡기술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015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0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09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telescopic or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kitchens or sto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방 가스대 상부의 주방후드를 회피한 위치의 천정면에 출몰형 스프링클러 부재를 설치하여 효과적인 초기 소화가 가능하도록 구조 개선된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Sprinkler system for apartment building fire fighting}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방 가스대 상부의 주방후드를 회피한 위치의 천정면에 출몰형 스프링클러 부재를 설치하여 효과적인 초기 소화가 가능하도록 구조 개선된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발생한 화재의 진화는 소화기에 의한 진화, 소화전을 이용한 진화, 소방차와 소방대원에 의한 진화, 그리고 스프링클러 장치에 의한 진화로 구분될 수 있다.
소화기에 의한 진화와 소화전에 의한 진화는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입주자가 소화기 또는 소화전을 이용하여 진화하는 것으로 초기 진화에 효과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입주자의 연령별 또는 소방교육 이수 여부에 따라 소화기 또는 소화전을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소방차와 소방대원에 의한 진화는 화재가 발생하고 화재신고가 접수된 후 소방차와 소방대원이 화재 현장에 출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초기 진화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각 소방대에서는 화재발생초기의 진화를 매우 중요시하고 있으며, 소위 화재골든타임이라고 하는 5~10분 이내의 진화를 목표로 정화고 만전을 기하고 있으나, 교통상황이나 골목길 불법주차 등으로 인하여 출동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화용 저수조(1)와, 저수조(1)에 연결되며 파이프 덕트 내에 설치되는 입상관을 포함하는 1차 배관(2)과, 1차 배관(2)에 개폐밸브(3)를 통해 연결되어 천장 내에 설치되는 2차 배관(4)과, 2차 배관(4)에 설치되어 천장에서 노출되는 스프링클러 헤드(5)를 포함하며, 1차 배관(2)에는 저수조(1) 내의 물을 펌핑하는 가압펌프(6)와 압력탱크(7)가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는 화재감지기에 의하여 화재가 감지되면, 제1 배관(2)에 소화수가 공급되어 채워지고, 개폐밸브(3)가 개방되어 제2 배관(4)에도 소화수가 공급되어 채워지지만, 스프링클러 헤드(5)에 구비된 퓨즈(미도시)가 통상적으로 100℃ 이상이 되었을 때 녹으면서 탈락한 후에야 비로소 살수가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가스레인지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초기 진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화재가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스프링클러 헤드(5)에서 살수되는 소화수는 디플렉터(미도시)에 의하여 확산되기 때문에 발화점, 즉 가스레인지에 대한 집중적인 소화수의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초기 진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스레인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배기후드는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성분이 부착되어 불이 붙을 경우 배기덕트를 타고 급속도로 확산될 염려가 있는 부분인 바, 종래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분사되는 소화수는 배기후드에 대해서는 분사되지 않기 때문에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스레인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가스레인지 화재 진화 전용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는 경우, 천장반자를 들어내고 배관작업을 수행한 다음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고, 천장반자를 다시 설치하는 작업을 거쳐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가스레인지 상부에는 배기후드가 설치되는 관계로 가스레인지 화재 진화 전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으며, 가스레인지 화재 진화 전용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더라도 배기후드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진화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58935호(2016.09.13.),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주방 가스대 상부의 주방후드를 회피한 위치의 천정면에 출몰형 스프링클러 부재를 설치하여 효과적인 초기 소화가 가능하도록 구조 개선된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면벽(W1)과 측벽(W2)으로 구획된 공간에 개수대(11)가 구비된 싱크대(10)와, 가스레인지(21)가 안착되는 가스대(20)가 구비되고, 가스대(20)의 상부에는 배기후드(30)가 구비되며, 전면벽(W1)에 설치된 주방급수전(100)을 구비하고, 상기 배기후드(30)와 간섭되지 않은 주방 천정면에는 소화수배관(700)에 연결 설치된 출몰형 스프링클러 부재(200)를 설치하되,
상기 스프링클러 부재(200)는 천정 내부에 매립된 부재하우징(210)과, 상기 부재하우징(210)의 개방된 하단을 밀폐하며 천정면에 고정되는 부재베이스(220)와, 상기 부재베이스(2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출몰되는 헤드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하우징(210) 내부에는 상기 헤드부(230)를 출몰시키는 토출유닛(250)이 내장되며; 상기 토출유닛(250)은 원통형 본체(252)와, 상기 원통형 본체(252)에 내장되며 중앙에 통과구멍(254)이 형성된 구동로드(256)와, 상기 구동로드(256)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구동로드(256)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내부가 비어 있는 로드삽입통(258)과, 상기 로드삽입통(258)이 관통되게 지지하면서 상기 원통형 본체(252)의 상단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구동로드(256)의 운동을 제한하는 캡(260)과, 상기 원통형 본체(252)의 하단에 걸림 고정되는 하부록커(262)와, 상기 로드삽입통(258)의 상단에 걸림 고정되는 상부록커(264)와, 상기 하부록커(262)와 상부록커(264)를 연결하여 상기 로드삽입통(258)이 항상 당겨지도록 작용하는 당김스프링(266)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삽입통(258)의 상단에는 상술한 헤드부(230)가 조립 고정된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배관(700)의 일부에는 분기관(DP)을 분기 형성하고, 상기 분기관(DP)에는 연통접속부(710)를 더 설치하며, 상기 연통접속부(710)에는 제연소화수 분사기(600)가 접속되고;
상기 제연소화수 분사기(600)는 원통형상의 분사기하우징(610)과, 상기 분사기하우징(6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트리거(TRI)를 갖춘 권총손잡이(HAN)와, 상기 분사기하우징(610)에 내장되고 트리거(TRI)에 의해 구동되는 제연팬(620)과, 상기 분사기하우징(610)의 선단에 고정된 깔대기 형태의 분사가이드(630)와, 상기 분사가이드(630)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고 분사호스(300)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 분사홀(650)과, 상기 분사홀(650)에 조립되어 소화수를 안개 형태로 분무하여 제연팬(620)의 송풍압에 의해 전방으로 토출되면서 제연 냉각시키도록 안내하는 분사니뿔(660)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니뿔(660)은 직관 형태의 니뿔몸체(662)와, 상기 니뿔몸체(662)의 일단에서 축관되고 상기 분사홀(650)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664)와, 상기 니뿔몸체(662)의 타단에 단턱져 확관된 형태로 형성된 반구형상의 니뿔헤드(666)와, 상기 니뿔헤드(666)의 내부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정류챔버(668)와, 상기 분사홀(650)과 연통되도록 상기 니뿔몸체(662)에 형성되고 상기 정류챔버(668)와 연결된 공급유로(P1)와, 상기 공급유로(P1)와 연통되고 상기 니뿔몸체(662)와 니뿔헤드(666) 사이의 단턱을 통해 분출가능하게 형성된 분사유로(P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주방 가스대 상부의 주방후드를 회피한 위치의 천정면에 출몰형 스프링클러 부재를 설치하여 효과적인 초기 소화가 가능하도록 구조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방 적용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적용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부재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설치되는 연통접속부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제연소화수 분사기의 사용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도 2의 예시와 같이, 전면벽(W1)과 측벽(W2)으로 구획된 공간에 개수대(11)가 구비된 싱크대(10)와, 가스레인지(21)가 안착되는 가스대(20)가 구비되고, 가스대(20)의 상부에는 배기후드(30)가 구비되며, 전면벽(W1)에 설치된 주방급수전(100)을 구비한 주방에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후드(30)와 간섭되지 않은 주방 천정면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은 스프링클러 부재(200)가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클러 부재(200)는 소화수배관(700)에 연결 설치되고, 화재시에만 돌출되어 방사상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싱크대(10)와 가스대(20) 주변에서의 초기 소화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클러 부재(200)는 천정 내부에 매립된 부재하우징(210)과, 상기 부재하우징(210)의 개방된 하단을 밀폐하며 천정면에 고정되는 부재베이스(220)와, 상기 부재베이스(2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출몰되는 헤드부(23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부재하우징(210) 내부에는 상기 헤드부(230)를 출몰시키는 토출유닛(250)이 내장된다.
여기에서, 상기 토출유닛(250)은 원통형 본체(252)와, 상기 원통형 본체(252)에 내장되며 중앙에 통과구멍(254)이 형성된 구동로드(256)와, 상기 구동로드(256)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구동로드(256)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내부가 비어 있는 로드삽입통(258)과, 상기 로드삽입통(258)이 관통되게 지지하면서 상기 원통형 본체(252)의 상단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구동로드(256)의 운동을 제한하는 캡(260)과, 상기 원통형 본체(252)의 하단에 걸림 고정되는 하부록커(262)와, 상기 로드삽입통(258)의 상단에 걸림 고정되는 상부록커(264)와, 상기 하부록커(262)와 상부록커(264)를 연결하여 상기 로드삽입통(258)이 항상 당겨지도록 작용하는 당김스프링(26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드삽입통(258)의 상단에는 상술한 헤드부(230)가 조립 고정된다.
그리하여, 소화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압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당김스프링(266)의 당김력에 의해 구동로드(256)가 상사점으로 올라가 있어 헤드부(230)가 원중심에 밀착된 상태로 천정 속으로 들어간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다가, 화재경보가 발령되면서 소화수가 공급되면 수압이 커지면서 당김스프링(266)의 압축력을 이기게 되고, 이로 인해 구동로드(256)는 하강하다가 최대 하사점까지 하강하게 되면 헤드부(230)는 천정에서 노출되면서 분사구(TR)를 통해 분사되면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소화수배관(700)의 일부에는 별도의 분기관(DP)을 분기시켜 측벽(W2, 도 2 참조)을 타고 일정길이 연장되게 한 후 상기 분기관(DP)에 연통접속부(71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연통접속부(710)는 실내에서 거주자가 필요시 자가 소화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으로, 스프링클러 부재의 한 축을 담당케 하여 복합적인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하여 준다.
이때, 상기 연통접속부(710)에는 후술되는 도 6과 같은 제연소화수 분사기(600)가 접속되어 사용된다.
그럼, 먼저 연통접속부(71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연통접속부(710)는 길이 일부가 분절되어 상부관(712)과 하부관(714)으로 나뉘고, 상기 하부관(714)이 상기 상부관(712)의 하단에 나사체결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착탈 가능한 형태이며, 하부관(714)의 내부에는 도시상 하단인 개방단부를 밀폐할 수 있는 밀폐부재(7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720)는 원판형태의 씰링부재이며, 밀폐부재(720)가 걸릴 수 있도록 하부관(714)의 하단 내주면에는 걸림턱(7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관(714)의 상단 내부에는 원판 형태의 고정판(716)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716)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분사공(WH)이 천공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밀폐부재(720)의 상면 중앙에는 안내봉(724)이 수직하게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안내봉(724)의 상단은 상기 고정판(716)의 원중심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며, 고정판(716)의 하단면과 상기 밀폐부재(720)의 상단면 사이에는 스프링(SP)이 개재되는데 상기 스프링(SP)은 상기 안내봉(724)에 끼워진 상태로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안내봉(724)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밀폐부재(720)의 원중심은 일정반경에 걸쳐 상하 양면에 스틸재의 판이 일체로 고정되고, 이를 관통하여 안내봉(724)이 스틸재의 판에 견고히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관(714)의 내경 일부에는 걸림턱(722)의 상단면으로부터 상기 밀폐부재(720)의 두께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내경이 조금 확경된 단차면(726)이 형성된다.
상기 단차면(726)이 형성된 이유는 상기 밀폐부재(720)가 상승했을 때 밀폐부재(720)의 외주면과 유격이 생기도록 하여 물이 수압에 의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평상시에는 밀폐부재(720)가 걸림턱(722)에 안착된 상태로 그 상부를 가압하는 수압에 의해 하부관(714)의 하단인 개방단부를 완전히 밀폐하고 있어 누수되지 않도록 하고 있지만, 접속구(400)의 상단이 하부관(714)의 개방단부를 통해 상승하면서 상기 밀폐부재(720)를 밀어 올리게 되면 스프링(SP)이 압축되면서 밀폐부재(720)가 밀려 올라가게 되고 이때 단차면(726)을 통해 하강한 소화수가 접속구(400)을 타고 배출되면서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6의 예시와 같이, 상기 제연소화수 분사기(600)에는 접속구(400)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구(400)는 그 상단에 상기 연통접속부(710)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접속구(400) 몸체 보다 작은 직경의 삽입단(412)이 형성되며, 삽입단(412)의 상단면 및 둘레면에는 관통공(414)이 형성되어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삽입단(412)의 둘레와 간격을 두고 상기 하부관(714)의 외경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416)가 형성된다.
따라서, 접속구(400)를 연통접속부(710)에 끼운 후 나사체결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도킹되면서 소화수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접속구(400)는 분사호스(300)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연소화수 분사기(600)의 분사가이드(63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연소화수 분사기(600)는 원통형상의 분사기하우징(610)과, 상기 분사기하우징(6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트리거(TRI)를 갖춘 권총손잡이(HAN)와, 상기 분사기하우징(610)에 내장되고 트리거(TRI)에 의해 구동되는 제연팬(620)과, 상기 분사기하우징(610)의 선단에 고정된 깔대기 형태의 분사가이드(630)와, 상기 분사가이드(630)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고 분사호스(300)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 분사홀(650)과, 상기 분사홀(650)에 조립되어 소화수를 안개 형태로 분무하여 제연팬(620)의 송풍압에 의해 전방으로 토출되면서 제연 냉각시키도록 안내하는 분사니뿔(66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분사기하우징(610)의 후단은 개방된 상태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제연팬(620)에 의해 송풍시 공기를 빨아 당겨 내뿜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분사가이드(630)에는 반경방향으로 소화수공급관로(640)가 형성되고, 상기 소화수공급관로(640)는 상기 분사호스(300)의 토출단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토출단에는 상기 트리거(TRI)의 동작에 따라 개폐되는 일종의 솔레노이드밸브인 개폐밸브(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이들의 개폐에 사용되는 전기는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다만, 배터리는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즉, 권총손잡이(HAN) 내부에는 제어판(미도시)이 내장되고, 트리거(TRI)의 동작에 따라 제연팬(620) 및 개폐밸브의 구동 신호를 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사홀(650)은 상기 소화수공급관로(640) 상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분사니뿔(660)은 직관 형태의 니뿔몸체(662)와, 상기 니뿔몸체(662)의 일단에서 축관되고 상기 분사홀(650)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664)와, 상기 니뿔몸체(662)의 타단에 단턱져 확관된 형태로 형성된 반구형상의 니뿔헤드(666)와, 상기 니뿔헤드(666)의 내부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정류챔버(668)와, 상기 분사홀(650)과 연통되도록 상기 니뿔몸체(662)에 형성되고 상기 정류챔버(668)와 연결된 공급유로(P1)와, 상기 공급유로(P1)와 연통되고 상기 니뿔몸체(662)와 니뿔헤드(666) 사이의 단턱을 통해 분출가능하게 형성된 분사유로(P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화재시 도킹완료 한 후 트리거(TRI)를 당기면 제연팬(620)이 가동됨과 동시에 분사호스(300)의 토출단에 설치된 개폐밸브(미도시)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소화수는 니뿔몸체(662)의 정류챔버(668)에서 머물면서 압이 높아진 상태로 분사유로(P2)를 통해 미스트 형태로 분무 혹은 분사된다.
그러면, 이 미스트 형태의 분무는 분사가이드(630) 전방을 향해 이루어지며, 그와 동시에 제연팬(620)이 가동되면서 강한 송풍압이 토출되어 미스트 형태의 분무를 전방으로 토출시킨다.
이것은 실내에 퍼지는 고온의 연기를 불어내어 배출시킴과 동시에 온도를 떨어뜨려 대피자가 뜨거운 열기에 의해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하여 주며, 특히 소화수가 분무됨으로 인해 냉각기능이 향상되므로 제연 효과도 커지게 되고, 거주자가 급히 원하는 부위 소화를 신속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어 초기 진화에 지대한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100: 주방급수전
200: 스프링클러 부재

Claims (1)

  1. 전면벽(W1)과 측벽(W2)으로 구획된 공간에 개수대(11)가 구비된 싱크대(10)와, 가스레인지(21)가 안착되는 가스대(20)가 구비되고, 가스대(20)의 상부에는 배기후드(30)가 구비되며, 전면벽(W1)에 설치된 주방급수전(100)을 구비하고, 상기 배기후드(30)와 간섭되지 않은 주방 천정면에는 소화수배관(700)에 연결 설치된 출몰형 스프링클러 부재(200)를 설치하되,
    상기 스프링클러 부재(200)는 천정 내부에 매립된 부재하우징(210)과, 상기 부재하우징(210)의 개방된 하단을 밀폐하며 천정면에 고정되는 부재베이스(220)와, 상기 부재베이스(2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출몰되는 헤드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하우징(210) 내부에는 상기 헤드부(230)를 출몰시키는 토출유닛(250)이 내장되며; 상기 토출유닛(250)은 원통형 본체(252)와, 상기 원통형 본체(252)에 내장되며 중앙에 통과구멍(254)이 형성된 구동로드(256)와, 상기 구동로드(256)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구동로드(256)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내부가 비어 있는 로드삽입통(258)과, 상기 로드삽입통(258)이 관통되게 지지하면서 상기 원통형 본체(252)의 상단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구동로드(256)의 운동을 제한하는 캡(260)과, 상기 원통형 본체(252)의 하단에 걸림 고정되는 하부록커(262)와, 상기 로드삽입통(258)의 상단에 걸림 고정되는 상부록커(264)와, 상기 하부록커(262)와 상부록커(264)를 연결하여 상기 로드삽입통(258)이 항상 당겨지도록 작용하는 당김스프링(266)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삽입통(258)의 상단에는 상술한 헤드부(230)가 조립 고정된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배관(700)의 일부에는 분기관(DP)을 분기 형성하고, 상기 분기관(DP)에는 연통접속부(710)를 더 설치하며, 상기 연통접속부(710)에는 제연소화수 분사기(600)가 접속되고;
    상기 제연소화수 분사기(600)는 원통형상의 분사기하우징(610)과, 상기 분사기하우징(6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트리거(TRI)를 갖춘 권총손잡이(HAN)와, 상기 분사기하우징(610)에 내장되고 트리거(TRI)에 의해 구동되는 제연팬(620)과, 상기 분사기하우징(610)의 선단에 고정된 깔대기 형태의 분사가이드(630)와, 상기 분사가이드(630)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고 분사호스(300)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 분사홀(650)과, 상기 분사홀(650)에 조립되어 소화수를 안개 형태로 분무하여 제연팬(620)의 송풍압에 의해 전방으로 토출되면서 제연 냉각시키도록 안내하는 분사니뿔(660)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니뿔(660)은 직관 형태의 니뿔몸체(662)와, 상기 니뿔몸체(662)의 일단에서 축관되고 상기 분사홀(650)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664)와, 상기 니뿔몸체(662)의 타단에 단턱져 확관된 형태로 형성된 반구형상의 니뿔헤드(666)와, 상기 니뿔헤드(666)의 내부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정류챔버(668)와, 상기 분사홀(650)과 연통되도록 상기 니뿔몸체(662)에 형성되고 상기 정류챔버(668)와 연결된 공급유로(P1)와, 상기 공급유로(P1)와 연통되고 상기 니뿔몸체(662)와 니뿔헤드(666) 사이의 단턱을 통해 분출가능하게 형성된 분사유로(P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0200015562A 2020-02-10 2020-02-10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Active KR102176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562A KR102176066B1 (ko) 2020-02-10 2020-02-10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562A KR102176066B1 (ko) 2020-02-10 2020-02-10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066B1 true KR102176066B1 (ko) 2020-11-10

Family

ID=7354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562A Active KR102176066B1 (ko) 2020-02-10 2020-02-10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0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869B1 (ko) * 2020-11-23 2021-08-05 (주)서영티이씨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자동 소방 작동 시스템
KR102298642B1 (ko) * 2020-12-01 2021-09-07 (주)한승이엔씨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
KR102760044B1 (ko) 2024-07-16 2025-01-24 대평엔지니어링(주) 공동주택 건축물의 지능형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778788B1 (ko) 2023-12-28 2025-03-07 임준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운용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7630A (ja) * 2008-03-03 2009-09-17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及び湿式の予作動式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1658935B1 (ko) 2016-05-30 2016-09-22 현대공영(주)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KR101679705B1 (ko) * 2016-06-17 2016-11-2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신속 작동이 가능한 스프링클러를 갖춘 소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7630A (ja) * 2008-03-03 2009-09-17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及び湿式の予作動式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1658935B1 (ko) 2016-05-30 2016-09-22 현대공영(주)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KR101679705B1 (ko) * 2016-06-17 2016-11-2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신속 작동이 가능한 스프링클러를 갖춘 소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869B1 (ko) * 2020-11-23 2021-08-05 (주)서영티이씨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자동 소방 작동 시스템
KR102298642B1 (ko) * 2020-12-01 2021-09-07 (주)한승이엔씨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
KR102778788B1 (ko) 2023-12-28 2025-03-07 임준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운용 시스템
KR102760044B1 (ko) 2024-07-16 2025-01-24 대평엔지니어링(주) 공동주택 건축물의 지능형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6066B1 (ko)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995990B1 (ko)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2187037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EP0637977B1 (en) Installation for fighting fire
CZ263896A3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1738879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KR102146819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KR102402164B1 (ko)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
KR101783683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
KR102231652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방화벽 장치 작동시스템
KR102156266B1 (ko) 건축물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
KR102146818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안전 기구함 장치
JPH09276433A (ja) 自動消火装置用噴射ノズル
US20250041641A1 (en) Fire extinguishing tank equipped with fixed floor watering device for responding to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fires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200400018Y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CN209900480U (zh) 一种适用于地下车库的消防系统
KR101783684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KR200408362Y1 (ko) 플러시형 드라이 팬턴트 타입 스프링클러 헤드
KR102288905B1 (ko)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용 소방시스템
KR102300167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안정화 시스템
CN211015081U (zh) 一种实验室安全监控预警系统
CN117437819A (zh) 用于消防训练的模拟燃烧装置
CN221932938U (zh) 一种具有低压充气功能的灭火报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