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24264A - 화장재 - Google Patents

화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4264A
KR20210124264A KR1020217025688A KR20217025688A KR20210124264A KR 20210124264 A KR20210124264 A KR 20210124264A KR 1020217025688 A KR1020217025688 A KR 1020217025688A KR 20217025688 A KR20217025688 A KR 20217025688A KR 20210124264 A KR20210124264 A KR 20210124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smetic material
layer
shape
conca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츠 오가와
고지 도이
히로키 가와니시
게이스케 츠루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57006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34199A/ko
Publication of KR20210124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26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61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건조시뿐만 아니라 물에 젖었을 때에도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하고, 의장성도 우수한 화장재를 제공한다. 도안층을 갖는 화장재로서, 상기 화장재의 한쪽 면에 불규칙한 요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요철 형상은, 3D 형상 측정기에 의해 측정한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과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의 합계치로 표시되는 용적(Vvv+Vvc)이 15 m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

Description

화장재
본 발명은 화장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재, 가구, 가전제품 등에 있어서, 사용하는 부재를 가식(加飾)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화장재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화장재를 바닥재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안전성의 관점에서 미끄럼 방지성이 요구된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표면 보호층이 2층 이상의 복수층의 적층 구조를 갖고 있고, 그 최표층에만 수지계 비드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마찰을 저감하여, 미끄럼 방지성을 부여한 바닥재 표면용 적층체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일상생활에서는, 키친이나 탈의실 등을 대표로 하는 물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 환경, 즉 물 주변의 환경에서, 바닥이 물에 젖는 것에 의해 사람이 넘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그런데, 전술한 바닥재 표면용 적층체에서는, 건조시의 미끄럼 방지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고려되었지만, 물에 젖었을 때의 미끄럼 방지성에 관해서는 고려되지 않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종래부터, 항상 물로 젖어 있는 경우가 많은 욕실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바닥재로서는, 오목부가 깊고 오목부의 폭이 넓은 표면 형상을 부여하여, 물에 젖었을 때의 미끄럼 방지성을 향상시킨 것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그 표면 형상은 규칙성이 있는 바둑판 모양 등의 기하학적인 것으로, 하지의 의장이 한정되어 버린다는 과제가 있어, 나무결 모양이나 돌결 모양 등과 같은 높은 의장성이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수요가 적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13-167089호 공보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건조시뿐만 아니라 물에 젖었을 때에도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하고, 의장성도 우수한 화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하여, 화장재의 표면 형상에 주목했다. 그 결과, 한쪽 면에, 불규칙하고 특정한 용적을 갖는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건조시뿐만 아니라 물에 젖었을 때에도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의장성도 우수한 화장재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도안층을 갖는 화장재로서, 상기 화장재의 한쪽 면에 불규칙한 요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요철 형상은, 3D 형상 측정기에 의해 측정한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과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의 합계치로 표시되는 용적(Vvv+Vvc)이 15 m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이다.
본 발명의 화장재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연속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적(Vvv+Vvc)은 55 m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철 형상은, JIS B 0601(2001)로 정의되는 10점 평균 거칠기(RzJ)가 70 μm 이상 200 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철 형상은, JIS B 0601(2001)로 정의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3 μm 이상 30 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철 형상은, CNOMO로 정의되는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가 1.0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장재의 상기 요철 형상을 갖는 측에 표면 보호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건조시뿐만 아니라 물에 젖었을 때에도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하고, 의장성도 우수한 화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화장재를 3D 형상 측정기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지는 부하 곡선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화장재의 바람직한 일례의 표면 형상(불규칙한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화장재의 일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b)는, 본 발명의 화장재의 다른 일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c)는, 본 발명의 화장재의 다른 일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장재가 피착재에 적층된 일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우선은, 본 발명의 화장재에 관해 설명한다.
또,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로 표시되는 수치 범위의 하한 상한은 「이상 이하」를 의미한다(예컨대, α∼β이면 α 이상 β 이하이다).
본 발명은, 도안층을 갖는 화장재로서, 상기 화장재의 한쪽 면에 불규칙한 요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요철 형상은, 3D 형상 측정기에 의해 측정한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과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의 합계치로 표시되는 용적(Vvv+Vvc)이 15 mL/㎡(밀리리터/평방미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장재가 갖는 요철 형상>
본 발명의 화장재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3D 형상 측정기에 의해 측정한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과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의 합계치로 표시되는 용적(Vvv+Vvc)이 15 mL/㎡ 이상이다.
본 발명의 화장재는, 이러한 요철 형상을 갖기 때문에, 건조시의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물에 젖었다 하더라도 발바닥 등과 물이 접촉하는 영역을 적게 할 수 있어, 물에 젖었을 때에도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하다.
상기 용적(Vvv+Vvc)은, 물에 젖었을 때의 미끄럼 방지성을 보다 적합하게 부여하는 관점에서, 20 m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mL/㎡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mL/㎡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용적(Vvv+Vvc)은 55 m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mL/㎡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용적(Vvv+Vvc)이 55 mL/㎡을 넘으면, 오목부에 들어간 오물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어, 청소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 및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은, 3D 형상 측정기(제품명 : 원쇼트 3D 형상 측정기 헤드 「VR-3100」, 컨트롤러 「VR-3000」, KEYENCE사 제조)를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측정, 해석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측정 조건)
측정 횟수 : n=5(임의의 5점)
측정 모드 : 슈퍼파인
측정 방향 : 양측
밝기 조정 : 오토(80)
측정 배율 : 12×
측정 스케일 : 18 mm×24 mm
측정마다 포커스 가이드로부터 포커스를 조정한다.
해석 애플리케이션(「VR-H2A」, KEYENCE사 제조)에 의해, 측정 데이터의 전처리를 행한다.
1 기준면 설정(기준면 지정 방법 : 영역 지정(화상 전체))
2 면 형상 보정(보정 방법 : 굴곡 제거, 지정 방법 : 보정의 강도(5))
그 후, 기능(체적) 파라미터로부터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 및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을 산출한다.
도 1은, 화장재를 3D 형상 측정기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지는 부하 곡선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기능(체적) 파라미터는, 부하 곡선(부하 면적률이 0%로부터 100%가 되는 높이를 나타낸 곡선)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이며, 어떤 높이(c)에서의 부하 면적률은, 도 1의 (a)에서의 Smr(c)에 상당한다. 상기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은, 부하 면적률이 80% 이상인 범위의 공극 용적을 산출한 것이며, 상기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은, 부하 면적률이 10% 이상 80% 미만인 범위의 공극 용적을 산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재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불규칙한 형상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화장재의 바람직한 일례의 표면 형상(불규칙한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화장재(10)는, 도 2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불규칙한 요철 형상을 갖기 때문에, 나무결 모양, 돌결 모양, 옷감결 모양 등의 여러가지 의장을 도안층으로서 적용했다 하더라도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다.
한편, 표면에 규칙적인 요철 형상(예컨대 기하학 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나무결 모양, 돌결 모양, 옷감결 모양 등의 여러가지 의장을 도안층으로서 적용하면 위화감이 생겨 버린다.
여기서 「불규칙한 요철 형상」이란, 주기적인 요철을 갖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예컨대, 화장재의 표면을 3D 형상 측정기(제품명 : 원쇼트 3D 형상 측정기 헤드 「VR-3100」, 컨트롤러 「VR-3000」, KEYENCE사 제조)에 의해 임의의 5개소(18 mm×24 mm)를 관찰했을 때에, 볼록부(섬부)와 오목부(골짜기부)의 면적 비율, 또는, 볼록부(섬부)의 수가 일정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볼록부(섬부)란, 상기 3D 형상 측정기에 의해, 전술한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 및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과 동일한 측정 조건에 의해 얻어지는 표면 높이의, 최고점에 대한 비율이 62.5% 이상, 100% 이하에 포함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오목부(골짜기부)란, 표면 높이의, 최고점에 대한 비율이 0% 이상, 62.5% 미만에 포함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 상기 「면적 비율」이란, 측정한 개소(18 mm×24 mm)의 요철 형상에 관해, 볼록부(섬부)와 오목부(골짜기부)로 구분하고, 각각이 차지하는 면적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의장성을 적합하게 부여하는 관점에서, 상기 임의의 5개소(18 mm×24 mm)의 각각에 있어서, 볼록부(섬부)의 수가 50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개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개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재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연속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 형상이 연속된 형상인 것에 의해, 화장재가 물에 젖은 경우나, 오물이 부착된 경우에, 물이나 오물의 도피로가 확보되기 때문에, 물에 젖었을 때의 미끄럼 방지성이나, 청소성을 적합하게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연속된 형상」이란, 끊김 없이 이어져 있는 오목부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컨대, 화장재의 표면을 3D 형상 측정기(제품명 : 원쇼트 3D 형상 측정기 헤드 「VR-3100」, 컨트롤러 「VR-3000」, KEYENCE사 제조)에 의해 임의의 5개소(18 mm×24 mm)를 관찰했을 때에, 관찰한 개소에서의 오목부(골짜기부)의 전체 면적(100%)에 대하여, 연속해 있는(이어져 있는) 오목부(골짜기부)의 면적이 9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재에 있어서, JIS B 0601(2001)로 정의되는 10점 평균 거칠기(RzJ)가 70 μm 이상 200 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0점 평균 거칠기(RzJ)가 상기 범위인 것에 의해, 물에 젖었을 때의 미끄럼 방지성이나 청소성을 보다 적합하게 부여할 수 있다.
상기 10점 평균 거칠기(RzJ)는, 90 μm 이상 180 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 μm 이상 160 μ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재에 있어서, JIS B 0601(2001)로 정의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3 μm 이상 30 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상기 범위인 것에 의해, 물에 젖었을 때의 미끄럼 방지성이나 청소성을 보다 적합하게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16 μm 이상 27 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9 μm 이상 24 μ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10점 평균 거칠기(RzJ) 및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표면 거칠기 측정기(「SURFCOM-FLEX-50A」, 도쿄 정밀사 제조)를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측정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측정 조건)
측정 횟수 : n=5(임의의 5점)
산출 규격 : JIS' 01
측정 종류 : 거칠기 측정
평가 길이 : 40.00 mm
컷오프값 : 8.00 mm
측정 속도 : 1.50 mm/s
요철 형상에 방향성이 있는 경우에는, 흐름 방향과 수직으로 측정한다.
본 발명의 화장재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CNOMO로 정의되는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가 1.0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가 상기 범위인 것에 의해, 물에 젖었을 때의 미끄럼 방지성이나 청소성을 보다 적합하게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는, 1.50 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 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는, 발바닥과 물이 접촉하는 영역을 적게 하여, 물에 젖었을 때에도 미끄럼 방지성을 적합하게 부여하는 관점에서, 5.0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0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는, 표면 거칠기 측정기(「SURFCOM-FLEX-50A」, 도쿄 정밀사 제조)를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측정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측정 횟수 : n=5(임의의 5점)
산출 규격 : CNOMO
측정 종류 : 단면 측정
평가 길이 : 16.00 mm
측정 속도 : 0.60 mm/s
λs 필터 : 8.00 μm
모티브 계산 : LIMIT A 0.5 mm, LIMIT B 2.5 mm
요철 형상에 방향성이 있는 경우, 흐름 방향과 수직으로 측정한다.
본 발명의 화장재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열에 의한 엠보스 가공, 부형 시트에 의해 요철 형상을 전사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엠보스 가공으로서는, 예컨대, 주지의 매엽, 또는, 윤전식의 엠보스기에 의한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도안층)
본 발명의 화장재는 도안층을 갖는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화장재의 일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b)는, 본 발명의 화장재의 다른 일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c)는, 본 발명의 화장재의 다른 일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안층(20)은, 화장재(10)의 요철 형상(11)을 갖는 면과 반대측에 갖고 있어도 좋고,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안층(20)은, 화장재(20)의 요철 형상(11)을 갖는 측에 갖고 있어도 좋고, 도 3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장재(10)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그 층의 사이(내부)에 구비되어 있어도 좋으며, 특별히 형성되는 곳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안층은, 화장재에 원하는 도안(의장)을 부여하는 층이며, 도안의 종류 등은 한정적이지 않다. 예컨대, 나무결 모양, 레이저 모양, 돌결 모양, 모래결 모양, 타일을 붙인 모양, 벽돌을 쌓은 모양, 옷감결 모양, 기하학 도형, 문자, 기호, 추상 모양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안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공지의 착색제(염료 또는 안료)를 결착재 수지와 함께 용제(또는 분산매) 중에 용해(또는 분산)하여 얻어지는 잉크를 이용한 인쇄법에 의해, 후술하는 기재 시트의 위 등, 화장재의 임의의 장소에 형성하면 된다. 또한, 화장재의 일부나 전체를 착색하거나, 복수종의 수지를 혼합해도 좋다.
잉크로서는, 화장 시트의 VOC를 저감하는 관점에서는 수성 조성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착색제로서는, 예컨대, 카본블랙, 티탄백, 아연화, 벵가라, 감청, 카드뮴레드 등의 무기 안료; 아조 안료, 레이크 안료, 안트라퀴논 안료, 퀴나클리돈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이소인돌리논 안료, 디옥사진 안료 등의 유기 안료; 알루미늄분, 브론즈분 등의 금속분 안료; 산화티탄 피복 운모, 산화염화비스무트 등의 펄광택 안료; 형광 안료; 야광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착색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착색제는, 실리카 등의 필러, 유기 비드 등의 체질 안료, 중화제, 계면활성제 등과 함께 이용해도 좋다.
상기 결착재 수지로서는, 친수성 처리된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수지 외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부타디엔, 폴리염화비닐, 염소화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로진 유도체,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의 알콜 부가물,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도 병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수지, 폴리(메트)아크릴산계 수지,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수지, 폴리 N-비닐피롤리돈계 수지, 수용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수용성 폴리아미드계 수지, 수용성 아미노계 수지, 수용성 페놀계 수지, 그 밖의 수용성 합성 수지; 폴리뉴클레오티드, 폴리펩티드, 다당류 등의 수용성 천연 고분자;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우레탄-폴리아크릴계 수지 등이 변성한 것 내지 상기 천연 고무 등의 혼합물, 그 밖의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결착재 수지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또는 분산매)로서는, 예컨대, 헥산, 헵탄, 옥탄,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석유계 유기 용제;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2-메톡시에틸, 아세트산-2-에톡시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유기 용제; 메틸알콜, 에틸알콜, 노르말프로필알콜, 이소프로필알콜, 이소부틸알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콜계 유기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계 유기 용제;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유기 용제;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등의 염소계 유기 용제; 물 등의 무기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또는 분산매)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안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인쇄법으로서는, 예컨대, 그라비아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정전 인쇄법, 잉크젯 인쇄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면 솔리드형의 도안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롤코트법, 나이프코트법, 에어나이프코트법, 다이코트법, 립코트법, 콤마코트법, 키스코트법, 플로우코트법, 딥코트법 등의 각종 코팅법을 들 수 있다. 기타, 손으로 그리는 방법, 먹물 흘리기 방법, 사진법, 전사법, 레이저빔 묘화법, 전자빔 묘화법, 금속 등의 부분 증착법, 에칭법 등을 이용하거나, 다른 형성 방법과 조합하여 이용하거나 해도 좋다.
상기 도안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품 특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층 두께는 0.1∼15 μm 정도이다.
(표면 보호층)
본 발명의 화장재는,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수성, 내오염성, 내후성 등의 표면 물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상기 화장재의 상기 요철 형상을 갖는 측에 표면 보호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열경화형 수지 또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등의 경화형 수지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더욱 높은 표면 경도, 생산성, 내후성 등을 얻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전자선 경화형 수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가교 중합 반응을 일으켜, 3차원의 고분자 구조로 변화하는 수지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가교 가능한 중합성 불포화 결합 또는 에폭시기를 분자 중에 갖는 프리폴리머, 올리고머 및 모노머의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우레탄아크릴레이트(예컨대, 2작용의 에테르계 우레탄 올리고머, 다작용의 우레탄 올리고머 등),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 수지; 실록산 등의 규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전리 방사선으로서는, 가시광선, 자외선(근자외선, 진공자외선 등), X선, 전자선, 이온선 등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자외선, 전자선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원으로서는,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아크등, 블랙라이트 형광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의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의 파장으로서는, 예컨대, 190∼380 nm 정도이다.
상기 전자선원으로서는, 예컨대, 콕크로프트ㆍ윌턴형, 반데그라프형, 공진 변압기형, 절연 코어 변압기형,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선의 에너지로서는, 100∼1000 keV 정도가 바람직하고, 100∼300 keV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전자선의 조사량은 2∼15 Mrad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전자선을 조사하면 충분히 경화하지만,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광중합 개시제(증감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계의 경우, 예컨대,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티옥산톤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미힐러 벤조일벤조에이트, 미힐러 케톤, 디페닐술파이드, 디벤질디술파이드, 디에틸옥사이트, 트리페닐비이미다졸, 이소프로필-N,N-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등의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이온 중합성 작용기를 갖는 수지계의 경우, 예컨대,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메탈로센 화합물, 벤조인술폰산에스테르, 푸릴옥시술폭소늄디알릴요오도실염 등의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10 질량부 정도이다.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용액을 그라비아코트법, 롤코트법 등의 도포법으로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경화형 수지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도 포함), 에폭시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구아나민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경화형 수지에는, 가교제, 중합 개시제 등의 경화제, 중합 촉진제를 첨가할 수 있다. 예컨대, 경화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 유기 술폰산염 등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폴리우레탄 수지 등에 첨가할 수 있고, 유기 아민 등을 에폭시 수지에 첨가할 수 있고,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 아조이소부틸니트릴 등의 라디칼 개시제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형 수지로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예컨대, 열경화형 수지의 용액을 롤코트법, 그라비아코트법 등의 도포법으로 도포하고, 건조 및 경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표면 보호층의 두께는, 0.1∼5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보호층에, 내찰상성, 내마모성을 더 부여하는 경우에는, 무기 충전재를 배합하면 된다. 무기 충전재로서는, 예컨대, 분말형의 산화알루미늄, 탄화규소, 이산화규소, 티탄산칼슘, 티탄산바륨, 마그네슘피로붕산염, 산화아연, 질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산화크롬, 산화철, 질화붕소, 다이아몬드, 금강사, 탈크, 유리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재의 첨가량으로서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1∼80 질량부 정도이다.
본 발명의 화장재는 화장 시트여도 좋다.
상기 화장 시트로서는, 예컨대, 두께 방향에 있어서 순서대로, 적어도, 기재 시트, 도안층, 투명성 수지층 및 표면 보호층이 적층된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그 때, 도안층은 기재 시트 상에 형성된다.
이하, 화장 시트에 관해 설명한다.
(기재 시트)
상기 기재 시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 호모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부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폴리메타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산부틸 등의 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 나일론-6, 나일론-66 등의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그 중에서도, 도안층의 인쇄 적성 및 엠보스 가공 적성이 우수하고 저렴하다는 점에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 시트는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는, 상기와 같은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착색재(안료 또는 염료)를 첨가하여 착색할 수 있다. 착색재로서는, 예컨대, 이산화티탄, 카본블랙, 산화철 등의 무기 안료, 프탈로시아닌블루 등의 유기 안료 외에, 각종 염료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공지의 것 또는 시판되는 것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착색재의 첨가량도, 원하는 색조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상기 기재 시트에는, 필요에 따라서, 충전제, 무광택제, 발포제, 난연제, 윤활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기재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0∼100 μm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 시트는, 단층 또는 다층의 어느 것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투명성 수지층)
상기 투명성 수지층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무색 투명, 착색 투명, 반투명 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투명성 수지층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지만,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 호모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부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폴리메타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산부틸 등의 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 나일론-6, 나일론-66 등의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그 중에서도, 도안층의 인쇄 적성 및 엠보스 가공 적성이 우수하고, 저렴하다는 점에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성 수지층은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는, 열가소성 수지에 착색제를 첨가하면 된다. 착색제로서는, 도안층에서 이용하는 안료 또는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성 수지층에는, 충전제, 무광택제, 발포제, 난연제, 윤활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라디칼 포착제, 연질 성분(예컨대, 고무) 등의 각종 첨가제를 포함해도 좋다.
상기 투명성 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90 μm 이상 300 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μm 이상 300 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 μm 이상 250 μ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 시트는, 필요에 따라서, 투명성 접착제층, 프라이머층, 배커층 등을 더 갖고 있어도 좋다.
(투명성 접착제층)
상기 투명성 접착제층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우레탄,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등 외에,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 고무, 네오프렌 고무, 천연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접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한다.
상기 투명성 접착제층은, 건조후의 두께가 0.1∼30 μm 정도가 바람직하고, 1∼5 μm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으로서는, 공지의 프라이머제를 투명성 수지층의 표면에 도포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제로서는, 예컨대, 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우레탄 수지계 프라이머제, 우레탄-셀룰로오스계 수지(예컨대, 우레탄과 니트로셀룰로오스의 혼합물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수지)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제, 아크릴과 우레탄의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계 프라이머제 등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제에는,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를 배합해도 좋다.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탄산칼슘, 클레이 등의 충전제,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난연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발포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의 배합량은, 제품 특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0.01∼10 μm가 바람직하고, 0.1∼1 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배커층)
상기 배커층으로서는, 합성 수지 배커층 및 발포 수지 배커층을 들 수 있고, 상기 화장 시트의 최하층(요철 형상을 갖는 측과 반대측)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커층을 갖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화장재의 내찰상성, 내충격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합성 수지 배커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내열성이 높은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예컨대, 에틸렌글리콜의 일부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나 디에틸렌글리콜 등으로 치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소위 상품명 PET-G(이스트만 케미컬 컴패니 제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비정질 폴리에스테르(A-PE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AB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수지 배커층은, 중공 비드를 함유해도 좋다.
상기 중공 비드의 종류, 입자 직경 및 함유량 등은, 일본특허공개 제2014-18894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수지 배커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100∼600 μm가 바람직하고, 150∼450 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 수지 배커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캘린더 성형, 용융 수지의 압출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융 수지의 압출 성형이 적합하며, 예컨대, T 다이를 이용한 압출 성형이 보다 적합하다.
상기 발포 수지 배커층은, 상기 합성 수지 배커층보다 더욱 하층(요철 형상을 갖는 측과 반대측)에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발포 수지 배커층은, 일본특허공개 제2014-18894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각 층을 상기 투명성 접착제층이나 프라이머층 등을 통해 적층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재는 화장판이어도 좋다.
상기 화장판으로서는, 예컨대, 두께 방향에 있어서 순서대로, 적어도, 지지체, 도안층 및 표면 보호층이 적층된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그 경우, 도안층은 지지체 상에 형성된다.
이하, 화장판에 관해 설명한다.
(지지체)
상기 지지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종이류, 플라스틱 필름, 목재 등의 목질계의 판, 요업계 소재 등을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들 재료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지만, 종이끼리의 복합체나 종이와 플라스틱 필름의 복합체 등, 임의의 조합에 의한 적층체여도 좋다.
상기 종이류로서는, 박엽지, 크래프트지, 티탄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종이 기재는, 종이 기재의 섬유 사이 내지는 다른 층과 종이 기재의 층간 강도를 강화하거나, 보풀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종이 기재에, 아크릴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멜라민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를 더 첨가(초조(抄造)후 수지 함침 또는 초조시에 내부 충전)시킨 것이어도 좋다. 예컨대, 지간 강화지, 수지 함침지 등이다.
이들 외에, 린터지, 판지, 석고보드용 원지, 또는 종이의 표면에 염화비닐 수지층을 형성한 비닐 벽지 원단 등, 건축재 분야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각종 종이를 들 수 있다.
나아가, 사무분야나 통상의 인쇄, 포장 등에 이용되는 코트지, 아트지, 황산지, 글라신지, 파치먼트지, 파라핀지 또는 화지(和紙)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종이와는 구별되지만, 종이와 비슷한 외관과 성상을 갖는 각종 섬유의 직포나 부직포도 기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각종 섬유로서는 유리 섬유, 석면 섬유, 티탄산칼륨 섬유, 알루미나 섬유, 실리카 섬유, 혹은 탄소 섬유 등의 무기질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혹은 비닐론 섬유 등의 합성 수지 섬유를 들 수 있다.
또, 상기 종이류에 열경화형 수지를 함침시키는 경우에는, 종래부터 공지된 열경화형 수지를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형 수지로서, 예컨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도 포함), 에폭시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구아나민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종이류에 열경화형 수지를 함침하여 얻어진 층을 열경화형 수지층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그 열경화형 수지가 최종적으로 표면 보호층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열경화형 수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상기 지지체가 다공질 기재를 갖는 경우, 다공질 기재에 상기 열경화형 수지를 함침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함침은, 상기 열경화형 수지를, 다공질 기재의 표면측, 이면측의 어느 한쪽 혹은 양쪽으로부터 공급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열경화형 수지를 넣은 욕조에 다공질 기재의 이형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 또는 그 반대의 면부터 침지시키는 방법; 키스코터, 콤마코터 등의 코터에 의해 열경화형 수지를 다공성 기재의 이형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 그 반대의 면, 또는 이들 양면에 도포하는 방법; 스프레이 장치, 샤워 장치 등에 의해 열경화형 수지를 다공성 기재의 이형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 그 반대의 면, 또는 이들 양면에 분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 수지, 염화비닐리덴 수지, 페놀 수지, 폴리비닐알콜,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아크릴산메틸, 폴리메타크릴산에틸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내후성, 내수성 등의 각종 물성, 인쇄 적성, 성형 가공 적성, 가격 등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혹은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지지체가 플라스틱 필름인 경우, 20∼200 μm가 바람직하고, 40∼160 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40∼100 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가 종이류인 경우, 평량은 통상 20∼150 g/㎡이 바람직하고, 30∼100 g/㎡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의 형상은 평판형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입체 형상 등의 특수 형상이어도 좋다.
상기 지지체 상에는,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면 또는 양면에, 물리적 처리 또는 화학적 표면 처리 등의 이접착 처리를 해도 좋다.
(페놀 수지 함침지)
상기 화장판은, 필요에 따라서, 페놀 수지 함침지가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페놀 수지 함침지는, 다공질 기재의, 내마모층 및 이형층이 형성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하는 것이 좋다.
상기 페놀 수지 함침지란, 일반적으로, 코어지로서 평량 150∼250 g/㎡ 정도의 크래프트지에 페놀 수지를 함침률 45∼60% 정도가 되도록 함침하고, 100∼140℃ 정도에서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된 종이이다. 페놀 수지 함침지에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페놀 수지 함침지를 적층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서, 다공질 기재의 이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하거나, 전술한 프라이머층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 이면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거나 해도 좋다.
(실러층)
상기 지지체로서, 종이류 등의 함침성이 있는 기재를 이용하는 경우, 지지체와 도안층 사이, 또는, 도안층과 표면 보호층 사이에 실러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실러층 중에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또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등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의 함유량은 실러층의 전체 고형분의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5∼95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실러층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표면 보호층에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2액 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아크릴폴리올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2액 경화성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실러층 중에는, 건조 적성 및 점도 조정의 관점에서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의 함유량은 실러층의 전체 고형분의 5∼5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35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실러층의 입자는, 무기 입자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상기 입자는, 평균 입자 직경이 0.1∼2.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0.2∼1.5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실러층의 두께는, 함침 방지와 비용 대 효과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0.5∼5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1∼3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판은, 필요에 따라서, 투명성 접착제층, 프라이머층 등을 더 갖고 있어도 좋다. 투명성 접착제층, 프라이머층으로서는, 전술한 화장판에서 예를 든 것과 동일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판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각 층을 상기 투명성 접착제층이나 프라이머층을 통해 적층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피착재>
도 4는, 본 발명의 화장재가 피착재에 적층된 일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화장재(1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철 형상(11)을 갖는 면과 반대측의 면이 접하도록, 피착재(30)에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착재의 재질은, 예컨대, 목재 단판, 목재 합판, 파티클 보드, MDF(중밀도 섬유판) 등의 목질판; 석고판, 석고 슬래그판 등의 석고계 판; 규산칼슘판, 석면 슬레이트판, 경량 발포 콘크리트판, 중공 압출 시멘트판 등의 시멘트판; 펄프 시멘트판, 석면 시멘트판, 목편 시멘트판 등의 섬유 시멘트판; 도기, 자기, 토기, 유리, 법랑 등의 세라믹스판; 철판, 아연 도금 강판, 폴리염화비닐졸 도포 강판, 알루미늄판, 구리판 등의 금속판; 폴리올레핀 수지판, 폴리염화비닐 수지판, 아크릴 수지판, ABS판, 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판 등의 열가소성 수지판; 페놀 수지판, 요소 수지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판, 폴리우레탄 수지판, 에폭시 수지판, 멜라민 수지판 등의 열경화형 수지판;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수지를, 유리 섬유 부직포, 포백, 종이, 그 밖의 각종 섬유질 기재에 함침 경화하여 복합화한 소위 FRP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이들의 2종 이상을 적층한 복합 기판이어도 좋고, 열가소성 수지라면 발포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판이나 열경화형 수지판은 필요에 따라서, 착색재(안료 또는 염료), 목분이나 탄산칼슘 등의 충전제, 실리카 등의 무광택제, 발포제, 난연제, 탈크 등의 윤활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피착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피착재에 대한 적층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전술한 프라이머층을 통해 적층하거나, 접착제를 통해 적층하는 수단을 들 수 있다.
상기 접착제로서는, 상기 피착재의 종류 등에 따라서 공지의 접착제에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예컨대,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등 외에,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 고무, 네오프렌 고무, 천연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재는, 예컨대, 벽, 천장, 마루 등의 건축물의 내장재; 창틀, 도어, 난간 등의 창호; 가구; 가전제품, OA 기기 등의 케이스; 현관 도어 등의 외장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닥재로서 더욱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물 주변인 키친이나 탈의실 등의 바닥재로서 가장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기재로서 두께 60 μm의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기재의 양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한 후, 기재의 표면(한쪽 면)에, 아크릴-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인쇄 잉크를 이용하여 그라비아 인쇄하여 도안층(돌결 모양)을 형성했다. 또한, 기재의 이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도안층의 위에,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를 건조후의 두께가 3 μm가 되도록 도포하여, 투명 접착제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상기 투명 접착제층의 위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T 다이 압출기에 의해 가열 용융 압출하여, 두께 80 μm가 되도록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투명성 수지층을 형성했다.
그 후, 투명성 수지층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한 후,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포액으로, 도포량이 7 g/㎡이 되도록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했다. 상기 도포액은,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과 이소시아네이트(경화제)를 100:6의 질량비 비율로 혼합한 것이다. 상기 도포액을 투명 수지층 상에 도포하여 형성된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약 2 μm였다.
그 후,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서, 2작용의 에테르계 우레탄 올리고머, 다작용의 우레탄 올리고머의 혼합물 100 질량부에, 자외선 흡수제로서 반응성 트리아진 화합물을 1 질량부 함유시키고, 그라비아코트법으로 도막을 형성했다. 그 후, 175 keV 및 5 Mrad(50 kGy)의 조건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상기 도막을 가교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표면 보호층(15 g/㎡)을 형성했다.
마지막으로, 표면 보호층에 윤전식의 엠보스기에 의한 엠보스 가공을 하여, 표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된 시트형의 화장재를 얻었다.
그 후, 피착재(MDF, 두께 2.5 mm)를 준비하고, 피착재의 한쪽 면 위에 수계의 2액 경화형 접착제(BA-10)를 80 g/㎡을 도공하고, 피착재와 얻어진 화장 시트의 기재 시트를 갖는 면이 접하도록 접합하여, 25℃에서 3일간 양생(하중 : 100 kg/㎡)했다.
(실시예 2∼6, 비교예 1∼2)
표 1에 기재한 요철 형상이 되도록 엠보스판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작했다.
(실시예 7∼8)
백티탄지(「KW-1002P(상품명)」, KJ 특수지(주) 제조, 평량 : 100 g/㎡)를 원지로 하고, 그 원지의 표면에 우레탄-셀룰로오스계 수지로 이루어진 인쇄 잉크를 이용하여 그라비아 인쇄하여, 도안층(돌결 모양)을 형성했다. 또한 그 도안층 위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60 질량부, 물 35 질량부 및 이소프로필알콜 5 질량부로 이루어진 열경화성 수지의 액상 미경화 조성물을, 함침용의 함침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미경화 조성물이 80 g/㎡(건조시)의 비율이 되도록 상기 원지에 함침하고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함침 화장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함침 화장 시트를, 크래프트지에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액을 함침한, 평량 245 g/㎡의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오오타 코어, 오오타 산업사 제조) 3장 위에 적층했다.
형성된 적층체를 엠보스판과 경면판 사이에 끼우고, 열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압력 100 kg/㎠, 성형 온도 150℃에서 10분간의 조건으로 가열 성형하고, 상기 미경화 조성물을 열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멜라민 수지를 함유하는 경화 수지를 형성했다.
표 1에 기재한 요철 형상이 되도록 엠보스판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요철 형상을 형성하여 화장재를 얻은 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피착재에 접합한 것을 실시예 7, 8로 한다.
(참고예 1)
표 1에 기재한 요철 형상을 갖는 나무결 느낌의 플로어 시트를 이용했다.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 및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 관한 화장재 및 플로어 시트에 관해, 3D 형상 측정기(제품명 : 원쇼트 3D 형상 측정기 헤드 「VR-3100」, 컨트롤러 「VR-3000」, KEYENCE사 제조)를 이용하여, 하기의 측정 조건에 의해,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 및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을 측정하여 용적(Vvv+Vvc)을 구했다.
(측정 조건)
측정 횟수 : n=5(임의의 5점)
측정 모드 : 수퍼파인
측정 방향 : 양측
밝기 조정 : 오토(80)
측정 배율 : 12×
측정 스케일 : 18 mm×24 mm
측정마다 포커스 가이드로부터 포커스를 조정했다.
해석 애플리케이션(「VR-H2A」, KEYENCE사 제조)에 의해, 기능(체적) 파라미터로부터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 및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을 산출했다.
또, 상기 기능(체적) 파라미터는, 부하 곡선(부하 면적률이 0%부터 100%가 되는 높이를 나타낸 곡선)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이며, 상기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은, 부하 면적률이 80% 이상인 범위의 공극 용적을 산출한 것이고, 상기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은, 부하 면적률이 10% 이상 80% 미만인 범위의 공극 용적을 산출한 것이다.
<10점 평균 거칠기(RzJ) 및 산술 평균 거칠기(Ra)>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 관한 화장재 및 플로어 시트에 관해, 표면 거칠기 측정기(「SURFCOM-FLEX-50A」, 도쿄 정밀사 제조)를 이용하여, 하기의 측정 조건에 의해 10점 평균 거칠기(RzJ) 및 산술 평균 거칠기(Ra)를 측정했다.
(측정 조건)
측정 횟수 : n=5(임의의 5점)
산출 규격 : JIS' 01
측정 종류 : 거칠기 측정
평가 길이 : 40.00 mm
컷오프값 : 8.00 mm
측정 속도 : 1.50 mm/s
요철 형상에 방향성이 있는 경우에는, 흐름 방향과 수직으로 측정했다.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 관한 화장재 및 플로어 시트에 관해, 표면 거칠기 측정기(「SURFCOM-FLEX-50A」, 도쿄 정밀사 제조)를 이용하여, 하기의 측정 조건에 의해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를 측정했다.
(측정 조건)
측정 횟수 : n=5(임의의 5점)
산출 규격 : CNOMO
측정 종류 : 단면 측정
평가 길이 : 16.00 mm
측정 속도 : 0.60 mm/s
λs 필터 : 8.00 μm
모티브 계산 : LIMIT A 0.5 mm, LIMIT B 2.5 mm
요철 형상에 방향성이 있는 경우, 흐름 방향과 수직으로 측정했다.
<요철 형상의 불규칙성 및 연속성>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 관한 화장재 및 플로어 시트에 관해, 3D 형상 측정기(제품명 : 원쇼트 3D 형상 측정기 헤드 「VR-3100」, 컨트롤러 「VR-3000」, KEYENCE사 제조)를 이용하여, 전술한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 및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과 동일한 측정 조건에 의해, 임의의 5개소(18 mm×24 mm)를 관찰했다.
또, 최고점에 대한 비율이 62.5% 이상, 100% 이하에 포함되는 영역을 볼록부(섬부)로 하고, 표면 높이의 최고점에 대한 비율이 0% 이상, 62.5% 미만에 포함되는 영역을 오목부(골짜기부)로 하여, 볼록부(섬부)의 수와, 볼록부(섬부) 및 오목부(골짜기부)가 차지하는 면적을 구했다. 또한, 상기 임의의 5개소(18 mm×24 mm)에 있어서, 볼록부(섬부)의 수를 카운트하여 그 평균치를 구했다.
요철 형상의 불규칙성과 연속성은, 이하의 기준으로 판단했다.
(요철 형상의 불규칙성)
+ : 볼록부(섬부)와 오목부(골짜기부)의 면적 비율, 또는, 볼록부(섬부)의 수가 일정하지 않다
- : 볼록부(섬부)와 오목부(골짜기부)의 면적 비율, 또는, 볼록부(섬부)의 수가 일정하다
(요철 형상의 연속성)
+ : 관찰한 개소에서의 오목부(골짜기부)의 전체 면적(100%)에 대하여, 연속하고 있는 오목부(골짜기부)의 면적이 90% 이상이다
- : 관찰한 개소에서의 오목부(골짜기부)의 전체 면적(100%)에 대하여, 연속하고 있는 오목부(골짜기부)의 면적이 90% 미만이다.
Figure pct00001
<미끄럼 방지성 평가>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의 샘플(300 mm×300 mm)을 준비했다.
(건조 상태)
상기 샘플의 위(요철 형상을 갖는 측)를 시험자가 맨발로 걸었을 때의 미끄러짐 정도를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습윤 상태)
상기 샘플 표면(요철 형상을 갖는 측)에 20 mL(밀리리터)의 물을 뿌리고, 그 부위를 시험자가 맨발로 걸었을 때의 미끄러짐 정도를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또, 하기 표 2에 나타낸 시험자 10명의 평균점을 평가점으로 하고, 하기 평가 기준의 3 이상을 합격으로 했다. 평가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5 : 미끄러지지 않는다.
4 : 거의 미끄러지지 않는다.
3 : 약간 미끄러지지만 위험은 느끼지 않는다.
2 : 미끄러질 것 같아서 위험을 느낀다.
1 : 미끄러져서 위험.
Figure pct00002
<청소성 카본블랙 평가>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의 샘플(100 mm×100 mm)을 준비했다.
상기 샘플의 요철 형상을 갖는 측의 표면에, 카본블랙 분말(JIS Z 8901 시험용 분체) 0.2 g을 빈틈없이 문질러 발랐다.
그 후, 수류(JIS 규격 수전 호칭 지름 13(1/2), 30 mL/초)로 씻어내면서 멜라민 스폰지(게키오치군, 레크사 제조)로 상기 샘플 표면을 15초간 문지르고, 상기 샘플 표면에 잔존하는 카본블랙을 육안으로 평가하여, 하기 평가 기준의 3 이상을 합격으로 했다. 평가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4 : 카본블랙이 완전히 제거되었다.
3 : 오목부에 카본블랙이 남아 있지만, 추가 세정 15초로 제거할 수 있었다.
2 : 오목부에 카본블랙이 남아 있지만, 추가 세정 15초 이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1 : 오목부에 카본블랙이 남아 있고, 제거할 수 없다.
<JAS 특수 합판 「오염 A 시험」>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 관한 화장재 및 플로어 시트에 관해, JAS 특수 합판 「오염 A 시험」에 준거하여 내오염 시험을 행하고,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하여, 하기 평가 기준의 2 이상을 합격으로 했다. 평가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또, 오염물로서는, 일반사무용 청색 잉크(만년필용 잉크 블루, 파이로트 코포레이션사 제조), 및, 적색 크레용(크레파스 레드, 사쿠라 그레파스사 제조)을 이용했다.
(평가 기준)
3 : 오염 물질이 완전히 제거된다
2 : 오염 물질이 오목부에 약간 남는다
1 : 오염 물질이 오목부에 남는다
Figure pct00003
실시예에 관한 화장재는, 건조시뿐만 아니라 물에 젖었을 때에도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요철 형상이 연속된 형상을 하고 있고, 용적(Vvv+Vvc)이 55 mL/㎡ 이하, 10점 평균 거칠기(RzJ)가 70 μm 이상 200 μm 이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3 μm 이상 30 μm 이하,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가 1.00 mm 이상인 실시예 1∼3에 관한 화장재는, 청소성에 있어서도 특히 우수했다.
또한, 실시예에 관한 화장재는, 불규칙한 요철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도안층으로서 돌결 모양을 이용했다 하더라도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 및 참고예는, 습윤 상태에서 미끄럼 방지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또,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47.7 μm인 실시예 4는, JAS 특수 합판 「오염 A 시험」에 있어서, 오염 물질이 완전히 제거되는 데 다른 실시예보다 장시간이 필요했다.
또한, 참고예 1은, 요철 형상이 연속된 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청소성에 있어서도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이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시뿐만 아니라 물에 젖었을 때에도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하고, 의장성도 우수한 화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재는, 예컨대, 벽, 천장, 마루 등의 건축물의 내장재; 창틀, 도어, 난간 등의 창호; 가구; 가전제품, OA 기기 등의 케이스; 현관 도어 등의 외장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닥재로서 더욱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물 주변인 키친이나 탈의실 등의 바닥재로서 가장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 화장재
11 : 요철 형상
20 : 도안층
30 : 피착재

Claims (7)

  1. 도안층을 갖는 화장재로서,
    상기 화장재의 한쪽 면에 불규칙한 요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요철 형상은, 3D 형상 측정기에 의해 측정한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과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의 합계치로 표시되는 용적(Vvv+Vvc)이 15 m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연속된 형상인 화장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적(Vvv+Vvc)은 55 mL/㎡ 이하인 화장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JIS B 0601(2001)로 정의되는 10점 평균 거칠기(RzJ)가 70 μm 이상 200 μm 이하인 화장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JIS B 0601(2001)로 정의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3 μm 이상 30 μm 이하인 화장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CNOMO로 정의되는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가 1.00 mm 이상인 화장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재의 상기 요철 형상을 갖는 측에 표면 보호층을 갖는 화장재.
KR1020217025688A 2019-02-01 2020-01-31 화장재 Ceased KR20210124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57006855A KR20250034199A (ko) 2019-02-01 2020-01-31 화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17225 2019-02-01
JPJP-P-2019-017225 2019-02-01
PCT/JP2020/003654 WO2020158921A1 (ja) 2019-02-01 2020-01-31 化粧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7006855A Division KR20250034199A (ko) 2019-02-01 2020-01-31 화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264A true KR20210124264A (ko) 2021-10-14

Family

ID=718411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688A Ceased KR20210124264A (ko) 2019-02-01 2020-01-31 화장재
KR1020257006855A Pending KR20250034199A (ko) 2019-02-01 2020-01-31 화장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7006855A Pending KR20250034199A (ko) 2019-02-01 2020-01-31 화장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512899B2 (ko)
KR (2) KR20210124264A (ko)
CN (1) CN113382854A (ko)
WO (1) WO20201589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343238A (zh) * 2022-06-24 2025-01-21 凸版控股株式会社 装饰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7089A (ja) 2012-02-15 2013-08-29 Toppan Cosmo Inc 床材表面用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1560B2 (ja) * 1989-10-14 1998-03-04 松下電工株式会社 防滑床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621947Y (zh) * 2003-06-27 2004-06-30 上海金禧木业有限公司 具有凹凸花纹的组合式实木装饰面板构件
CN1715593A (zh) * 2004-06-29 2006-01-04 可丽娜株式会社 浴室地板
JP5166993B2 (ja) 2008-06-26 2013-03-21 タキロン株式会社 防滑床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678553B2 (ja) 2010-09-30 2015-03-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CN102920370B (zh) * 2011-08-12 2016-09-14 株式会社好适特 浴缸
CN102926520B (zh) * 2011-08-12 2016-04-20 株式会社好适特 浴室用地板构成部件
CN103813900B (zh) * 2011-09-21 2015-09-23 乐金华奥斯株式会社 防滑乙烯基地板材料及其制造方法
JP6336253B2 (ja) * 2013-07-31 2018-06-0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水周り用滑り止めシート
JP2016089472A (ja) * 2014-11-05 2016-05-23 住江織物株式会社 防滑性、易乾燥性、耐汚染性に優れた水回り用床材
JP7017847B2 (ja) * 2016-07-06 2022-02-09 東リ株式会社 床材
CN108345195B (zh) * 2017-01-23 2021-11-26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充电辊及其制造方法
JP6889832B2 (ja) * 2017-01-23 2021-06-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帯電ローラ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7089A (ja) 2012-02-15 2013-08-29 Toppan Cosmo Inc 床材表面用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158921A1 (ja) 2021-12-02
KR20250034199A (ko) 2025-03-10
JP7512899B2 (ja) 2024-07-09
WO2020158921A1 (ja) 2020-08-06
CN113382854A (zh)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787B1 (ko)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용 화장재
JP6791232B2 (ja) 化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板
WO2016151899A1 (ja) シート
JP7180743B2 (ja) 化粧シート、化粧板及び加飾樹脂成形品
JP6753409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7480542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6307792B2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59507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KR100881006B1 (ko) 바닥재용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
JP2016203432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KR20220005486A (ko) 투명성 수지 필름, 투명성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화장재
JP2015187378A (ja) シート及び化粧板
KR20210124264A (ko) 화장재
JP6679834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6171459B2 (ja) 化粧シート
JP2020163830A (ja) 透明性樹脂フィルム、化粧材、及び、化粧材の製造方法
JP6582497B2 (ja) 化粧シート
KR20090091188A (ko) 화장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판
KR20210069697A (ko) 투명성 수지 필름, 화장판 및 화장판의 제조 방법
JP6331568B2 (ja) 化粧シート
KR20230160325A (ko) 화장 시트 및 화장판
JP6451181B2 (ja) 化粧シート、化粧材及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2148249A (ja)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CN114981075A (zh) 装饰片、装饰板和装饰片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0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6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10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10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4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41127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50228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2502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25101000388

Request date: 202502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510100038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50228

Effective date: 20250325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5032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250228

Decision date: 20250325

Appeal identifier: 2025101000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