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15342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342A
KR20210015342A KR1020190094040A KR20190094040A KR20210015342A KR 20210015342 A KR20210015342 A KR 20210015342A KR 1020190094040 A KR1020190094040 A KR 1020190094040A KR 20190094040 A KR20190094040 A KR 20190094040A KR 20210015342 A KR20210015342 A KR 20210015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sposed
layer
lighting devic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훈
엄동일
이유원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4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5342A/ko
Priority to PCT/KR2020/009740 priority patent/WO2021020809A1/ko
Priority to CN202410417175.6A priority patent/CN118328319A/zh
Priority to US17/630,972 priority patent/US11828433B2/en
Priority to CN202080055376.6A priority patent/CN114599914B/zh
Priority to JP2022506194A priority patent/JP7691410B2/ja
Priority to EP20847715.8A priority patent/EP4008950B1/en
Publication of KR20210015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342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4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wavelength conversion means distinct or spaced from the light-generating element, e.g. a remote phosphor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76Light sources where the light is generated by photoluminescent material spaced from a primary light gener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 - F21S41/280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3/145Surface emitters, e.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5Strip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6Light sources where the light is generated by photoluminescent material spaced from a primary light gener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1Optical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4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30Elements containing photoluminescent material distinct from or spaced from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30Elements containing photoluminescent material distinct from or spaced from the light source
    • F21V9/32Elements containing photoluminescent material distinct from or spaced from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photoluminesc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H20/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H20/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5Optical field-shaping means, e.g. lenses
    • H10H20/856Refle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81Materials thereof; Structures thereof; Properties thereof; Coatings thereof
    • F21S43/28135Structures encapsulating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1Wavelength conversion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1Wavelength conversion means
    • H10H20/8515Wavelength conversion means not being in contact with the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제1측면 및 상기 제1측면의 반대측인 제2측면,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2측면을 연결하는 제3측면 및 상기 제3측면의 반대측인 제4측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이 노출된 바닥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출사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홈이 구비된 레진층; 상기 홈 내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제1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소자; 상기 경사면에 배치되는 반사층; 및 상기 레진층 상에 배치되는 확산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기판의 제3측면에서 제4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제1측면에서 제2측면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홈은 기판의 제1측면과 가장 인접한 제1홈 및 상기 제1홈에 인접한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홈 내에 배치된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상기 제1광은 상기 제2홈의 경사면에 형성된 상기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2홈의 출사면을 통과한 후 상기 제1홈의 경사면에 형성된 상기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레진층 및 상기 확산층을 통과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발명의 실시 예는 균일한 면 광원을 제공하고 외관 이미지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조명 응용은 차량용 조명(light)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및 간판용 백라이트를 포함한다.
발광소자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LED)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 등의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각종 표시 장치, 실내등 또는 실외등과 같은 각종 조명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차량용 조명으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채용하는 램프가 제안되고 있으며, 백열등과 비교하면 발광 다이오드는 소비 전력이 작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차량용 조명은 발광 다이오드 상에 레진층 및 확산층을 구비하여 면 광원을 방출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상에 형광체층을 배치하여 상기 형광체층에 포함된 형광체 파장의 빛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조명에서는 점등시에는 발광 다이오드의 핫 스팟 현상이 발하고, 미점등시에는 상기 형광체층의 컬러가 외부로 드러나 외관 이미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조명의 외관 이미지를 향상 시키기 위해 상기 발광 다이오드 상부에 잉크층을 배치하거나 확산층의 비드 함량을 높이면 발광 다이오드의 광 추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실시예는 발광소자의 핫 스팟 현상을 방지하고 형광체층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새로운 구조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광 추출 효율이 저하시키지 않고 균일한 면 광원을 방출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제1측면 및 상기 제1측면의 반대측인 제2측면,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2측면을 연결하는 제3측면 및 상기 제3측면의 반대측인 제4측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이 노출된 바닥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출사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홈이 구비된 레진층; 상기 홈 내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제1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소자; 상기 경사면에 배치되는 반사층; 및 상기 레진층 상에 배치되는 확산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기판의 제3측면에서 제4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제1측면에서 제2측면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홈은 기판의 제1측면과 가장 인접한 제1홈 및 상기 제1홈에 인접한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홈 내에 배치된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상기 제1광은 상기 제2홈의 경사면에 형성된 상기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2홈의 출사면을 통과한 후 상기 제1홈의 경사면에 형성된 상기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레진층 및 상기 확산층을 통과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기 발광소자 상에 배치되는 형광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기 반사층의 하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기 반사층의 상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복수의 홈의 출사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기 출사면은 상기 기판의 제2측면에서 제1측면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기 출사면과 상기 경사면이 연결된 영역에 배치된 상기 반사층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기 제2홈 내에 배치된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상기 제1광은 상기 형광체층에 의해 상기 제1광과 다른 파장의 제2광으로 변환되어 상기 확산층을 통과할 수 있다.
실시예는 미점등시에 형광체층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외관 이미지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발광 소자의 핫 스팟 현상을 방지하여 균일한 면광원을 방출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B 영역의 레진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램프가 적용된 차량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갖는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확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램프장치, 이를테면 차량용 램프, 가정용 조명장치, 또는 산업용 조명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차량용 램프에 적용되는 경우, 헤드 램프, 차폭등, 사이드 미러등, 안개등, 테일등(Tail lamp), 제동등, 주간 주행등, 차량 실내 조명, 도어 스카프(door scar),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백업 램프 등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실내, 실외의 광고장치, 표시 장치, 및 각 종 전동차 분야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구현 가능한 모든 조명관련 분야나 광고관련 분야 등에 적용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0)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B 영역의 레진층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0)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0)는 회로기판(100), 상기 회로기판(100) 상에 배치되며 바닥면(311, 321, 331, 341, 351, 361, 371), 경사면(312, 322, 332 342, 352, 362, 372), 출사면(313, 323, 333, 343, 353, 363, 373)을 포함하는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이 구비된 레진층(300), 상기 레진층(300) 상에 배치되는 확산층(500), 상기 레진층(300)의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 내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소자(200), 상기 발광소자(200) 상에 배치되는 형광체층(210), 상기 경사면(312, 322, 323 343, 353, 363, 373)에 형성된 반사층(410, 420, 430, 440, 450, 460, 4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장치(1000)는 상기 발광소자(200)로부터 방출된 광을 면 광원으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200)는 상기 회로기판(100) 상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000)에서 복수의 발광소자(200)는 N열(N은 1이상의 정수) 또는/및 M행(M은 1이상의 정수)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200)는 도 1과 같이 N열 및 M행(N, M은 2이상의 정수)로 배열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0)는 조명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램프장치, 이를테면 차량용 램프, 가정용 조명장치, 산업용 조명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차량용 램프에 적용되는 조명 모듈의 경우, 헤드 램프, 차폭등, 사이드 미러등, 안개등, 테일등(Tail lamp), 방향 지시등(turn signal lamp), 후진등(back up lamp), 제동등(stop lamp), 주간 주행등(Daytime running right), 차량 실내 조명, 도어 스카프(door scarf),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백업 램프 등에 적용 가능하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회로기판(100)은 복수의 발광소자(200) 및 레진층(300), 확산층(500) 아래에 위치한 베이스 부재 또는 지지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00)은 인쇄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기판(100)은 수지 계열의 인쇄회로기판(PCB), 메탈 코아(Metal Core) PCB, 연성(Flexible) PCB, 세라믹 PCB, 또는 FR-4 기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00)의 상면은 X축-Y축 평면을 가지며, 상기 회로기판(100)의 두께는 X방향과 Y방향에 직교하는 Z방향의 높이일 수 있다. 여기서, X방향은 제1방향이며, Y방향은 X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이며, 상기 Z방향은 X방향과 Y방향에 직교하는 제3방향일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00)은 상부에 배선층(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배선층은 발광소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00) 상부에 반사층 또는 보호층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반사층 또는 상기 보호층은 상기 배선층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200)는 상기 회로기판(100)의 배선층에 의해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200)는 2개 이상을 갖는 그룹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거나, 상기 그룹들 간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00)의 제1방향(X방향) 길이(x1)와 제2방향(Y방향) 길이(y1)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예컨대 제1방향(X)의 길이(x1)가 제2방향의 길이(y1)보다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X)의 길이(x1)는 상기 제2방향(Y)의 길이(y1)의 2배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00)의 두께(z1)는 1.0mm 이하 예컨대, 0.5mm 내지 1.0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00)의 두께(z1)를 얇게 제공하므로, 조명 모듈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00)은 두께(z1)가 1.0mm 이하로 제공되므로, 플렉시블한 모듈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00)의 하면에서 확산층(500)의 상면까지의 간격은 조명장치(1000)의 두께일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000)의 두께(z4)는 상기 회로기판(100)의 제1방향(X방향) 및 제2방향(Y방향)의 길이(x1, y1) 중에서 짧은 길이의 1/3 이하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조명장치(1000)의 두께(z4)는 상기 회로기판(100)의 바닥에서 5.5mm 이하이거나, 4.5mm 내지 5.5mm의 범위 또는 4.5mm 내지 5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000)의 두께(z4)는 상기 회로기판(100)의 하면에서 확산층(500)의 상면 사이의 직선 거리일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000)의 두께(z4)는 상기 레진층(300)의 두께(z2)의 220% 이하 예컨대, 180% 내지 22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000)의 두께(z4)가 5.5mm 이하로 제공되므로, 플렉시블하며 슬림한 면광원 모듈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000)의 두께(z4)가 상기 범위보다 얇을 경우 광 확산 공간이 줄어들어 핫 스팟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범위보다 클 경우 모듈 두께의 증가로 인해 공간적인 설치 제약과 디자인 자유도가 저하될 수 있다. 실시 예는 조명장치(1000)의 두께(z4)를 5.5 mm 이하 또는 5mm 이하 제공하여, 곡면 구조가 가능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므로 디자인 자유도 및 공간적 제약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000)의 두께(z4) 대비 상기 조명장치(1000)의 제2방향(Y)의 길이(y1)의 비율은 1:m일 수 있으며, 상기 m≥1의 비율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m는 최소 1이상의 자연수이며, 상기 발광소자(200)의 열은 m보다 작은 정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m이 조명장치(1000)의 두께(z4)보다 4배 이상 크면 상기 발광소자(200)는 4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00)은 일부에 커넥터(301)를 구비하여, 상기 발광소자(200)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00)에서 상기 커넥터(301)가 배치된 영역(302)은 레진층(300)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상기 회로기판(100)의 제2방향(Y)의 길이(y1)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커넥터(301)는 상기 회로기판(100)의 상면 일부 또는 하면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01)가 회로기판(100)의 저면에 배치된 경우, 상기 영역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00)은 탑뷰 형상이 직사각형이거나, 정사각형이거나, 다른 다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곡면 형상을 갖는 바(Bar)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301)는 상기 발광소자(200)에 연결된 단자이거나 암 커넥터 또는 수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 또는 반사층은 솔더 레지스트 재질을 갖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솔더 레지스트 재질은 백색 재질로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회로기판(100)은 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한 재질의 회로기판(100)이 제공되므로, 상기 발광소자(200)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회로기판(100)의 상면 방향 및 하면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200)는 상기 회로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200)는 상면(S1)과 다수의 측면(S2)을 가지며, 상기 상면(S1)은 확산층(500)의 하면과 대면하며 상기 발광소자(200)에서 확산층(500) 방향으로 광을 출사하게 된다. 상기 발광소자(200)의 상면(S1)을 통하여 이며 대 부분의 광이 방출되며, 상기 다수의 측면(S2)은 적어도 내 개의 측면을 포함하며, 발광소자(200)의 측 방향으로 광을 출사하게 된다. 이러한 발광소자(200)는 적어도 5면 발광하는 LED 칩으로서, 상기 회로기판(100) 상에 플립 칩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200)는 0.3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발광소자(200)는 5면 발광으로 지향각 분포가 커지게 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200)는 플립 칩으로 상기 회로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200) 간의 제1방향(X) 간격(x2)은 상기 레진층(300)의 두께(z2, x2≤z2)와 같거나 클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200)간의 간격(x2)은 예컨대 2.5mm 이상일 수 있으며, LED 칩 사이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200)는 발광 다이오드(LED) 칩으로서, 청색, 적색, 녹색, 자외선(UV), 또는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200)는 예컨대 청색, 적색, 녹색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200)는 상기 회로기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소자(200) 상에 형광체층(2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210)은 상기 발광소자(20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210)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210)은 투명한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210)은 실리콘 재질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화학적 결합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실리콘은 무기물인 규소와 유기물인 탄소가 결합된 중합체로서, 무기물의 열안정성, 화학적 안정성, 내마모성, 광택성등과 유기물의 특성인 반응성, 용해성, 탄력성, 가공성 등의 물성을 갖고 있다. 실리콘을 일반 실리콘, 불소 비율을 높인 불소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불소 실리콘의 불소 비율을 높이면 방습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형광체층(210)은 상기 발광소자(20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입사 받고, 파장 변환된 빛을 제공하는 파장변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형광체층(210)은 형광체, 양자점 등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 또는 양자점은 청색, 녹색, 적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형광체는 상기 형광체층(210) 내부에 고르게 배치될 수 있다. 형광체는 불화물(fluoride) 화합물의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MGF계 형광체, KSF계 형광체 또는 KTF계 형광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레진층(300)은 상기 회로기판(100) 및 상기 발광소자(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진층(300)은 상기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되는 빛을 확산시킬 수 있다.
상기 레진층(300)은 바닥면(311, 321, 333, 341, 351, 361, 371), 경사면(312, 322, 332, 342, 352, 362, 372), 출사면(313, 323, 333, 343, 353, 363, 373)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은 상기 회로기판(100)의 제1측면(1)에서 제2측면(2) 방향인 제1방향(X)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은 상기 회로기판(100)의 제3측면(3)에서 제4측면(4) 방향인 제2방향(Y)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00)의 제1측면(1)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제1홈(310)은 상기 회로기판(100)의 상면이 노출되는 제1바닥면(311), 상기 제1바닥면(31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출사면(313), 상기 제1출사면(313)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1경사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닥면(311)은 상기 회로기판(100)의 상면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바닥면(311)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회로기판(100)의 상면 일부 영역 상에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사면(313)은 상기 제1바닥면(31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사면(313)은 상기 제1바닥면(311)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312)은 상기 제1출사면(313)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312)은 상기 제1바닥면(311)으로부터 소정각도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312)에는 제1반사층(4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 중 상기 제1홈(310)을 제외한 나머지 홈도 상기 제1홈(3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빛이 상기 레진층(300) 상부로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회로기판(100)의 제1측면(1)과 가장 인접한 제1홈(310) 내에 배치된 상기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제1광(L1)은 상기 발광소자(200) 상면에 배치된 상기 형광체층(210)을 통과한 후 상기 발광소자(200)의 상부로 진행되며, 상기 형광체층(210)에 의해 상기 제1광(L1)과는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제2광(L2)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제2광(L2)은 상기 발광소자(200) 상부로 진행되어 상기 제1경사면(312)에 배치된 제1반사층(410)에 의해 상기 제1출사면(313)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사면(313)을 통과한 제3광(L3)은 상기 제1홈(310)의 측면에 배치된 상기 레진층(300)에 의해 확산되어 상기 레진층(300)의 상부와 상기 회로기판(100)의 제1측면(1) 상의 배치된 레진층(300)의 측면으로 진행되어 조명장치(100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광(L3)은 상기 제1경사면(312)에 배치된 제1반사층(410)에 의해 반사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기 제2광(L2)과 파장이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홈(310)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복수의 홈(3n0)(n>2, n은 정수)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제1광(L1)은 상기 발광소자(200) 상면에 배치된 형광체층(210)을 통과한 후 상기 발광소자(200)의 상부로 진행되며, 상기 형광체층(210)에 의해 상기 제1광(L1)과는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제2광(L2)으로 변환 될 수 있다. 상기 제2광(L2)은 상기 발광소자(200) 상부로 진행되어 제n반사층(4n0)에 의해 제n출사면(3n3) 방향으로 반사되고 상기 제n출사면(3n3)을 통과한 제3광(L3)은 상기 제n출사면(3n3)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n-1반사층(4(n-1)0)에 의해 상기 레진층(300) 상부로 반사되어 제4광(L4)을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때, 제4광(L4) 및 제3광(L3)은 제n반사층(4n0)에 의해 또는 제n-1반사층(4(n-1)0)에 의해 반사만 이뤄지므로 제2광(L2)과 동일한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진층(300)의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 내에는 발광소자(200)가 배치되며, 상기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이 레진층(300) 상부로 바로 진행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의 경사면(312, 322, 332, 342, 352, 362, 372)에 배치된 상기 반사층(400)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레진층(300) 상부로 진행될 수 있어,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0)는 균일한 면광원을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층(400)은 상기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의 경사면(312, 322, 332, 342, 352, 362, 372)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소자(200)와 수직방향으로 중첩되므로, 상기 발광소자(200)는 상기 반사층(400)에 의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아 조명장치의 점등시에는 상기 발광소자(200)의 핫 스팟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조명장치의 미점등시에는 상기 발광소자(200) 상에 배치된 형광체층(210)이 외부로 시인되지 않아 조명장치(1000)의 외관 이미지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레진층(300)은 투명한 수지 재질 예컨대, UV(Ultra violet) 레진(Resin),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수지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레진층(300)은 확산제가 없는 확산층(500) 또는 몰딩층일 수 있다. 상기 UV 레진은 예컨대, 주재료로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주원료로 하는 레진(올리고머타입)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합성올리고머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주 재료에 저비점 희석형 반응성 모노머인 IBOA(isobornyl acrylate), HBA(Hydroxybutyl Acrylate), HEMA(Hydroxy Metaethyl Acrylate) 등이 혼합된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서 광개시제(이를 테면, 1-hydroxycyclohexyl phenyl-ketone,Diphenyl), Diphwnyl(2,4,6-trimethylbenzoyl phosphine oxide) 등 또는 산화방지제 등을 혼합할 수 있다. 상기 UV 레진은 올리고머 10~21%, 모노머 30~63%, 첨가제 1.5~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노머는 IBOA(isobornyl Acrylate) 10~21%, HBA(Hydroxybutyl Acrylate) 10~21%, HEMA (Hydroxy Metaethyl Acrylate) 10~21%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광개시제 1~5%를 첨가하여 광반응성을 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으며, 산화방지제 0.5~1%를 첨가하여 황변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조성물을 이용한 상기 레진층의 형성은 도광판 대신 UV 레진 등의 레진으로 층을 형성하여, 굴절율, 두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술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점착특성과 신뢰성 및 양산속도를 모두 충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400)은 은(Ag) 필름 등의 필름 형태를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빛의 반사 및 분산을 촉진하는 특성을 위해 백색안료를 분산 함유하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색안료로는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산화 아연, 탄산염, 황산바륨, 탄산칼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아크릴 (Acrylic),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올레핀(Polyolefin), 셀룰로우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염화비닐(Vinyl chlorid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층(500)은 상기 레진층(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확산층(500)은 소정의 압력 또는 압력/열을 가해 상기 레진층(300) 상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확산층(500)은 별도의 접착제 없이 상기 레진층(300)의 자체 접착력으로 상기 레진층(300)과 접착됨으로써,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0)의 제조 공정 중에 접착제를 별도로 부착하는 공정을 줄일 수 있고,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어, 공정이나 재료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확산층(500)은 상기 레진층(300)의 상면과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확산층(500)은 광의 광도가 높을 경우 특정 컬러가 혼색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광들을 확산시켜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확산층(500)의 재질은 투광성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확산층(500)은 폴리에스테르(PET) 필름,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소재나 PC(Poly Carbon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층(500)은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수지 재질의 필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확산층(500)은 단층 또는 다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층(500)의 두께(z3)는 25마이크로 미터 이상이며, 예를 들면, 25 내지 250 마이크로 미터의 범위 또는 100 내지 250 마이크로 미터의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확산층(500)은 상기 두께(z3)의 범위를 갖고 입사된 광을 균일한 면 광원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0)에서는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이 바로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상기 반사층(400)에 의해 반사되어 외부로 방출되므로 균일한 면광원을 방출할 수 있다.
도 4는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1100)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0)에서 기설명한 내용을 채택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1100)에서는 상기 제1홈(310)의 제1출사면(313)이 상기 회로기판(100)의 제2측면(2)에서 제1측면(1)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사면(313)은 오목한 렌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홈(31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발광소자(200) 상부에 배치된 제1반사층(410)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1출사면(313)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출사면(313)이 오목한 렌즈 형상이므로, 상기 제1출사면(313)을 통과하는 광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출사면(323) 내지 상기 제7출사면(373)은 상기 제1출사면(313)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홈(320) 내지 상기 제7홈(370)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제1실시예의 기본예에 따른 제2홈(320) 내지 제7홈(37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이 진행되는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1100)에서는 상기 출사면(313, 323, 333, 343, 353, 363, 373)이 오목한 렌즈 형상으로 형성되어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된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1200)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0, 1100)에서 기설명한 내용을 채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1200)에서는 상기 제1반사층(41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1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반사부재(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상기 제1반사층(410)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상기 제1반사층(410)의 끝단에서 상기 제1출사면(3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사면(313)과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수직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상기 제1출사면(313)과 상기 제1경사면(312)이 연결되는 영역의 배치된 상기 제1반사층(410)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1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상기 제1반사층(4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상기 제1반사층(4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홈(310) 내에 배치된 상기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되는 광은 제1반사층(410)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레진층(300) 및 상기 확산층(500) 상부로 진행되거나 상기 제1반사층(410)에 의해 반사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상기 레진층(300) 및 상기 확산층(500) 상부로 진행될 수 있다.
제1반사층(41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세기와 반사되지 않고 발광소자(200)에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광의 세기는 서로 상이하므로 이는 광 균일도를 저하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발광소자(200)에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광을 반사시키거나 광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상기 제1반사층(410)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조명장치(1200) 외부의 정면에서 광 균일도를 증대하고, 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상기 발광소자(200)가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명장치(1200)의 외관 이미지를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반사층(410)의 끝단에 제1반사부재(411)가 배치된 것과 동일하게 상기 제2반사층(420) 내지 상기 제7반사층(470)의 끝단에 제2반사부재(421) 내지 상기 제7반사부재(471)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홈(320) 내지 상기 제7홈(370)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제1실시예의 기본예에 따른 제2홈(320) 내지 제7홈(37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이 진행되는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1200)에서는 상기 반사부재(411, 421, 431, 441, 451, 461, 471)에 의해 상기 출사면(313, 323, 333, 343, 353, 363, 373)과 인접한 영역의 레진층(300) 및 확산층(500) 상부로 광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면광원을 가지는 조명장치(1200)를 제공하며, 상기 발광소자(200)가 외부에서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명장치(1200)의 외관 이미지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6은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1300)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0, 1100, 1200)에서 기설명한 내용을 채택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1300)에서는 상기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의 출사면(313, 323, 333, 343, 353, 363, 373)이 상기 회로기판(100)의 제2측면(2)에서 제1측면(1)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반사층(40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1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사부재(411, 421, 431, 441, 451, 461, 4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부재(411, 421, 431, 441, 451, 461, 471)는 도5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와는 다르게 출사면(313, 323, 333, 343, 353, 363, 373)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 될 수 있다.
도 7은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1400)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에서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0, 1100, 1200, 1300)에서 기설명한 내용을 채택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1400)에서는 상기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와 제1방향(X)으로 중첩되는 경사면(312, 322, 332, 342, 352, 362, 372)의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출사면(323) 내지 상기 제7출사면(373)과 인접한 영역에 각각 형성된 반사층(400)의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이 곡면으로 형성된 반사층(400)에 의해 상부로 반사되지 않아 상기 제2출사면(323) 내지 제7출사면(373)과 인접한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핫 스팟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2000)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에서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0, 1100, 1200, 1300, 1400)에서 기설명한 내용을 채택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2000)는 상기 경사면(312, 322, 332, 342, 352, 362, 372)에 배치되는 형광체층(210)과 상기 형광체층(210) 상에 배치되는 반사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400)은 상기 형광체층(210)의 상면 전체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빛이 상기 레진층(300) 상부로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홈(31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제1광(L1)은 상기 발광소자(200)의 상부를 향하며, 상기 제1경사면(312)에 형성된 형광체층(210)으로 입사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210)에 입사된 제1광(L1)은 상기 제1광(L1)과는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제2광(L2)으로 변환된 후, 상기 형광체층(210) 상에 배치된 제1반사층(410)에 의해 변환과 동시에 상기 제1출사면(313) 방향으로 상기 제2광(L2)을 반사할 수 있다. 상기 제1출사면(313)을 통과한 제2광(L2)은 상기 제1홈(310)의 측면에 배치된 상기 레진층(300)에 의해 확산되어 상기 레진층(300)의 상부 및 측면으로 진행되어 조명장치(200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홈(310)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복수의 홈(3n0)(n>2, n은 정수)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제1광(L1)은 상기 발광소자(200)의 상부로 진행되어 상기 제n경사면(3n2)에 형성된 형광체층(210)으로 입사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210)에 입사된 제1광(L1)은 상기 제1광(L1)과는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제2광(L2)으로 변환된 후, 상기 형광체층(210) 상에 배치된 제n반사층(4n0)에 의해 변환과 동시에 상기 제n출사면(3n3) 방향으로 상기 제2광(L2)을 반사할 수 있다. 상기 제n출사면(3n3)을 통과한 제2광(L2)은 상기 제n-1경사면(3(n-1)2)에 형성된 제n-1반사층(4(n-1)0)에 의해 상기 레진층(300) 및 상기 확산층(500) 상부 방향으로 재 반사하여 제3광(L3)을 조명장치(200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2000)에서는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제1광(L1)이 상부로 진행되어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의 경사면(312, 322, 333, 343, 353, 363, 373)에 형성된 형광체층(210)에 의해 상기 제1광(L1)과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제2광(L2)으로 변환되고, 상기 제2광(L2)이 상기 형광체층(210) 상에 배치된 반사층(400)에 의해 반사되며, 반사된 제3광(L3)이 레진층(300) 및 확산층(500) 상부로 진행되어 균일한 면광원을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층(400)은 상기 경사면(312, 322, 333, 343, 353, 363, 373)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소자(200)와 수직방향으로 중첩되므로, 상기 반사층(400)에 의해 발광소자(200)는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아 조명장치의 점등시에는 상기 발광소자(200)의 핫 스팟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조명장치의 미점등시에는 상기 발광소자(200) 상에 배치된 형광체층(210)이 외부로 시인되지 않아 조명장치(1300)의 외관 이미지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9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2100)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에서는 도 8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2000)에서 기설명한 내용을 채택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2100)에서는 상기 제1홈(310)의 제1출사면(313)이 상기 회로기판(100)의 제1측면(1)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사면(313)은 오목한 렌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홈(31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발광소자(200) 상부에 배치된 제1반사층(410)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1출사면(313)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출사면(313)이 오목한 렌즈 형상이므로, 상기 제1출사면(313)을 통과하는 광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출사면(323) 내지 상기 제7출사면(373)은 상기 제1출사면(313)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홈(320) 내지 상기 제7홈(370)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제2실시예의 기본예에 따른 제2홈(320) 내지 제7홈(37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이 진행되는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2100)에서는 상기 출사면(313, 323, 333, 343, 353, 363, 373)이 오목한 렌즈 형상으로 형성되어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되고, 상기 경사면(312, 322, 332, 342, 352, 362, 372)에 형성된 반사층(400) 아래에 형광체층(210)이 배치되어 형광체층(210)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아 외관 이미지가 향상된 조명장치(2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2200)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에서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2실시예(2000, 2100)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기설명한 내용을 채택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2200)에서는 상기 제1반사층(41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1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반사부재(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상기 제1반사층(410)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상기 제1반사층(410)의 끝단에서 상기 제1출사면(3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사면(313)과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수직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상기 제1출사면(313)과 상기 제1경사면(312)이 연결되는 영역의 배치된 상기 제1반사층(410)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1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상기 제1반사층(4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상기 제1반사층(4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홈(31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되는 광은 제1반사층(410)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레진층(300) 및 상기 확산층(500) 상부로 진행되거나 제1반사층(410)에 반사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상기 레진층(300) 및 상기 확산층(500) 상부로 진행될 수 있다. 제1반사층(41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세기와 반사되지 않고 발광소자(200)에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광의 세기는 서로 상이하므로 이는 광 균일도를 저하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발광소자(200)에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광을 반사시키거나 광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상기 제1반사층(410)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조명장치(2200) 외부의 정면에서 광 균일도를 증대하고, 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상기 발광소자(200)가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명장치(2200)의 외관 이미지를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반사층(410)의 끝단에 제1반사부재(411)가 배치된 것과 동일하게 상기 제2반사층(420) 내지 상기 제7반사층(470)의 끝단에 제2반사부재(421) 내지 상기 제7반사부재(471)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홈(320) 내지 상기 제7홈(370)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제2실시예의 기본예에 따른 제2홈(320) 내지 제7홈(37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이 진행되는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2200)에서는 반사부재(411, 421, 432, 441, 451, 461, 471)에 의해 상기 출사면(313, 323, 333, 343, 353, 363, 373)과 인접한 영역의 레진층(300) 및 확산층(500) 상부로 광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면광원을 제공하며, 상기 발광소자(200)가 외부에서 인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312, 322, 332, 342, 352, 362, 372)에 형성된 반사층(400) 아래에 형광체층(210)이 배치되어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되고 형광체층(210)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아 외관 이미지가 향상된 조명장치(2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2300)의 A-A'에 대한 면도이다. 도 11에서는 도 8에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2000, 2100, 2200)에서 기설명한 내용을 채택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2300)에서는 상기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의 출사면(313, 323, 333, 343, 353, 363, 373)이 상기 회로기판(100)의 제2측면(2)에서 제1측면(1)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반사층(40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1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사부재(411, 421, 431, 441, 451, 461, 4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반사부재(411, 421, 431, 441, 451, 461, 471)은 도5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와는 다르게 출사면(313, 323, 333, 343, 353, 363, 373)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형광체층(210)은 반사부재(411, 421, 431, 441, 451, 461, 471) 및 출사면(313, 323, 333, 343, 353, 363, 373)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 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2400)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2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2000, 2100, 2200, 2300)에서 기설명한 내용을 채택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2400)에서는 상기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와 제1방향(X)으로 중첩되는 경사면(312, 322, 332, 342, 352, 362, 372)의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출사면(323) 내지 상기 제7출사면(373)과 인접한 영역에 각각 형성된 반사층(400)의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이 곡면으로 형성된 반사층(400)에 의해 상부로 반사되지 않아 상기 제2출사면(323) 내지 제7출사면(373)과 인접한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핫 스팟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3000)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에서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0, 1100, 1200, 1300, 1400, 2000, 2100, 220, 2300, 2400)에서 기설명한 내용을 채택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3000)에서는 상기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의 출사면(313, 323, 333, 343, 353, 363, 373)에 형광체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빛이 상기 레진층(300) 상부로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홈(31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제1광(L1)은 상기 발광소자(200)의 상부를 향하며, 상기 상기 제1경사면(312)에 형성된 제1반사층(410)에 의해 상기 제1출사면(313)으로 제2광(L2)을 반사할 수 있다. 상기 제2광(L2)이 상기 제1출사면(313)으로 입사되면 상기 제2광(L2)은 상기 제1출사면(313)에 형성된 형광체층(210)에 의해 상기 제2광과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제3광(L3)으로 변환되며, 상기 제1출사면(313)을 통과한 상기 제3광(L3)은 상기 제1홈(310)의 측면에 배치된 상기 레진층(300)에 의해 확산되어 상기 레진층(300)의 상부 및 측면으로 진행되어 조명장치(200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홈(310)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복수의 홈(3n0)(n>2, n은 정수)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제1광(L1)은 상기 발광소자(200)의 상부로 진행되어 상기 제n경사면(3n2)에 형성된 제n반사층(4n0)이 상기 제n출사면(3n3) 방향으로 제2광(L2)을 반사할 수 있다. 상기 제n출사면(3n3)으로 입사된 제2광(L2)은 상기 제n출사면(3n3)에 형성된 형광체층(210)에 의해 상기 제2광(L2)과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제3광(L3)으로 변환되며, 상기 제n출사면(3n3)을 통과한 제3광(L3)은 상기 제n출사면(3n3)과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제n-1반사층(4(n-1)0)에 의해 상기 레진층(300) 및 상기 확산층(500) 상부 방향으로 재 반사하여 상기 제3광(L3)과 동일한 파장을 갖는 제4광(L4)이 조명장치(200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3000)에서는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제1광(L1)이 상부로 진행되어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의 경사면(312, 322, 333, 343, 353, 363, 373)에 배치된 반사층(400)에 의해 출사면(313, 323, 333, 343, 353, 363, 373) 방향으로 제2광(L2)을 반사하고, 출사면(313, 323, 333, 343, 353, 363, 373)에 배치된 형광체층(210)을 통과하면서 제2광(L2)과는 파장이 다른 제3광(L3)으로 변환되어, 인접한 반사층(400)에 의해 재 반사되어 제4광(L4)이 레진층(300) 및 확산층(500) 상부로 진행되어 균일한 면광원을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3000)에서는 상기 반사층(400)이 상기 경사면(312, 322, 332, 342, 352, 362, 372)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발광소자(200)와 수직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층(400)에 의해 발광소자(200)가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아 조명장치치의 점등시에는 상기 발광소자(200)에 의해 핫 스팟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3100)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4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3000)에서 기설명한 내용을 채택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3100)에서는 상기 제1반사층(41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1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반사부재(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상기 제1반사층(410)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상기 제1반사층(410)의 끝단에서 상기 제1출사면(3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사면(313)과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수직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상기 제1출사면(313)과 상기 제1경사면(312)이 연결되는 영역의 배치된 상기 제1반사층(410)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1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상기 제1반사층(4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상기 제1반사층(4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홈(31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되는 광은 제1반사층(410)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레진층(300) 및 상기 확산층(500) 상부로 진행되거나 제1반사층(410)에 반사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상기 레진층(300) 및 상기 확산층(500) 상부로 진행 될 수 있다. 제1반사층(41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세기와 반사되지 않고 발광소자(200)에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광의 세기는 서로 상이하므로 이는 광 균일도를 저하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발광소자(200)에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광을 반사시키거나 광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반사부재(411)는 상기 제1반사층(410)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조명장치(3100) 외부의 정면에서 광 균일도를 증대하고, 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상기 발광소자(200)가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명장치(3100)의 외관 이미지를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반사층(410)의 끝단에 제1반사부재(411)가 배치된 것과 동일하게 상기 제2반사층(420) 내지 상기 제7반사층(470)의 끝단에 제2반사부재(421) 내지 상기 제7반사부재(471)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홈(320) 내지 상기 제7홈(370)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제3실시예의 기본예에 따른 제2홈(320) 내지 제7홈(37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이 진행되는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3100)에서는 상기 1반사부재(411) 내지 제7반사부재(417)에 의해 상기 출사면(313, 323, 333, 343, 353, 363, 373)과 인접한 영역의 레진층(300) 및 확산층(500) 상부로 광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면광원을 제공하며, 상기 발광소자(200)가 외부에서 인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재(411, 421, 431, 441, 451, 461, 471) 아래에 형광체층(210)을 배치하여 상기 형광체층(210)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아 외관 이미지가 향상된 조명장치(3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3200)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5에서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3000, 3100)에서 기설명한 내용을 채택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3200)에서는 상기 제1홈(310)의 제1출사면(313)이 상기 회로기판(100)의 제2측면(2)에서 제1측면(1)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사면(313)은 오목한 렌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제1출사면(313)의 형상에 맞춰 상기 형광체층(210)의 형상도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홈(31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발광소자(200) 상부에 배치된 제1반사층(410)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1출사면(313)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출사면(313)이 오목한 렌즈 형상이므로, 상기 제1출사면(313)을 통과하는 광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출사면(323) 내지 상기 제7출사면(373)은 상기 제1출사면(313)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홈(320) 내지 상기 제7홈(370)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제2실시예의 기본예에 따른 제2홈(320) 내지 제7홈(37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이 진행되는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3200)에서는 상기 출사면(313, 323, 333, 343, 353, 363, 373) 및 상기 형광체층(210)이 오목한 렌즈 형상으로 형성되어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된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3300)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6에서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3000, 3100, 3200)에서 기설명한 내용을 채택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3300)에서는 상기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와 제1방향(X)으로 중첩되는 경사면(312, 322, 332, 342, 352, 362, 372)의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출사면(323) 내지 상기 제7출사면(373)과 인접한 영역에 각각 형성된 반사층(400)의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복수의 홈(310, 320, 330, 340, 350, 360, 37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된 광이 곡면으로 형성된 반사층(400)에 의해 상부로 반사되지 않아 상기 제2출사면(323) 내지 제7출사면(373)과 인접한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핫 스팟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적용된 차량 램프가 적용된 차량의 평면도이며, 도 18은 실시 예에 개시된 조명 모듈 또는 조명 장치를 갖는 차량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차량(900)에서 후미등(800)은 제1램프 유닛(812), 제2램프 유닛(814), 제3램프 유닛(816), 및 하우징(8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램프 유닛(812)은 방향 지시등 역할을 위한 광원일 수 있으며, 제2램프 유닛(814)은 차폭등의 역할을 위한 광원일 수 있고, 제3램프 유닛(816)은 제동등 역할을 위한 광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램프 유닛 내지 제3램프 유닛(812,814,816)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모두는 실시 예에 개시된 조명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810)은 제1램프 유닛 내지 제3램프 유닛(812, 814, 816)들을 수납하며,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하우징(810)은 차량 몸체의 디자인에 따라 굴곡을 가질 수 있고, 제1램프 유닛 내지 제3램프 유닛(812, 814, 816)은 하우징(810)의 형상에 따라, 곡면을 갖는 수 있는 면 광원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램프는 상기 램프 유닛이 차량의 테일등, 제동등이나, 턴 시그널 램프에 적용될 경우, 차량의 턴 시그널 램프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회로기판 200: 발광소자 210: 형광체층 300: 레진층
310, 320, 330, 340, 350, 360, 370: 복수의 홈
400: 반사층 500: 확산층(500)

Claims (8)

  1. 제1측면 및 상기 제1측면의 반대측인 제2측면,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2측면을 연결하는 제3측면 및 상기 제3측면의 반대측인 제4측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이 노출된 바닥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출사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홈이 구비된 레진층;
    상기 홈 내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제1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소자;
    상기 경사면에 배치되는 반사층; 및
    상기 레진층 상에 배치되는 확산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기판의 제3측면에서 제4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제1측면에서 제2측면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홈은 기판의 제1측면과 가장 인접한 제1홈 및 상기 제1홈에 인접한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홈 내에 배치된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상기 제1광은 상기 제2홈의 경사면에 형성된 상기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2홈의 출사면을 통과한 후 상기 제1홈의 경사면에 형성된 상기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레진층 및 상기 확산층을 통과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상에 배치되는 형광체층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의 하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의 상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복수의 홈의 출사면에 형성되는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은 상기 기판의 제2측면에서 제1측면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인 조명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과 상기 경사면이 연결된 영역에 배치된 상기 반사층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 내에 배치된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상기 제1광은 상기 형광체층에 의해 상기 제1광과 다른 파장의 제2광으로 변환되어 상기 확산층을 통과하는 조명장치.
KR1020190094040A 2019-08-01 2019-08-01 조명 장치 Pending KR20210015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040A KR20210015342A (ko) 2019-08-01 2019-08-01 조명 장치
PCT/KR2020/009740 WO2021020809A1 (ko) 2019-08-01 2020-07-23 조명 장치
CN202410417175.6A CN118328319A (zh) 2019-08-01 2020-07-23 照明装置
US17/630,972 US11828433B2 (en) 2019-08-01 2020-07-23 Lighting device
CN202080055376.6A CN114599914B (zh) 2019-08-01 2020-07-23 照明装置
JP2022506194A JP7691410B2 (ja) 2019-08-01 2020-07-23 照明装置
EP20847715.8A EP4008950B1 (en) 2019-08-01 2020-07-23 Ligh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040A KR20210015342A (ko) 2019-08-01 2019-08-01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342A true KR20210015342A (ko) 2021-02-10

Family

ID=7423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040A Pending KR20210015342A (ko) 2019-08-01 2019-08-01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28433B2 (ko)
EP (1) EP4008950B1 (ko)
JP (1) JP7691410B2 (ko)
KR (1) KR20210015342A (ko)
CN (2) CN118328319A (ko)
WO (1) WO2021020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7728A1 (de) * 2020-03-20 2021-09-23 HELLA GmbH & Co. KGaA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JP7661977B2 (ja) * 2020-11-18 2025-04-15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DE202021105769U1 (de) * 2021-10-21 2023-01-26 ZF Automotive Safety Germany GmbH Beleuchtungseinheit für eine Lenkhandhabe eines Kraftfahrzeugs sowie Lenkhandhabe mit einer solchen Beleuchtungseinheit
KR20240059398A (ko) * 2022-10-27 2024-05-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DE102023127543A1 (de) * 2023-10-09 2025-04-10 Marquardt Gmbh Beleuchtbares Verkleidungselement für Fahrzeug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7291A (ja) * 2004-10-21 2008-02-28 Minebea Co Ltd 面状照明装置
US7721672B2 (en) * 2005-04-21 2010-05-25 Nichia Corporation Electrically illuminating indicator needle and light guiding member
JP4708307B2 (ja) * 2005-11-04 2011-06-22 昭和電工株式会社 導光部材およびこの導光部材を用いた面光源装置、ならびに表示装置
US7736044B2 (en) * 2006-05-26 2010-06-15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Indirect lighting device for light guide illumination
KR101301340B1 (ko) 2006-07-25 2013-08-29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WO2008032275A1 (en) 2006-09-15 2008-03-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at and thin led-based luminary
US8511878B2 (en) * 2006-10-16 2013-08-20 Koninklijke Philips N.V. Flat and thin LED-based luminary
US7942556B2 (en) * 2007-06-18 2011-05-17 Xicato, Inc. Solid state illumination device
JP5169594B2 (ja) 2008-08-01 2013-03-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200938909A (en) * 2009-03-13 2009-09-16 Global Lighting Technologies Taiwan Inc Section light-guide structure of light-guide plate
KR20110000859A (ko) 2009-06-29 2011-0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101001599B1 (ko) 2010-03-30 2010-12-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101196909B1 (ko) * 2010-03-04 2012-11-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KR20110136651A (ko) * 2010-06-15 2011-1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734545B1 (ko) * 2010-08-17 2017-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라이트 유닛 및 표시장치
US8582051B2 (en) * 2010-06-15 2013-11-12 Lg Innotek Co., Ltd. Backlight unit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8646932B2 (en) 2010-06-15 2014-02-11 Lg Innotek Co., Ltd. Backlight unit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755673B1 (ko) * 2010-08-09 2017-07-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장치
KR101824036B1 (ko) * 2011-06-30 2018-03-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0718B1 (ko) * 2011-07-15 2018-0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2778778B (zh) * 2012-07-05 2014-08-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透反式液晶显示面板及透反式液晶显示器
KR102085256B1 (ko) * 2012-12-17 2020-03-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면광원
KR101488385B1 (ko) 2013-07-12 2015-01-30 (주)애니캐스팅 엘이디 평판조명장치
JP2015028997A (ja) 2013-07-30 2015-02-12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50362653A1 (en) * 2014-06-17 2015-12-1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KR101759343B1 (ko) * 2014-10-22 2017-07-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CN104359051A (zh) * 2014-11-10 2015-02-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101710520B1 (ko) * 2015-10-02 2017-02-27 한국과학기술원 로컬 디밍이 가능한 백라이트 유닛
US10648626B2 (en) 2016-04-29 2020-05-12 Lg Innotek Co., Ltd.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having same
KR102624157B1 (ko) 2016-05-04 2024-0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0809A1 (ko) 2021-02-04
CN114599914B (zh) 2024-04-26
EP4008950A4 (en) 2023-07-05
JP7691410B2 (ja) 2025-06-11
JP2022542978A (ja) 2022-10-07
US20220268418A1 (en) 2022-08-25
EP4008950B1 (en) 2025-07-23
CN114599914A (zh) 2022-06-07
CN118328319A (zh) 2024-07-12
US11828433B2 (en) 2023-11-28
EP4008950A1 (en)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691410B2 (ja) 照明装置
US20250098381A1 (en)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comprising same
KR20250034364A (ko) 차량용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US20250004325A1 (en) Lighting device and vehicle lamp having same
KR20210007685A (ko) 조명 장치
KR20210030679A (ko) 조명 장치
KR102373190B1 (ko) 조명 장치
KR20140078930A (ko) 조명 장치
US20220333758A1 (en) Lighting device
KR20200109025A (ko)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20210054910A (ko) 조명 장치
KR102803810B1 (ko)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US20250207748A1 (en) Lighting device
US20230086391A1 (en)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having same
KR20210053583A (ko) 조명 장치
CN116724191A (zh) 照明装置及包括该照明装置的灯
KR102014090B1 (ko) 조명 장치
KR20220034094A (ko) 조명 장치
KR20210143482A (ko)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20150089246A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