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52941A - 연삭 장치 - Google Patents

연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941A
KR20210152941A KR1020210063761A KR20210063761A KR20210152941A KR 20210152941 A KR20210152941 A KR 20210152941A KR 1020210063761 A KR1020210063761 A KR 1020210063761A KR 20210063761 A KR20210063761 A KR 20210063761A KR 20210152941 A KR20210152941 A KR 20210152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rinding
segment
unit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838024B1 (ko
Inventor
다이스케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Publication of KR20210152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38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380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27Work carriers
    • B24B37/30Work carriers for single side lapping of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4Headstocks; Working-spindles; Features relating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4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liquid or gas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2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relating to fee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006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taking regard of th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12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involving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과제) 연삭 장치를 저가로 구성한다.
(해결 수단) 피가공물(14)을 연삭 가공하는 연삭 장치(1)에 구비하는 에어 노즐(7)로부터 에어를 분사하여 연삭 휠(36)을 저속(예컨대 10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선단 검지 수단(5)을 이용하여 세그먼트 지석(360)을 검지하면서, 카운터(60)를 이용하여 세그먼트 지석(360)의 수 등을 카운트한다. 그리고, 카운터(60)에 의해 카운트된 카운트값과 미리 판단부(61)에 기억된 세그먼트 지석(360)의 수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세그먼트 지석(360)이 탈락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연삭 장치(1)는, 연삭 휠(36)을 저속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연삭 장치(1)를 저가로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삭 장치{GRI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연삭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피가공물을 연삭하는 연삭 장치에 장착하는 연삭 휠은, 베이스와, 베이스에 간극을 두고 환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세그먼트 지석을 구비하고 있다.
피가공물의 연삭 가공 시에는, 연삭 휠을 회전시키는 것과 함께, 피가공물이 유지되고 있는 척 테이블을 회전시키고, 세그먼트 지석을 피가공물의 외주로부터 중심을 향해 진입시키고 있다.
세그먼트 지석이 피가공물의 외주로부터 진입할 때, 세그먼트 지석에 받는 충격 등에 의해, 세그먼트 지석이 베이스로부터 탈락하는 경우가 있다.
연삭 휠에 세그먼트 지석이 탈락한 부분이 있으면, 피연삭면에 연삭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원호의 모양이 생기고, 그 모양의 부분에 두께 차가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 지석의 탈락을 검지하는 발명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08906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7-127936호
그러나, 세그먼트 지석의 탈락의 검지를 가능하게 하려면, 연삭 휠을 10 rpm 정도의 저속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연삭 휠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려면, 회전축의 회전 각도를 검지하는 인코더와, 인코더에 의해 검지한 회전 각도를 피드백하면서 회전시키는 서보 모터와, 서보 모터를 미리 정해진 회전 각도로 회전시키는 제어부가 필요하게 되어 고가이다.
따라서, 연삭 장치에는, 고가의 모터 유닛을 구비하지 않고, 연삭 휠을 저속 회전시켜 세그먼트 지석의 탈락을 검지한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유지면에 피가공물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베이스에 복수의 세그먼트 지석이 간극이 설치된 상태로 환형으로 베이스에 배치되고 회전 가능한 연삭 휠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수단에 유지된 피가공물을 상기 세그먼트 지석을 이용하여 연삭하는 연삭 수단과, 상기 유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연삭 수단을 이동시키는 연삭 이송 수단과, 상기 세그먼트 지석의 선단을 검지하는 선단 검지 수단을 구비한 연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단 검지 수단이 상기 세그먼트 지석의 선단을 검지 가능하게 위치된 상기 연삭 휠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선단 검지 수단이 검지 가능한 속도로 상기 연삭 휠을 회전시키는 에어 노즐과, 상기 연삭 휠의 회전 중의 상기 세그먼트 지석의 수 또는 상기 간극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의 값에 의해 상기 세그먼트 지석의 탈락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구비한 연삭 장치이다.
상기의 연삭 장치에 구비하는 상기 선단 검지 수단은, 측정광을 투광하는 투광부와, 상기 투광부와의 사이에 상기 세그먼트 지석을 진입 가능하게 상기 투광부에 대향 배치하고 상기 투광부로부터 투광된 상기 측정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투광부와 상기 수광부의 사이에 상기 세그먼트 지석이 진입한 것에 의한 상기 수광부의 수광량의 변화로 상기 세그먼트 지석 또는 상기 간극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연삭 장치에 구비하는 상기 에어 노즐은, 상기 투광부에 에어를 분출하는 투광부 에어 분사부와, 상기 수광부에 에어를 분사하는 수광부 에어 분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삭 휠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특수한 모터 등을 구비하지 않고, 에어를 분출하는 것에 의해 연삭 휠의 저속 회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세그먼트 지석의 탈락을 검지할 수 있는 저가의 연삭 장치를 구성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1은 연삭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연삭 휠의 저면도이다.
도 3은 투광부로부터 투광된 광이 간극을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연삭 휠이 투광부로부터의 측정광을 단속적으로 차광할 때의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1. 연삭 장치의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연삭 장치(1)는, 연삭 수단(3)을 이용하여 피가공물(14)을 연삭 가공하는 연삭 장치이다. 이하, 연삭 장치(1)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연삭 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베이스(10)와, 베이스(10) 상에서의 +Y 방향 측에 입설(立設)된 컬럼(11)을 구비하고 있다.
컬럼(11)의 -Y 방향측의 측면에는, 연삭 수단(3)을 지지하는 연삭 이송 수단(4)이 배치되고 있다. 연삭 수단(3)은, Z축 방향의 회전축(35)을 가지는 스핀들(30)과, 스핀들(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31)과, 회전축(35)을 축으로 하여 스핀들(30)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32)와, 스핀들(30)의 하단에 접속된 마운트(33)와, 마운트(33)의 하면에 장착된 연삭 휠(36)을 구비하고 있다. 연삭 휠(36)은 마운트(33)에 대해 착탈 가능하고, 마운트(33)에는, 연삭 휠(36)을 대신하여 다른 종류의 연삭 휠을 장착할 수도 있다.
연삭 휠(36)은, 베이스(361)와, 베이스(361)의 하면에 환형으로 배열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세그먼트 지석(36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세그먼트 지석(360)은, 간극(363)을 두고 배치되고 있고, 모든 세그먼트 지석(360)은, 전체적으로 환형으로 배열되고 있다. 각 세그먼트 지석(360)은, 그 원주 방향의 길이로서의 세그먼트 길이(364)를 가지고 있다. 세그먼트 지석(360)의 하면(362)은 피가공물(14)을 연삭하는 연삭면이 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모터(32)를 이용하여, 회전축(35)을 축으로 하여 스핀들(3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스핀들(30)에 접속된 마운트(33) 및 마운트(33)에 장착되고 있는 연삭 휠(36)이, 베이스(361)의 중심을 통과하는 Z축 방향의 회전축(35)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연삭 이송 수단(4)은, Z축 방향의 회전축(45)을 가지는 볼 나사(40)와, 볼 나사(40)에 대해 평행으로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41)과, 볼 나사(40)의 상단에 연결되고 회전축(45)을 축으로 하여 볼 나사(40)를 회동시키는 Z축 모터(42)와, 내부의 너트가 볼 나사(40)에 나사 결합하고 측부가 가이드 레일(41)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승강판(43)과, 승강판(43)에 연결되고 스핀들(30)을 유지하는 홀더(44)를 구비하고 있다.
Z축 모터(42)를 이용하여 볼 나사(40)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볼 나사(40)가 회전축(45)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 승강판(43)이 가이드 레일(41)에 안내되면서 Z축 방향으로 승강 이동하고, 이에 따라, 홀더(44)에 유지되고 있는 연삭 수단(3)이, 유지면(200)에 대해 수직인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10) 상에는, 유지 수단(2)이 배치되고 있다. 유지 수단(2)은, 원판형의 흡인부(20)와 흡인부(20)를 지지하는 환형의 프레임(21)을 구비하고 있다. 흡인부(20)는, 다수의 세공(細孔)을 가지는 다공성 부재이고, 흡인부(20)의 상면은 피가공물(14)이 흡인 유지되는 유지면(200)이 되고 있다. 프레임(21)의 상면(210)은, 유지면(200)에 동일 평면으로 형성되고 있다.
유지 수단(2)의 유지면(200)에는, 도시하지 않는 흡인원이 접속되고 있다. 예컨대, 유지면(200)에 피가공물(14)이 재치된 상태로, 상기 흡인원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유지면(200)에 피가공물(14)을 흡인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 수단(2)에는, 도시하지 않는 회전 기구가 배치되고 있다. 상기 회전 기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유지 수단(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유지 수단(2)의 주위에는 커버(28)가 배치되고 있고, 커버(28)는 벨로우즈(27)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고 있다.
유지 수단(2)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커버(28)가 유지 수단(2)과 일체적으로 Y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벨로우즈(27)가 신축하게 된다.
유지 수단(2)의 +Y 방향 측에는, 선단 검지 수단(5)이 배치되고 있다. 선단 검지 수단(5)은, 예컨대 커버(28)에 고정되고, 유지 수단(2)과 함께 ±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선단 검지 수단(5)은, 베이스(53)와 베이스(53) 상에 배치된 투수광 소자(54)를 구비하고 있다. 투수광 소자(54)는, 측정광을 투광하는 투광부(50)와, 투광부(50)로부터 투광된 측정광을 수광하는 수광부(51)를 구비하고 있다. 수광부(51)는 투광부(50)에 대향 배치되고 있다. 투광부(50)와 수광부(51)의 사이에는, X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오목부(540)가 형성되고 있다. 오목부(540)에는, 세그먼트 지석(360)이 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선단 검지 수단(5)은, 세그먼트 지석(360) 또는 간극(363)을 검지하는 검지부(55)를 구비하고 있다. 검지부(55)는, 투광부(50)와 수광부(51)의 사이에 세그먼트 지석(360)이 진입하는 것에 의해 변화하는 수광부(51)의 수광량을, 전압의 값으로 환산하여 측정하고, 그 전압의 변화에 기초하여 세그먼트 지석(360) 또는 간극(363)을 검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연삭 장치(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 검지 수단(5)이 세그먼트 지석(360)의 선단을 검지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된 연삭 휠(36)에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7)을 구비하고 있다. 에어 노즐(7)은, 투광부(50)에 에어를 분출하는 투광부 에어 분사부(70)와, 수광부(51)에 에어를 분사하는 수광부 에어 분사부(71)를 구비하고 있다. 투광부 에어 분사부(70) 및 수광부 에어 분사부(71)는, 에어원(72)에 접속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부 에어 분사부(70) 및 수광부 에어 분사부(71)는, 각각으로부터 분출되는 에어의 방향과, 그 에어가 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세그먼트 지석(360)의 회전 궤도의 접선 방향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게 배치되고 있다. 또한, 에어가 세그먼트 지석(360)에 접하는 위치에 있어서는, 투광부 에어 분사부(70)로부터 분출되는 에어의 방향과 세그먼트 지석(360)의 회전 궤도의 접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수광부 에어 분사부(71)로부터 분출되는 에어의 방향과 세그먼트 지석(360)의 회전 궤도의 접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와 거의 같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부 에어 분사부(70) 및 수광부 에어 분사부(71)는, 각각으로부터 분출되는 에어의 방향과 세그먼트 지석(360)의 하면(362)이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게 배치되고 있다.
또한, 도시의 예에 있어서의 에어 노즐(7)은, 선단 검지 수단(5)과 일체가 되고 있지만, 양자를 별체로서 구성해도 좋다.
선단 검지 수단(5)이 세그먼트 지석(360)의 선단을 검지할 수 있는 위치에 연삭 휠(36)이 위치되고 있는 상태에서, 에어 노즐(7)의 투광부 에어 분사부(70) 및 수광부 에어 분사부(71)로부터, 연삭 휠(36)의 내측면(365) 및 외측면(366) 및 하면(362)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것에 의해, 연삭 휠(36)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 노즐(7)에 있어서는, 에어원(72)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연삭 휠(36)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에어 노즐(7)은, 에어 노즐(7)의 투광부 에어 분사부(70) 및 수광부 에어 분사부(71)로부터 에어를 분사하여, 투광부(50)와 수광부(51)의 사이에 부착하고 있는 물방울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투광부 에어 분사부(70) 및 수광부 에어 분사부(71)가, 연삭 휠(36)을 회전시키는 기능과, 물방울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또한, 투광부 에어 분사부(70) 및 수광부 에어 분사부(71) 이외에 별도의 노즐을 설치하고, 연삭 휠(36)을 회전시키는 기능과 물방울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각기 다른 노즐에 의해 실현해도 좋다.
선단 검지 수단(5)에는, 연삭 휠(36)의 회전 중에 세그먼트 지석(360)의 수 또는 간극(363)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60)가 접속되고 있다. 또한, 카운터(60)에는, 카운터(60)의 값에 의해 세그먼트 지석(360)의 탈락을 판단하는 판단부(61)가 접속되고 있다.
카운터(60)는, 검지부(55)가 세그먼트 지석(360)을 검지할 때마다 그 수를 카운트업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카운터(60)는, 검지부(55)가 간극(363)을 검지할 때마다 그 수를 카운트업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선단 검지 수단(5)이 세그먼트 지석(360) 및 간극(363)을 검지할 수 있는 속도인 10 rpm으로 연삭 휠(36)이 회전하고 있을 때, 검지부(55)가 세그먼트 지석(360)을 검지하면, 카운터(60)의 카운트값이 상승한다. 카운터(60)는, 예컨대, 연삭 휠(36)이 일회전하는 동안에 검지부(55)가 검지하는 세그먼트 지석(360)의 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61)에는, 미리 세그먼트 지석(360)의 수를 기억시켜 놓을 수 있다. 카운터(60)에 의해 카운트된 연삭 휠(36)의 일회전당 세그먼트 지석(360)의 수와, 판단부(61)에 기억된 세그먼트 지석(360)의 수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세그먼트 지석(360)이 탈락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2. 연삭 장치의 동작
(연삭 가공)
상기의 연삭 장치(1)를 이용하여 피가공물(14)을 연삭 가공할 때의 연삭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연삭 장치(1)를 이용하여 피가공물(14)을 연삭 가공할 때에는, 우선, 도 1에 도시된 피가공물(14)을 유지 수단(2)의 유지면(200)에 재치한다. 그리고, 유지 수단(2)에 접속되고 있는 도시하지 않는 흡인원을 작동시키고, 발생된 흡인력을 유지면(200)에 전달한다. 이에 의해, 피가공물(14)이 유지면(200)에 흡인 유지된다.
피가공물(14)이 유지면(200)에 흡인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는 Y축 이동 수단 등을 이용하여 유지 수단(2)을 +Y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연삭 수단(3)의 하방에 위치시킨다.
그 다음에, 도시하지 않는 회전 기구를 이용하여 유지 수단(2)을 회전시키고, 유지면(200)에 유지되고 있는 피가공물(14)을 회전시키는 것과 함께, 모터(32)를 이용하여 회전축(35)을 축으로 하여 세그먼트 지석(360)을 회전시킨다.
피가공물(14)이 회전축(25)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있고, 또한, 세그먼트 지석(360)이 회전축(35)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연삭 이송 수단(4)을 이용하여 연삭 수단(3)을 -Z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세그먼트 지석(360)을 -Z 방향으로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세그먼트 지석(360)의 하면(362)이 피가공물(14)의 상면(140)에 접촉한다.
하면(362)이 피가공물(14)의 상면(140)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더욱 세그먼트 지석(360)을 -Z 방향으로 하강시켜 가는 것에 의해 피가공물(14)이 연삭된다.
피가공물(14)의 연삭 가공이 종료되면, 연삭 이송 수단(4)을 이용하여 연삭 수단(3)을 +Z 방향으로 이동시켜 세그먼트 지석(360)을 피가공물(14)의 상면(140)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피가공물(14)을 유지 수단(2)의 유지면(200)으로부터 반출한다.
(세그먼트 지석의 탈락의 판단)
연삭 장치(1)에 있어서는, 피가공물(14)의 연삭 가공 전 등에 세그먼트 지석(360)이 탈락하고 있는지가 판단된다. 이하, 세그먼트 지석(360)이 탈락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때의 연삭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세그먼트 지석(360)이 탈락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선단 검지 수단(5)을 작동시키고, 투광부(50)로부터 수광부(51)를 향해 측정광을 투광하는 것과 함께, 오목부(540)의 상방에 세그먼트 지석(360)의 회전 궤도가 위치하도록 선단 검지 수단(5)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연삭 이송 수단(4)을 이용하여 연삭 휠(36)을 -Z 방향으로 적절한 거리만큼 하강시킨다. 그러면, 세그먼트 지석(360)이 투수광 소자(54)의 오목부(540)에 진입하고, 세그먼트 지석(360)의 하면(362)이 투광부(50)와 수광부(51)를 직선으로 연결한 투수광 라인(52)(도 2 참조)의 높이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다음에,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에어원(72)을 작동시켜 투광부 에어 분사부(70) 및 수광부 에어 분사부(71)에 에어를 공급한다. 이에 의해, 투광부 에어 분사부(70) 및 수광부 에어 분사부(71)로부터 연삭 휠(36)의 양측면(365,366) 및 하면(362)을 향해 미리 정해진 유량의 에어가 분사되고, 연삭 휠(36)이 에어의 압력을 받아 회전한다. 연삭 휠(36)의 회전 속도는, 예컨대 10 rpm으로 한다.
즉, 에어 분사부(71)는, 세그먼트 지석(360)의 하방에 배치하고,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고 있으므로, 에어의 분사 방향을 따라 연삭 휠(36)을 회전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세그먼트 지석(360)의 하면(362)이 투광부(50)와 수광부(51)를 직선으로 연결한 투수광 라인(52)의 높이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되고 있는 상태에서 연삭 휠(36)이 회전하면, 투수광 라인(52)에 세그먼트 지석(360)이 중첩되어 차광되고 있는 상태와, 투수광 라인(52)에 세그먼트 지석(360)이 중첩되지 않아 차광되고 있지 않은 상태가 교대로 반복된다.
도 4에는, 회전하는 세그먼트 지석(360)에 의해 투광부(50)로부터 투광된 측정광이 차광되고 있는 상태와 차광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반복되었을 때에 검지부(55)에 검지되는 전압의 변화가 측정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검지부(55)에는, 미리, 세그먼트 임계치(80)와 간극 임계치(81)가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측정된 수광 전압이 간극 임계치(81)보다 클 때에는, 투광부(50)로부터 투광된 측정광이 차광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서 간극(363)이 검지된다. 또한, 측정된 수광 전압이 세그먼트 임계치(80)보다 작을 때에는, 투광부(50)로부터 투광된 측정광이 세그먼트 지석(360)에 의해 차광되고 있는 것으로서 세그먼트 지석(360)이 검지된다.
회전하는 세그먼트 지석(360)에 의해 투광부(50)로부터 투광된 측정광이 차광되고 있는 상태와 차광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반복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제1 수광 전압(82)과 제2 수광 전압(83)의 2개의 값이 교대로 측정된다.
측정된 수광 전압이 제1 수광 전압(82)일 때는, 제1 수광 전압(82)이 세그먼트 임계치(80)보다 작기 때문에 세그먼트 지석(360)이 검지부(55)에 검지된다. 또한, 측정된 수광 전압이 제2 수광 전압(83)일 때는, 제2 수광 전압(83)이 간극 임계치(81)보다 크기 때문에 간극(363)이 검지부(55)에 검지된다.
따라서, 검지부(55)에 의해 세그먼트 지석(360)과 간극(363)이 교대로 검지된다.
연삭 휠(36)의 회전 개시와 함께, 카운터(60)에 의한 세그먼트 지석(360)의 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그러면, 검지부(55)가 세그먼트 지석(360)을 검지할 때마다, 카운터(60)의 카운트값이 상승한다. 그리고, 연삭 휠(36)이 일회전하는 동안에 검지부(55)가 검지한 세그먼트 지석(360)의 수를 카운터(60)에 의해 카운트한 후, 카운터(60)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과 함께, 에어 노즐(7)로부터의 에어의 분사를 정지하여, 연삭 휠(36)의 회전 동작을 정지시킨다.
그 후, 연삭 휠(36)이 일회전하는 동안에 카운터(60)에 의해 카운트된 카운트값과, 미리 판단부(61)에 기억된 세그먼트 지석(360)의 수가 판단부(61)에 의해 비교된다.
이 때, 연삭 휠(36)이 일회전하는 동안에 카운터(60)에 카운트된 카운트값이, 미리 판단부(61)에 기억된 세그먼트 지석(360)의 수와 일치하고 있을 때는, 세그먼트 지석(360)이 탈락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다. 한편, 연삭 휠(36)이 일회전하는 동안에 카운터(60)에 카운트된 카운트값이, 미리 판단부(61)에 기억된 세그먼트 지석(360)의 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세그먼트 지석(360)이 탈락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세그먼트 지석(360)의 수를 비교하여 세그먼트 지석(360)의 탈락을 판단하는 대신에, 간극(363)의 수를 비교하여 세그먼트 지석(360)의 탈락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판단부(61)에 연삭 휠(36)에 구비하는 간극(363)의 수를 기억해 놓고, 세그먼트 지석(360)을 적절한 높이 위치에 위치시켜 오목부(540)에 진입시킨다. 그리고, 투광부(50)로부터 측정광을 투광하면서 에어 노즐(7)의 투광부 에어 분사부(70)로부터 에어를 분사하여 연삭 휠(36)을 회전시키고, 검지부(55)가 간극(363)을 검지할 때마다 카운터(60)에 의해 간극(363)의 수를 카운트한다. 연삭 휠(36)이 일회전하는 동안에 검지부(55)에 검지되는 간극(363)의 수를 카운트하고, 판단부(61)에 기억되고 있는 간극(363)의 수와, 카운트된 간극(363)의 수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세그먼트 지석(360)이 탈락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연삭 장치(1)에 있어서는, 세그먼트 지석(360)의 탈락을 판단할 때에, 에어 노즐(7)을 이용하여 에어를 분출하여 연삭 휠(36)을 10 rpm 정도의 저속으로 회전시키고 있기 때문에, 연삭 휠(36)을 저속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불필요하고, 경제적이다.
1: 연삭 장치 10: 베이스 11: 컬럼 14: 피가공물 140: 상면
2: 유지 수단 20: 흡인부 200: 유지면
21: 프레임 210: 프레임의 상면 27: 벨로우즈 28: 커버
3: 연삭 수단 30: 스핀들 31: 하우징 32: 모터
33: 마운트 35: 회전축 36: 연삭 휠 360: 세그먼트 지석
361: 베이스 362: 하면 363: 간극 364: 세그먼트 길이
365: 내측면 366: 외측면
4: 연삭 이송 수단 40: 볼 나사 41: 가이드 레일
42: Z축 모터 43: 승강판 44: 홀더 45: 회전축
5: 선단 검지 수단 50: 투광부 51: 수광부 52: 투수광 라인 53: 베이스
54: 투수광 소자 540: 오목부 55: 검지부
60: 카운터 61: 판단부
7: 에어 노즐 70: 투광부 에어 분사부 71: 수광부 에어 분사부
72: 에어원 80: 세그먼트 임계치 81: 간극 임계치
82: 제1 수광 전압 83: 제2 수광 전압

Claims (3)

  1. 유지면에 피가공물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베이스에 복수의 세그먼트 지석이 간극이 설치된 상태로 환형으로 배치되고 회전 가능한 연삭 휠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수단에 유지된 피가공물을 상기 세그먼트 지석을 이용하여 연삭하는 연삭 수단과,
    상기 유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연삭 수단을 이동시키는 연삭 이송 수단과,
    상기 세그먼트 지석의 선단을 검지하는 선단 검지 수단을 구비한 연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단 검지 수단이 상기 세그먼트 지석의 선단을 검지 가능한 위치에 위치된 상기 연삭 휠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선단 검지 수단이 검지 가능한 속도로 상기 연삭 휠을 회전시키는 에어 노즐과,
    상기 연삭 휠의 회전 중의 상기 세그먼트 지석의 수 또는 상기 간극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의 값에 의해 상기 세그먼트 지석의 탈락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구비한 연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검지 수단은, 측정광을 투광하는 투광부와, 상기 투광부와의 사이에 상기 세그먼트 지석을 진입 가능하게 상기 투광부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투광부로부터 투광된 상기 측정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투광부와 상기 수광부의 사이에 상기 세그먼트 지석이 진입하는 것에 의한 상기 수광부의 수광량의 변화로 상기 세그먼트 지석 또는 상기 간극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구비한 연삭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노즐은, 상기 투광부에 에어를 분출하는 투광부 에어 분사부와, 상기 수광부에 에어를 분사하는 수광부 에어 분사부를 구비한 연삭 장치.
KR1020210063761A 2020-06-09 2021-05-18 연삭 장치 Active KR102838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99979A JP7636141B2 (ja) 2020-06-09 2020-06-09 研削装置
JPJP-P-2020-099979 2020-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941A true KR20210152941A (ko) 2021-12-16
KR102838024B1 KR102838024B1 (ko) 2025-07-23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9065A (ja) 2001-09-17 2003-03-25 Disco Abrasive Syst Ltd 研削ホイール
JP2017127936A (ja) 2016-01-21 2017-07-27 株式会社ディスコ 研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9065A (ja) 2001-09-17 2003-03-25 Disco Abrasive Syst Ltd 研削ホイール
JP2017127936A (ja) 2016-01-21 2017-07-27 株式会社ディスコ 研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636141B2 (ja) 2025-02-26
TW202146164A (zh) 2021-12-16
CN113770861A (zh) 2021-12-10
TWI862839B (zh) 2024-11-21
JP2021194708A (ja)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9962B1 (en) Cleaning apparatus
KR102688369B1 (ko) 크리프 피드 연삭 방법
KR20150130914A (ko) 연삭 장치
JP2018083266A (ja) 研削装置及び粗さ測定方法
KR20160025462A (ko) 연삭 장치
JP2018140450A (ja) 研削装置
JP2015036170A (ja) 研削装置
JP7636141B2 (ja) 研削装置
KR20200101836A (ko) 연삭 장치
US20210245326A1 (en) Grinding apparatus
CN110170892A (zh) 磨削装置
JP2007223014A (ja) スピンドルユニット
JP6704256B2 (ja) 研削装置
JP7112273B2 (ja) クリープフィード研削方法
KR20200015378A (ko) 휠 마운트
KR102838024B1 (ko) 연삭 장치
JP7347967B2 (ja) 研削方法
JP7351611B2 (ja) ウェーハの面取り加工装置
JP7096752B2 (ja) 研削装置
JP6831250B2 (ja) リニアゲージと加工装置
KR20210144569A (ko) 연삭 장치
JP4639405B2 (ja) ウェーハ面取り装置及びウェーハ面取り方法
JP7295670B2 (ja) 研削装置
JP2021146417A (ja) ウェーハの研削方法
JP6171048B1 (ja) 研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2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5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