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55260A - 차량 플로어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플로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260A
KR20210155260A KR1020200072556A KR20200072556A KR20210155260A KR 20210155260 A KR20210155260 A KR 20210155260A KR 1020200072556 A KR1020200072556 A KR 1020200072556A KR 20200072556 A KR20200072556 A KR 20200072556A KR 20210155260 A KR20210155260 A KR 20210155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loor
vehicle
center floor
s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805472B1 (ko
Inventor
이효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2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05472B1/ko
Priority to US17/092,430 priority patent/US11524606B2/en
Priority to DE102020214345.5A priority patent/DE102020214345A1/de
Priority to CN202011319328.1A priority patent/CN113799883B/xx
Publication of KR20210155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05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054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Arrangement of seats relative to one another
    • B60N2/012The seat support being a part of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22Arrangement under the front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차량 플로어구조는, 센터플로어; 상기 센터플로어의 상면에 부착된 복수의 종방향멤버; 상기 복수의 종방향멤버 내에 개별적으로 수용된 복수의 시트레일; 및 상기 센터플로어의 아래에 배치된 배터리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플로어구조{VEHICLE FLOOR SYSTEM}
본 발명은 차량 플로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터플로어를 덮는 카페트의 높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승객실의 공간을 상대적으로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차량 플로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는 환경 및 석유자원 고갈에 대한 위기 인식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자동차인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에 대한 연구 개발이 부각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BEV(Battery Electric Vehicle), 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 등이 있다.
전기 자동차는 차체에 배터리조립체가 장착(mount)되어 있으며, 배터리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또는 배터리 모듈)과,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과 관련된 전장품과, 배터리 셀 및 전장품이 장착되는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한다. 배터리 케이스는 어퍼 케이스 및 로워 케이스로 구성된다. 배터리조립체는 차체의 센터플로어의 아래에 장착된다.
한편, 전기 자동차는 승객실을 넓게 확보하고 실내 인테리어를 개선하기 위하여 플랫 플로어 및 히든 시트레일 등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조립체의 장착을 위하여 센터플로어의 높이가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이에 센터플로어, 시트크로스멤버, 시트레일(seat rail)을 덮는 카페트의 높이 및 차량의 전고가 높아지는 단점을 가진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센터플로어를 덮는 카페트의 높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승객실의 공간을 상대적으로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차량 플로어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플로어구조는, 센터플로어; 상기 센터플로어의 상면에 부착된 복수의 종방향멤버; 상기 복수의 종방향멤버 내에 개별적으로 수용된 복수의 시트레일; 및 상기 센터플로어의 아래에 배치된 배터리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종방향멤버는 차량의 전방구조 및 차량의 후방구조를 연결하도록 차량의 길이방항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각 종방향멤버의 전방단은 대쉬패널에 결합되고, 각 종방향멤버의 후방단은 리어플로어에 결합되며, 상기 대쉬패널은 상기 센터플로어의 전방단에 장착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는 상기 센터플로어의 후방단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센터플로어의 상면에 부착된 복수의 시트크로스멤버를 더 포함하고, 각 시트크로스멤버가 상기 각 종방향멤버는 각 시트크로스멤버를 관통함으로써 복수의 종방향멤버는 상기 복수의 시트크로스멤버와 교차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각 시트크로스멤버의 상면이 각 종방향멤버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조립체는 배터리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캐비티에 고정된 복수의 배터리 크로스멤버와, 상기 복수의 배터리 크로스멤버와 교차하도록 연결된 배터리 종방향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상면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정렬되고,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는 레일 체결구를 통해 상기 시트레일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시트크로스멤버의 캐비티에 수용되는 보강재 및 상기 센터플로어의 상면에 부착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상기 지지브라켓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관통볼트 및 너트를 통해 상기 센터플로어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볼트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를 관통하며, 상기 너트는 상기 지지브라켓 및 상기 보강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관통볼트가 상기 너트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관통볼트의 상단이 상기 보강재의 캐비티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관통볼트는 상기 보강재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 및 상기 시트레일은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각 종방향멤버는 상부벽과, 상부벽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센터플로어를 향해 개별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벽과, 한 쌍의 측벽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연장된 한 쌍의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벽은 개구를 가지며, 한 쌍의 플랜지는 상기 센터플로어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상기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시트크로스멤버를 향해 개별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벽과, 한 쌍의 측벽으로 개별적으로 연장된 한 쌍의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플랜지는 상기 시트크로스멤버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방향멤버가 센터플로어의 상면에 장착되고, 시트레일이 종방향멤버의 캐비티에 수용됨에 따라 카페트의 높이가 종래기술에 비해 최소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승객실의 공간을 상대적으로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종방향멤버의 강성 및 시트레일의 강성이 강화될 수 있으며, 배터리조립체의 용량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시트레일이 종방향멤버 내에 수용됨에 따라 시트레일의 노출이 최소화되므로 그 외관미가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상면이 배터리 케이스의 상면 또는 커버에 정렬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높이가 종래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고, 이에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단면적이 종래기술에 비해 증가함으로써 배터리 케이스 및 차체의 강성 내지 강도가 강화될 수 있고, 차량의 측면충돌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상면이 배터리 케이스의 상면 또는 커버에 정렬될 수 있으므로 센터플로어 위에 위치한 복수의 시트레일 및 센터플로어의 아래에 위치한 배터리 크로스멤버가 가까워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레일 체결구의 설치가 간편해질 수 있고, 배터리 크로스멤버 및 시트레일은 레일 체결구에 의해 센터플로어에 대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플로어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차량 플로어구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플로어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로어구조의 배터리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플로어구조(10)는 차체의 하부에 배치된 센터플로어(11)와, 센터플로어(11)의 상면에 부착된 복수의 종방향멤버(12, longitudinal member)와, 복수의 종방향멤버(12) 내에 개별적으로 수용된 복수의 시트레일(13, seat rail)과, 센터플로어(11)의 아래에 장착된 배터리조립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쉬패널(4)이 센터플로어(11)의 전방단에 배치될 수 있고, 리어플로어(6)가 센터플로어(11)의 후방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실(14)이 센터플로어(11)의 양측 가장자리에 개별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이에 한 쌍의 사이드실(14)은 센터플로어(11)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각 사이드실(14)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종방향멤버(12, longitudinal member)는 센터플로어(11)의 상면에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각 종방향멤버(12)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복수의 종방향멤버(12)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각 종방향멤버(12)는 차량의 전방구조 및 차량의 후방구조를 연결하도록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각 종방향멤버(12)는 차량의 길이방향 축선과 평행한 로드패스를 한정할 수 있다. 차량의 전방구조는 센터플로어(11)의 앞쪽(전방측)에 배치된 구조로 정의될 수 있고, 차량의 전방구조는 대쉬패널(4), 프론트 사이드멤버(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후방구조는 센터플로어(11)의 뒤쪽(후방측)에 배치된 구조로 정의될 수 있고, 차량의 후방구조는 리어플로어(6), 리어 사이드멤버(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각 종방향멤버(12)의 전방단은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차량의 전방구조를 구성하는 대쉬패널(4)에 결합될 수 있다.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크로스멤버 또는 킥업부(kick-up portion)가 리어플로어(6)의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고, 각 종방향멤버(12)의 후방단은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차량의 후방구조를 구성하는 리어플로어(6)의 킥업부(kick-up portion) 또는 크로스멤버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종방향멤버(12)가 센터플로어(11), 대쉬패널(4), 및 리어플로어(6)를 연결함으로써 차체의 강성이 대폭 강화될 수 있다.
복수의 시트크로스멤버(15)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센터플로어(11)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고, 각 시트크로스멤버(15)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각 시트크로스멤버(15)가 각 종방향멤버(12)와 직교할 수 있고, 각 종방향멤버(12)가 각 시트크로스멤버(15)를 관통함으로써 복수의 종방향멤버(12)는 복수의 시트크로스멤버(15)와 교차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시트크로스멤버(15)는 수평으로 연장된 플랜지(15c)를 가질 수 있고, 플랜지(15c)는 시트크로스멤버(15)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융기될 수 있으며, 플랜지(15c)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종방향멤버(12)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각 시트크로스멤버(15)의 상면은 각 종방향멤버(12)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flush with)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종방향멤버(12) 및 시트크로스멤버(15)는 동일한 높이(h1)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카페트(18)가 복수의 시트크로스멤버(15) 및 복수의 종방향멤버(12)를 평탄하게 덮을 수 있다. 카페트(18)가 센터플로어(11)를 덮을 수 있고, 이를 통해 플랫 플로어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종방향멤버(12)는 상부벽(31), 상부벽(3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개별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벽(32), 한 쌍의 측벽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연장된 한 쌍의 플랜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벽(31)은 승객실을 향하고, 각 측벽(32)은 상부벽(31)의 해당하는 가장자리로부터 센터플로어(11)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 플랜지(33)는 해당하는 측벽(32)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고, 각 플랜지(33)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센터플로어(1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각 종방향멤버(12)는 상부벽(31) 및 한 쌍의 측벽(32)에 의해 한정된 캐비티(34)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벽(31)은 개구(35)를 가질 수 있다.
각 시트레일(13)은 개구(35)를 통해 해당하는 종방향멤버(12)의 캐비티(34)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각 시트레일(13)의 상단 가장자리들이 용접 등을 통해 종방향멤버(12)의 상부벽(31)에 결합될 수 있으며, 각 시트레일(13)의 저면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센터플로어(1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각 시트레일(13)은 레일 체결구(51)를 통해 센터플로어(11) 및 배터리조립체(2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각 시트레일(13)은 센터플로어(11)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고, 배터리조립체(20)는 센터플로어(1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레일(13)이 종방향멤버(12)의 캐비티(34) 내에 수용됨에 따라 배터리조립체(20)의 바닥으로부터 카페트(18)의 상면까지의 높이(h)가 종래기술에 비해 최소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승객실의 공간을 상대적으로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종방향멤버(12)의 강성 및 시트레일(13)의 강성이 강화될 수 있으며, 배터리조립체(20)의 용량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시트레일(13)이 종방향멤버(12) 내에 수용됨에 따라 시트레일(13)의 노출이 최소화되므로 그 외관미가 개선될 수 있다.
배터리조립체(2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또는 배터리 모듈)과,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과 관련된 전장품과, 배터리 셀 및 전장품이 장착되는 배터리 케이스(21)와, 배터리 케이스(21)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배터리조립체(20)는 배터리 케이스(21)의 내부공간에 고정된 복수의 배터리 크로스멤버(25) 및 배터리 종방향멤버(26)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배터리 크로스멤버(25)는 배터리 케이스(21)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배터리 종방향멤버(26)는 배터리 케이스(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 크로스멤버(25)가 배터리 케이스(21)의 내부공간에서 배터리 케이스(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21)는 복수의 배터리 크로스멤버(25) 및 배터리 종방향멤버(26)에 의해 강성 내지 강도 등이 강화된다.
배터리 크로스멤버(25)의 상면은 배터리 케이스(21)의 상면 또는 커버(22)에 정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터리 크로스멤버(25)의 높이(h2)가 종래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므로 배터리 크로스멤버(25)의 단면적이 종래기술에 비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터리 케이스(21) 및 차체의 강성 내지 강도가 강화될 수 있고, 차량의 측면충돌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배터리 크로스멤버(25)의 상면이 시트레일(13)과 가까워짐에 따라 레일 체결구(51)의 설치가 간편해질 수 있고, 배터리 크로스멤버(25) 및 시트레일(13)은 레일 체결구(51)에 의해 센터플로어(11)에 대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와 같이 배터리 크로스멤버(25)의 상면은 배터리 케이스(21)의 상면과 동일 면에 위치(flush with)할 수 있다.
배터리조립체(20)는 배터리 케이스(21)의 각 측벽(21a)으로부터 사이드실(14)을 향해 연장된 사이드마운트(27)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사이드마운트(27)는 마운팅볼트(28a) 및 너트(28b)를 통해 사이드실(1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케이스(21)는 관통파이프(23), 관통볼트(24a), 및 너트(24b)를 통해 센터플로어(11)에 장착될 수 있다. 캡(29)이 배터리 크로스멤버(25)의 상면에 장착되고, 관통파이프(23) 및 관통볼트(24a)는 배터리 케이스(21)의 높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관통파이프(23)가 배터리 크로스멤버(25) 및 캡(29)을 관통할 수 있으며, 관통볼트(24a)가 관통파이프(23)의 내부를 관통함으로써 관통볼트(24a)는 배터리 케이스(21) 및 센터플로어(11)를 관통할 수 있다. 너트(24b)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지지브라켓(52)을 통해 센터플로어(11)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52)이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센터플로어(1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고, 너트(24b)는 용접 등을 통해 지지브라켓(52)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21)를 관통한 관통볼트(24a)가 너트(24b)에 나사결합됨으로써 배터리 케이스(21)는 센터플로어(1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강재(16)가 시트크로스멤버(15)의 캐비티(15a)에 수용될 수 있다. 보강재(16)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시트크로스멤버(15)의 상부벽에 부착될 수 있다. 보강재(16)는 바닥벽(41), 바닥벽(4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개별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벽(42), 한 쌍의 측벽(42)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연장된 한 쌍의 플랜지(4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벽(41)은 배터리조립체(20)를 향하고, 각 측벽(42)은 바닥벽(41)의 해당하는 가장자리로부터 시트크로스멤버(15)의 상부벽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강재(16)는 바닥벽(41) 및 한 쌍의 측벽(42)에 의해 한정된 캐비티(44)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플랜지(43)는 해당하는 측벽(42)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고, 보강재(16)의 플랜지(43)들이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시트크로스멤버(15)의 상부벽에 결합됨으로써 보강재(16)는 시트크로스멤버(15)의 캐비티(15a) 내에서 상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브라켓(52)이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센터플로어(11)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고, 지지브라켓(52)은 시트크로스멤버(15)의 캐비티(15a) 내에서 하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강재(16)는 지지브라켓(52)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관통볼트(24a)의 상단이 보강재(16)를 관통하고 보강재(16)의 캐비티(44)에 삽입됨으로써 관통볼트(24a)는 보강재(16)에 지지될 수 있다. 특히, 너트(24b)가 보강재(16) 및 지지브라켓(5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너트(24b)의 상면은 용접 등을 통해 보강재(16)의 바닥벽(41)에 결합될 수 있으며, 너트(24b)의 저면은 용접 등을 통해 지지브라켓(52)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볼트(24a)는 보강재(16)에 의해 그의 체결력(clamping force)이 강화됨으로써 배터리 케이스(21)의 장착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보강재(16)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인접한 2개의 시트레일(13)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보강재(16) 및 시트레일(13)은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레일(13)이 종방향멤버(12)의 캐비티(34) 내에 수용됨에 따라 카페트(18)의 높이(h)가 종래기술에 비해 최소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승객실의 공간을 상대적으로 넓게 확보할 수 있고, 배터리조립체(20)의 용량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시트레일(13)이 종방향멤버(12) 내에 수용됨에 따라 시트레일(13)의 노출이 최소화되므로 그 외관미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크로스멤버(25)의 상면은 배터리 케이스(21)의 상면 또는 커버(22)에 정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터리 크로스멤버(25)의 높이(h2)가 종래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므로 배터리 크로스멤버(25)의 단면적이 종래기술에 비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터리 케이스(21) 및 차체의 강성 내지 강도가 강화될 수 있고, 차량의 측면충돌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크로스멤버(25)의 상면이 배터리 케이스(21)의 상면 또는 커버(22)에 정렬될 수 있으므로 센터플로어(11) 위에 위치한 복수의 시트레일(13) 및 센터플로어(11)의 아래에 위치한 배터리 크로스멤버(25)가 가까워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레일 체결구(51)의 설치가 간편해질 수 있고, 배터리 크로스멤버(25) 및 시트레일(13)은 레일 체결구(51)에 의해 센터플로어(11)에 대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 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 대쉬패널 6: 리어플로어
10: 차량용 플로어구조 11: 센터플로어
12: 종방향멤버 13: 시트레일
14: 사이드실 15: 시트크로스멤버
16: 보강재 20: 배터리조립체
21: 배터리 케이스 24a: 관통볼트
24b: 너트 25: 배터리 크로스멤버
26: 배터리 종방향멤버 51: 레일 체결구

Claims (12)

  1. 센터플로어;
    상기 센터플로어의 상면에 부착된 복수의 종방향멤버;
    복수의 종방향멤버 내에 개별적으로 수용된 복수의 시트레일; 및
    상기 센터플로어의 아래에 배치된 배터리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플로어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종방향멤버는 차량의 전방구조 및 차량의 후방구조를 연결하도록 차량의 길이방항을 따라 연장되는 차량용 플로어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종방향멤버의 전방단은 대쉬패널에 결합되고, 각 종방향멤버의 후방단은 리어플로어에 결합되며, 상기 대쉬패널은 상기 센터플로어의 전방단에 장착되고, 상기 리어플로어는 상기 센터플로어의 후방단에 장착되는 차량용 플로어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터플로어의 상면에 부착된 복수의 시트크로스멤버를 더 포함하고,
    각 시트크로스멤버가 각 종방향멤버는 각 시트크로스멤버를 관통함으로써 복수의 종방향멤버는 상기 복수의 시트크로스멤버와 교차하도록 연결되는 차량용 플로어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각 시트크로스멤버의 상면이 각 종방향멤버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한 차량용 플로어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조립체는 배터리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캐비티에 고정된 복수의 배터리 크로스멤버와, 상기 복수의 배터리 크로스멤버와 교차하도록 연결된 배터리 종방향멤버를 포함하고,
    각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상면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정렬되고,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는 레일 체결구를 통해 상기 시트레일에 결합되는 차량용 플로어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시트크로스멤버의 캐비티에 수용되는 보강재 및 상기 센터플로어의 상면에 부착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위에 위치하는 차량용 플로어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관통볼트 및 너트를 통해 상기 센터플로어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통볼트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를 관통하며, 상기 너트는 상기 지지브라켓 및 상기 보강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관통볼트가 상기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차량용 플로어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관통볼트의 상단이 상기 보강재의 캐비티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관통볼트는 상기 보강재에 지지되는 차량용 플로어구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및 상기 시트레일은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된 차량용 플로어구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종방향멤버는 상부벽과, 상부벽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센터플로어를 향해 개별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벽과, 한 쌍의 측벽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연장된 한 쌍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벽은 개구를 가지며, 한 쌍의 플랜지는 상기 센터플로어의 상면에 결합되는 차량용 플로어구조.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시트크로스멤버를 향해 개별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벽과, 한 쌍의 측벽으로 개별적으로 연장된 한 쌍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플랜지는 상기 시트크로스멤버에 결합되는 차량용 플로어구조.
KR1020200072556A 2020-06-15 2020-06-15 차량 플로어구조 Active KR102805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556A KR102805472B1 (ko) 2020-06-15 2020-06-15 차량 플로어구조
US17/092,430 US11524606B2 (en) 2020-06-15 2020-11-09 Vehicle floor structure
DE102020214345.5A DE102020214345A1 (de) 2020-06-15 2020-11-16 Fahrzeug-bodenstruktur
CN202011319328.1A CN113799883B (en) 2020-06-15 2020-11-23 Vehicle floo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556A KR102805472B1 (ko) 2020-06-15 2020-06-15 차량 플로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260A true KR20210155260A (ko) 2021-12-22
KR102805472B1 KR102805472B1 (ko) 2025-05-09

Family

ID=7871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556A Active KR102805472B1 (ko) 2020-06-15 2020-06-15 차량 플로어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24606B2 (ko)
KR (1) KR102805472B1 (ko)
DE (1) DE1020202143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45164A1 (en) * 2021-11-09 2023-05-11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Floor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7448B2 (en) * 2020-06-15 2022-08-09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floor structure
KR20220048785A (ko) * 2020-10-13 2022-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차체
JP7697800B2 (ja) * 2021-03-17 2025-06-24 株式会社Subaru 車載用電池の保護構造
KR20230042805A (ko) * 2021-09-23 2023-03-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멤버 조인트 장치
KR20240079700A (ko) * 2022-11-29 2024-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팩 탑재 구조
KR20230100290A (ko) * 2021-12-28 202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목적 기반 차량 구조
KR20230108614A (ko) * 2022-01-11 2023-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bv의 배터리 마운팅 구조
US20250206196A1 (en) * 2022-04-04 2025-06-26 Ts Tech Co., Ltd. Seat mounting structure
US20230339302A1 (en) * 2022-04-21 2023-10-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frame with an integrated battery enclosure
DE102022127724B4 (de) 2022-10-20 2024-08-01 Audi Aktiengesellschaft Bodenstruktur einer Karosserie eines Fahrzeugs, Karosserie und Fahrzeug
DE102023123278A1 (de) 2023-08-30 2025-03-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iemodul für ein Elektrofahrzeu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2998A (ja) * 2005-12-01 2007-06-21 Mazda Motor Corp 車両の下部車体構造
KR101272006B1 (ko) * 2011-09-05 2013-06-05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 자동차 차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1008831A (es) * 2009-02-24 2011-09-21 Nissan Motor Estructura de montaje de bateria de vehiculo.
US8336658B2 (en) * 2010-12-22 2012-12-25 Tesla Motors, Inc. Augmented vehicle seat mount
JP5861484B2 (ja) * 2011-03-11 2016-02-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載用バッテリ
WO2013073465A1 (ja) * 2011-11-14 2013-05-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用バッテリパックおよびバッテリパックの搭載構造
US8657058B2 (en) * 2011-12-28 2014-02-25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JP5879323B2 (ja) * 2013-10-17 2016-03-0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の搭載構造
JP6421766B2 (ja) * 2016-02-02 2018-11-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レーム車の骨格構造
WO2018216614A1 (ja) * 2017-05-22 2018-11-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DE102018132255A1 (de) * 2018-12-14 2020-06-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nergiespeicher-Bodengruppe für einen Kraftwagenrohbau
DE102018132258A1 (de) * 2018-12-14 2020-06-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nergiespeicher-Bodengruppe für einen Kraftwagenrohbau
KR102633309B1 (ko) * 2019-06-26 2024-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210071619A (ko) * 2019-12-06 2021-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크로스멤버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플로어구조
KR102751295B1 (ko) * 2019-12-16 202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플로어구조
JP7256145B2 (ja) * 2020-04-20 2023-04-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US11407448B2 (en) * 2020-06-15 2022-08-09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floor structure
KR20220036619A (ko) * 2020-09-16 2022-03-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플로어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2998A (ja) * 2005-12-01 2007-06-21 Mazda Motor Corp 車両の下部車体構造
KR101272006B1 (ko) * 2011-09-05 2013-06-05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 자동차 차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45164A1 (en) * 2021-11-09 2023-05-11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Floor System
US12280649B2 (en) * 2021-11-09 2025-04-22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flo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24606B2 (en) 2022-12-13
DE102020214345A1 (de) 2021-12-16
KR102805472B1 (ko) 2025-05-09
CN113799883A (zh) 2021-12-17
US20210387550A1 (en)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55260A (ko) 차량 플로어구조
US8118125B2 (en) Vehicle body floor structure
KR102751295B1 (ko) 차량 플로어구조
CN110588802B (zh) 车身下部结构
KR102552511B1 (ko) 차량용 후방구조
KR102703743B1 (ko) 차량용 배터리 장착구조
KR102506842B1 (ko) 차체의 배터리 지지구조
US20130049405A1 (en)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565981B1 (ko) 전기 자동차용 플로워 패널 조립체
CN110304152B (zh) 车辆的前部车身结构
KR20200091224A (ko) 차량용 플로어 구조
CN113799882B (zh) 车辆地板结构
US11807306B2 (en) Vehicle body structure
KR20170068326A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조립 구조
KR20230067363A (ko) 차량 플로어구조
US11186321B2 (en) Load absorbing structure for vehicle
CN107554619B (zh) 用于车辆的机舱安装框架结构及车辆
KR102299497B1 (ko) 차량용 하중분산구조
US12344313B2 (en) Side sill reinforcement structure of vehicle
KR20220077444A (ko) 차량용 대쉬패널구조
CN113799883B (en) Vehicle floor structure
CN113525091B (zh) 用于车辆的载荷吸收结构
KR102829552B1 (ko) 차량 플로어구조
KR20210121880A (ko) 차량용 전방구조
KR20250090970A (ko) 차량용 리어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3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6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27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