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50288A - 오프-표적 독성을 감소시키는 프로-항체 - Google Patents

오프-표적 독성을 감소시키는 프로-항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288A
KR20220150288A KR1020227028274A KR20227028274A KR20220150288A KR 20220150288 A KR20220150288 A KR 20220150288A KR 1020227028274 A KR1020227028274 A KR 1020227028274A KR 20227028274 A KR20227028274 A KR 20227028274A KR 20220150288 A KR20220150288 A KR 20220150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ab
cancer
antigen
region
ce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오-푸 트셍
Original Assignee
아에티오 바이오써래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에티오 바이오써래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에티오 바이오써래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50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288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7Lymphocytes; B-cells; T-cells; Natural killer cells; Interferon-activated or cytokine-activated lymph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09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the T-cell receptor (TcR)-CD3 complex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CD28 or CD15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27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B7 molecules, e.g. CD80, CD86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7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NGF-receptor/TNF-receptor superfamily, e.g. CD27, CD30, CD40, CD95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46Hybrid immunoglobul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1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multispecif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6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6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62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comprising only variable region components
    • C07K2317/622Single chain antibody (scFv)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 C07K2319/03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containing a transmembrane se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30Non-immunoglobulin-derived peptide or protein having an immunoglobulin constant or Fc region, or a fragment thereof, attached thereto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50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protease si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Cell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Vir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의 구조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체 (aAb)를 제조하고 사용하는 단백질, 핵산 및 방법을 포함한다: 제1 가변 경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경쇄; 절단가능한 링커; 제1 가변 중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중쇄; 여기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는 제1 경쇄 및 제1 중쇄가 제1 항원에 대한 제1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고;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의 절단은 제1 중쇄를 방출하여 제1 항원에 결합하는 제1 항원 결합 부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오프-표적 독성을 감소시키는 프로-항체
[0001]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정상 조직 표적화를 감소시키고 종양 표적화를 증진시키는 프로-항체(프로바디) 분야에 관한 것이다.
연방 자금 지원을 받는 연구에 대한 언급
[0002] 해당 사항 없음
서열 목록에 대한 참조
[0001] 본 출원은 37 CFR 1.821-1.825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별도로 제출된 서열 목록을 포함한다.
[0003]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면서, 이의 배경은 프로바디 또는 활성화가능한 항체와 관련하여 기재된다.
[0004] 하나의 상기 프로바디는 “Anti-EGFR activatable antibodies”라는 표제로 스타글리아노 등(Stagliano, et al.)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10,059,762호에 교시되어 있다. 이들 본원 발명자들은 절단가능한 모이어티(CM)에 추가로 커플링되어 활성화가능한 항체(AA)를 생성할 수 있는 차폐 모이어티(MM)로 변형된 항체 또는 항체 단편(AB)을 함유하는 변형된 항체를 교시한다. AA에서 CM은 절단, 환원, 광분해 또는 달리 변형될 수 있다. AA는 활성화가능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어, 예를 들어, CM을 절단, 환원 또는 광분해할 수 있는 제제의 존재 하에 CM의 절단, 환원 또는 광분해에 의한 MM의 제거 후 AB가 표적에 더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당업계의 유의적인 한계는 MM과 표적이 표적 결합 모이어티(TBM)에 결합하기 위해 경쟁한다는 것이다. 추가로, MM의 절단은 유의적인 오프-표적 효과를 유도한다.
[0005] 또 다른 상기 프로바디는 “Anti-ITGA3 antibodies, activatable anti-ITGA3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라는 표제로 사거트 등(Sagert, et al.)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10,233,244호에 교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ITGa3에 결합하는 항체, ITGa3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활성화될 수 있는 항체 및 이들 항-ITGa3 항체 및 항-ITGa3 활성화될 수 있는 항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다양한 치료학적, 진단학적 및 예방학적 적응증에서 상기 항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0006] 또 다른 상기 프로바디는 “Activatable binding polypeptides and methods of identification and use thereof”라는 표제의 도허티 (Daugherty)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8,541,203호에 교시되어 있다. 이들 발명자들은 표적 결합 모이어티(TBM), 차폐 모이어티(MM) 및 절단가능한 모이어티(CM)를 함유하는 활성화가능한 결합 폴리펩타이드(ABP)를 교시한다. 차폐 모이어티는 TBM의 동족 결합 부위를 보호하고 TBM은 CM의 절단시 노출된다. 특정 활성화가능한 항체 조성물은 항원 결합 도메인(ABD), MM 및 CM을 함유하는 TBM을 포함하는 것으로 일컬어진다. ABP는 CM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제의 존재 하에 CM의 절단 후보다 절단되지 않을 때 TBM 중 적어도 하나가 표적에 덜 접근할 수 있도록 "활성화가능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일컬어진다. 상기 출원은 후보 ABP의 라이브러리, 상기 ABP를 동정하기 위한 스크리닝 방법 및 사용 방법을 교시하는 것으로 일컬어진다. VEGF, CTLA-4, 또는 VCAM에 특이적인 ABP는 VEGF에 결합하는 제1 TBM 및 FGF에 결합하는 제2 TBM을 갖는 ABP, 및 교시된 사용 방법 및 조성물과 함께 교시된다. 다시, 당업계의 유의적인 한계는 MM과 표적이 TBM에 결합하기 위해 경쟁한다는 것이다. 추가로, MM의 절단은 유의적인 오프-표적 효과를 유도한다.
[0007] 또 다른 상기 프로바디는 “Activatable Anti-CTLA-4 Antibodies and Uses Thereof”라는 표제의 팁톤 (Tipton) 등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190359714호에 교시되어 있다. 이들 출원인은 VH 도메인을 포함하는 중쇄 및 차폐 모이어티(MM), 절단가능한 모이어티(CM) 및 VL 도메인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사람 CTLA-4 항체를 교시하는 것으로 일컬어진다. 상기 활성화가능한 항-사람 CTLA-4 항체는 종양 미세 환경에서 CTLA-4 결합 활성을 갖고, 여기서 상기 차폐 모이어티는 종양 특이적 프로테아제에 의한 절단가능한 모이어티의 단백질분해 절단에 의해 제거되지만 종양 외부에서 CTLA-4에 대해 크게 감소된 결합을 나타낸다.
[0008] 또 다른 상기 프로바디는 “Methods and Reagents to Treat Tumor and Cancer”라는 표제로 왕(Wang)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180271997호에 교시되어 있다. 본 출원인은 종양에서 활성화될 수 있는 항체인 프로-항체를 사용하여 종양 및 암을 치료하기 위한 시약, 및 종양 및 암을 치료하기 위해 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교시하는 것으로 일컬어진다. 또 다른 유형의 시약은 면역 세포 표면에 결합할 수 있는 친화성 리간드와 시알리다제의 접합체 또는 다른 항체에 결합할 수 있는 친화성 리간드와 시알리다제의 접합체인 것으로 일컬어져 시알리다제 기반 암 면역치료요법을 제공한다.
[0009] 활성화가능한 항체에 대한 세 가지 접근법이 현재까지 사용되었다. 첫째로, 프로바디는 항원-항체 상호작용을 차단하기 위해 단백질분해 링커를 통해 연결된 차폐 펩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바디의 개발은 차폐 펩타이드에 대해 파아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스크리닝 공정을 필요로 한다. 링커의 절단 후, 차폐 펩타이드는 제거되고 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를 방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접근법을 사용하는 문제점은 다음을 포함한다: (1) 차폐 펩타이드 자체의 이종성이 면역 반응을 유도하고; (2) 차폐 펩타이드의 방출 실패는 효능을 감소시키고; (3) 일부 항원-항체 상호작용이 너무 강하여 짧은(예를 들어, 10개 아미노산) 펩타이드에 의해 차폐되지 않고; (4) 펩타이드는 종양에 도달하기 전에 분해될 수 있고 항체의 독성을 정상 조직에 노출시킬 수 있다.
[0010] 제2 접근법에서, 이중 가변 도메인 면역글로불린(DVD-Ig)은 항-CTLA4 항체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일컬어진다. 항-TTA(종양 표적화 항원) 항체의 VL 및 VH는 CTLA4 결합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단백질분해 링커를 통해 항-CTLA-4 항체에 연결된다. 불행하게도, 상기 접근법은 종양 관련 항원(TAA)과 CTLA4의 쌍 형성을 필요로 하고, VL 및 VH의 정확한 세트를 추가하여 분자를 더 크게 만들어야 하고 정확한 VL 및 VH는 항상 오프-표적 항원과 상호작용할 수 있고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0011] 제3 접근법은 "슈도(pseudo) VL" 및 "슈도 VH" 쌍을 활성 및 기능적 VL 및 VH에 연결함에 의해 항-CD3 가변 경쇄(VL) 및 가변 중쇄(VH)의 결합을 물리적으로 차단한다. 슈도 VL이 VH와 상호작용하고, 슈도 VH가 VL과 상호작용하는 경우, 이것은 활성을 갖지 않는다. 프로테아제 링커는 VL, VH, 슈도-VL 및 슈도-VH를 함께 연결하여 매우 큰 분자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0012] 필요한 것은 정상 조직의 표적화를 제거하고 종양 표적 부위의 활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새로운 융합 단백질이다.
발명의 요약
[0013]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제1 가변 경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경쇄; 절단가능한 링커; 제1 가변 중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중쇄의 구조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체(aAb)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는 제1 경쇄 및 제1 중쇄가 제1 항원에 대한 제1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고;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의 절단은 제1 중쇄를 방출하여 제1 항원에 결합하는 제1 항원 결합 부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양상에서, aAb는 제2 항원에 결합하는 제1 중쇄에 연결된 제2 가변 경쇄 및 제2 불변 경쇄에 의해 형성된 제2 항체 결합 부위, 및 임의로 제2 가변 경쇄와 제2 불변 경쇄 사이에 임의로 가요성 절단가능하지 않은 링커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aAb는 제1 불변 중쇄 영역, 제1 불변 중쇄 영역 또는 둘다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제1 경쇄 영역, 제1 중쇄 영역, 또는 둘다는 Fc 영역, 야생형 Fc 영역, 돌연변이된 Fc 영역, 단량체성 야생형 Fc 영역, 단량체성 돌연변이체 Fc 영역, 이량체 야생형 Fc 영역, 이량체 돌연변이체 Fc 영역, 제2 가변 중쇄 영역 및 제2 Fc 영역, 또는 제2 가변 중쇄 영역 및 제2 Fc 영역 및 절단불가능한 가요성 링커 및 제2 가변 경쇄 영역 및 제2 중쇄 가변 영역, 또는 제2 Fc 영역 및 절단가능하지 않은 가요성 링커 및 사이토킨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제1 및 제2 항원은 하기 중 적어도 하나이다: 항원이 동일하거나; 제1 및 제2 항원은 상이하거나; 제1 및 제2 항원은 동일한 항원이지만 제1 항원 결합 부위 및 제2 항원 결합 부위는 동일한 항원의 상이한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제1 항원 결합 부위 또는 제2 항원 결합 부위는 종양 표적에 결합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제1 항원은 ICAM1; VCAM1; EpCAM; 피브로넥틴의 추가 도메인 B; 흑색종 관련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MCSP); 흑색종 관련 프로테오글리칸(MAPG); 고분자량 흑색종 관련 항원(HMV-MAA); 전립선 특이적 막 항원(PSMA);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EGFR); 간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HGFR); 섬유아세포 활성화 단백질(FAP); 암배아 항원(CEA); 세포 접착 분자(CAM); 사람 B-세포 성숙화 표적(BCMA); 태반 성장 인자(PLGF); 폴레이트 수용체,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수용체(ILGFR); CD133; CD40; CD37; CD33; CD30; CD28; CD24; CD23; CD22; CD21; CD20; CD19; CD13; CD10; HER3; HER2; 비근육 미오신 중쇄 A형(nmMHCA); 트랜스페린; 상피 세포 접착 분자(EpCAM); 어넥신 A1; 뉴클레오틴, 테나신,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수용체 1(VEGFR1),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수용체 2 (VEGFR-2); 아미노펩티다제 N, 타이-1, 타이-2, 또는 c-Met로부터 선택되는 조직 특이적 표면 항원이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제1 항원은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 단백질의 일부 또는 펩타이드로부터 선택된다: ABCF1; ACVR1; ACVR1B; ACVR2; ACVR2B; ACVRL1; ADORA2A; 아그레칸; AGR2; AICDA; AIF1; AIG1; AKAP1; AKAP2; AMH; AMHR2; ANGPT1; ANGPT2; ANGPTL3; ANGPTL4; ANPEP; APC; APOC1; AR; AZGP1; B7.1; B7.2; BAD; BAFF; BAG1; BAI1; BCL2; BCL6; BDNF; BLNK; BLR1 (MDR15); BlyS; BMP1; BMP2; BMP3B (GDF10); BMP4; BMP6; BMP8; BMPR1A; BMPR1B; BMPR2; BPAG1 (플렉틴); BRCA1; C19orfl0 (IL27w); C3; C4A; C5; C5R1; CANT1; CASP1; CASP4; CAV1; CCBP2 (D6/JAB61); CCL1 (1-309); CCL11 (에오탁신); CCL13 (MCP-4); CCL15 (MIP-1d); CCL16 (HCC-4); CCL17 (TARC); CCL18 (PARC); CCL19 (MIP-3b); CCL2 (MCP-1); MCAF; CCL20 (MIP-3a); CCL21 (MIP-2); SLC; 엑소더스-2; CCL22 (MDC/STC-1); CCL23 (MPIF-1); CCL24 (MPIF-2/에오탁신-2); CCL25 (TECK); CCL26 (에오탁신-3); CCL27 (CTACK/ILC); CCL28; CCL3 (MIP-la); CCL4 (MIP-lb); CCL5 (RANTES); CCL7 (MCP-3); CCL8 (mcp-2); CCNA1; CCNA2; CCND1; CCNE1; CCNE2; CCR1 (CKR1/HM145); CCR2 (mcp-lRB/RA); CCR3 (CKR3/CMKBR3); CCR4; CCR5 (CMKBR5/ChemR 13); CCR6 (CMKBR6/CKR-L3/STRL22/DRY6); CCR7 (CKR7/EBI1); CCR8 (CMKBR8/TER1/CKR-L1); CCR9 (GPR-9-6); CCRL1 (VSHK1); CCRL2 (L-CCR); CD164; CD19; CD1C; CD20; CD200; CD-22; CD24; CD28; CD3; CD37; CD38; CD3E; CD3G; CD3Z; CD4; CD40; CD40L; CD44; CD45RB; CD52; CD69; CD72; CD74; CD79A; CD79B; CD8; CD80; CD81; CD83; CD86; CDH1 (E-캐드헤린); CDH10; CDH12; CDH13; CDH18; CDH19; CDH20; CDH5; CDH7; CDH8; CDH9; CDK2; CDK3; CDK4; CDK5; CDK6; CDK7; CDK9; CDKN1A (p21Wapl/Cipl); CDKNIB (p27Kipl); CDKNIC; CDKN2A (pl6INK4a); CDKN2B; CDKN2C; CDKN3; CEBPB; CER1; CHGA; CHGB; 키티나제; CHST10; CKLFSF2; CKLFSF3; CKLFSF4; CKLFSF5; CKLFSF6; CKLFSF7; CKLFSF8; CLDN3; CLDN7 (클라우딘-7); CLN3; CXCLIO(IP-IO); CXCL11 (I-TAC/IP-9); CXCL12 (SDF1); CXCL13; CXCL14; CXCL16; CXCL2 (GR02); CXCL3 (GR03); CXCL5 (ENA-78/LIX); CXCL6 (GCP-2); CXCL9 (MIG); CXCR3 (GPR9/CKR-L2); CXCR4; CXCR6 (TYMSTR/STRL33/Bonzo); CYB5; CYC1; CYSLTR1; CGRP; Clq; Clr; CI;, C4a; C4b; C2a; C2b; C3a; C3b; DAB2IP; DES; DKFZp451J0118; DNCL1; DPP4; E-셀렉틴; E2F1; ECGF1; EDG1; EFNA1; EFNA3; EFNB2; EGF; EGFR; ELAC2; ENG; ENOl; EN02; EN03; EPHB4; EPO; ERBB2 (Her-2); EREG; ERK8; ESR1 ; ESR2; F3 (TF); 인자 VII; 인자 IX; 인자 V; 인자 Vila; 인자 X; 인자 XII; 인자 XIII; FADD; FasL; FASN; FCER1A; FCER2; Fc 감마 수용체; FCGR3A; FGF; FGFl (aFGF); FGF10; FGFll; FGF12; FGF12B; FGFl 3; FGFl 4; FGF16; FGFl 7; FGFl 8; FGF19; FGF2 (bFGF); FGF20; FGF21; FGF22; FGF23; FGF3 (int-2); FGF4 (HST); FGF5; FGF6 (HST-2); FGF7 (KGF); FGF8; FGF9; FGFR3; FIGF (VEGFD); FIL1 (EPSILON); FIL1 (ZETA); FLJ12584; FLJ25530; FLRTl (피브로넥틴); FLTl; FOS; FOSLl (FRA-1); FY (DARC); GABRP (GABAa); GAGEBl; GAGECl; GALNAC4S-6ST; GATA3; GDF5; GFIl; GGTl; GMCSF; GNAS1; GNRH1; GPR2 (CCR10); GPR31; GPR44; GPR81 (FKSG80); GRCC10 (CIO); GRP; GSN (겔솔린); GSTP1; 당단백질 (GP) Ilb/IIIa; HAVCR2; HDAC4; HDAC5; HDAC7A; HDAC9; Her2; HGF; ITGB4 (b 4 인테그린); JAG1; JAK1; JAK3; JUN; K6HF; KAI1; KDR; KITLG; KLF5 (GC Box BP); KLF6; KLK10; KLK12; KLK13; KLK14; KLK15; KLK3; KLK4; KLK5; KLK6; KLK9; KRT1; KRT19 (케라틴 19); KRT2A; KRTHB6 (모발 특이적 II형 케라틴); L-셀렉틴; LAMA5; LEP (렙틴); Lingo-p75; Lingo-Troy; LPS; LTA (TNF-b); LTB; LTB4R (GPR16); LTB4R2; LTBR; MACMARCKS; MAG or Omgp; MAP2K7 (c-Jun); MDK; MIB 1; midkine; MIF; MIP-2; MKI67 (Ki-67); MMP2; MMP9; MS4A1; MSMB; MT3 (메탈로티오넥틴-III); MTSSl; MUCl (뮤신); MYC; MYD88; NCK2; 뉴로칸; NKG2D; NFKB1; NFKB2; NGF; NGFB (NGF); NGFR; NgR-Lingo; NgR-Nogo66 (Nogo); NgR-p75; NgR-Troy; NME1 (NM23A); NOX5; NPPB; NR0B1; NR0B2; NR1D1; NR1D2; NR1H2; NR1H3; NR1H4; NRII2; NRII3; NR2C1; NR2C2; NR2E1; NR2E3; NR2F1; NR2F2; NR2F6; NR3C1; NR3C2; NR4A1; NR4A2; NR4A3; NR5A1; NR5A2; NR6A1; NRP1; NRP2; NT5E; NTN4; ODZ1; OPRD1; P2RX7; PAP; PARTI; PATE; PAWR; PCA3; PCNA; PDGFA; PDGFB; PECAM1 ; PF4 (CXCL4); PGE2; PGF; PGR; 포스파칸; PIAS2; PIK3CG;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인자; PLAU (uPA); PLG; PLXDC1; PPBP (CXCL7); PPID; PR1; PRKCQ; PRKDl; PRL; PROC; 단백질 C; PROK2; PSAP; PSCA; PTAFR; PTEN; PTGS2 (COX-2); PTN; RAC2 (p21Rac2); RAGE; RARB; RGSl; RGS13; RGS3; RNFllO (ZNF144); ROB02; SI00A2; SCGB1D2 (리포필린 B); SCGB2A1 (맘마글로빈 2); SCGB2A2 (맘마글로빈 1); SCYE1 (내피 단핵구-활성화 사이토킨); SDF2; SERPINA1 ; SERPINA3; SERPINB5 (마스핀); SERPINE1 (PAI-1); SERPINF1; SHBG; SLA2; SLC2A2; SLC33A1; SLC43A1; SLIT2; SPP1; SPRR1B (Sprl); ST6GAL1; STAB1; STAT6; STEAP; STEAP2; 물질 P; TB4R2; TBX21; TCP10; TDGF1; TEK; TGFA; TGFB1; TGFB111; TGFB2; TGFB3; TGFBI; TGFBR1; TGFBR2; TGFBR3; TH1L; THBS1 (트롬보스폰딘-1); THBS2; THBS4; THPO; TIE (타이-1); TIMP3; 조직 인자; TLR10; TLR2; TLR3; TLR4; TLR5; TLR6; TLR7; TLR8; TLR9; TNF; TNF-a; TNFAIP2 (B94); TNFAIP3; TNFRSF11A; TNFRSF1A; TNFRSF1B; TNFRSF21; TNFRSF5; TNFRSF6 (Fas); TNFRSF7; TNFRSF8; TNFRSF9; TNFSFIO (TRAIL); TNFSF11 (TRANCE); TNFSF12 (AP03L); TNFSF13 (April); TNFSF13B; TNFSF14 (HVEML); TNFSF15 (VEGI); TNFSF18; TNFSF4 (OX40 리간드); TNFSF5 (CD40 리간드); TNFSF6 (FasL); TNFSF7 (CD27 리간드); TNFSF8 (CD30 리간드); TNFSF9 (4-1BB 리간드); TOLLIP; 톨 유사 수용체; TOP2A (토포이소머라제 Iia); TP53; TPM1; TPM2; TRADD; TRAF1; TRAF2; TRAF3; TRAF4; TRAF5; TRAF6; TREM1; TREM2; TRPC6; TSLP; TWEAK; 트롬보모듈린; 트롬빈; VEGF; VEGFB; VEGFC; 베르시칸; VHL C5; VLA-4; XCL1 (림포탁틴); XCL2 (SCM-lb); XCR1 (GPR5/CCXCR1); YY1; 및 ZFPM2. 또 다른 양상에서, 종양 표적은 종양 표적화 항원, HER1, HER2, HER3, GD2, 암배아 항원 (CEA),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활성 돌연변이체 (EGFRVIII), CD133, 섬유아세포 활성화 단백질 알파 (FAP), 상피 세포 접착 분자 (Epcam), 글리피칸 3 (GPC3), EPH 수용체 A4 (EphA), 티로신-단백질 키나제 Met (cMET), IL-13Ra2, 마이크로솜 에폭사이드 하이드롤라제 (mEH), MAGE, 메소텔린, MUC16, MUC1, 전립선 줄기 세포 항원 (PSCA), 빌름스 종양-1 (WT-1), 또는 클라우딘 계열 단백질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제1 항원 결합 부위 또는 제2 항원 결합 부위는 T-세포 마커에 결합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T-세포 마커는 CTLA-4, PD-1, Lag3, S15, B7H3, B7H4, TCR-알파, TCR-베타 또는 TIM-3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제1 항원 결합 부위 또는 제2 항원 결합 부위는 T-세포 활성화인자에 결합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T-세포 활성화인자는 CD3, 41BB 또는 OX40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절단가능한 링커는 프로테아제 절단가능한 링커이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절단가능한 링커는 종양 관련 프로테아제에 의해 절단된다: MMP1, MMP2, MMP3, MMP7, MMP9, MMP10, MMP11, MMP12, MMP13, MMP14, MMP15, MMP16, MMP17, MMP19, MMP20, MMP21, uPA, FAPa, 또는 카뎁신 B. 또 다른 양상에서, 절단가능한 링커는 아폽토시스 또는 염증 관련 반응 동안에 상향조절된 프로테아제에 의해 절단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절단가능한 링커는 카스파제에 의해 절단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카스파제는 카스파제 1, 카스파제 2, 카스파제 3, 카스파제 4, 카스파제 5, 카스파제 6, 카스파제 7, 카스파제 8, 카스파제 9, 카스파제 10, 카스파제 11 및 카스파제 12이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절단가능한 링커는 항원 결합 부위를 차폐시키지 않는다. 또 다른 양상에서, aAb는 aAb에 접합된 제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aAb는 aAb 또는 Fc 영역에 부착되거나 이들과 융합 단백질로 있는 사이토킨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사이토킨은 하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성장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티록신; 인슐린; 프로인슐린; 렐락신; 프로렐락신; 당단백질 호르몬; 간 성장 인자;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프롤락틴; 태반 락토겐; TNF-a; 뮬레리안-억제 물질; 고나도트로핀-관련 펩타이드; 인히빈; 액티빈;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인테그린; 트롬보포이에틴 (TPO); 신경 성장 인자; 혈소판-성장 인자; 태반 성장 인자, 형질전환 성장 인자 (TGF);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 및 -11; 에리트로포이에틴 (EPO); 골유도성 인자; 인터페론; 콜로니 자극 인자 (CSF); 림프독소-알파; 림프독소-베타; CD27L; CD30L; FASL; 4-1 BBL; OX40L; TRAIL; IL-1; IL-2; IL-3; IL-4; IL-5; IL-6; IL-7; IL-8; IL-9; IL-10; IL-11; IL-12; IL-13; IL-15; IL-18; IL-21; IL-22; IL-23; IL-33; IFN-a; IFN-b; IFN-g; IFN-g 유도 인자 (IGIF); 골 형태유전학적 단백질 (BMP); 백혈병 억제 인자(LIF); 또는 키트 리간드 (KL). 또 다른 양상에서, aAb는 서열번호 1, 2 또는 3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제제는 하기 중 적어도 하나이다: 독소 또는 이의 독성 단편; 미소관 억제제; 핵산 손상제; 검출 가능한 모이어티; 또는 진단학적 제제.
[0014]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활성화가능한 Ab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정상 조직에 대한 활성화가능한 Ab의 결합 활성을 감소시키고 활성화가능한 Ab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세포를 표적화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유효량의 활성화가능한 Ab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의 치료, 증상 완화 또는 암의 진행 지연 방법을 포함한다. 하나의 양상에서, 암은 절단가능한 링커를 절단하는 효소를 발현하는 암이다. 또 다른 양상에서, 암은 방광암, 골암, 유방암, 카르시노이드, 자궁경부암, 결장암, 자궁내막암, 신경교종, 두경부암, 간암, 폐암, 림프종, 흑색종, 난소암, 췌장암, 전립선암, 신장암, 육종, 피부암, 위암, 고환암, 갑상선암, 비뇨생식기암, 또는 요로상피암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암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 부신피질 암종, B-세포 림프종, 방광 요로상피 암종, 유방관 암종, 유방 소엽 암종, 식도 암종,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CRPC), 자궁경부 암종, 담관 암종, 만성 골수성 백혈병, 결장직장 선암종, 결장직장암(CRC), 식도 암종, 위 선암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두경부 편평세포 암종, 호지킨 림프종/원발성 종격동 B 세포 림프종, 간세포 암종(HCC), 콩팥 발색성 암종, 콩팥 투명 세포 암종, 콩팥 유두 세포 암종, 저등급 신경교종, 폐 선암종, 폐 수성 세포 암종, 흑색종(MEL), 중피종, 비편평 NSCLC, 난소 장액성 선암종, 췌장관 선암종, 부신경절종 및 갈색세포종, 전립선 선암종, 신세포암종(RCC), 육종, 표피 피부 흑색종(skin cutaneous melanoma), 두경부의 편평 세포 암종, T 세포 림프종, 흉선종, 갑상선 유두 암종, 자궁 암육종, 자궁 체내막양 암종 및 포도막 흑색종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0015]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제1 가변 경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경쇄; 절단가능한 링커; 제1 가변 중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중쇄의 구조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체(aAb)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는 제1 경쇄 및 제1 중쇄가 제1 항원에 대한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고;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의 절단은 제1 중쇄를 방출하여 제1 항원에 결합하는 제1 경쇄와 항체 결합 부위를 형성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aAb는 각각 제1 불변 경쇄 영역 또는 제1 불변 중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aAb는 제1 불변 중쇄 영역에 부착된 Fc 영역으로서, 상기 Fc 영역이 야생형 또는 Fc 수용체 결합을 변형시키는 돌연변이체 도메인인, Fc 영역, 제2 가변 중쇄 영역 및 제2 Fc 영역 또는 제2 가변 중쇄 영역 및 제2 Fc 영역 및 절단가능하지 않은 가요성 링커 및 제2 가변 경쇄 영역 및 제2 중쇄 가변 영역, 또는 제2 Fc 영역 및 절단가능하지 않은 가요성 링커 및 사이토킨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aAb는 제2 항원에 결합하는 제1 중쇄에 연결된 제2 가변 경쇄 및 제2 불변 경쇄에 의해 형성된 제2 항체 결합 부위, 및 임의로 제2 가변 경쇄와 제2 불변 경쇄 사이에 임의로 가요성 절단가능하지 않은 링커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aAb는 제1 불변 중쇄 영역, 제1 불변 중쇄 영역 또는 둘다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Fc 영역은 야생형 Fc 영역, 돌연변이된 Fc 영역, 단량체성 야생형 Fc 영역, 단량체성 돌연변이체 Fc 영역, 이량체성 야생형 Fc 영역, 또는 이량체성 돌연변이체 Fc 영역이다. 또 다른 양상에서, aAb는 aAb 또는 Fc 영역에 부착되거나 이들과 융합 단백질로 있는 사이토킨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사이토킨은 하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성장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티록신; 인슐린; 프로인슐린; 렐락신; 프로렐락신; 당단백질 호르몬; 간 성장 인자;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프롤락틴; 태반 락토겐; TNF-a; 뮬레리안-억제 물질; 고나도트로핀-관련 펩타이드; 인히빈; 액티빈;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인테그린; 트롬보포이에틴 (TPO); 신경 성장 인자; 혈소판-성장 인자; 태반 성장 인자, 형질전환 성장 인자 (TGF);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 및 -11; 에리트로포이에틴 (EPO); 골유도성 인자; 인터페론; 콜로니 자극 인자 (CSF); 림프독소-알파; 림프독소-베타; CD27L; CD30L; FASL; 4-1 BBL; OX40L; TRAIL; IL-1; IL-2; IL-3; IL-4; IL-5; IL-6; IL-7; IL-8; IL-9; IL-10; IL-11; IL-12; IL-13; IL-15; IL-18; IL-21; IL-22; IL-23; IL-33; IFN-a; IFN-b; IFN-g; IFN-g 유도 인자 (IGIF); 골 형태유전학적 단백질 (BMP); 백혈병 억제 인자(LIF); 또는 키트 리간드 (KL). 또 다른 양상에서, 제1 항원은 ICAM1; VCAM1; EpCAM; 피브로넥틴의 추가 도메인 B; 흑색종 관련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MCSP); 흑색종 관련 프로테오글리칸(MAPG); 고분자량 흑색종 관련 항원(HMV-MAA); 전립선 특이적 막 항원(PSMA);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EGFR); 간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HGFR); 섬유아세포 활성화 단백질(FAP); 암배아 항원(CEA); 세포 접착 분자(CAM); 사람 B-세포 성숙화 표적(BCMA); 태반 성장 인자(PLGF); 폴레이트 수용체,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수용체(ILGFR); CD133; CD40; CD37; CD33; CD30; CD28; CD24; CD23; CD22; CD21; CD20; CD19; CD13; CD10; HER3; HER2; 비근육 미오신 중쇄 A형(nmMHCA); 트랜스페린; 상피 세포 접착 분자(EpCAM); 어넥신 A1; 뉴클레오틴, 테나신,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수용체 1(VEGFR1),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수용체 2 (VEGFR-2); 아미노펩티다제 N, 타이-1, 타이-2, 또는 c-Met로부터 선택되는 조직 특이적 표면 항원이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제1 항원은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 단백질의 일부 또는 펩타이드로부터 선택된다: ABCF1; ACVR1; ACVR1B; ACVR2; ACVR2B; ACVRL1; ADORA2A; 아그레칸; AGR2; AICDA; AIF1 ; AIG1 ; AKAP1 ; AKAP2; AMH; AMHR2; ANGPT1; ANGPT2; ANGPTL3; ANGPTL4; ANPEP; APC; APOC1; AR; AZGP1 (아연-a-당단백질); B7.1; B7.2; BAD; BAFF; BAG1; BAI1; BCL2; BCL6; BDNF; BLNK; BLR1 (MDR15); BlyS; BMP1; BMP2; BMP3B (GDF10); BMP4; BMP6; BMP8; BMPR1A; BMPR1B; BMPR2; BPAG1 (플렉틴); BRCA1; C19orfl0 (IL27w); C3; C4A; C5; C5R1; CANT1; CASP1; CASP4; CAV1; CCBP2 (D6/JAB61); CCL1 (1-309); CCL11 (에오탁신); CCL13 (MCP-4); CCL15 (MIP-1d); CCL16 (HCC-4); CCL17 (TARC); CCL18 (PARC); CCL19 (MIP-3b); CCL2 (MCP-1); MCAF; CCL20 (MIP-3a); CCL21 (MIP-2); SLC; 엑소더스-2; CCL22 (MDC/STC-1); CCL23 (MPIF-1); CCL24 (MPIF-2/에오탁신-2); CCL25 (TECK); CCL26 (에오탁신-3); CCL27 (CTACK/ILC); CCL28; CCL3 (MIP-la); CCL4 (MIP-lb); CCL5 (RANTES); CCL7 (MCP-3); CCL8 (mcp-2); CCNA1; CCNA2; CCND1; CCNE1; CCNE2; CCR1 (CKR1/HM145); CCR2 (mcp-lRB/RA); CCR3 (CKR3/CMKBR3); CCR4; CCR5 (CMKBR5/ChemR13); CCR6 (CMKBR6/CKR-L3/STRL22/DRY6); CCR7 (CKR7/EBI1); CCR8 (CMKBR8/TER1/CKR-L1); CCR9 (GPR-9-6); CCRL1 (VSHK1); CCRL2 (L-CCR); CD164; CD19; CD1C; CD20; CD200; CD-22; CD24; CD28; CD3; CD37; CD38; CD3E; CD3G; CD3Z; CD4; CD40; CD40L; CD44; CD45RB; CD52; CD69; CD72; CD74; CD79A; CD79B; CD8; CD80; CD81; CD83; CD86; CDH1 (E-캐드헤린); CDH10; CDH12; CDH13; CDH18; CDH19; CDH20; CDH5; CDH7; CDH8; CDH9; CDK2; CDK3; CDK4; CDK5; CDK6; CDK7; CDK9; CDKN1A (p21Wapl/Cipl); CDKNIB (p27Kipl); CDKNIC; CDKN2A (pl6INK4a); CDKN2B; CDKN2C; CDKN3; CEBPB; CER1; CHGA; CHGB; 키티나제; CHST10; CKLFSF2; CKLFSF3; CKLFSF4; CKLFSF5; CKLFSF6; CKLFSF7; CKLFSF8; CLDN3; CLDN7 (클라우딘-7); CLN3; CXCLIO(IP-IO); CXCL11 (I-TAC/IP-9); CXCL12 (SDF1); CXCL13; CXCL14; CXCL16; CXCL2 (GR02); CXCL3 (GR03); CXCL5 (ENA-78/LIX); CXCL6 (GCP-2); CXCL9 (MIG); CXCR3 (GPR9/CKR-L2); CXCR4; CXCR6 (TYMSTR/STRL33/Bonzo); CYB5; CYC1; CYSLTR1; CGRP; Clq; CIR 단백질; CI; C4a; C4b; C2a; C2b; C3a; C3b; DAB2IP; DES; DKFZp451J0118; DNCL1; DPP4; E-셀렉틴; E2F1; ECGF1; EDG1; EFNA1; EFNA3; EFNB2; EGF; EGFR; ELAC2; ENG; ENOl; EN02; EN03; EPHB4; EPO; ERBB2 (Her-2); EREG; ERK8; ESR1 ; ESR2; F3 (TF); 인자 VII; 인자 IX; 인자 V; 인자 VIIa; 인자 X; 인자 XII; 인자 XIII; FADD; FasL; FASN; FCER1A; FCER2; Fc 감마 수용체; FCGR3A; FGF; FGFl (aFGF); FGF10; FGFll; FGF12; FGF12B; FGFl 3; FGFl 4; FGF16; Fgfl7; Fgfl 8; FGF19; FGF2 (bFGF); FGF20; FGF21; FGF22; FGF23; FGF3 (int-2); FGF4 (HST); FGF5; FGF6 (HST-2); FGF7 (KGF); FGF8; FGF9; FGFR3; FIGF (VEGFD); FIL1 (EPSILON); FIL1 (ZETA); FLJ12584; FLJ25530; FLRTl (피브로넥틴); FLTl; FOS; FOSLl (FRA-1); FY (DARC); GABRP (GABAa); GAGEBl; GAGECl; GALNAC4S-6ST; GATA3; GDF5; GFIl; GGTl; GMCSF; GNAS1; GNRH1; GPR2 (CCR10); GPR31; GPR44; GPR81 (FKSG80); GRCC10 (CIO); GRP; GSN (겔솔린); GSTP1; 당단백질 IIb; 당단백질 IIIa; HAVCR2; HDAC4; HDAC5; HDAC7A; HDAC9; Her2; HGF; HIF1A; HIP1; 히스타민 및 히스타민 수용체; HLA-A; HLA-DRA; HM74; HMGB1; HMOX1; HUMCYT2A; ICEBERG; ICOSL; ID2; IFN-알파; IFNA1; IFNA2; IFNA4; IFNA5; IFNA6; IFNA7; IFNB1; IFN-감마; IFNW1; IGBP1; IGF1; IGF1R; IGF2; IGFBP2; IGFBP3; IGFBP6; IL-1; IL1A ; IL1B; IL10; IL10RA; IL10RB; IL11; IL11RA; IL-12; IL12A; IL12B; IL12RB1; IL12RB2; IL13; IL13RA1; IL13RA2; IL14; IL15; IL15RA; IL16; IL17; IL17B; IL17C; IL17R; IL18; IL18BP; IL18R1; IL18RAP; IL19; ILIA; IL1B; IL1F10; IL1F5; IL1F6; IL1F7; IL1F8; IL1F9; IL1HY1; IL1R1; IL1R2; IL1RAP; IL1RAPL1; IL1RAPL2; IL1RL1; IL1RL2; IL1RN; IL2; IL20; IL20RA; IL21R; IL22; IL22R; IL22RA2; IL23; IL24; IL25; IL26; IL27; IL28A; IL28B; IL29; IL2RA; IL2RB; IL2RG; IL3; IL30; IL3RA; IL4; IL4R; IL5; IL5RA; IL6; IL6R; IL6ST (당단백질 130); IL7; IL7R; IL8; IL8RA; IL8RB; IL8RB; IL9; IL9R; ILK; INHA; INHBA; INSL3; INSL4; IRAKI; IRAK2; ITGA1; ITGA2; ITGA3; ITGA6 (a6 인테그린); ITGAV; ITGB3; ITGB4 (b 4 인테그린); JAG1; JAK1; JAK3; JUN; K6HF; KAI1; KDR; KITLG; KLF5 (GC Box BP); KLF6; KLK10; KLK12; KLK13; KLK14; KLK15; KLK3; KLK4; KLK5; KLK6; KLK9; KRT1; KRT19 (케라틴 19); KRT2A; KRTHB6 (모발-특이적 II형 케라틴); L-셀렉틴; LAMA5; LEP (렙틴); Lingo-p75; Lingo-Troy; LPS; LTA (TNF-b); LTB; LTB4R (GPR16); LTB4R2; LTBR; MACMARCKS; MAG or Omgp; MAP2K7 (c-Jun); MDK; MIB1; 미드킨; MIF; MIP-2; MKI67 (Ki-67); MMP2; MMP9; MS4A1; MSMB; MT3 (메탈로티오넥틴-III); MTSSl; MUCl (뮤신); MYC; MYD88; NCK2; 뉴로칸; NKG2D; NFKB1; NFKB2; NGF; NGFB (NGF); NGFR; NgR-Lingo; NgR-Nogo66 (Nogo); NgR-p75; NgR-Troy; NME1 (NM23A); NOX5; NPPB; NR0B1; NR0B2; NR1D1; NR1D2; NR1H2; NR1H3; NR1H4; NRII2; NRII3; NR2C1; NR2C2; NR2E1; NR2E3; NR2F1; NR2F2; NR2F6; NR3C1; NR3C2; NR4A1; NR4A2; NR4A3; NR5A1; NR5A2; NR6A1; NRP1; NRP2; NT5E; NTN4; ODZ1; OPRD1; P2RX7; PAP; PARTI; PATE; PAWR; PCA3; PCNA; PDGFA; PDGFB; PECAM1 ; PF4 (CXCL4); PGE2; PGF; PGR; 포스파칸; PIAS2; PIK3CG;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인자; PLAU (uPA); PLG; PLXDC1; PPBP (CXCL7); PPID; PR1; PRKCQ; PRKDl; PRL; PROC; 단백질 C; PROK2; PSAP; PSCA; PTAFR; PTEN; PTGS2 (COX-2); PTN; RAC2 (p21Rac2); RAGE; RARB; RGSl; RGS13; RGS3; RNFllO (ZNF144); ROB02; SI00A2; SCGB1D2 (리포필린 B); SCGB2A1 (맘마글로빈 2); SCGB2A2 (맘마글로빈 1); SCYE1 (내피 단핵구-활성화 사이토킨); SDF2; SERPINA1 ; SERPINA3; SERPINB5 (마스핀); SERPINE1 (PAI-1); SERPINF1; SHBG; SLA2; SLC2A2; SLC33A1; SLC43A1; SLIT2; SPP1; SPRR1B (Sprl); ST6GAL1; STAB1; STAT6; STEAP; STEAP2; 물질 P; TB4R2; TBX21; TCP10; TDGF1; TEK; TGFA; TGFB1; TGFB111; TGFB2; TGFB3; TGFBI; TGFBR1; TGFBR2; TGFBR3; TH1L; THBS1 (트롬보스폰딘-1); THBS2; THBS4; THPO; TIE (타이-1); TIMP3; 조직 인자; TLR10; TLR2; TLR3; TLR4; TLR5; TLR6; TLR7; TLR8; TLR9; TNF-알파; TNFAIP2 (B94); TNFAIP3; TNFRSF11A; TNFRSF1A; TNFRSF1B; TNFRSF21; TNFRSF5; TNFRSF6 (Fas); TNFRSF7; TNFRSF8; TNFRSF9; TNFSFIO (TRAIL); TNFSF11 (TRANCE); TNFSF12 (AP03L); TNFSF13 (April); TNFSF13B; TNFSF14 (HVEML); TNFSF15 (VEGI); TNFSF18; TNFSF4 (OX40 리간드); TNFSF5 (CD40 리간드); TNFSF6 (FasL); TNFSF7 (CD27 리간드); TNFSF8 (CD30 리간드); TNFSF9 (4-1BB 리간드); TOLLIP; 톨 유사 수용체; TOP2A (토포이소머라제 Iia); TP53; TPM1; TPM2; TRADD; TRAF1; TRAF2; TRAF3; TRAF4; TRAF5; TRAF6; TREM1; TREM2; TRPC6; TSLP; TWEAK; 트롬보모듈린; 트롬빈; VEGF; VEGFB; VEGFC; 베르시칸; VHL C5; VLA-4; XCL1 (림포탁틴); XCL2 (SCM-lb); XCR1 (GPR5/CCXCR1); YY1; 및 ZFPM2. 또 다른 양상에서, 제1 및 제2 항원은 하기 중 적어도 하나이다: 항원이 동일하거나; 제1 및 제2 항원은 상이하거나; 제1 및 제2 항원은 동일한 항원이지만 제1 항원 결합 부위 및 제2 항원 결합 부위는 동일한 항원의 상이한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제1 항원 결합 부위 또는 제2 항원 결합 부위는 종양 표적에 결합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종양 표적은 종양 표적화 항원, HER1, HER2, HER3, GD2, 암배아 항원 (CEA),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활성 돌연변이체 (EGFRVIII), CD133, 섬유아세포 활성화 단백질 알파 (FAP), 상피 세포 접착 분자 (Epcam), 글리피칸 3 (GPC3), EPH 수용체 A4 (EphA), 티로신-단백질 키나제 Met (cMET), IL-13Ra2, 마이크로솜 에폭시드 하이드롤라제 (mEH), MAGE, 메소텔린, MUC16, MUC1, 전립선 줄기 세포 항원 (PSCA), 빌름스 종양-1 (WT-1), 또는 클라우딘 계열 구성원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제1 항원 결합 부위 또는 제2 항원 결합 부위는 T-세포 마커에 결합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T-세포 마커는 CTLA-4, PD-1, Lag3, S15, B7H3, B7H4, TCR-알파, TCR-베타, TIM-3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제1 항원 결합 부위 또는 제2 항원 결합 부위는 T-세포 활성화인자에 결합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T-세포 활성화인자는 CD3, 41BB 또는 OX40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절단가능한 링커는 프로테아제 절단가능한 링커이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절단가능한 링커는 종양 관련 프로테아제: MMP1, MMP2, MMP3, MMP7, MMP9, MMP10, MMP11, MMP12, MMP13, MMP14, MMP15, MMP16, MMP17, MMP19, MMP20, MMP21, uPA, FAPa, 또는 카뎁신 B에 의해 절단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절단가능한 링커는 아폽토시스 또는 염증 관련 반응 동안에 상향조절된 프로테아제에 의해 절단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절단가능한 링커는 카스파제에 의해 절단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카스파제는 카스파제 1, 카스파제 2, 카스파제 3, 카스파제 4, 카스파제 5, 카스파제 6, 카스파제 7, 카스파제 8, 카스파제 9, 카스파제 10, 카스파제 11 및 카스파제 12이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절단가능한 링커는 항원 결합 부위를 차폐시키지 않는다. 또 다른 양상에서, aAb는 aAb에 접합된 제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제제는 하기 중 적어도 하나이다: 독소 또는 이의 독성 단편; 미소관 억제제; 핵산 손상제; 검출 가능한 모이어티; 또는 진단학적 제제. 또 다른 양상에서, aAb는 서열번호 1, 2, 또는 3으로부터 선택된다.
[0016]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제1 가변 경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경쇄; 절단가능한 링커; 제1 가변 중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중쇄의 구조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체(aAb)를 암호화하는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는 제1 경쇄 및 제1 중쇄가 제1 항원에 대한 제1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고;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의 절단은 제1 중쇄를 방출하여 제1 항원에 결합하는 제1 항원 결합 부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0017]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제1 가변 경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경쇄; 절단가능한 링커; 제1 가변 중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중쇄의 구조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체(aAb)를 암호화하는 핵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는 제1 경쇄 및 제1 중쇄가 제1 항원에 대한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고;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의 절단은 제1 중쇄를 방출하여 제1 항원에 결합하는 제1 경쇄와 항체 결합 부위를 형성한다.
[0018]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제1 가변 경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경쇄; 절단가능한 링커; 제1 가변 중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중쇄의 구조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체(aAb)를 암호화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세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는 제1 경쇄 및 제1 중쇄가 제1 항원에 대한 제1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고;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의 절단은 제1 중쇄를 방출하여 제1 항원에 결합하는 제1 항원 결합 부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0019]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제1 가변 경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경쇄; 절단가능한 링커; 제1 가변 중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중쇄의 구조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체 (aAb)를 암호화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세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는 제1 경쇄 및 제1 중쇄가 제1 항원에 대한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고;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의 절단은 제1 중쇄를 방출하여 제1 항원에 결합하는 제1 경쇄와 항체 결합 부위를 형성한다.
[0020]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활성화가능한 Ab 및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정상 조직에 대한 항체의 결합 활성을 감소시키고 활성화가능한 Ab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세포를 표적화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0021]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유효량의 활성화가능한 Ab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의 치료, 증상 완화 또는 암의 진행 지연 방법을 포함한다. 하나의 양상에서, 암은 절단가능한 링커를 절단하는 효소를 발현하는 암이다. 또 다른 양상에서, 암은 방광암, 골암, 유방암, 카르시노이드, 자궁경부암, 결장암, 자궁내막암, 신경교종, 두경부암, 간암, 폐암, 림프종, 흑색종, 난소암, 췌장암, 전립선암, 신장암, 육종, 피부암, 위암, 고환암, 갑상선암, 비뇨생식기암, 또는 요로상피암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암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 부신피질 암종, B-세포 림프종, 방광 요로상피 암종, 유방관 암종, 유방 소엽 암종, 식도 암종,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CRPC), 자궁경부 암종, 담관 암종, 만성 골수성 백혈병, 결장직장 선암종, 결장직장암(CRC), 식도 암종, 위 선암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두경부 편평세포 암종, 호지킨 림프종/원발성 종격동 B 세포 림프종, 간세포 암종(HCC), 콩팥 발색성 암종, 콩팥 투명 세포 암종, 콩팥 유두 세포 암종, 저등급 신경교종, 폐 선암종, 폐 수성 세포 암종, 흑색종(MEL), 중피종, 비편평 NSCLC, 난소 장액성 선암종, 췌장관 선암종, 부신경절종 및 갈색세포종, 전립선 선암종, 신세포암종(RCC), 육종, 표피 피부 흑색종, 두경부의 편평 세포 암종, T 세포 림프종, 흉선종, 갑상선 유두 암종, 자궁 암육종, 자궁 체내막양 암종 및 포도막 흑색종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0022]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제1 가변 경쇄 영역; 절단가능한 링커; 및 제1 가변 중쇄 영역; 및 Fc 영역을 순서대로 포함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체 (aAb)를 포함하고; 여기서 절단가능한 링커는 제1 가변 경쇄 영역 및 제1 가변 중쇄 영역이 제1 항원에 대한 제1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고, 여기서 절단가능한 링커는 항원 결합 부위를 차폐시키지 않고; 절단가능한 링커의 절단은 제1 가변 중쇄 영역을 방출하여 제1 항원에 결합하는 제1 항원 결합 부위의 형성을 허용한다.
[0023]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제1 가변 경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경쇄; 절단가능한 링커; 제1 가변 중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중쇄의 구조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체(aAb)를 발현하는 세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는 제1 경쇄 및 제1 중쇄가 제1 항원에 대한 제1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고;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의 절단은 제1 중쇄를 방출하여 제1 항원에 결합하는 제1 항원 결합 부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양상에서, 세포는 T 세포 또는 중간엽 줄기 세포이다. 또 다른 양상에서, aAb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형성하기 위해 aAb를 T 세포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막관통 서열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세포는 CAR T 세포이다.
[0024]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이제 첨부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고, 여기서:
[0025] 도 1은 단백질의 도식적 다이어그램과 Pro 항체 디자인이 절단 후 항원 결합 능력을 회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도 1a. AAB의 도식. 도 1b는 제1 유형의 항원 결합 활성화를 보여준다. CL 및 VH는 MMP-14에 민감한 단백질분해 링커와 연결되어 있다. VH는 VL과 쌍을 형성하여 절단 전 안정한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할 수 없다. VH는 MMP14를 사용한 절단 후 방출되고, VL과 쌍을 형성하여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c는 제2 유형의 항원 결합 활성화를 보여준다. 제1 Fc 및 VH는 MMP14에 민감한 단백질분해 링커로 연결된다. VH는 VL과 쌍을 형성하여 절단 전 안정한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할 수 없다. VH는 MMP14를 사용한 절단 후 방출되고, VL과 쌍을 형성하여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0026] 도 2: 프로 항-CLDN18.2-Fc는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항원 결합 능력을 복구시킨다. 세포-기반 ELISA 데이터는 MMP14를 사용한 절단 후 프로 항-CLDN18.2-Fc가 양성 대조군 만큼 강하게 CLDN18.2 발현 KatoIII 세포에 결합함을 보여준다.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결합은 양성 대조군에 비해 약 100배 보다 약하다.
[0027] 도 3: 이특이적 프로 항-CLDN18.2-Fc-항-hCD3은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항원 결합 능력을 복구시킨다. 세포 기반 ELISA 데이터는 MMP14로 절단 후 프로 항-CLDN18.2-Fc-항-hCD3이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것 보다 20배 초과로 강하게 CLDN18.2 발현 KatoIII 세포에 결합함을 보여준다.
[0028] 도 4: MMP14 절단 후 이특이적 프로 항-CLDN18.2-Fc-항-hCD3는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것 보다 10배 초과로 강하게 T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리포터 Jurkat 세포는 MMP14 절단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KatoIII 세포 및 프로 항-CLDN18.2-Fc-항-hCD3과 혼합하였다. 24시간 항온처리 후, T 세포 활성화 수준은 루시퍼라제 생성을 통해 측정되었다.
[0029] 도 5: MMP14로 절단 후 프로 항-hCTLA4 ScFv-Fc는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 보다 10배 초과로 강하게 표면 코팅된 hCTLA4 단백질에 결합한다.
[0030] 도 6: 프로 항-CLDN18.2 클론 2는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항원 결합 능력을 복구시킨다. 세포 기반 ELISA 데이터는 MMP14로 절단 후 프로 항-CLDN18.2 클론 2가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것 보다 약 100배로 강하게 CLDN18.2 발현 KatoIII에 결합함을 보여준다.
[0031] 도 7: 프로 항-hCD3 ScFab는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hCD3e 결합 능력을 복구시킨다. ELISA 데이터는 MMP14로 절단 후 프로 항-hCD3 ScFab가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것 보다 20배 초과로 강하게 표면 코팅된 hCD3e에 결합함을 보여준다.
[0032] 도 8: 프로 항-hCD3 (AAB7)은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hCD3e 결합 능력을 복구시킨다. ELISA 데이터는 MMP14로 절단 후 프로 항-hCD3 (AAB7)이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것 보다 10배 초과로 강하게 코팅된 hCD3e에 결합함을 보여준다.
[0033] 도 9: 프로 항-hCTLA4 (AAB7)은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항원 결합 능력을 복구시킨다. 유동 세포측정-기반 결합 검정 데이터는 MMP14로 절단 후 프로 항-hCTLA4(AAB7)가 양성 대조군 만큼 강하에 hCTLA4 발현 세포에 결합함을 보여주고,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은 거의 결합이 없음을 보여준다.
[0034] 도 10: 프로 항-hCD3 (AAB7)은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T 세포 활성화를 자극하는 능력을 복구시킨다. 리포터 T 세포 활성화 검정 데이터는 MMP14로 절단 후 프로 항-hCD3 (AAB7)이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것 보다 20배 초과로 강하게 T 세포 활성화를 자극함을 보여준다. T 세포 활성화 수준은 루시퍼라제 생성을 통해 측정된다.
[0035] 도 11: 이특이적 프로 항-hCD3 (AAB8)-항-hPD-L1은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T 세포 활성화를 자극하는 능력을 복구시킨다. 리포터 T 세포 활성화 검정 데이터는 MMP14로 절단 후 이특이적 프로 항-hCD3 (AAB8)-항-hPD-L1이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것 보다 20배 초과로 강하게 T 세포 활성화를 자극함을 보여준다. T 세포 활성화 수준은 루시퍼라제 생성을 통해 측정된다.
[0036] 도 12: 이특이적 프로 항-hCD3 (AAB8)-항-CLDN18.2 ScFv는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T 세포 활성화를 자극하는 능력을 복구시킨다. 리포터 T 세포 활성화 검정 데이터는 MMP14로 절단 후 이특이적 프로 항-hCD3 (AAB8)-항-CLDN18.2 ScFv가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것 보다 20배 초과로 강하게 T 세포 활성화를 자극함을 보여준다. T 세포 활성화 수준은 루시퍼라제 생성을 통해 측정된다.
[0037] 도 13: 이특이적 프로 항-hCD3 (AAB8)-프로-항-hPD-L1은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PBMC에서 T 세포 활성화를 자극하는 능력을 복구시킨다. MMP14로 절단 후 이특이적 프로 항-hCD3 (AAB8)-프로 항-hPD-L1은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것 보다 20배 초과로 강하게 PBMC에서 T 세포 활성화를 자극한다. T 세포 활성화 수준은 IFN-감마 생성을 통해 측정된다.
[0038] 도 14: 프로 항-hCTLA4 (AAB1)-Fc는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항원 결합 능력을 복구시킨다. 유동 세포측정-기반 결합 검정 데이터는 MMP14로 절단 후 프로 항-hCTLA4(AAB1)-Fc가 양성 대조군 만큼 강하에 hCTLA4 발현 세포에 결합함을 보여주고,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은 거의 결합이 없음을 보여준다.
[0039]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아래에 상세히 논의되지만, 본 발명이 광범위하게 다양한 구체적인 상황에 구현될 수 있는 많은 응용가능한 본 발명의 개념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논의된 구체적인 구현예는 본 발명을 만들어 사용하는 구체적인 방법들을 예시하는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0040] 본 발명의 이해를 촉진시키기 위해, 다수의 용어가 하기에 정의된다. 본원에 정의된 용어는 본 발명과 관련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a", "an" 및 "the"와 같은 용어는 단일 실체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설명을 위해 특정 예가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부류를 포함한다. 본원에서의 용어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기재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이들의 사용은 청구범위에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0041] 치료학적 모노클로날 항체는 암을 비롯한 다양한 사람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암 치료요법에서, 예를 들어, 항-CTLA4 항체 또는 항-CD3 항체는 종양 미세 환경에서 면역억제 신호를 감소시킴을 통해 T 세포를 활성화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오프-표적 Ag-Ab 상호작용으로 인한 활성화에 대한 전신 T 세포는 유의적인 부작용을 유도한다. 종양 관련 항원(TAA)에 대한 항체는 흔히 동일한 항원을 발현하는 비-종양 조직을 표적화한다. 선행 기술의 항-CTLA4 활성화가능한 항체의 경우에, 작제물은 항-CTLA-4의 활성을 차단시키는 절단가능한 링커에 추가로 합성/외래 외인성 펩타이드(차폐 모이어티) 둘다를 부가한다. 이들 2개의 추가의 펩타이드는 링커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고, 추가로, 링커의 절단은 항원 결합 부위로부터 차폐 모이어티의 방출을 보장하지 않는다.
[0042] 본 발명은 차폐 모이어티의 사용을 제거함으로써 모노클로날 항체 치료요법에 대한 오프-표적 독성을 감소시켜 환자에 대한 치료학적 지수 및 약물 관용성을 증가시킨다. 본원에 교시된 프로-항체는 약물이 종양에 도달할 때까지 활성이 거의 또는 전혀 없어 긴 반감기, 단백질 안정성 및 제조가능성을 산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새로운 프로 항체는 표적화 분자에 대한 결합을 감소시키는 짧은 링커로 항체의 중쇄 및 경쇄를 단축하도록 디자인된다. 상기 짧은 링커가 종양 관련 프로테아제에 민감하기 때문에, 링커가 절단될 때 중쇄 및 경쇄의 토폴로지 위치를 복원하고 따라서 종양 조직에서 표적에 대한 결합 친화성을 복원한다.
[0043] 본원에 사용된 용어 "활성화가능한 항체", "aAb", "프로 항체" 또는 "프로바디"는 절단가능한 링커에 의해 분리된 항체 항원 결합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지칭한다. 융합 단백질의 기본 구조는 아미노에서 카복시로: 가변 경쇄 영역-절단가능한 링커-가변 중쇄 영역 또는 가변 중쇄 영역-절단가능한 링커-가변 경쇄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융합 단백질은 제2 항원을 표적화하는 제2 융합 단백질과 공동-발현될 수 있는 반면, 제1 융합 단백질은 제1 항원에 결합한다. 제1 및 제2 항원은 동일한 항원, 상이한 항원, 또는 심지어 동일한 항원일 수 있지만 항원의 상이한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융합 단백질은 또한 하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불변 경쇄 영역, 불변 중쇄 영역, Fc 영역 (야생형 또는 돌연변이체), Fc와 제2 단백질(예를 들어, 사이토킨) 사이의 제2 링커.
[0044] aAb를 암호화하는 핵산은 세균, 진균류, 식물 또는 포유동물 세포와 같은 숙주 세포에서 aAb를 발현하는데 사용되는 벡터의 일부일 수 있다.
[0045]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항체" 또는 "항체 펩타이드(들)"은 온전한 항체, 또는 특이적 결합에 대해 온전한 항체와 경쟁하는 이의 결합 단편을 지칭한다. 결합 단편은 재조합 DNA 기술 또는 온전한 항체의 효소적 또는 화학적 절단에 의해 생성된다. 결합 단편은 Fab, Fab’, F(ab’)2, Fv, 및 단일쇄 가변 단편 (scFv) 항체를 포함한다. “이특이적” 또는 “이기능적” 항체 이외의 항체는 동일한 결합 부위를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항체는 과량의 항체가 역수용체에 결합된 수용체의 양을 적어도 약 20%, 40%, 60% 또는 80%, 보다 일반적으로 약 85% 초과(시험관 내 경쟁적 결합 검정에서 측정시)로 감소시키는 경우 역수용체에 대한 수용체의 접착을 실질적으로 억제한다.
[0046]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이특이적” 또는 “이기능적” 항체는 2개의 상이한 결합 부위를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이특이적 항체는 2개의 상이한 항원 결합 도메인, 예를 들어, 각각 제1 및 제2 항원에 결합하는 제1 및 제2 항원 결합 도메인을 포함한다. 이특이적 항체는 또한 동일한 항원에 결합하지만 2개의 상이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2개의 상이한 항원 결합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보다 통상적으로, 이특이적 항체는 2개의 상이한 항원에 결합한다. 제1 또는 제2 항원은 일반적으로 종양 특이적 항원이고, 다른 항원 결합 영역은 T 세포 상의 T 세포 활성화 분자에 결합한다.
[0047]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항체"는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구체적으로 모노클로날 항체(전장 항체 또는 2가 scFv Fc-융합 항체와 같은 다른 2가, Fc-영역 함유 항체 포함), 폴리클로날 항체, 다중특이적 항체(예를 들어, 이특이적 항체) 및 단편이 목적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한 항체 단편 (예를 들어, Fab, Fab', F(ab')2, Fv, scFv)을 포함한다. 항체 (Ab) 및 면역글로불린 (Ig)은 동일한 구조적 특징을 갖는 당단백질이다. 항체는 특이적 항원에 대해 결합 특이성을 나타내지만, 면역글로불린은 항원 특이성이 부재인 항체 및 다른 항체 유사 분자 둘다를 포함한다. 후자 종류의 폴리펩타이드는 예를 들어 림프계에 의해 저수준으로 생성되고 골수종에 의해 증가된 수준으로 생성된다. 본 발명은 완전히 재조합된, 다른 말로, 여기서, 상보성 결정 영역(CDR)이 항체를 베니어링(veneering)하는 것으로서 지칭되는 사람 항체 골격에 유전학적으로 스플라이싱된 모노클로날 항체 (및 이의 결합 단편)를 포함한다. 따라서, 특정 양상에서, 모노클로날 항체는 완전히 합성된 항체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모노클로날 항체(및 이의 결합 단편)는 세균 세포 또는 식물 세포를 포함하는 진핵 세포에서 제조될 수 있다.
[0048]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항체 단편”은 전장 항체의 일부, 일반적으로 항원 결합 또는 가변 영역을 지칭하고 Fab, Fab’, F(ab’)2, Fv 및 scFv 단편을 포함한다. 항체의 파파인 분해는 Fab 단편이라고 하는 2개의 동일한 항원 결합 단편을 생성하고, 각각은 단일 항원 결합 부위와 쉽게 결정화하는 능력 때문에 호칭되는 잔류 "Fc" 단편을 갖는다. 펩신 처리는 항원을 가교결합시킬 수 있는 2개의 항원 결합 단편과 잔류하는 다른 단편(pFc'라고 호칭되는)을 갖는 F(ab')2 단편을 생성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항체와 관련하여 “기능적 단편”은 Fv, F(ab) 및 F(ab’)2 단편을 지칭한다.
[0049]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Fv” 단편은 완전한 항원 인지 및 결합 부위를 함유하는 최소 항체 단편이다. 이러한 영역은 단단하게 비-공유적으로 회합된 하나의 중쇄 및 하나의 경쇄 가변 도메인의 이량체(VH-VL 이량체)로 이루어진다. VH-VL 이량체의 표면 상에 항원 결합 부위를 한정하기 위해 각 가변 도메인의 3개의 CDR이 상호작용하는 것이 상기 구성에 있다. 총체적으로, 6개 CDR은 항체에 항원 결합 특이성을 부여한다. 그러나 단일 가변 도메인 (또는 항원에 특이적인 3개의 CDR만을 포함하는 Fv의 절반)조차도 전체 결합 부위보다 낮은 친화성에서도 항원을 인지하고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0050] F(ab)로서도 지정된 Fab 단편은 또한 경쇄의 불변 도메인 및 중쇄의 제1 불변 도메인 (CH1)을 함유한다. Fab' 단편은 항체 힌지 영역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을 포함하는 중쇄 CH1 도메인의 카복실 말단에 약간의 잔기가 부가되어 Fab 단편과 상이하다. Fab’-SH는 본원에서 Fab’을 지정하고, 여기서, 불변 도메인의 시스테인 잔기(들)는 유리된 티올 그룹을 갖는다. F(ab') 단편은 F(ab')2 펩신 분해 생성물의 힌지 시스테인에서 디설파이드 결합의 절단에 의해 생성된다. 항체 단편의 추가적인 화학적 커플링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0051] 본래의 항체와 면역글로불린은 일반적으로 2개의 동일한 경쇄(L)와 2개의 동일한 중쇄(H)로 구성된 약 150,000달톤의 이종사량체 당단백질이다. 각각의 경쇄는 하나의 공유 디설파이드 결합에 의해 중쇄에 연결된다. 디설파이드 연결의 수는 상이한 면역글로불린 이소타입의 중쇄 사이에서 다양하다. 각각의 중쇄 및 경쇄는 또한 일정한 공간의 쇄내 디설파이드 브릿지를 갖는다. 각각의 중쇄는 하나의 말단에 가변 도메인 (VH)에 이어서 다수의 불변 도메인을 갖는다. 각각의 경쇄는 하나의 말단에 가변 도메인(VL) 및 이의 다른 말단에 불변 도메인을 갖는다. 경쇄의 불변 도메인은 중쇄의 제1 불변 도메인과 정렬되고, 경쇄 가변 도메인은 중쇄의 가변 도메인과 정렬된다. 특정 아미노산 잔기는 경쇄와 중쇄 가변 도메인 사이에 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문헌참조: Clothia et al., J. Mol. Biol. 186, 651-66, 1985); Novotny and Haber, Proc. Natl. Acad. Sci. USA 82 4592-4596 (1985), 관련된 부분이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0052]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리된” 항체는 이것이 생성되는 환경의 성분으로부터 동정되고, 분리되고/되거나 회수된 항체이다. 이의 생성 환경의 오염 성분들은 항체에 대한 진단학적 또는 치료학적 사용을 차단하는 물질이고, 효소, 호르몬 및 다른 단백질성 또는 비-단백질성 용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항체는 적어도 3개의 상이한 방법에 의해 측정가능한 것으로서 정제된다: 1) 로리 (Lowry) 방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항체의 50중량% 초과로, 예를 들어, 75중량% 초과 또는 85중량% 초과 또는 99중량% 초과로; 2) 스피닝 컵 서열분석기의 사용에 의해 N-말단 또는 내부 아미노산 서열의 적어도 10개 잔기, 예를 들어, 서열의 적어도 15개 잔기를 수득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또는 3) 쿠마시 블루(Coomassie blue) 또는 바람직하게 실버 염색을 사용하여 환원 또는 비-환원 조건하에 SDS-PAGE에 의한 균질성으로. 단리된 항체는 항체의 천연 환경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재조합 세포 내의 동일계 항체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그러나, 단리된 항체는 적어도 하나의 정제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0053]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항체 돌연변이체"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변형된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를 지칭한다. 이러한 돌연변이체는 필수적으로 항체의 중쇄 또는 경쇄 가변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5%, 예를 들어 적어도 80%, 또는 적어도 85%, 또는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95, 96, 97, 98, 또는 99%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또는 유사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과 100% 미만의 서열 동일성 또는 유사성을 갖는다.
[0054] 항체의 가변 도메인과 관련하여 본원에 사용된 용어 "가변"은 가변 도메인의 특정 부분이 항체 간의 서열이 광범위하게 상이하고 특정 항원에 대한 각각의 특정 항체의 결합 및 특이성에 사용된다는 사실을 지칭한다. 그러나, 가변성은 항체의 가변 도메인에 걸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경쇄 및 중쇄 가변 도메인 둘다에서 초가변 영역으로서도 공지되어 있는 상보성 결정 영역(CDR)으로 호칭되는 3개의 분절에 집중되어 있다. CDR을 결정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기술이 있다: (1) 교차-종 서열 가변성(즉, 카밧 등(Kabat et al.), 면역학적 관심 대상의 단백질의 서열(문헌참조: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Bethesda, Md. 1987); 및 (2) 항원-항체 복합체의 결정학 연구를 기반으로 한 접근법(문헌참조; 초티아, 씨 등(Chothia, C. et al.) (1989), Nature 342: 877), 또는 둘다, 즉 초티아 + 카밧. 가변 도메인의 보다 고도로 보존된 부분은 프레임워크(FR)라고 호칭된다. 본래의 중쇄 및 경쇄의 가변 도메인은 대부분 각각 β-시트 구조를 채택하여 4개의 FR 영역을 포함하고, β-시트 구조를 연결하고 일부 경우에는 β-시트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루프를 형성하는 3개의 CDR로 연결된다. 각각의 쇄 내 CDR은 함께 FR 영역에 의해 친밀히 밀접하게 유지되고 있고, 다른 쇄 기원의 CDR과 함께 항체의 표적 결합 부위의 형성에 기여한다(문헌참조: Kabat et al.) 불변 도메인은 항체가 항원에 결합하는 데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지만, 항체 의존성 세포 독성에 항체가 참여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이펙터 기능을 나타낸다.
[0055] 임의의 척추동물 종으로부터의 항체 (면역글로불린)의 경쇄는 이들의 불변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을 기준으로 카파 및 람다로 호칭되는 2개의 명백한 특유의 유형 중 하나에 할당될 수 있다.
[0056] 이들의 중쇄의 불변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에 의존하여, “면역글로불린”은 상이한 부류에 할당될 수 있다. 적어도 5개 (5) 주요 부류의 면역글로불린: IgA, IgD, IgE, IgG 및 IgM이 있고, 이들 중 여러개는 추가로 서브부류 (이소타입), 예를 들어, IgG-1, IgG-2, IgG-3 및 IgG4; IgA-1 및 IgA-2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이한 부류의 면역글로불린의 서브유닛 구조 및 3차원 형태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0057]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모노클로날 항체"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항체 집단으로부터 수득된 항체를 언급하고, 즉, 상기 집단에 포함되는 개별 항체들은 소량으로 존재할 수 있는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돌연변이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고도로 특이적이고 단일 항원성 부위에 대해 지시된다. 추가로, 상이한 결정인자 (에피토프)에 대해 지시된 상이한 항체를 전형적으로 포함하는 통상적인 (폴리클로날) 항체 제제와는 대조적으로, 각각의 모노클로날 항체는 항원 상에 단일 결정인자에 대해 지시된다. 이들의 특이성에 추가로, 모노클로날 항체는 이들이 다른 면역글로불린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하이브리도마 배양에 의해 합성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수식어 "모노클로날"은 항체의 실질적으로 균질한 집단으로부터 수득되는 항체의 특성을 나타내며, 임의의 특정 방법에 의한 항체의 생산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현재 개시되고 청구된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모노클로날 항체는 문헌(참조: Kohler and Milstein, Nature 256, 495(1975))에 의해 처음 기재된 하이브리도마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관련 부분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0058] 현재 개시되고 청구된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모든 모노클로날 항체는 (1) 하기 본원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재된 바와 같이 의도적인 면역화 프로토콜의 결과; 또는 (2) 질환 또는 암이 진행되는 동안 천연적으로 항체를 생성하는 면역 반응의 결과이다.
[0059] 현재 개시되고 청구된 본 발명의 모노클로날 항체의 사용은 사람과 같은 대상체에게 그러한 또는 유사한 모노클로날 항체의 투여를 필요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모노클로날 항체가 설치류 또는 닭과 같은 비사람 동물에서 생산되는 경우, 사람 환자로의 상기 항체의 투여는 일반적으로 면역 반응을 유발할 것이고, 여기서 면역 반응은 항체 자체를 향하게 된다. 상기 반응은 상기 치료요법의 지속기간 및 효과를 제한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현재 개시되고 청구된 발명의 모노클로날 항체는 "사람화"될 수 있고, 즉, 항체는 이의 항원 부분이 제거되고 따라서 사람 항체의 유사한 부분이 치환되도록 조작되지만 특정 항원에 대한 항체의 친화성은 유지되도록 가공된다. 상기 가공은 몇 개의 아미노산만 포함할 수 있거나 항체의 전체 프레임워크 영역을 포함하여 항체의 상보성 결정 영역만 온전하게 남길 수 있다. 항체를 사람화하는 여러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2001년 1월 30일자로 퀸 등 (Queen et al)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180,370호; 2000년 4월 25일자로 브릭켈(Brickell)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054,927호; 1999년 2월 9일자로 스투드닉카(Studnicka)에게 허여되는 미국 특허 제5,869,619호; 1999년 1월 19일자로 린(Li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861,155호; 1998년 1월 27일자로 로드리게즈 등 (Rodriquez et al)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12,120호; 및 1989년 3월 28일자로 카빌리 등(Cabilly et al)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816,567호에 기재되어 있고, 상기 문헌의 관련 부분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0060] 사람화된 형태의 항체는 키메라 면역글로불린, 면역글로불린 쇄 또는 이의 단편(예를 들어, Fab, Fab', F(ab')2, Fv, scFv 또는 항체의 다른 항원 결합 서브서열)이고, 이들은 주로 사람 면역글로불린의 서열로 구성되고, 비-사람 면역글로불린으로부터 유래된 최소 서열을 포함한다. 사람화는 윈터(Winter)와 동료들의 방법(문헌참조: Jones et al., 1986; Riechmann et al., 1988; Verhoeyen et al., 1988)에 따라 비사람(즉, 설치류, 닭) CDR 또는 CDR 서열을 사람 항체의 상응하는 서열로 대체함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또한 미국 특허 번호 5,225,539 참조.). 일부 경우에, 사람 면역글로불린의 Fv 프레임워크 잔기들은 공여자 항체로부터의 상응하는 비-사람 잔기들로 대체된다. 사람화된 항체는 또한 수용자 항체나 수입된 CDR 또는 프레임워크 서열에서 발견되지 않는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화된 항체는 실질적으로 적어도 1개, 및 전형적으로 2개의 가변 도메인을 모두 포함할 것이며, 여기서 CDR 영역 모두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는 비-사람 면역글로불린의 것에 상응하고, 프레임워크 영역 모두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는 사람 면역글로불린 컨센서스 서열의 것들이다. 사람화된 항체는 또한 임의로 사람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Fc)의 적어도 일부, 전형적으로 사람 면역글로불린의 일부를 포함한다.
[0061] 본 발명의 aAb는 또한 가공된 서열 또는 당화 부위를 포함하여, 동물 모델에서 비드 기반 또는 세포 기반 검정 또는 생체내 연구에 의한 측정시 항체 의존성 세포 세포독성(ADCC), 항체 의존성 세포 식세포작용(ADCP), 항체 의존성 호중구 식세포작용 (ADNP), 또는 항체 의존성 보체 침적(ADCD) 기능에서 바람직한 활성 수준을 부여할 수 있다.
[0062] aAb는 면역글로불린의 중쇄 및 경쇄의 가변 영역의 융합인 단일쇄 가변 단편 (scFv)일 수 있다. 상기 키메라 분자는 불변 영역의 제거 및 2개의 항원 결합 도메인 사이에 링커 펩타이드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본래의 면역글로불린의 특이성을 보유한다. 상기 변형은 일반적으로 링커의 절단 후 특이성이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이들 분자는 역사적으로 파아지 디스플레이를 촉진시키기 위해 생성되었고, 이는 단일 펩타이드로서 항원 결합 도메인을 발현시키기에 매우 간편하다. scFv는 하이브리도마 또는 B 세포로부터 유래된 서브클로닝된 중쇄 및 경쇄로부터 직접 생성될 수 있다. 단일쇄 가변 단편은 완전한 항체 분자에서 발견되는 불변 Fc 영역이 부재임에 따라서 통상적인 결합 부위 (예를 들어, 단백질 A/G)가 항체를 정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 단편은 흔히 단백질 L이 카파 경쇄의 가변 영역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단백질을 사용하여 정제되고/고정화될 수 있다.
[0063] 본 발명은 특이적 항원을 표적화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체(또한 프로-항체, 또는 프로바디로서 지칭되는)를 포함한다. 항원의 예는 ICAM1; VCAM1; EpCAM; 피브로넥틴의 추가 도메인 B; 흑색종 관련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MCSP); 흑색종 관련 프로테오글리칸(MAPG); 고분자량 흑색종 관련 항원(HMV-MAA); 전립선 특이적 막 항원(PSMA);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EGFR); 간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HGFR); 섬유아세포 활성화 단백질(FAP); 암배아 항원(CEA); 세포 접착 분자(CAM); 사람 B-세포 성숙화 표적(BCMA); 태반 성장 인자(PLGF); 폴레이트 수용체,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수용체(ILGFR); CD133; CD40; CD37; CD33; CD30; CD28; CD24; CD23; CD22; CD21; CD20; CD19; CD13; CD10; HER3; HER2; 비근육 미오신 중쇄 A형(nmMHCA); 트랜스페린; 상피 세포 접착 분자(EpCAM); 어넥신 A1; 뉴클레오틴, 테나신,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수용체 1(VEGFR1),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수용체 2 (VEGFR-2); 아미노펩티다제 N, 타이-1, 타이-2, 또는 c-Met로부터 선택되는 조직 특이적 표면 항원인 제1 항원을 포함한다. 다른 항원은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 단백질의 일부 또는 펩타이드를 포함한다: ABCF1; ACVR1; ACVR1B; ACVR2; ACVR2B; ACVRL1 ; ADORA2A; 아그레칸; AGR2; AICDA; AIF1 ; AIG1 ; AKAP1; AKAP2; AMH; AMHR2; ANGPT1; ANGPT2; ANGPTL3; ANGPTL4; ANPEP; APC; APOC1; AR; AZGP1; B7.1; B7.2; BAD; BAFF; BAG1; BAI1; BCL2; BCL6; BDNF; BLNK; BLR1 (MDR15); BlyS; BMP1; BMP2; BMP3B (GDF10); BMP4; BMP6; BMP8; BMPR1A; BMPR1B; BMPR2; BPAG1 (플렉틴); BRCA1; C19orfl0 (IL27w); C3; C4A; C5; C5R1; CANT1; CASP1; CASP4; CAV1; CCBP2 (D6/JAB61); CCL1 (1-309); CCL11 (에오탁신); CCL13 (MCP-4); CCL15 (MIP-1d); CCL16 (HCC-4); CCL17 (TARC); CCL18 (PARC); CCL19 (MIP-3b); CCL2 (MCP-1); MCAF; CCL20 (MIP-3a); CCL21 (MIP-2); SLC; 엑소더스-2; CCL22 (MDC/STC-1); CCL23 (MPIF-1); CCL24 (MPIF-2/에오탁신-2); CCL25 (TECK); CCL26 (에오탁신-3); CCL27 (CTACK/ILC); CCL28; CCL3 (MIP-la); CCL4 (MIP-lb); CCL5 (RANTES); CCL7 (MCP-3); CCL8 (mcp-2); CCNA1; CCNA2; CCND1; CCNE1; CCNE2; CCR1 (CKR1/HM145); CCR2 (mcp-lRB/RA); CCR3 (CKR3/CMKBR3); CCR4; CCR5 (CMKBR5/ChemR 13); CCR6 (CMKBR6/CKR-L3/STRL22/DRY6); CCR7 (CKR7/EBI1); CCR8 (CMKBR8/TER1/CKR-L1); CCR9 (GPR-9-6); CCRL1 (VSHK1); CCRL2 (L-CCR); CD164; CD19; CD1C; CD20; CD200; CD-22; CD24; CD28; CD3; CD37; CD38; CD3E; CD3G; CD3Z; CD4; CD40; CD40L; CD44; CD45RB; CD52; CD69; CD72; CD74; CD79A; CD79B; CD8; CD80; CD81; CD83; CD86; CDH1 (E-캐드헤린); CDH10; CDH12; CDH13; CDH18; CDH19; CDH20; CDH5; CDH7; CDH8; CDH9; CDK2; CDK3; CDK4; CDK5; CDK6; CDK7; CDK9; CDKN1A (p21Wapl/Cipl); CDKNIB (p27Kipl); CDKNIC; CDKN2A (pl6INK4a); CDKN2B; CDKN2C; CDKN3; CEBPB; CER1; CHGA; CHGB; 키티나제; CHST10; CKLFSF2; CKLFSF3; CKLFSF4; CKLFSF5; CKLFSF6; CKLFSF7; CKLFSF8; CLDN3; CLDN7 (클라우딘-7); CLN3; CXCLIO(IP-IO); CXCL11 (I-TAC/IP-9); CXCL12 (SDF1); CXCL13; CXCL14; CXCL16; CXCL2 (GR02); CXCL3 (GR03); CXCL5 (ENA-78/LIX); CXCL6 (GCP-2); CXCL9 (MIG); CXCR3 (GPR9/CKR-L2); CXCR4; CXCR6 (TYMSTR/STRL33/Bonzo); CYB5; CYC1; CYSLTR1; CGRP; Clq; Clr; CI;, C4a; C4b; C2a; C2b; C3a; C3b; DAB2IP; DES; DKFZp451J0118; DNCL1; DPP4; E-셀렉틴; E2F1; ECGF1; EDG1; EFNA1; EFNA3; EFNB2; EGF; EGFR; ELAC2; ENG; ENOl; EN02; EN03; EPHB4; EPO; ERBB2 (Her-2); EREG; ERK8; ESR1 ; ESR2; F3 (TF); 인자 VII; 인자 IX; 인자 V; 인자 Vila; 인자 X; 인자 XII; 인자 XIII; FADD; FasL; FASN; FCER1A; FCER2; Fc 감마 수용체; FCGR3A; FGF; FGFl (aFGF); FGF10; FGFll; FGF12; FGF12B; FGFl 3; FGFl 4; FGF16; FGFl 7; FGFl 8; FGF19; FGF2 (bFGF); FGF20; FGF21; FGF22; FGF23; FGF3 (int-2); FGF4 (HST); FGF5; FGF6 (HST-2); FGF7 (KGF); FGF8; FGF9; FGFR3; FIGF (VEGFD); FIL1 (EPSILON); FIL1 (ZETA); FLJ12584; FLJ25530; FLRTl (피브로넥틴); FLTl; FOS; FOSLl (FRA-1); FY (DARC); GABRP (GABAa); GAGEBl; GAGECl; GALNAC4S-6ST; GATA3; GDF5; GFIl; GGTl; GMCSF; GNAS1; GNRH1; GPR2 (CCR10); GPR31; GPR44; GPR81 (FKSG80); GRCC10 (CIO); GRP; GSN (Gelsolin); GSTP1; 당단백질 (GP) Ilb/IIIa; HAVCR2; HDAC4; HDAC5; HDAC7A; HDAC9; Her2; HGF; ITGB4 (b 4 인테그린); JAG1; JAK1; JAK3; JUN; K6HF; KAI1; KDR; KITLG; KLF5 (GC Box BP); KLF6; KLK10; KLK12; KLK13; KLK14; KLK15; KLK3; KLK4; KLK5; KLK6; KLK9; KRT1; KRT19 (케라틴 19); KRT2A; KRTHB6 (모발-특이적 II형 케라틴); L-셀렉틴; LAMA5; LEP (렙틴); Lingo-p75; Lingo-Troy; LPS; LTA (TNF-b); LTB; LTB4R (GPR16); LTB4R2; LTBR; MACMARCKS; MAG or Omgp; MAP2K7 (c-Jun); MDK; MIB 1; 미드킨; MIF; MIP-2; MKI67 (Ki-67); MMP2; MMP9; MS4A1; MSMB; MT3 (메탈로티오넥틴-III); MTSSl; MUCl (뮤신); MYC; MYD88; NCK2; 뉴로칸; NKG2D; NFKB1; NFKB2; NGF; NGFB (NGF); NGFR; NgR-Lingo; NgR-Nogo66 (Nogo); NgR-p75; NgR-Troy; NME1 (NM23A); NOX5; NPPB; NR0B1; NR0B2; NR1D1; NR1D2; NR1H2; NR1H3; NR1H4; NRII2; NRII3; NR2C1; NR2C2; NR2E1; NR2E3; NR2F1; NR2F2; NR2F6; NR3C1; NR3C2; NR4A1; NR4A2; NR4A3; NR5A1; NR5A2; NR6A1; NRP1; NRP2; NT5E; NTN4; ODZ1; OPRD1; P2RX7; PAP; PARTI; PATE; PAWR; PCA3; PCNA; PDGFA; PDGFB; PECAM1 ; PF4 (CXCL4); PGE2; PGF; PGR; 포스파칸; PIAS2; PIK3CG;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인자; PLAU (uPA); PLG; PLXDC1; PPBP (CXCL7); PPID; PR1; PRKCQ; PRKDl; PRL; PROC; 단백질 C; PROK2; PSAP; PSCA; PTAFR; PTEN; PTGS2 (COX-2); PTN; RAC2 (p21Rac2); RAGE; RARB; RGSl; RGS13; RGS3; RNFllO (ZNF144); ROB02; SI00A2; SCGB1D2 (리포필린 B); SCGB2A1 (맘마글로빈 2); SCGB2A2 (맘마글로빈 1); SCYE1 (내피 단핵구-활성화 사이토킨); SDF2; SERPINA1 ; SERPINA3; SERPINB5 (마스핀); SERPINE1 (PAI-1); SERPINF1; SHBG; SLA2; SLC2A2; SLC33A1; SLC43A1; SLIT2; SPP1; SPRR1B (Sprl); ST6GAL1; STAB1; STAT6; STEAP; STEAP2; 물질 P; TB4R2; TBX21; TCP10; TDGF1; TEK; TGFA; TGFB1; TGFB111; TGFB2; TGFB3; TGFBI; TGFBR1; TGFBR2; TGFBR3; TH1L; THBS1 (트롬보스폰딘-1); THBS2; THBS4; THPO; TIE (타이-1); TIMP3; 조직 인자; TLR10; TLR2; TLR3; TLR4; TLR5; TLR6; TLR7; TLR8; TLR9; TNF; TNF-a; TNFAIP2 (B94); TNFAIP3; TNFRSF11A; TNFRSF1A; TNFRSF1B; TNFRSF21; TNFRSF5; TNFRSF6 (Fas); TNFRSF7; TNFRSF8; TNFRSF9; TNFSFIO (TRAIL); TNFSF11 (TRANCE); TNFSF12 (AP03L); TNFSF13 (April); TNFSF13B; TNFSF14 (HVEML); TNFSF15 (VEGI); TNFSF18; TNFSF4 (OX40 리간드); TNFSF5 (CD40 리간드); TNFSF6 (FasL); TNFSF7 (CD27 리간드); TNFSF8 (CD30 리간드); TNFSF9 (4-1BB 리간드); TOLLIP; 톨 유사 수용체; TOP2A (토포이소머라제 Iia); TP53; TPM1; TPM2; TRADD; TRAF1; TRAF2; TRAF3; TRAF4; TRAF5; TRAF6; TREM1; TREM2; TRPC6; TSLP; TWEAK; 트롬보모듈린; 트롬빈; VEGF; VEGFB; VEGFC; 베르시칸; VHL C5; VLA-4; XCL1 (림포탁틴); XCL2 (SCM-lb); XCR1 (GPR5/CCXCR1); YY1; 및/또는 ZFPM2.
[0064] 본 발명은 또한 HER1, HER2, HER3, GD2, 암배아 항원 (CEA),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활성 돌연변이체 (EGFRVIII), CD133, 섬유아세포 활성화 단백질 알파 (FAP), 상피 세포 접착 분자 (Epcam), 글리피칸 3 (GPC3), EPH 수용체 A4 (EphA), 티로신-단백질 키나제 Met (cMET), IL-13Ra2, 마이크로솜 에폭사이드 하이드롤라제 (mEH), MAGE, 메소텔린, MUC16, MUC1, 전립선 줄기 세포 항원 (PSCA), 빌름스 종양-1 (WT-1), 또는 클라우딘 계열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는 종양 표적화 항원을 포함한다.
[0065] 본 발명은 또한 T-세포 마커를 표적화하는 항원 결합 도메인을 포함한다. T-세포 마커의 예는 CTLA-4, PD-1, Lag3, S15, B7H3, B7H4, TCR-알파, TCR-베타 및/또는 TIM-3을 포함한다. 항체는 또한 활성화 T 세포 마커, CD3, 41BB 또는 OX40에 결합할 수 있다.
[0066] 본 발명은 또한 절단가능한 링커, 예를 들어, 프로테아제 절단가능한 링커를 포함한다. 절단가능한 링커의 예는 종양 관련 프로테아제에 의해 절단된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이다: MMP1, MMP2, MMP3, MMP7, MMP9, MMP10, MMP11, MMP12, MMP13, MMP14, MMP15, MMP16, MMP17, MMP19, MMP20, MMP21, uPA, FAPa, 또는 카뎁신 B. 다른 예는 아폽토시스 또는 염증 관련 반응 동안에 상향조절된 프로테아제, 예를 들어, 카스파제에 의해 절단되는 절단가능한 링커를 포함한다. 카스파제의 예는 카스파제 1, 카스파제 2, 카스파제 3, 카스파제 4, 카스파제 5, 카스파제 6, 카스파제 7, 카스파제 8, 카스파제 9, 카스파제 10, 카스파제 11, 및/또는 카스파제 12이다. 선행 기술 분야의 활성화가능한 항체와 같지 않게, 본 발명의 절단가능한 링커는 항원 결합 부위를 직접적으로 차폐시키지 않는다.
[0067]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aAb 융합 단백질의 일부로서 또는 aAb에 별도로 부착된 aAb와 함께 사이토킨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토킨은 하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성장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티록신; 인슐린; 프로인슐린; 렐락신; 프로렐락신; 당단백질 호르몬; 간 성장 인자;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프롤락틴; 태반 락토겐; TNF-a; 뮬레리안-억제 물질; 고나도트로핀-관련 펩타이드; 인히빈; 액티빈;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인테그린; 트롬보포이에틴 (TPO); 신경 성장 인자; 혈소판-성장 인자; 태반 성장 인자, 형질전환 성장 인자 (TGF);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 및 -11; 에리트로포이에틴 (EPO); 골유도성 인자; 인터페론; 콜로니 자극 인자 (CSF); 림프독소-알파; 림프독소-베타; CD27L; CD30L; FASL; 4-1 BBL; OX40L; TRAIL; IL-1; IL-2; IL-3; IL-4; IL-5; IL-6; IL-7; IL-8; IL-9; IL-10; IL-11; IL-12; IL-13; IL-15; IL-18; IL-21; IL-22; IL-23; IL-33; IFN-a; IFN-b; IFN-g; IFN-g 유도 인자 (IGIF); 골 형태유전학적 단백질 (BMP); 백혈병 억제 인자(LIF); 또는 키트 리간드 (KL).
[0068] 본 발명의 프로 항체 디자인. 오프 표적 Ag-Ab 상호작용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략은 항원 결합 부위의 단백질 구조를 비틀기 위해 단백질분해 링커를 도입함으로써 항체의 항원 결합을 감소시키거나 심지어 차단하는 것이다. 링커가 표적 부위에서 절단된 후, 함께 항체의 항원 결합 영역을 형성하는 항체의 두 부분이 비틀린 구조로부터 해제되고 항체는 항원 결합 능력을 회복한다.
[0069] 본원에 기재된 융합 단백질의 디자인 및 방법은 항체 구조로 부가 요소를 첨가하는 것 없이 모든 종류의 항체에 적용될 수 있다. 추가로, 짧은 링커가 항체의 면역원성 및 고생산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로, 본 발명은 반복되는 G4A 링커를 포함하지 않아 링커 절단 전에 융합 단백질이 응집하는 문제점을 감소시킨다.
[0070] 실시예 1.
[0071] 재료 및 방법. 클로닝 및 단백질 생성.
[0072] 단백질 발현을 위한 DNA 단편은 Genewiz에 의해 합성하거나 PCR에 의해 생성되고 등온 어셈블리 (isothermal assembly)(Quantabio)를 통해 pEE6.4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0073] 단백질 발현을 위해, 플라스미드를 293 자유 스타일 매질(Gibco)에서 PEI(Sigma)와 혼합하고 293F 세포에 형질감염시켰다. 세포는 120rpm에서 진탕시키면서 37°C에서 배양하였다. 5 내지 6일 배양 후, 상등액을 수거하고 여과하였다. 단백질은 단백질 A 수지 (레플리겐)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중화된 용출 완충액(40 mM Tris pH7.0/100 mM 글라이신/100 mM NaCl) 중에 저장하였다.
[0074] ELISA 및 세포 기반 ELISA. 항-CTLA4 항체의 결합 강도를 시험하기 위해, CTLA4 단백질 (Sino Biological)을 2 ug/ml로 희석하고 96 웰 플레이트 상에 코팅시켰다. 시험 항체는 상이한 농도로 희석하고 웰에 첨가하였다. 37°C에서 1시간 항온처리 후, 미결합된 단백질은 세척 완충액 (PBS/0.05 % Tween 20)으로 세척 제거하였다. 검출 항체(AP-염소-항-사람 IgG(제조원; Jackson ImmunoResearch))를 첨가하였다. 37°C에서 1시간 항온처리 후, 미결합된 단백질은 세척 완충액으로 세척 제거하였다. 이어서 PNPP 기질 (Pierce) 용액을 첨가하였다. 황색이 발색할때까지 실온에서 항온처리하였다. OD405는 Biotek Epoch 2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Gen5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항-CLDN18.2 단백질의 결합 강도를 시험하기 위해, 상기 방법은 상기된 바와 같고, 단, CLDN18.2 발현 KatoIII 세포(ATCC)를 단백질 대신 96웰 플레이트에 코팅시켰다. 각각의 웰은 105개의 세포를 함유하였다. 
[0075] T-세포 활성화 검정. MMP 14 절단 전 및 후에 프로-항-CLDN18.2-Fc-CD3에 대한 T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능력을 시험하기 위해, MMP14 절단 전 및 후에 Jurkat NFAT 세포 (InvivoGen), KatoIII 세포 (ATCC) 및 희석된 단백질을 96웰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서 혼합하였다. 각각의 웰은 104 Jurkat 세포 및 104 KatoIII 세포를 함유한다. 37°C에서 30시간 항온처리 후, 30 ul의 상등액은 각각의 웰로부터 검정 96 웰 플레이트에 이전시켰다. QUANTI-Luc 검정 용액(InvivoGen)을 이어서 주사하여 발광측정기(Biotek Synergy)를 사용하여 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하고Gen5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0076] 단백질 서열
[0077] 프로-항-CTLA4-Fc
MINEFSSLAGAQRQRLLGVVVVQSLVHHGAAKHVALLPSALVHCQIASESKAAVGIQHGHGGLVVVLGLAVAFPFHGDIARVEALHQTAQRHLILGQLVSAGRLGVHLRLPRLAFGLADGLLNGGGQSLVGDLALVLLAVEPVLVQHGQHGHHSICGVVLLLSGLGFGVVHFDAVHVPVKLHLGVLMADVHHHACHLGCSRDHQCILGFGREQKHGRSAQQFGSRTARNRYHRALTPIVEVAGLTRTVISRGVLGGYRVNLQKELVFRGVTGDRDTRFDRRVVIGRTFIIDETHPFNFLTWELTDPIPTITGGDGGAGNRARQAERTGRINQTRTRFFQFYLSAYVLTPPFDFQLGARTERVRIVVPLLAVVKRLVFVLNRRNGQREVGTRARTTETVRNAGVTGRRVVDQQFRRLTRLLHVPIQIVGFRVRVEQALRAFARDGRFFTRRHAQRRWRLGHHNVSGGTWNPEQQYP (서열번호 1)
[0078] 프로-항-CLDN18.2-Fc
METDTLLLWVLLLWVPGSTGDIVMTQSPDSLAVSLGERATISCKSSQSLLNSGNQKNYLTWYQQKPGQPPKLLIYWASTRESGVPDRFSGSGSGTDFTLTISSLQAEDVAVYYCQNDYFYPFTFGQGTKLEIKRTVAAPSVFIFPPSDEQLKSGTASVVCLLNNFYPREAKVQWKVDNALQSGNSQESVTEQDSKDSTYSLSSTLTLSKADYEKHKVYACEVTHQGLSSPVTKSFNRGECGSSGRSENIRTAGGSQVQLVQSGAEVKKPGSSVKVSCKASGYAFSNYLIEWVKQAPGQGLEWIGLINPGSGGTNYNEKFKGKATITADKSTSTAYMELSSLRSEDTAVYYCARVYYGNSFAYWGQGTLVTVSSASTKGPSVFPLAPSSKSTSGGTAALGCLVKDYFPEPVTVSWNSGALTSGVHTFPAVLQSSGLYSLSSVVTVPSSSLGTQTYICNVNHKPSNTKVDKRVEPKSC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QVYTLPPSRDEL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K (서열번호 2)
[0079] 프로-항-CLDN18.2-Fc-CD3
METDTLLLWVLLLWVPGSTGDIVMTQSPDSLAVSLGERATISCKSSQSLLNSGNQKNYLTWYQQKPGQPPKLLIYWASTRESGVPDRFSGSGSGTDFTLTISSLQAEDVAVYYCQNDYFYPFTFGQGTKLEIKRTVAAPSVFIFPPSDEQLKSGTASVVCLLNNFYPREAKVQWKVDNALQSGNSQESVTEQDSKDSTYSLSSTLTLSKADYEKHKVYACEVTHQGLSSPVTKSFNRGECGSSGRSENIRTAGGSQVQLVQSGAEVKKPGSSVKVSCKASGYAFSNYLIEWVKQAPGQGLEWIGLINPGSGGTNYNEKFKGKATITADKSTSTAYMELSSLRSEDTAVYYCARVYYGNSFAYWGQGTLVTVSSASTKGPSVFPLAPSSKSTSGGTAALGCLVKDYFPEPVTVSWNSGALTSGVHTFPAVLQSSGLYSLSSVVTVPSSSLGTQTYICNVNHKPSNTKVDKRVEPKSCDKTHTCPPCPAPEAA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GAPIEKTISKAKGQPREPQVYTLPPSRDEL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KGGGGSGGGGSGGGGSGGGGSQIVLTQSPAIMSASPGEKVTMTCSASSSVSYMNWYQQKSGTSPKRWIYDTSKLASGVPAHFRGSGSGTSYSLTISGMEAEDAATYYCQQWSSNPFTFGSGTKLEINGGGGSGGGGSGGGGSQVQLQQSGAELARPGASVKMSCKASGYTFTRYTMHWVKQRPGQGLEWIGYINPSRGYTNYNQKFKDKATLTTDKSSSTAYMQLSSLTSEDSAVYYCARYYDDHYCLDYWGQGTTLTVSS (서열번호 3)
[0080] 도 1은 단백질의 도식적 다이어그램과 Pro 항체 디자인이 절단 후 항원 결합 능력을 회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도 1a. AAB의 도식. 도 1b는 제1 유형의 항원 결합 활성화를 보여준다. CL 및 VH는 MMP-14에 민감한 단백질분해 링커와 연결되어 있다. VH는 VL과 쌍을 형성하여 절단 전 안정한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할 수 없다. VH는 MMP14를 사용한 절단 후 방출되고, VL과 쌍을 형성하여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c는 제2 유형의 항원 결합 활성화를 보여준다. 제1 Fc 및 VH는 MMP14에 민감한 단백질분해 링커로 연결된다. VH는 VL과 쌍을 형성하여 절단 전 안정한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할 수 없다. VH는 MMP14를 사용한 절단 후 방출되고, VL과 쌍을 형성하여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0081] 도 2는 프로 항-CLDN18.2-Fc가,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항원 결합 능력을 복구시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세포-기반 ELISA 데이터는 MMP14를 사용한 절단 후 프로 항-CLDN18.2-Fc가 양성 대조군 만큼 강하게 CLDN18.2 발현 KatoIII 세포에 결합함을 보여준다.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결합은 양성 대조군에 비해 약 100배 보다 약하다.
[0082] 도 3은 이특이적 프로 항-CLDN18.2-Fc-항-hCD3가,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항원 결합 능력을 복구시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세포 기반 ELISA 데이터는 MMP14로 절단 후 프로 항-CLDN18.2-Fc-항-hCD3이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것 보다 20배 초과로 강하게 CLDN18.2 발현 KatoIII 세포에 결합함을 보여준다.
[0083] 도 4는 MMP14 절단 후 이특이적 프로 항-CLDN18.2-Fc-항-hCD3가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것 보다 10배 초과로 강하게 T 세포를 활성화시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리포터 Jurkat 세포는 MMP14 절단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KatoIII 세포 및 프로 항-CLDN18.2-Fc-항-hCD3과 혼합하였다. 24시간 항온처리 후, T 세포 활성화 수준은 루시퍼라제 생성을 통해 측정되었다.
[0084] 도 5는 MMP14로 절단 후 프로 항-hCTLA4 ScFv-Fc가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 보다 10배 초과로 강하게 표면 코팅된 hCTLA4 단백질에 결합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0085] 도 6은 프로 항-CLDN18.2-클론 2가,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항원 결합 능력을 복구시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세포 기반 ELISA 데이터는 MMP14로 절단 후 프로 항-CLDN18.2 클론 2가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것 보다 약 100배로 강하게 CLDN18.2 발현 KatoIII에 결합함을 보여준다.
[0086] 도 7은 프로 항-hCD3-ScFab가,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hCD3e 결합 능력을 복구시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ELISA 데이터는 MMP14로 절단 후 프로 항-hCD3 ScFab가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것 보다 20배 초과로 강하게 표면 코팅된 hCD3e에 결합함을 보여준다.
[0087] 도 8은 프로 항-hCD3(AAB7)이,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hCD3e 결합 능력을 복구시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ELISA 데이터는 MMP14로 절단 후 프로 항-hCD3 (AAB7)이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것 보다 10배 초과로 강하게 코팅된 hCD3e에 결합함을 보여준다.
[0088] 도 9는 프로 항-hCTLA4(AAB7)이,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항원 결합 능력을 복구시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유동 세포측정-기반 결합 검정 데이터는 MMP14로 절단 후 프로 항-hCTLA4(AAB7)가 양성 대조군 만큼 강하에 hCTLA4 발현 세포에 결합함을 보여주고,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은 거의 결합이 없음을 보여준다.
[0089] 도 10은 프로 항-hCD3(AAB7)이,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T 세포 활성화를 자극하는 능력을 복구시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리포터 T 세포 활성화 검정 데이터는 MMP14로 절단 후 프로 항-hCD3 (AAB7)이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것 보다 20배 초과로 강하게 T 세포 활성화를 자극함을 보여준다. T 세포 활성화 수준은 루시퍼라제 생성을 통해 측정된다.
[0090] 도 11은 이특이적 프로 항-hCD3(AAB8)이,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T 세포 활성화를 자극하는 능력을 복구시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리포터 T 세포 활성화 검정 데이터는 MMP14로 절단 후 이특이적 프로 항-hCD3 (AAB8)-항-hPD-L1이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것 보다 20배 초과로 강하게 T 세포 활성화를 자극함을 보여준다. T 세포 활성화 수준은 루시퍼라제 생성을 통해 측정된다.
[0091] 도 12는 이특이적 프로 항-hCD3(AAB8)-항-CLDN18.2 ScFv가,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T 세포 활성화를 자극하는 능력을 복구시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리포터 T 세포 활성화 검정 데이터는 MMP14로 절단 후 이특이적 프로 항-hCD3 (AAB8)-항-CLDN18.2 ScFv가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것 보다 20배 초과로 강하게 T 세포 활성화를 자극함을 보여준다. T 세포 활성화 수준은 루시퍼라제 생성을 통해 측정된다.
[0092] 도 13은 이특이적 프로 항-hCD3(AAB8)-프로 항-hPD-L1이,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PBMC에서 T 세포 활성화를 자극하는 능력을 복구시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MMP14로 절단 후 이특이적 프로 항-hCD3 (AAB8)-프로 항-hPD-L1은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의 것 보다 20배 초과로 강하게 PBMC에서 T 세포 활성화를 자극한다. T 세포 활성화 수준은 IFN-감마 생성을 통해 측정된다.
[0093] 도 14는 프로 항-hCTLA4(AAB1)-Fc가, 링커가 MMP14로 절단된 후 항원 결합 능력을 복구시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유동 세포측정-기반 결합 검정 데이터는 MMP14로 절단 후 프로 항-hCTLA4(AAB1)-Fc가 양성 대조군 만큼 강하에 hCTLA4 발현 세포에 결합함을 보여주고, 절단되지 않은 단백질은 거의 결합이 없음을 보여준다.
[0094] 본 명세서에 논의된 임의의 구현예는 본 발명의 임의의 방법, 키트, 시약 또는 조성물과 관련하여 구현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고려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방법을 성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95] 본원에 기재된 특정 구현예는 본 발명의 제한이 아니라 예시의 방식으로 도시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구현예에서 사용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단지 일상적인 실험만을 이용하여 본원에 구체적으로 기재된 특정 구현예에 대한 다양한 균등물을 인지할 것이거나, 또는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0096] 본원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공보 및 특허 출원들은 본 발명이 속한 당업자들의 기술 수준을 나타낸다. 모든 공보 및 특허 출원은 본원에서 각각의 개별 공보 또는 특허 출원이 구체적으로 및 개별적으로 참조로 인용되는 것으로 지적되는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0097] 청구항 및/또는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하는”과 연계하여 사용되는 경우 용어 “a” 또는 “an”의 사용은 “하나”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것은 또한 “하나 이상”,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초과”의 의미와 일치한다. 청구항에서 "또는" 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그것이 명시적으로 대안만을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명세서가 대안 및 "및/또는"만을 언급하는 정의를 뒷받침하고 있더라도 그 대안이 상호 배타적이지 않는 한 "및/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출원 전반에 걸쳐, “약” 이라는 용어는 어떠한 값이 해당 장치, 그 값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에 대한 고유의 오차 변화, 또는 해당 연구 대상들 간에 존재하는 변화를 포함함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0098]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포함하는” (및 포함하는의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포함한다(comprise)” 및 “포함한다(comprises)”), “갖는(having)” (및 갖는의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갖는다(have)” 및 “갖는다(has)”), “포함하는 (including)” (및 포함하는의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포함한다(includes)” 및 “포함한다(include)”) 또는 “함유하는(containing)” (및 함유하는의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함유한다(contains)” 및 “함유한다(contain)”)는 포괄적이거나 개방형(open-ended)이고 추가의 언급되지 않은 특징, 요소, 그룹, 정수 및/또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른 언급되지 않은 특징, 요소, 성분, 그룹, 정수 및/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조성물 및 방법의 구현예에서, "포함하는"은 "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또는 "로 이루어진"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이루어진”은 언급된 정수 (예를 들어, 특징, 요소, 특성, 성질, 방법/처리 단계 또는 제한) 또는 정수 그룹 (예를 들어, 특징(들), 요소(들), 특성(들), 성질(들), 방법/처리 단계 또는 제한(들))만의 존재를 지적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진"이라는 문구는 명시된 특징, 요소, 성분, 그룹, 정수 및/또는 단계를 요구하지만, 언급되지 않은 다른 특징, 요소, 성분, 그룹, 정수 및/또는 단계 및 청구된 발명의 기본적이고 신규한 특성(들) 및/또는 기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0099]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또는 이들의 조합"은 용어 앞에 나열된 항목의 모든 순열 및 조합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A, B, C, 또는 이의 조합”은 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A, B, C, AB, AC, BC, 또는 ABC, 및 특정 문단에서 순서가 중요한 경우, 또한 BA, CA, CB, CBA, BCA, ACB, BAC, 또는 CAB. 상기 예를 계속하면 BB, AAA, AB, BBC, AAABCCCC, CBBAAA, CABABB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항목 또는 용어의 반복을 포함하는 조합이 명시적으로 포함된다. 당업자는 달리 문맥에서 명백하지 않은 경우 전형적으로 항목 및 임의의 조합된 항목의 수에 제한이 없음을 이해할 것이다.
[00100]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약", "실질적인" 또는 "실질적으로"와 같은 근사 단어는 제한 없이 그렇게 수정될 때 절대적이거나 완전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은 상태가 존재하는 것으로 지정하는 것을 보증한다. 기재가 변경될 수 있는 정도는 변경이 얼마나 크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따라 달라지며 여전히 당업자가 수정되지 않은 특징의 요구되는 특성 및 능력을 갖는 것으로 수정된 특징을 인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러나 이전의 논의에 따라 "약"과 같은 근사 단어로 수정된 여기의 숫자 값은 명시된 값과 적어도 ±1, 2, 3, 4, 5, 6, 7, 10, 12 또는 15%만큼 다를 수 있다.
[00101] 본원에 개시되고 청구된 모든 조성물 및/또는 방법들은 본원 개시내용의 관점에서 과도한 실험없이도 고안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바람직한 구현예의 관점에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당업계의 개념, 의미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들을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과 방법들, 상기 방법의 단계들 또는 상기 방법 단계들의 순서에 적용할 수 있다는 사실은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이러한 모든 유사한 대체물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의미, 범위 및 개념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00102] 특허청 및 본 출원에 대해 발행된 특허 독자가 여기에 첨부된 청구범위를 해석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출원인은 첨부된 청구범위가 35 U.S.C. § 112, U.S.C. § 112 단락 (f), 또는 "을 위한 수단" 또는 "을 위한 단계"라는 단어가 특정 청구범위에서 명시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한, 출원일에 존재하는 이와 동등한 것임을 주지시키고 싶다.
[00103] 각각의 청구항에 대해, 각각의 종속항은 독립항과 선행 청구항이 청구항 용어 또는 선행에 대한 적당한 선행 기준을 제공하는 한 각각의 모든 청구항에 대한 각각의 선행 종속항에 의존할 수 있다.
SEQUENCE LISTING <110> TSENG, KUO-FU <120> PRO-ANTIBODY THAT REDUCES OFF-TARGET TOXICITY <130> AEBI:2000WO <140> PCT/US2021/013688 <141> 2021-01-15 <150> 62/962,555 <151> 2020-01-17 <160> 3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47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 Met Ile Asn Glu Phe Ser Ser Leu Ala Gly Ala Gln Arg Gln Arg Leu 1 5 10 15 Leu Gly Val Val Val Val Gln Ser Leu Val His His Gly Ala Ala Lys 20 25 30 His Val Ala Leu Leu Pro Ser Ala Leu Val His Cys Gln Ile Ala Ser 35 40 45 Glu Ser Lys Ala Ala Val Gly Ile Gln His Gly His Gly Gly Leu Val 50 55 60 Val Val Leu Gly Leu Ala Val Ala Phe Pro Phe His Gly Asp Ile Ala 65 70 75 80 Arg Val Glu Ala Leu His Gln Thr Ala Gln Arg His Leu Ile Leu Gly 85 90 95 Gln Leu Val Ser Ala Gly Arg Leu Gly Val His Leu Arg Leu Pro Arg 100 105 110 Leu Ala Phe Gly Leu Ala Asp Gly Leu Leu Asn Gly Gly Gly Gln Ser 115 120 125 Leu Val Gly Asp Leu Ala Leu Val Leu Leu Ala Val Glu Pro Val Leu 130 135 140 Val Gln His Gly Gln His Gly His His Ser Ile Cys Gly Val Val Leu 145 150 155 160 Leu Leu Ser Gly Leu Gly Phe Gly Val Val His Phe Asp Ala Val His 165 170 175 Val Pro Val Lys Leu His Leu Gly Val Leu Met Ala Asp Val His His 180 185 190 His Ala Cys His Leu Gly Cys Ser Arg Asp His Gln Cys Ile Leu Gly 195 200 205 Phe Gly Arg Glu Gln Lys His Gly Arg Ser Ala Gln Gln Phe Gly Ser 210 215 220 Arg Thr Ala Arg Asn Arg Tyr His Arg Ala Leu Thr Pro Ile Val Glu 225 230 235 240 Val Ala Gly Leu Thr Arg Thr Val Ile Ser Arg Gly Val Leu Gly Gly 245 250 255 Tyr Arg Val Asn Leu Gln Lys Glu Leu Val Phe Arg Gly Val Thr Gly 260 265 270 Asp Arg Asp Thr Arg Phe Asp Arg Arg Val Val Ile Gly Arg Thr Phe 275 280 285 Ile Ile Asp Glu Thr His Pro Phe Asn Phe Leu Thr Trp Glu Leu Thr 290 295 300 Asp Pro Ile Pro Thr Ile Thr Gly Gly Asp Gly Gly Ala Gly Asn Arg 305 310 315 320 Ala Arg Gln Ala Glu Arg Thr Gly Arg Ile Asn Gln Thr Arg Thr Arg 325 330 335 Phe Phe Gln Phe Tyr Leu Ser Ala Tyr Val Leu Thr Pro Pro Phe Asp 340 345 350 Phe Gln Leu Gly Ala Arg Thr Glu Arg Val Arg Ile Val Val Pro Leu 355 360 365 Leu Ala Val Val Lys Arg Leu Val Phe Val Leu Asn Arg Arg Asn Gly 370 375 380 Gln Arg Glu Val Gly Thr Arg Ala Arg Thr Thr Glu Thr Val Arg Asn 385 390 395 400 Ala Gly Val Thr Gly Arg Arg Val Val Asp Gln Gln Phe Arg Arg Leu 405 410 415 Thr Arg Leu Leu His Val Pro Ile Gln Ile Val Gly Phe Arg Val Arg 420 425 430 Val Glu Gln Ala Leu Arg Ala Phe Ala Arg Asp Gly Arg Phe Phe Thr 435 440 445 Arg Arg His Ala Gln Arg Arg Trp Arg Leu Gly His His Asn Val Ser 450 455 460 Gly Gly Thr Trp Asn Pro Glu Gln Gln Tyr Pro 465 470 475 <210> 2 <211> 70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2 Met Glu Thr Asp Thr Leu Leu Leu Trp Val Leu Leu Leu Trp Val Pro 1 5 10 15 Gly Ser Thr Gly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Asp Ser Leu Ala 20 25 30 Val Ser Leu Gly Glu Arg Ala Thr Ile Ser Cys Lys Ser Ser Gln Ser 35 40 45 Leu Leu Asn Ser Gly Asn Gln Lys Asn Tyr Leu Thr Trp Tyr Gln Gln 50 55 60 Lys Pro Gly Gln Pro Pro Lys Leu Leu Ile Tyr Trp Ala Ser Thr Arg 65 70 75 80 Glu Ser Gly Val Pro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85 90 95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Ala Glu Asp Val Ala Val Tyr 100 105 110 Tyr Cys Gln Asn Asp Tyr Phe Tyr Pro Phe Thr Phe Gly Gln Gly Thr 115 120 125 Lys Leu Glu Ile Lys Arg Thr Val Ala Ala Pro Ser Val Phe Ile Phe 130 135 140 Pro Pro Ser Asp Glu Gln Leu Lys Ser Gly Thr Ala Ser Val Val Cys 145 150 155 160 Leu Leu Asn Asn Phe Tyr Pro Arg Glu Ala Lys Val Gln Trp Lys Val 165 170 175 Asp Asn Ala Leu Gln Ser Gly Asn Ser Gln Glu Ser Val Thr Glu Gln 180 185 190 Asp Ser Lys Asp Ser Thr Tyr Ser Leu Ser Ser Thr Leu Thr Leu Ser 195 200 205 Lys Ala Asp Tyr Glu Lys His Lys Val Tyr Ala Cys Glu Val Thr His 210 215 220 Gln Gly Leu Ser Ser Pro Val Thr Lys Ser Phe Asn Arg Gly Glu Cys 225 230 235 240 Gly Ser Ser Gly Arg Ser Glu Asn Ile Arg Thr Ala Gly Gly Ser Gln 245 250 255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Ser Ser 260 265 270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Ala Phe Ser Asn Tyr Leu 275 280 285 Ile Glu Trp Val Lys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Gly 290 295 300 Leu Ile Asn Pro Gly Ser Gly Gly Thr Asn Tyr Asn Glu Lys Phe Lys 305 310 315 320 Gly Lys Ala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Met 325 330 335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340 345 350 Arg Val Tyr Tyr Gly Asn Ser Phe Ala Tyr Trp Gly Gln Gly Thr Leu 355 360 365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Leu 370 375 380 Ala Pro Ser Ser Lys Ser Thr Ser Gly Gly Thr Ala Ala Leu Gly Cys 385 390 395 400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Ser 405 410 415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Ser 420 425 430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Ser 435 440 445 Leu Gly Thr Gln Thr Tyr Ile Cys Asn Val Asn His Lys Pro Ser Asn 450 455 460 Thr Lys Val Asp Lys Arg Val Glu Pro Lys Ser Cys Asp Lys Thr His 465 470 475 480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Leu Leu Gly Gly Pro Ser Val 485 490 495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500 505 510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Glu 515 520 525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530 535 540 Thr Lys Pro Arg Glu Glu Gln Tyr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545 550 555 560 Val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565 570 575 Cys Lys Val Ser Asn Lys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Ile 580 585 590 Ser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595 600 605 Pro Ser Arg Asp Glu Leu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610 615 620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625 630 635 640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645 650 655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660 665 670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675 680 685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690 695 700 <210> 3 <211> 96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 Met Glu Thr Asp Thr Leu Leu Leu Trp Val Leu Leu Leu Trp Val Pro 1 5 10 15 Gly Ser Thr Gly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Asp Ser Leu Ala 20 25 30 Val Ser Leu Gly Glu Arg Ala Thr Ile Ser Cys Lys Ser Ser Gln Ser 35 40 45 Leu Leu Asn Ser Gly Asn Gln Lys Asn Tyr Leu Thr Trp Tyr Gln Gln 50 55 60 Lys Pro Gly Gln Pro Pro Lys Leu Leu Ile Tyr Trp Ala Ser Thr Arg 65 70 75 80 Glu Ser Gly Val Pro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85 90 95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Ala Glu Asp Val Ala Val Tyr 100 105 110 Tyr Cys Gln Asn Asp Tyr Phe Tyr Pro Phe Thr Phe Gly Gln Gly Thr 115 120 125 Lys Leu Glu Ile Lys Arg Thr Val Ala Ala Pro Ser Val Phe Ile Phe 130 135 140 Pro Pro Ser Asp Glu Gln Leu Lys Ser Gly Thr Ala Ser Val Val Cys 145 150 155 160 Leu Leu Asn Asn Phe Tyr Pro Arg Glu Ala Lys Val Gln Trp Lys Val 165 170 175 Asp Asn Ala Leu Gln Ser Gly Asn Ser Gln Glu Ser Val Thr Glu Gln 180 185 190 Asp Ser Lys Asp Ser Thr Tyr Ser Leu Ser Ser Thr Leu Thr Leu Ser 195 200 205 Lys Ala Asp Tyr Glu Lys His Lys Val Tyr Ala Cys Glu Val Thr His 210 215 220 Gln Gly Leu Ser Ser Pro Val Thr Lys Ser Phe Asn Arg Gly Glu Cys 225 230 235 240 Gly Ser Ser Gly Arg Ser Glu Asn Ile Arg Thr Ala Gly Gly Ser Gln 245 250 255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Ser Ser 260 265 270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Ala Phe Ser Asn Tyr Leu 275 280 285 Ile Glu Trp Val Lys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Gly 290 295 300 Leu Ile Asn Pro Gly Ser Gly Gly Thr Asn Tyr Asn Glu Lys Phe Lys 305 310 315 320 Gly Lys Ala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Met 325 330 335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340 345 350 Arg Val Tyr Tyr Gly Asn Ser Phe Ala Tyr Trp Gly Gln Gly Thr Leu 355 360 365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Leu 370 375 380 Ala Pro Ser Ser Lys Ser Thr Ser Gly Gly Thr Ala Ala Leu Gly Cys 385 390 395 400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Ser 405 410 415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Ser 420 425 430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Ser 435 440 445 Leu Gly Thr Gln Thr Tyr Ile Cys Asn Val Asn His Lys Pro Ser Asn 450 455 460 Thr Lys Val Asp Lys Arg Val Glu Pro Lys Ser Cys Asp Lys Thr His 465 470 475 480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Ala Ala Gly Gly Pro Ser Val 485 490 495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500 505 510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Glu 515 520 525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530 535 540 Thr Lys Pro Arg Glu Glu Gln Tyr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545 550 555 560 Val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565 570 575 Cys Lys Val Ser Asn Lys Ala Leu Gly Ala Pro Ile Glu Lys Thr Ile 580 585 590 Ser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595 600 605 Pro Ser Arg Asp Glu Leu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610 615 620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625 630 635 640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645 650 655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660 665 670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675 680 685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Gly 690 695 700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705 710 715 720 Gly Gly Ser Gln Ile Val Leu Thr Gln Ser Pro Ala Ile Met Ser Ala 725 730 735 Ser Pro Gly Glu Lys Val Thr Met Thr Cys Ser Ala Ser Ser Ser Val 740 745 750 Ser Tyr Met Asn Trp Tyr Gln Gln Lys Ser Gly Thr Ser Pro Lys Arg 755 760 765 Trp Ile Tyr Asp Thr Ser Lys Leu Ala Ser Gly Val Pro Ala His Phe 770 775 780 Arg Gly Ser Gly Ser Gly Thr Ser Tyr Ser Leu Thr Ile Ser Gly Met 785 790 795 800 Glu Ala Glu Asp Ala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rp Ser Ser Asn 805 810 815 Pro Phe Thr Phe Gly Ser Gly Thr Lys Leu Glu Ile Asn Gly Gly Gly 820 825 830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n Val Gln Leu 835 840 845 Gln Gln Ser Gly Ala Glu Leu Ala Arg Pro Gly Ala Ser Val Lys Met 850 855 860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Arg Tyr Thr Met His Trp 865 870 875 880 Val Lys Gln Arg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Gly Tyr Ile Asn 885 890 895 Pro Ser Arg Gly Tyr Thr Asn Tyr Asn Gln Lys Phe Lys Asp Lys Ala 900 905 910 Thr Leu Thr Thr Asp Lys Ser Ser Ser Thr Ala Tyr Met Gln Leu Ser 915 920 925 Ser Leu Thr Ser Glu Asp Ser Ala Val Tyr Tyr Cys Ala Arg Tyr Tyr 930 935 940 Asp Asp His Tyr Cys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Thr Leu Thr 945 950 955 960 Val Ser Ser

Claims (70)

  1. 제1 가변 경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경쇄;
    절단가능한 링커;
    제1 가변 중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중쇄의 구조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체(aAb)로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는 제1 경쇄 및 제1 중쇄가 제1 항원에 대한 제1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고;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의 절단은 제1 중쇄를 방출하여 제1 항원에 결합하는 제1 항원 결합 부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체 (aAb).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Ab가 제2 항원에 결합하는 제1 중쇄에 연결된 제2 가변 경쇄 및 제2 불변 경쇄에 의해 형성된 제2 항체 결합 부위, 및 임의로 제2 가변 경쇄와 제2 불변 경쇄 사이에 가요성의 절단 가능하지 않은 링커를 추가로 포함하는, aAb.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Ab가 제1 불변 중쇄 영역, 제1 불변 중쇄 영역 또는 둘다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aAb.
  4. 제1항에 있어서, 제1 경쇄 영역, 제1 중쇄 영역, 또는 둘다가 Fc 영역, 야생형 Fc 영역, 돌연변이된 Fc 영역, 단량체성 야생형 Fc 영역, 단량체성 돌연변이체 Fc 영역, 이량체 야생형 Fc 영역, 또는 이량체 돌연변이체 Fc 영역, 제2 가변 중쇄 영역 및 제2 Fc 영역, 또는 제2 가변 중쇄 영역 및 제2 Fc 영역 및 절단가능하지 않은 가요성 링커 및 제2 가변 경쇄 영역 및 제2 중쇄 가변 영역, 또는 제2 Fc 영역 및 절단가능하지 않은 가요성 링커 및 사이토킨을 추가로 포함하는, aAb.
  5.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항원이 동일한 항원이거나; 제1 및 제2 항원이 상이하거나; 제1 및 제2 항원이 동일한 항원이지만, 제1 항원 결합 부위 및 제2 항원 결합 부위가 동일한 항원의 상이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aAb.
  6. 제2항에 있어서, 제1 항원 결합 부위 또는 제2 항원 결합 부위가 종양 표적에 결합하는, aAb.
  7. 제2항에 있어서, 제1 항원이 ICAM1; VCAM1; EpCAM; 피브로넥틴의 추가 도메인 B; 흑색종 관련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MCSP); 흑색종 관련 프로테오글리칸(MAPG); 고분자량 흑색종 관련 항원(HMV-MAA); 전립선 특이적 막 항원(PSMA);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EGFR); 간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HGFR); 섬유아세포 활성화 단백질(FAP); 암배아 항원(CEA); 세포 접착 분자(CAM); 사람 B-세포 성숙화 표적(BCMA); 태반 성장 인자(PLGF); 폴레이트 수용체,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수용체(ILGFR); CD133; CD40; CD37; CD33; CD30; CD28; CD24; CD23; CD22; CD21; CD20; CD19; CD13; CD10; HER3; HER2; 비근육 미오신 중쇄 A형(nmMHCA); 트랜스페린; 상피 세포 접착 분자(EpCAM); 어넥신 A1; 뉴클레오틴, 테나신,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수용체 1(VEGFR1),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수용체 2 (VEGFR-2); 아미노펩티다제 N, 타이-1, 타이-2, 또는 c-Met로부터 선택되는 조직 특이적 표면 항원인, aAb.
  8. 제2항에 있어서, 제1 항원이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 단백질의 일부 또는 펩타이드로부터 선택되는, aAb: ABCF1; ACVR1; ACVR1B; ACVR2; ACVR2B; ACVRL1; ADORA2A; 아그레칸; AGR2; AICDA; AIF1; AIG1; AKAP1; AKAP2; AMH; AMHR2; ANGPT1; ANGPT2; ANGPTL3; ANGPTL4; ANPEP; APC; APOC1; AR; AZGP1; B7.1; B7.2; BAD; BAFF; BAG1; BAI1; BCL2; BCL6; BDNF; BLNK; BLR1 (MDR15); BlyS; BMP1; BMP2; BMP3B (GDF10); BMP4; BMP6; BMP8; BMPR1A; BMPR1B; BMPR2; BPAG1 (플렉틴); BRCA1; C19orfl0 (IL27w); C3; C4A; C5; C5R1; CANT1; CASP1; CASP4; CAV1; CCBP2 (D6/JAB61); CCL1 (1-309); CCL11 (에오탁신); CCL13 (MCP-4); CCL15 (MIP-1d); CCL16 (HCC-4); CCL17 (TARC); CCL18 (PARC); CCL19 (MIP-3b); CCL2 (MCP-1); MCAF; CCL20 (MIP-3a); CCL21 (MIP-2); SLC; 엑소더스-2; CCL22 (MDC/STC-1); CCL23 (MPIF-1); CCL24 (MPIF-2/에오탁신-2); CCL25 (TECK); CCL26 (에오탁신-3); CCL27 (CTACK/ILC); CCL28; CCL3 (MIP-la); CCL4 (MIP-lb); CCL5 (RANTES); CCL7 (MCP-3); CCL8 (mcp-2); CCNA1; CCNA2; CCND1; CCNE1; CCNE2; CCR1 (CKR1/HM145); CCR2 (mcp-lRB/RA); CCR3 (CKR3/CMKBR3); CCR4; CCR5 (CMKBR5/ChemR 13); CCR6 (CMKBR6/CKR-L3/STRL22/DRY6); CCR7 (CKR7/EBI1); CCR8 (CMKBR8/TER1/CKR-L1); CCR9 (GPR-9-6); CCRL1 (VSHK1); CCRL2 (L-CCR); CD164; CD19; CD1C; CD20; CD200; CD-22; CD24; CD28; CD3; CD37; CD38; CD3E; CD3G; CD3Z; CD4; CD40; CD40L; CD44; CD45RB; CD52; CD69; CD72; CD74; CD79A; CD79B; CD8; CD80; CD81; CD83; CD86; CDH1 (E-캐드헤린); CDH10; CDH12; CDH13; CDH18; CDH19; CDH20; CDH5; CDH7; CDH8; CDH9; CDK2; CDK3; CDK4; CDK5; CDK6; CDK7; CDK9; CDKN1A (p21Wapl/Cipl); CDKNIB (p27Kipl); CDKNIC; CDKN2A (pl6INK4a); CDKN2B; CDKN2C; CDKN3; CEBPB; CER1; CHGA; CHGB; 키티나제; CHST10; CKLFSF2; CKLFSF3; CKLFSF4; CKLFSF5; CKLFSF6; CKLFSF7; CKLFSF8; CLDN3; CLDN7 (클라우딘-7); CLN3; CXCLIO(IP-IO); CXCL11 (I-TAC/IP-9); CXCL12 (SDF1); CXCL13; CXCL14; CXCL16; CXCL2 (GR02); CXCL3 (GR03); CXCL5 (ENA-78/LIX); CXCL6 (GCP-2); CXCL9 (MIG); CXCR3 (GPR9/CKR-L2); CXCR4; CXCR6 (TYMSTR/STRL33/Bonzo); CYB5; CYC1; CYSLTR1; CGRP; Clq; Clr; CI;, C4a; C4b; C2a; C2b; C3a; C3b; DAB2IP; DES; DKFZp451J0118; DNCL1; DPP4; E-셀렉틴; E2F1; ECGF1; EDG1; EFNA1; EFNA3; EFNB2; EGF; EGFR; ELAC2; ENG; ENOl; EN02; EN03; EPHB4; EPO; ERBB2 (Her-2); EREG; ERK8; ESR1 ; ESR2; F3 (TF); 인자 VII; 인자 IX; 인자 V; 인자 Vila; 인자 X; 인자 XII; 인자 XIII; FADD; FasL; FASN; FCER1A; FCER2; Fc 감마 수용체; FCGR3A; FGF; FGFl (aFGF); FGF10; FGFll; FGF12; FGF12B; FGFl 3; FGFl 4; FGF16; FGFl 7; FGFl 8; FGF19; FGF2 (bFGF); FGF20; FGF21; FGF22; FGF23; FGF3 (int-2); FGF4 (HST); FGF5; FGF6 (HST-2); FGF7 (KGF); FGF8; FGF9; FGFR3; FIGF (VEGFD); FIL1 (EPSILON); FIL1 (ZETA); FLJ12584; FLJ25530; FLRTl (피브로넥틴); FLTl; FOS; FOSLl (FRA-1); FY (DARC); GABRP (GABAa); GAGEBl; GAGECl; GALNAC4S-6ST; GATA3; GDF5; GFIl; GGTl; GMCSF; GNAS1; GNRH1; GPR2 (CCR10); GPR31; GPR44; GPR81 (FKSG80); GRCC10 (CIO); GRP; GSN (겔솔린); GSTP1; 당단백질 (GP) Ilb/IIIa; HAVCR2; HDAC4; HDAC5; HDAC7A; HDAC9; Her2; HGF; ITGB4 (b 4 인테그린); JAG1; JAK1; JAK3; JUN; K6HF; KAI1; KDR; KITLG; KLF5 (GC Box BP); KLF6; KLK10; KLK12; KLK13; KLK14; KLK15; KLK3; KLK4; KLK5; KLK6; KLK9; KRT1; KRT19 (케라틴 19); KRT2A; KRTHB6 (모발 특이적 II형 케라틴); L-셀렉틴; LAMA5; LEP (렙틴); Lingo-p75; Lingo-Troy; LPS; LTA (TNF-b); LTB; LTB4R (GPR16); LTB4R2; LTBR; MACMARCKS; MAG 또는 Omgp; MAP2K7 (c-Jun); MDK; MIB 1; 미드킨; MIF; MIP-2; MKI67 (Ki-67); MMP2; MMP9; MS4A1; MSMB; MT3 (메탈로티오넥틴-III); MTSSl; MUCl (뮤신); MYC; MYD88; NCK2; 뉴로칸; NKG2D; NFKB1; NFKB2; NGF; NGFB (NGF); NGFR; NgR-Lingo; NgR-Nogo66 (Nogo); NgR-p75; NgR-Troy; NME1 (NM23A); NOX5; NPPB; NR0B1; NR0B2; NR1D1; NR1D2; NR1H2; NR1H3; NR1H4; NRII2; NRII3; NR2C1; NR2C2; NR2E1; NR2E3; NR2F1; NR2F2; NR2F6; NR3C1; NR3C2; NR4A1; NR4A2; NR4A3; NR5A1; NR5A2; NR6A1; NRP1; NRP2; NT5E; NTN4; ODZ1; OPRD1; P2RX7; PAP; PARTI; PATE; PAWR; PCA3; PCNA; PDGFA; PDGFB; PECAM1 ; PF4 (CXCL4); PGE2; PGF; PGR; 포스파칸; PIAS2; PIK3CG;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인자; PLAU (uPA); PLG; PLXDC1; PPBP (CXCL7); PPID; PR1; PRKCQ; PRKDl; PRL; PROC; 단백질 C; PROK2; PSAP; PSCA; PTAFR; PTEN; PTGS2 (COX-2); PTN; RAC2 (p21Rac2); RAGE; RARB; RGSl; RGS13; RGS3; RNFllO (ZNF144); ROB02; SI00A2; SCGB1D2 (리포필린 B); SCGB2A1 (맘마글로빈 2); SCGB2A2 (맘마글로빈 1); SCYE1 (내피 단핵구 활성화 사이토킨); SDF2; SERPINA1 ; SERPINA3; SERPINB5 (마스핀); SERPINE1 (PAI-1); SERPINF1; SHBG; SLA2; SLC2A2; SLC33A1; SLC43A1; SLIT2; SPP1; SPRR1B (Sprl); ST6GAL1; STAB1; STAT6; STEAP; STEAP2; 물질 P; TB4R2; TBX21; TCP10; TDGF1; TEK; TGFA; TGFB1; TGFB111; TGFB2; TGFB3; TGFBI; TGFBR1; TGFBR2; TGFBR3; TH1L; THBS1 (트롬보스폰딘-1); THBS2; THBS4; THPO; TIE (타이-1); TIMP3; 조직 인자; TLR10; TLR2; TLR3; TLR4; TLR5; TLR6; TLR7; TLR8; TLR9; TNF; TNF-a; TNFAIP2 (B94); TNFAIP3; TNFRSF11A; TNFRSF1A; TNFRSF1B; TNFRSF21; TNFRSF5; TNFRSF6 (Fas); TNFRSF7; TNFRSF8; TNFRSF9; TNFSFIO (TRAIL); TNFSF11 (TRANCE); TNFSF12 (AP03L); TNFSF13 (April); TNFSF13B; TNFSF14 (HVEML); TNFSF15 (VEGI); TNFSF18; TNFSF4 (OX40 리간드); TNFSF5 (CD40 리간드); TNFSF6 (FasL); TNFSF7 (CD27 리간드); TNFSF8 (CD30 리간드); TNFSF9 (4-1BB 리간드); TOLLIP; 톨 유사 수용체; TOP2A (토포이소머라제 Iia); TP53; TPM1; TPM2; TRADD; TRAF1; TRAF2; TRAF3; TRAF4; TRAF5; TRAF6; TREM1; TREM2; TRPC6; TSLP; TWEAK; 트롬보모듈린; 트롬빈; VEGF; VEGFB; VEGFC; 베르시칸; VHL C5; VLA-4; XCL1 (림포탁틴); XCL2 (SCM-lb); XCR1 (GPR5/CCXCR1); YY1; 및 ZFPM2.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 표적이 종양 표적화 항원, HER1, HER2, HER3, GD2, 암배아 항원 (CEA),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활성 돌연변이체 (EGFRVIII), CD133, 섬유아세포 활성화 단백질 알파 (FAP), 상피 세포 접착 분자 (Epcam), 글리피칸 3 (GPC3), EPH 수용체 A4 (EphA), 티로신-단백질 키나제 Met (cMET), IL-13Ra2, 마이크로솜 에폭사이드 하이드롤라제 (mEH), MAGE, 메소텔린, MUC16, MUC1, 전립선 줄기 세포 항원 (PSCA), 빌름스 종양-1 (WT-1), 또는 클라우딘 계열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는, aAb.
  10. 제2항에 있어서, 제1 항원 결합 부위 또는 제2 항원 결합 부위가 T 세포 마커에 결합하는, aAb.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T-세포 마커가 CTLA-4, PD-1, Lag3, S15, B7H3, B7H4, TCR-알파, TCR-베타 또는 TIM-3으로부터 선택되는, aAb.
  12. 제2항에 있어서, 제1 항원 결합 부위 또는 제2 항원 결합 부위가 T 세포 활성화인자에 결합하는, aAb.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T-세포 활성화인자가 CD3, 41BB 또는 OX40으로부터 선택되는, aAb.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가 프로테아제 절단가능한 링커인, aAb.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가 종양 관련 프로테아제: MMP1, MMP2, MMP3, MMP7, MMP9, MMP10, MMP11, MMP12, MMP13, MMP14, MMP15, MMP16, MMP17, MMP19, MMP20, MMP21, uPA, FAPa, 또는 카뎁신 B에 의해 절단되는, aAb.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가 아폽토시스 또는 염증 관련 반응 동안에 상향조절된 프로테아제에 의해 절단되는, aAb.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가 카스파제에 의해 절단되는, aAb.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카스파제가 카스파제 1, 카스파제 2, 카스파제 3, 카스파제 4, 카스파제 5, 카스파제 6, 카스파제 7, 카스파제 8, 카스파제 9, 카스파제 10, 카스파제 11 또는 카스파제 12인, aAb.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가 항원 결합 부위를 차폐시키지 않는, aAb.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Ab에 접합된 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aAb.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Ab 또는 Fc 영역에 부착되거나 이들과 융합 단백질로 있는 사이토킨을 추가로 포함하는, aAb.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토킨이 성장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티록신; 인슐린; 프로인슐린; 렐락신; 프로렐락신; 당단백질 호르몬; 간 성장 인자;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프롤락틴; 태반 락토겐; TNF-a; 뮬레리안-억제 물질; 고나도트로핀-관련 펩타이드; 인히빈; 액티빈;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인테그린; 트롬보포이에틴 (TPO); 신경 성장 인자; 혈소판-성장 인자; 태반 성장 인자, 형질전환 성장 인자 (TGF);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 및 -11; 에리트로포이에틴 (EPO); 골유도성 인자; 인터페론; 콜로니 자극 인자 (CSF); 림프독소-알파; 림프독소-베타; CD27L; CD30L; FASL; 4-1 BBL; OX40L; TRAIL; IL-1; IL-2; IL-3; IL-4; IL-5; IL-6; IL-7; IL-8; IL-9; IL-10; IL-11; IL-12; IL-13; IL-15; IL-18; IL-21; IL-22; IL-23; IL-33; IFN-a; IFN-b; IFN-g; IFN-g 유도 인자 (IGIF); 골 형태유전학적 단백질 (BMP); 백혈병 억제 인자(LIF); 또는 키트 리간드 (KL)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aAb.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Ab가 서열번호 1, 2 또는 3으로부터 선택되는 서열을 갖는, aAb.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가 독소 또는 이의 독성 단편; 미소관 억제제; 핵산 손상제; 검출 가능한 모이어티; 또는 진단학적 제제 중 적어도 하나인. aAb.
  25. 제1항의 활성화가능한 Ab 및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6. 제1항의 유효량의 항체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상 조직에 대한 항체의 결합 활성을 감소시키고 암세포를 표적화하는, 방법.
  27. 제1항의 유효량의 항체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의 치료, 암의 증상 완화 또는 암의 진행 지연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절단가능한 링커를 절단하는 효소를 발현하는 암인,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방광암, 골암, 유방암, 카르시노이드, 자궁경부암, 결장암, 자궁내막암, 신경교종, 두경부암, 간암, 폐암, 림프종, 흑색종, 난소암, 췌장암, 전립선암, 신장암, 육종, 피부암, 위암, 고환암, 갑상선암, 비뇨생식기암, 또는 요로상피암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급성 골수성 백혈병, 부신피질 암종, B-세포 림프종, 방광 요로상피 암종, 유방관 암종, 유방 소엽 암종, 식도 암종,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CRPC), 자궁경부 암종, 담관 암종, 만성 골수성 백혈병, 결장직장 선암종, 결장직장암(CRC), 식도 암종, 위 선암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두경부 편평세포 암종, 호지킨 림프종/원발성 종격동 B 세포 림프종, 간세포 암종(HCC), 콩팥 발색성 암종, 콩팥 투명 세포 암종, 콩팥 유두 세포 암종, 저등급 신경교종, 폐 선암종, 폐 수성 세포 암종, 흑색종(MEL), 중피종, 비편평 NSCLC, 난소 장액성 선암종, 췌장관 선암종, 부신경절종 및 갈색세포종, 전립선 선암종, 신세포암종(RCC), 육종, 표피 피부 흑색종, 두경부의 편평 세포 암종, T 세포 림프종, 흉선종, 갑상선 유두 암종, 자궁 암육종, 자궁 체내막양 암종 및 포도막 흑색종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1. 제1 가변 경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경쇄;
    절단가능한 링커;
    제1 가변 중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중쇄의 구조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체(aAb)로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는 제1 경쇄 및 제1 중쇄가 제1 항원에 대한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고;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의 절단은 제1 중쇄를 방출하여 제1 항원에 결합하는 제1 경쇄와 항체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체 (aAb).
  32. 제31항에 있어서, 각각 제1 불변 경쇄 영역 또는 제1 불변 중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aAb.
  33. 제31항에 있어서, 제1 불변 중쇄 영역에 부착된 Fc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Fc 영역이 Fc 수용체 결합을 변형시키는 야생형 또는 돌연변이체 도메인인, aAb.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aAb가 제2 항원에 결합하는 제1 중쇄에 연결된 제2 가변 경쇄 및 제2 불변 경쇄에 의해 형성된 제2 항체 결합 부위, 및 임의로 제2 가변 경쇄와 제2 불변 경쇄 사이에 가요성의 절단 가능하지 않은 링커를 추가로 포함하는, aAb.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aAb가 제1 불변 중쇄 영역, 제1 불변 중쇄 영역 또는 둘다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aAb.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Fc 영역이 야생형 Fc 영역, 돌연변이된 Fc 영역, 단량체성 야생형 Fc 영역, 단량체성 돌연변이체 Fc 영역, 이량체 야생형 Fc 영역, 또는 이량체 돌연변이체 Fc 영역, 제2 가변 중쇄 영역 및 제2 Fc 영역, 또는 제2 가변 중쇄 영역 및 제2 Fc 영역 및 절단가능하지 않은 가요성 링커 및 제2 가변 경쇄 영역 및 제2 중쇄 가변 영역, 또는 제2 Fc 영역 및 절단가능하지 않은 가요성 링커 및 사이토킨인, aAb.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aAb 또는 Fc 영역에 부착되거나 이들과 융합 단백질로 있는 사이토킨을 추가로 포함하는, aAb.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토킨이 성장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티록신; 인슐린; 프로인슐린; 렐락신; 프로렐락신; 당단백질 호르몬; 간 성장 인자;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프롤락틴; 태반 락토겐; TNF-알파; 뮬레리안-억제 물질; 고나도트로핀 관련 펩타이드; 인히빈; 액티빈;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인테그린; 트롬보포이에틴 (TPO); 신경 성장 인자; 혈소판 성장 인자; 태반 성장 인자, 형질전환 성장 인자 (TGF);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 및 -11; 에리트로포이에틴 (EPO); 골유도성 인자; 인터페론; 콜로니 자극 인자 (CSF); 림프독소-알파; 림프독소-베타; CD27L; CD30L; FASL; 4-1 BBL; OX40L; TRAIL; IL-1; IL-2; IL-3; IL-4; IL-5; IL-6; IL-7; IL-8; IL-9; IL-10; IL-11; IL-12; IL-13; IL-15; IL-18; IL-21; IL-22; IL-23; IL-33; IFN-a; IFN-베타; IFN-감마; IFN-감마 유도 인자 (IGIF); 골 형태유전학적 단백질 (BMP); 백혈병 억제 인자(LIF); 또는 키트 리간드 (KL)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aAb.
  39. 제31항에 있어서, 제1 항원이 ICAM1; VCAM1; EpCAM; 피브로넥틴의 추가 도메인 B; 흑색종 관련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MCSP); 흑색종 관련 프로테오글리칸(MAPG); 고분자량 흑색종 관련 항원(HMV-MAA); 전립선 특이적 막 항원(PSMA);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EGFR); 간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HGFR); 섬유아세포 활성화 단백질(FAP); 암배아 항원(CEA); 세포 접착 분자(CAM); 사람 B-세포 성숙화 표적(BCMA); 태반 성장 인자(PLGF); 폴레이트 수용체,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수용체(ILGFR); CD133; CD40; CD37; CD33; CD30; CD28; CD24; CD23; CD22; CD21; CD20; CD19; CD13; CD10; HER3; HER2; 비근육 미오신 중쇄 A형(nmMHCA); 트랜스페린; 상피 세포 접착 분자(EpCAM); 어넥신 A1; 뉴클레오틴, 테나신,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수용체 1(VEGFR1),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수용체 2 (VEGFR-2); 아미노펩티다제 N, 타이-1, 타이-2, 또는 c-Met로부터 선택되는 조직 특이적 표면 항원인, aAb.
  40. 제31항에 있어서, 제1 항원이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 단백질의 일부 또는 펩타이드로부터 선택되는, aAb: ABCF1; ACVR1; ACVR1B; ACVR2; ACVR2B; ACVRL1; ADORA2A; 아그레칸; AGR2; AICDA; AIF1 ; AIG1 ; AKAP1 ; AKAP2; AMH; AMHR2; ANGPT1; ANGPT2; ANGPTL3; ANGPTL4; ANPEP; APC; APOC1; AR; AZGP1 (아연-a-당단백질); B7.1; B7.2; BAD; BAFF; BAG1; BAI1; BCL2; BCL6; BDNF; BLNK; BLR1 (MDR15); BlyS; BMP1; BMP2; BMP3B (GDF10); BMP4; BMP6; BMP8; BMPR1A; BMPR1B; BMPR2; BPAG1 (플렉틴); BRCA1; C19orfl0 (IL27w); C3; C4A; C5; C5R1; CANT1; CASP1; CASP4; CAV1; CCBP2 (D6/JAB61); CCL1 (1-309); CCL11 (에오탁신); CCL13 (MCP-4); CCL15 (MIP-1d); CCL16 (HCC-4); CCL17 (TARC); CCL18 (PARC); CCL19 (MIP-3b); CCL2 (MCP-1); MCAF; CCL20 (MIP-3a); CCL21 (MIP-2); SLC; 엑소더스-2; CCL22 (MDC/STC-1); CCL23 (MPIF-1); CCL24 (MPIF-2/에오탁신-2); CCL25 (TECK); CCL26 (에오탁신-3); CCL27 (CTACK/ILC); CCL28; CCL3 (MIP-la); CCL4 (MIP-lb); CCL5 (RANTES); CCL7 (MCP-3); CCL8 (mcp-2); CCNA1; CCNA2; CCND1; CCNE1; CCNE2; CCR1 (CKR1/HM145); CCR2 (mcp-lRB/RA); CCR3 (CKR3/CMKBR3); CCR4; CCR5 (CMKBR5/ChemR13); CCR6 (CMKBR6/CKR-L3/STRL22/DRY6); CCR7 (CKR7/EBI1); CCR8 (CMKBR8/TER1/CKR-L1); CCR9 (GPR-9-6); CCRL1 (VSHK1); CCRL2 (L-CCR); CD164; CD19; CD1C; CD20; CD200; CD-22; CD24; CD28; CD3; CD37; CD38; CD3E; CD3G; CD3Z; CD4; CD40; CD40L; CD44; CD45RB; CD52; CD69; CD72; CD74; CD79A; CD79B; CD8; CD80; CD81; CD83; CD86; CDH1 (E-캐드헤린); CDH10; CDH12; CDH13; CDH18; CDH19; CDH20; CDH5; CDH7; CDH8; CDH9; CDK2; CDK3; CDK4; CDK5; CDK6; CDK7; CDK9; CDKN1A (p21Wapl/Cipl); CDKNIB (p27Kipl); CDKNIC; CDKN2A (pl6INK4a); CDKN2B; CDKN2C; CDKN3; CEBPB; CER1; CHGA; CHGB; 키티나제; CHST10; CKLFSF2; CKLFSF3; CKLFSF4; CKLFSF5; CKLFSF6; CKLFSF7; CKLFSF8; CLDN3; CLDN7 (클라우딘-7); CLN3; CXCLIO(IP-IO); CXCL11 (I-TAC/IP-9); CXCL12 (SDF1); CXCL13; CXCL14; CXCL16; CXCL2 (GR02); CXCL3 (GR03); CXCL5 (ENA-78/LIX); CXCL6 (GCP-2); CXCL9 (MIG); CXCR3 (GPR9/CKR-L2); CXCR4; CXCR6 (TYMSTR/STRL33/Bonzo); CYB5; CYC1; CYSLTR1; CGRP; Clq; CIR 단백질; CI; C4a; C4b; C2a; C2b; C3a; C3b; DAB2IP; DES; DKFZp451J0118; DNCL1; DPP4; E-셀렉틴; E2F1; ECGF1; EDG1; EFNA1; EFNA3; EFNB2; EGF; EGFR; ELAC2; ENG; ENOl; EN02; EN03; EPHB4; EPO; ERBB2 (Her-2); EREG; ERK8; ESR1; ESR2; F3 (TF); 인자 VII; 인자 IX; 인자 V; 인자 VIIa; 인자 X; 인자 XII; 인자 XIII; FADD; FasL; FASN; FCER1A; FCER2; Fc 감마 수용체; FCGR3A; FGF; FGFl (aFGF); FGF10; FGFll; FGF12; FGF12B; FGFl 3; FGFl 4; FGF16; Fgfl7; Fgfl 8; FGF19; FGF2 (bFGF); FGF20; FGF21; FGF22; FGF23; FGF3 (int-2); FGF4 (HST); FGF5; FGF6 (HST-2); FGF7 (KGF); FGF8; FGF9; FGFR3; FIGF (VEGFD); FIL1 (EPSILON); FIL1 (ZETA); FLJ12584; FLJ25530; FLRTl (피브로넥틴); FLTl; FOS; FOSLl (FRA-1); FY (DARC); GABRP (GABAa); GAGEBl; GAGECl; GALNAC4S-6ST; GATA3; GDF5; GFIl; GGTl; GMCSF; GNAS1; GNRH1; GPR2 (CCR10); GPR31; GPR44; GPR81 (FKSG80); GRCC10 (CIO); GRP; GSN (겔솔린); GSTP1; 당단백질 IIb; 당단백질 IIIa; HAVCR2; HDAC4; HDAC5; HDAC7A; HDAC9; Her2; HGF; HIF1A; HIP1; 히스타민 및 히스타민 수용체; HLA-A; HLA-DRA; HM74; HMGB1; HMOX1; HUMCYT2A; ICEBERG; ICOSL; ID2; IFN-알파; IFNA1; IFNA2; IFNA4; IFNA5; IFNA6; IFNA7; IFNB1; IFN-감마; IFNW1; IGBP1; IGF1; IGF1R; IGF2; IGFBP2; IGFBP3; IGFBP6; IL-1; IL1A ; IL1B; IL10; IL10RA; IL10RB; IL11; IL11RA; IL-12; IL12A; IL12B; IL12RB1; IL12RB2; IL13; IL13RA1; IL13RA2; IL14; IL15; IL15RA; IL16; IL17; IL17B; IL17C; IL17R; IL18; IL18BP; IL18R1; IL18RAP; IL19; ILIA; IL1B; IL1F10; IL1F5; IL1F6; IL1F7; IL1F8; IL1F9; IL1HY1; IL1R1; IL1R2; IL1RAP; IL1RAPL1; IL1RAPL2; IL1RL1; IL1RL2; IL1RN; IL2; IL20; IL20RA; IL21R; IL22; IL22R; IL22RA2; IL23; IL24; IL25; IL26; IL27; IL28A; IL28B; IL29; IL2RA; IL2RB; IL2RG; IL3; IL30; IL3RA; IL4; IL4R; IL5; IL5RA; IL6; IL6R; IL6ST (당단백질 130); IL7; IL7R; IL8; IL8RA; IL8RB; IL8RB; IL9; IL9R; ILK; INHA; INHBA; INSL3; INSL4; IRAKI; IRAK2; ITGA1; ITGA2; ITGA3; ITGA6 (a6 인테그린); ITGAV; ITGB3; ITGB4 (b 4 인테그린); JAG1; JAK1; JAK3; JUN; K6HF; KAI1; KDR; KITLG; KLF5 (GC Box BP); KLF6; KLK10; KLK12; KLK13; KLK14; KLK15; KLK3; KLK4; KLK5; KLK6; KLK9; KRT1; KRT19 (케라틴 19); KRT2A; KRTHB6 (모발 특이적 II형 케라틴); L-셀렉틴; LAMA5; LEP (렙틴); Lingo-p75; Lingo-Troy; LPS; LTA (TNF-b); LTB; LTB4R (GPR16); LTB4R2; LTBR; MACMARCKS; MAG or Omgp; MAP2K7 (c-Jun); MDK; MIB1; 미드킨; MIF; MIP-2; MKI67 (Ki-67); MMP2; MMP9; MS4A1; MSMB; MT3 (메탈로티오넥틴-III); MTSSl; MUCl (뮤신); MYC; MYD88; NCK2; 뉴로칸; NKG2D; NFKB1; NFKB2; NGF; NGFB (NGF); NGFR; NgR-Lingo; NgR-Nogo66 (Nogo); NgR-p75; NgR-Troy; NME1 (NM23A); NOX5; NPPB; NR0B1; NR0B2; NR1D1; NR1D2; NR1H2; NR1H3; NR1H4; NRII2; NRII3; NR2C1; NR2C2; NR2E1; NR2E3; NR2F1; NR2F2; NR2F6; NR3C1; NR3C2; NR4A1; NR4A2; NR4A3; NR5A1; NR5A2; NR6A1; NRP1; NRP2; NT5E; NTN4; ODZ1; OPRD1; P2RX7; PAP; PARTI; PATE; PAWR; PCA3; PCNA; PDGFA; PDGFB; PECAM1 ; PF4 (CXCL4); PGE2; PGF; PGR; 포스파칸; PIAS2; PIK3CG;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인자; PLAU (uPA); PLG; PLXDC1; PPBP (CXCL7); PPID; PR1; PRKCQ; PRKDl; PRL; PROC; 단백질 C; PROK2; PSAP; PSCA; PTAFR; PTEN; PTGS2 (COX-2); PTN; RAC2 (p21Rac2); RAGE; RARB; RGSl; RGS13; RGS3; RNFllO (ZNF144); ROB02; SI00A2; SCGB1D2 (리포필린 B); SCGB2A1 (맘마글로빈 2); SCGB2A2 (맘마글로빈 1); SCYE1 (내피 단핵구 활성화 사이토킨); SDF2; SERPINA1; SERPINA3; SERPINB5 (마스핀); SERPINE1 (PAI-1); SERPINF1; SHBG; SLA2; SLC2A2; SLC33A1; SLC43A1; SLIT2; SPP1; SPRR1B (Sprl); ST6GAL1; STAB1; STAT6; STEAP; STEAP2; 물질 P; TB4R2; TBX21; TCP10; TDGF1; TEK; TGFA; TGFB1; TGFB111; TGFB2; TGFB3; TGFBI; TGFBR1; TGFBR2; TGFBR3; TH1L; THBS1 (트롬보스폰딘-1); THBS2; THBS4; THPO; TIE (타이-1); TIMP3; 조직 인자; TLR10; TLR2; TLR3; TLR4; TLR5; TLR6; TLR7; TLR8; TLR9; TNF-알파; TNFAIP2 (B94); TNFAIP3; TNFRSF11A; TNFRSF1A; TNFRSF1B; TNFRSF21; TNFRSF5; TNFRSF6 (Fas); TNFRSF7; TNFRSF8; TNFRSF9; TNFSFIO (TRAIL); TNFSF11 (TRANCE); TNFSF12 (AP03L); TNFSF13 (April); TNFSF13B; TNFSF14 (HVEML); TNFSF15 (VEGI); TNFSF18; TNFSF4 (OX40 리간드); TNFSF5 (CD40 리간드); TNFSF6 (FasL); TNFSF7 (CD27 리간드); TNFSF8 (CD30 리간드); TNFSF9 (4-1BB 리간드); TOLLIP; 톨 유사 수용체; TOP2A (토포이소머라제 Iia); TP53; TPM1; TPM2; TRADD; TRAF1; TRAF2; TRAF3; TRAF4; TRAF5; TRAF6; TREM1; TREM2; TRPC6; TSLP; TWEAK; 트롬보모듈린; 트롬빈; VEGF; VEGFB; VEGFC; 베르시칸; VHL C5; VLA-4; XCL1 (림포탁틴); XCL2 (SCM-lb); XCR1 (GPR5/CCXCR1); YY1; 및 ZFPM2.
  41. 제3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항원이 동일한 항원이거나; 제1 및 제2 항원이 상이하거나; 제1 및 제2 항원이 동일한 항원이지만 제1 항원 결합 부위 및 제2 항원 결합 부위가 동일한 항원의 상이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aAb.
  42. 제32항에 있어서, 제1 항원 결합 부위 또는 제2 항원 결합 부위가 종양 표적에 결합하는, aAb.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 표적이 종양 표적화 항원, HER1, HER2, HER3, GD2, 암배아 항원 (CEA),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활성 돌연변이체 (EGFRVIII), CD133, 섬유아세포 활성화 단백질 알파 (FAP), 상피 세포 접착 분자 (Epcam), 글리피칸 3 (GPC3), EPH 수용체 A4 (EphA), 티로신-단백질 키나제 Met (cMET), IL-13Ra2, 마이크로솜 에폭사이드 하이드롤라제 (mEH), MAGE, 메소텔린, MUC16, MUC1, 전립선 줄기 세포 항원 (PSCA), 빌름스 종양-1 (WT-1), 또는 클라우딘 계열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는, aAb.
  44. 제32항에 있어서, 제1 항원 결합 부위 또는 제2 항원 결합 부위가 T 세포 마커에 결합하는, aAb.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T-세포 마커가 CTLA-4, PD-1, Lag3, S15, B7H3, B7H4, TCR-알파, TCR-베타 또는 TIM-3으로부터 선택되는, aAb.
  46. 제32항에 있어서, 제1 항원 결합 부위 또는 제2 항원 결합 부위가 T 세포 활성화인자에 결합하는, aAb.
  47.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T-세포 활성화인자가 CD3, 41BB 또는 OX40으로부터 선택되는, aAb.
  4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가 프로테아제 절단가능한 링커인, aAb.
  4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가 종양 관련 프로테아제: MMP1, MMP2, MMP3, MMP7, MMP9, MMP10, MMP11, MMP12, MMP13, MMP14, MMP15, MMP16, MMP17, MMP19, MMP20, MMP21, uPA, FAPa, 또는 카뎁신 B에 의해 절단되는, aAb.
  5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가 아폽토시스 또는 염증 관련 반응 동안에 상향조절된 프로테아제에 의해 절단되는, aAb.
  51.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가 카스파제에 의해 절단되는, aAb.
  52.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카스파제가 카스파제 1, 카스파제 2, 카스파제 3, 카스파제 4, 카스파제 5, 카스파제 6, 카스파제 7, 카스파제 8, 카스파제 9, 카스파제 10, 카스파제 11 또는 카스파제 12인, aAb.
  5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가 항원 결합 부위를 차폐시키지 않는, aAb.
  5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aAb에 접합된 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aAb.
  55.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가 독소 또는 이의 독성 단편; 미소관 억제제; 핵산 손상제; 검출 가능한 모이어티; 또는 진단학적 제제 중 적어도 하나인. aAb.
  5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aAb가 서열번호 1, 2 또는 3으로부터 선택되는 서열을 갖는, aAb.
  57. 제1항의 aAb를 암호화하는 핵산.
  58. 제31항의 aAb를 암호화하는 핵산.
  59. 제1항의 aAb를 암호화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세포.
  60. 제31항의 aAb를 암호화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세포.
  61. 제1항의 활성화가능한 Ab 및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62. 제1항의 유효량의 항체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상 조직에 대한 항체의 결합 활성을 감소시키고 암세포를 표적화하는 방법.
  63. 제1항의 유효량의 항체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의 치료, 암의 증상 완화 또는 암의 진행 지연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절단가능한 링커를 절단하는 효소를 발현하는 암인, 방법.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방광암, 골암, 유방암, 카르시노이드, 자궁경부암, 결장암, 자궁내막암, 신경교종, 두경부암, 간암, 폐암, 림프종, 흑색종, 난소암, 췌장암, 전립선암, 신장암, 육종, 피부암, 위암, 고환암, 갑상선암, 비뇨생식기암, 또는 요로상피암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66.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급성 골수성 백혈병, 부신피질 암종, B-세포 림프종, 방광 요로상피 암종, 유방관 암종, 유방 소엽 암종, 식도 암종,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CRPC), 자궁경부 암종, 담관 암종, 만성 골수성 백혈병, 결장직장 선암종, 결장직장암(CRC), 식도 암종, 위 선암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두경부 편평세포 암종, 호지킨 림프종/원발성 종격동 B 세포 림프종, 간세포 암종(HCC), 콩팥 발색성 암종, 콩팥 투명 세포 암종, 콩팥 유두 세포 암종, 저등급 신경교종, 폐 선암종, 폐 수성 세포 암종, 흑색종(MEL), 중피종, 비편평 NSCLC, 난소 장액성 선암종, 췌장관 선암종, 부신경절종 및 갈색세포종, 전립선 선암종, 신세포암종(RCC), 육종, 표피 피부 흑색종, 두경부의 편평 세포 암종, T 세포 림프종, 흉선종, 갑상선 유두 암종, 자궁 암육종, 자궁 체내막양 암종 및 포도막 흑색종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67. 제1 가변 경쇄 영역;
    절단가능한 링커;
    제1 가변 중쇄 영역; 및
    Fc 영역을 순서대로 포함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체 (aAb)로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는 제1 가변 경쇄 영역 및 제1 가변 중쇄 영역이 제1 항원에 대한 제1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는 상기 항원 결합 부위를 차폐시키지 않고;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의 절단이 제1 가변 중쇄 영역을 방출하여 제1 항원에 결합하는 제1 항원 결합 부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체 (aAb).
  68. 제1 가변 경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경쇄;
    절단가능한 링커;
    제1 가변 중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중쇄의 구조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체(aAb)로서;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는 제1 경쇄 및 제1 중쇄가 제1 항원에 대한 제1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고;
    상기 절단가능한 링커의 절단이 제1 중쇄를 방출하여 제1 항원에 결합하는 제1 항원 결합 부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활성화가능한 항체 (aAb)를 발현하는 세포.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가 T 세포 또는 중간엽 줄기 세포인, 세포.
  70.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aAb가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형성하기 위해 aAb를 T 세포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막관통 서열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세포가 CAR T 세포인, 세포.
KR1020227028274A 2020-01-17 2021-01-15 오프-표적 독성을 감소시키는 프로-항체 Pending KR202201502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62555P 2020-01-17 2020-01-17
US62/962,555 2020-01-17
US17/150,626 2021-01-15
PCT/US2021/013688 WO2021146590A2 (en) 2020-01-17 2021-01-15 Pro-antibody that reduces off-target toxicity
US17/150,626 US20210301015A1 (en) 2020-01-17 2021-01-15 Pro-antibody that reduces off-target toxic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288A true KR20220150288A (ko) 2022-11-10

Family

ID=76863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274A Pending KR20220150288A (ko) 2020-01-17 2021-01-15 오프-표적 독성을 감소시키는 프로-항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01015A1 (ko)
JP (2) JP7483896B2 (ko)
KR (1) KR20220150288A (ko)
AU (1) AU2021208642A1 (ko)
CA (1) CA3165414A1 (ko)
WO (1) WO202114659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148B1 (ko) * 2023-04-28 2023-09-05 주식회사 니오바이오파마슈티컬스 인테그린 표적 항체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0222A2 (en) 2017-07-03 2019-01-10 Torque Therapeutics, Inc. POLYNUCLEOTIDES ENCODING IMMUNOSTIMULATING FUSION MOLECULES AND USES THEREOF
BR112021022682A2 (pt) 2019-05-14 2022-02-22 Provention Bio Inc Métodos e composições para prevenir diabetes do tipo 1
CA3182445A1 (en) 2020-06-11 2021-12-16 Francisco Le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type 1 diabetes
WO2024220628A1 (en) * 2023-04-18 2024-10-2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A Body Corporate Target for combatting the foreign body response to implantable bio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2338A2 (en) * 2003-04-11 2004-10-28 Diadexus, Inc. Compositions, splice variants and methods relating to cancer specific genes and proteins
GB201203442D0 (en) * 2012-02-28 2012-04-11 Univ Birmingham Immunotherapeutic molecules and uses
US9120853B2 (en) * 2012-04-27 2015-09-01 Cytomx Therapeutics, Inc. Activatable antibodies that bin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nd methods of use thereof
DK3183268T3 (da) * 2014-08-19 2020-05-11 Univ Pennsylvania Behandling af cancer ved anvendelse af en cd123-kimær antigenreceptor
US10822419B2 (en) * 2015-06-26 2020-11-03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asking 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s for tumor-specific activation
MY200695A (en) * 2016-11-03 2024-01-11 Bristol Myers Squibb Co Activatable anti-ctla-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IL317013A (en) * 2017-09-08 2025-01-01 Takeda Pharmaceuticals Co Binding proteins are activated under limited conditions
CN111867630B (zh) * 2018-06-17 2023-10-13 上海健信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靶向cldn18.2的抗体、双特异性抗体、adc和car及其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148B1 (ko) * 2023-04-28 2023-09-05 주식회사 니오바이오파마슈티컬스 인테그린 표적 항체 및 이의 용도
WO2024225556A1 (ko) * 2023-04-28 2024-10-31 주식회사 니오바이오파마슈티컬스 인테그린 표적 항체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6590A2 (en) 2021-07-22
JP2024102189A (ja) 2024-07-30
JP2023510601A (ja) 2023-03-14
JP7483896B2 (ja) 2024-05-15
CA3165414A1 (en) 2021-07-22
AU2021208642A1 (en) 2022-07-28
WO2021146590A3 (en) 2021-11-11
US20210301015A1 (en)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57249A1 (en) Fabs-in-tandem immunoglobulin and uses thereof
JP7483896B2 (ja) オフターゲット毒性を低下させるプロ抗体
CN110290810A (zh) 抗体佐剂缀合物
WO2017011342A9 (en) Igm-or ige-modified binding proteins and uses thereof
RU2008110494A (ru) Иммуноглобулин с двойными вариабельными доменами и его применения
US20240059779A1 (en) Multivalent binding molecules
JP6919100B2 (ja) 新規多重特異的結合タンパク質
US20220372147A1 (en) Binding modules comprising modified ehd2 domains
CN110248958A (zh) 多聚体、四聚体和八聚体
EP4090686A2 (en) Pro-antibody that reduces off-target toxicity
TWI796563B (zh) 製造抗體之方法
WO2023232857A1 (en) Common light chain antibody libra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8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