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51275A - Power semiconductor device,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wer semiconductor device,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275A
KR20230151275A KR1020220050743A KR20220050743A KR20230151275A KR 20230151275 A KR20230151275 A KR 20230151275A KR 1020220050743 A KR1020220050743 A KR 1020220050743A KR 20220050743 A KR20220050743 A KR 20220050743A KR 20230151275 A KR20230151275 A KR 20230151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region
power semiconductor
floating
emit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7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민기
우혁
박태영
이주환
조선형
윤성환
김태양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0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275A/en
Publication of KR20230151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275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9/739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2/00Bipolar devices controlled by the field effect, e.g. insulated-gate bipolar transistors [IGBT]
    • H10D12/411Insulated-gate bipolar transistors [IGBT]
    • H01L29/0615
    • H01L29/4236
    • H01L29/6634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2/00Bipolar devices controlled by the field effect, e.g. insulated-gate bipolar transistors [IGBT]
    • H10D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12/031Manufacture or treatment of IGBTs
    • H10D12/032Manufacture or treatment of IGBTs of vertical IGBTs
    • H10D12/038Manufacture or treatment of IGBTs of vertical IGBTs having a recessed gate, e.g. trench-gate IGB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02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 H10D62/103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biased devices
    • H10D62/105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biased devices by having particular doping profiles, shapes or arrangements of PN junctions; by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e.g. junction termination extension [J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2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10D64/27Electrode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gates
    • H10D64/3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 H10D64/4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FETs
    • H10D64/5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FETs for IGFETs
    • H10D64/512Disposition of the gate electrodes, e.g. buried gates
    • H10D64/513Disposition of the gate electrodes, e.g. buried gates within recesses in the substrate, e.g. trench gates, groove gates or buried gates

Landscapes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는, 각각이 반도체 기판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향해 리세스(recess) 되도록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들, 상기 게이트 전극이 배치되는 트렌치 및 상기 제1 면 각각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이미터 영역, 상기 제2 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대 도전형인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콜렉터 영역, 상기 트렌치의 바닥면을 감싸면서 상기 트렌치의 신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면을 향해 신장되고, 상기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플로팅 영역, 상기 트렌치 내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는 트렌치 이미터 영역, 및 상기 트렌치 내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들 및 상기 트렌치 이미터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트렌치 플로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 power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ate electrodes, each of which is arranged to be recessed from a first side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toward a second side opposite the first side, the gate electrode An emitter region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f the trench and the first surface and containing an impurity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and a second conductive region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and having an opposite conductivity type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a collector region containing impurities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urround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and extending toward the second surface along the elongation direction of the trench, and containing impurities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within the trench. It may include a trench emitter region disposed between the gate electrodes, and a trench floating region disposed within the trench below the gate electrodes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Description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Power semiconductor device,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Power semiconductor device,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ower semiconductor device,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that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a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전력 반도체 소자는 고전압과 고전류 환경에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전력 반도체 소자는 고전력 스위칭(즉, 고전압과 고전류 환경에서의 스위칭 동작)이 필요한 분야(예컨대, 인버터 소자)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전력 반도체 소자의 예로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전력 모스펫(Power MOSFET)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전력 반도체 소자에 대해 고전압에 대한 내압 특성이 기본적으로 요구되며, 최근에는 추가적으로 고속 스위칭 동작이 요구되고 있다.A power semiconductor device may refer to a semiconductor device that can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in a high voltage and high current environment. Power semiconductor devices are mainly used in fields (e.g., inverter devices) that require high-power switching (i.e., switching operation in a high voltage and high current environment). Examples of power semiconductor devices includ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IGBTs) and power MOSFETs. For these power semiconductor devices, withstand voltage characteristics against high voltage are basically required, and recently, high-speed switching operation is additionally required.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20140057630호(2014.05.13. 공개)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No. 20140057630 (published May 13, 2014)

본 발명은 고전압에 대한 내압 특성을 확보하면서, 동작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that can increase operational stability while securing voltage resistance characteristics against high voltage, a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se tasks are illustrative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반도체 소자는, 각각이 반도체 기판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향해 리세스(recess) 되도록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들, 상기 게이트 전극이 배치되는 트렌치 및 상기 제1 면 각각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이미터 영역, 상기 제2 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대 도전형인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콜렉터 영역, 상기 트렌치의 바닥면을 감싸면서 상기 트렌치의 신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면을 향해 신장되고, 상기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플로팅 영역, 상기 트렌치 내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는 트렌치 이미터 영역, 및 상기 트렌치 내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들 및 상기 트렌치 이미터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트렌치 플로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gate electrodes each recessed from the first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toward the second side opposite the first side. , an emitter region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f the trench in which the gate electrode is disposed and the first surface, and containing an impurity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and having an emitter reg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A collector region containing impurities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that is of an opposite conductivity type, surround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and extending toward the second surface along the elongation direction of the trench, and containing impurities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a trench emitter region disposed between the gate electrodes within the trench, and a trench floating region disposed below the gate electrodes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within the trenc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제1 드리프트 영역을 에피택셜 성장(epitaxial growth)을 통해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리프트 영역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대 도전형인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플로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리프트 영역의 상부에 상기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제2 드리프트 영역을 에피택셜 성장을 통해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드리프트 영역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이미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미터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플로팅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식각되도록 에칭(etching)을 통해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의 내부에 전도성 물질을 증착하여 트렌치 플로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플로팅 영역의 상부에 상기 트렌치 플로팅 영역과 이격되도록 전도성 물질을 증착하여 게이트 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전극들 사이에 상기 게이트 전극들 각각과 이격되도록 전도성 물질을 증착하여 트렌치 이미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 first drift region containing an impurity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through epitaxial growth,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drift region forming a floating region by injecting impurities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that are opposite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from the first conductivity type, forming a second drift region containing impurities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on an upper part of the first drift region as epi. Forming through taxial growth, forming an emitter region by injecting an impurity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from an upper part of the second drift region, and etch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loating region through the emitter region. Forming a trench through etching, forming a trench floating area by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inside the trench,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op of the trench floating area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rench floating area to form a gate It may include forming electrodes, and forming a trench emitter region between the gate electrodes by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gate electrod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내압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the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sam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stability can be improved while maintaining breakdown voltage characteristics.

이러한 효과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받는 것은 아니다.This effect is illustrative,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칩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력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셀 영역의 일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셀 영역의 일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도 3 또는 도 4의 셀 영역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는 도 5a에 도시된 구조에서의 전기장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 내지 도 6o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power semiconductor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briefly showing a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of FIG. 1.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ortion of the cell area shown in FIG. 2.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ortion of the cell area shown in FIG. 2.
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ll area of FIG. 3 or FIG. 4.
FIG. 5B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ial area of FIG. 5A.
FIG. 5C is a graph showing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5A.
6A to 6O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examples below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provid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provided to provide complete information. Additional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ize of at least som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symbols refer to like element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해당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의 크기는 설명을 위해 과장되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구조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n the drawings, th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us serve to illustrate the general 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한 구성이 다른 구성 상(on)에 있다고 지칭할 때, 그것은 다른 구성의 바로 상부 트렌치에 있거나 또는 그 사이에 다른 개재된 구성이 또한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반면에, 한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위에(directly on)” 있다라고 지칭할 때는 중간 개재 구성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해된다.Identical reference signs indicate identical ele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one configuration, such as a layer, region, or substrate,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nfiguration, it may be in the trench directly above the other configuration, or other intervening configurations in between may also be present. On the other hand, when one designation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on” another, it is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intervening structur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10)는 고전압과 고전류의 환경에서 스위치로 동작 가능한 소자로서, 예를 들어 인버터(inverter)에 이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can be operated as a switch in an environment of high voltage and high current, and can be used, for example, in an invert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반도체 소자(10)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력 반도체 소자(10)는 다른 종류의 전력 트랜지스터(예컨대, 실리콘 카바이드 기반의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개시에서는 전력 반도체 소자(10)가 IGBT 로 구현됨을 전제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may include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may be implemented with another type of power transistor (e.g., a silicon carbide-based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but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plained on the premise that it is implemented as an IGBT.

IGBT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이미터(emitter)와 콜렉터(collector)에 MOSFET의 게이트(gate)가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력 반도체 소자(10)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내압 특성과 MOSFET의 상대적으로 빠른 스위칭 속도를 함께 가질 수 있다.IGB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mitter and collector of a bipolar transistor are combined with the gate of a MOSFET. Accordingly,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can have both the breakdown voltage characteristics of a bipolar transistor and the relatively fast switching speed of a MOSFET.

IGBT는 게이트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게이트-이미터 간 전압(Vge)이 변화되어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자기 소호형 소자일 수 있다. 여기서, 자기 소호형 소자는 외부에 의존하지 않고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 제어 능력으로 두 단자(즉, 이미터 및 콜렉터) 사이에 전류를 흐르게 하거나, 흐르지 않게 할 수 있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IGBT may be a self-extinguishing device in which the gate-emitter voltage (Vge) changes and turns on or off depending on the driving voltage applied to the gate. Here, a self-extinguishing type device may refer to a device that can receive an input signal without relying on an external source and allow current to flow or not flow between two terminals (i.e., emitter and collector) through its own control capability.

IGBT는 게이트에 연결되는 게이트 단자(G), 이미터에 연결되는 이미터 단자(E) 및 콜렉터에 연결되는 콜렉터 단자(C)를 포함할 수 있다. IGBT는 게이트 단자(G)로 입력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됨으로써, 이미터 단자(E)와 콜렉터 단자(C) 사이에 전류를 흐르게 하거나 흐르지 않게 할 수 있다. 게이트 단자(G)는 구동 전압을 전달하는 드라이버 회로(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고, 이미터 단자(E)와 콜렉터 단자(C)는 부하(미도시)에 연결되어 스위칭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IGBT may include a gate terminal (G) connected to the gate, an emitter terminal (E) connected to the emitter, and a collector terminal (C) connected to the collector. The IGBT is turned on or off depending on the driving voltage input to the gate terminal (G), allowing current to flow or not flow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E) and the collector terminal (C). The gate terminal (G) may be connected to a driver circuit (not shown) that transmits the driving voltage, and the emitter terminal (E) and collector terminal (C) may be connected to a load (not shown) to provide a switching function. .

일 실시예에 따라, 전력 반도체 소자(10)는 이미터 단자(E)와 콜렉터 단자(C) 사이에 연결되는 환류 다이오드(D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류 다이오드(Df)는 IGBT의 온 동작으로 인해 이미터 또는 콜렉터에 축적된 캐리어(정공 또는 전자)가 IGBT의 오프 동작에서 다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루프(loop)를 제공할 수 있다. 환류 다이오드(Df)는 이러한 루프를 제공함으로써 임펄스 전압을 방지할 수 있어 IGBT 또는 전력 반도체 소자(10)에 연결된 부하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freewheeling diode (Df) connected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E) and the collector terminal (C). The freewheeling diode (Df) may provide a loop that allows carriers (holes or electrons) accumulated in the emitter or collector due to the on-operation of the IGBT to be emitted again during the off-operation of the IGBT. The freewheeling diode (Df) can prevent impulse voltage by providing this loop,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load connected to the IGBT or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도 2는 도 1의 전력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briefly showing a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반도체 칩(20)은 도 1의 전력 반도체 소자(10)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일 수 있다. 전력 반도체 칩(20)은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의 전력 반도체 소자(10)를 포함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전력 반도체 소자들(10)을 포함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ower semiconductor chip 20 may be a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of FIG. 1. The power semiconductor chip 20 may include on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formed integrally, 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wer semiconductor devices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전력 반도체 칩(20)은 셀 영역(cell region, 100) 및 주변 영역(peripheral region, 20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semiconductor chip 20 may include a cell region (100) and a peripheral region (200).

셀 영역(100)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 반도체 소자(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배치 형태는 도 3의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 또는 도 4의 클로즈드 타입(closed type)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형태에 대해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Cell region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For example, the arrangement form of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may correspond to the stripe type of FIG. 3 or the closed type of FIG. 4. This arrangemen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셀 영역(100)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ell region 100 may further include an element for monitoring the state of at least one power semiconductor element 10.

일 실시예에 따라, 셀 영역(100)은 전력 반도체 소자(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서 소정의 비로 축소된 구조를 갖는 전류 센싱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류 센싱 트랜지스터는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IGBT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병렬로 연결시 전류 센싱 트랜지스터의 일 단자와 IGBT의 일 단자 사이에는 소정의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전류 센싱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류(예컨대, 이미터 단자 또는 콜렉터 단자의 출력 전류)는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출력 전류와 소정의 비에 연관된 비율을 가지며, 이러한 비율을 통해 전류 센싱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류는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모니터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ell region 100 may further include a current sensing transistor having a structu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and reduced by a predetermined ratio. As an example, the current sensing transistor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IGBT of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Here, when connected in parallel, a predetermined resistance may be connected between one terminal of the current sensing transistor and one terminal of the IGBT. The output current of the current sensing transistor (e.g., the output current of the emitter terminal or the collector terminal) has a ratio related to the output current of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and a predetermined ratio, and through this ratio, the output current of the current sensing transistor is It can be used to indirectly monitor the state of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다른 실시예에 따라, 셀 영역(100)은 전력 반도체 소자(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 센서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전류를 출력하는 정션 다이오드(junction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션 다이오드의 전류는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ell region 100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disposed adjacent to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As an example, a temperature sensor may include a junction diode that outputs a current that varies depending on temperature. The current of this junction diode can be used to monitor the temperature of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주변 영역(200)은 셀 영역(100)을 둘러싸면서 셀 영역(100)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주변 영역(200)은 외부 회로(예를 들어, 구동 회로, 부하, 테스트 회로 등)와 셀 영역(10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자들은 IGBT의 게이트 단자(G), 이미터 단자(E) 및 콜렉터 단자(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자들은 셀 영역(100)에 포함될 수 있는 전류 센싱 트랜지스터 및/또는 온도 센서의 각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ripheral area 200 may surround the cell area 100 and may b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cell area 100 . The peripheral area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n external circuit (eg, a driving circuit, a load, a test circuit, etc.) and the cell area 100 . The plurality of terminals may include a gate terminal (G), an emitter terminal (E), and a collector terminal (C) of the IGBT.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terminals may include each terminal of a current sensing transistor and/or a temperature sensor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ell region 100.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셀 영역의 일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ortion of the cell area shown in FIG. 2.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셀 영역(100)의 일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셀 영역(100)은 셀 영역(100)의 일부(300)를 단위로 셀 영역(100)의 일부(300)가 상하좌우 각각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ure 3, a portion 300 of the cell area 100 of Figure 2 is shown. The cell area 100 may have a form in which the parts 300 of the cell area 100 are repeatedly arrang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part 300 of the cell area 100, bu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셀 영역(100)의 일부(300)는 게이트 전극(120), 게이트 절연막(122), 이미터 영역(130), 이미터 전극(132) 및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을 포함할 수 있다.A portion 300 of the cell region 100 may include a gate electrode 120, a gate insulating film 122, an emitter region 130, an emitter electrode 132, and a trench emitter region 135.

게이트 전극(120)은 도 1의 IGBT의 게이트에 해당하고, 게이트 절연막(122)은 게이트 전극(120)을 다른 구성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미터 영역(130), 이미터 전극(132) 및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은 도 1의 IGBT의 이미터에 해당할 수 있다. The gate electrode 120 corresponds to the gate of the IGBT in FIG. 1, and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can electrically separate the gate electrode 120 from other components. The emitter region 130, the emitter electrode 132,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may correspond to the emitter of the IGBT of FIG. 1.

셀 영역(100)의 일부(300)는 셀 영역(100)의 수직 단면에서 특정 높이에 대응하는 평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의 IGBT의 콜렉터에 해당하는 구성은 셀 영역(100)의 일부(300)와는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A portion 300 of the cell region 100 represents a plan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height in the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cell region 100, and the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llector of the IGBT in FIG. 1 is a portion 300 of the cell region 100. ) may be located at a different height.

한편, 게이트 전극(120), 게이트 절연막(122), 이미터 영역(130), 이미터 전극(132) 및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 각각의 구체적인 구조, 기능 및 재질에 대해서는 도 5a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에서는 게이트 전극(120), 게이트 절연막(122), 이미터 영역(130), 이미터 전극(132) 및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의 평면 상에서의 배치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refer to FIG. 5A for the specific structure, function, and material of each of the gate electrode 120, gate insulating film 122, emitter region 130, emitter electrode 132, and trench emitter region 135.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3 , the arrangement form of the gate electrode 120,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the emitter region 130, the emitter electrode 132,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on a plane will be described.

게이트 전극(120)은 일 방향(도 3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신장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22)은 게이트 전극(1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접하면서 일 방향을 따라 게이트 전극(120)과 나란하게 신장될 수 있다.The gate electrode 120 may be extended along one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in FIG. 3).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may contact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gate electrode 120 and extend parallel to the gate electrode 120 along one direction.

이미터 영역(130)은 게이트 전극(120)의 좌측에 배치된 게이트 절연막(122) 또는 게이트 전극(120)의 우측에 배치된 게이트 절연막(122)에 접하면서 일 방향을 따라 게이트 전극(120)과 나란하게 신장될 수 있다. 즉, 게이트 전극(120)과 이미터 영역(130)의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막(122)이 배치되며, 게이트 전극(120)과 이미터 영역(130)은 게이트 절연막(122)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The emitter region 130 is in contact with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gate electrode 120 or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gate electrode 120 and forms the gate electrode 120 along one direction. It can be stretched parallel to the . That is,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is dispos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emitter region 130, and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emitter region 130 are electrically separated by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You can.

인접하는 게이트 전극들(120)의 내측에는 게이트 전극들(120) 각각과 이격되어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이 배치될 수 있고, 게이트 전극들(120) 각각과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의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막(122)이 배치되어 게이트 전극들(120) 각각과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은 게이트 전극들(120) 각각과 나란하게 신장될 수 있다.Inside the adjacent gate electrodes 120, a trench emitter region 135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gate electrodes 120, and each of the gate electrodes 120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may be disposed inside the adjacent gate electrodes 120. A gate insulating film 122 is disposed therebetween, so that each of the gate electrodes 120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can b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may be extended parallel to each of the gate electrodes 120 .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의 양측에 배치된 게이트 전극들(120), 게이트 전극(120)의 좌우로 배치된 이미터 영역(130) 및 이들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게이트 절연막(122)으로 구성된 단위 셀은 일 방향에 수직하는 타 방향(도 3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좌측에 배치된 단위 셀의 좌우로 단위 셀에 접하도록 이미터 전극(13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우측에 배치된 단위 셀의 좌우로 단위 셀에 접하도록 이미터 전극(132)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타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단위 셀들 사이에는 이미터 전극(132)이 배치될 수 있다.A trench emitter region 135, gate electrodes 12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an emitter region 130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ate electrode 120, and a gate electrically separating them. Unit cells composed of the insulating film 122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long another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 3). In FIG. 3 , the emitter electrode 132 may be placed in contact with the unit cell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nit cell disposed on the left. Additionally, the emitter electrode 132 may be arranged to contact the unit cells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unit cells disposed on the right in FIG. 3 . Accordingly, emitter electrodes 132 may be disposed between unit cells spaced apart in different directions.

도 3에서 단위 셀이 줄무늬 형태를 가진다는 점에서,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배치 형태는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정의될 수 있다.Since the unit cell in FIG. 3 has a striped shape, the arrangement form of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may be defined as a stripe type.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셀 영역의 일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ortion of the cell area shown in FIG. 2.

도 4를 참조하면, 도 2의 셀 영역(100)의 일부(400)가 도시되어 있다. 셀 영역(100)은 셀 영역(100)의 일부(400)를 단위로 셀 영역(100)의 일부(400)가 상하좌우 각각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ure 4, a portion 400 of the cell area 100 of Figure 2 is shown. The cell area 100 may have a form in which the parts 400 of the cell area 100 are repeatedly arrang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part 400 of the cell area 100, bu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셀 영역(100)의 일부(400)는 배치 형태를 제외하고는 도 3에서 설명된 셀 영역(100)의 일부(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part 400 of the cell area 1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art 300 of the cell area 100 described in FIG. 3 except for the arrangement form,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게이트 전극(120)은 사각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22)은 게이트 전극(120)의 일 측에 접하면서 게이트 전극(120)과 나란하게 신장될 수 있다.The gate electrode 120 may have a square ring shape.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may contact one side of the gate electrode 120 and extend parallel to the gate electrode 120 .

이미터 영역(130)은 게이트 전극(120)의 일측에 배치된 게이트 절연막(122) 또는 게이트 전극(120)의 타측에 배치된 게이트 절연막(122)에 접하면서 게이트 전극(120)과 나란하게 신장될 수 있다. 즉, 게이트 전극(120)과 이미터 영역(130)의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막(122)이 배치되며, 게이트 전극(120)과 이미터 영역(130)은 게이트 절연막(122)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The emitter region 130 extends parallel to the gate electrode 120 while contacting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ate electrode 120 or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gate electrode 120. It can be. That is,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is dispos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emitter region 130, and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emitter region 130 are electrically separated by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You can.

인접하는 게이트 전극들(120)의 사이에는 게이트 전극들(120) 각각과 이격되어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이 배치될 수 있고, 게이트 전극들(120) 각각과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의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막(122)이 배치되어 게이트 전극들(120) 각각과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은 게이트 전극들(120) 각각과 나란하게 신장될 수 있다.A trench emitter region 135 may be disposed between adjacent gate electrodes 12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gate electrodes 120, and each of the gate electrodes 120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may be disposed between adjacent gate electrodes 120. A gate insulating film 122 is disposed therebetween, so that each of the gate electrodes 120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can b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may be extended parallel to each of the gate electrodes 120 .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을 둘러싸는 게이트 전극들(120), 게이트 전극들(120)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게이트 전극들(120)을 둘러싸는 이미터 영역들(130) 및 이들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게이트 절연막(122)으로 구성된 단위 셀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rench emitter region 135, gate electrodes 120 surrounded by or surrounding trench emitter region 135, gate electrodes 120 or gate electrodes ( A unit cell composed of emitter regions 130 surrounding the emitter regions 120 and a gate insulating film 122 electrically separating them may have an overall rectangular ring shape.

도 4에서 단위 셀의 내측과 외측 각각에는 단위 셀에 접하도록 이미터 전극(132)이 배치될 수 있다. In FIG. 4 , emitter electrodes 132 may be disposed on each inside and outside of the unit cell to be in contact with the unit cell.

도 4에서 단위 셀이 링 형태를 가진다는 점에서,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배치 형태는 클로즈드 타입으로 정의될 수 있다.In that the unit cell in FIG. 4 has a ring shape, the arrangement form of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may be defined as a closed type.

도 3에 도시된 스트라이프 타입은 상대적으로 높은 채널 밀도(이미터-콜렉터 간 채널의 밀도)를 구현할 수 있어 IGBT의 정특성 측면에서 유리하며, 도 4에 도시된 클로즈드 타입은 기생 캐패시턴스의 크기 및 비율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IGBT의 스위칭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IGBT의 용도 및 요구 사양에 따라 스트라이프 타입 또는 클로즈드 타입이 선택될 수 있다.The striped type shown in Figure 3 is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IGBT as it can implement a relatively high channel density (density of channels between emitter and collector), and the closed type shown in Figure 4 has the size and ratio of parasitic capacitance. can be adjusted more easily, which can be advantageous in terms of switching stability of the IGBT.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requirements of the IGBT, a striped type or closed type can be selected.

다른 실시예에 따라, 셀 영역(100)은 스트라이프 타입과 클로즈드 타입이 합쳐진 형태인 레더(ladder) 타입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레더 타입은 게이트 전극(120) 등이 스트라이프 타입과 같이 일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신장되되, 게이트 전극(120) 등이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신장되어 스트라이프 타입에 해당하는 게이트 전극(120) 등을 서로 잇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레더 타입은 스트라이프 타입과 클로즈드 타입의 장점을 함께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ell area 100 may be implemented as a ladder type, which is a combination of a stripe type and a closed type. In the leather type, the gate electrode 120 is exten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one direction like the stripe type, but the gate electrode 120 is exten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tripe type. ) can refer to a form that connects etc. The leather type can have the advantages of both the striped type and the closed type.

도 5a는 도 3 또는 도 4의 셀 영역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는 도 5a에 도시된 구조에서의 전기장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ll area of FIG. 3 or FIG. 4. FIG. 5B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ial area of FIG. 5A. FIG. 5C is a graph showing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5A.

도 5a를 참조하면, 도 3의 제1 라인(A-A') 또는 도 4의 제2 라인(B-B')을 따라 셀 영역(100)을 절단한 단면(500)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1 라인(A-A') 또는 제2 라인(B-B')은 도 5a에서 제3 라인(C-C')에 해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a cross section 500 is shown by cutting the cell area 100 along the first line (A-A') of FIG. 3 or the second line (BB') of FIG. 4, The first line (A-A') or the second line (B-B') may correspond to the third line (C-C') in FIG. 5A.

단면(500)은 반도체 기판(110), 반도체 기판(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콜렉터 전극(112), 적어도 일부가 반도체 기판(110)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게이트 절연막(122)과 이미터 전극(1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cross section 500 includes a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 collector electrode 112 disposed below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 gate insulating film 122 at least partially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an emitter electrode ( 132) may be included.

반도체 기판(110)은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물질층(예컨대, 에피택셜층(epitaxial layer))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기판(110)은 실리콘, 게르마늄, 실리콘-게르마늄 등의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10)은 제3 라인(C-C')으로부터 콜렉터 전극(112)의 하단에 이르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refer to at least one semiconductor material layer (eg, an epitaxial layer). For example,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include a semiconductor material such as silicon, germanium, or silicon-germanium.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refer to an area from the third line C-C' to the bottom of the collector electrode 112.

반도체 기판(110)은 콜렉터 영역(collector region, 114), 드리프트 영역(drift region, 116), 웰 영역(well region, 118), 게이트 전극(gate electrode, 120), 게이트 절연막(gate insulating film, 122)의 일부, 이미터 영역(emitter region, 130), 이미터 전극(emitter electrode, 132)의 일부, 트렌치 이미터 영역(trench emitter region, 135), 트렌치 플로팅 영역(trench floating region, 140) 및 플로팅 영역(floating region, 150)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10)은 상면(또는 제1 면) 및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또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includes a collector region (114), a drift region (116), a well region (118), a gate electrode (120), and a gate insulating film (122). ), an emitter region (130), a portion of an emitter electrode (132), a trench emitter region (135), a trench floating region (140) and floating It may contain a floating region (150).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or first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r second surface) opposing the upper surface.

콜렉터 영역(114)은 제2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전형은 P형 또는 N형 일 수 있고, 제2 도전형은 제1 도전형의 반대 도전형일 수 있다. 콜렉터 영역(114)은 반도체 기판(110)의 하면에 접하면서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콜렉터 영역(114)은 하부의 콜렉터 전극(112)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콜렉터 전극(112)은 도 1의 콜렉터 단자(C)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폴리실리콘(polysilicon), 금속(metal), 금속 질화물, 금속 실리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llector region 114 may include impurities hav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may be P-type or N-type,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may be the opposite conductivity type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The collector region 114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 The collector area 114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lower collector electrode 112. The collector electrode 11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C of FIG. 1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olysilicon, metal, metal nitride, and metal silicide.

콜렉터 영역(114)과 콜렉터 전극(112)은 도 1의 IGBT의 콜렉터에 해당할 수 있다. The collector area 114 and the collector electrode 112 may correspond to the collector of the IGBT in FIG. 1.

드리프트 영역(116)은 제1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형은 P형 또는 N형 일 수 있고, 제1 도전형은 제2 도전형의 반대 도전형일 수 있다. 드리프트 영역(116)은 콜렉터 영역(114)과 이미터 영역(130) 간의 전하(정공 및 전자)의 수직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드리프트 영역(116)은 콜렉터 영역(114)의 상부에 배치되고, 플로팅 영역(150) 및 트렌치(TH) 각각의 측면에 접하면서 트렌치(TH)의 신장 방향(도 5a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The drift region 116 may include impurities hav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The first conductivity type may be P-type or N-type, and the first conductivity type may be the opposite conductivity type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The drift region 116 may provide a vertical movement path for charges (holes and electrons) between the collector region 114 and the emitter region 130. The drift area 116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llector area 114, touches each side of the floating area 150 and the trench TH, and extends along the elongation direction of the trench TH (up and down direction in FIG. 5A). It can be.

웰 영역(118)은 제2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웰 영역(118)은 드리프트 영역(116)과 이미터 영역(130)의 사이 및 드리프트 영역(116)과 이미터 전극(1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웰 영역(118)은 내부에 각각 게이트 전극(120)과 게이트 절연막(122)이 배치되는 서로 인접하는 트렌치들(trench, TH)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웰 영역(118)은 드리프트 영역(107), 게이트 절연막(122), 이미터 영역(130) 및 이미터 전극(132)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트렌치(TH)는 반도체 기판(110)의 일 면으로부터 반도체 기판(110)의 타 면을 향해 소정의 깊이로 리세스(recess)된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The well region 118 may include impurities hav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The well region 118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rift region 116 and the emitter region 130 and between the drift region 116 and the emitter electrode 132. Additionally, the well region 118 may be located between adjacent trenches (TH) in which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gate insulating layer 122 are respectively disposed. The well region 118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drift region 107,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the emitter region 130, and the emitter electrode 132, respectively. The trench TH may refer to a structur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웰 영역(118)의 하면까지의 깊이는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트렌치(TH)의 바닥면까지의 깊이보다 얕을 수 있다. The depth from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ell region 118 may be shallower than the depth from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TH.

게이트 전극(120)은 전도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폴리실리콘, 금속, 금속 질화물, 금속 실리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0)은 트렌치(TH) 내부에서 게이트 절연막(122)과 접하면서 트렌치(TH) 내부를 충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전극(120)은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반도체 기판(110)의 하면을 향해 소정의 깊이로 리세스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gate electrode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polysilicon, metal, metal nitride, and metal silicide. The gate electrode 120 may be disposed to fill the inside of the trench TH while contacting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inside the trench TH. Accordingly, the gate electrode 120 may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

게이트 전극(120)은 트렌치(TH) 내에서 서로 분리된 두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트렌치(TH)의 중앙에는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이 배치되고,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의 좌우 양측으로 게이트 전극들(120) 각각이 배치될 수 있다. The gate electrode 120 may be formed of two parts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in the trench TH. That is,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trench TH, and each of the gate electrodes 120 may be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게이트 전극(120)은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반도체 기판(110)의 하면을 향해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0)이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이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보다 작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gate electrode 120 may extend parallel to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from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 The length that the gate electrode 120 extends from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that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extends from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No.

게이트 전극(120)은 도 1의 IGBT의 게이트에 해당할 수 있고, 도 1의 게이트 단자(G)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gate electrode 120 may correspond to the gate of the IGBT of FIG. 1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G) of FIG. 1.

게이트 절연막(122)은 절연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게르마늄 산화물, 게르마늄 질화물, 하프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22)은 트렌치(TH)의 측면을 따라 트렌치(TH)의 내부에 게이트 전극(120)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122)은 반도체 기판(110)의 외부로 연장되어 게이트 전극(120), 이미터 영역(130) 및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10)의 외부로 연장되는 게이트 절연막(122)은 층간 절연막으로 불릴 수 있다.The gate insulating film 12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silicon oxide, silicon nitride, germanium oxide, germanium nitride, hafnium oxide, zirconium oxide, and aluminum oxide.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may be disposed along the side of the trench TH and in contact with the gate electrode 120 inside the trench TH. Additionally,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may extend outside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be disposed on top of the gate electrode 120, the emitter region 130,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The gate insulating layer 122 extending out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be called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트렌치(TH)의 내부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막(122)은 트렌치(TH)의 표면과 게이트 전극(120) 사이, 트렌치(TH)의 표면과 트렌치 플로팅 영역(140) 사이, 게이트 전극(120)과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의 사이, 그리고 게이트 전극(120) 및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이 위치한 영역(즉, 상측 영역)과 트렌치 플로팅 영역(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gate insulating film 122 located inside the trench TH is between the surface of the trench TH and the gate electrode 120, between the surface of the trench TH and the trench floating area 140, and between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gate electrode 120.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and between the region where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are located (i.e., the upper region) and the trench floating region 140.

게이트 절연막(122)은 게이트 전극(120)을 드리프트 영역(116), 웰 영역(118), 이미터 영역(130), 이미터 전극(132) 및 플로팅 영역(150) 각각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122)은 게이트 전극(120),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 및 트렌치 플로팅 영역(140) 각각을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The gate insulating film 122 may electrically separate the gate electrode 120 from each of the drift region 116, the well region 118, the emitter region 130, the emitter electrode 132, and the floating region 150. there is. Additionally, the gate insulating layer 122 may electrically separate the gate electrode 120,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and the trench floating region 140 from each other.

이미터 영역(130)은 제1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터 영역(130)에서의 제1 도전형의 불순물 도핑 농도는 드리프트 영역(116)에서의 제1 도전형의 불순물 도핑 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미터 영역(130)은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에 접하면서 트렌치(TH)의 게이트 절연막(122)과 이미터 전극(132)의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122)(또는 트렌치(TH))과 이미터 전극(132) 각각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미터 영역(130)의 하면은 웰 영역(118)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미터 영역(130)은 트렌치(TH)의 일측 및 타측(또는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emitter region 130 may include impurities hav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The impurity doping concentrat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n the emitter region 130 may be higher than the impurity doping concentrat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n the drift region 116 . The emitter region 13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nd has a gate insulating film 122 (or trench (TH)) between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of the trench (TH) and the emitter electrode 132. It may be placed in contact with each of the emitter electrodes 132. Additionally, the lower surface of the emitter region 130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well region 118. The emitter region 13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r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ench TH.

이미터 전극(132)은 전도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폴리실리콘, 금속, 금속 질화물, 금속 실리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터 전극(132)은 반도체 기판(110)의 외부로 돌출된 게이트 절연막(122), 웰 영역(118) 및 이미터 영역(130)에 접하면서 반도체 기판(110)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emitter electrode 13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polysilicon, metal, metal nitride, and metal silicide. The emitter electrode 132 is arranged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while contacting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the well region 118, and the emitter region 130 tha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You can.

이미터 전극(132)은 웰 영역(118)에 대해서는 콘택(contact)으로 작용하여 웰 영역(118)에 IGBT의 콜렉터 측의 전압보다 낮은 저전압(low voltage)을 인가하고, 이미터 영역(130)에 대해서는 이미터 영역(130)과 도 1의 이미터 단자(E)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미터 영역(130)과 이미터 전극(132)은 도 1의 IGBT의 이미터에 해당할 수 있다.The emitter electrode 132 acts as a contact with the well region 118 and applies a low voltage lower than the voltage on the collector side of the IGBT to the well region 118, and the emitter region 130 It can function as an electrode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emitter region 130 and the emitter terminal (E) of FIG. 1. The emitter area 130 and the emitter electrode 132 may correspond to the emitter of the IGBT in FIG. 1.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은 전도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폴리실리콘, 금속, 금속 질화물, 금속 실리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은 게이트 전극들(120) 사이에 배치되고, 트렌치 플로팅 영역(14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은 게이트 절연막(122)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게이트 전극들(120) 및 트렌치 플로팅 영역(140)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polysilicon, metal, metal nitride, and metal silicide.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gate electrodes 120 and above the trench floating region 140 . Additionally,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gate insulating layer 122 and be electrically isolated from the gate electrodes 120 and the trench floating region 140 .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은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반도체 기판(110)의 하면을 향해 게이트 전극(120)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이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게이트 전극(120)이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보다 클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may extend parallel to the gate electrode 120 from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 The length that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extends from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that the gate electrode 120 extends from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No.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은 이미터 전극(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미터 전극(1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미터 영역(130)과 함께 도 1의 IGBT의 이미터에 해당할 수 있다. 셀 영역(100) 또는 주변 영역(200) 중 임의의 위치(미도시)에서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 상부의 게이트 절연막(122)의 적어도 일부가 생략된 콘택 홀(contact hole)이 형성되어,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은 콘택 홀을 통해 이미터 전극(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mitter electrode 132 and may correspond to the emitter of the IGBT of FIG. 1 together with the emitter region 1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mitter electrode 132. there is. A contact hole is formed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on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is omitted at a random location (not shown) in the cell region 100 or the peripheral region 200,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mitter electrode 132 through a contact hol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트렌치 플로팅 영역(140)은 전도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폴리실리콘, 금속, 금속 질화물, 금속 실리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 플로팅 영역(140)은 외부로부터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전기적으로 플로팅된 영역일 수 있다.The trench floating region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polysilicon, metal, metal nitride, and metal silicide. The trench floating area 140 may be an electrically floating area to which no bias voltag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트렌치 플로팅 영역(140)은 게이트 전극들(120)과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의 하측에 배치되고, 게이트 절연막(122)에 의해 게이트 전극들(120)과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트렌치 플로팅 영역(140)은 트렌치(TH)의 바닥면 및 측면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게이트 절연막(122)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트렌치(TH)의 바닥면 및 측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ench floating region 140 is disposed below the gate electrodes 120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and conducts electrical energy from the gate electrodes 120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by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can be separated. The trench floating area 140 i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disposed between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trench TH, and includes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trench TH. can do.

플로팅 영역(150)은 제2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플로팅 영역(150)은 외부로부터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전기적으로 플로팅된 영역일 수 있다.The floating area 150 may include impurities hav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The floating area 150 may be an electrically floating area to which no bias voltag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플로팅 영역(150)은 트렌치(TH)의 바닥면을 감싸면서 트렌치(TH)의 신장 방향(도 5a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콜렉터 영역(114)을 향해 신장될 수 있다. The floating area 150 may surround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TH and extend toward the collector area 114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rench TH (up and down direction in FIG. 5A).

플로팅 영역(150)은 트렌치(TH)의 바닥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도록 트렌치(TH)의 폭(W')보다 넓은 폭(W)을 가질 수 있다. 만일 플로팅 영역(150)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 IGBT의 동작시 트렌치(TH)의 바닥면에 전계가 집중되어 최대 전기장이 트렌치(TH)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22)의 두께는 약 수백 nm에 불과하므로, 트렌치(TH)의 바닥면에 전계가 집중됨에 따라 IGBT의 항복 전압이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항복 전압의 저하는 IGBT의 정상적인 스위칭 동작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와 같이 플로팅 영역(150)이 트렌치(TH)의 바닥면을 전체적으로 감싸게 되면, 전하 공유(charge sharing) 현상을 통해 트렌치(TH)의 바닥면에 전계가 집중되지 않고 플로팅 영역(150)으로 전계가 분산되고 최대 전기장이 플로팅 영역(150)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IGBT의 항복 전압의 저하는 발생하지 않고 IGBT의 스위칭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즉, 플로팅 영역(150)으로 인해 IGBT는 고전압 환경에서도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내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120)의 아래에 위치한 게이트 절연막(122)은 게이트 전극(120)의 측면에 위치한 게이트 절연막(122)에 비해 두꺼운 두께를 가지므로, 트렌치(TH)의 바닥면으로 전계가 집중되는 현상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The floating area 150 may have a width W wider than the width W' of the trench TH so as to entirely surround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TH. If the floating area 150 is not included, the electric field may be concentr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TH when the IGBT operates, and the maximum electric field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TH. Since the thickness of the gate insulating layer 122 is only about a few hundred nm,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IGBT may be lowered as the electric field is concentr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TH. This drop in breakdown voltage may make normal switching operation of the IGBT impossible. However, when the floating area 150 entirely surrounds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TH as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ic field is not concentr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TH through a charge sharing phenomenon and the floating area 150 ), the electric field is distributed and the maximum electric field can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ating area 150. Therefore, the switching performance of the IGBT can be secured without a decrease in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IGBT. That is, due to the floating area 150, the IGBT can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even in a high voltage environment, thereby improving withstand voltag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located below the gate electrode 120 has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located on the side of the gate electrode 120, so the electric field is concentr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TH. This phenomenon can be further prevented.

또한, 트렌치(TH) 내에 포함된 트렌치 플로팅 영역(140)은 드리프트 영역(116)과의 관계에서 전하 공유 현상을 보다 강화함으로써 IGBT의 항복 전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trench floating region 140 included in the trench TH may increase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IGBT by further strengthening the charge sharing phenomenon in its relationship with the drift region 116.

도 5c를 참조하면, 도 5a에 표시된 직선(D-D')을 따라 분포된 전기장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전기장(EF_P)은 도 5a에 표시된 직선(D-D')에 따라 분포된 전기장의 일 예를 나타내고, 제2 전기장(EF_C)은 도 5a의 구조로부터 트렌치 플로팅 영역(140)이 생략된 구조(즉, 본 발명의 비교예)에서 직선(D-D')에 상응하는 위치에서의 전기장의 일 예를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an example of an electric field distributed along a straight line (D-D') shown in FIG. 5A is shown. The first electric field (EF_P) represents an example of an electric field distributed along the straight line (D-D') shown in FIG. 5A, and the second electric field (EF_C) represents an example of an electric field distributed along the straight line (D-D') shown in FIG. 5A, where the trench floating area 140 is omitted from the structure of FIG. 5A. An example of the electric fiel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raight line (D-D') in the structure (i.e.,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hown.

트렌치 플로팅 영역(140)에 의한 전하 공유 현상으로 인해 전계가 분산됨으로써, 제1 전기장(EF_P)은 제2 전기장(EF_C)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은 전기장 세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기장(EF_P)의 면적은 제2 전기장(EF_C)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기장(EF_P) 또는 제2 전기장(EF_C)의 면적은 직선(D-D')을 따라 전기장의 세기를 적분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기장(EF_P) 또는 제2 전기장(EF_C)의 면적은 IGBT의 항복 전압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트렌치 플로팅 영역(140)을 포함하는 도 5a의 구조를 갖는 IGBT의 항복 전압은 트렌치 플로팅 영역(140)을 포함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 IGBT의 항복 전압보다 클 수 있다.As the electric field is dispersed due to the charge sharing phenomenon by the trench floating region 140, the first electric field EF_P may have a higher overall electric field intensity than the second electric field EF_C. Accordingly, the area of the first electric field (EF_P)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second electric field (EF_C). Here, the area of the first electric field (EF_P) or the second electric field (EF_C) may mean a value obtained by integrating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straight line (D-D'). Additionally, the area of the first electric field (EF_P) or the second electric field (EF_C) may indicate the size of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IGBT, and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IGBT having the structure of FIG. 5A including the trench floating area 140 is the trench It may be greater than the breakdown voltage of an IGBT having a structure that does not include the floating area 140.

다시 도 5a를 참조하면, 트렌치(TH)의 바닥면으로부터 트렌치(TH)의 측면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각진 영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트렌치(TH)의 바닥면은 전체적으로 라운드(rounded)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만일 트렌치(TH)의 하부에 각진 영역이 존재할 경우, 각진 영역에 전계가 집중됨에 따라 IGBT의 항복 전압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트렌치(TH)는 내압 특성의 향상을 위해 전체적으로 라운드된 형상의 바닥면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5A,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TH may have an overall rounded shape so that there is no angled area in the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TH to the side of the trench TH. there is. If an angled area exists in the lower part of the trench TH,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IGBT may be lowered as the electric field is concentrated in the angled area. Accordingly, the trench TH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have an overall rounded bottom surface to improve voltage resistance characteristics.

플로팅 영역(150)의 폭(W)은 트렌치(TH)의 폭(W')보다는 크나, 트렌치(TH)의 바닥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는 정도의 차이만을 갖도록 결정될 수 있다. 즉, 플로팅 영역(150)의 폭(W)은 트렌치(TH)의 폭(W')과 매우 근사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렌치(TH)와 트렌치(TH)의 하부를 감싸는 플로팅 영역(150)으로 구성된 하나의 단위는 상대적으로 좁은 폭(W)을 가질 수 있고, 서로 인접하는 게이트 전극들(120) 간의 간격(pitch)을 줄일 수 있어 셀 영역(100)의 소자 밀도(element density)를 높일 수 있다. The width W of the floating area 150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W' of the trench TH, but may be determined to have only a difference sufficient to entirely surround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TH. That is, the width W of the floating area 150 may have a value very close to the width W' of the trench TH. Accordingly, one unit consisting of the trench TH and the floating area 150 surrou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trench TH may have a relatively narrow width W, and the gap between adjacent gate electrodes 120 may be small. Since the pitch can be reduced, the element density of the cell area 100 can be increased.

IGBT의 동작시 서로 인접하는 게이트 전극들(120) 사이 및 서로 인접하는 플로팅 영역들(150) 사이의 드리프트 영역(116)에는 콜렉터 및 이미터 간의 전하 이동 경로가 형성되는데, 서로 인접하는 게이트 전극들(120) 사이 및 서로 인접하는 플로팅 영역들(150) 사이의 간격을 좁히게 되면 콜렉터-이미터 간 채널의 밀도가 높아져 IGBT의 게인(gain)이 커지고, 콜렉터-이미터 간 캐리어 이동이 쉬워져 JFET 저항이 줄어들 수 있어, 스위칭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서로 인접하는 게이트 전극들(120) 사이 및 서로 인접하는 플로팅 영역들(150) 사이의 간격을 과도하게 좁히게 되면 전하 이동 경로의 면적도 좁아지게 되어 IGBT의 턴온(turn on)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특히, 서로 인접하는 플로팅 영역들(150) 사이의 간격을 과도하게 좁히게 되면, 플로팅 영역(150)과 드리프트 영역(116) 간의 접합으로 형성되는 공핍 영역으로 인해 전하 이동 경로의 면적은 더욱 좁아질 수 있다. IGBT의 턴온 저항의 증가는 IGBT의 스위칭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서로 인접하는 게이트 전극들(120) 사이 및 서로 인접하는 플로팅 영역들(150) 사이의 드리프트 영역(116)(즉, 플로팅 영역(150)의 하단을 지나면서 반도체 기판(150)의 일면에 평행한 가상의 직선의 상측의 드리프트 영역)에서의 제1 도전형의 불순물 도핑 농도를 플로팅 영역들(150) 하부의 드리프트 영역(116) (즉, 플로팅 영역(150)의 하단을 지나면서 반도체 기판(150)의 일면에 평행한 가상의 직선의 하측의 드리프트 영역)에서의 제1 도전형의 불순물 도핑 농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임으로써 IGBT의 턴온 저항을 낮출 수 있다.When the IGBT operates, a charge transfer path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emitter is formed in the drift region 116 between adjacent gate electrodes 120 and between adjacent floating regions 150. When the gap between (120) and adjacent floating areas 150 is narrowed, the density of the channel between the collector and emitter increases, the gain of the IGBT increases, and carrier movement between the collector and emitter becomes easier. JFET resistance can be reduced, which can improve switching performance. However, if the gap between adjacent gate electrodes 120 and adjacent floating regions 150 is excessively narrowed, the area of the charge transfer path will also be narrowed, which may increase the turn on resistance of the IGBT. You can. In particular, if the gap between adjacent floating regions 150 is excessively narrowed, the area of the charge movement path will be further narrowed due to the depletion region formed by the junction between the floating region 150 and the drift region 116. You can. Since an increase in the turn-on resistance of the IGBT may reduce the switching speed of the IGBT, a drift region 116 (i.e., a floating region ( The impurity doping concentrat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n the drift region on the upper side of the virtual straight line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50 while passing through the bottom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50 is calculated as the drift region 116 below the floating regions 150. Turn-on of the IGBT by relatively increasing the impurity doping concentrat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n the drift region below the virtual straight line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50 while passing through the bottom of the floating region 150. Resistance can be lowered.

플로팅 영역(150)은 트렌치(TH)의 신장 방향을 따라 플로팅 영역(150)의 상단로부터 플로팅 영역(150)의 하단에 이르는 길이(L)를 가질 수 있다. 플로팅 영역(150)의 상단은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의 깊이가 트렌치(TH)의 하단보다 얕고 웰 영역(118)의 하단보다 깊을 수 있다. 또한, 플로팅 영역(150)의 하단은 반도체 기판(110)의 하면으로부터의 깊이가 콜렉터 영역(114)의 상단보다 깊을 수 있다. 즉, 플로팅 영역(150)의 하단과 콜렉터 영역(114)의 상단은 소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The floating area 150 may have a length L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floating area 150 to the bottom of the floating area 150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rench TH. The top of the floating area 150 may be shallower than the bottom of the trench TH and deeper than the bottom of the well area 118 from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 Additionally, the bottom of the floating area 150 may be deeper than the top of the collector area 114 from the bottom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 That is, the bottom of the floating area 150 and the top of the collector area 11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플로팅 영역(150)의 길이(L)는 플로팅 영역(150)의 폭(W)보다 클 수 있고, 가능한 큰 값을 갖도록 결정될 수 있다. 플로팅 영역(150)을 가능한 길게 형성함으로써, 최대 전기장의 위치를 도 5a에서 콜렉터 영역(114)에 가능한 가깝게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항복 전압이 높아져 내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length (L) of the floating area 150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W) of the floating area 150 and may be determined to have as large a value as possible. By forming the floating area 150 as long as possible, the position of the maximum electric field can be adjust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collector area 114 in FIG. 5A, which increases the breakdown voltage and improves the breakdown voltage characteristics.

다시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의 일부 영역(550)을 확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120)과 게이트 전극(120)의 일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웰 영역(118) 사이의 계면에서 게이트-이미터 간 제1 기생 캐패시턴스(Cge1)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120)과 게이트 전극(120)의 일 측(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된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 사이의 계면에서 게이트-이미터 간 제2 기생 캐패시턴스(Cge1)가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게이트 전극(120)과 게이트 전극(120)의 좌우로 배치된 드리프트 영역(116) 사이의 계면에서 게이트-콜렉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c)가 발생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5B,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550 of FIG. 5A is shown. A first gate-emitter parasitic capacitance Cge1 may occur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well region 118 disposed on one side (left or right) of the gate electrode 120. In addition, a second parasitic capacitance (Cge1) between the gate and emitter may occur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disposed on one side (right or left) of the gate electrode 120. there is. In addition, gate-collector parasitic capacitance (Cgc) may occur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drift region 116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ate electrode 120.

IGBT의 전체 게이트-이미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e)는 게이트 전극(120)과 이미터 영역(130) 사이에서 발생하는 제1 기생 캐패시턴스(Cge1)와, 게이트 전극(120)과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 사이에서 발생하는 제2 기생 캐패시턴스(Cge2)의 합일 수 있다. 즉, 트렌치(TH) 내부에도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이 존재하므로, 이미터 영역(130)만이 존재할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약 2배) 게이트-이미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e)가 발생할 수 있다.The overall gate-emitter parasitic capacitance (Cge) of the IGBT is the first parasitic capacitance (Cge1) occurring between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emitter region 130, and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 135), it may be the sum of the second parasitic capacitance (Cge2) occurring between them. That is, since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also exists inside the trench (TH), the parasitic capacitance (Cge) between the gate and emitter is relatively very high (about twice) compared to when only the emitter region 130 exists. It can happen.

게이트-이미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e)가 높아질수록 스위칭 동작 안정성은 높아질 수 있으나, 스위칭 속도는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게이트-이미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e)가 적정한 값을 갖도록 게이트 절연막(122)의 두께, 웰 영역(118) 및 이미터 영역(130)의 도핑 농도,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의 형상/재질 등이 조절될 수 있다.As the parasitic capacitance (Cge) between the gate and emitter increases, the stability of the switching operation may increase, but the switching speed may decrease, so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is adjusted so that the parasitic capacitance (Cge) between the gate and emitter has an appropriate value. Thickness, doping concentration of the well region 118 and emitter region 130, shape/material of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etc. may be adjusted.

도 5a에서와 같이, 게이트 전극(120)과 웰 영역(118) 사이, 그리고 게이트 전극(120)과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 사이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막(122)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짐으로써, 게이트-이미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e)가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locat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well region 118 and between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has a relatively thin thickness. , the parasitic capacitance (Cge) between the gate and emitter may have a relatively large value.

IGBT의 전체 게이트-콜렉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c)는 게이트 전극(120)과 좌우측의 드리프트 영역(116) 사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턴스와, 플로팅 영역(150)의 바닥면과 드리프트 영역(116) 사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턴스의 합일 수 있다. 물론 다른 영역에서도 기생 캐패시턴스는 발생할 수 있으나, 주된 기생 캐패시턴스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플로팅 영역(150)의 바닥면과 드리프트 영역(116) 사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턴스의 크기는 게이트 전극(120)의 바닥면으로부터 플로팅 영역(150)의 바닥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작아질 수 있다. 즉, 플로팅 영역(150)의 상단 깊이가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플로팅 영역(150)의 길이(L)가 증가할수록 IGBT의 게이트-콜렉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c)는 작아질 수 있다. The overall gate-collector parasitic capacitance (Cgc) of the IGBT is the parasitic capacitance occurr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left and right drift areas 116,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ating area 150, and the drift area 116. It may be the sum of parasitic capacitances occurr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m. Of course, parasitic capacitance may occur in other areas, but the explanation will focus on the main parasitic capacitance. Here, the size of the parasitic capacitance occurr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ating area 150 and the drift area 116 de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ating area 150 increases. You can lose. That is, assuming that the top depth of the floating area 150 is fixed, as the length (L) of the floating area 150 increases, the parasitic capacitance (Cgc) between the gate and collector of the IGBT may decrease.

또한, 게이트 전극(120)과 좌우측의 드리프트 영역(116) 사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턴스의 크기는 게이트 전극(120)의 하부에 배치된 게이트 절연막(122)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작아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게이트 전극(120)이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반도체 기판(110)의 하면을 향해 연장되는 길이가 짧아질수록, 게이트 전극(120)과 좌우측의 드리프트 영역(116) 사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턴스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팅 영역(150)의 상단과 인접한 드리프트 영역(116)의 임의의 지점과 게이트 전극(120) 간의 거리는, 게이트 전극(120)이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반도체 기판(110)의 하면을 향해 연장되는 길이가 짧을수록 증가하여 기생 캐패시턴스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120)은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게이트 전극(120)과 드리프트 영역(116) 사이의 게이트 절연막(122)의 두께는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 절연막(122)의 두께 증가로 인해, 게이트 전극(120)과 좌우측의 드리프트 영역(116) 사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턴스의 크기가 더욱 작아질 수 있다. 게이트-콜렉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c)를 줄이기 위해, 게이트 전극(120)은 가능한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게이트 전극(120)은 게이트 전극(120)의 하단으로 갈수록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을 향해 치우친 형상을 갖고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은 게이트 전극(120)보다 긴 길이를 가짐으로써 게이트-이미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e)가 보다 증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ize of the parasitic capacitance occurr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left and right drift regions 116 may decrease as the thickness of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disposed below the gate electrode 120 increases. . In other words, as the length of the gate electrode 120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becomes shorter, the distance between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drift area 116 on the left and right increases. The size of parasitic capacitance occurring at the interface can be reduced.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gate electrode 120 and a random point of the drift region 116 adjacent to the top of the floating region 150 is such that the gate electrode 12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s the length extending toward the bottom of the increases, the size of the parasitic capacitance may decrease. Additionally, the gate electrode 120 has a shape whose width gradually narrows toward the bottom, and the thickness of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between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drift region 116 may gradually increase. Due to this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the size of the parasitic capacitance occurr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left and right drift regions 116 may become smaller. In order to reduce the parasitic capacitance (Cgc) between the gate and collector, the gate electrode 120 may have a length as short as possible. However, the gate electrode 120 has a shape that is biased toward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toward the bottom of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has a longer length than the gate electrode 120, thereby forming a gate -The parasitic capacitance (Cge) between emitters may increase.

따라서, 플로팅 영역(150)이 형성되는 깊이, 게이트 전극(120)의 형상, 또는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게이트-콜렉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c)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arasitic capacitance (Cgc) between the gate and the collector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depth at which the floating region 150 is formed, the shape of the gate electrode 120, or the thickness of the gate insulating film.

도 5a와 같은 트렌치 타입의 게이트 구조를 갖는 전력 반도체 소자에서, 트렌치(TH)의 계면에 캐리어(예컨대, 정공)가 과다 축적될 경우 NGC(negative gate capacitance) 현상이 발생하면서 변위 전류(displacement current)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변위 전류는 IGBT의 스위칭 동작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으며, 게이트-콜렉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c)의 크기에 비례하는 특성을 가진다. In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trench-type gate structure as shown in FIG. 5A, when carriers (e.g., holes) are excessively accumulated at the interface of the trench TH, a negative gate capacitance (NGC) phenomenon occurs, resulting in displacement current. may occur. This displacement current can impair the stability of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IGBT and has characteristic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parasitic capacitance (Cgc) between the gate and collector.

본 개시에 따르면, 플로팅 영역(150)이 형성되는 깊이, 게이트 전극(120)의 형상, 또는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게이트-콜렉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c)를 조절하여 필요한 스위칭 동작 안정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by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depth at which the floating region 150 is formed, the shape of the gate electrode 120, or the thickness of the gate insulating film, the parasitic capacitance (Cgc) between the gate and collector is adjusted to perform the necessary switching operation. Stability can be satisfied.

IGBT의 스위칭 손실 및 스위칭 동작 안정성은 게이트-이미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e)와 게이트-콜렉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c) 간의 커패시턴스 비율(Cge/Cgc)에 의존할 수 있으며, 커패시턴스 비율(Cge/Cgc)이 높을수록 스위칭 손실이 감소하고 스위칭 동작 안정성은 증가할 수 있다. The switching loss and switching operation stability of an IGBT can depend on the capacitance ratio (Cge/Cgc) between the gate-to-emitter parasitic capacitance (Cge) and the gate-to-collector parasitic capacitance (Cgc), and the capacitance ratio (Cge/Cgc) The higher the value, the lower the switching loss and the higher the stability of switching operation.

IGBT의 턴온(turn on) 시 콜렉터-이미터 간 전압(Vce)과 콜렉터-이미터 간 전류(Ice)의 비율인 턴온 저항은 IGBT의 스위칭 손실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즉, 턴온 저항이 낮을수록 IGBT의 스위칭 손실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턴온 저항은 커패시턴스 비율(Cge/Cgc)에 의존할 수 있으며, 도 5a의 구조와 같이 커패시턴스 비율(Cge/Cgc)을 상대적으로 높이는 구조에 의하면, 턴온 저항은 낮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IGBT의 스위칭 손실이 줄어들 수 있다. When the IGBT is turned on, the turn-on resistance, which is the ratio of the voltage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emitter (Vce) and the current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emitter (Ice), can indicate the size of the switching loss of the IGBT.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turn-on resistance, the lower the switching loss of the IGBT. Additionally, the turn-on resistance may depend on the capacitance ratio (Cge/Cgc), and according to a structure that relatively increases the capacitance ratio (Cge/Cgc) as shown in Figure 5a, the turn-on resistance can be lowered, and thus the IGBT's Switching losses can be reduced.

IGBT의 쇼트 서킷(short circuit) 상태에서의 특성 중 IGBT의 턴온 시 게이트-이미터 간 전압(Vge)의 오버슈팅(overshooting)이 발생하는 정도는 IGBT의 스위칭 동작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즉, 게이트-이미터 간 전압(Vge)의 오버슈팅이 발생하는 정도가 낮을수록 스위칭 동작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게이트-이미터 간 전압(Vge)의 오버슈팅이 발생하는 정도는 커패시턴스 비율(Cge/Cgc)에 의존할 수 있으며, 도 5a의 구조와 같이 커패시턴스 비율(Cge/Cgc)을 상대적으로 높이는 구조에 의하면, 게이트-이미터 간 전압(Vge)의 오버슈팅이 발생하는 정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IGBT의 스위칭 동작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GBT in a short circuit state, the degree to which overshooting of the voltage (Vge) between the gate and emitter occurs when the IGBT is turned on can indicate the stability of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IGBT.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degree of overshooting of the gate-emitter voltage (Vge), the higher the switching operation stability can be. In addition, the degree to which overshooting of the gate-emitter voltage (Vge) occurs may depend on the capacitance ratio (Cge/Cgc), and a structure that relatively increases the capacitance ratio (Cge/Cgc) as shown in Figure 5a. According to this, the degree to which overshooting of the gate-emitter voltage (Vge) occurs can be reduced, and thus the stability of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IGBT can be increased.

도 6a 내지 도 6o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A to 6O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o를 참조하면, S10 단계에서 콜렉터 전극(112) 및 콜렉터 영역(114)의 상부에 드리프트 영역(116')이 적층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드리프트 영역(116')은 도 5a에 도시된 드리프트 영역(116)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드리프트 영역(116')은 에피택셜 성장(epitaxial growth)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S10 단계에서 드리프트 영역(116')의 하부에 콜렉터 전극(112) 및 콜렉터 영역(114)이 이미 형성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되나, 콜렉터 전극(112) 및 콜렉터 영역(114) 중 적어도 하나는 S10 단계의 이후에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6A to 6O , in step S10, a structure in which a drift region 116' is stacked on top of the collector electrode 112 and the collector region 114 may be provided. Here, the drift area 116' may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drift area 116 shown in FIG. 5A. The drift region 116' may be formed through epitaxial growth.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scription is made assuming that the collector electrode 112 and the collector region 114 have already been formed below the drift region 116' in step S10, but at least one of the collector electrode 112 and the collector region 114 One may be formed after the S10 stage.

S20 단계에서, 드리프트 영역(116')의 상부에 플로팅 영역(150)을 정의하는 포토 레지스트 패턴(photoresist pattern)을 배치하고, 드리프트 영역(116')의 상부로부터 제2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주입하여 플로팅 영역(150)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주입하는 에너지는 플로팅 영역(150)의 길이(L)가 미리 정해진 커패시턴스 비율(Cge/Cgc)을 만족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In step S20, a photoresist pattern defining the floating area 150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ft area 116', and an impurity hav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is injec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drift area 116'. Thus, the floating area 150 can be formed. The energy for injecting the impurity having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length (L) of the floating region 150 satisfies a predetermined capacitance ratio (Cge/Cgc).

S30 단계에서, 드리프트 영역(116')의 상부(즉, 경계(BD)의 상측)에 에피택셜 성장을 통해 제1 도전형을 갖는 에피택셜층이 추가됨으로써 드리프트 영역(11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드리프트 영역(116)은 플로팅 영역(150)의 형성 전에 형성되는 드리프트 영역(116')(또는 경계(BD)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 드리프트 영역)과, 플로팅 영역(150)의 형성 후에 형성되는 드리프트 영역(또는 경계(BD)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드리프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드리프트 영역(116)을 전체적으로 먼저 형성한 후 에칭, 포토 레지스트, 연마 등의 공정을 통해 드리프트 영역(116)의 내부에 위치하는 플로팅 영역(150)을 형성하지 않고, 드리프트 영역(116)을 위한 에피택셜 성장의 중간에 플로팅 영역(150)의 주입 공정을 삽입함으로써, 일반적인 주입 장비로는 형성할 수 없는 깊이까지 플로팅 영역(150)을 형성할 수 있다.In step S30, the drift region 116 may be formed by adding an epitaxial layer hav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through epitaxial growth on the upper part of the drift region 116' (i.e., the upper side of the boundary BD). . That is, the drift area 116 includes a drift area 116' formed before the formation of the floating area 150 (or a first drift area located below the boundary BD), and a drift area 116' formed before the formation of the floating area 150. It may include a formed drift area (or a second drift area located above the boundary BD).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drift area 116 is first formed as a whole, and then the floating area 150 located inside the drift area 116 is not formed through processes such as etching, photoresist, and polishing, but the drift area 116 is formed. By inserting the implantation process of the floating region 150 in the middle of the epitaxial growth for , the floating region 150 can be formed to a depth that cannot be formed with general injection equipment.

S40 단계에서, 드리프트 영역(116)의 상부에 전체적으로 제2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주입하여 웰 영역(118)을 형성한 뒤, 드리프트 영역(116)의 상부에 이미터 영역(130)을 정의하는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배치하고, 드리프트 영역(116)의 상부로부터 제1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주입하여 이미터 영역(130)을 형성할 수 있다.In step S40, the well region 118 is formed by injecting impurities hav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overall into the upper part of the drift region 116, and then the emitter region 130 is defin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ft region 116. The emitter region 130 may be formed by placing a photoresist pattern and injecting an impurity hav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from the top of the drift region 116.

S50 단계에서, 웰 영역(118) 및 이미터 영역(130)의 상부에 트렌치(TH)를 정의하는 에칭 마스크(etching mask)를 배치하고, 에칭을 통해 웰 영역(118) 및 이미터 영역(130)을 관통하는 트렌치(TH)를 형성할 수 있다. 트렌치(TH)는 플로팅 영역(15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플로팅 영역(150)의 적어도 일부를 식각할 수 있는 깊이와 플로팅 영역(150)의 폭(W)보다 좁은 폭(W')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step S50, an etching mask defining a trench (TH) is placed on the top of the well region 118 and the emitter region 130, and the well region 118 and the emitter region 130 are etched. ) can form a trench (TH) penetrating. The trench TH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loating area 150 to a depth capable of etch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loating area 150 and with a width W' narrower than the width W of the floating area 150. You can.

S60 단계에서, 트렌치(TH), 웰 영역(118) 및 이미터 영역(130)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절연 물질(예컨대, 실리콘 옥사이드)을 등방성(isotropic) 증착하여 제1 표면 절연층(123)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표면 절연층(123)의 상부에 도전 물질(예컨대, 폴리실리콘)을 소정의 높이로 이방성(anisotropic) 증착하여 트렌치 플로팅 영역(1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웰 영역(118) 및 이미터 영역(130)의 상부에는 도전 물질층(142)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In step S60, an insulating material (e.g., silicon oxide) is isotropically deposited entirely on the surfaces of the trench (TH), the well region 118, and the emitter region 130 to form the first surface insulating layer 123. can do. The trench floating region 140 may be formed by anisotropically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eg, polysilicon)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first surface insulating layer 123 . Accordingly, a conductive material layer 142 may be formed on top of the well region 118 and the emitter region 130.

S70 단계에서, 트렌치 플로팅 영역(140) 및 도전 물질층(142)의 상부에 절연 물질(예컨대, 실리콘 옥사이드)을 증착하여 중간 절연층(12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트렌치(TH)의 내부에 절연 물질(예컨대, 실리콘 니트라이드)을 등방성 증착한 뒤 이방성 식각을 진행하여 보호막(125)을 형성할 수 있다. 보호막(125)은 이후의 식각 공정에서 트렌치(TH) 내부의 제1 표면 절연층(123)을 보호하고 식각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마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In step S70, an intermediate insulating layer 124 may be formed by depositing an insulating material (eg, silicon oxide) on top of the trench floating region 140 and the conductive material layer 142. Additionally, the protective film 125 may be formed by isotropically depositing an insulating material (eg, silicon nitride) inside the trench TH and then performing anisotropic etching. The protective film 125 may protect the first surface insulating layer 123 inside the trench TH and act as a mask to guide the etched position in the subsequent etching process.

S80 단계에서, 보호막(125)을 마스크로 하여 중간 절연층(124)을 소정의 깊이로 식각하여 식각된 중간 절연층(124')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절연층(124)이 식각되는 깊이는 도 5a에서 게이트 전극(120)의 하단으로부터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의 하단까지의 깊이와 동일할 수 있다. In step S80, the intermediate insulating layer 124 may be etched to a predetermined depth using the protective film 125 as a mask to form the etched intermediate insulating layer 124'. The depth at which the middle insulating layer 124 is etched may be the same as the depth from the bottom of the gate electrode 120 to the bottom of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in FIG. 5A.

S90 단계에서, 보호막(125)을 제거한 뒤 전체적으로 도전 물질(예컨대, 폴리실리콘)을 등방성 증착하여 전극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In step S90, the protective film 125 is removed and then a conductive material (eg, polysilicon) is isotropically deposited to form the electrode layer 120'.

S100 단계에서, 전극층(120')을 이방성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120)을 형성하고, 전체적으로 절연 물질(예컨대, 실리콘 옥사이드)을 증착하여 제2 표면 절연층(126)을 형성할 수 있다.In step S100, the gate electrode 120 may be formed by anisotropically etching the electrode layer 120', and an insulating material (eg, silicon oxide) may be entirely deposited to form the second surface insulating layer 126.

S110 단계에서, 트렌치(TH) 내부에 도전 물질(예컨대, 폴리실리콘)을 갭필(gap-fill)하여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을 형성할 수 있다.In step S110,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may be formed by gap-filling a conductive material (eg, polysilicon) inside the trench TH.

S120 단계에서, 이미터 영역(130)의 상단에 해당하는 높이보다 높은 위치의 구성들은 연마 공정을 통해 제거되어 반도체 기판(110)의 상부가 평탄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터 영역(130), 게이트 전극(120) 및 트렌치 이미터 영역(135) 각각의 상부는 노출될 수 있다. 연마 공정을 마친 상태의 제1 및 제2 표면 절연층(123, 126) 및 중간 절연층(124')은 하나의 게이트 절연막(122')으로 표시될 수 있다.In step S120, components located higher than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op of the emitter region 130 may be removed through a polishing process to flatten the upper part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Accordingly, the upper portions of each of the emitter region 130, the gate electrode 120,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135 may be exposed. The first and second surface insulating layers 123 and 126 and the middle insulating layer 124' after the polishing process may be displayed as one gate insulating film 122'.

S130 단계에서, 반도체 기판(110)의 상부에 상부 절연층(128)을 도포할 수 있다. 상부 절연층(128)은 앞서 설명된 게이트 절연막(122')과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In step S130, the upper insulating layer 128 may be applied on top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0. The upper insulating layer 128 may have the same material as the gate insulating layer 122' described above.

S140 단계에서, 상부 절연층(128)의 상부에 에칭 마스크를 배치하고, 에칭을 통해 빈 공간인 중공(vacancy, VC)을 형성할 수 있다. 에칭 마스크의 위치 및 에칭 깊이는 에칭에 의해 이미터 영역(130)이 노출될 수 있도록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에칭을 통해 이미터 영역(130) 및 웰 영역(118)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122')과 에칭된 상부 절연층(128)은 일체로 도 5a에 도시된 게이트 절연막(122)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step S140, an etching mask may be placed on the upper insulating layer 128, and a vacancy (VC), which is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through etching. The position of the etching mask and the etching depth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so that the emitter region 130 can be exposed by etch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emitter region 130 and the well region 118 may be exposed through etching. Additionally, the gate insulating layer 122' and the etched upper insulating layer 128 may integrally have the shape of the gate insulating layer 122 shown in FIG. 5A.

S150 단계에서, 게이트 절연막(122)의 상부 및 중공(VC)에 전도성을 갖는 물질이 갭필 및 도포되어 이미터 전극(132)이 형성됨으로써, 도 5a에 도시된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In step S150, a conductive material is gap-filled and applied to the top and cavity (VC) of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to form the emitter electrode 132, thereby forming the structure of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10 shown in FIG. 5A. can be form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Claims (16)

각각이 반도체 기판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향해 리세스(recess) 되도록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들;
상기 게이트 전극이 배치되는 트렌치 및 상기 제1 면 각각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이미터 영역;
상기 제2 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대 도전형인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콜렉터 영역;
상기 트렌치의 바닥면을 감싸면서 상기 트렌치의 신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면을 향해 신장되고, 상기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플로팅 영역;
상기 트렌치 내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는 트렌치 이미터 영역; 및
상기 트렌치 내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들 및 상기 트렌치 이미터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트렌치 플로팅 영역을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소자.
gate electrodes each of which is recessed from a first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toward a second side opposite the first side;
an emitter region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trench in which the gate electrode is disposed, and including an impurity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a collector region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and including an impurity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that is opposite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a floating region that surrounds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and extends toward the second surface along the elongation direction of the trench, and includes impurities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a trench emitter region disposed between the gate electrodes within the trench; and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trench floating region disposed below the gate electrodes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within the tren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들 각각과 상기 트렌치 이미터 영역의 사이, 및 상기 게이트 전극들 각각과 상기 트렌치 플로팅 영역의 사이에 배치되는 게이트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paragraph 1,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further comprising a gate insulating film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gate electrodes and the trench emitter region, and between each of the gate electrodes and the trench floating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이미터 영역이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게이트 전극들 각각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보다 긴 전력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ength that the trench emitter region extends from the first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is longer than the length that each of the gate electrodes extends from the first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이미터 영역은 이미터 전극을 통해 상기 이미터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paragraph 1,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wherein the trench emitter reg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mitter region through an emitter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이미터 영역 및 상기 트렌치 플로팅 영역 각각은 폴리실리콘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paragraph 1,
A semiconductor device wherein each of the trench emitter region and the trench floating region includes polysilic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플로팅 영역은 전기적으로 플로팅되는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paragraph 1,
A semiconductor device in which the trench floating region is electrically floa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방향에 따른 상기 플로팅 영역의 길이는 상기 플로팅 영역의 폭보다 더 큰 전력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paragraph 1,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wherein the length of the floating area along the stretching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loating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영역의 폭은 상기 트렌치의 폭보다 더 큰 전력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paragraph 1,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wherein the width of the floating area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tren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플로팅 영역의 상단의 깊이는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트렌치의 하단의 깊이보다 얕은 전력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paragraph 1,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wherein the depth of the top of the floating area from the first surface is shallower than the depth of the bottom of the trench from the first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영역의 하단과 상기 콜렉터 영역의 상단은 소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는 전력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paragraph 1,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wherein the bottom of the floating area and the top of the collector are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터 영역은 상기 트렌치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전력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mitter region is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rench,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 영역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팅 영역 및 상기 트렌치 각각의 측면에 접하면서 상기 신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드리프트 영역을 더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paragraph 1,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llector region, extending along the elongation direction while contacting each side of the floating region and the trench, and further comprising a drift region including an impurity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터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도전형의 불순물 도핑 농도는 상기 드리프트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도전형의 불순물 도핑 농도보다 높은 전력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clause 12,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wherein an impurity doping concentrat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n the emitter region is higher than an impurity doping concentrat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n the drift region.
제1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줄무늬 형태 또는 링 형태로 배치되는 전력 반도체 소자.
According to paragraph 1,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in which the gate electrode is arranged in a striped or ring shape on a plane.
제1항의 전력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셀 영역; 및
상기 게이트 전극, 상기 이미터 영역 및 상기 콜렉터 영역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게이트 단자, 이미터 단자 및 콜렉터 단자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A cell region including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of claim 1; and
A power semiconductor chip comprising a peripheral region including a gate terminal, an emitter terminal, and a collector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gate electrode, the emitter region, and the collector region.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제1 드리프트 영역을 에피택셜 성장(epitaxial growth)을 통해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리프트 영역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대 도전형인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플로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리프트 영역의 상부에 상기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제2 드리프트 영역을 에피택셜 성장을 통해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드리프트 영역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이미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미터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플로팅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식각되도록 에칭(etching)을 통해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의 내부에 전도성 물질을 증착하여 트렌치 플로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플로팅 영역의 상부에 상기 트렌치 플로팅 영역과 이격되도록 전도성 물질을 증착하여 게이트 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전극들 사이에 상기 게이트 전극들 각각과 이격되도록 전도성 물질을 증착하여 트렌치 이미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forming a first drift region containing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through epitaxial growth;
forming a floating region by injecting impurities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which is an opposite conductivity type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drift region;
forming a second drift region containing impurities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on an upper part of the first drift region through epitaxial growth;
forming an emitter region by injecting impurities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from an upper part of the second drift region;
forming a trench through the emitter region through etching to et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loating region;
forming a trench floating area by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inside the trench;
forming gate electrodes by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an upper part of the trench floating area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rench floating area;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forming a trench emitter region between the gate electrodes by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gate electrodes.
KR1020220050743A 2022-04-25 2022-04-25 Power semiconductor device,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ending KR202301512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743A KR20230151275A (en) 2022-04-25 2022-04-25 Power semiconductor device,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743A KR20230151275A (en) 2022-04-25 2022-04-25 Power semiconductor device,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275A true KR20230151275A (en) 2023-11-01

Family

ID=8874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743A Pending KR20230151275A (en) 2022-04-25 2022-04-25 Power semiconductor device,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27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630A (en) 2011-09-28 2014-05-13 도요타 지도샤(주) Igb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630A (en) 2011-09-28 2014-05-13 도요타 지도샤(주) Igb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054B1 (en) Semiconductor devices
US11075285B2 (en) Insulated gate power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device
US12243933B2 (en) Semiconductor device layouts
JP6869791B2 (en) Semiconductor switching element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US11264475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gate electrode formed in a trench structure
JP7697799B2 (en) Reverse conducting IGBT with reduced forward recovery voltage
US12349429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16028405A (en) Semiconductor device
US12211903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thereof
US11569360B2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and power semiconductor chip
KR20230151275A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151276A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150663A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129764A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40011517A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37047B1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and power semiconductor chip
JP7016437B2 (en) Semiconductor switching element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KR102437048B1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and power semiconductor chip
KR102321272B1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300623B1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and power semiconductor chip
KR20220079262A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and power semiconductor chip
KR102042833B1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210056147A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KR20230128846A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and power semiconductor chip
JP2023039138A (e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3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