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642B1 -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8642B1 KR102298642B1 KR1020200165679A KR20200165679A KR102298642B1 KR 102298642 B1 KR102298642 B1 KR 102298642B1 KR 1020200165679 A KR1020200165679 A KR 1020200165679A KR 20200165679 A KR20200165679 A KR 20200165679A KR 102298642 B1 KR102298642 B1 KR 1022986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pipe
- fixed
- switch
- firefigh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RSWGJHLUYNHPMX-UHFFFAOYSA-N Abietic-Saeure Natural products C12CCC(C(C)C)=CC2=CCC2C1(C)CCCC2(C)C(O)=O RSWGJHLUYNHPM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KHPCPRHQVVSZAH-HUOMCSJISA-N Rosin Natural products O(C/C=C/c1ccccc1)[C@H]1[C@H](O)[C@@H](O)[C@@H](O)[C@@H](CO)O1 KHPCPRHQVVSZAH-HUOMCSJI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KHPCPRHQVVSZAH-UHFFFAOYSA-N trans-cinnamyl beta-D-glucopyra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CC1=CC=CC=C1 KHPCPRHQVVSZA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285 xanthan gum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40082509 xanthan gum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0493 xanthan g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30 xanthan g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kitchens or stov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상기 스프링클러 부재(200)는 소화수배관(300)에 조립되는 체결단(210)을 포함하고, 체결단(210)은 부재본체(220)의 상단에서 돌출된 관상체로 형성되며, 부재본체(220)는 '⊂' 형상의 부재와 '⊃' 형상의 부재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단은 각각 관상체인 체결단(21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단은 각각 관상체인 고정단(23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고정단(230)에는 고정볼트(240)가 체결고정되고, 고정볼트(240)의 하단에는 회전디스크(250)가 제자리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되며, 회전디스크(250)의 하단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깊이의 볼홈(254)이 'V' 형상으로 요입형성되고, 볼홈(254)에는 구름볼(256)이 안착되며, 구름볼(256)은 볼지지판(258)에 의해 지지되고, 볼지지판(258)은 체결볼트(260)에 의해 고정볼트(240)의 하단면 중심에 체결되며, 고정볼트(240)의 하단과 체결단(210) 사이에는 일정한 열을 받으면 파열되는 파열구(270)가 개재되고, 파열구(270)의 상단에는 체결단(210)의 하단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밀봉하는 마개(272)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마개(272)는 파열구(27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마개(272)의 둘레에는 오링이 끼워지는데, 상기 오링은 폴리우레탄수지 30중량%, 송진 10중량%, 잔탄검 10중량% 및 나머지 실리콘 수지로 구성된 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사용하고;
상기 체결단(210)이 조립되는 소화수배관(300)은 배관부(302)와 배관단부(304)로 분할구성되고, 상호 플랜지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하면서 체결단(210)은 배관단부(304)에 설치되며, 배관부(302)에는 개폐밸브(310)가 축(3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개폐밸브(310)의 일측면 중심에는 와이어링(314)이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링(314)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밸브(310)의 면 쪽에는 배관부(30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4개의 출몰돌기체(320)가 설치되고;
상기 출몰돌기체(320)는 배관부(302)의 외주면에 나사체결되는 하우징(322)과, 상기 하우징(322)에 끼워지고 일정길이 배관부(302) 내경으로 노출되게 조립되는 출몰돌기(324)와, 상기 출몰돌기(324)를 당겨 압축하는 압축스프링(326)과, 상기 압축스프링(326)을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322)에 나사체결되는 커버(328)로 구성되며; 상기 출몰돌기(324)의 단부에는 와이어(W)의 일단이 고정되고, 와이어(W)의 타단은 출몰돌기(324)를 관 내부로 노출시키게 당겨진 상태로 상기 와이어링(314)을 경유하여 체결단(210)에 밀폐되어 있는 마개(27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소방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부재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배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제연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홈자동제어기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소방장치에 적용되는 템퍼스위치의 예시도이다.
Claims (1)
- 전면벽(W1)과 측벽(W2)으로 구획된 공간에 개수대(11)가 구비된 싱크대(10)와, 가스레인지(21)가 안착되는 가스대(20)와, 가스대(20)의 상부에 설치된 배기후드(30)와, 전면벽(W1)에 설치된 주방급수전(100)과, 주방급수전(100)에서 분기된 분기관이 접속된 소화수배관(300) 및 소화수배관(300)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부재(200), 상기 분기관에 내장되어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에 따른 소화수 공급 유무를 검출하도록 설계된 주방 소방장치에 적용되는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로서, 상기 탬퍼스위치는 스위치본체(110)와, 상기 스위치본체(110)를 고정하는 체결구(120)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본체(110)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지난 분기관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배터리가 내장되고 외부로는 제1,2전원단자(114a,114b)가 노출된 수감지센서(112)와, 상기 수감지센서(112)를 고정하는 고정커버(116)와, 상기 고정커버(116)의 상면 중앙에서 돌출되고 긴밀하게 씰링된 채 분기관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체결구(120)에 결속되는 고정나사단(118)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 부재(200)는 소화수배관(300)에 조립되는 체결단(210)을 포함하고, 체결단(210)은 부재본체(220)의 상단에서 돌출된 관상체로 형성되며, 부재본체(220)는 '⊂' 형상의 부재와 '⊃' 형상의 부재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단은 각각 관상체인 체결단(21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단은 각각 관상체인 고정단(23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고정단(230)에는 고정볼트(240)가 체결고정되고, 고정볼트(240)의 하단에는 회전디스크(250)가 제자리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되며, 회전디스크(250)의 하단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깊이의 볼홈(254)이 'V' 형상으로 요입형성되고, 볼홈(254)에는 구름볼(256)이 안착되며, 구름볼(256)은 볼지지판(258)에 의해 지지되고, 볼지지판(258)은 체결볼트(260)에 의해 고정볼트(240)의 하단면 중심에 체결되며, 고정볼트(240)의 하단과 체결단(210) 사이에는 일정한 열을 받으면 파열되는 파열구(270)가 개재되고, 파열구(270)의 상단에는 체결단(210)의 하단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밀봉하는 마개(272)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마개(272)는 파열구(27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마개(272)의 둘레에는 오링이 끼워지는데, 상기 오링은 폴리우레탄수지 30중량%, 송진 10중량%, 잔탄검 10중량% 및 나머지 실리콘 수지로 구성된 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사용하고;
상기 체결단(210)이 조립되는 소화수배관(300)은 배관부(302)와 배관단부(304)로 분할구성되고, 상호 플랜지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하면서 체결단(210)은 배관단부(304)에 설치되며, 배관부(302)에는 개폐밸브(310)가 축(3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개폐밸브(310)의 일측면 중심에는 와이어링(314)이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링(314)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밸브(310)의 면 쪽에는 배관부(30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4개의 출몰돌기체(320)가 설치되고;
상기 출몰돌기체(320)는 배관부(302)의 외주면에 나사체결되는 하우징(322)과, 상기 하우징(322)에 끼워지고 일정길이 배관부(302) 내경으로 노출되게 조립되는 출몰돌기(324)와, 상기 출몰돌기(324)를 당겨 압축하는 압축스프링(326)과, 상기 압축스프링(326)을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322)에 나사체결되는 커버(328)로 구성되며; 상기 출몰돌기(324)의 단부에는 와이어(W)의 일단이 고정되고, 와이어(W)의 타단은 출몰돌기(324)를 관 내부로 노출시키게 당겨진 상태로 상기 와이어링(314)을 경유하여 체결단(210)에 밀폐되어 있는 마개(27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5679A KR102298642B1 (ko) | 2020-12-01 | 2020-12-01 |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5679A KR102298642B1 (ko) | 2020-12-01 | 2020-12-01 |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8642B1 true KR102298642B1 (ko) | 2021-09-07 |
Family
ID=77797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5679A Active KR102298642B1 (ko) | 2020-12-01 | 2020-12-01 |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864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887993A (zh) * | 2022-11-22 | 2023-04-04 | 江苏凯迪消防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厨房定点位置消防的可调压喷雾覆盖机构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8935B1 (ko) | 2016-05-30 | 2016-09-22 | 현대공영(주) |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
KR101836848B1 (ko) * | 2016-11-02 | 2018-03-09 |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 |
KR102176066B1 (ko) * | 2020-02-10 | 2020-11-10 | (주) 인곡기술사사무소 |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
-
2020
- 2020-12-01 KR KR1020200165679A patent/KR10229864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8935B1 (ko) | 2016-05-30 | 2016-09-22 | 현대공영(주) |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
KR101836848B1 (ko) * | 2016-11-02 | 2018-03-09 |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 |
KR102176066B1 (ko) * | 2020-02-10 | 2020-11-10 | (주) 인곡기술사사무소 |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887993A (zh) * | 2022-11-22 | 2023-04-04 | 江苏凯迪消防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厨房定点位置消防的可调压喷雾覆盖机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73403B1 (ko)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 |
CA2610492C (en) | Releasing control unit for a residential fire protection system | |
KR102273404B1 (ko) |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 |
US20070215362A1 (en) | Fire sprinkler system | |
US5099925A (en) | Dry sprinkler system | |
US10870028B2 (en) | Sprinkler system with a pre-action sprinkler head | |
KR101761721B1 (ko) |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 |
WO2017200390A1 (en) | Fire alarm valve | |
KR20200098317A (ko) |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 |
KR102231652B1 (ko) |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방화벽 장치 작동시스템 | |
KR102298642B1 (ko) |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 | |
KR102261325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 |
KR102288905B1 (ko) |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용 소방시스템 | |
KR102300165B1 (ko) | 공동주택의 소방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 |
KR102300167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안정화 시스템 | |
KR102274094B1 (ko)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위치 자동검출 시스템 | |
KR102288908B1 (ko)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 용수 공급시스템 | |
KR102285868B1 (ko) | 공동주택의 소방 스프링클러 고장 감지 시스템 | |
KR102262628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무인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 |
KR102274097B1 (ko) | 공동주택의 화재예방 시스템 | |
KR102285097B1 (ko) |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자동감시 시스템 | |
KR102275409B1 (ko) |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대피 시스템 | |
KR102273400B1 (ko) | 공동주택의 소방 인명구조 시스템 | |
KR102273307B1 (ko) | 공동주택용 소방장치 | |
KR102273405B1 (ko) | 공동주택의 소방용 제연 관리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2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