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0956A - Sewer cover on floor - Google Patents
Sewer cover on flo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50956A KR20230050956A KR1020210134353A KR20210134353A KR20230050956A KR 20230050956 A KR20230050956 A KR 20230050956A KR 1020210134353 A KR1020210134353 A KR 1020210134353A KR 20210134353 A KR20210134353 A KR 20210134353A KR 20230050956 A KR20230050956 A KR 202300509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age
- water
- drain
- sealing
-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657 drainage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797 gre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욕실 바닥의 잡배수를 집수하여 외부의 배수관으로 배수하는 배수육가(1)를 개시한다. 이러한 배수육가(1)는, 커버틀(11)과, 본체부(12), 내입부재(20) 및 배수연결관(13)을 가진다. 상기 커버틀(11)은, 욕실 바닥의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집수부(11b)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부(12)는, 집수부(11b)의 내측으로 내입부재 장착홀(H)이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틀(11)과 일체로 연결된 측벽(12a), 및 내입부재 장착홀(H)을 향해 바닥면(12b)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측벽(12a)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 봉수막(14)을 구비하여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입부재(20)는, 내입부재 장착홀(H)에 끼워져서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본체부(12)에 안착되는 내입관부(22), 및 내입관부(22)에 연통하여 잡배수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되며 봉수막(14)과의 사이에서 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봉수막(14)의 내측에서 봉수막(14)보다 낮은 높이로 본체부(12)의 바닥면(12b)부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는 봉수관(24)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연결관(13)은, 봉수막(14)을 통과한 잡배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부(12)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배수육가(1)는, 커버틀(11)과 본체부(12)가 일체로 성형되고 봉수막(14)이 본체부(12) 내에 일체로 성형되고 있어 부품수가 줄고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견고한 구조로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어 낮은 높이의 층상배관 바닥층 시공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Disclosed is a drainage yukga (1) that collects waste water from the bathroom floor and drains it to an external drain pipe. This drainage yukga (1) has a cover frame (11), a body portion (12), an internal member (20) and a drainage connection pipe (13). The cover frame 11 is provided with a water collector 11b formed stepwise in a recessed shape so that waste water from the bathroom floor can flow in. The body part 12 has an inner member mounting hole H provid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part 11 b, a side wall 12 a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ver frame 11, and an inner member mounting hole H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12b) toward the side wall (12a) and is provided with a water sealing film (14)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box shape. The inlet member 20 is inserted into the inlet member mounting hole H and communicates with the inlet pipe part 22 seated on the main body part 12 so that waste water can flow in, and the inlet pipe part 22 to allow waste water to flow.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2b of the body part 12 at a height lower than the sealing film 14 on the inside of the sealing film 14 so that the sealing water can be made between the sealing film 14 It is provided with a sealing water pipe 24 disposed. And the drain connection pipe 13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2 so that the waste water passing through the sealing film 14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is drainage yukga 1, the cover frame 11 and the body portion 12 are integrally molded, and the sealing water film 14 is integrally molded in the body portion 12, so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and the structure is simple, making installation easy. The height can be minimized with an easy and robust structure, so it can be usefully applied to the bottom layer construction of low-height layered pip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욕실 바닥의 잡배수를 집수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층상배관용 배수육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drainage device for layered piping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waste water from a bathroom floor.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에는 배수육가를 설치하여 잡배수를 집수하고, 배수육가에 배수관으로 연결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있다. 상기 배수관은 층하배관과 층상배관으로 구분되는데, 바닥 슬라브층을 관통하여 아래층으로 배설하는 층하배관 보다는 당해층의 바닥 슬라브층 위에 배설하는 층상배관이 층간 소음 및 유지 보수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런데 상기 층상배관의 슬라브의 경우, 거실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기 위해 슬라브 다운하여 시공하기도 하나, 이는 건축 공정이 어렵고 다운되는 테두리에 철근을 보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층상배관 공법을 구현하되 슬라브를 다운 시공하지 않고 거실 등과 동일한 높이로 구현할 수 있도록 낮은 높이의 배수육가가 필요하며, 이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그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2493호로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수봉의 높이를 줄이고자 다단으로 수봉하고, 수봉부재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이중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낮은 높이의 배수육가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중으로 수봉함에 따라 오히려 배수가 원할하지 않으며 원할한 배수를 위해서는 큰 폭으로 해야 해서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으며,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며, 실링부재의 견고한 장착구조가 개시되지 않아 취기 방지에 여전히 취약하며, 또한 사용자가 밟고 지남에 따라 상부 덮개가 사용에 따라 들뜨게 되어 안정적인 배수육가를 확보하기에 한계가 있다. In general, a drain pipe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a bathroom or toilet to collect waste water, and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connecting the drain pipe to the drain pipe. The drainpipe is divided into layered pipes and layered pipes. Layered pipes excreted on the floor slab layer of the floor are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interfloor noise and maintenance than sublayered pipes that pass through the floor slab layer to the lower layer. However, in the case of the slab of the layered pipe, it is sometimes constructed by downing the slab to make it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living roo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layered piping method but to implement a low-height drainage channel so that the slab can be implemen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iving room, etc., and an example thereof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02493 as a prior art.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o reduce the height of the water seal, it is intended to provide a water seal with a low height by combining the water seal in multiple stages and detachably double for a solid coupling of the water seal member. However, due to the double water sealing, the drainage is not smooth, and the size must be increased because it must be wide for smooth drainage, and the structure for firmly mounting is complicated, and the sealing member has a solid mounting structure. is still vulnerable to odor prevention because it is not disclosed, and as the user steps on it, the upper cover is lifted according to use, so there is a limit to securing a stable drainage meat valu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층상배관 공법을 구현하되 슬라브를 다운 시공하지 않고 거실 등과 동일한 높이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낮은 높이의 배수육가를 제공함에 있어 보다 단순한 구조로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배수육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mplements the layered piping method, but has a simpler structure in providing a low-height drainage unit in order to realize the same height as the living room without down-constructing the slab. Its purpose is to provide a drain that can be firmly mounted.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욕실 바닥의 잡배수를 집수하여 외부의 배수관으로 배수하는 배수육가에 있어서: 욕실 바닥의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집수부가 마련된 커버틀; 상기 집수부의 내측으로 내입부재 장착홀이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틀과 일체로 연결된 측벽, 및 상기 내입부재 장착홀을 향해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측벽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 봉수막을 구비하여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내입부재 장착홀에 끼워져서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본체부에 안착되는 내입관부, 및 상기 내입관부에 연통하여 잡배수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되며 봉수막과의 사이에서 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봉수막의 내측에서 봉수막보다 낮은 높이로 본체부의 바닥면부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는 봉수관을 구비하는 내입부재; 그리고 상기 봉수막을 통과한 잡배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부에 일체로 연결된 배수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틀에 안착되는 다수의 배수공이 마련된 배수커버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내입부재는, 상기 배수커버를 받칠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의 받침돌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연결관에 대해 커버틀이 지지될 수 있도록 배수연결관과 커버틀 사이에 장착된 받침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봉수막은, 상기 본체부의 측벽으로부터 이격하여 환태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봉수관 및 측벽의 사이에서 유로가 이중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배수연결관의 배수유로의 내의 높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집수부로부터 단차지게 연결되어 형성된 단턱부, 상기 단턱부로부터 연장되어 내입부재 장착홀이 마련되는 지지관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턱부와의 사이에 간격지도록 이격하여 집수부에 배치되는 걸림돌편을 더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내입부재는, 상기 걸림돌편이 통과될 수 있도록 돌편통과홈이 마련되고 상기 단턱부에 안착되어 회전에 따라 걸림돌편에 걸려 고정되는 안착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입관부는 지지관부에 끼워져서 밀착되어 지지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착플랜지부에는, 상기 돌편통과홈의 양측에 점진적으로 상향 돌출하는 형상의 쐐기돌편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a drainage yukga that collects waste water on the bathroom floor and drains it to an external drain pipe: A cover frame provided with a water collector formed in a stepped shape and recessed so that waste water on the bathroom floor can flow in; An inner member mounting hole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a side wall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ver frame and a sealing film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toward the inner member mounting hole and disposed away from the side wall form a box shape. Body portion made of; The inner tube portion inserted into the inner member mounting hole and seated in the main body so that miscellaneous drainage water can flow in, and the inner tub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tube portion so that the gray water flows, and the inside of the sealing film so that sealing water can be made between the sealing film and the sealing film. An internal member having a sealing pip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t a height lower than the sealing film in the sealing water; And a drain connection pip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waste water passing through the sealing film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Here, it further includes a drain cov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ain holes seated on the cover frame; And the inlet memb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supporting protrusion of a protruding shape so as to support the drain cover. In addition, a support portion mounted between the drain connection pipe and the cover frame may be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cover frame is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drain connection pipe. And the sealing film is disposed in an annular shape away from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so that a double 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sealing pipe and the side wall, and protrudes to a height within the drain passage of the drain connection pipe; it is preferable. . 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 stepped portion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in a stepwise manner, and a support pipe portion extending from the stepped portion and provided with an internal member mounting hole; Further comprising a blocking piece disposed in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stepped portion; In addition, the inner member has a protrusion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piece can pass, and is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and has a seating flange portion that is hooked and fixed to the protrusion piece as it rotates, and the inner tub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ipe It may be; that which is closely attached and support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wedge protrusions of a shape gradually protruding upward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passage groove in the seating flang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에 있어 커버틀과 본체부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봉수막이 본체부 내에 일체 형성됨으로써 부품수가 줄고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함체 형상의 본체부에 내입부재가 곧바로 얹혀져서 봉수관과 봉수막 사이에서 봉수됨으로써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내입부재에 받침돌부로 배수커버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어 안정적이며, 배수연결관과 커버틀의 사이에 받침목부를 배시치하여 견고하며, 단턱부와 걸림돌편을 구비함으로써 그 사이의 패킹부재의 압착 고정으로 밀봉에 바람직하며, 걸림돌편과 지지관부로 내입부재를 상하 좌우로 견고하게 고정하고 있어 봉수관이 자유단으로 하향 배치되더라도 잡배수가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어 봉수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고 견고한 구조로서 낮은 높이의 층상배관용 배수육가로 바람직하다. In the drainage yukg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frame and the main body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sealing film is integrally formed in the main body, so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and the structure is simple, making it easy to install. The height can be minimized by sealing between the pipe and the sealing film, and it is stable because the drainage cover can be firmly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rotrusion on the inner member. It is preferable for sealing by pressing and fixing the packing member between them by providing the blocking piece and the blocking piece, and the inner member is firmly fix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ith the blocking piece and the support pipe, so that even if the sealing pipe is disposed downward at the free end, garbage drainage is stable. It can be discharged, so the sealing space can be used more widely, and as a solid structure, it is desirable as a drain for low-height layered pip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포함된 배수홈통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상기 배수홈통의 측면도이고 (b)는 배수홈통의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도 1의 A-A'라인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inage yukga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inage yukga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drain gutter included in a drainage gutter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ide view of the drain gutter and (b) is a plan view of the drain gutter,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showing a drainage yukga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le meat valu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포함된 배수홈통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상기 배수홈통의 측면도이고 (b)는 배수홈통의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도 1의 A-A'라인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inage unit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inage unit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 is a side view of the drainage gutter, (b) is a plan view of the drainage gutter, and FIG. 4 shows a drainage gutter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1)는, 일측의 배수연결관(13)과 상측의 커버틀(11)이 함체 형상의 본체부(12)에 일체로 연결되고 본체부(12)의 바닥면(12b)에 상향 돌출의 봉수막(14)이 일체로 형성된 배수홈통(10), 상기 배수홈통(10) 내에 수용되어 본체부(12)의 바닥면(12b)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봉수막(14)과의 사이에서 봉수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내입부재(20), 상기 내입부재(20)와 배수홈통(10)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그 사이로 취기가 나가지 않도록 밀봉하는 패킹부재(30), 그리고 상기 커버틀(11)에 안착되어 이물질이 일차적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40a)이 관통 형성된 배수커버(40)를 포함한다. 1 to 4,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상기 배수홈통(10)의 커버틀(11)은, 배수커버(40)를 감싸 안착될 수 있는 형상의 테두리부(11a), 및 상기 테두리부(11a)로부터 잡배수가 흘러 들어가 집수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집수부(11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집수부(11b)에는 내입부재(20)의 고정을 위해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는 2개의 걸림돌편(11b1)이 마련된다.The
상기 배수홈통(10)의 본체부(12)는, 전체적으로 함체 형상이며, 집수부(11b)의 내측으로 내입부재 장착홀(H)이 마련됨과 동시에 커버틀(11)과 일체로 연결된 측벽(12a)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2)의 측벽(12a)은 커버틀(11)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집수부(11b)로부터 단차지게 연결되어 형성된 단턱부(12b), 및 상기 단턱부(12b)로부터 연장되어 내입부재 장착홀(H)이 마련되는 지지관부(12c)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단턱부(12b)는 패킹부재(30)가 개재된 상태에서 내입부재(20)의 안착플랜지부(21)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패킹부재(30)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내입부재(20)의 안착플랜지부(21)를 끼울 경우 걸림돌편(11b1)과의 사이에서 패킹부재(30)가 압착되어 밀봉됨으로써 취기가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The
상기 배수홈통(10)의 배수연결관(13)은, 배수홈통(10)의 본체부(12)에서 커버틀(11)에 걸쳐 일체로 연결되며, 배수관(미도시)에 연결됨으로써 잡배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연결관(13)과 커버틀(11)의 사이에는 받침목부(15)가 장착됨으로써 배수연결관(13)에 대해 커버틀(11)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층상배관 바닥층 시공에 있어서 배수육가를 낮은 높이로 해야 하는데, 높이를 낮게 할 경우 구조적 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1)의 경우, 배수홈통(10)으로서 커버틀(11)과 본체부(12)를 일체로 성형하여 고강성화하고, 또한 커버틀(11)과 배수연결관(13)을 일체로 함에 있어 그 사이에 받침목부(15)를 장착하고 있어 고강성화로 보다 견고한 구조의 배수육가로서 바람직하다. The
상기 배수홈통(10)의 봉수막(14)은, 배수홈통 본체부(12)의 측벽(12a)으로부터 이격하여 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측벽(12a) 내측의 곡면 형상에 따라 환테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봉수막(14)의 높이는 배수연결관(13)의 배수유로 내에 위치하는 높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잡배수의 흐름을 보다 원할히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The water sealing
상기 배수홈통(10)에 수용되는 내입부재(20)는, 내입부재 장착홀(H)에 끼워져서 본체부(12)의 단턱부(12b)에 안착될 수 있도록 그 상측에 위치하는 외향 돌출의 안착플랜지부(21), 상기 안착플랜지부(21)에 일체 형성되어 본체부(12)의 지지관부(12c)에 끼워져서 밀착하여 지지되는 내입관부(22), 상기 내입관부(22)에 일체 형성되어 잡배수의 흐름이 원할하도록 깔때기상의 사면관부(23), 및 상기 사면관부(23)에 일체 형성되어 봉수막(14)의 내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봉수막(14) 보다 낮은 높이로 하향 연장되어 본체부(12)의 바닥면(12b)에 이격하여 배치되는 봉수관(24)을 구비한다. The
상기 내입부재(20)의 안착플랜지부(21)는, 커버틀(11)의 걸림돌편(11b1)이 통과할 수 있도록 돌편통과홈(21a)이 마련되며, 상기 돌편통과홈(21a)은 걸림돌편(11b1)의 갯수 보다 배수로 많은 개소에 형성되는 것이 착탈에 편의롭다. 또한 상기 돌편통과홈(21a)의 양측 각각에 돌편통과홈(21a)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상향 돌출하는 형상의 경사진 쐐기돌편(26a,26b)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안착플랜지부(21)가 돌편통과홈(210a)을 통과하여 단턱부(12b)에 위치한 상태에서 돌릴 경우 회전에 따라 걸림돌편(11b1)과 쐐기돌편(26a,26b)과의 사이에서 쐐기 작용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바람직하며, 더욱이 쐐기돌편(26a,26b)이 돌편통과홈(210a)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므로 안착플랜지부(21)를 편의에 따라 좌우로 자유롭게 돌려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쉽다. 그리고, 상기 안착플랜지부(21)는, 배수커버(40)가 받쳐질수 있도록 상향하여 돌출하는 받침돌부(25)를 가지며, 이에 따라 커버틀(11)의 테두리부(11a)에 안착되는 배수커버(40)가 주변부 뿐만 아니라 중심부에서도 받쳐지므로 사용에 따라 배수커버(40)의 들뜸이 방지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입부재(20)의 봉수관(24)은, 그 단부에 머리카락이나 기타 이물질을 이차적으로 걸러낼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27a)이 형성된 거름망(27)이 부착된다.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의 구성에 따른 조립과정과 그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rained meat and its effect will be examin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배수육가(1) 조립의 경우, 배수홈통(10)의 단턱부(12b)에 고무재질의 패킹부재(30)를 배치하고, 내입부재 장착홀(H)이 마련된 지지관부(12c)를 통해 내입부재(20)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내입부재(20)의 돌편통과홈(21a)에 걸림돌편(11b1)을 통과시킨 다음, 상향 돌출된 받침돌부(25)를 잡고 회전시키면 걸림돌편(11b1)와 쐐기돌편(26a,26b) 사이에서 안착플랜지부(21)가 끼워지면서 그 사이로 패킹부재(30)가 압착되면서 체결된다. 이 경우 패킹부재(30)가 압착되어 밀봉되므로 커버틀(11)과 내입부재(20) 사이로 취기가 새어나오지 않아 밀봉이 효과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입부재(20)의 내입관부(22)는 지지관부(12c)에 끼워져서 지지되고 있으므로, 좌우로 요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커버틀(11)의 걸림돌편(11b1)과 지지관부(12c)의 구성에 따라 내입부재(20)를 상하 좌우로 고정할 수 있어 단순한 구조로 견고한 배수육가(1)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내입부재(20)의 상측에서 견고하게 잡고 있기 때문에 봉수관(24)이 자유단으로 하향 배치되더라도 잡배수가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봉수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배수육가(1)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며, 배수연결관(13) 역시 내입부재(20)가 고정되는 지지관부(12c)에 걸쳐 일체로 연결됨에 따라 견고한 구조로 낮은 높이의 층상배관용 배수육가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봉수막(14)은 본체부(12) 측벽(12a)에서 이격하여 배치됨에 따라 봉수관(24)과 봉수막(14) 및 본체부(12) 측벽(12a)의 사이에서 유로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고 봉수막(14)이 배수연결관(13)의 배수유로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봉수관(24)을 통해 유입된 잡배수가 봉수막(14)을 타고 넘어가 배수연결관(13)으로 원할히 배수될 수 있다. 여기서, 봉수공간은 봉수막(14)에 의해 둘러쌓인 공간으로서, 상시적으로 잡배수가 차 있음으로써 배수관을 통해 외부의 취기가 봉수관(24)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1 to 4, in the case of assembling the
다음으로, 상기 커버틀(11)의 테두리부(11a)에 배수커버(40)를 위치시킨다. 이 경우 안착플랜지부(21)의 받침돌부(25)가 배수커버(40)를 아래에서 받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배수커버(40)를 밟고 지나거나 기타 사용의 경우에도 받침돌부(25)에 의해 배수커버(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휘어지거나 커버틀(11)에서 들뜨지 않게 되고 배수커버(40)를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1)의 경우, 커버틀(11)과 본체부(12)가 일체로 성형되고 봉수막(14)이 본체부(12) 내에 일체로 성형되고 있어 단순하면서 견고한 구조가 가능하며, 더욱이 배수연결관(13)과 커버틀(11)이 받침목부(15)로 견고하게 지지되고 있으므로 낮은 높이로 하더라도 견고한 층상배관 바닥층 시공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낮은 높이로 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1)의 경우, 측벽(12a)의 내주면이 원통 형상으로 원주면을 이루고 봉수막(14) 역시 환테 형상의 원주면을 구성하며 더욱이 봉수막(14)이 측벽(12a)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됨에 따라 이중으로 유로가 형성되고 있어 봉수관(24)을 통한 잡배수가 원할이 유동할 수 있으며, 봉수막(14)이 배수연결관(13)의 배수유로 내의 높이로 돌출하고 있어 봉수막(14)을 통과한 잡배수가 외부로 원할히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욕실 바닥층 시공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1)를 욕실 바닥의 슬라브층(C)에 올려 놓고 배수연결관(13)에 배수관(P)을 연결한 다음 몰탈하여 몰탈층(M)과 타일층(T)을 형성하여 욕실 바닥층을 시공하며, 이러한 바닥층 시공방법은 본 발명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공지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Next,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의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술된 형상이나 모양이나 참조부호나 부속품이나 부분으로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설명에 반하여 다른 문헌을 이용하여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도 안되며,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drainage yukga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more detail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drainage yukga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bove-described shape or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shapes, reference numerals, accessories or par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using other literature contrary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rights of multiple six valu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determined
1 : 배수육가
10: 배수홈통
11: 커버틀
12: 본체부
13: 배수연결관
14: 봉수막
15 : 받침목부
20: 내입부재
21: 안착플랜지부
22: 내입관부
23: 사면관부
24: 봉수관
25: 받침돌부
30: 패킹부재
40: 배수커버
H : 내입부재 장착홀1: Drainage gutter 10: Drainage gutter
11: cover frame 12: body portion
13: drainage connection pipe 14: sealing film
15: support part 20: internal member
21: seating flange part 22: inner pipe part
23: four sides 24: beacon
25: supporting protrusion 30: packing member
40: drain cover H: inner member mounting hole
Claims (6)
욕실 바닥의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집수부가 마련된 커버틀;
상기 집수부의 내측으로 내입부재 장착홀이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틀과 일체로 연결된 측벽, 및 상기 내입부재 장착홀을 향해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측벽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 봉수막을 구비하여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내입부재 장착홀에 끼워져서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본체부에 안착되는 내입관부, 및 상기 내입관부에 연통하여 잡배수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되며 봉수막과의 사이에서 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봉수막의 내측에서 봉수막보다 낮은 높이로 본체부의 바닥면부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는 봉수관을 구비하는 내입부재; 그리고
상기 봉수막을 통과한 잡배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부에 일체로 연결된 배수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In the drainage yukga that collects the waste water on the bathroom floor and drains it to the external drain pipe:
A cover frame provided with a water collector formed in a recessed shape so that wastewater on the bathroom floor can flow in;
An inner member mounting hole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a side wall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ver frame and a sealing film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toward the inner member mounting hole and disposed away from the side wall form a box shape. Body portion made of;
The inner tube portion inserted into the inner member mounting hole and seated in the main body so that miscellaneous drainage water can flow in, and the inner tub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tube portion so that the gray water flows, and the inside of the sealing film so that sealing water can be made between the sealing film and the sealing film. An internal member having a sealing pip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t a height lower than the sealing film in the sealing water; and
Drain mea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ain connection pip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waste water passing through the sealing film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커버틀에 안착되는 다수의 배수공이 마련된 배수커버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내입부재는, 상기 배수커버를 받칠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의 받침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rain cov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ain holes seated on the cover frame; and
The inner member has a protruding supporting protrusion to support the drain cover; drainage meat,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배수연결관에 대해 커버틀이 지지될 수 있도록 배수연결관과 커버틀 사이에 장착된 받침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According to claim 1,
Drainage mea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ortion mounted between the drain connection pipe and the cover frame so that the cover frame can be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drain connection pipe.
상기 봉수막은,
상기 본체부의 측벽으로부터 이격하여 환태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봉수관 및 측벽의 사이에서 유로가 이중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배수연결관의 배수유로의 내의 높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ing film,
Disposed in an annular shape away from the side wall of the body part, so that a double 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sealing pipe and the side wall, and protrudes to a height within the drain flow path of the drain connection pipe.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집수부로부터 단차지게 연결되어 형성된 단턱부, 상기 단턱부로부터 연장되어 내입부재 장착홀이 마련되는 지지관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턱부와의 사이에 간격지도록 이격하여 집수부에 배치되는 걸림돌편을 더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내입부재는, 상기 걸림돌편이 통과될 수 있도록 돌편통과홈이 마련되고 상기 단턱부에 안착되어 회전에 따라 걸림돌편에 걸려 고정되는 안착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입관부는 지지관부에 끼워져서 밀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 stepped portion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in a stepwise manner, and a support pipe portion extending from the stepped portion and provided with an internal member mounting hole;
Further comprising a blocking piece disposed in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stepped portion to be spaced apart; and
The inner member has a protrusion through which the protruding protrusion can pass, and is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and has a seating flange portion that is caught and fixed to the protruding protrusion as it rotates. Drainage meat, characterized by being supported by being supported.
상기 안착플랜지부에는,
상기 돌편통과홈의 양측에 점진적으로 상향 돌출하는 형상의 쐐기돌편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According to claim 5,
In the seating flange portion,
Drainage meat, characterized in that wedge protrusions in the shape of gradually protruding upward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through groov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4353A KR20230050956A (en) | 2021-10-08 | 2021-10-08 | Sewer cover on flo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4353A KR20230050956A (en) | 2021-10-08 | 2021-10-08 | Sewer cover on flo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0956A true KR20230050956A (en) | 2023-04-17 |
Family
ID=86128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4353A Pending KR20230050956A (en) | 2021-10-08 | 2021-10-08 | Sewer cover on flo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50956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2493B1 (en) | 2016-10-24 | 2018-11-22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Drain trap |
-
2021
- 2021-10-08 KR KR1020210134353A patent/KR20230050956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2493B1 (en) | 2016-10-24 | 2018-11-22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Drain trap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B2475297A (en) | Clogging resistant drain | |
KR20140040440A (en) | Drain trap | |
KR20230050956A (en) | Sewer cover on floor | |
JP5201970B2 (en) | 桝 | |
KR100962021B1 (en) | Drain trap system | |
JP5106897B2 (en) | Eye plate in drain trap | |
KR100886962B1 (en) | A trap and a trench having the above trap | |
KR100740525B1 (en) | Sewage collection device | |
JPH0743232Y2 (en) | Drainage system for waterproof pans for washing machines | |
JPH0743219Y2 (en) | Drainage equipment used for drainage basin with trap | |
JP2509946Y2 (en) | Cleaning port lid | |
KR200169068Y1 (en) | An apparatus of a drain for bathroom | |
JP4795786B2 (en) | Drainage with trap | |
JP2597970Y2 (en) | Washing area with trap basin | |
EP3688239B1 (en) | Plumbing trap | |
JP2004076342A (en) | Deodorizing / oil separating pit | |
JPS6027190Y2 (en) | drainage trap | |
JP2003313914A (en) | Drain trap | |
JPS636289Y2 (en) | ||
KR200327221Y1 (en) | An apparatus for draining | |
KR20170048718A (en) | Minor Elevation Flow Drain on Foor | |
JPH09125491A (en) | Drain apparatus with strainer and structure of drain outlet | |
KR200257162Y1 (en) | draining traps | |
KR200243741Y1 (en) | The drain tank for building | |
JPH0881990A (en) | Drainage system with tra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0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