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08892A -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 Google Patents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892A
KR20220008892A KR1020217041021A KR20217041021A KR20220008892A KR 20220008892 A KR20220008892 A KR 20220008892A KR 1020217041021 A KR1020217041021 A KR 1020217041021A KR 20217041021 A KR20217041021 A KR 20217041021A KR 20220008892 A KR20220008892 A KR 20220008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transporting
tank
tanks
storing liq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수아 뒤랑
세바스티앙 델라노에
베르트랑 부그니코트
다미앵 브르낙
브누아 뮈로
세바스티앙 레오나르
Original Assignee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filed Critical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ublication of KR20220008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892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4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by insulating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57Polyg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75Thermal insulations by gas
    • F17C2203/0379Ine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23Moun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number of vessels
    • F17C2205/013Two or more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52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52Pipes
    • F17C2205/0355Insul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88Arrangement of valves, regulators, filters
    • F17C2205/0391Arrangement of valves, regulators, filters inside the pressure vess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5Propane butane,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47Composition; Humidity
    • F17C2250/0452Concentration of a pro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86Indicating or measuring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 F17C2250/0491Parameters measured at or inside the vess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6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arameters as output values
    • F17C2250/0605Parameters
    • F17C2250/0642Composition; Humidity
    • F17C2250/0647Concentration of a pro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7Handling leaked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8Detecting leaked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4Reducing risks and environmental impact
    • F17C2260/042Reducing risk of explo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1)로 구성되는데, 탱크(1)는 절연층(2, 3), 및 절연층(2, 3)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가스 누출물의 배출을 보장하는 오염 제거 시스템을 포함하고, 탱크(1)는 액체 가스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내부 체적(4)을 한정하는 밀봉 멤브레인(5)을 포함하고, 내부 체적(4)은 중앙 수평면(200)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할되고, 오염 제거 시스템은 절연층(2, 3) 내부에서 연장되는 합성 수직 부분(82)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오염 제거 덕트(8)를 포함하고, 절연층(2, 3)은 연도를 포함하고, 합성 수직 부분(82)은 연도 내부에서 연장되고, 합성 수직 부분(82)은 중앙 수평면(200)과 바닥면(100) 사이에서 절연층(2, 3) 내에 개방되는 오리피스(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본 발명은 액체 가스(liquid gas)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체 가스의 해상 운송 및/또는 저장 분야에 관한 것이다.
메탄 탱커 유형의 선박 산업에서, 매우 낮은 증발 온도를 갖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할 때 그 가스를 액체 상태로 낮은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액체 가스는 밀봉 멤브레인(sealed membrane)에 의한 밀봉 및 단열층에 의한 열 보호 둘 모두를 제공하는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한 탱크 내에 저장된다.
탱크의 밀봉은 다량의 절연층과 상호 작용하는 감시 시스템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오염 제거 시스템은 예컨대 탱크로부터의 누출에 뒤이은 탱크 내에 수용된 기체 상태의 액체 가스에 의한 절연층의 침입을 중화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밀봉 멤브레인의 밀봉 결함이 있는 경우, 액체 가스가 단열층 내로 침투하고 증발하여 절연층 내에서 확산할 수 있다. 이러한 침입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오염 제거 시스템은 절연층을 침입하는 화물로부터의 가스를 흡인할 수 있는 배관을 포함한다.
액화 천연가스(LNG)를 운송하는 경우 및 특히 질소를 사용하는 불활성 기능을 포함하는 오염 제거 시스템의 경우, 오염 제거 시스템은 특히 탱크의 천장벽 높이에서 절연층 중 하나로 개방되는 배관을 포함한다. 질소는 기체 상태의 천연가스보다 밀도가 높기 때문에, 단열층의 침입은 단열층의 상부 부분, 특히 탱크의 천장벽의 높이에서의 기체 상태의 천연가스의 축적에 반영되며, 이는 해당 구역 내에 개방되는 오염 제거 시스템의 배관이 기체 상태의 천연가스를 흡인하게 할 수 있다.
탱크가 침입 전에 단열층에 존재하는 가스(예컨대 질소)의 밀도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가스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경우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액화 석유 가스(LPG)의 경우이다. 실제로, LPG는 탄화수소, 특히 프로판 및/또는 부탄을 함유하며, 이는 LNG에 존재하는 탄화수소보다 더 무겁다. 따라서, LPG는 불활성 가스로 사용되는 질소보다 밀도가 높다. 따라서, 현재 알려진 오염 제거 시스템은 오염 제거 시스템에 사용되는 가스의 증기 밀도보다 증기 밀도가 높은 가스가 탱크에 수용되어 있으면 작동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오염 제거 시스템에 사용되는 가스의 밀도보다 밀도가 높은 가스의 운송 및/또는 저장과 호환되는 오염 제거 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데, 운송되는 가스는 예컨대 LPG인 반면에 불활성 가스는 예컨대 질소이다.
본 발명은,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로서,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 및 절연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가스 누출물의 배출을 보장하는 오염 제거 시스템을 포함하고, 탱크는 액체 가스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내부 체적을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내부 체적은 중앙 수평면(horizontal median plane)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할되고, 오염 제거 시스템은 절연층 내부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합성 수직 부분(vertical resultant section)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오염 제거 덕트를 포함하고, 절연층은 적어도 하나의 연도(flue)를 포함하고,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은 연도 내부에서 연장되고, 합성 수직 부분은 중앙 수평면과 탱크의 바닥벽을 통과하는 바닥면 사이에서 절연층 내에 개방되는 오리피스(orifice)를 포함한다.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탱크는 예컨대 육상 또는 해상의 임의의 유형의 차량 또는 설비에 대해 작동한다. 본 발명은 멤브레인 탱크가 장착된 LPG를 운송하기 위한 선박에서 유리한 용도를 발견한다.
탱크 내에 수용된 가스는 그 가스의 기체 상태에서의 밀도가 탱크 불활성화에 사용되는 가스의 기체 상태에서의 밀도보다 높은 가스이다. 가스는 탱크의 내부 체적에 액체 상태로 수용되어 있으며, 내부 체적은 절연층의 밀봉 멤브레인에 의해 한정된다. 밀봉 멤브레인은 예컨대 인바(invar) 또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되며 함께 용접되어 관련 층의 밀봉을 보장하는 복수의 금속 플레이트 또는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탱크의 내부 체적은 중앙 수평면에 의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 개의 체적 부분으로 분할된다. 환언하면, 탱크의 바닥벽과 탱크 천장벽 사이에서 측정이 실행되는 경우, 당해 평면은 동일한 측정값을 2로 나눈, 바닥면에 평행한 지점을 통과한다.
탱크는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절연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가스 누출물의 탐지 및/또는 배출을 보장하는 오염 제거 시스템을 포함한다. 오염 제거 시스템은 복수의 덕트, 특히 절연층 내에 위치된 오염 제거 덕트를 포함한다. 불활성 가스가 절연층 내에 주입되거나 절연층으로부터 흡인되며, 예컨대 탱크 외부의 압축기에 대한 연결로 인해, 잠재적 누출에서 유래하는 가스가 흡인되는 것은 바로 이 오염 제거 덕트를 통해서이다.
합성 수직 부분은 수직축에 대해 45° 미만인 축을 따라 연장되는 덕트 부분을 의미한다.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은 탱크가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경우 임의의 절연층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이 절연층 내부를 순환하게 하기 위해, 절연층 내부에 통로가 생성되어, 관련 절연층을 통과하는 연도를 형성한다. 이 연도의 존재에 의해, 오염 제거 덕트의 적어도 합성 수직 부분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은 수평면과 탱크의 바닥벽을 통과하는 평면 사이에서 절연층 내에 위치된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의 오리피스까지 절연층 내에서 하강한다. 환언하면,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의 오리피스는 탱크의 내부 체적의 하부 부분의 임의의 지점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오리피스는 바닥면과 바닥면에 평행하며 바닥면 위로 230㎜±100㎜에 위치된 평면 사이에서 절연층 내에 개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오리피스는 바닥면과 바닥면에 평행하며 바닥면 위로 230㎜±15%에 위치된 평면 사이에서 절연층 내에 개방된다. 환언하면, 오리피스는 탱크의 내부 체적을 두 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나누는 수평면보다 바닥벽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더 가깝고, 보다 구체적으로 수평면은 바닥벽에 의해 형성된 평면보다 500㎜±10% 더 높다. 이것은 탱크에서 누출된 기체 상태의 LPG가 오염 제거 덕트를 통해 흡인될 수 있는 구역이다. 본 발명자들은 사실상 오염 제거 덕트가 탱크의 바닥벽에 의해 형성된 평면 너머로 하강하게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탱크 바닥벽에 의해 형성된 평면 아래에 탱크의 모서리 부분이 있고 이들 모서리 부분의 높이에 연도를 배열하는 것이 훨씬 더 복잡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그 대안예는 더욱 구속적이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운송 탱크는 각각 밀봉 멤브레인 및 단열층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1차 절연층 및 하나의 2차 절연층을 포함하며, 연도는 1차 절연층 또는 2차 절연층 내에 형성된다.
탱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절연층을 갖는 것은 열 손실을 제한한다. 환언하면,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탱크는 보다 효과적인 열 보호를 갖는다. 각각의 절연층은 탱크의 밀봉을 보장하는 밀봉 멤브레인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단열층의 구성요소에 의해 열 보호를 보장하는 단열층을 포함한다. 탱크가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경우, 1차 절연층은 밀봉 멤브레인을 통해 탱크의 내부 체적을 한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1차 절연층 및/또는 2차 절연층의 단열층은 연도가 그 사이로 통과하는 복수의 박스 부분 또는 패널을 포함한다.
이들 박스 부분은 유리솜(glass wool) 또는 펄라이트(perlite)와 같은 단열재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패널로 충전되어 단열성을 보장한다. 탱크의 1차 절연층 및/또는 2차 절연층 내에서의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의 통과를 보장하기 위해, 박스 부분 및/또는 패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앞서 언급한 연도를 구획하도록 절연층 내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오리피스는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의 일부의 자유 단부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많은 것들 중에서도 특히 흡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오염 제거 덕트의 오리피스는 중앙 수평면과 바닥면 사이에, 유리하게는 바닥면 위로 230㎜±100㎜, 즉 130㎜ 내지 330㎜에 배치되어야 한다. 오염 제거 덕트의 오리피스는 유리하게는 바닥면 위로 230㎜±15%, 즉 195.5㎜ 내지 264.5㎜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의 자유 단부에 있는 오리피스를, 오리피스가 가능한 한 바닥면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오염 제거 덕트는 합성 수직 부분에 연결되며 적어도 2차 절연층의 2차 단열층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부분을 포함한다. 오염 제거 덕트의 입구 부분은 수평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예컨대 엘보(elbow)에 의해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에 연결된다.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이 내부에 위치되는 절연층의 기능으로서, 오염 제거 덕트의 입구 부분은 탱크의 절연층의 하나 또는 두 개의 단열층을 통과한다. 오염 제거 덕트는 탱크 외부로, 예컨대 탱크 외부의 압축기로 연장되는데, 이는 관련 층을 침입하는 가스의 흡인 또는 불활성 가스의 주입과 같은 작업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은 단열재에 의해 연도 내에 고정된다. 연도의 존재는 열교(thermal bridge), 즉 열이 통과하는 우선 경로(preferential path)를 생성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재 및 연도 내에서 오염 제거 덕트를 둘러싸는 공간에 의해 오염 제거 덕트를 단열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이러한 단열재는 절연층의 박스 부분에 지지됨으로써, 수십 미터에 걸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는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을 고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을 고정한다는 것은 단열재가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의 열 팽창을 수용하기 위해 탱크의 종방향, 탱크의 횡방향으로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을 고정하고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남겨두는 것을 의미한다.
단열재 설계에는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단열재는 예컨대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을 둘러싸는 적어도 2개의 하프-쉘(half-shell)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프-쉘은 예컨대 팽창 발포체(expanded foam)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하프-쉘은 그들이 둘러싸고 있는 관에 대해 대칭이거나, 또는 비대칭일 수도 있다. 각각의 하프-쉘은 오염 제거 덕트가 원형인 경우, 예컨대 원호 형상과 같이 오염 제거 덕트와의 형상의 상보성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을 특징으로 한다. 하프-쉘이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 주위에 배치되면, 오염 제거 덕트는 예컨대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단열재의 다른 실시예는 연도를 예컨대 유리솜으로 충전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연도 내에 존재하는 유리솜의 양은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에 대한 압축력의 인가 및 단열 역할의 실행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연도의 횡방향 치수는 탱크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이 내부에서 연장되는 절연층 내에 위치된 공간의 횡방향 치수보다 크다. 탱크가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경우, 지지 기둥은 2차 절연층을 통과하여, 2차 절연층을 구성하는 박스 부분 또는 패널을 적소에 고정한다. 지지 기둥은 또한 1차 절연층을 구성하는 박스 부분 또는 패널을 적소에 고정함으로써 1차 절연층의 절연층을 고정한다.
지지 기둥이 2차 절연층을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2차 절연층의 단열층의 두 박스 부분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며, 지지 기둥이 이 간극을 통과한다. 그러나, 이 공간은 평행한 직선을 따라 측정한 연도의 횡방향 치수보다 작다. 지지 기둥이 연장되는 공간의 횡방향 치수와 연도의 횡방향 치수 사이의 이러한 치수 차이는, 이들 치수가 평행한 직선을 따라 측정되며 동일한 평면에 내접하고 있는 한, 치수를 측정할 수 있는 임의의 측정기를 사용하여 비교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배튼(batten)은 연도의 한 측면을 폐쇄하고, 밀봉 멤브레인이 놓이는 지지면을 형성한다. 배튼은 연도를 따라 연장되고,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의 단열재는 이러한 종류의 배튼에 대해 지지된다. 배튼은 예컨대 합판, 또는 절연층의 단열층을 형성하는 박스 부분 및/또는 패널의 재료와 유사한 임의의 강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 배튼의 기능은 연도의 양 측면 각각에 배열되는 두 개의 박스 부분 및/또는 패널을 연결하여 연도를 형성하는 재료의 브리지(bridge)를 형성하는 것이다. 배튼은 관련된 밀봉 멤브레인이 놓이는 박스 부분 및/또는 패널의 벽과 정렬된다. 즉, 배튼은 박스 부분 및/또는 패널의 벽과 일렬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평평한 표면은 단열층 내부에 연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열층에의 밀봉 멤브레인의 최적 배치를 보장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오염 제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탐지관(detection tube)을 포함하고, 탐지관은 적어도 2차 절연층의 2차 단열층을 통과하는 제 1 부분 및 탱크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따라 연장되며 중앙 수평면과 바닥면 사이에 개방된 개구(mouth)를 포함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탐지관은 가스 샘플을 채취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하는 탭핑(tapping)이다. 오염 제거 덕트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종류의 탐지관은 탱크의 적어도 하나의 단열층을 통과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탐지관의 이 부분을 제 1 부분이라고 한다.
탐지관의 제 2 부분은 수직 단면에서 보았을 때 탱크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며 탱크의 종방향에 수직인 복수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탐지관의 제 2 부분은 탱크의 측벽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연장되고, 탱크 바닥벽을 통과하는 바닥면과 중앙 수평면 사이에서 절연층 내에 개방되는 개구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탐지관의 개구와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의 오리피스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하여 이들 각자의 기능을 처리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는 탐지관의 제 2 부분이 내부에서 연장되는 채널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박스 부분 또는 패널을 포함한다.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과 마찬가지로, 탐지관의 제 2 부분의 통과를 보장하기 위해 채널을 생성하는 것이 예상된다. 채널은 탱크의 측벽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연장되며 탐지관의 제 2 부분의 프로파일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탐지관은 고정 부재에 의해 박스 부분에 대해 고정된다. 탐지관의 제 2 부분은 상당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탐지관의 제 2 부분의 중량과 관련된 모든 종류의 기계적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그 중량이 지지되어야만 한다. 탐지관의 제 2 부분은 예컨대 박스 부분의 합판 벽에 나사 고정된 브래킷 또는 임의의 다른 고정 부재에 의해 절연층의 박스 부분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오염 제거 덕트 및/또는 탐지관은 결합 슬리브에 의해 연결되는 세그먼트(segment)(들)를 포함한다. 오염 제거 덕트 및/또는 탐지관의 세그먼트들 사이에 결합 슬리브가 존재하면, 오염 제거 시스템의 배관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용접을 제한함으로써 조립을 단순화할 수 있다. 결합 슬리브와 이와 관련된 관 또는 덕트 사이의 밀봉 및 기계적 연결은 강제 끼워맞춤,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오염 제거 덕트의 입구 부분 및 탐지관의 제 1 부분은 2차 절연층의 부싱(bushing) 내에 배치되고, 부싱은 탱크를 운반하는 선박의 코퍼댐(cofferdam) 내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염 제거 덕트 및 탐지관은 탱크의 2차 밀봉 멤브레인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하는 각자의 입구 및 제 1 부분을 갖는다. 이들 부분은 예컨대 오염 제거 덕트를 통한 불활성 가스의 주입 또는 흡인, 또는 탐지관을 통해 샘플링되며 절연층 중 하나를 통과하는 불활성 가스 분석과 같은 특정 작업을 촉발할 수 있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탱크 외부의 시스템에 연결된다.
오염 제거 덕트의 입구 부분과 탐지관의 제 1 부분은 오염 제거 덕트의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입구 부분과 합성 수직 부분 사이의 접합부까지, 그리고 탐지관의 경우에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접합부까지 각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부싱 내부에 배치된다. 이 부싱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밀봉 기능 및 기계적 유지 기능을 갖는다.
부싱은 탱크를 넘어 기능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선박의 코퍼댐까지 연장되며 코퍼댐 벽을 통과한다. 부싱은 오염 제거 덕트의 입구 부분과 탐지관의 제 1 부분을 수용하는 관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부싱은 오염 제거 덕트의 입구 부분과 탐지관의 제 1 부분이 통과하는 구멍을 구비한 덮개를 포함한다. 이 덮개는 부싱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파티션(partition)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선박의 코퍼댐 내에 위치하며 부싱의 일 단부를 폐쇄한다. 오염 제거 덕트와 탐지관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덮개에는 오염 제거 덕트의 입구 부분과 탐지관의 제 1 부분의 통과를 허용하는 구멍이 제공된다. 이들 구멍은 오염 제거 덕트의 입구 부분과 탐지관의 제 1 부분의 치수보다 큰 치수를 갖지만, 이들 구멍은 오염 제거 덕트의 입구 부분과 탐지관의 제 1 부분과 덮개 사이의 밀봉을 보장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오염 제거 덕트의 입구 부분은 지지체에 의해 부싱 내에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염 제거 덕트는 상당한 치수를 가지며,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은 수십 미터만큼 연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요인은 오염 제거 덕트의 입구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의 중량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오염 제거 덕트의 입구 부분은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의 중량을 받으며 그 힘을 더 잘 견딜 수 있도록 기계적 지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 지지체는, 입구 부분을 적소에 고정하고 그에 따라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에 의해 생성된 중량에 저항하는 향상된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오염 제거 덕트의 입구 부분 아래에 배치되고 부싱 상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부싱은 파이프 및 파이프와 일렬로 배치된 금속 실린더를 포함하고, 금속 실린더는 2차 절연층의 2차 밀봉 멤브레인을 통과한다. 환언하면, 파이프는 코퍼댐 내에 위치하고, 2차 절연층의 일부 내에서 연장된다. 금속 실린더는 2차 절연층의 레벨에서 파이프와 일렬로 위치하며, 1차 절연층 내로 연장되고, 2차 절연층의 2차 밀봉 멤브레인을 통과한다. 금속 실린더는 예컨대 인바와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금속 실린더는 오염 제거 덕트의 입구 부분과 탐지관의 제 1 부분을 둘러싸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전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탱크를 포함하는 수송선, 및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전술한 바와 같은 탱크 내에 수용된 액체 가스를 로딩(loading) 또는 오프로딩(offloading)하는 방법, 또는 그러한 종류의 선박에 대해 액체 가스를 로딩 또는 오프로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한편으로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첨부된 개략도를 참조하여 지시적이고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제공된 여러 예시적 실시예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방향 수직면에서의 운송 및/또는 저장 탱크의 개략도이다.
도 2는 횡방향 수직면에서의 운송 및/또는 저장 탱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의 절연층의 단열층의 두 개의 박스 부분 또는 패널 사이에 배치된 단열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단열재 실시예에 의해 둘러싸인 오염 제거 덕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방향 및 횡방향의 평면에서의 절연층 내부의 단열 덕트 및 연도의 배치에 대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절연층 내의 탐지관의 배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된 도 6의 탐지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결합 슬리브에 의해 연결된 오염 제거 시스템의 덕트 또는 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절연층 구조의 부싱 높이에서의 오염 제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및 이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아래의 설명에서, 참조부호 LV, VT 및 LT는 상세한 설명의 다양한 요소들의 배향(orientation)을 나타낸다. 종방향(L)은 절연층에 수직으로 절연층을 통과하는 방향에 평행한 축에 해당하고, 수직방향(V)은 수직축에 해당하며, 횡방향(T)은 종축(L)과 수직축(V)에 직각인 축에 해당한다.
도 1은 이하 발명의 설명 전체에 걸쳐서 탱크(1)로 지칭될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1)의 종방향 수직면(L, V)에서의 개략도이다. 탱크(1)는 예컨대 선박 내에 배치되기에 적합하다. 여기에서, 탱크(1)는 이 수직면(L, V)에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1)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2, 3) 및 유리하게는 2개의 개별 단열층을 포함한다. 하기의 설명은 이들 2개의 절연층을 언급하지만, 이 설명은 예로서 주어지며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절연층 및 오염 제거 시스템이 존재하는 즉시 인식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복수의 절연층의 기술적 특징은 단일 절연층이 장착된 탱크에 준용된다.
탱크(1)는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한다. 절연층은 열 보호 기능과 밀봉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 열 보호 기능은 예컨대 절연층 내부에 위치된 박스 부분 또는 패널에 의해 제공되는데, 이들은 박스 부분의 경우에는 예컨대 유리솜 또는 펄라이트로 충전되며 패널의 경우에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탱크(1)는 1차 절연층(2) 및 2차 절연층(3)을 포함하고, 2차 절연층(3)은 1차 절연층(2)을 둘러싸고 있다. 1차 절연층(2)을 2차 절연층(3)으로 보강한다는 사실은 예컨대, 누출과 같은 사고 발생 시에 탱크(1)에 이중 보호를 부여하는 동시에, 탱크 내에 수용된 유체를 단열한다.
각 절연층은 적어도 하나의 벽(그와 달리 밀봉 멤브레인이라고도 함)에 의해 구획된다. 1차 절연층(2)은 1차 밀봉 멤브레인(5) 및 2차 밀봉 멤브레인(6)에 의해 구획되며, 2차 밀봉 멤브레인(6)은 2차 절연층(3)의 일부를 형성한다. 1차 밀봉 멤브레인(5)은 탱크(1)의 전체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탱크(1)의 내부 체적(4)을 구획한다. 여기에서는 액체 표면(25)에 의해 예시된 액체 가스가 저장되는 것은 바로 이 내부 체적(4)의 내부이며, 이 액체 가스는 1차 밀봉 멤브레인(5)의 내면과 접촉한다. 액체 가스는 예컨대 액화 석유 가스,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기체 상태에서의 밀도가 관련 절연층 내에 존재하는 가스의 기체 상태에서의 밀도보다 높은 가스일 수도 있다.
1차 절연층(2)과 2차 절연층(3) 사이의 경계는 2차 밀봉 멤브레인(6)에 의해 한정되며, 2차 밀봉 멤브레인(6)도 탱크(1)의 전체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2차 절연층(3)은 2차 밀봉 멤브레인(6) 및 선박의 코퍼댐 벽(7)에 의해 구획된다. 1차 밀봉 멤브레인(5) 및 2차 밀봉 멤브레인(6)은 금속(예컨대, 인바 또는 스테인리스강)의 파티션, 플레이트 또는 스트립의 형태를 취하여 탱크(1)를 밀봉한다. 1차 밀봉 멤브레인(5) 레벨에서 누출이 발생하는 경우, 가스는 2차 밀봉 멤브레인(6)에 의해 1차 절연층(2) 내에 포함된다. 선박의 코퍼댐 벽(7)은 1차 밀봉 멤브레인(5) 및 2차 밀봉 멤브레인(6)에 누출이 있는 경우 두 번째 정도의 보호를 제공한다.
탱크(1)는 1차 밀봉 멤브레인(5)의 일부에 의해 구획되는 통로(26)를 포함한다. 통로(26)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탱크(1)의 로딩 및/또는 오프로딩을 위한 타워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탱크(1)의 내부 체적(4)은 중앙 수평면(200)에 의해 분할된다. 따라서, 중앙 수평면(200)은 2개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체적 부분, 즉 중앙 수평면(200)과 탱크(1)의 바닥벽(28) 사이에 위치한 하부 부분(41) 및 중앙 수평면(200)과 탱크(1)의 천장벽(29) 사이에 위치한 상부 부분(42)을 구획한다. 환언하면, 중앙 수평면(200)은 바닥벽(28)과 천장벽(29) 사이의 중간, 즉, 내부 체적(4)을 2로 나눈 수직방향(V) 치수에 위치된다. 또한, 바닥면(100)이 도시되어 있다. 바닥면(100)도 수평이며 탱크(1)의 바닥벽(28)을 통과한다.
탱크(1)는 적어도 하나의 오염 제거 덕트(8)를 구비한 오염 제거 시스템을 포함한다. 오염 제거 덕트(8)의 구체적인 기능은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는 것이다. 오염 제거 덕트는 또한 탱크(1)로부터 1차 절연층(2)으로의 누출이 탐지된 경우 활성화될 수 있는 흡인 기능을 갖는다.
오염 제거 덕트(8)는 입구 부분(81), 합성 수직 부분(82), 및 오염 제거 덕트(8)의 자유 단부(84)에 위치한 오리피스(83)를 포함한다. 입구 부분(81)은 전체적으로 수평이며, 아래에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 같이 탱크(1)의 적어도 하나의 단열층을 통과한다. 합성 수직 부분(82)은 입구 부분(81)에 연결되고, 오리피스(83)까지 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합성 수직 부분(82)은 수직축(V)에 대해 45° 미만의 축을 따라 연장되는 덕트 부분을 의미한다. 이는 합성 수직 부분(82)이 관련 절연층의 하부 부분과 결합하도록 완전히 수직인 직선을 따라 연장되거나 수직축에 대해 45° 미만의 각도로 기울어진 직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은 탱크(1)의 절연층 중 하나의 내부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도 1은 탱크(1) 내부의 오염 제거 덕트(8)의 위치를 예시하는 두 가지 실시예를 보여주며, 이 두 가지 실시예는 대안적이거나 누진적이다.
도 1의 좌측에 있는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은 1차 절연층(2) 내에서 오리피스(83)까지 연장된다. 그러므로, 오염 제거 덕트(8)의 입구 부분(81)은 선박의 코퍼댐 벽(7) 및 2차 밀봉 멤브레인(6)을 통과한다. 도 1의 우측에 있는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은 주로 2차 절연층(3) 내에서 연장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리피스(83)가 1차 절연층(2) 내에 개방되므로,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은 오리피스(83)를 통해 1차 절연층(2) 내에 개방되도록 2차 밀봉 멤브레인(6)을 통과한다. 따라서, 오염 제거 덕트(8)의 이 실시예에서는 입구 부분(81)이 선박의 코퍼댐 벽(7)만을 통과한다.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이 통과하는 절연층이 어느 것이든,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이 내부에서 연장되는 통로가 절연층 내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이 내부에 위치하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박스 부분 또는 패널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도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염 제거 덕트(8)의 오리피스(83)는 1차 절연층(2) 또는 2차 절연층(3) 내에 개방된다. 불활성 가스가 방출 또는 진입하거나, 또는 탱크 층의 침투로 인한 흡인 작업 중에 오염 제거 덕트(8)에 의해 흡인된 임의의 유체가 진입하는 것은 예컨대 이 오리피스(83)를 통해서이다. 오리피스(83)는 중앙 수평면(200)과 탱크 바닥벽(28)을 통과하는 바닥면(100)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특정한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이 위치는 1차 밀봉 멤브레인(5)의 밀봉 결함에 이어서 발생할 수도 있는 탱크(1)의 내부 체적(4)으로부터의 임의의 가스 누출물의 흡인을 가능케 하는데, 왜냐하면 가스 누출물은 침투된 절연층 내에 존재하는 불활성 가스보다 밀도가 더 높기 때문이다.
오리피스(83)는 유리하게는 탱크 바닥벽을 통과하는 바닥면(100)과 바닥면(100)에 평행하며 바닥면(100) 위로 500㎜±10%에 위치된 평면(110) 사이에 개방될 수도 있다. 이 위치는, 탱크(1)의 내부 체적(4)에 수용된 액체 가스의 기체 상태가 그 층에 존재하는 가스보다 더 밀도가 높다고 가정하면 탱크(1)의 1차 절연층(2)의 최적의 흡인에 이상적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지만 횡방향 평면에서의 단면으로 도시된 탱크(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관점에서 보면, 탱크(1)는 실질적으로 팔각형 형상을 가지며, 이 형상 중 긴 변은 바닥벽(28) 및 천장벽(29)에 해당하는 변이다. 이것은 또한 탱크(1)의 각각의 절연층 및 그들을 구성하는 밀봉 멤브레인에 대한 경우이다.
오염 제거 시스템(10)의 요소들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은 도면의 중앙에 위치되는데, 도 2에서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오염 제거 덕트(8)의 이 합성 수직 부분(82)은 바닥벽(28) 부근에서 개방될 때까지 천장벽(29)으로부터 수직방향(V)으로 연장되고, 오리피스(83)는 중앙 수평면(200)과 바닥면(100) 사이, 유리하게는 바닥면(100)과 평면(110) 사이에서 관련 절연층 내에 개방된다.
또한, 점선으로 표시된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은 연도(18) 내에서 연장된다.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은 도 1의 좌측에 보이는 오염 제거 덕트(8)를 위치시키는 방법의 경우처럼 1차 절연층(2) 레벨에서 시작한다.
도 2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염 제거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2개의 탐지관(9), 보다 정확하게는 2개의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을 도시한다. 탐지관(9)은 또한 도면에서 보이지 않지만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는 제 1 부분을 포함한다.
탐지관은 1차 절연층(2) 내부의 탭핑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 탭핑은 가스 샘플을 채취하고 이것을 분석하여, 초기에 탱크(1)의 내부 체적에 담겨 있던 가스의 증기상이 1차 절연층(2)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는 탱크(1)로부터의 누출과 같은 의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1)는 적어도 하나의 탐지관(9)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2개의 탐지관(9)을 포함하지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탐지관에 적용된다.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은 탱크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32)을 따라 연장된다. 환언하면,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은 예컨대 1차 밀봉 멤브레인(5)에 의해 형성된 실질적으로 팔각형인 형상을 따른다. 2개의 탐지관의 존재는 각각 탱크의 측벽(32)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제 2 부분(92)의 존재로 이어지며, 상기 측벽(32)은 서로 대향하는 측벽이며 바닥벽을 천장벽과 연결한다. 따라서, 2개의 제 2 부분(92)은 탱크(1)의 측면을 거쳐서 내부 체적(4)을 둘러싼다.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은 탱크(1)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32)을 따라 연장되고, 1차 절연층(2) 내에 개방되는 개구(93)에서 종료된다. 개구(93)는 중앙 수평면(200)과 탱크(1)의 바닥벽(28)을 통과하는 바닥면(100) 사이, 유리하게는 바닥면(100)과 바닥면(100)에 평행한 평면(110) 사이에 위치된다. 마찬가지로, 개구(93)는 1차 절연층(2) 내부에 위치된다.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과 같이,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은 1차 절연층(2) 또는 2차 절연층(3) 중 하나 내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개구(93)는 유리하게는 탐지관(9)으로 인해 실행되는 샘플링 및 분석과 일관된 방식으로 오염 제거 덕트를 사용하기 위해 오리피스(8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탐지관(9)은 탱크(1)로부터의 오염 제거에 관여한다. 오염 제거 덕트(8) 및 탐지관(9)은 탱크(1)의 오염 제거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도 3은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82)을 유지하기에 적합한 단열재(12)의 실시예를 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4는 동일한 단열재에 의해 유지되는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의 단면도이다.
연도의 존재는 열교, 즉 열이 통과하는 우선 경로를 생성한다. 단열재는 이들 열교의 차단을 가능케 한다. 나아가, 단열재는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의 이동, 보다 정확하게는 그것의 개략적인 연장 축, 즉 수직축(V)에 대한 횡방향으로의 이동의 제한을 보장한다. 따라서, 도 3은 이러한 두 가지 기능을 해결할 수 있는 단열재(12)를 나타낸다.
단열재(12)는 팽창 발포체, 예컨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단열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단열재는 접촉에 의해 서로 협력하도록 구성된 제 1 하프-쉘(121) 및 제 2 하프-쉘(122)을 포함한다. 각각의 하프-쉘(121, 122)은 오염 제거 덕트의 단면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의 리세스(123)를 포함한다. 따라서, 두 개의 하프-쉘이 협력할 때,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12)로 둘러싸인다. 이 도면에서, 하프-쉘(121 및 122)은 각각 일체형이지만, 하프-쉘 중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가 복수의 부품의 조립에 의해 생산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서,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은 단면에서 볼 때 원형 형상이다. 따라서, 단열재(12) 내의 리세스는 원호 형상이다. 일 예에 따르면, 단열재(12)의 두 하프-쉘은 서로에 대해 비대칭이다. 제 2 하프-쉘(122)은 제 1 하프-쉘(121)보다 더 큰 치수를 가지며, 이는 제 2 하프-쉘(122)에서 더 깊은 원호 리세스(123)를 허용한다. 따라서,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은 먼저 제 2 하프-쉘(122) 내에 배치되고, 그 후에 그 조합체가 제 1 하프-쉘(121)에 의해 덮인다. 두 개의 하프-쉘의 형상은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의 각각의 대향 측면에서 그들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보장한다. 결국,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은 수직방향(V)으로 자유롭게 확장되고, 단열재(12)에 의해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의 형상과 일치해야 하는 각각의 하프-쉘의 리세스 외에, 하프-쉘은 다양한 형상일 수도 있다. 따라서, 단열재가 박스 부분 상에 지지될 수 있도록,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의 통과를 위해 생성된 연도의 형상에 적합할 수 있는 형상을 상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열재(12)는 단열 기능과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을 고정하는 기능을 동시에 해결한다.
상기는 단열재(12)의 비 배기(non-exhaust) 실시예이다. 예로서, 단열재(12)는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 주위에 패드를 생성하기 위해 연도 내에 삽입된 미네랄 울, 예컨대 유리솜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유리솜의 단열 특성 및 연도 내에 배치되는 양은 위에서 설명한 하프-쉘과 동일한 기능을 생성한다.
도 5는 절연층 내부의 연도 및 절연 덕트의 수평면에서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은 1차 절연층(2) 내에서 연장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하프-쉘(121 및 122)로 구성된 단열재(12)에 의해 고정된다.
도 5는 탱크의 각 단열층의 구조를 자세히 관찰할 수 있게 해준다. 1차 절연층(2)은 탱크의 내부 체적을 구획하는 1차 밀봉 멤브레인(5), 및 복수의 박스 부분(13)을 포함하는 1차 단열층(21)을 포함한다. 2차 절연층(3)은 2차 밀봉 멤브레인(6), 및 또한 복수의 박스 부분(13)을 포함하는 2차 단열층(31)을 포함한다. 따라서, 1차 단열층(21)은 1차 밀봉 멤브레인(5)과 2차 밀봉 멤브레인(6) 사이에 수용되는 반면에, 2차 단열층(31)은 2차 밀봉 멤브레인(6)과 코퍼댐 벽(7) 사이에 수용된다.
2차 절연층(3)의 내부에서 2차 단열층(31)의 두 박스 부분(13) 사이에 간극(504)이 형성된다. 이 간극(504)은 횡방향 치수(700)를 갖는다. 간극(504)은 임의의 고정 수단에 의해 코퍼댐 벽(7)에 연결된 지지 기둥(500)의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 지지 기둥(500)은 2차 절연층(3)과 2차 밀봉 멤브레인(6)을 관통하여 종방향(L)으로 연장된다. 지지 기둥(500)은 1차 단열층(21) 내로, 보다 정확하게는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의 통과를 제공하는 연도(18) 내로 연장된다.
연도(18) 내에 위치한 지지 기둥(500)의 일부는 연도(18) 내부에서 횡방향(T)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501)를 포함한다. 플레이트(501)의 일 단부는 1차 단열층(21)의 박스 부분에 고정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인 스터드(stud)(502) 상에 지지된다. 연도(18) 내에 배치된 지지 기둥(500)의 일 단부에는 코퍼댐 벽(7)에 대해 박스 부분(13)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플레이트(501)를 누르는 너트(503)가 제공된다. 따라서, 너트(503)에 의해 플레이트(501)에 가해지는 이러한 종류의 압력이 2차 절연층(3)의 기계적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도 5에서, 지지 기둥(500) 및 이것의 관련 요소가 연도(18) 레벨에 도시되어 있지만, 탱크는 2차 절연층의 레벨에서 규칙적인 방식으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 기둥(500)을 포함한다.
플레이트(501)는 또한 단열재(12)의 제 2 하프-쉘(122)을 위한 지지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단열재(12)를 배치하기 위해, 연도(18)는 단열재(12)의 횡방향 치수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횡방향 치수(800)를 갖는다. 그러므로, 단열재(12)는 연도(18)의 종방향 측면을 형성하는 1차 단열층(21)의 2개의 박스 부분(13)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유지된다. 횡방향 치수(800)는 지지 기둥(500)의 통과를 위해 2차 절연층(3) 내에 형성된 간극(504)의 횡방향 치수(700)보다 더 큰 치수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열재(12) 및 그에 따른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은 박스 부분(13)에 의해 횡방향으로 유지되고, 지지 기둥(500)의 플레이트(501)에 의해 종방향으로 유지된다.
연도(18)의 종방향 측면, 보다 정확하게는 1차 밀봉 멤브레인(5)에 더 가까운 종방향 측면이 배튼(600)에 의해 폐쇄된다. 배튼(600)은 예컨대 합판으로 만들어지고, 연도(18)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배튼(600)의 횡방향 치수는 연도(18)의 횡방향 치수(800)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배튼(600)은 단열재(12) 상에 지지됨으로써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을 종방향으로 고정한다.
배튼(600)의 다른 기능은 1차 단열층(21)의 박스 부분(13)의 합판 층들(132), 보다 정확하게는 1차 밀봉 멤브레인(5)이 지지되는 박스 부분(13)의 합판 층들(132) 사이에 재료의 브리지를 생성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배튼(600)의 종방향 치수는 배튼(600)이 연도(18)의 측면에 있는 박스 부분(13)의 합판 층들(132)과 함께 평평한 표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평평한 표면은 탱크 제조 중에 간단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1차 밀봉 멤브레인(5)의 배치를 보장한다.
도 6은 절연층에 있어서의 탐지관(9)의 배치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은 1차 또는 2차 절연층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절연층은 탱크의 어느 하나의 절연층일 수도 있다.
절연층의 구조는 복수의 박스 부분(13)으로 구성된다. 이들 박스 부분(13)은 예컨대 박스 부분(13) 내에 포함된 유리솜 또는 펄라이트로 인해 각 절연층의 단열을 제공한다. 특히 탐지관(9)의 제 2 부분(92)과 관련하여, 명확성과 가시성을 위해, 모든 박스 부분(13)이 도시되는 것은 아니다. 연도를 통해 임의의 절연층 내에서 연장되는 오염 제거 덕트의 합성 수직 부분과 마찬가지로,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은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의 통과를 보장하도록 두 열의 박스 부분(13) 사이의 간격에 의해 형성된 채널(19)을 통해 절연층의 중심에서 연장된다.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은 채널(19) 내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박스 부분(13)의 접촉면(131) 레벨에서 하나의 열의 박스 부분(13)에 접하여 배치된다. 해당 열의 각 박스 부분(13)은 고정 부재(145)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145)는 예컨대 배튼(14) 및 브래킷(15)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배튼(14)은 박스 부분(13)의 접촉면(131)에 강고하게 부착된다. 배튼(14)은 주로 박스 부분(13)의 접촉면(131)을 따라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의 종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은 브래킷(15)과 배튼(14) 사이에 끼워진다. 브래킷(15)은 고정 수단(151), 특히 하나 이상의 나사를 통해 박스 부분(13)의 접촉면(131)에 대해 강고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은 도 7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부분(13)의 접촉면(131), 배튼(14) 및 브래킷(15)의 조합에 의해 절연층 내부에 고정된다.
도 7은 박스 부분(13)의 구조를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박스 부분(13)은 복수 층의 합판(132)으로 형성된 벽을 포함한다. 박스 부분(13)의 내부는 유리솜(133)으로 충전되어 있지만, 박스 부분(13)은 예컨대 펄라이트 또는 다른 단열 요소를 수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이 접촉 벽(131) 및 배튼(14)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도시하는데, 이러한 접촉의 대부분은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의 종축에 평행한 2개의 축을 따라 연장된다. 브래킷(15)은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을 접촉 벽(131) 및 배튼(14)에 대해 누른다. 브래킷(15)은 접촉 벽(131)에 평행하게 접촉 벽(131)에 접하여 배치된 평면 구역(152)을 포함한다. 이 평면 구역(152)은 고정 수단(151)에 의한 브래킷(15)의 박스 부분(13)에의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 표현된 고정 수단(151)은 박스 부분(13)의 합판 층(132)을 통과하는 나사이지만, 임의의 다른 고정 수단을 생각할 수도 있다. 브래킷(15)은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의 둘레를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원호 구역(153)을 포함한다. 따라서, 접촉 벽(131), 배튼(14) 및 브래킷(15)의 조합이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의 최적의 고정을 제공하는데,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은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의 길이로 인한 기계적 파열 또는 이동의 위험 없이 그것이 내부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
도 8은 결합 슬리브(16)에 의해 상호 연결된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 또는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의 세그먼트(33)를 나타낸다.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 및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은 (5미터와 40미터도 포함하여) 5미터와 40미터 사이의 상당한 길이를 갖는다. 이들 부분은 더 긴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세그먼트(33)로 구성된다. 이들 세그먼트(33)는 예컨대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접 작업을 제한하기 위해, 결합 슬리브(16)에 의해 이들 세그먼트(33)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세그먼트(33)는 각각의 단부에 결합 슬리브(16)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결합 슬리브(16)는 세그먼트(33)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지며, 따라서, 세그먼트(33)에 끼워지고, 그 후에 예컨대 접착 또는 강제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된다. 이는 오염 제거 덕트(8) 및/또는 탐지관(9)의 부분들의 조립을 단순화한다.
도 9는 오염 제거 시스템의 오염 제거 덕트(8)를 통과하는 평면 상의 다양한 절연층의 구조 및 부싱(300)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 및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이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절연층(2) 내에서 연장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오염 제거 덕트(8)의 입구 부분(81)과 탐지관(9)의 제 1 부분(91)은 전체적으로 수평이며 서로 평행하다. 이들 두 부분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기술하는 부싱(30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2차 밀봉 멤브레인(6) 및 선박의 코퍼댐 벽(7)을 관통하여 종방향(L)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오염 제거 덕트(8)의 입구 부분(81) 및 탐지관(9)의 제 1 부분(91)은 2차 밀봉 멤브레인(6)을 통과한 후 그리고 1차 단열층(21)을 통과하자마자 1차 절연층(2) 내에 개방될 때까지 2차 단열층(31)을 종방향(L)으로 통과할 때 모든 2차 절연층(3)을 통과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차 절연층(3) 및 마찬가지로 1차 절연층(2)은 줄지어 배치된 복수의 박스 부분(13)을 포함한다.
오염 제거 덕트(8) 및 탐지관(9)은 엘보에 의해 오염 제거 덕트(8)의 입구 부분(81) 및 탐지관(9)의 제 1 부분(91)에 각각 연결된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 및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을 통해 1차 절연층(2) 내에서 연장된다.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은 연도(18) 내에서 1차 밀봉 멤브레인(5) 및 2차 밀봉 멤브레인(6)을 따라 수직방향(V)으로 연장된다.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의 통과를 보장하기 위해, 1차 절연층(2)의 박스 부분(13)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연도(18)를 형성하도록 분리된다.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은, 이것이 전체적으로 횡방향(T)으로 연장될 때 탱크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데, 이는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의 작은 부분만이 도 9에서 볼 수 있는 이유이다.
오염 제거 덕트(8)의 입구 부분(81) 및 탐지관(9)의 제 1 부분(91)은 또한 선박의 코퍼댐 벽(7)을 넘어 탱크 외부로, 코퍼댐 벽(7)과 선박의 인접한 탱크의 다른 코퍼댐 벽(7) 사이에 위치한 코퍼댐(17)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오염 제거 덕트(8) 및 탐지관(9)은 선박에 존재하는 오염 제거 유닛까지 연장되는데, 오염 제거 유닛에 의하면 복수의 작업, 예컨대 오염 제거 덕트(8)를 통한 불활성 가스 주입 또는 흡인, 또는 실제로 탐지관(9)을 통한, 1차 절연층(2) 또는 2차 절연층(3)에 존재하는 가스의 분석이 착수될 수 있다.
부싱(300)은 2차 절연층(3)을 통과할 때 코퍼댐(17)으로부터 1차 절연층(2)까지 종방향(L)으로 연장된다. 부싱(300)은 선박의 코퍼댐 벽(7)을 통과함에 있어서 코퍼댐(17)으로부터 2차 절연층(3)까지 연장되는 파이프(301)를 포함한다. 부싱(300)은 또한 파이프(301)와 일렬로 위치한 금속 실린더(302)를 포함한다. 이 금속 실린더(302)는 2차 밀봉 멤브레인(6)을 통과할 때 2차 절연층(3)으로부터 1차 절연층(2)으로 연장된다. 파이프(301)는 오염 제거 덕트(8)의 입구 부분(81) 및 탐지관(9)의 제 1 부분(91)을 그 구조 내에 수용할 수 있는 치수를 갖는 한 임의의 형상의 것일 수도 있다.
파이프(301)가 선박의 코퍼댐 벽(7)을 관통함에도 불구하고 탱크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해, 파이프(301) 주위의 복수의 요소가 이러한 유형의 기능을 보장한다. 코퍼댐(17) 내에 위치된 파이프(301)의 단부 높이에 덮개(400)가 배치된다. 덮개(400)는 파이프(301)의 종축에 수직이고, 파이프(301)의 직경 전체를 막기에 충분히 큰 치수를 갖는다.
덮개(400)는 오염 제거 덕트(8)의 입구 부분(81) 및 탐지관(9)의 제 1 부분(91)의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 구멍(401)을 포함하여, 오염 제거 덕트(8)의 입구 부분(81) 및 탐지관(9)의 제 1 부분(91) 주위에 밀봉을 제공하면서 이들이 덮개(400)를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덮개(400)의 존재는 1차 절연층(2)이 불활성화되는 경우 불활성 가스의 누출을 방지한다.
파이프(301)는 그 구조 내부에 지지체(402)를 포함한다. 지지체(402)는 지지체(402) 상에 놓이게 되는 오염 제거 덕트(8)의 입구 부분(81) 및 적용 가능한 경우 탐지관(9)의 제 1 부분(91)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오염 제거 덕트(8)는 수십 미터에 이르며 결과적으로 수 킬로그램의 중량이 나간다. 지지체(402)는 오염 제거 덕트(8)의 중량을 지탱하기 위해 파이프(301)의 벽과 입구 부분(81) 사이에, 및/또는 탐지관(9)의 중량을 지탱하기 위해 파이프(301)의 벽과 제 1 부분(91) 사이에 고정된다. 지지체(402)는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블록일 수도 있다.
금속 실린더(302)는 파이프(301)와 일렬로 위치하며, 2차 밀봉 멤브레인(6)을 통과할 때 2차 절연층(3)으로부터 1차 절연층(2)으로 연장되어, 2차 밀봉 멤브레인(6)과 금속 실린더(302) 사이의 밀봉을 보장한다. 금속 실린더(302)는 예컨대 인바로 제조되고, 오염 제거 덕트(8)의 입구 부분(81)과 탐지관(9)의 제 1 부분(91)을 주변으로 둘러싼다. 금속 실린더(302)는 2차 절연층(3) 내에 위치한 파이프(301)의 단부를 연장시킨다. 이들 요소로 인해, 부싱(300)은 탱크로부터의 누출 시에, 2차 밀봉 멤브레인(6) 및 선박의 코퍼댐 벽(7)이 관통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에, 하나의 동일한 구멍을 통해 오염 제거 덕트(8) 및 탐지관(9)의 탱크 내로의 통과를 허용한다.
물론,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들 예에 대해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설정된 목적을 달성하므로, 액체 가스, 특히 LPG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제안할 수 있는데, 이 탱크는, 관련된 절연층 내에 존재하는 가스 또는 불활성화 작업에 사용된 가스의 증기 밀도보다 증기 밀도가 더 큰 가스가 탱크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 탱크의 적어도 하나의 단열층으로부터 오염을 제거하는 오염 제거 시스템을 포함한다. 여기에 설명되지 않은 변형예도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의 태양에 부합하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맥락을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9)

  1. 액체 가스(liquid gas)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1)로서,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2, 3), 및 상기 절연층(2, 3)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가스 누출물의 배출을 보장하는 오염 제거 시스템(10)을 포함하고, 상기 탱크(1)는 액체 가스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내부 체적(4)을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멤브레인(sealed membrane)(5)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체적(4)은 중앙 수평면(horizontal median plane)(200)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오염 제거 시스템(10)은 상기 절연층(2, 3) 내부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합성 수직 부분(vertical resultant section)(82)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오염 제거 덕트(8)를 포함하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1)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2, 3)은 적어도 하나의 연도(flue)(18)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은 상기 연도(18) 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합성 수직 부분(82)은 상기 중앙 수평면(200)과 상기 탱크(1)의 바닥벽(28)을 통과하는 바닥면(100) 사이에서 상기 절연층(2, 3) 내에 개방되는 오리피스(orifice)(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83)는 상기 바닥면(100)과 상기 바닥면(100)에 평행하며 상기 바닥면(100) 위로 230㎜±100㎜에 위치된 평면(110) 사이에서 상기 절연층(2, 3) 내에 개방되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밀봉 멤브레인(5, 6) 및 단열층(21, 31)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절연층(2) 및 하나의 2차 절연층(3)을 포함하며, 상기 연도(18)는 상기 1차 절연층(2) 또는 상기 2차 절연층(3) 내에 형성되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절연층(2) 및/또는 상기 2차 절연층(3)의 단열층(21, 31)은 상기 연도(18)가 그 사이로 통과하는 복수의 박스 부분 또는 패널(13)을 포함하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83)는 상기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의 자유 단부(84)에 형성되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제거 덕트(8)는 상기 합성 수직 부분(82)에 연결되며 적어도 상기 2차 절연층(3)의 2차 단열층(31)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부분(81)을 포함하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제거 덕트(8)의 합성 수직 부분(82)은 단열재(12)에 의해 상기 연도(18) 내에 고정되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도(18)의 횡방향 치수(800)는 상기 탱크(1)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500)이 내부에서 연장되는 상기 절연층(2, 3) 내에 위치된 공간(504)의 횡방향 치수(700)보다 더 큰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도(18)의 한 측면을 배튼(batten)(600)이 폐쇄하고, 상기 배튼(600)은 상기 밀봉 멤브레인(5)이 놓이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10.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제거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탐지관(detection tube)(9)을 포함하고, 상기 탐지관(9)은 적어도 2차 절연층(3)의 2차 단열층(31)을 통과하는 제 1 부분(91), 및 상기 탱크(1)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32)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중앙 수평면(200)과 상기 바닥면(100) 사이에 개방된 개구(mouth)(93)를 포함하는 제 2 부분(92)을 포함하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2, 3)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탐지관(9)의 제 2 부분(92)이 내부에서 연장되는 채널(19)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박스 부분 또는 패널(13)을 포함하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관(9)은 고정 부재(145)에 의해 박스 부분(13)에 대해 고정되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제거 덕트(8) 및/또는 상기 탐지관(9)은 결합 슬리브(16)에 의해 연결되는 세그먼트(segment)(33)를 포함하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14. 제 6 항과 함께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제거 덕트(8)의 입구 부분(81) 및 상기 탐지관(9)의 제 1 부분(91)은 상기 2차 절연층(3)의 부싱(bushing)(300) 내에 배치되고, 상기 부싱(300)은 상기 탱크(1)를 운반하는 선박의 코퍼댐(cofferdam)(17) 내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300)은 상기 오염 제거 덕트(8)의 입구 부분(81)과 상기 탐지관(9)의 제 1 부분(91)이 관통하는 구멍(401)을 구비한 덮개(400)를 포함하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제거 덕트(8)의 입구 부분(81)은 지지체(402)에 의해 상기 부싱(300) 내에 지지되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300)은 파이프(301), 및 상기 파이프(301)와 일렬로 배치된 금속 실린더(302)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실린더(302)는 상기 2차 절연층(3)의 2차 밀봉 멤브레인(6)을 통과하는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18.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탱크(1)를 포함하는
    수송선.
  19.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탱크(1) 내에 수용된 액체 가스, 또는 액체 가스를 운송하기 위한 제 18 항에 기재된 수송선의 액체 가스를 로딩(loading) 또는 오프로딩(offloading)하는 방법.
KR1020217041021A 2019-05-16 2020-05-13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Pending KR202200088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1905157 2019-05-16
FR1905157A FR3096111B1 (fr) 2019-05-16 2019-05-16 Cuve de transport et/ou de stockage pour gaz sous forme liquide
PCT/FR2020/050792 WO2020229777A1 (fr) 2019-05-16 2020-05-13 Cuve de transport et/ou de stockage pour gaz sous forme liqu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892A true KR20220008892A (ko) 2022-01-21

Family

ID=6774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021A Pending KR20220008892A (ko) 2019-05-16 2020-05-13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20008892A (ko)
CN (1) CN114008376B (ko)
FR (1) FR3096111B1 (ko)
WO (1) WO20202297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0932B1 (fr) * 2021-12-22 2023-11-10 Gaztransport Et Technigaz Système d’injection d’un gaz dans une cuve de stockage
CN115535141A (zh) * 2022-10-31 2022-12-30 江苏新扬子造船有限公司 一种b型燃料舱的氮气惰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05373A (en) * 1973-03-17 1977-02-15 Kihei Katsuta Tank for storing low-temperature liquids
FR2517802A1 (fr) * 1981-12-04 1983-06-10 Gaz Transport Cuve destinee au stockage d'un gaz liquefie comportant une detection de fuite et procede de detection de fuite correspondant
JPH0440334A (ja) * 1990-06-05 1992-02-10 Nkk Corp Lngタンクの欠陥検知方法
JPH08295394A (ja) * 1995-04-26 1996-11-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極低温液化ガス用の低温タンク
WO2012161493A2 (ko) * 2011-05-25 2012-1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물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202165797U (zh) * 2011-06-23 2012-03-14 中国寰球工程公司 一种低温液态烃储罐的冷却系统
FR2998256B1 (fr) * 2012-11-16 2019-12-20 Gaztransport Et Technigaz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aroi de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ee
FR3019520B1 (fr) * 2014-04-08 2016-04-15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logee dans un ouvrage flottant
FR3030014B1 (fr) * 2014-12-15 2017-10-13 Gaztransport Et Technigaz Bloc isolant convenant pour realiser une paroi isolante dans une cuve etanche
KR101826900B1 (ko) * 2015-09-30 2018-02-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 저장탱크 및 그의 배관 시스템
WO2017108756A1 (en) * 2015-12-22 2017-06-29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Ship containment system for liquified ga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96111B1 (fr) 2023-03-24
CN114008376A (zh) 2022-02-01
CN114008376B (zh) 2023-08-08
WO2020229777A1 (fr) 2020-11-19
FR3096111A1 (fr) 2020-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7746C2 (ru) Стенка резервуара, включающая проходящий через нее насквозь элемент
RU2697015C2 (ru) Герметичный и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ый резервуар, оснащенный сквозным элементом
JP3175526U (ja) 熱的に絶縁された液密のタンク
KR20220008892A (ko) 액체 가스를 운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
CN111594747B (zh) 密封隔热罐
KR102399177B1 (ko) 밀봉 및 단열 탱크
JP7195071B2 (ja) 密閉断熱タンク
KR20210110884A (ko) 밀폐 및 단열 탱크
KR102447121B1 (ko) 보강 단열 플러그를 포함하는 밀봉 및 열적 단열 탱크
KR101814452B1 (ko) 액화가스 화물창
CN115244329B (zh) 用于液化气体运输罐的双入口舱盖
EP2920050A1 (en) Support assembly
RU2818607C2 (ru) Резервуа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или хранения сжиженного газа
KR102763875B1 (ko) 액화 가스를 위한 저장 탱크의 리퀴드 돔
KR102763884B1 (ko) 액화 가스를 위한 저장 탱크의 리퀴드 돔
KR20240058875A (ko) 액화 가스를 위한 저장 시설
WO2007144458A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etecting leaks from a container
KR101909040B1 (ko) 액화 화물 저장 탱크
CN113748292B (zh) 包括围绕套管的改进隔热的容器壁
KR102763057B1 (ko) 액화가스 저장 설비
RU2818941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балка дл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го герметичного резервуара для хранения сжиженного газа
RU2829725C2 (ru) Герметичный 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резервуар для хран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судн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текучей среды и способ загрузки или разгрузки судна
RU2799152C1 (ru) Хранилище сжиженного газа, судно, включающее хранилище, система перемещения холодного жидкого продукта на судне и способ погрузки или разгрузки судна
RU2794401C1 (ru) Хранилище сжиженного газа, судно, включающее хранилище, система перекачки холодного жидкого продукта на судне и способ погрузки или разгрузки судна
KR20180029161A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파우더 단열재 충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