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45223A - 무방향성 전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무방향성 전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223A
KR20220045223A KR1020227008618A KR20227008618A KR20220045223A KR 20220045223 A KR20220045223 A KR 20220045223A KR 1020227008618 A KR1020227008618 A KR 1020227008618A KR 20227008618 A KR20227008618 A KR 20227008618A KR 20220045223 A KR20220045223 A KR 20220045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content
oriented electrical
electrical steel
aver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91108B1 (ko
Inventor
유키노 미야모토
요시아키 자이젠
요시히코 오다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5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1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110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0/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metal elements or silic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 C23C10/06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metal elements or silic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using gases
    • C23C10/08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metal elements or silic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using gases only one element being diff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7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74Methods of treatment in inert gas, controlled atmosphere, vacuum or pulverulent material
    • C21D1/76Adjusting the composition of the atmosp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4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heat treatment(s) being of interest
    • C21D8/125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heat treatment(s) being of interest with diffusion of elements, e.g. decarburising, nitri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0/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metal elements or silic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 C23C10/06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metal elements or silic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using gases
    • C23C10/16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metal elements or silic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using gases more than one element being diffused in more than one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0/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metal elements or silic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 C23C10/60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6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 C23C8/08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only one element being applied
    • C23C8/24Nitriding
    • C23C8/26Nitriding of ferrous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80After-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4766Fe-Si based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4766Fe-Si based alloys
    • H01F1/14775Fe-Si based alloys in the form of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01/00Treatment for obtaining particular effects
    • C21D2201/05Grain ori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 C22C2202/02Magn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Of Steel Electrode Plates (AREA)

Abstract

400 ㎐ 정도의 주파수역에 있어서의 철손이 낮은 무방향성 전기 강판을 제공한다. 내층부와 표층부로 이루어지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으로서, Si 와,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평균 함유량으로, C : 0.020 질량% 이하, Mn : 0.010 질량% ∼ 2.0 질량%, 및 S : 0.0100 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층부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 [Si]1 이 2.5 ∼ 7.0 질량% 이고, 상기 내층부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 [Si]0 이 1.5 ∼ 5.0 질량% 인 성분 조성을 갖고, 상기 표층부가 5 ∼ 50 ㎫ 인 면내 인장 응력을 갖고, 상기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판두께 t 가 0.01 ∼ 0.35 ㎜ 이고, 상기 판두께 t 에 대한 상기 표층부의 합계 두께 t1 의 비 t1/t 가 0.10 ∼ 0.70 이고, 상기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평균 N 함유량 [N] 이 40 ppm 이하이고, 최대 자속 밀도 : 1.0 T, 주파수 400 ㎐ 에 있어서의 철손 W10/400 (W/㎏) 과, 상기 판두께 t (㎜) 가 하기 (1) 식을 만족하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
W10/400 ≤ 8 + 30t … (1)

Description

무방향성 전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무방향성 전기 강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주파역에 있어서의 철손이 낮은 무방향성 전기 강판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용 등에 사용되는 모터는, 소형화, 고효율화의 관점에서 고주파역에서의 구동이 행해지고 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모터의 코어재로서 사용되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에는, 고주파역에 있어서의 철손이 낮을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고주파역에 있어서의 저철손화를 위해서, Si 나 Al 등의 합금 원소의 첨가나, 판두께의 저감 등 다양한 수법이 검토되어 왔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서는, 강판에 대해서 침규 어닐링을 실시함으로써,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Si 농도 분포를 제어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93422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서 제안되어 있는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고주파역에 있어서의 철손에 일정한 개선이 보이지만, 여전히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종래의 방법에서 얻어지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을, 히스테리시스손의 영향이 큰 400 ㎐ 정도의 주파수로 구동되는 전기 기기의 철심 재료로서 사용했을 경우, 철손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400 ㎐ 정도의 주파수역에 있어서의 철손이 더욱 저감된 무방향성 전기 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400 ㎐ 정도의 주파수역에 있어서의 철손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강판의 표층부와 내층부의 격자 정수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응력을 저감하는 것, 및 불가피 불순물로서 강 중에 함유되는 N 의 평균 함유량을 저감하는 것이 중요한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요지 구성은 아래와 같다.
1. Si 함유량이 전체 판두께의 평균 Si 함유량 미만인 영역으로서 정의되는 내층부와, 상기 내층부의 양측에 형성된, Si 함유량이 전체 판두께의 평균 Si 함유량 이상인 영역으로서 정의되는 표층부로 이루어지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으로서,
Si 와,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평균 함유량으로,
C : 0.020 질량% 이하,
Mn : 0.010 질량% ∼ 2.0 질량%, 및
S : 0.0100 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층부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 [Si]1 이 2.5 ∼ 7.0 질량% 이며,
상기 내층부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 [Si]0 이 1.5 ∼ 5.0 질량% 인 성분 조성을 갖고,
상기 표층부가 5 ∼ 50 ㎫ 의 면내 인장 응력을 갖고,
상기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판두께 t 가 0.01 ∼ 0.35 ㎜ 이고,
상기 판두께 t 에 대한 상기 표층부의 합계 두께 t1 의 비 t1/t 가 0.10 ∼ 0.70 이고,
상기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평균 N 함유량 [N] 이 40 ppm 이하이고,
최대 자속 밀도 : 1.0 T, 주파수 400 ㎐ 에 있어서의 철손 W10/400 (W/㎏) 과, 상기 판두께 t (㎜) 가 하기 (1) 식을 만족하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
W10/400 ≤ 8 + 30t … (1)
2. 상기 성분 조성이,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평균 함유량으로,
Al : 0.10 질량% 이하,
P : 0.10 질량% 이하,
Sn : 0.10 질량% 이하, 및
Sb : 0.10 질량%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를 추가로 함유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기 강판.
3. 추가로, 상기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판두께의 1/4 의 깊이의 면에 있어서의 방위 분포 함수의 Φ2 = 45°단면에 있어서, {111} 면 집적도에 대한 {100} 면 집적도의 비 {100}/{111} 이 55 ∼ 90 % 인 집합 조직을 갖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기 강판.
4. 상기 성분 조성이, 추가로 하기 (2) 식을 만족하는, 상기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기 강판.
[Mn][S] ≤ 0.0030 … (2)
단, [Mn], [S] 는 각각 Mn, S 의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평균 함유량 (질량%) 이다.
5. 상기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기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Si 함유량이 1.5 ∼ 5.0 질량% 인 강판에, SiCl4 분위기 중, 1000 ℃ 이상, 1300 ℃ 이하의 침규 처리 온도에서 침규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침규 처리 후의 강판에 N2 분위기 중, 950 ℃ 이상, 1300 ℃ 이하의 온도에서 확산 처리를 실시하며,
상기 확산 처리 후의 강판을, 확산 처리 온도부터 900 ℃ 까지의 온도역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 v1 : 5 ∼ 20 ℃/s, 900 ℃ 부터 100 ℃ 까지의 온도역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 v2 : 30 ∼ 100 ℃/s 의 조건에서 냉각시키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400 ㎐ 정도의 주파수역에 있어서의 철손이 더욱 저감된 무방향성 전기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Si 함유량 프로파일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은, 판두께 t 에 대한 상기 표층부의 합계 두께 t1 의 비 t1/t 와 철손 W10/400 (W/㎏) 의 상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면내 인장 응력 (㎫) 과 철손 W10/400 (W/㎏) 의 상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냉각 공정에 있어서의 확산 처리 온도부터 900 ℃ 까지의 온도역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 v1 (℃/s) 과 철손 W10/400 (W/㎏) 의 상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은, 냉각 공정에 있어서의 900 ℃ 부터 100 ℃ 까지의 온도역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 v2 (℃/s) 와 철손 W10/400 (W/㎏) 의 상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은, 냉각 공정에 있어서의 900 ℃ 부터 100 ℃ 까지의 온도역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 v2 (℃/s) 와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평균 N 함유량 [N] (ppm) 의 상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아래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방향성 전기 강판]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 도 2 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Si 함유량 프로파일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에 있어서의 세로축은 판두께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0 이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일방의 표면을, t 가 그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타방의 표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2 에 나타낸 예에서는, 본 발명의 무방향성 전기 강판 (1) (이하, 간단히「강판」이라는 경우가 있다) 은, 표면으로부터 판두께 중심 방향을 향하여 Si 함유량이 연속적으로 감소되는 Si 함유량 분포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Si 함유량 분포는, 강판의 판두께 방향 전역에 걸쳐서 Si 함유량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분포여도 되는데, 예를 들어, 강판의 표면측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판두께 중앙부에서는 일정한 Si 함유량 분포여도 된다. 또, 강판 표면 부근의 Si 량이 약간 저하되어 있어도 되고, 요컨대, 전체 판두께의 평균 Si 함유량 미만이 되는 내층부와, 상기 내층부의 양측에 형성된, Si 함유량이 전체 판두께의 평균 Si 함유량 이상이 되는 표층부로 이루어지면 된다.
여기에서, Si 함유량이 전체 판두께의 평균 Si 함유량 이상인 영역을 표층부, Si 함유량이 전체 판두께의 평균 Si 함유량 미만인 영역을 내층부로 정의하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방향성 전기 강판 (1) 은, 내층부 (10) 와, 내층부 (10) 의 양측에 형성된 표층부 (20) 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성분 조성]
먼저, 본 발명의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성분 조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방향성 전기 강판은, Si, C, Mn, 및 S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는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 있어서, 각 원소의 함유량을 나타내는「%」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질량%」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 아래의 설명에 있어서, Si 를 제외한 각 원소의 함유량은, 강판의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당해 원소의 평균 함유량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C : 0.020 % 이하
C 는 자기 특성에 대해서 유해한 원소로서, C 함유량이 0.020 % 를 초과하면 자기 시효에 의해서 철손이 현저하게 증대된다. 따라서, C 함유량은 0.020 % 이하로 한다. 한편, 자기 특성의 관점에서는 C 함유량이 낮으면 낮을수록 바람직하기 때문에, C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과도한 저감은 제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점에서, C 함유량은 0.0001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1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n : 0.010 % ∼ 2.0 %
Mn 은 열간 가공성을 개선하는 데 유효한 원소이다. 또, Mn 은 강판의 고유 저항을 증가시키고, 그 결과, 철손을 저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서, Mn 함유량을 0.010 % 이상으로 한다. 한편, Mn 함유량이 2.0 % 를 초과하면 제조성의 저하 및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그 때문에, Mn 함유량은 2.0 % 이하로 한다.
S : 0.0100 % 이하
S 는, 미세한 석출물의 형성 및 입계에 대한 편석에 의해서, 철손을 증대시킨다. 그 때문에, S 함유량은 0.0100 % 이하로 한다. 한편, 철손의 관점에서는 S 함유량이 낮으면 낮을수록 바람직하기 때문에, S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과도한 저감은 제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점에서, S 함유량은 0.0001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1 : 2.5 ∼ 7.0 %
Si 는, 강판의 전기 저항을 높이고, 와전류손을 저감하는 작용을 갖는 원소이다. 표층부의 평균 Si 함유량 ([Si]1) 이 2.5 % 미만이면, 효과적으로 와전류손을 저감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표층부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은 2.5 %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초과로 한다. 한편, 표층부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이 7.0 % 를 초과하면, 포화 자화의 저하에 의해서 자속 밀도가 저하되는 것에 추가하여,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제조성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표층부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은 7.0 % 이하, 바람직하게는 6.5 %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로 한다. 또한, 표층부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이 2.5 ∼ 7.0 % 라는 것은,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일방의 면에 있어서의 표층부 (제 1 표층부) 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이 2.5 ∼ 7.0 % 이며, 또한 그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타방의 면에 있어서의 표층부 (제 2 표층부) 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이 2.5 ∼ 7.0 % 인 것을 의미한다. 제 1 표층부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과 제 2 표층부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Si]0 : 1.5 ∼ 5.0 %
내층부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 ([Si]0) 이 1.5 % 미만이면 와전류손이 증가된다. 그 때문에, 내층부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은 1.5 % 이상으로 한다. 한편, 내층부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이 5.0 % 를 초과하면, 모터 코어의 타발 (打拔) 시에 코어가 균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그 때문에, 내층부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은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이, 상기 원소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는다.
[임의 첨가 성분]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성분 조성이, 추가로 임의적으로, Al, P, Sn, 및 Sb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를, 아래에 기재하는 함유량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 기재하는 각 원소의 함유량은, 강판의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당해 원소의 평균 함유량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Al : 0.10 % 이하
Al 은 강판의 고유 저항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갖는 원소로서, Al 을 첨가함으로써 철손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Al 함유량이 0.10 % 를 초과하면 제조성의 저하 및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그 때문에, Al 을 첨가할 경우, Al 함유량은 0.10 % 이하로 한다. 한편, Al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Al 을 첨가할 경우, 첨가 효과를 높인다는 관점에서는, Al 함유량을 0.01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 : 0.10 % 이하
P 를 첨가함으로써, 집합 조직을 크게 개선하고, 자속 밀도를 더욱 향상시킴과 함께 히스테리시스손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또, P 를 첨가함으로써, 고온 어닐링시에 있어서의 강판의 질화를 억제하여, 철손의 증가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P 함유량이 0.10 % 를 초과하면 효과가 포화되는 것에 추가하여, 제조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 때문에, P 를 첨가할 경우, P 함유량은 0.10 % 이하로 한다. 한편, P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P 의 첨가 효과를 높인다는 관점에서는, P 함유량을 0.001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n : 0.10 % 이하
P 와 마찬가지로, Sn 을 첨가함으로써, 집합 조직을 크게 개선하고, 자속 밀도를 더욱 향상시킴과 함께 히스테리시스손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또, Sn 을 첨가함으로써, 고온 어닐링시에 있어서의 강판의 질화를 억제하여, 철손의 증가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Sn 함유량이 0.10 % 를 초과하면 효과가 포화되는 것에 추가하여, 제조성의 저하 및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그 때문에, Sn 을 첨가할 경우, Sn 함유량은 0.10 % 이하로 한다. 한편, Sn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Sn 의 첨가 효과를 높인다는 관점에서는, Sn 함유량을 0.001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b : 0.10 % 이하
P 및 Sn 과 마찬가지로, Sb 를 첨가함으로써, 집합 조직을 크게 개선하고, 자속 밀도를 더욱 향상시킴과 함께 히스테리시스손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또, Sb 를 첨가함으로써, 고온 어닐링시에 있어서의 강판의 질화를 억제하여, 철손의 증가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Sb 함유량이 0.10 % 를 초과하면 효과가 포화되는 것에 추가하여, 제조성의 저하 및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그 때문에, Sb 를 첨가할 경우, Sb 함유량은 0.10 % 이하로 한다. 한편, Sb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Sb 의 첨가 효과를 얻는다는 관점에서는, Sb 함유량을 0.001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S] ≤ 0.0030
Mn 과 S 를 함유하는 강에서는, 1000 ℃ 미만 등의 비교적 저온에서의 어닐링 중에 MnS 가 석출된다. 그리고, 석출된 MnS 에 의해서 결정립 성장이 저해되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결정립 사이즈가 작아지고, 그 결과, 히스테리시스손이 증가된다. 이에 비해서, 본 발명에서는 1000 ℃ 이상의 비교적 고온에서 침규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MnS 가 고용되어 입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그러나, Mn 의 평균 함유량과 S 의 평균 함유량의 곱 [Mn][S] 가 0.0030 을 초과하면, 석출된 그대로의 MnS 에 의해서 침규 처리시의 입성장이 저해되어, 히스테리시스손이 증가된다. 따라서, 침규 처리 중의 MnS 의 석출에서 기인하는 히스테리시스손의 증가를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조성이, 추가로 하기의 식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S] ≤ 0.0030
단, [Mn], [S] 는 각각 Mn, S 의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평균 함유량 (질량%) 이다. 한편, [Mn][S] 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조성 및 비용의 관점에서, 0.000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두께]
무방향성 전기 강판이 지나치게 얇으면, 냉간 압연이나 어닐링 등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취급이 곤란해져, 제조 비용이 증대된다. 그 때문에,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판두께 t 는 0.01 ㎜ 이상으로 한다. 한편, 무방향성 전기 강판이 지나치게 두꺼우면, 와전류손이 커져 전체 철손이 증가된다. 그 때문에, t 는 0.35 ㎜ 이하로 한다.
[t1/t]
다음으로,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판두께 t 에 대한 표층부의 합계 두께 t1 의 비 t1/t (복층비) 가 자기 특성에 주는 영향에 대해서 검토하기 위해서, t1/t 가 상이한 무방향성 전기 강판을 아래의 순서로 제작하고, 그 자기 특성을 평가하였다. 여기에서,「표층부의 합계 두께」란,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표층부의 두께의 합을 가리킨다. 또, 표층부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Si 함유량이 전체 판두께의 평균 Si 함유량 이상인 영역으로서 정의된다.
먼저, C : 0.005 %, Si : 2.0 %, Mn : 0.05 %, S : 0.001 %, Sn : 0.04 %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는 강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으로 하였다. 상기 열연 강판에 대해서, 950 ℃ × 30 s 의 열연판 어닐링을 실시하고, 그 후, 상기 열연판 어닐링 후의 강판을 냉간 압연하여, 판두께 : 0.2 ㎜ 의 냉연 강판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냉연 강판에, SiCl4 분위기 중, 침규 처리 온도 1200 ℃ 에서 침규 처리를 실시하여, 강판 표면에 Si 를 퇴적시킨 후에, N2 분위기 중, 확산 처리 온도 1200 ℃ 에서 확산 처리를 행하여 표층부 평균 Si 함유량 [Si]1 을 4.0 %, 내층부 평균 Si 함유량 [Si]0 을 2.2 % 로 하였다. 그 후, 상기 확산 처리 온도부터 900 ℃ 까지의 온도역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 v1 : 15 ℃/s, 900 ℃ 부터 100 ℃ 까지의 온도역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 v2 : 40 ℃/s 의 조건에서, 100 ℃ 이하까지 냉각시켰다. 얻어진 무방향성 전기 강판에 있어서의 비 t1/t 는 0.05 ∼ 0.80 이었다.
얻어진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각각으로부터 시험편을 채취하여, 엡스타인 시험을 행하여 최대 자속 밀도 : 1.0 T, 주파수 400 ㎐ 에 있어서의 철손 W10/400 (W/㎏) 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과 동일하게 하였다.
도 3 에, t1/t 와 W10/400 (W/㎏) 의 상관을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t1/t 가 0.10 ∼ 0.70 인 경우에 철손이 크게 저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철손의 저하는, 아래의 이유에 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먼저, t1/t 가 0.10 미만인 경우, 고저항인 표층부의 비율이 낮기 때문에, 표층부에 집중되는 와전류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없다. 한편, t1/t 가 0.70 을 초과할 경우에는 표층부와 내층부의 투자율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내층부에까지 자속이 침투하여, 내층부로부터도 와전류손이 발생된다. 따라서, t1/t 를 0.10 ∼ 0.70 으로 함으로써 철손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의 이유로부터, 본원 발명에서는 판두께 t 에 대한 표층부의 합계 두께 t1 의 비 t1/t 를 0.10 ∼ 0.70 으로 한다.
[면내 인장 응력]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추가적인 저철손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검토한 바, 무방향성 전기 강판에는 내부 응력으로서, 면내 인장 응력이 발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면내 인장 응력이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자기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검토하기 위해서 아래의 시험을 행하였다.
먼저, C : 0.004 %, Si : 2.5 %, Mn : 0.07 %, S : 0.002 %, Sn : 0.04 %, 및 P : 0.01 %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는 강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으로 하였다. 상기 열연 강판에 대해서, 950 ℃ × 30 s 의 열연판 어닐링을 실시하고, 그 후, 상기 열연판 어닐링 후의 강판을 냉간 압연하여, 판두께 : 0.2 ㎜ 의 냉연 강판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냉연 강판에, SiCl4 분위기 중, 침규 처리 온도 1250 ℃ 에서 침규 처리를 실시하여, 강판 표면에 Si 를 퇴적시킨 후에, N2 분위기 중, 확산 처리 온도 1100 ℃ 에서 확산 처리를 행하고, 그 후, 상기 확산 처리 온도부터 900 ℃ 까지의 온도역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 v1 : 15 ℃/s, 900 ℃ 부터 100 ℃ 까지의 온도역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 v2 : 40 ℃/s 의 조건에서, 100 ℃ 이하까지 냉각시켰다. 얻어진 무방향성 전기 강판에 있어서의 표층부 평균 Si 함유량 [Si]1 은 3.0 ∼ 7.0 %, 내층부 평균 Si 함유량 [Si]1 은 2.2 ∼ 2.7 %, t1/t 는 0.30 이었다.
얻어진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각각으로부터 시험편을 채취하고, 엡스타인 시험을 행하여 최대 자속 밀도 : 1.0 T, 주파수 400 ㎐ 에 있어서의 철손 W10/400 (W/㎏) 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과 동일하게 하였다.
다음으로, 면내 인장 응력의 측정을 아래의 순서로 행하였다. 먼저, 얻어진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편면으로부터 불산에 의한 화학 연마를 실시하고, 연마 후의 샘플의 표면이 표층부와 내층부가 되도록, 상기 샘플의 판두께 tS 가 0.1 ㎜ 로 될 때까지 연마하였다. 화학 연마 후의 샘플은, 표층부가 내측이 되도록 휘는 점에서, 연마 전의 샘플에는 표층부의 면내에 인장 응력이 발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얻어진 샘플의 휨량의 지표인 곡률 반경 r 로부터, 하기의 식을 사용하여 상기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면내 인장 응력을 산출하였다.
면내 인장 응력 (㎫) = tS × E/(4 × r)
여기에서,
tS : 샘플의 판두께 = 0.1 ㎜
E : 영률 = 190 ㎬
r : 곡률 반경 (㎜) 이다.
도 4 에, 면내 인장 응력 (㎫) 과 W10/400 (W/㎏) 의 상관을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면내 인장 응력이 5 ∼ 50 ㎫ 인 경우에 철손이 저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표층부의 면내에 발생되어 있는 인장 응력에 의해서, 자화 용이축이 면내 방향이 되는 점에서, 표층에 자속이 집중되어 와전류손이 감소된다. 그러나, 내부 응력이 과도하게 크면, 표층부에 자속이 집중되어 와전류손은 저하되지만, 히스테리시스손이 대폭 증가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철손이 증가된다. 400 ㎐ 정도의 주파수역에 있어서의 철손에는, 와전류손뿐만 아니고 히스테리시스손도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본원 발명에서는 400 ㎐ 정도의 주파수역에 있어서의 철손 저감을 위해서, 표층부의 면내 인장 응력을 5 ∼ 50 ㎫ 로 한다.
또한, 표층부의 면내 인장 응력은, 주로 표층부와 내층부의 Si 농도차 : ΔSi([Si]1 - [Si]0) 에 의해서 발생된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본원 발명의 내부 응력을 얻기 위해서는 ΔSi 를 1.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Si]1 이 [Si]0 보다 높기 때문에, 바꾸어 말하면, [Si]1 ≥ {[Si]0 + 1.0 질량%}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N 함유량]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평균 N 함유량 [N] 을 40 ppm 이하로 한다. 그 한정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철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철손은, 최대 자속 밀도 1.0 T, 주파수 400 ㎐ 에 있어서의 철손 (전체 철손) W10/400 (W/㎏) 으로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무방향성 전기 강판은, W10/400 (W/㎏) 과 판두께 t (㎜) 가 하기의 식을 만족한다. 이것은 하기의 식의 관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스테이터 코어의 발열이 매우 커져, 모터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철손은 판두께에 의존하기 때문에, 하기의 식에서는 판두께의 영향을 고려하여 철손의 상한치를 규정하였다.
W10/400 ≤ 8 + 30t
전기 강판에서는, 통상적으로 자속 밀도를 높이면 철손이 증대되어 버리기 때문에, 일반적인 모터 코어는 자속 밀도가 1.0 T 정도가 되도록 설계된다. 이에 비해서, 본 발명의 무방향성 전기 강판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강판의 표층부와 내층부의 성분 조성, 면내 인장 응력 및 복층비를 제어함으로써, 상반되는 성질인 고자속 밀도와 저철손을 양립시키고 있다.
[집합 조직]
무방향성 전기 강판에 있어서 {100} 면을 늘리고, {111} 면을 줄임으로써 그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면내에 자화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자속 밀도가 더욱 향상됨과 함께 히스테리시스손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판두께 t 의 1/4 의 깊이의 면에 있어서의 방위 분포 함수 (ODF) 의 Φ2 = 45°단면에 있어서, {111} 면 집적도에 대한 {100} 면 집적도의 비 {100}/{111} 을 55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100}/{111} 이 과도하게 커지면 코어의 가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100}/{111} 은 9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00} 면의 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침규 처리시에 승온 과정에서의 200 ℃ 부터 침규 온도까지의 평균 승온 속도를 20 ℃/s 이상으로 하는 것이나, 편석 원소인 P, Sn, Sb 중 적어도 1 개를 적당량 첨가하는 것이 유효하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무방향성 전기 강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침규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침규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Si 함유량이 두께 방향으로 일정한 강판에 대해서 침규 처리 및 확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강판 양면의 표층부의 Si 함유량을 높일 수 있다. 침규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은, 예를 들어,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Si 함유량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침규법을 이용한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강판에 대해서 다음의 (1) ∼ (3) 의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무방향성 전기 강판을 제조한다.
(1) 침규 처리
(2) 확산 처리
(3) 냉각
상기 처리를 실시하는 대상인 강판으로는, Si 함유량이 1.5 ∼ 5.0 % 인 강판을 사용하면 된다. 상기 강판은, 판두께 방향으로 대략 균일한 조성을 갖는 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판의 Si 이외의 성분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서술한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성분 조성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처리 대상의 강판으로는,
Si : 1.5 ∼ 5.0 %,
C : 0.020 % 이하,
Mn : 0.010 ∼ 2.0 %, 및
S : 0.0100 %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는 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강판의 성분 조성은,
Al : 0.10 질량% 이하,
P : 0.1 질량% 이하,
Sn : 0.10 질량% 이하, 및
Sb : 0.10 질량%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강판의 성분 조성은, 추가로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S] ≤ 0.0030
단, [Mn], [S] 는 각각 Mn, S 의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평균 함유량 (질량%) 이다.
(1) 침규 처리
먼저, 상기 강판에 대해서 침규 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침규 처리는, SiCl4 분위기 중, 1000 ℃ 이상, 1300 ℃ 이하의 침규 처리 온도에서 행한다. 침규 처리 온도가 1000 ℃ 미만인 경우, SiCl4 와 모재의 반응이 느려지기 때문에, 제조성이 저하되고, 비용이 증가된다. 또, 침규 처리에 의해서 강판 표층부의 Si 함유량이 증가되면 융점이 저하되기 때문에, 1300 ℃ 를 초과하는 고온에서 침규 처리를 실시하면, 강판이 노 내에서 파단되어 제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침규 처리 온도는 1000 ℃ 이상, 1300 ℃ 이하로 한다.
(2) 확산 처리
다음으로, 상기 침규 처리 후의 강판에 확산 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확산 처리는 N2 분위기 중, 950 ℃ 이상, 1300 ℃ 이하의 온도에서 행한다. 확산 처리는 Ar 분위기에서 행할 수도 있지만, 비용이 오르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않고, 공업적 관점에서 N2 분위기 하에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 확산 처리를 950 ℃ 미만의 온도에서 행하면, 확산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제조성이 저하된다. 한편, 침규 처리에 의해서 강판 표층부의 Si 함유량이 증가되면 융점이 저하되기 때문에, 1300 ℃ 를 초과하는 고온에서 확산 처리를 실시하면, 강판이 노 내에서 파단되어 제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확산 처리의 온도는 950 ℃ 이상, 1300 ℃ 이하로 한다.
(3) 냉각
이어서, 상기 확산 처리 후의 강판을, 확산 처리 온도부터 900 ℃ 까지의 온도역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 v1 : 5 ∼ 20 ℃/s, 900 ℃ 부터 100 ℃ 까지의 온도역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 v2 : 30 ∼ 100 ℃/s 의 조건에서 냉각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냉각 공정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를 결정하기 위해서 행한 실험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C : 0.005 %, Si : 2.5 %, Mn : 0.06 %, S : 0.003 %, Sn : 0.06 %, 및 P : 0.06 %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는 강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으로 하였다. 상기 열연 강판에 대해서, 950 ℃ × 30 s 의 열연판 어닐링을 실시하고, 그 후, 상기 열연판 어닐링 후의 강판을 냉간 압연하여, 판두께 : 0.2 ㎜ 의 냉연 강판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냉연 강판에, SiCl4 분위기 중, 침규 처리 온도 1200 ℃ 에서 침규 처리를 실시하여, 강판 표면에 Si 를 퇴적시킨 후에, N2 분위기 중, 확산 처리 온도 1100 ℃ 에서 확산 처리를 행하여 표층부 평균 Si 함유량 [Si]1 을 4.5 % 로 하였다. 그 후, 상기 확산 처리 온도부터 900 ℃ 까지의 온도역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 v1 : 5 ∼ 35 ℃/s, 900 ℃ 부터 100 ℃ 까지의 온도역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 v2 : 5 ∼ 120 ℃/s 의 조건에서, 100 ℃ 이하까지 냉각시켰다. 얻어진 무방향성 전기 강판에 있어서의 비 t1/t 는 0.30 이었다.
얻어진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각각으로부터 시험편을 채취하고, 엡스타인 시험을 행하여 최대 자속 밀도 : 1.0 T, 주파수 400 ㎐ 에 있어서의 철손 W10/400 (W/㎏) 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과 동일하게 하였다.
도 5 에, 평균 냉각 속도 v2 를 45 ℃/s 로 일정하게 했을 때의, 평균 냉각 속도 v1 (℃/s) 과 철손 W10/400 (W/㎏) 의 상관을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균 냉각 속도 v1 이 20 ℃/s 를 초과하면 철손이 증가된다. 이것은, 평균 냉각 속도 v1 이 20 ℃/s 를 초과할 경우, 급속한 냉각에 의해서 강판에 변형이 발생되고, 그 결과, 히스테리시스손이 증가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평균 냉각 속도 v1 을 20 ℃/s 이하로 한다. 한편, v1 이 5 ℃/s 미만이면, 제조 효율이 저하되고, 비용이 증가된다. 그 때문에, v1 은 5 ℃/s 이상으로 한다.
또, 도 6 에, 평균 냉각 속도 v1 을 10 ℃/s 로 일정하게 했을 때의, 평균 냉각 속도 v2 (℃/s) 와 철손 W10/400 (W/㎏) 의 상관을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균 냉각 속도 v2 가 30 ℃/s 미만에서는 철손이 증가되었다.
이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서, 각 조건에서 얻어진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평균 N 함유량 [N] 을 측정하였다. 평균 냉각 속도 v2 (℃/s) 와 측정된 평균 N 함유량 [N] (ppm) 의 상관을 도 7 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평균 N 함유량 [N] 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도 7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평균 냉각 속도 v2 가 30 ℃/s 미만인 조건에서는, v2 가 30 ℃/s 이상인 경우에 비해서 [N] 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평균 냉각 속도 v2 가 30 ℃/s 미만에서는 강판의 질화에 의해서 철손이 증가되었다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방향성 전기 강판에 있어서는,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평균 N 함유량 [N] 을 40 ppm 이하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평균 냉각 속도 v2 를 30 ℃/s 이상으로 한다.
한편, 도 6, 7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평균 냉각 속도 v2 가 100 ℃/s 를 초과하면, 강 중 질소량은 30 ppm 이하임에도 불구하고, 철손이 증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평균 냉각 속도 v2 가 100 ℃/s 를 초과할 경우, 냉각 변형에 의해서 철손이 증가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평균 냉각 속도 v2 를 100 ℃/s 이하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아래에 기재하는 순서로 무방향성 전기 강판을 제조하고, 그 자기 특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Si : 2.0 ∼ 4.0 % 를 함유하는 강 슬래브를 준비하였다. 상기 강 슬래브의 성분 조성은, 전로에서 취련한 후에 탈가스 처리를 행함으로써 조정하였다. 이어서, 상기 강 슬래브를 1140 ℃ 에서 1 시간 가열한 후, 열간 압연을 행하여 판두께 2 ㎜ 의 열연 강판으로 하였다. 상기 열간 압연에 있어서의 열연 마무리 온도는 800 ℃ 로 하였다. 상기 열연 강판을 권취 온도 : 610 ℃ 에서 권취하고, 이어서, 900 ℃ × 30 s 의 열연판 어닐링을 실시하여 열연 어닐링판으로 하였다. 그 후, 상기 열연 어닐링판에 산세 및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냉연 강판으로 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냉연 강판에, SiCl4 분위기 중, 침규 처리 온도 1200 ℃ 에서 침규 처리를 실시하였다. 또한, 침규 처리의 승온 과정에서는 200 ℃ 부터 침규 처리 온도까지의 승온 속도를 10 ∼ 40 ℃/s 사이에서 변경하였다. 그 후, N2 분위기 중에서 표 1, 2 에 나타내는 조건에서 확산 처리, 냉각을 행하고, 표 1, 2 에 나타낸 판두께 t 를 갖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을 얻었다. 여기에서, 평균 냉각 속도 v1 은 확산 처리 온도부터 900 ℃ 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를 나타내고, 평균 냉각 속도 v2 는 900 ℃ 부터 100 ℃ 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를 나타낸다.
(조성)
얻어진 무방향성 전기 강판을 카본 몰드에 매립하고, EPMA (Electron Probe Micro Analyzer) 를 사용하여 판두께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Si 함유량 분포를 측정하였다. 강판의 판두께에 있어서의 Si 함유량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상기 평균치보다 Si 농도가 높은 부분을 표층부, 낮은 부분을 내층부로 하였다. 얻어진 결과로부터, 판두께 t 에 대한 표층부의 합계 두께 t1 의 비 t1/t, 표층부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 : [Si]1, 및 내층부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 : [Si]0 을 구하였다. 또, ICP 발광 분석법을 이용하여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전체 판두께의 평균 N 함유량 : [N] 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 2 에 병기한다.
또, 얻어진 무방향성 전기 강판에 함유되는 Si, N 이외의 성분에 대해서도, ICP 발광 분석법을 이용하여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평균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 2 에 나타낸다.
(내부 응력)
내부 응력의 측정에는 폭 30 ㎜, 길이 180 ㎜ 의 시험편을 사용하고, 샘플을 편면으로부터 불산에 의한 화학 연마를 실시하여, 연마 후의 샘플의 표면이 표층부와 내층부가 되도록, 그 샘플의 판두께 tS 가 t/2 로 될 때까지 연마하였다. 그 후, 샘플의 휨량으로부터, 하기 (2) 식을 사용하여 면내 인장 응력을 산출하였다.
면내 인장 응력 (㎫) = tS × E/(4 × r) … (2)
여기에서,
tS : 샘플의 판두께
E : 영률 = 190 ㎬
r : 곡률 반경 (㎜) 이다.
(집합 조직)
또, 얻어진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집합 조직을 조사하기 위해서,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판두께 1/4 까지 화학 연마하고, X 선을 이용하여 ODF 해석을 행하여, 방위 분포 함수의 Φ2 = 45°단면에 있어서의 {111} 면 집적도에 대한 {100} 면 집적도의 비 {100}/{111} 을 구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 2 에 병기한다.
(철손)
얻어진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각각으로부터, 폭 30 ㎜, 길이 180 ㎜ 의 시험편을 채취하고, 엡스타인 시험을 행하여, 최대 자속 밀도 : 1.0 T, 주파수 : 400 ㎐ 에 있어서의 철손 : W10/400 (W/㎏) 을 측정하였다. 상기 엡스타인 시험은, JIS C 2550-1 에 준하여, 25 ㎝ 엡스타인 프레임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또, 상기 엡스타인 시험에서는, 시험편의 길이 방향이 압연 방향 (L 방향) 이 되도록 채취한 L 방향 시험편과, 시험편의 길이 방향이 압연 직각 방향 (C 방향) 이 되도록 채취한 C 방향 시험편을 등량 사용하여, L 방향과 C 방향에 있어서의 자기 특성의 평균치를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 2 에 병기한다.
표 1, 2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은, 400 ㎐ 에 있어서의 철손이 낮다는,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었다. 이에 비해서,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에 있어서는, 철손이 열등하였다. 또한, 일부의 비교예에서는, 제조 도중에 강판이 파단되었기 때문에, 철손의 평가를 행할 수 없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실시예 2)
표 3 에 나타내는 성분을 함유하는 강 슬래브를 1140 ℃ 에서 1 시간 가열한 후, 열연 마무리 온도가 800 ℃ 인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판두께 2 ㎜ 의 열연 강판으로 하였다. 얻어진 열연 강판을 610 ℃ 에서 권취하고, 이어서, 950 ℃ × 30 s 의 열연판 어닐링을 실시하여, 열연 어닐링판으로 하였다. 그 후, 열연 어닐링판에 산세 및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표 3 에 나타낸 판두께를 갖는 냉연 강판으로 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냉연 강판에, SiCl4 + N2 분위기 중, 침규 처리 온도 1200 ℃ 에서 침규 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후, N2 분위기 중, 1150 ℃ 에서 확산 처리를 실시하고, 1150 ℃ 부터 900 ℃ 까지를 평균 냉각 속도 v1 : 20 ℃/s, 900 ℃ 부터 100 ℃ 까지를 평균 냉각 속도 v2 : 6 ℃/s 에서 냉각시켰다. 또, 침규 처리는 표층과 내층의 판두께 비 t1/t 가 0.40 이 되도록 처리하였다.
얻어진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각각에 대해서, 조성, 내부 응력, 집합 조직, 및 철손을,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에 병기한다.
표 3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Mn][S] 가 0.0030 이하인 무방향성 전기 강판은, [Mn][S] 가 0.0030 을 초과하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에 비해서, 더욱 철손이 저감되어 있었다.
Figure pct00003
1 : 무방향성 전기 강판
10 : 내층부
20 : 표층부

Claims (5)

  1. Si 함유량이 전체 판두께의 평균 Si 함유량 미만인 영역으로서 정의되는 내층부와, 상기 내층부의 양측에 형성된, Si 함유량이 전체 판두께의 평균 Si 함유량 이상인 영역으로서 정의되는 표층부로 이루어지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으로서,
    Si 와,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평균 함유량으로,
    C : 0.020 질량% 이하,
    Mn : 0.010 질량% ∼ 2.0 질량%, 및
    S : 0.0100 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층부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 [Si]1 이 2.5 ∼ 7.0 질량% 이며,
    상기 내층부에 있어서의 평균 Si 함유량 [Si]0 이 1.5 ∼ 5.0 질량% 인 성분 조성을 갖고,
    상기 표층부가 5 ∼ 50 ㎫ 의 면내 인장 응력을 갖고,
    상기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판두께 t 가 0.01 ∼ 0.35 ㎜ 이고,
    상기 판두께 t 에 대한 상기 표층부의 합계 두께 t1 의 비 t1/t 가 0.10 ∼ 0.70 이고,
    상기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평균 N 함유량 [N] 이 40 ppm 이하이고,
    최대 자속 밀도 : 1.0 T, 주파수 400 ㎐ 에 있어서의 철손 W10/400 (W/㎏) 과, 상기 판두께 t (㎜) 가 하기 (1) 식을 만족하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
    W10/400 ≤ 8 + 30t …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조성이,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평균 함유량으로,
    Al : 0.10 질량% 이하,
    P : 0.10 질량% 이하,
    Sn : 0.10 질량% 이하, 및
    Sb : 0.10 질량%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를 추가로 함유하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판두께의 1/4 의 깊이의 면에 있어서의 방위 분포 함수의 Φ2 = 45°단면에 있어서, {111} 면 집적도에 대한 {100} 면 집적도의 비 {100}/{111} 이 55 ∼ 90 % 인 집합 조직을 갖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조성이, 추가로 하기 (2) 식을 만족하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
    [Mn][S] ≤ 0.0030 … (2)
    단, [Mn], [S] 는 각각 Mn, S 의 전체 판두께에 있어서의 평균 함유량 (질량%) 이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방향성 전기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Si 함유량이 1.5 ∼ 5.0 질량% 인 강판에, SiCl4 분위기 중, 1000 ℃ 이상, 1300 ℃ 이하의 침규 처리 온도에서 침규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침규 처리 후의 강판에 N2 분위기 중, 950 ℃ 이상, 1300 ℃ 이하의 온도에서 확산 처리를 실시하며,
    상기 확산 처리 후의 강판을, 확산 처리 온도부터 900 ℃ 까지의 온도역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 v1 : 5 ∼ 20 ℃/s, 900 ℃ 부터 100 ℃ 까지의 온도역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 v2 : 30 ∼ 100 ℃/s 의 조건에서 냉각시키는, 무방향성 전기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227008618A 2019-10-03 2020-09-17 무방향성 전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Active KR102691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83100 2019-10-03
JP2019183100 2019-10-03
PCT/JP2020/035362 WO2021065555A1 (ja) 2019-10-03 2020-09-17 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223A true KR20220045223A (ko) 2022-04-12
KR102691108B1 KR102691108B1 (ko) 2024-08-05

Family

ID=7533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8618A Active KR102691108B1 (ko) 2019-10-03 2020-09-17 무방향성 전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2018357B2 (ko)
EP (1) EP4039832A4 (ko)
JP (1) JP7218794B2 (ko)
KR (1) KR102691108B1 (ko)
CN (1) CN114514332B (ko)
CA (1) CA3151160C (ko)
WO (1) WO20210655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57758A4 (en) * 2019-04-17 2022-06-22 JFE Steel Corporation NON-ORIENTED ELECTROMAGNETIC STEEL SHEET
JP7601068B2 (ja) * 2021-09-10 2024-12-1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ロータコア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モータ
WO2023132198A1 (ja) * 2022-01-07 2023-07-1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無方向性電磁鋼板
CN118414443A (zh) * 2022-01-07 2024-07-30 杰富意钢铁株式会社 无方向性电磁钢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3422A (ja) 1998-04-07 1999-10-26 Nkk Corp 高周波鉄損の極めて低い珪素鋼板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8750B2 (ja) * 1991-06-28 1996-08-28 日本鋼管株式会社 均質で優れた磁気特性をもつ高珪素鋼板の製造方法
JP2639256B2 (ja) * 1991-10-31 1997-08-06 日本鋼管株式会社 Si拡散浸透処理法により製造される磁気特性および機械特性の優れた高珪素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140298A (ja) * 1996-11-07 1998-05-26 Nkk Corp 低騒音・低残留磁束密度の無方向性けい素鋼板
JPH11199988A (ja) * 1998-01-13 1999-07-27 Nkk Corp シリコンの濃度勾配を有するけい素鋼板
JP4073075B2 (ja) 1998-03-12 2008-04-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周波鉄損W1/10kの低い珪素鋼板
JP2000045053A (ja) * 1998-07-29 2000-02-15 Nkk Corp 鉄損の低い方向性珪素鋼板
KR100334860B1 (ko) 1998-03-12 2002-05-02 야마오카 요지로 규소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5993568A (en) 1998-03-25 1999-11-30 Nkk Corporation Soft magnetic alloy sheet having low residual magnetic flux density
JPH11307353A (ja) * 1998-04-17 1999-11-05 Nkk Corp 高効率リラクタンスモータ
JPH11307352A (ja) * 1998-04-17 1999-11-05 Nkk Corp 高効率モータ
JP2005120403A (ja) 2003-10-15 2005-05-12 Jfe Steel Kk 高周波域の鉄損が低い無方向性電磁鋼板
CN101122022A (zh) * 2007-09-12 2008-02-13 河北理工大学 一种Fe-6.5Wt%Si软磁钢片的制备方法
JP5446377B2 (ja) 2008-03-31 2014-03-1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199721B (zh) * 2010-03-25 2013-03-1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高硅无取向冷轧薄板的制造方法
JP5854182B2 (ja) 2010-08-30 2016-02-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5644680B2 (ja) 2011-06-01 2014-12-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67713B2 (ja) * 2012-01-27 2016-02-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電磁鋼板
JP6024867B2 (ja) 2012-02-06 2016-11-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打ち抜き加工後の鉄損特性に優れるモータコア用鋼板
JP6260800B2 (ja) 2014-07-31 2018-01-1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無方向性電磁鋼板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モータコアとその製造方法
CA2992966C (en) 2015-09-17 2020-04-28 Jfe Steel Corporation High-silicon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7170749A1 (ja) * 2016-03-31 2017-10-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BR112019014799B1 (pt) 2017-02-07 2023-10-24 Jfe Steel Corporation Método para produção de chapa de aço elétrico não orientado, método para produção de núcleo de motor e núcleo de motor
JP7334673B2 (ja) * 2019-05-15 2023-08-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3422A (ja) 1998-04-07 1999-10-26 Nkk Corp 高周波鉄損の極めて低い珪素鋼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14332A (zh) 2022-05-17
WO2021065555A1 (ja) 2021-04-08
CN114514332B (zh) 2023-03-14
JP7218794B2 (ja) 2023-02-07
KR102691108B1 (ko) 2024-08-05
CA3151160C (en) 2023-10-31
CA3151160A1 (en) 2021-04-08
US20220290287A1 (en) 2022-09-15
US12018357B2 (en) 2024-06-25
EP4039832A1 (en) 2022-08-10
JPWO2021065555A1 (ja) 2021-11-25
EP4039832A4 (en)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9136B1 (ko) 무방향성 전자 강판 및 무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US9466411B2 (en)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KR102691108B1 (ko) 무방향성 전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9846B1 (ko) 전자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TWI665313B (zh) 無方向性電磁鋼板及其製造方法
JP2023507777A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20136993A1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492613A1 (en) Hot-rolled steel sheet for grain-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production method for grain-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JP6855894B2 (ja) 無方向性電磁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2537947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grain-oriented electromagnetic steel sheet
JP2018178198A (ja) 無方向性電磁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99994B1 (ko)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및 방향성 전자 강판
EP391309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EP3653757B1 (e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JP7331802B2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23234B2 (ja) 電磁鋼板
WO2023149269A1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57835B2 (ja) 低温酸化被膜形成処理用軟磁性鋼板および軟磁性鋼板、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3293101A (ja) 歪取焼鈍後の磁気特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無方向性電磁鋼板
JP2022074677A (ja) 磁気特性に優れた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692452B (zh) 无方向性电磁钢板
KR20250021920A (ko)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JP2003027139A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20240147181A (ko)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