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42582A -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582A
KR20210042582A KR1020190125307A KR20190125307A KR20210042582A KR 20210042582 A KR20210042582 A KR 20210042582A KR 1020190125307 A KR1020190125307 A KR 1020190125307A KR 20190125307 A KR20190125307 A KR 20190125307A KR 20210042582 A KR20210042582 A KR 20210042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stack
battery cell
module
wrap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735B1 (ko
Inventor
이현재
성준엽
최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125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735B1/ko
Priority to EP20874852.5A priority patent/EP3940874A4/en
Priority to CN202080028513.7A priority patent/CN113678308B/zh
Priority to JP2021552177A priority patent/JP7395228B2/ja
Priority to PCT/KR2020/008528 priority patent/WO2021071057A1/ko
Priority to US17/606,337 priority patent/US12230819B2/en
Publication of KR20210042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7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7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466U-shaped, bag-shaped or fold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된 전지셀 적층체; 및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을 감싸는 랩 필름(wrap film)을 포함하고, 상기 랩 필름은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Description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지셀에 대한 고정 방식이 개선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제품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력 저장 장치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률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각형 이차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대 당 1개 내지 3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해, 자동차 등과 같이 중대형 디바이스들에는 고출력 대용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 모듈이 사용된다.
중대형 전지 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 모듈의 전지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들을 외부 충격, 열 또는 진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전지셀의 적층체를 내부 공간에 수납하는 모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지 모듈(10)에 대한 사시도이다. 다만, 전지셀들에 대한 고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모듈 프레임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전지 모듈(10)은 복수의 전지셀(11)이 적층된 전지셀 적층체(20)를 포함한다.
전지셀(11)들이 Y축 방향을 따라 적층됨에 있어, 각각의 전지셀(11)들 사이에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제(30)를 배치시켜, 전지셀 적층체(20)를 구성하는 전지셀(11)들을 고정시킨다. 나아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최외각에 위치한 전지셀(11)에 압축 패드를 더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압축 패드와 전지셀(11) 사이에도 접착제가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전지셀 적층체(20)를 구성하는 전지셀(11)들의 수량이 많아질수록 그 사이에 배치되어야 할 접착제(30)의 수가 많아지고, 이에 따라 반복되는 공정의 수가 늘어난다. 즉, 고출력 대용량의 전지 모듈을 구현하기 위해, 다수의 전지셀(11)이 필요하나, 종래의 접착제(30)를 통한 고정 방식은 불필요한 반복 공정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지셀(11)들의 적층 과정에서, 어긋남이 발생하거나 공차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적층의 재작업이 필요한데, 접착제(30)를 사용한 종래 고정 방식은 재작업을 수행하기 극히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공정 절차를 간소화하고, 적층의 재작업이 보다 수월하도록, 전지셀 적층체를 구성하는 전지셀들의 고정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지셀 적층체를 구성하는 전지셀들의 고정 방식을 개선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된 전지셀 적층체; 및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을 감싸는 랩 필름(wrap film)을 포함하고, 상기 랩 필름은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상기 각각의 전지셀 사이에, 접착제나 테이프가 제거되어 이웃하는 전지 셀이 서로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랩 필름은,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의 전 부분을 감쌀 수 있다.
상기 랩 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지셀들은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양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전지셀은 전극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는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전면 및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랩 필름은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1회 내지 2회 감쌀 수 있다.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수납하는 모듈 프레임 및 상기 모듈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을 덮는 엔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프레임은,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이 일체화된 모노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모듈 프레임은, 전면, 후면 및 상면이 개방된 U자형 프레임 및 상기 U자형 프레임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상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랩 필름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하단부에 위치한 랩 필름에 상기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지 모듈은 상기 전지셀 적층체 아래에 위치하는 열전도성 수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은 실리콘(Silicone) 소재, 우레탄(Urethan) 소재 및 아크릴(Acrylic)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지셀 적층체를 감싸는 랩 필름 구조를 통해, 전지셀 적층체를 구성하는 전지셀의 개수가 많아져도, 전지셀들을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적층 과정에서 어긋남이 발생하거나 공차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더라도 적층의 재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랩 필름에 의해 전지셀 적층체와 모듈 프레임 사이의 전기적 절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절연을 위한 기타 부재의 삽입이 불필요하다.
또한, 전지셀의 스웰링 현상에 따른 전지셀 적층체의 팽창을 억제하여, 전지 모듈의 외형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지 모듈에 대해 모듈 프레임의 도시를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에 대해 모듈 프레임의 도시를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모노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U자형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관통홀이 형성된 랩 필름을 설명하기 위해 전지셀 적층체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을 향하여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에 대해 모듈 프레임의 도시를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복수의 전지셀(110)이 적층된 전지셀 적층체(200) 및 전지셀 적층체(200)의 상면(Z축 방향), 하면(Z축의 반대 방향) 및 양 측면(Y축 방향과 그 반대 방향)을 감싸는 랩 필름(Wrap film, 300)을 포함한다.
또한, 랩 필름(300)은 전지셀 적층체(200)의 상면(Z축 방향), 하면(Z축의 반대 방향) 및 양 측면(Y축 방향과 그 반대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도 1에서의 종래 전지 모듈(10)은 복수의 전지셀(11)들 사이에 접착제(30)를 위치시켜, 전지셀(11)들을 고정시켰다. 그에 따라 전지셀(11)들의 수량이 많아질수록 그 사이에 배치되어야 할 접착제(30)의 수가 많아지고, 각각의 전지셀(11)을 적층시킬 때 마다 접착제(30) 도포 및 전지셀(11) 부착의 공정을 반복해서 실시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다시 말해, 반복되는 공정으로 인해 과도한 시간과 비용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전지셀 적층체(200)의 외주면, 즉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을 감싸는 랩 필름(300)을 구비함으로써, 전지셀(110)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각각의 전지셀(110) 사이에 접착제나 테이프 등이 불필요하여 제거되고, 이웃하는 전지셀(110)들이 서로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각 전지셀(110)들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할 필요 없이 전지셀 적층체(200)의 외주면을 랩 필름(300)으로 감싸면 되기 때문에, 전지셀(110)의 개수가 많아지더라도, 종래의 반복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시간과 비용의 절약이 가능하다.
또한, 전지셀(110)의 적층 과정에서 어긋남이 발생하거나 공차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에도, 감싸진 랩 필름(300)을 제거한 뒤 다시 전지셀(110)들을 적층시키고, 새로운 랩 필름(300)으로 감싸면 되기 때문에 재작업이 보다 용이하다. 이미 각각의 전지셀(11)끼리 접착이 완료된 종래의 전지셀 적층체(20)의 경우 이러한 재작업 과정이 극히 어렵다는 점에서 본 실시예는 큰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랩 필름(300)은, 도 2에서와 같이, 전지셀 적층체(200)의 상면(Z축 방향), 하면(Z축의 반대 방향) 및 양 측면(Y축 방향과 그 반대 방향)의 전 부분을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전지셀 적층체(200)를 구성하는 전지셀(110)들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전지셀 적층체(200)와 모듈 프레임(미도시) 간의 전기적 절연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지셀 적층체(200)가 수납되는 모듈 프레임은 강성을 위해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전지셀 적층체(200)와의 전기적 절연이 필요하다.
이에, 전지셀 적층체(200)의 상면(Z축 방향), 하면(Z축의 반대 방향) 및 양 측면(Y축 방향과 그 반대 방향)의 전 부분을 감싸는 랩 필름(300)은, 전지셀(110)들의 고정뿐만 아니라 전지셀 적층체(200)의 전기적 절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 성능 확보를 위한 별도의 추가 부재를 배치할 필요가 없다.
이 때, 랩 필름(300)은 전지셀(110)들의 고정 및 전지셀 적층체(200)의 전기적 절연 등을 위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랩 필름(300)은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얇은 시트 구조로써, 전지셀(110)들의 고정 및 전지셀 적층체(200)의 전기적 절연성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전지셀(110)들은 전지셀 적층체(200)의 양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적층된다. 즉, 도 2에서의 Y축 방향을 따라 적층된다.
이때, 전지셀(110)은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반복적인 충방전 과정에서 전극이 두꺼워지거나, 부반응으로 내부 전해질이 분해되어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전극 팽창 및/또는 발생한 가스에 의해 파우치형 이차 전지 셀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스웰링 현상이라고 한다. 전지셀(110)의 스웰링 현상이 심화될 경우 전지 모듈(100)의 외형을 변화시켜 전지 모듈(100)이나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구조적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지셀 적층체(200)의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을 랩 필름(300)이 이어지도록 팽팽하게 감싸는 랩 필름(300)은 전지셀(110)의 고정뿐만 아니라, 전지셀(110)의 스웰링 현상에 따른 전지셀 적층체(200)의 팽창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적층된 전지셀(110)들을 조립 초기부터 강하게 압박할 경우 상대적으로 스웰링으로 인한 두께 팽창이 작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랩 필름(300)은 팽창 억제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랩 필름(300)은 전지셀 적층체(200)를 1회 내지 2회 감쌀 수 있다. 1회 미만으로 감쌀 경우, 전지셀(110)들의 고정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며, 2회 초과로 감쌀 경우, 필요 이상의 랩 필름(300)으로 인해 전지셀 적층쳬(200)의 높이나 폭이 두꺼워져 전지 용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전지셀(110)들은 전극 조립체(미도시)와 연결된 전극 리드(120)를 포함하고, 이러한 전극 리드(120)는 전지셀 적층체(200)의 전면(X축 방향) 및 후면(X축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지셀 적층체는 모듈 프레임에 내장되는데, 이러한 모듈 프레임은 모노 프레임 또는 U자형 프레임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모노 프레임과 U자형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3 및 도 4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모노 프레임(400)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100a)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전지 모듈(100a)은 전지셀 적층체(200)가 수납되는 모노 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노 프레임(400)은 전면(X축 방향) 및 후면(X축 반대 방향)이 개방되고, 상면(Z축 방향), 하면(Z축의 반대 방향) 및 양 측면(Y축 방향과 그 반대 방향)이 일체화된 금속 판재 구조일 수 있다. 모노 프레임(400)의 개방된 전면 및 후면은 엔드 플레이트(600)가 결합될 수 있다.
모노 프레임(400)의 개방된 전면 또는 후면으로 전지셀 적층체(200)가 삽입될 수 있는데, 전지셀 적층체(200)를 감싸는 랩 필름(300)이 이러한 삽입 공정에서, 가이드 부재와 같은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전지셀 적층체(200)의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이 랩 필름(300)으로 감싸져 있어 삽입 과정에서의 걸림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지셀 적층체(200)가 수월하게 모노 프레임(400)의 개방된 전면 또는 후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전지셀 적층체(200)의 양 측면에 압축 패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는데, 랩 필름(300)이, 전지셀 적층체(200)의 삽입과정에서, 상기 압축 패드가 말려들어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4는 U자형 프레임(500)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100b)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U자형 프레임(500)은, 전면(X축 방향), 후면(X축 반대 방향) 및 상면(Z축 방향)이 개방되어, 바닥부(501) 및 바닥부(501)의 마주보는 양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양 측면부(502)를 구비한 구조일 수 있다.
U자형 프레임(500)의 개방된 상면은 상부 커버(510)가 결합되고, U자형 프레임(500)의 개방된 전면 및 후면은 각각 엔드 플레이트(600)가 결합될 수 있다.
전지셀 적층체(200)의 전면 및 후면에 전극 리드(12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전극 리드(120)는 버스 바 프레임(700)에 장착된 버스 바(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U자형 프레임(500)의 개방된 상면으로 전지셀 적층체(200)가 삽입될 수 있는데, 전지셀 적층체(200)를 감싸는 랩 필름(300)이 이러한 삽입 공정에서, 가이드 부재와 같은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전지셀 적층체(200)의 양 측면이 랩 필름(300)으로 감싸져 있어 삽입 과정에서 양 측면부(502)에 의한 걸림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지셀 적층체(200)가 수월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전지셀 적층체(200)의 양 측면에 압축 패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는데, 랩 필름(300)이, 전지셀 적층체(200)의 삽입과정에서, 상기 압축 패드가 양 측면부(502)에 의해 말려 올라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고하면, 전지 모듈(100a)은, 전지셀 적층체(200) 아래에 위치하는 열전도성 수지층(8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도성 수지층(800)이 전지셀 적층체(200)와 모노 프레임(400)의 바닥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열전도성 수지층(800)은 열전도성 수지(Thermal Resin)가 주입되어 형성된 것으로, 열전도성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유동성을 갖는 열전도성 수지를 주입하고, 이후 열전도성 수지가 전지셀 적층체(200)와 접촉한 채 고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지셀 적층체(200)로부터 발생한 열을 전지 모듈(100a)의 바닥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모노 프레임(400)에 전지셀 적층체(200)를 수납한 후, 모노 프레임(400)의 하부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열전도성 수지를 주입하여 열전도성 수지층(8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고하면, 전지 모듈(100b)은, 전지셀 적층체(200) 아래에 위치하는 열전도성 수지층(8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도성 수지층(800)이 전지셀 적층체(200)와 U자형 프레임(500)의 바닥부(50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열전도성 수지층(800)은 열전도성 수지가 도포되어 형성된 것으로, 전지셀 적층체(200)로부터 발생한 열을 전지 모듈(100b)의 바닥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U자형 프레임(500)의 바닥부(501)에 열전도성 수지를 도포하고, 전지셀 적층체(200)를 그 위에 배치한 후, 상기 열전도성 수지를 고화시켜 열전도성 수지층(80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열전도성 수지층(800)의 열전도성 수지는 열전도성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리콘(Silicone) 소재, 우레탄(Urethan) 소재 및 아크릴(Acrylic)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도성 수지층(800)은 열전도 특성이 뛰어나 전지셀에서 발생한 열을 신속히 전달하여 전지 모듈(100a, 100b)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도 5는 관통홀(310)이 형성된 랩 필름(300a)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전지셀 적층체(200a)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를 도 3 및 도 4와 함께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의 랩 필름(300a)에 다수의 관통홀(310)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전지셀 적층체(200a)의 하단부에 위치한 랩 필름(300a)에 다수의 관통홀(3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지셀 적층체(200a)의 하단부만이 아닌 랩 필름(300a)의 모든 영역에 관통홀(3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대로, 전지셀 적층체(200a)에서 발생한 열의 전달을 위해, 전지셀 적층체(200a)와 모듈 프레임(400, 500)의 바닥부 사이에 열전도성 수지층(800)이 위치할 수 있다.
랩 필름(300a)에 형성된 관통홀(310)에 의해 전지셀 적층체(200a)에 포함된 복수의 전지셀이 열전도성 수지층(800)과 직접 접촉할 수 있어, 열전도성 수지층(800)을 통한 전지셀 적층체(200a)의 열 전달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지 모듈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냉각 시스템 등의 각종 제어 및 보호 시스템과 함께 장착되어 전지 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지 모듈이나 전지 팩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에는,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등의 운송 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차 전지를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전지 모듈
110: 전지셀
200: 전지셀 적층체
300: 랩 필름
400: 모노 프레임
500: U자형 프레임
510: 상부 커버
600: 엔드 플레이트
800: 열전도성 수지층

Claims (15)

  1.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된 전지셀 적층체; 및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을 감싸는 랩 필름(wrap film)을 포함하고,
    상기 랩 필름은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전지 모듈.
  2. 제1항에서,
    상기 각각의 전지셀 사이에, 접착제나 테이프가 제거되어 이웃하는 전지 셀이 서로 직접 접촉하고 있는 전지 모듈.
  3. 제1항에서,
    상기 랩 필름은,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의 전 부분을 감싸는 전지 모듈.
  4. 제1항에서,
    상기 랩 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5. 제1항에서,
    상기 전지셀들은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양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적층되는 전지 모듈.
  6. 제1항에서,
    상기 전지셀은 전극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는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전면 및 후면에 위치하는 전지 모듈.
  7. 제1항에서,
    상기 랩 필름은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1회 내지 2회 감싸는 전지 모듈.
  8. 제1항에서,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수납하는 모듈 프레임 및 상기 모듈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을 덮는 엔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9. 제8항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은,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이 일체화된 모노 프레임인 전지 모듈.
  10. 제8항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은, 전면, 후면 및 상면이 개방된 U자형 프레임 및 상기 U자형 프레임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11. 제1항에서,
    상기 랩 필름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전지 모듈.
  12. 제11항에서,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하단부에 위치한 랩 필름에 상기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전지 모듈.
  13. 제11항에서,
    상기 전지셀 적층체 아래에 위치하는 열전도성 수지층을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14. 제13항에서,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은 실리콘(Silicone) 소재, 우레탄(Urethan) 소재 및 아크릴(Acrylic)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15. 제1항에 따른 전지 모듈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전지 팩.
KR1020190125307A 2019-10-10 2019-10-10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Active KR102480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307A KR102480735B1 (ko) 2019-10-10 2019-10-10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EP20874852.5A EP3940874A4 (en) 2019-10-10 2020-06-30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M
CN202080028513.7A CN113678308B (zh) 2019-10-10 2020-06-30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JP2021552177A JP7395228B2 (ja) 2019-10-10 2020-06-30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PCT/KR2020/008528 WO2021071057A1 (ko) 2019-10-10 2020-06-30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US17/606,337 US12230819B2 (en) 2019-10-10 2020-06-30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307A KR102480735B1 (ko) 2019-10-10 2019-10-10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582A true KR20210042582A (ko) 2021-04-20
KR102480735B1 KR102480735B1 (ko) 2022-12-22

Family

ID=7543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307A Active KR102480735B1 (ko) 2019-10-10 2019-10-10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2230819B2 (ko)
EP (1) EP3940874A4 (ko)
JP (1) JP7395228B2 (ko)
KR (1) KR102480735B1 (ko)
CN (1) CN113678308B (ko)
WO (1) WO20210710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988A1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조립체 및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566A (ko)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EP4391154A4 (en) * 2022-01-21 2025-03-12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E102023123309A1 (de) 2023-08-30 2025-03-0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ompressionspad für einen Batteriezellstapel mit einer adhäsiv anhaftenden Oberfläche und ein dieses aufweisender Batteriezellstapel
WO2025051627A1 (en) 2023-09-05 2025-03-13 Basf Se Direct recycling of lithium ion battery cathod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4139A (ja) * 2002-06-03 2004-01-15 Hitachi Koki Co Ltd 電池パック
JP2004319342A (ja) * 2003-04-18 2004-11-11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組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JP2014063569A (ja) * 2012-09-19 2014-04-10 Hitachi Vehicle Energy Ltd 角形電池
KR101900998B1 (ko) * 2015-06-18 2018-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량화를 위한 냉각 플레이트,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제조방법
US20190131596A1 (en) * 2017-10-30 2019-05-02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battery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6764U (ja) 1982-12-20 1984-06-30 古河電池株式会社 電池パツク
JPH0214666U (ko) 1988-07-08 1990-01-30
JPH1186813A (ja) 1997-09-05 1999-03-30 Miyata Ind Co Ltd バッテリーパック
JP2000090976A (ja) * 1998-09-11 2000-03-31 Ngk Insulators Ltd リチウム二次電池モジュール
JP3677419B2 (ja) 1999-11-02 2005-08-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円筒形物品の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68980B2 (ja) 2000-09-25 2007-08-29 三菱化学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3919501B2 (ja) 2001-11-01 2007-05-30 東芝電池株式会社 商品訴求表示ラベル付き電池パック
US20030175584A1 (en) * 2002-03-14 2003-09-18 Electric Fuel Ltd. Battery pack holder for metal-air battery cells
JP4547886B2 (ja) 2003-09-30 2010-09-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US9577284B2 (en) 2010-02-26 2017-02-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uel cell stack enclosure
WO2012164923A1 (ja) * 2011-05-30 2012-12-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47057B1 (ko) 2012-01-26 2014-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장착 및 방열을 위한 방열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40050182A (ko) 2012-10-18 2014-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CN108054462A (zh) 2014-11-10 2018-05-1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电池及其热管理装置、以及具有该电池的uav
KR102006412B1 (ko) * 2015-06-12 2019-08-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101935013B1 (ko) 2015-09-25 2019-0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9882185B2 (en) 2015-10-22 2018-01-30 Lg Chem, Ltd. Battery cell assembly
KR102074202B1 (ko) 2016-06-09 2020-0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JP6704822B2 (ja) * 2016-09-16 2020-06-03 株式会社東芝 二次電池、電池パック及び車両
CN117578016A (zh) 2016-09-16 2024-02-20 威斯克航空有限责任公司 电池组装技术
CN108701788A (zh) 2017-06-14 2018-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池包裹膜的形成方法、电池组件及电子设备
KR102267606B1 (ko) * 2017-11-30 2021-06-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셀 조립체에 대한 초기 가압력 강화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방법
EP3518312B1 (en) * 2018-01-24 2025-02-26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comprising a housing with integrated bus bar
WO2019163839A1 (ja) * 2018-02-20 2019-08-2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耐火積層体及びバッテリー
DE102018203150A1 (de) 2018-03-02 2019-09-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Energiespeichermodul für einen Energiespeicher eines Kraftfahrzeugs,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nergiespeichermoduls
KR102616894B1 (ko) 2018-03-06 2023-12-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모듈
KR102150679B1 (ko) * 2018-03-13 2020-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207868255U (zh) 2018-03-14 2018-09-1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KR102340898B1 (ko) 2018-03-30 2021-12-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조립성이 향상된 버스바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KR102382382B1 (ko) * 2018-07-03 2022-04-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수축성 튜브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424400B1 (ko) * 2018-09-13 2022-07-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수축성 튜브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EP3855528A4 (en) * 2018-09-20 2021-12-01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MODULE
JP6781227B2 (ja) * 2018-09-26 2020-11-04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電池被覆シートおよび電池パック
KR102416919B1 (ko) * 2019-02-26 2022-07-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CN113632297B (zh) * 2019-03-22 2023-05-26 三洋电机株式会社 电池模块
KR20210025293A (ko) * 2019-08-27 2021-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프레임을 포함한 배터리 모듈
KR20210092566A (ko)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20014117A (ko) * 2020-07-28 2022-02-04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흡열 방화벽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070837A (ko) *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확산 억제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070835A (ko) *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확산 억제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142279A (ko) * 2021-04-14 2022-10-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30001655A (ko) * 2021-06-29 2023-01-05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4139A (ja) * 2002-06-03 2004-01-15 Hitachi Koki Co Ltd 電池パック
JP2004319342A (ja) * 2003-04-18 2004-11-11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組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JP2014063569A (ja) * 2012-09-19 2014-04-10 Hitachi Vehicle Energy Ltd 角形電池
KR101900998B1 (ko) * 2015-06-18 2018-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량화를 위한 냉각 플레이트,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제조방법
US20190131596A1 (en) * 2017-10-30 2019-05-02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battery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988A1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조립체 및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78308A (zh) 2021-11-19
EP3940874A1 (en) 2022-01-19
US20220158284A1 (en) 2022-05-19
JP2022523953A (ja) 2022-04-27
KR102480735B1 (ko) 2022-12-22
US12230819B2 (en) 2025-02-18
WO2021071057A1 (ko) 2021-04-15
EP3940874A4 (en) 2022-09-28
CN113678308B (zh) 2024-03-08
JP7395228B2 (ja) 202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0735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EP3958379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20220158270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EP4087018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same
US20220407139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20230361402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464824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US20240170790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20250030082A1 (en) Battery Modul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EP4184666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same
EP4181275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US12046731B2 (en) Battery modul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EP4231422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EP4254626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same
KR20220101309A (ko)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82297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10133566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20230318078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20041426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50028212A (ko) 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그리고 셀 어셈블리 제조방법
KR20230036864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10107472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0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5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