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50956A - 층상배관용 배수육가 - Google Patents

층상배관용 배수육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0956A
KR20230050956A KR1020210134353A KR20210134353A KR20230050956A KR 20230050956 A KR20230050956 A KR 20230050956A KR 1020210134353 A KR1020210134353 A KR 1020210134353A KR 20210134353 A KR20210134353 A KR 20210134353A KR 20230050956 A KR20230050956 A KR 20230050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water
drain
sealing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주
하헌일
Original Assignee
(주)코리스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스이엔티 filed Critical (주)코리스이엔티
Priority to KR1020210134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0956A/ko
Publication of KR20230050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956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욕실 바닥의 잡배수를 집수하여 외부의 배수관으로 배수하는 배수육가(1)를 개시한다. 이러한 배수육가(1)는, 커버틀(11)과, 본체부(12), 내입부재(20) 및 배수연결관(13)을 가진다. 상기 커버틀(11)은, 욕실 바닥의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집수부(11b)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부(12)는, 집수부(11b)의 내측으로 내입부재 장착홀(H)이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틀(11)과 일체로 연결된 측벽(12a), 및 내입부재 장착홀(H)을 향해 바닥면(12b)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측벽(12a)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 봉수막(14)을 구비하여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입부재(20)는, 내입부재 장착홀(H)에 끼워져서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본체부(12)에 안착되는 내입관부(22), 및 내입관부(22)에 연통하여 잡배수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되며 봉수막(14)과의 사이에서 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봉수막(14)의 내측에서 봉수막(14)보다 낮은 높이로 본체부(12)의 바닥면(12b)부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는 봉수관(24)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연결관(13)은, 봉수막(14)을 통과한 잡배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부(12)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배수육가(1)는, 커버틀(11)과 본체부(12)가 일체로 성형되고 봉수막(14)이 본체부(12) 내에 일체로 성형되고 있어 부품수가 줄고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견고한 구조로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어 낮은 높이의 층상배관 바닥층 시공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층상배관용 배수육가{SEWER COVER ON FLOOR}
본 발명은 욕실 바닥의 잡배수를 집수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층상배관용 배수육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에는 배수육가를 설치하여 잡배수를 집수하고, 배수육가에 배수관으로 연결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있다. 상기 배수관은 층하배관과 층상배관으로 구분되는데, 바닥 슬라브층을 관통하여 아래층으로 배설하는 층하배관 보다는 당해층의 바닥 슬라브층 위에 배설하는 층상배관이 층간 소음 및 유지 보수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런데 상기 층상배관의 슬라브의 경우, 거실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기 위해 슬라브 다운하여 시공하기도 하나, 이는 건축 공정이 어렵고 다운되는 테두리에 철근을 보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층상배관 공법을 구현하되 슬라브를 다운 시공하지 않고 거실 등과 동일한 높이로 구현할 수 있도록 낮은 높이의 배수육가가 필요하며, 이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그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2493호로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수봉의 높이를 줄이고자 다단으로 수봉하고, 수봉부재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이중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낮은 높이의 배수육가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중으로 수봉함에 따라 오히려 배수가 원할하지 않으며 원할한 배수를 위해서는 큰 폭으로 해야 해서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으며,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며, 실링부재의 견고한 장착구조가 개시되지 않아 취기 방지에 여전히 취약하며, 또한 사용자가 밟고 지남에 따라 상부 덮개가 사용에 따라 들뜨게 되어 안정적인 배수육가를 확보하기에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특허 제10-19024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층상배관 공법을 구현하되 슬라브를 다운 시공하지 않고 거실 등과 동일한 높이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낮은 높이의 배수육가를 제공함에 있어 보다 단순한 구조로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배수육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욕실 바닥의 잡배수를 집수하여 외부의 배수관으로 배수하는 배수육가에 있어서: 욕실 바닥의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집수부가 마련된 커버틀; 상기 집수부의 내측으로 내입부재 장착홀이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틀과 일체로 연결된 측벽, 및 상기 내입부재 장착홀을 향해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측벽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 봉수막을 구비하여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내입부재 장착홀에 끼워져서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본체부에 안착되는 내입관부, 및 상기 내입관부에 연통하여 잡배수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되며 봉수막과의 사이에서 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봉수막의 내측에서 봉수막보다 낮은 높이로 본체부의 바닥면부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는 봉수관을 구비하는 내입부재; 그리고 상기 봉수막을 통과한 잡배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부에 일체로 연결된 배수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틀에 안착되는 다수의 배수공이 마련된 배수커버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내입부재는, 상기 배수커버를 받칠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의 받침돌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연결관에 대해 커버틀이 지지될 수 있도록 배수연결관과 커버틀 사이에 장착된 받침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봉수막은, 상기 본체부의 측벽으로부터 이격하여 환태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봉수관 및 측벽의 사이에서 유로가 이중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배수연결관의 배수유로의 내의 높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집수부로부터 단차지게 연결되어 형성된 단턱부, 상기 단턱부로부터 연장되어 내입부재 장착홀이 마련되는 지지관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턱부와의 사이에 간격지도록 이격하여 집수부에 배치되는 걸림돌편을 더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내입부재는, 상기 걸림돌편이 통과될 수 있도록 돌편통과홈이 마련되고 상기 단턱부에 안착되어 회전에 따라 걸림돌편에 걸려 고정되는 안착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입관부는 지지관부에 끼워져서 밀착되어 지지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착플랜지부에는, 상기 돌편통과홈의 양측에 점진적으로 상향 돌출하는 형상의 쐐기돌편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에 있어 커버틀과 본체부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봉수막이 본체부 내에 일체 형성됨으로써 부품수가 줄고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함체 형상의 본체부에 내입부재가 곧바로 얹혀져서 봉수관과 봉수막 사이에서 봉수됨으로써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내입부재에 받침돌부로 배수커버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어 안정적이며, 배수연결관과 커버틀의 사이에 받침목부를 배시치하여 견고하며, 단턱부와 걸림돌편을 구비함으로써 그 사이의 패킹부재의 압착 고정으로 밀봉에 바람직하며, 걸림돌편과 지지관부로 내입부재를 상하 좌우로 견고하게 고정하고 있어 봉수관이 자유단으로 하향 배치되더라도 잡배수가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어 봉수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고 견고한 구조로서 낮은 높이의 층상배관용 배수육가로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포함된 배수홈통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상기 배수홈통의 측면도이고 (b)는 배수홈통의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도 1의 A-A'라인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포함된 배수홈통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상기 배수홈통의 측면도이고 (b)는 배수홈통의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도 1의 A-A'라인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1)는, 일측의 배수연결관(13)과 상측의 커버틀(11)이 함체 형상의 본체부(12)에 일체로 연결되고 본체부(12)의 바닥면(12b)에 상향 돌출의 봉수막(14)이 일체로 형성된 배수홈통(10), 상기 배수홈통(10) 내에 수용되어 본체부(12)의 바닥면(12b)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봉수막(14)과의 사이에서 봉수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내입부재(20), 상기 내입부재(20)와 배수홈통(10)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그 사이로 취기가 나가지 않도록 밀봉하는 패킹부재(30), 그리고 상기 커버틀(11)에 안착되어 이물질이 일차적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40a)이 관통 형성된 배수커버(40)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홈통(10)의 커버틀(11)은, 배수커버(40)를 감싸 안착될 수 있는 형상의 테두리부(11a), 및 상기 테두리부(11a)로부터 잡배수가 흘러 들어가 집수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집수부(11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집수부(11b)에는 내입부재(20)의 고정을 위해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는 2개의 걸림돌편(11b1)이 마련된다.
상기 배수홈통(10)의 본체부(12)는, 전체적으로 함체 형상이며, 집수부(11b)의 내측으로 내입부재 장착홀(H)이 마련됨과 동시에 커버틀(11)과 일체로 연결된 측벽(12a)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2)의 측벽(12a)은 커버틀(11)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집수부(11b)로부터 단차지게 연결되어 형성된 단턱부(12b), 및 상기 단턱부(12b)로부터 연장되어 내입부재 장착홀(H)이 마련되는 지지관부(12c)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단턱부(12b)는 패킹부재(30)가 개재된 상태에서 내입부재(20)의 안착플랜지부(21)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패킹부재(30)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내입부재(20)의 안착플랜지부(21)를 끼울 경우 걸림돌편(11b1)과의 사이에서 패킹부재(30)가 압착되어 밀봉됨으로써 취기가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홈통(10)의 배수연결관(13)은, 배수홈통(10)의 본체부(12)에서 커버틀(11)에 걸쳐 일체로 연결되며, 배수관(미도시)에 연결됨으로써 잡배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연결관(13)과 커버틀(11)의 사이에는 받침목부(15)가 장착됨으로써 배수연결관(13)에 대해 커버틀(11)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층상배관 바닥층 시공에 있어서 배수육가를 낮은 높이로 해야 하는데, 높이를 낮게 할 경우 구조적 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1)의 경우, 배수홈통(10)으로서 커버틀(11)과 본체부(12)를 일체로 성형하여 고강성화하고, 또한 커버틀(11)과 배수연결관(13)을 일체로 함에 있어 그 사이에 받침목부(15)를 장착하고 있어 고강성화로 보다 견고한 구조의 배수육가로서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홈통(10)의 봉수막(14)은, 배수홈통 본체부(12)의 측벽(12a)으로부터 이격하여 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측벽(12a) 내측의 곡면 형상에 따라 환테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봉수막(14)의 높이는 배수연결관(13)의 배수유로 내에 위치하는 높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잡배수의 흐름을 보다 원할히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홈통(10)에 수용되는 내입부재(20)는, 내입부재 장착홀(H)에 끼워져서 본체부(12)의 단턱부(12b)에 안착될 수 있도록 그 상측에 위치하는 외향 돌출의 안착플랜지부(21), 상기 안착플랜지부(21)에 일체 형성되어 본체부(12)의 지지관부(12c)에 끼워져서 밀착하여 지지되는 내입관부(22), 상기 내입관부(22)에 일체 형성되어 잡배수의 흐름이 원할하도록 깔때기상의 사면관부(23), 및 상기 사면관부(23)에 일체 형성되어 봉수막(14)의 내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봉수막(14) 보다 낮은 높이로 하향 연장되어 본체부(12)의 바닥면(12b)에 이격하여 배치되는 봉수관(24)을 구비한다.
상기 내입부재(20)의 안착플랜지부(21)는, 커버틀(11)의 걸림돌편(11b1)이 통과할 수 있도록 돌편통과홈(21a)이 마련되며, 상기 돌편통과홈(21a)은 걸림돌편(11b1)의 갯수 보다 배수로 많은 개소에 형성되는 것이 착탈에 편의롭다. 또한 상기 돌편통과홈(21a)의 양측 각각에 돌편통과홈(21a)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상향 돌출하는 형상의 경사진 쐐기돌편(26a,26b)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안착플랜지부(21)가 돌편통과홈(210a)을 통과하여 단턱부(12b)에 위치한 상태에서 돌릴 경우 회전에 따라 걸림돌편(11b1)과 쐐기돌편(26a,26b)과의 사이에서 쐐기 작용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바람직하며, 더욱이 쐐기돌편(26a,26b)이 돌편통과홈(210a)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므로 안착플랜지부(21)를 편의에 따라 좌우로 자유롭게 돌려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쉽다. 그리고, 상기 안착플랜지부(21)는, 배수커버(40)가 받쳐질수 있도록 상향하여 돌출하는 받침돌부(25)를 가지며, 이에 따라 커버틀(11)의 테두리부(11a)에 안착되는 배수커버(40)가 주변부 뿐만 아니라 중심부에서도 받쳐지므로 사용에 따라 배수커버(40)의 들뜸이 방지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입부재(20)의 봉수관(24)은, 그 단부에 머리카락이나 기타 이물질을 이차적으로 걸러낼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27a)이 형성된 거름망(27)이 부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의 구성에 따른 조립과정과 그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배수육가(1) 조립의 경우, 배수홈통(10)의 단턱부(12b)에 고무재질의 패킹부재(30)를 배치하고, 내입부재 장착홀(H)이 마련된 지지관부(12c)를 통해 내입부재(20)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내입부재(20)의 돌편통과홈(21a)에 걸림돌편(11b1)을 통과시킨 다음, 상향 돌출된 받침돌부(25)를 잡고 회전시키면 걸림돌편(11b1)와 쐐기돌편(26a,26b) 사이에서 안착플랜지부(21)가 끼워지면서 그 사이로 패킹부재(30)가 압착되면서 체결된다. 이 경우 패킹부재(30)가 압착되어 밀봉되므로 커버틀(11)과 내입부재(20) 사이로 취기가 새어나오지 않아 밀봉이 효과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입부재(20)의 내입관부(22)는 지지관부(12c)에 끼워져서 지지되고 있으므로, 좌우로 요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커버틀(11)의 걸림돌편(11b1)과 지지관부(12c)의 구성에 따라 내입부재(20)를 상하 좌우로 고정할 수 있어 단순한 구조로 견고한 배수육가(1)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내입부재(20)의 상측에서 견고하게 잡고 있기 때문에 봉수관(24)이 자유단으로 하향 배치되더라도 잡배수가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봉수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배수육가(1)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며, 배수연결관(13) 역시 내입부재(20)가 고정되는 지지관부(12c)에 걸쳐 일체로 연결됨에 따라 견고한 구조로 낮은 높이의 층상배관용 배수육가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봉수막(14)은 본체부(12) 측벽(12a)에서 이격하여 배치됨에 따라 봉수관(24)과 봉수막(14) 및 본체부(12) 측벽(12a)의 사이에서 유로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고 봉수막(14)이 배수연결관(13)의 배수유로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봉수관(24)을 통해 유입된 잡배수가 봉수막(14)을 타고 넘어가 배수연결관(13)으로 원할히 배수될 수 있다. 여기서, 봉수공간은 봉수막(14)에 의해 둘러쌓인 공간으로서, 상시적으로 잡배수가 차 있음으로써 배수관을 통해 외부의 취기가 봉수관(24)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틀(11)의 테두리부(11a)에 배수커버(40)를 위치시킨다. 이 경우 안착플랜지부(21)의 받침돌부(25)가 배수커버(40)를 아래에서 받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배수커버(40)를 밟고 지나거나 기타 사용의 경우에도 받침돌부(25)에 의해 배수커버(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휘어지거나 커버틀(11)에서 들뜨지 않게 되고 배수커버(40)를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1)의 경우, 커버틀(11)과 본체부(12)가 일체로 성형되고 봉수막(14)이 본체부(12) 내에 일체로 성형되고 있어 단순하면서 견고한 구조가 가능하며, 더욱이 배수연결관(13)과 커버틀(11)이 받침목부(15)로 견고하게 지지되고 있으므로 낮은 높이로 하더라도 견고한 층상배관 바닥층 시공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낮은 높이로 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1)의 경우, 측벽(12a)의 내주면이 원통 형상으로 원주면을 이루고 봉수막(14) 역시 환테 형상의 원주면을 구성하며 더욱이 봉수막(14)이 측벽(12a)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됨에 따라 이중으로 유로가 형성되고 있어 봉수관(24)을 통한 잡배수가 원할이 유동할 수 있으며, 봉수막(14)이 배수연결관(13)의 배수유로 내의 높이로 돌출하고 있어 봉수막(14)을 통과한 잡배수가 외부로 원할히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욕실 바닥층 시공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1)를 욕실 바닥의 슬라브층(C)에 올려 놓고 배수연결관(13)에 배수관(P)을 연결한 다음 몰탈하여 몰탈층(M)과 타일층(T)을 형성하여 욕실 바닥층을 시공하며, 이러한 바닥층 시공방법은 본 발명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공지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의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술된 형상이나 모양이나 참조부호나 부속품이나 부분으로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설명에 반하여 다른 문헌을 이용하여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도 안되며,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배수육가 10: 배수홈통
11: 커버틀 12: 본체부
13: 배수연결관 14: 봉수막
15 : 받침목부 20: 내입부재
21: 안착플랜지부 22: 내입관부
23: 사면관부 24: 봉수관
25: 받침돌부 30: 패킹부재
40: 배수커버 H : 내입부재 장착홀

Claims (6)

  1. 욕실 바닥의 잡배수를 집수하여 외부의 배수관으로 배수하는 배수육가에 있어서:
    욕실 바닥의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집수부가 마련된 커버틀;
    상기 집수부의 내측으로 내입부재 장착홀이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틀과 일체로 연결된 측벽, 및 상기 내입부재 장착홀을 향해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측벽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 봉수막을 구비하여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내입부재 장착홀에 끼워져서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본체부에 안착되는 내입관부, 및 상기 내입관부에 연통하여 잡배수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되며 봉수막과의 사이에서 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봉수막의 내측에서 봉수막보다 낮은 높이로 본체부의 바닥면부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는 봉수관을 구비하는 내입부재; 그리고
    상기 봉수막을 통과한 잡배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부에 일체로 연결된 배수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틀에 안착되는 다수의 배수공이 마련된 배수커버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내입부재는, 상기 배수커버를 받칠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의 받침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연결관에 대해 커버틀이 지지될 수 있도록 배수연결관과 커버틀 사이에 장착된 받침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수막은,
    상기 본체부의 측벽으로부터 이격하여 환태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봉수관 및 측벽의 사이에서 유로가 이중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배수연결관의 배수유로의 내의 높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집수부로부터 단차지게 연결되어 형성된 단턱부, 상기 단턱부로부터 연장되어 내입부재 장착홀이 마련되는 지지관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턱부와의 사이에 간격지도록 이격하여 집수부에 배치되는 걸림돌편을 더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내입부재는, 상기 걸림돌편이 통과될 수 있도록 돌편통과홈이 마련되고 상기 단턱부에 안착되어 회전에 따라 걸림돌편에 걸려 고정되는 안착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입관부는 지지관부에 끼워져서 밀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플랜지부에는,
    상기 돌편통과홈의 양측에 점진적으로 상향 돌출하는 형상의 쐐기돌편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KR1020210134353A 2021-10-08 2021-10-08 층상배관용 배수육가 Pending KR202300509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353A KR20230050956A (ko) 2021-10-08 2021-10-08 층상배관용 배수육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353A KR20230050956A (ko) 2021-10-08 2021-10-08 층상배관용 배수육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956A true KR20230050956A (ko) 2023-04-17

Family

ID=86128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353A Pending KR20230050956A (ko) 2021-10-08 2021-10-08 층상배관용 배수육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095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493B1 (ko) 2016-10-24 2018-11-2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493B1 (ko) 2016-10-24 2018-11-2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75297A (en) Clogging resistant drain
KR20140040440A (ko) 배수 안정성 향상과 배수소음 최소화를 갖춘 통합 배수트랩 장치
KR20230050956A (ko) 층상배관용 배수육가
JP5201970B2 (ja)
KR100962021B1 (ko) 배수 트랩 시스템
JP5106897B2 (ja) 排水トラップにおける目皿
KR100886962B1 (ko) 트랩 및 상기 트랩이 구비되는 트렌치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JPH0743232Y2 (ja) 洗濯機用防水パンの排水装置
JPH0743219Y2 (ja) トラップ付排水枡に使用する集排水器具
JP2509946Y2 (ja) 掃除口用蓋
KR200169068Y1 (ko) 욕실용 배수장치
JP4795786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桝
JP2597970Y2 (ja) トラップ桝付洗い場
EP3688239B1 (en) Plumbing trap
JP2004076342A (ja) 防臭・油分離ます
JPS6027190Y2 (ja) 排水トラツプ
JP2003313914A (ja) 排水トラップ
JPS636289Y2 (ko)
KR200327221Y1 (ko) 바닥 배수장치
KR20170048718A (ko) 층상배관용 저상 플로우 드레인
JPH09125491A (ja) ストレーナ付き排水器具及び排水口構造
KR200257162Y1 (ko) 배수트랩
KR200243741Y1 (ko) 건물용 배수조
JPH0881990A (ja) トラップ付き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0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