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400B1 - 공동주택의 소방 인명구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소방 인명구조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3400B1 KR102273400B1 KR1020200160997A KR20200160997A KR102273400B1 KR 102273400 B1 KR102273400 B1 KR 102273400B1 KR 1020200160997 A KR1020200160997 A KR 1020200160997A KR 20200160997 A KR20200160997 A KR 20200160997A KR 102273400 B1 KR102273400 B1 KR 1022734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pipe
- fixed
- smoke control
- fast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2—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usible link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kitchens or stov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blowing air or gas currents with or without dispersion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Apparatus therefor, e.g. fa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smoke or ga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상기 마개(272)는 파열구(27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마개(272)의 둘레에는 오링이 끼워지는데, 상기 오링은 폴리우레탄수지 30중량%, 송진 10중량%, 잔탄검 10중량% 및 나머지 실리콘 수지로 구성된 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사용하고;
상기 체결단(210)이 조립되는 소화수배관(300)은 배관부(302)와 배관단부(304)로 분할구성되고, 상호 플랜지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하면서 체결단(210)은 배관단부(304)에 설치되며, 배관부(302)에는 개폐밸브(310)가 축(3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개폐밸브(310)의 일측면 중심에는 와이어링(314)이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링(314)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밸브(310)의 면 쪽에는 배관부(30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4개의 출몰돌기체(320)가 설치되고;
상기 출몰돌기체(320)는 배관부(302)의 외주면에 나사체결되는 하우징(322)과, 상기 하우징(322)에 끼워지고 일정길이 배관부(302) 내경으로 노출되게 조립되는 출몰돌기(324)와, 상기 출몰돌기(324)를 당겨 압축하는 압축스프링(326)과, 상기 압축스프링(326)을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322)에 나사체결되는 커버(328)로 구성되며; 상기 출몰돌기(324)의 단부에는 와이어(W)의 일단이 고정되고, 와이어(W)의 타단은 출몰돌기(324)를 관 내부로 노출시키게 당겨진 상태로 상기 와이어링(314)을 경유하여 체결단(210)에 밀폐되어 있는 마개(27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소방 인명구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부재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배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누수감지기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연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화재시 출입문 개방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200: 스프링클러 부재
Claims (1)
- 싱크대(10), 가스대(20), 배기후드(30) 및 주방급수전(100)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후드(30)와 간섭되지 않은 주방 천정면에는 스프링클러 부재(200)를 설치하되, 스프링클러 부재(200)는 소화수배관(300)에 조립되는 체결단(210)을 포함하고, 체결단(210)은 부재본체(220)의 상단에서 돌출된 관상체로 형성되며, 부재본체(220)는 '⊂' 형상의 부재와 '⊃' 형상의 부재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단은 각각 관상체인 체결단(21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단은 각각 관상체인 고정단(23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고정단(230)에는 고정볼트(240)가 체결고정되고, 고정볼트(240)의 하단에는 회전디스크(250)가 제자리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되며, 회전디스크(250)의 하단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깊이의 볼홈(254)이 'V' 형상으로 요입형성되고, 볼홈(254)에는 구름볼(256)이 안착되며, 구름볼(256)은 볼지지판(258)에 의해 지지되고, 볼지지판(258)은 체결볼트(260)에 의해 고정볼트(240)의 하단면 중심에 체결되며, 고정볼트(240)의 하단과 체결단(210) 사이에는 일정한 열을 받으면 파열되는 파열구(270)가 개재되고, 파열구(270)의 상단에는 체결단(210)의 하단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밀봉하는 마개(272)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소화수배관(300)의 일측인 배관단부(304)의 하부면에는 누수감지기(400)가 더 설치되되, 누수감지기(400)는 누수 감지시 신호를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유선송신기(410)를 탑재한 센서블럭(420)을 포함하고, 센서블럭(420)은 블럭환(430)과 일체로 형성된 봉형상의 탄력가이드(440)를 더 포함하며, 센서블럭(420) 내부에는 배터리가 내장되고, 탄력가이드(440)에는 탄지스프링(450)이 끼워지며, 탄지스프링(450)의 선단은 탐지구(460)의 헤드부에 접지되고, 탐지구(46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가이드(470)를 관통하여 뾰족한 선단이 노출되게 끼워지며, 탐지구(460)의 선단에는 수감지센서(480)가 설치되고; 상기 소화수배관(300)의 일측인 배관부(302)의 외주면에는 고정플랜지(F1)가 용접 고정되고, 고정플랜지(F1)에는 제연플랜지(F2)가 볼트 체결되며, 제연플랜지(F2)는 배관부(302)에 끼워진 제연관(50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연관(500)에는 다수의 흡기구(510)가 형성되며, 실외에는 제연팬(530)이 설치되고, 제연팬(530)에는 흡기구(510)중 어느 하나와 연통된 제연덕트(520)가 연결되며; 실내에 구비된 화재감지기(600)에는 컨트롤러(610)가 내장되고, 상기 컨트롤러(610)는 실내 AP(Access Point)(620)와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되며, 현관문(630)에 설치된 도어락(640)에는 무선통신모듈(642)이 내장되어 상기 AP(620)와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화재 발생시 컨트롤러(610)의 신호를 받은 AP(620)로부터 특정신호를 수신했을 때 도어락(640)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전환된 후 기능을 상실하도록 설계되어 화재시 현관문(630)이 항상 오픈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주방에 적용되는 공동주택의 소방 인명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마개(272)는 파열구(27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마개(272)의 둘레에는 오링이 끼워지는데, 상기 오링은 폴리우레탄수지 30중량%, 송진 10중량%, 잔탄검 10중량% 및 나머지 실리콘 수지로 구성된 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사용하고;
상기 체결단(210)이 조립되는 소화수배관(300)은 배관부(302)와 배관단부(304)로 분할구성되고, 상호 플랜지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하면서 체결단(210)은 배관단부(304)에 설치되며, 배관부(302)에는 개폐밸브(310)가 축(3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개폐밸브(310)의 일측면 중심에는 와이어링(314)이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링(314)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밸브(310)의 면 쪽에는 배관부(30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4개의 출몰돌기체(320)가 설치되고;
상기 출몰돌기체(320)는 배관부(302)의 외주면에 나사체결되는 하우징(322)과, 상기 하우징(322)에 끼워지고 일정길이 배관부(302) 내경으로 노출되게 조립되는 출몰돌기(324)와, 상기 출몰돌기(324)를 당겨 압축하는 압축스프링(326)과, 상기 압축스프링(326)을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322)에 나사체결되는 커버(328)로 구성되며; 상기 출몰돌기(324)의 단부에는 와이어(W)의 일단이 고정되고, 와이어(W)의 타단은 출몰돌기(324)를 관 내부로 노출시키게 당겨진 상태로 상기 와이어링(314)을 경유하여 체결단(210)에 밀폐되어 있는 마개(27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소방 인명구조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0997A KR102273400B1 (ko) | 2020-11-26 | 2020-11-26 | 공동주택의 소방 인명구조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0997A KR102273400B1 (ko) | 2020-11-26 | 2020-11-26 | 공동주택의 소방 인명구조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3400B1 true KR102273400B1 (ko) | 2021-07-07 |
Family
ID=7686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0997A Active KR102273400B1 (ko) | 2020-11-26 | 2020-11-26 | 공동주택의 소방 인명구조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3400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423556A2 (en) * | 2010-08-27 | 2012-02-29 | General Electric Company | Apparatus for mounting pipe sensors |
KR101211675B1 (ko) * | 2006-06-30 | 2012-12-12 | 주식회사 케이티 | 재난 상황 발생시 도어락의 잠금 모드를 자동으로 해제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30005392A (ko) * | 2011-07-06 | 2013-01-16 | 강원도시가스 주식회사 | 가스 누출 검출 장치 |
KR101658935B1 (ko) | 2016-05-30 | 2016-09-22 | 현대공영(주) |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
KR101737755B1 (ko) * | 2017-01-17 | 2017-05-18 |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시설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 |
KR102158703B1 (ko) * | 2019-01-17 | 2020-09-22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회전가능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
-
2020
- 2020-11-26 KR KR1020200160997A patent/KR10227340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1675B1 (ko) * | 2006-06-30 | 2012-12-12 | 주식회사 케이티 | 재난 상황 발생시 도어락의 잠금 모드를 자동으로 해제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
EP2423556A2 (en) * | 2010-08-27 | 2012-02-29 | General Electric Company | Apparatus for mounting pipe sensors |
KR20130005392A (ko) * | 2011-07-06 | 2013-01-16 | 강원도시가스 주식회사 | 가스 누출 검출 장치 |
KR101658935B1 (ko) | 2016-05-30 | 2016-09-22 | 현대공영(주) |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
KR101737755B1 (ko) * | 2017-01-17 | 2017-05-18 |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시설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 |
KR102158703B1 (ko) * | 2019-01-17 | 2020-09-22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회전가능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73403B1 (ko)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 |
KR102273404B1 (ko) |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 |
KR101658935B1 (ko) |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 |
CA2610492C (en) | Releasing control unit for a residential fire protection system | |
CA2911790C (en) | Pre-action sprinkler head | |
US20070114046A1 (en) | Fire suppression system | |
KR101761721B1 (ko) |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 |
KR102261325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 |
KR102231652B1 (ko) |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방화벽 장치 작동시스템 | |
KR102300167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안정화 시스템 | |
KR101738879B1 (ko) |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 |
KR102273400B1 (ko) | 공동주택의 소방 인명구조 시스템 | |
KR102262628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무인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 |
KR102298642B1 (ko) |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 | |
KR102288905B1 (ko) |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용 소방시스템 | |
KR102285868B1 (ko) | 공동주택의 소방 스프링클러 고장 감지 시스템 | |
KR102275409B1 (ko) |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대피 시스템 | |
KR102273307B1 (ko) | 공동주택용 소방장치 | |
JP4290914B2 (ja) | 消火装置 | |
US269227A (en) | Automatic fire-extinguisher | |
KR102273405B1 (ko) | 공동주택의 소방용 제연 관리 시스템 | |
KR102288908B1 (ko)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 용수 공급시스템 | |
KR102274097B1 (ko) | 공동주택의 화재예방 시스템 | |
KR102274094B1 (ko)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위치 자동검출 시스템 | |
KR102285097B1 (ko) |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자동감시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2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