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63248A - 트랜스퍼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핸들러 - Google Patents

트랜스퍼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핸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248A
KR20220163248A KR1020220041645A KR20220041645A KR20220163248A KR 20220163248 A KR20220163248 A KR 20220163248A KR 1020220041645 A KR1020220041645 A KR 1020220041645A KR 20220041645 A KR20220041645 A KR 20220041645A KR 20220163248 A KR20220163248 A KR 20220163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et plate
transmission body
transfer
vibra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종기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윙 filed Critical (주)테크윙
Priority to CN202210597157.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5436724A/zh
Priority to TW111120455A priority patent/TWI834181B/zh
Publication of KR2022016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248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1Specific types of tests or tests for a specific type of fault, e.g. thermal mapping, shorts testing
    • G01R31/2813Checking the presence, location, orientation or value, e.g. resistance, of components or condu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퍼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셋플레이트; 고객트레이가 안착되고, 상기 셋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진동전달체; 및 상기 셋플레이트 및 상기 진동전달체 중 하나 이상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전달체는, 상기 셋플레이트 및 상기 진동전달체 중 하나 이상에 진동이 발생될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셋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고객트레이에 진동을 가하는, 트랜스퍼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트랜스퍼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핸들러{TRANSFER AND TEST HANDLER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트랜스퍼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핸들러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부품은 내구성, 불량여부 검출 등의 테스트를 거친 후에 시중에 유통된다. 이러한 전자부품의 테스트를 위해서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부품을 테스트하는 테스터(tester) 및 테스터에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장치인 테스트핸들러(test handler)가 필요하다.
테스트핸들러는 테스트 처리량을 늘리기 위해 다수의 전자부품이 행렬(matrix) 형태로 적재된 상태에서 한꺼번에 운반 가능한 테스트 트레이(test tray)를 사용한다. 전자부품은 테스트 트레이에 적재된 상태에서 테스터의 테스트 소켓(test socket)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테스트가 수행된다.
이러한 테스트 대상이 되는 전자부품은 고객트레이(customer tray)에 적재된 상태로 된다. 고객트레이는 전자부품의 적재 및 보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객트레이에 적재된 테스트되지 않은 전자부품들은 테스트 트레이로 전달되거나, 테스트 트레이에 적재된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들은 고객트레이에 로딩된다.
일반적으로 고객트레이에는 다수의 전자부품을 독립적으로 적재 및 배열시키기 위한 다수의 포켓이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다수의 전자부품이 고객트레이에 적재될 때, 포켓 리브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포켓 리브 현상이란, 다수의 전자부품들 중 일부 전자부품이 고객트레이 상의 포켓에 완전히 안착되지 못하고, 일부가 포켓 가장자리의 바깥쪽에 걸쳐지는 등 포켓에 정상적으로 안착되지 못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전자부품이 포켓 리브된 상태에서 고객트레이가 이송될 경우, 고객트레이가 이송되는 동안 전자부품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켓 리브된 전자부품이 테스트 트레이로 전달되기 위해 파지될 때, 정상적으로 파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전자부품이 정상적으로 파지되지 못한 상태에서 테스트 트레이 상에 전달되는 경우, 전자부품에 크랙이 생기거나, 전자부품의 단자에 손상이 생기게 되며, 전자부품의 식별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의 트랜스퍼는 전자부품의 포켓 리브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고객트레이 상에 놓인 전자부품이 포켓에 완전히 안착되도록 고객트레이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모터를 구비하도록 제조되었다. 이러한 진동모터는 트랜스퍼의 셋플레이트에 체결되어, 셋플레이트에 진동을 가하고, 셋플레이트에 가해진 진동은 고객트레이를 간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진동모터가 셋플레이트에 가하는 진동력만으로는 전자부품의 포켓 리브 현상이 온전히 해소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진동력을 높이기 위해 진동모터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진동모터의 크기를 증가시킬 경우, 공간활용도가 저하되고, 진동모터의 중량의 증가로 인하여 진동모터와 셋플레이트의 체결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동모터의 크기의 증가 없이 진동력을 높일 수 있는 높은 성능을 갖는 진동모터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진동모터의 중량을 늘리지 않고도, 포켓 리브된 전자부품이 고객트레이 상에 정상안착될 수 있도록 고객트레이에 충분한 진동력을 제공하여, 테스트핸들러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트랜스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진동모터의 성능에 구애받지 않고도, 포켓 리브된 전자부품이 고객트레이 상에 정상안착될 수 있도록 고객트레이에 충분한 진동력을 제공하여, 테스트핸들러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트랜스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셋플레이트; 고객트레이가 안착되고, 상기 셋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진동전달체; 및 상기 셋플레이트 및 상기 진동전달체 중 하나 이상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전달체는, 상기 셋플레이트 및 상기 진동전달체 중 하나 이상에 진동이 발생될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셋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고객트레이에 진동을 가하는, 트랜스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셋플레이트에는, 상기 진동전달체가 안착될 수 있고, 안착된 상기 진동전달체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셋플레이트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방공이 형성된, 트랜스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전달체는, 상면에 상기 고객트레이가 안착되는 트레이지지부; 상기 트레이지지부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전달체가 상기 셋플레이트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개방공 내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트랜스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셋플레이트는 상기 개방공을 형성하는 둘레면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전달체가 상기 셋플레이트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둘레면은 상기 돌출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돌출부의 측면을 둘러싸는, 트랜스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전후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개방공의 전후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돌출부의 좌우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개방공의 좌우방향으로의 폭보다 작은, 트랜스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전달체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트레이지지부의 하면을 상기 셋플레이트로부터 상하로 상기 소정의 두께만큼 이격시키는 이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 개의 상기 이격부는 상기 돌출부의 폭방향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트랜스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부는 상기 폭방향과 수직인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이격부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돌출부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작은, 트랜스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부의 상기 폭방향과 수직인 전후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트레이지지부의 가장자리까지의 좌우방향으로의 거리보다 작고, 상기 이격부의 하부의 상단의 폭은 하단의 폭보다 큰, 트랜스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부의 하부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곡률을 갖는, 트랜스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트레이지지부의 하면과 상기 돌출부의 하면 사이의 이격거리인 두께를 갖고,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이격부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트랜스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객트레이를 지지하는 트랜스퍼; 및 상기 트랜스퍼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객트레이의 상면을 노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제공하는 셋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퍼는 셋플레이트, 상기 고객트레이가 안착되고, 상기 셋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진동전달체, 및 상기 셋플레이트 및 상기 진동전달체 중 하나 이상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전달체는, 상기 셋플레이트 및 상기 진동전달체 중 하나 이상에 진동이 발생될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셋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고객트레이에 진동을 가하고, 상기 진동모터조립체는 상기 셋테이블과 상기 셋플레이트가 이격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테스트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스퍼는, 상기 진동전달체, 상기 셋플레이트 및 상기 진동모터조립체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모듈; 및 상기 진동모터조립체 및 상기 승하강모듈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셋플레이트가 하강할 때, 상기 진동모터조립체가 상기 셋플레이트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승하강모듈 및 상기 진동모터조립체를 제어하는, 테스트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는, 진동모터의 중량을 늘리지 않고도, 포켓 리브된 전자부품이 고객트레이 상에 정상 안착될 수 있도록 고객트레이에 충분한 진동력을 제공하여, 테스트핸들러를 경량화시킨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랜스퍼는 진동모터의 성능에 구애받지 않고도, 포켓 리브된 전자부품이 고객트레이 상에 정상 안착될 수 있도록 고객트레이에 충분한 진동력을 제공하여, 테스트핸들러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핸들러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핸들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핸들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를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복수 개의 전자부품이 도 8의 고객트레이에 배열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진동모듈이 하강한 모습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복수 개의 전자부품이 도 10의 고객트레이에 배열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B-B'를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동전달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이격부의 형상이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진동전달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안착'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안착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의 상하방향,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은 도 1에 도시된 좌표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방은 진동모듈이 승하강모듈에 대하여 승강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하방은 상방의 반대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전방은 진동모듈이 승하강모듈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후방은 전방의 반대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은 전후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폭방향은 좌우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하방향,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핸들러(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핸들러(1)는, 일정한 제조공정을 거쳐 제조된 전자부품(D)을 테스트하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등급별로 분류하여 고객트레이(CT)에 적재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핸들러(1)는 복수 개의 전자부품(D)을 테스터(T)에 접속시켜 전자부품(D)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핸들러(1)는 테스트트레이(TT), 로딩용 픽앤플레이스(LH), 제1 소팅테이블(STa), 제2 소팅테이블(STb), 소팅용 픽앤플레이스(SH), 언로딩용 픽앤플레이스(UH), 트랜스퍼(10) 및 셋테이블(20)을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트레이(TT)는 로딩위치(LP), 테스트위치(TP) 및 언로딩위치(UP)를 순차적으로 거치는 순환경로(C) 상에서 순환 이동될 수 있다. 로딩용 픽앤플레이스(LH)는 고객트레이(CT1)에 적재된 전자부품(D)을 로딩위치(LP)에 배치된 캐리어보드에 로딩(loading)시킬 수 있다. 이러한 로딩용 픽앤플레이스(LH)는 로더로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로딩용 픽앤플레이스(LH)는 로딩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소팅테이블(STa) 및 제2 소팅테이블(STb)은 도 1에 도시된 y축 방향(일 예로, 전후방향)으로 스텝 왕복 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소팅테이블(STa) 및 제2 소팅테이블(STb)에는 복수 개의 전자부품(D)이 행렬 형태로 적재될 수 있다. 소팅용 픽앤플레이스(SH)는 언로딩위치(UP)에 배치된 테스트트레이(TT)에 적재된 복수 개의 전자부품(D)을 제1 소팅테이블(STa) 및 제2 소팅테이블(STb)에 적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소팅용 픽앤플레이스(SH)는 소터로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소팅용 픽앤플레이스(SH)는 도 1에 도시된 x축 방향(일 예로,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언로딩용 픽앤플레이스(UH)는 소팅테이블(STa, STb)에 적재된 복수 개의 전자부품(D)을 빈 고객트레이(CT2)를 향해 이동시킨 후에 빈 고객트레이(CT2)에 적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언로딩용 픽앤플레이스(UH)는 언로더로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전자부품(D)이 적재된 고객트레이(CT)는 트랜스퍼(1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트랜스퍼(10)는 고객트레이(CT)에 진동력을 제공하여, 포켓 리브된 전자부품(D)을 고객트레이(CT)에 정상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트랜스퍼(10)는 진동모듈(11), 승하강모듈(12) 및 제어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모듈(11)은 전자부품(D)이 적재된 고객트레이(CT)에 진동력을 직접적/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모듈(11)은 승하강모듈(12)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모듈(11)의 전방측은 승하강모듈(12)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승하강모듈(12)에 대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모듈(11)은 진동전달체(100), 셋플레이트(200) 및 진동모터조립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면, 진동전달체(100)의 상면은 고객트레이(CT)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전달체(100)는 셋플레이트(200)에 발생된 진동을 안착면에 안착된 고객트레이(CT)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전달체(100)는 셋플레이트(2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전달체(100)는 셋플레이트(200)에 진동이 발생될 때, 적어도 일부가 셋플레이트(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더 자세한 예로, 진동전달체(100)의 적어도 일부가 셋플레이트(200)로부터 분리되는 동작에 의해 고객트레이(CT)는 진동될 수 있다. 이러한 고객트레이(CT)의 진동에 의해, 고객트레이(CT)에 적재된 복수 개의 전자부품(D)이 진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부품(D)의 진동에 의해 포켓 리브되었던 전자부품(D)은 고객트레이(CT)에 정상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전달체(100)는 고객트레이(CT)와 셋플레이트(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전달체(100)는 고객트레이(CT)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셋플레이트(20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셋플레이트(200)는 진동전달체(100) 및 진동모터조립체(3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셋플레이트(200)의 전방측은 승하강모듈(12)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플레이트(200)의 전방측은 승하강모듈(12)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셋플레이트(200)는 셋플레이트바디(210) 및 가이드핀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셋플레이트바디(210)는 고객트레이(CT) 및 진동전달체(1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셋플레이트바디(210)에는 안착홈(211) 및 개방공(212)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211)에는 진동전달체(10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211)은 셋플레이트바디(210)의 상면에 하방으로 인입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211)은 진동전달체(1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진동전달체(100)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홈(211)은 진동전달체(100)의 형상과 대응되는 그루브일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211)은 진동전달체(100)가 셋플레이트(20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임의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전달체(100)에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진동전달체(100)의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개방공(212)은 안착홈(211)에 안착된 진동전달체(100)의 적어도 일부를 셋플레이트(200) 외부에 대하여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플레이트(200)의 하측을 바라봤을 때, 진동전달체(100)의 하면의 소정영역이 노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진동전달체(100)와 셋플레이트(200)가 상하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투영되었을 때, 소정영역은 셋플레이트(200)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소정영역은 셋플레이트(200)에 진동이 발생될 때, 진동전달체(100)의 접촉 영역에 비해 더 큰 진폭으로 진동될 수 있다. 진동전달체(100)의 접촉 영역은, 진동전달체(100)가 안착홈(211)에 안착되었을 때 셋플레이트(200)와 접촉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개방공(212)은 안착홈(211)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개방공(212)은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공(212)의 좌우방향 폭은 전후방향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또한, 셋플레이트바디(210)는 둘레면(212a)을 구비할 수 있다. 둘레면(212a)은 개방공(2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둘레면(212a)은 진동전달체(100)가 셋플레이트(200)에 안착되었을 때, 돌출부(120)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둘레면(212a)은 진동전달체(100)가 셋플레이트(200)에 안착되었을 때, 돌출부(12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핀유닛(220)은 고객트레이(CT) 및 셋테이블(20) 중 하나 이상을 셋플레이트(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가이드핀유닛(220)은 일 예로, 원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핀유닛(220)은 셋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핀유닛(220)은 트레이 가이드핀(221) 및 테이블 가이드핀(222)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가이드핀(221)은 진동전달체(100)에 안착된 고객트레이(CT)가 셋플레이트(200)에 대하여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 가이드핀(221)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테이블 가이드핀(222)은 셋테이블(20)이 셋플레이트(200)에 대하여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 가이드핀(222)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진동모터조립체(300)는 전자부품(D)의 포켓 리브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진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진동모터조립체(300)는 셋플레이트(20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모터조립체(300)는 진동전달체(10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모터조립체(300)는 개방공(212)의 하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진동모터조립체(300)는 모터(310), 모터센서(320), 모터홀더(330) 및 모터지지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10)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모터(310)의 일측에는 편심 무게추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310)는 편심 무게추의 회전을 통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모터(310)는 제어기(1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모터센서(320)는 진동전달체(100)의 승하강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센서(320)는 셋플레이트(200)의 하면과 연결되어, 모터(31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모터홀더(330)는 모터(310)에서 발생한 진동을 진동전달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홀더(330)의 상면은 진동전달체(100)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홀더(330)의 상부는 진동전달체(100)의 소정영역의 중앙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홀더(330)의 상부는 개방공(21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홀더(330)는 모터(31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홀더(330)의 하부는 모터지지부(34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310)에서 발생한 진동은 모터홀더(330)로 전달되고, 모터홀더(330)에 전달된 진동은 진동전달체(100) 및 모터지지부(34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홀더(330)는 진동전달체(10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지지부(340)는 모터홀더(330)로부터 전달받은 진동을 셋플레이트(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셋플레이트(200)에 전달된 진동은 셋플레이트(200)와 분리 가능하게 접촉된 진동전달체(1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전달체(100)에 전달된 진동은 진동전달체(100)에 안착된 고객트레이(CT)에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터(310)에서 발생된 진동은 모터홀더(330), 모터지지부(340), 셋플레이트(200), 진동전달체(100), 고객트레이(CT) 및 고객트레이(CT)에 적재된 복수 개의 전자부품(D)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지지부(340)는 셋플레이트(200)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지지부(340)는 개방공(212)의 폭방향 양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승하강모듈(12)은 진동모듈(11)을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하강모듈(12)은 받침부(12a), 이동부(12b), 가이드레일(12c), 구동부(12d), 케이블베어(12e) 및 댐퍼(12f)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2a)는 진동모듈(11)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12a)의 상면은 셋플레이트(200)의 전방측 하면에 연결되고, 전면은 이동부(12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부(12b)의 후방측은 받침부(12a)의 전방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12b)는 받침부(12a)의 전방측에 연결되어, 받침부(12a) 및 진동모듈(11)과 함께 승하강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12b)의 전방측은 가이드레일(12c)의 후방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12b)는 가이드레일(12c)의 후방측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2c)에서는 이동부(12b)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레일(12c)은 롤러, 컨베이어벨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일(12c)은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구동부(12d)는 이동부(12b)에 승하강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2d)는 제어기(1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케이블베어(25, cable vayor)는 모터(3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미도시) 및 모터(310) 제어용 센서인 모터센서(320)에 연결되는 케이블(미도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베어(12e)의 하부는 일 예로, "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베어(12e)는 구동부(12d)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댐퍼(12f)는 하강하던 진동모듈(11)이 정지될 때, 관성에 의해 진동모듈(1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12f)는 가이드레일(12c)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기(13)는 진동모듈(11)을 승하강시키도록 승하강모듈(12)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3)는 진동모듈(11)을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구동부(12d)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3)는 진동모듈(11)이 하강할 때 진동모터조립체(300)가 가진력을 발생시키도록 진동모터조립체(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3)는 진동모듈(11)이 하강할 때, 모터(310)가 구동되도록 구동부(12d) 및 모터(3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3)는 진동모듈(11)이 승강할 때, 모터(310)가 가진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구동부(12d) 및 모터(3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3)는 셋플레이트(200)와 셋테이블(20)이 이격된 상태일 때, 진동모터조립체(300)가 진동전달체(100)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진동모터조립체(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13)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셋테이블(20)은 하나 이상의 셋플레이트(200)가 수평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테이블(20)은 고객트레이(CT)의 상면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길이는 고객트레이(CT)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셋테이블(20)의 하면과 셋플레이트(200)의 상면 사이에는 고객트레이(CT)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셋테이블(20)은 셋플레이트(20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핸들러(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테스트핸들러(1)는 고객트레이(CT)에 진동을 발생시켜, 고객트레이(CT)에 적재된 복수 개의 전자부품(D) 중 포켓 리브된 전자부품(D)을 고객트레이(CT)에 정상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모터조립체(300)에서 발생된 진동은 진동전달체(100) 및 셋플레이트(20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셋플레이트(200)는 전달 받은 진동을 진동전달체(100)로 전달할 수 있다.
진동전달체(100)는 안착면에 안착된 고객트레이(CT)에 셋플레이트(200) 및 모터홀더(330)로부터 전달 받은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을 전달 받은 진동전달체(100)는 셋플레이트(200)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분리되는 동작을 통해 고객트레이(CT)를 진동시킬 수 있다. 진동을 전달 받은 진동전달체(100) 중 셋플레이트(200)와 접촉되어있던 영역이, 셋플레이트(200)로부터 분리되었다가 다시 접촉되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고객트레이(CT)가 진동될 때, 고객트레이(CT) 상에 적재된 복수 개의 전자부품(D) 중 포켓 리브된 전자부품(D)은 고객트레이(CT)에 정상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모터조립체(300)는 셋플레이트(200)가 셋테이블(20)과 이격된 상태로부터 셋플레이트(200)가 하강될 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셋플레이트(200)와 셋테이블(20)이 서로 이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진동모터조립체(300)가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핸들러(1)는 진동전달체(100)가 셋플레이트(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고객트레이(CT)에 전달되는 진동력을 극대화시킨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전달체(100)는 트레이지지부(110) 및 돌출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
트레이지지부(110)는 고객트레이(CT)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지지부(110)의 상면에는 고객트레이(CT)가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지지부(110)는 진동전달체(100)가 안착홈(211)에 안착될 때, 셋플레이트(200)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지지부(110)는 일 예로,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20)는 트레이지지부(1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두께만큼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0)의 두께는 트레이지지부(110)의 하면과 돌출부(120)의 하면 사이의 이격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돌출부(120)는 트레이지지부(1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0)는 진동전달체(100)가 안착홈(211)에 안착되었을 때, 개방공(2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돌출부(120)의 길이(일 예로, 돌출부(120)의 전후방향으로의 길이)은 개방공(212)의 길이(일 예로, 개방공(212)의 전후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0)의 폭(일 예로, 돌출부(120)의 좌우방향으로의 길이)은 개방공(212)의 폭(일 예로, 개방공(212)의 좌우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20)의 외면의 둘레길이는 개방공(212)을 형성하는 셋플레이트바디(210)의 내주면의 둘레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돌출부(120)의 하면의 면적은 개방공(212)이 형성하는 가상의 수평개방면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수평개방면은 개방공(212)과 가상의 수평면이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하여 투영되었을 때, 중첩되는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0)의 상하방향으로의 두께는, 개방공(212)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0)의 하면에는 모터홀더(33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0)는 트레이지지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120)는 트레이지지부(110)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트레이지지부(110)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핸들러(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테스트핸들러(1)의 돌출부(120)는 진동전달체(100)가 진동되는 동안 셋플레이트(200)에 대하여 기울어질 때, 개방공(212)을 형성하는 셋플레이트바디(210)의 내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0)를 통하여 진동전달체(100)에 진동이 발생될 때, 트레이지지부(110)가 셋플레이트(200)에 대하여 소정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전달체(100)는 이격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
도 12를 다시 참조하면, 이격부(130)는 진동전달체(100)가 안착홈(211)에 안착되었을 때, 트레이지지부(110)를 제1 거리(h1)만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격부(130)는 소정의 두께(h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격부(130)는 진동전달체(100)가 안착홈(211)에 안착되었을 때, 셋플레이트(200)와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전달체(100)가 안착홈(211)에 안착되었을 때, 트레이지지부(110)는 셋플레이트(200)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이격부(130)의 두께(h1)는 트레이지지부(110)와 셋플레이트(200)의 상하 이격거리(h2)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이격부(130)를 통하여, 고객트레이(CT)는 셋플레이트바디(210)와 상하로 제2 거리(h2)만큼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트레이지지부(110)의 상단은 안착홈(211)의 상단보다 더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거리(h2)는 제1 거리(h1)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이격부(130)는 트레이지지부(1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격부(130)는 복수 개로 제공되어, 돌출부(120)의 폭방향(일 예로, 좌우방향) 양측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부(130)의 하단은 돌출부(120)의 하단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격부(130)의 두께(h1)는 돌출부(120)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이러한 이격부(130)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부(130)의 길이는 이격부(13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부(130)의 좌우방향 폭은 이격부(13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이격부(130)는 트레이지지부(110) 및 돌출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격부(130)는 트레이지지부(110) 및 돌출부(120)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트레이지지부(110)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핸들러(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테스트핸들러(1)의 진동전달체(100)가 진동될 때, 트레이지지부(110)는 가장자리부가 셋플레이트바디(210)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반복 운동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승하강모듈(12)과 진동모터조립체(300)가 작동되기 전(도 8 참조)에는 고객트레이(CT) 상에 적재된 복수 개의 전자부품(D)의 중 일부가 포켓 리브 상태에 놓일 수 있다(도 9 참조).
도 10 및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승하강모듈(12)이 하강하면서 진동모터조립체(300)가 구동되어 진동전달체(100)에 진동이 발생되고(도 10 참조), 이러한 진동은 고객트레이(CT)에 전달되어 고객트레이(CT) 상에 포켓 리브 되어있던 모든 전자부품(D)이 고객트레이(CT)에 정상적으로 안착(도 11 참조)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핸들러(1)는 이격부(130)를 통하여 진동전달체(100)가 진동될 때, 셋플레이트바디(210)와 트레이지지부(110) 사이의 이격거리만큼 트레이지지부(110)의 가동범위를 증가시켜, 고객트레이(CT)에 가해지는 진동의 크기를 극대화시킨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전달체(100)는 이격부(130)의 길이는 돌출부(120)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
이격부(130)의 전후방향으로의 길이는 돌출부(120)의 좌우방향으로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부(130)의 전후방향으로의 길이는 돌출부(120)의 좌우방향으로의 폭의 절반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이격부(130)의 좌우방향으로의 폭과 전후방향으로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이격부(130)의 하부의 상단의 폭은, 이격부(130)의 하부의 하단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이격부(130)의 하부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이격부(130)의 하부에는 라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부(130)의 하면은 일 예로, 원형 형상(도 13 참조) 및 사각형 형상(도 14 참조)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핸들러(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테스트핸들러(1)의 진동전달체(100)가 진동될 때, 트레이지지부(110)는 이격부(130)를 지나는 좌우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좌우회전축은 이격부(130)를 지나며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지지부(110)는 진동전달체(100)가 진동될 때, 폭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진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전달체(100)가 진동될 때, 트레이지지부(110)의 전방측 및 후방측은 셋플레이트바디(210)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반복 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진동전달체(100)가 진동될 때, 트레이지지부(110)는 시소와 같은 방식으로 좌우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진동될 수 있다. 테스트핸들러(1)는 이러한 이격부(130)를 통하여, 트레이지지부(110)에 안착된 고객트레이(CT)에 회전 진동을 가함으로써, 고객트레이(CT)의 진동량을 극대화시킨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테스트핸들러 10: 트랜스퍼
11: 진동모듈 12: 승하강모듈
12a: 받침부 12b: 이동부
12c: 가이드레일 12d: 구동부
12e: 케이블베어 12f: 댐퍼
13: 제어기 20: 셋테이블
100: 진동전달체 110: 트레이지지부
120: 돌출부 130: 이격부
200: 셋플레이트 210: 셋플레이트바디
211: 안착홈 212: 개방공
212a: 둘레면
220: 가이드핀유닛 221: 트레이 가이드핀
222: 테이블 가이드핀 300: 진동모터조립체
310: 모터 320: 모터센서
330: 모터홀더 340: 모터지지부
D: 전자부품 CT: 고객트레이
TT: 테스트트레이 LH: 로딩용 픽앤플레이스
UH: 언로딩용 픽앤플레이스 SH: 소팅용 픽앤플레이스
STa: 제1 소팅테이블 STa: 제2 소팅테이블
LP: 로딩위치 UP: 언로딩위치
TP: 테스트위치

Claims (12)

  1. 셋플레이트;
    고객트레이가 안착되고, 상기 셋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진동전달체; 및
    상기 셋플레이트 및 상기 진동전달체 중 하나 이상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전달체는,
    상기 셋플레이트 및 상기 진동전달체 중 하나 이상에 진동이 발생될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셋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고객트레이에 진동을 가하는,
    트랜스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플레이트에는,
    상기 진동전달체가 안착될 수 있고, 안착된 상기 진동전달체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셋플레이트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방공이 형성된,
    트랜스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체는,
    상면에 상기 고객트레이가 안착되는 트레이지지부;
    상기 트레이지지부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전달체가 상기 셋플레이트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개방공 내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트랜스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셋플레이트는 상기 개방공을 형성하는 둘레면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전달체가 상기 셋플레이트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둘레면은 상기 돌출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돌출부의 측면을 둘러싸는,
    트랜스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전후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개방공의 전후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돌출부의 좌우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개방공의 좌우방향으로의 폭보다 작은,
    트랜스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체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트레이지지부의 하면을 상기 셋플레이트로부터 상하로 상기 소정의 두께만큼 이격시키는 이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 개의 상기 이격부는 상기 돌출부의 폭방향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트랜스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상기 폭방향과 수직인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이격부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돌출부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작은,
    트랜스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의 상기 폭방향과 수직인 전후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트레이지지부의 가장자리까지의 좌우방향으로의 거리보다 작고,
    상기 이격부의 하부의 상단의 폭은 하단의 폭보다 큰,
    트랜스퍼.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의 하부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곡률을 갖는,
    트랜스퍼.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트레이지지부의 하면과 상기 돌출부의 하면 사이의 이격거리인 두께를 갖고,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이격부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트랜스퍼.
  11. 고객트레이를 지지하는 트랜스퍼; 및
    상기 트랜스퍼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객트레이의 상면을 노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제공하는 셋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퍼는 셋플레이트, 상기 고객트레이가 안착되고, 상기 셋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진동전달체, 및 상기 셋플레이트 및 상기 진동전달체 중 하나 이상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전달체는,
    상기 셋플레이트 및 상기 진동전달체 중 하나 이상에 진동이 발생될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셋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고객트레이에 진동을 가하고,
    상기 진동모터조립체는 상기 셋테이블과 상기 셋플레이트가 이격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테스트핸들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는,
    상기 진동전달체, 상기 셋플레이트 및 상기 진동모터조립체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모듈; 및
    상기 진동모터조립체 및 상기 승하강모듈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셋플레이트가 하강할 때, 상기 진동모터조립체가 상기 셋플레이트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승하강모듈 및 상기 진동모터조립체를 제어하는,
    테스트핸들러.
KR1020220041645A 2021-06-02 2022-04-04 트랜스퍼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핸들러 Pending KR20220163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10597157.1A CN115436724A (zh) 2021-06-02 2022-05-30 传送器和包括传送器的测试处理器
TW111120455A TWI834181B (zh) 2021-06-02 2022-06-01 傳送器和包括傳送器的測試處理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71785 2021-06-02
KR1020210071785 2021-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248A true KR20220163248A (ko) 2022-12-09

Family

ID=8444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645A Pending KR20220163248A (ko) 2021-06-02 2022-04-04 트랜스퍼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핸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32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4521B (zh) 傳送封裝晶片之裝置以及測試搬運機
KR100787627B1 (ko) 반도체 칩 분류장치
KR101823198B1 (ko) 이차전지 셀 정렬장치
TWI832467B (zh) 電子部件測試用分選機
TWI567845B (zh) 用於測試處理機的振動裝置
JP6399733B2 (ja) テストハンドラのトランスファユニット及びその作動方法
KR20220163248A (ko) 트랜스퍼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핸들러
KR20230055985A (ko) 테스트핸들러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30054787A (ko) 반도체 테스트 장비
KR102438196B1 (ko) 테스트핸들러용 진동 장치
TWI834181B (zh) 傳送器和包括傳送器的測試處理器
KR101631693B1 (ko) 롱피치형 롤러체인 어셈블리용 마모시험장치
KR101890900B1 (ko) 테스트핸들러용 진동 장치
JP2012140177A (ja) コンテナ組立装置
KR101809448B1 (ko) 테스트핸들러
KR102567911B1 (ko) 트랜스퍼
KR100689972B1 (ko) 모듈 아이씨 테스트 핸들러
KR100451050B1 (ko) 테스트 핸들러의 반도체 디바이스 로딩장치
KR102670140B1 (ko) 전자부품 핸들러용 캐리어프레임
KR20210131543A (ko)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 이송 방법
US10408669B2 (en) Combination weighing device
KR20210112944A (ko)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
KR200455999Y1 (ko) 테스트핸들러용 기동형 테이블 장치
KR100456081B1 (ko) 분류기 및 그를 이용한 트레이 로딩 장치
JP6779957B2 (ja) 組合せ計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4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