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22929A - 인쇄 화상의 균일한 광택도를 구현하는 클리어 토너의 도포량을 이용한 포토 피니싱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화상의 균일한 광택도를 구현하는 클리어 토너의 도포량을 이용한 포토 피니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929A
KR20200122929A KR1020190046354A KR20190046354A KR20200122929A KR 20200122929 A KR20200122929 A KR 20200122929A KR 1020190046354 A KR1020190046354 A KR 1020190046354A KR 20190046354 A KR20190046354 A KR 20190046354A KR 20200122929 A KR20200122929 A KR 20200122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r toner
unit
image
printing medium
to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형
이승준
박충규
유길재
권주희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90046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2929A/ko
Priority to PCT/US2020/016538 priority patent/WO2020214228A1/en
Priority to CN202080005843.4A priority patent/CN112955823A/zh
Priority to US17/283,630 priority patent/US11448995B2/en
Publication of KR20200122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92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2Special processing for irreversibly adding or changing the sheet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or its appearance, e.g. stamping, annotation printing, punching
    • G03G15/6585Special processing for irreversibly adding or changing the sheet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or its appearance, e.g. stamping, annotation printing, punching by using non-standard toners, e.g. transparent toner, gloss adding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05Gloss adding or lower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열과 압력에 의하여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인쇄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부와, 정착 후 상기 인쇄 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한 후 냉각하는 포토 피니싱부와, 상기 포토 피니싱부의 상류측에 위치되어 상기 인쇄 매체에 클리어 토너를 0.3mg/cm2 이상 도포하는 클리어 토너 도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쇄 화상의 균일한 광택도를 구현하는 클리어 토너의 도포량을 이용한 포토 피니싱 장치{Clear toner based photo-finishing apparatus to realize uniform glossiness of printed image}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정전잠상에 토너(toner)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를 거치거나 또는 직접 인쇄 매체로 전사된다. 인쇄 매체에 전사된 토너 화상은 정전기적인 힘에 의하여 인쇄 매체에 부착되어 있다. 정착부는 토너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 매체에 영구적인 화상으로 정착시킨다.
포토 피니싱 장치는 정착부를 통과한 인쇄 매체를 가열, 가압한 후에 냉각시킴으로서 인쇄된 화상의 광택도(glossiness)를 향상시킨다. 인쇄된 화상의 광택도는 인쇄 매체의 종류, 화상의 농도 등에 의존될 수 있다. 인쇄 매체의 종류, 화상의 농도에 의존되지 않고 균일한 광택도를 얻을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가 요구된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포토 피니싱부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포토 피니싱부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포토 피니싱 처리 전과 후의 인쇄 화상의 광택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단위 면적당의 클리어 토너 도포량을 변화시키면서 화상 농도에 따른 인쇄 화상의 광택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클리어 토너를 TMA 0.3 mg/cm2로 도포한 경우 화상 농도에 따른 인쇄 화상의 광택도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토너 화상(유색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1), 열과 압력에 의하여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P)에 정착시키는 정착부(2), 정착 후 인쇄 매체(P)에 열과 압력을 가한 후 냉각하는 포토 피니싱부(3), 및 인쇄 매체(P)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포토 피니싱부(3)의 상류측에 위치되어 인쇄 매체(P)에 클리어 토너(CT)를 도포하는 클리어 토너 도포부(4)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어 토너 도포부(4)는 인쇄 매체(P)의 화상면에 클리어 토너(CT)를 0.3 g/cm2 이상 도포할 수 있다. 클리어 토너 도포부(4)는 인쇄 매체(P)의 화상면 전체에 클리어 토너(CT)를 도포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이 형성될 인쇄 매체(P)를 적재하고, 이를 이송시키기 위한 인쇄 매체 이송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부(1)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칼라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일 예로서, 화상 형성부(1)는 노광기(10), 현상기(20), 및 전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칼라 인쇄를 위하여, 현상기(20)는 예를 들어,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4 개의 현상기(20C)(20M)(20Y)(20K)를 포함할 수 있다. 4 개의 현상기(20C)(20M)(20Y)(20K)에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어 토너가 수용될 수 있다.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는 4 개의 토너 공급 용기(70C)(70M)(70Y)(70K)에 각각 수용되고, 4 개의 토너 공급 용기(70C)(70M)(70Y)(70K)로부터 4 개의 현상기(20C)(20M)(20Y)(20K)로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가 공급될 수도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상술한 색상 이외에도 라이트 마젠타(light magenta), 백색(white) 등의 다양한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현상하기 위한 현상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토너 공급 용기(70)는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교체될 수 있다. 현상기(20)는 도시되지 않은 도어를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4 개의 현상기(20C)(20M)(20Y)(20K)를 구비하는 화상형성부(1)에 대하여 설명하며, 특별히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참조부호에 C, M, Y, K가 붙은 경우에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현상기(20)는 감광 드럼(21)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감광 드럼(21)은 현상기(20)와는 독립적인 부재일 수도 있다. 감광 드럼(21)은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도전성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 롤러(22)는 감광 드럼(21)이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 롤러(22)에는 대전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대전 롤러(22) 대신에 대전 브러쉬, 코로나 대전기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현상기(20)는 대전 롤러(22)의 표면에 뭍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롤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25)는 후술하는 전사과정 후에 감광 드럼(21)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의 일 예이다. 클리닝 블레이드(25) 대신에 회전되는 브러쉬 등의 다른 형태의 클리닝 부재가 채용될 수도 있다.
현상기(20)는 감광 드럼(2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 방식으로는, 토너를 사용하는 일성분 현상방식과, 토너와 캐리어를 사용하는 이성분 현상방식이 있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20)는 일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한다. 현상 롤러(23)는 토너를 감광 드럼(21)으로 공급한다. 현상 롤러(23)에는 토너를 감광 드럼(21)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롤러(23)와 감광 드럼(21)이 서로 접촉되어 현상닙을 형성하는 접촉 현상방식에 채용된다. 공급 롤러(24)는 현상기(20) 내의 토너를 현상 롤러(23)의 표면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공급 롤러(24)에는 공급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현상기(20)는 현상 롤러(23)의 표면에 부착되어 감광 드럼(21)과 현상 롤러(23)가 서로 접촉된 현상닙으로 공급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규제 부재는 예를 들어, 현상 롤러(23)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닥터 블레이드일 수 있다.
노광기(1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 드럼(21)에 조사하여 감광 드럼(21)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기(10)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ED노광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전사기는 중간 전사 벨트(30)와, 중간 전사 롤러(41)(42)(43)(44)와, 전사 롤러(5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30)에는 각 현상기(20C)(20M)(20Y)(20K)의 감광 드럼(21) 상에 현상된 토너 화상이 일시적으로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30)는 지지 롤러(31)(32)에 의하여 지지되어 순환 주행된다. 중간 전사 벨트(30)를 사이에 두고 각 현상기(20C)(20M)(20Y)(20K)의 감광 드럼(21)과 대면되는 위치에 4개의 중간 전사 롤러(41)(42)(43)(44)가 배치된다. 4 개의 중간 전사 롤러(41)(42)(43)(44)에는 감광 드럼(21) 상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30)로 중간전사시키기 위한 중간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중간 전사 롤러(41)(42)(43)(44)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나 핀 스코로트론(pin scorotron)방식의 전사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전사 롤러(50)는 중간 전사 벨트(30)와 대면되게 위치된다. 전사 롤러(50)에는 중간 전사 벨트(30)에 중간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도시되지 않은 호스트 등으로부터 인쇄명령이 수신되면,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미도시)는 대전 롤러(22)를 이용하여 감광 드럼(2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노광기(10)는 각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하여 변조된 4 개의 광빔을 현상기(20C)(20M)(20Y)(20K)의 감광 드럼(21)에 주사하여 감광 드럼(21)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각 현상기(20C)(20M)(20Y)(20K)의 현상 롤러(23)는 대응되는 감광 드럼(21)에 각각 C, M, Y, K 색상의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된 토너 화상들은 중간 전사 벨트(30)로 중첩 전사된다. 급지대(61)에 적재된 인쇄 매체(P)는 전사 롤러(50)와 중간 전사 벨트(30)에 의하여 형성된 전사닙으로 이송된다. 전사 롤러(50)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30) 위에 중첩 전사된 토너 화상들은 인쇄 매체(P)로 전사된다.
정착부(2)는 토너 화상이 전사된 인쇄 매체(P)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부(2)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착부(2)는 가열 부재와 가압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가열 부재와 가압 부재는 서로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정착닙을 형성한다. 가열 부재는 예를 들어 히트 롤러, 정착 벨트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가열 부재는 열원에 의하여 가열된다. 열원으로서 예를 들어 할로겐 램프가 채용될 수 있다. 가열 부재는 인쇄 매체(P)의 화상면과 접촉된다. 화상면은 토너 화상이 전사된 면이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인쇄 매체(P)가 정착닙을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하여 토너 화상이 인쇄 매체(P)에 정착된다.
포토 피니싱부(3)는 정착부(2)를 통과한 인쇄 매체(P)를 가열, 가압한 후에 냉각시켜, 인쇄 화상의 광택도(glossiness)를 향상시킨다. 포토 피니싱부(3)를 통과한 인쇄 매체(P)는 배출 롤러(62)에 의하여 본체(1000)로부터 배출된다.
포토 피니싱부(3)의 구조는 다양할 수 있다. 도 2는 포토 피니싱부(3)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포토 피니싱부(3)는 가열 롤러(310), 가압 롤러(320), 벨트(330), 및 냉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 장치의 일 예로서 냉각풍을 제공하는 송풍기(미도시) 및 중공 덕트(350)가 채용된다. 중공 덕트(350)에는 벨트(330)를 향하여 개구된 공기 토출구(370)가 마련된다. 송풍기는 중공 덕트(35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중공 덕트(350)의 외부에 위치되어 중공 덕트(350)의 일단부를 통하여 냉각풍을 공급할 수도 있다.
가열 롤러(310)는 중공의 알루미늄(Al) 또는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심금의 외부 표면에 이형층을 형성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금속 심금과 이형층 사이에는 내열 탄성층이 마련될 수도 있다. 가열 롤러(310)는 인쇄 매체(P)의 화상면(P1)과 대향되며, 화상면(P1)에 정착된 토너 화상에 열을 가한다. 이를 위하여, 가열 롤러(310)는 열원(311)에 의하여 가열된다. 열원(311)으로서는 할로겐 램프, 발열저항코일, 유도가열기, 세라믹 히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원(311)으로서 할로겐 램프가 채용된다. 할로겐 램프는 금속 심금의 내부에, 가열 롤러(310)의 회전축과 거의 같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가압 롤러(320)는 가열 롤러(310)에 가압되어 인쇄 매체(P)가 통과되는 가열 닙(N)을 형성한다. 가압 롤러(320)는 금속 심금의 외부 표면에 내열성 탄성층과, 내열성 수지 피막 또는 내열성 고무 피막을 이용한 이형층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가압 롤러(320)는 벨트(330)를 사이에 두고 가열 롤러(310)와 함께 가열 닙(N)을 형성하며, 가열 닙(N)을 통과하는 인쇄 매체(P)를 가압하여 토너 화상(T)이 형성된 화상면(P1)을 벨트(330)에 밀착시킨다.
벨트(330)는 가열 닙(N)을 통과하도록 가열 롤러(310)에 지지되고 가열 닙(N)의 하류측으로 연장되어 인쇄 매체(P)를 지지한다. 벨트(330)는 가열 롤러(310)와 후술하는 지지 롤러들(341, 342)에 의하여 순환주행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벨트(330)의 외측 표면은 매끈한 표면일 수 있다. 벨트(330)는 기재와 이형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는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아미드(PA, Polyamide), 폴리이미드아미드(PAI, Polyamideimide) 등의 내열성 수지, 또는 스테인레스강, 니켈(Ni)등의 금속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재의 두께는 30-200㎛ 정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기재의 두께는 50~100㎛ 정도일 수 있다. 이형층은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다. 이형층은 불소계 수지인 퍼플루오로알콕시 불소수지(Perfluoroalkoxy, PFA),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4불화 에틸렌과 6불화 에틸렌의 공중합체(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FEP)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형층의 두께는 10~30㎛ 정도일 수 있다. 기재와 이형층 사이에는 탄성층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탄성층은 불소 고무,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브틸 고무, 아크릴 고무, 히드린 고무, 우레탄고무와 같은 각종 고무 재료나, 스틸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부타디엔계, 토란스포리이소푸렌계, 염소화폴리에틸렌계 등의 각종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재료, 및 이들의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탄성층의 두께는 인쇄 매체(P)로의 열전달 효율을 고려하여 100~300㎛ 정도일 수 있다.
포토 피니싱부(3)는 가열 롤러(310)와 함께 벨트(330)를 지지하고 주행시키는 하나 이상의 지지 롤러(341, 342)를 구비할 수 있다. 벨트(330)는 가열 롤러(310)와 지지롤러들(341, 342)에 지지되어 순환주행되며, 인쇄 매체(P)는 가열 닙(N)을 통과한 후에 벨트(330)에 의하여 지지된다. 벨트(330)는 인쇄 매체(P)의 이동 방향으로 가열 닙(N)의 하류측으로 연장된 제1구간(331)과, 제1구간(331)으로부터 가열 닙(N)의 상류측으로 연장된 제2구간(33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구간(331)은 가열 롤러(310)와 지지 롤러(341) 사이의 구간일 수 있다. 제2구간(332)은 지지 롤러(342)와 가열 롤러(310)에 사이의 구간일 수 있다.
덕트(350)는 벨트(33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덕트(350)는 벨트(330)의 내측에 위치된다. 덕트(350)는 벨트(330)의 제1구간(331)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송풍기(미도시)는 덕트(35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한다. 송풍기는 축류 송풍기(axial fan)일 수 있으며, 비교적 높고 안정적인 정압(static pressure)를 제공할 수 있는 원심 송풍기(centrifugal blower)일 수도 있다. 공기 토출구(370)는 송풍기에 의하여 공급된 공기가 인쇄 매체(P)의 화상면(P1)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벨트(330)의 제1구간(331)과 대향된다. 공기 토출구(370)는 벨트(330)의 내표면과 대향된다. 공기 토출구(370)는 폭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폭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구멍들, 및 이들 각각 또는 이들의 조합이 인쇄 매체(P)의 주행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된 구조 등 다양할 수 있다.
가열 닙(N)을 통과할 때에, 인쇄 매체(P)의 화상면(P1)은 벨트(330)의 외표면과 대향된다. 가압 롤러(320)에 의하여 제공되는 가압력에 의하여, 인쇄 매체(P)가 벨트(330)의 외표면에 가압된다. 가열 닙(N)을 통과하면서 가열 롤러(310)에 의하여 제공되는 열 에너지에 의하여 인쇄 매체(P)의 화상면(P1)에 있는 토너 화상(T)이 가열되어 용융된다. 예를 들어, 토너 화상(T)은 유리 전이 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벨트(330)의 외표면은 표면 조도가 매우 낮은 매끈한 면이며, 토너 화상(T)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 닙(N)에서 열 에너지와 압력을 받아서 벨트(330)의 외표면에 압착되고, 화상면(P1)의 표면 조도가 낮아진다. 화상면(P1)의 표면 조도가 낮아지면 화상면(P1)으로부터 반사되는 광 중에서 난반사광의 비중이 줄어들고 전반사광의 비중이 높아지며, 이에 의하여 인쇄 화상의 광택도(glossiness)가 높아질 수 있다.
인쇄 매체(P)의 급격한 냉각은 광택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송풍기에 의하여 덕트(350)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공기 토출구(370)를 통하여 벨트(330)의 제1구간(331)을 향하여 토출된다. 토출된 공기에 의하여 인쇄 매체(P)는 급격히 냉각되며, 토너 화상(T)과 벨트(330)의 외표면과의 부착력이 약화될 수 있다. 인쇄 매체(P)가 제1구간(331)의 단부, 예를 들어 지지 롤러(341)에 도달되면, 인쇄 매체(P)의 강성에 의하여 인쇄 매체(P)가 벨트(3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3은 포토 피니싱부(3)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포토 피니싱부(3)는 덕트(350) 대신에 히트 싱크(380)를 채용한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포토 피니싱부(3)와 차이가 있다. 히트 싱크(380)는 벨트(330)의 내표면에 접촉되어 인쇄 매체(P)를 냉각시킬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히트 싱크(38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는 송풍기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될 수도 있다. 또한, 히트 싱크(380)는 덕트에 수용되고, 송풍기에 의하여 덕트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공급되어 히트 싱크(380)를 냉각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토너 화상(T)이 형성된 인쇄 매체(P)를 벨트(330)에 가열, 압착한 후에 냉각시키면, 인쇄 화상의 광택도가 증가되어 사진 이미지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포토 피니싱 처리 전과 후의 인쇄 화상의 광택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에서 PF1은 포토 피니싱 처리 전의 인쇄 화상의 광택도를, PF2는 포토 피니싱 처리 후의 인쇄 화상의 광택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포토 피니싱 처리 후에 인쇄 화상의 광택도가 증가된 것이 확인된다. 인쇄 화상의 광택도는 Quality Image products사의 광택도 측정 장비(모델명: GlossMaster/GlossMate 75°) 로 측정되었다.
인쇄 매체(P)로서 광택도가 높은 용지, 예를 들어 사진용지가 사용되는 경우, 인쇄 화상이 형성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광택도 차이가 작다. 인쇄 매체(P)로서 광택도가 낮은 일반 용지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인쇄된 화상의 농도에 따라서 광택도 불균일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된 화상 중에서 화상 농도(image density)가 높은 부분에는 토너가 많이 전사되므로 인쇄 매체(P)의 표면이 노출되지 않는다. 인쇄된 화상 중에서 화상 농도가 낮은 부분에는 토너가 적게 전사되므로 인쇄 매체(P)의 표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런 인쇄 화상을 포토 피니싱 처리하면, 화상 농도가 높은 부분에 비하여 화상 농도가 낮은 부분의 광택도가 낮아져서 인쇄된 화상의 광택도 불균일이 발생될 수 있다. 도 4는 일반 용지가 사용된 경우 화상 농도별로 포토 피니싱 처리 전후의 인쇄 화상의 광택도를 보여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농도가 높아질수록 포토 피니싱 처리 후의 인쇄 화상의 광택도가 높아진다. 즉, 화상 농도가 높은 부분은 포토 피니싱 처리 후에 인쇄 화상의 광택도가 크게 증가하는 반면, 화상 농도가 낮은 부분은 포토 피니싱 처리 후에도 인쇄 화상의 광택도가 거의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포토 피니싱 처리 후에 고광택 부분과 저광택 부분이 혼재하여 광택도 불균일이 발생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포터 피니싱 전에 클리어 토너 도포부(4)를 이용하여 인쇄 매체(P)에 클리어 토너(투명 토너)(CT)를 도포한다. 클리어 토너 도포부(4)는 정착부(2)와 포토 피니싱부(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클리어 토너 도포부(4)는 인쇄 매체(P)의 화상면(P1) 전체, 또는 인쇄 매체(P)의 화상면(P1) 중 토너 화상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또는 인쇄 매체(P)의 화상면(P1) 중 토너 화상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토너 화상의 농도가 낮은 부분에 클리어 토너(CT)를 도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클리어 토너 도포부(4)는 인쇄 매체(P)의 화상면(P1) 전체에 클리어 토너(CT)를 도포한다. 이 경우, 클리어 토너 도포부(4)에는 비노광형 전사사진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리어 토너 도포부(4)는 클리어 토너(CT)가 수용되는 수용부(415), 전하 수용 부재(411), 전하 수용 부재(411)에 클리어 토너(CT)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전하를 공급하는 전하 공급 부재(412), 클리어 토너(CT)를 전하 수용 부재(411)로 현상시키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며 수용부(415)에 수용된 클리어 토너(CT)를 전하 수용 부재(411)에 부착시키는 현상 부재(413), 및 클리어 토너(CT)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며 인쇄 매체(P)를 사이에 두고 전하 수용 부재(411)와 대향되어 전하 수용 부재(411)에 부착된 클리어 토너(CT)를 인쇄 매체(P)로 전사시키는 전사 부재(414)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어 토너(CT)는 클리어 토너 용기(440)로부터 수용부(415)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인쇄 매체(P)의 화상면(P1) 전체에 클리어 토너(CT)를 도포할 수 있다. 클리어 토너(CT)를 도포하면 화상면(P1)에서 인쇄 매체(P)의 표면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포토 피니싱 처리 후에 광택도 향상 및 광택도 균일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광택도의 균일성은 화상 농도와 인쇄 매체(P)의 화상면(P1)에 도포되는 클리어 토너(CT)의 양에 의존될 수 있다. 클리어 토너(CT)의 도포량이 너무 적으면 광택도 균일화 효과를 얻기 어려우므로 적절한 클리어 토너(CT) 도포량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단위 면적당의 클리어 토너(CT) 도포량을 변화시키면서 화상 농도에 따른 광택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단위 면적당의 토너 도포량(TMA, toner mass per unit area)을 각각 0.1 mg/cm2, 0.2 mg/cm2, 0.3 mg/cm2, 0.4 mg/cm2로 변화시키면서 화상 농도에 따른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포토 피니싱 처리 속도는 10mm/sec 이며, 포토 피니싱부(3)의 가열 온도는 170℃ 이다. 도 5를 보면, 인쇄 매체(P)의 화상면(P1) 전체에 TMA 0.1~0.2mg/cm2로 클리어 토너(CT)를 도포한 경우, 포토 피니싱 처리 후에도 화상 농도가 낮은 부분(토너가 적게 전사된 부분)의 광택도가 화상 농도가 높은 부분에 비하여 많이 낮아서 인쇄 화상 전체적으로 광택도 균일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인쇄 매체(P)의 화상면(P1) 전체에 TMA 0.3~0.4mg/cm2로 클리어 토너(CT)를 도포한 경우, 포토 피니싱 처리를 하면 화상 농도가 낮은 부분도 70 이상의 높은 광택도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TMA 0.4mg/cm2로 클리어 토너(CT)를 도포한 경우에는 화상 농도가 낮은 부분과 전혀 화상이 없는 부분의 광택도가 화상 농도가 높은 부분의 광택도와 거의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면(P1) 전체에 클리어 토너(CT)를 도포한 후에 포토 피니싱 처리를 하면 화상 농도가 낮은 부분과 화상이 없는 부분의 광택도가 향상되어 인쇄 화상 전체에서 광택도 편차가 줄어들어 광택도 균일성이 향상될 수 있다.
시인성 및 화상의 품질을 감안하면, 광택도 편차는 30% 이내로 관리될 필요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하면, 클리어 토너(CT)를 TMA 0.3 mg/cm2 이상 도포하면 인쇄 화상 전체적으로 광택도 편차가 30% 이내가 될 수 있다. 도 6은 클리어 토너(CT)를 TMA 0.3 mg/cm2로 도포한 경우 화상 농도에 따른 광택도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포토 피니싱 처리 속도는 30mm/sec 이며, 포토 피니싱부(3)의 가열 온도는 170℃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포토 피니칭 처리 후(PF4)에 포토 피니싱 처리 전(PF3)에 비하여 광택도가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화상 농도가 높은 부분과 화상 농도가 낮은 부분의 광택도 편차가 30% 이내가 되어 광택도 균일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리어 토너(CT)를 TMA 0.3 mg/cm2 이상으로 도포함으로써, 인쇄 화상의 광택도와 광택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진 용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가격인 일반 용지를 사용하여 사진과 같은 인쇄 화상을 얻을 수 있다.
클리어 토너 도포량은 현상 부재(413)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인쇄 매체(P)에 클리어 토너 도포부(4)를 이용하여 도포량 측정용 패치를 형성하고, 패치를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함으로써 클리어 토너 도포량을 검출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광센서일 수 있다. 광센서의 반사 광량은 클리어 토너 도포량에 의존되므로, 반사 광량으로부터 클리어 토너 도포량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도포량을 기준으로 하여 TMA 0.3 mg/cm2 이상이 되도록 현상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클리어 토너 도포부(4)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의 화상면(P1)에 클리어 토너(CT)를 도포할 수도 있다. 클리어 토너 도포부(4)의 구조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1)의 구조가 참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전하 수용 부재(411), 전하 공급 부재(412), 현상 부재(413), 전사 부재(414)는 각각 감광 드럼, 대전 롤러, 현상 롤러, 및 전사 롤러일 수 있으며,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기(420)가 더 채용될 수 있다. 대전 롤러에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감광 드럼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고, 대전된 감광 드럼의 표면에 노광기(420)를 이용하여 광을 조사하여 클리어 토너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감광 드럼과 대향된 현상 롤러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정전 잠상에 클리어 토너(CT)를 공급하여 감광 드럼의 표면에 클리어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감광 드럼과 대향되어 전사닙을 형성하는 전사 롤러에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클리어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P)의 화상면(P1)에 전사할 수 있다.
도 7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부(1)와 정착부(2)를 구비하는 본체(1000)와, 포토 피니싱부(3)와 클리어 토너 도포부(4)를 포함하는 후처리부(1001)를 포함한다. 후처리부(1001)는 본체(1000)에 착탈가능하다.
후처리부(1001)가 없는 경우, 정착부(2)를 통과한 인쇄 매체(P)는 배출 롤러(62)에 의하여 본체(1000)로부터 배출된다. 후처리부(1001)가 본체(1000)에 장착되면, 정착부(2)를 통과한 인쇄 매체(P)는 후처리부(1001)로 공급되며, 클리어 토너 도포 및 포토 피니싱 후에 후처리부(1001)로부터 배출된다.
화상형성장치는, 정착부(2)의 출구에 위치되어 인쇄 매체(P)를 후처리부(1001)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경로 선택 부재(100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경로 선택 부재(1002)는 구동 수단,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정착부(2)를 통과한 인쇄 매체(P)를 광택 처리하지 않고 바로 본체(1000)로부터 배출하는 제1위치(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정착부(2)를 통과한 인쇄 매체(P)를 후처리부(1001)로 안내하는 제2위치(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선택적인 광택 처리가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인쇄 매체(P)로서 광택도가 높은 용지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경로 선택 부재(1002)를 제1위치에 위치시켜, 정착부(2)를 통과한 인쇄 매체(P)를 광택 처리하지 않고 바로 본체(1000)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인쇄 매체(P)로서 광택도가 낮은 일반 용지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경로 선택 부재(1002)를 제2위치에 위치시켜, 정착부(2)를 통과한 인쇄 매체(P)를 후처리부(1001)로 안내할 수 있다.
도 8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부(1), 정착부(2), 포토 피니싱부(3), 및 클리어 토너 도포부(4)는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클리어 토너 도포부(4)가 인쇄 매체(P)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정착부(2)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점에서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와 차이가 있다.
클리어 토너(CT)는 중간 전사 벨트(30)를 거쳐서 인쇄 매체(P)에 전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부(1)는 감광 드럼(21) 상에 토너 화상(유색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기(20)와, 토너 화상이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중간 전사 벨트(30)와, 인쇄 매체(P)를 사이에 두고 중간 전사 벨트(30)와 대향되어 전사 닙을 형성하며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P)로 전사시키는 전사 롤러(50)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 화상과 클리어 토너 화상이 인쇄 매체(P)로 전사된 때에 클리어 토너 화상은 최외곽층 또는 최내층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간 전사 벨트(30)에서는 클리어 토너 화상이 최내층 또는 최외곽층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클리어 토너 도포부(4)는 중간 전사 벨트(30)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현상기(20)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서 중간 전사 벨트(30)에 클리어 토너를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어 토너 도포부(4)는 4개의 현상기(20C)(20M)(20Y)(20K) 중에서 중간 전사 벨트(30)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최하류측에 위치된 현상기(20K)보다 하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 매체(P) 상에서 클리어 토너는 최내층이 된다.
반대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클리어 토너 도포부(4)가 4개의 현상기(20C)(20M)(20Y)(20K) 중에서 중간 전사 벨트(30)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최상류측에 위치된 현상기(20C)보다 상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 매체(P) 상에서 클리어 토너는 최외곽층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인쇄 매체(P)의 화상면(P1)에 토너 화상(유색 토너 화상)이 형성되고 화상면(P1) 전체에 클리어 토너 화상이 형성된 상태에서, 인쇄 매체(P)가 정착부(2)를 통과하여 1차로 토너 화상과 클리어 토너 화상이 인쇄 매체(P)에 정착된다. 정착부(2)를 통과한 인쇄 매체(P)는 포토 피니싱부(3)를 통과하면서, 가열, 가압, 냉각된다. 이에 의하여, 인쇄 화상의 광택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광택도 균일성이 향상될 수 있다.
클리어 토너 도포부(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30)에 클리어 토너를 도포할 수 있으며, 비노광형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30)에 클리어 토너를 도포할 수도 있다.
클리어 토너의 도포량은 현상 부재(413)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30)에 클리어 토너 도포부(4)를 이용하여 도포량 측정용 패치를 형성하고, 패치를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함으로써 클리어 토너 도포량을 검출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광센서일 수 있다. 광센서의 반사 광량은 클리어 토너의 도포량에 의존되므로, 반사 광량으로부터 클리어 토너의 도포량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도포량을 기준으로 하여 TMA 0.3 mg/cm2 이상이 되도록 현상 부재(413)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부(1)와 클리어 토너 도포부(4)와, 정착부(2)를 구비하는 본체(1003)와, 포토 피니싱부(3)가 도시되어 있다. 포토 피니싱부(3)는 본체(1003)에 착탈가능하다.
포토 피니싱부(3)가 없는 경우, 토너 화상이 형성된 인쇄 매체(P)는 정착부(2)를 통과한 후에 광택 처리를 하지 않고 배출 롤러(62)에 의하여 본체(1003)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클리어 토너 도포부(4)는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클리어 토너 도포부(4)가 작동되어 토너 화상과 클리어 토너 화상이 형성된 인쇄 매체(P)가 정착부(2)를 통과한 후에 배출 롤러(62)에 의하여 본체(1003)로부터 배출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도, 광택도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포토 피니싱부(3)가 본체(1003)에 장착되면, 인쇄 과정에서 클리어 토너 도포부(4)가 작동된다. 클리어 토너 도포부(4)는 인쇄 매체(P)의 종류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쇄 매체(P)가 광택도가 높은 용지(예를 들어, 사진 용지)인 경우, 클리어 토너 도포부(4)는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인쇄 매체(P)가 광택도가 낮은 용지(예를 들어, 일반 용지)인 경우, 클리어 토너 도포부(4)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화상 형성부(1)와 클리어 토너 도포부(4)에 의하여 토너 화상과 클리어 토너 화상이 형성된 인쇄 매체(P)는 정착부(2)를 통과한 후에 포토 피니싱부(3)로 공급되며, 포토 피니싱 후에 포토 피니싱부(3)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정착부(2)의 출구에 위치되어 인쇄 매체(P)를 포토 피니싱부(3)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경로 선택 부재(100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경로 선택 부재(1002)는 구동 수단,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정착부(2)를 통과한 인쇄 매체(P)를 본체(1003)로부터 배출하는 제1위치(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정착부(2)를 통과한 인쇄 매체(P)를 포토 피니싱부(3)로 안내하는 제2위치(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선택적인 광택 처리가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인쇄 매체(P)로서 광택도가 높은 용지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경로 선택 부재(1002)를 제1위치에 위치시켜, 정착부(2)를 통과한 인쇄 매체(P)를 본체(1003)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인쇄 매체(P)로서 광택도가 낮은 일반 용지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경로 선택 부재(1002)를 제2위치에 위치시켜, 정착부(2)를 통과한 인쇄 매체(P)를 포토 피니싱부(3)로 안내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열과 압력에 의하여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인쇄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부;
    정착 후 상기 인쇄 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한 후 냉각하는 포토 피니싱부;
    상기 인쇄 매체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포토 피니싱부의 상류측에 위치되어 상기 인쇄 매체에 클리어 토너를 0.3mg/cm2 이상 도포하는 클리어 토너 도포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토너 도포부는 상기 인쇄 매체의 화상면 전체에 상기 클리어 토너를 도포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토너 도포부는 상기 정착부와 상기 포토 피니싱부 사이에 위치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토너 도포부는 비노광형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상기 인쇄 매체에 클리어 토너를 도포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토너 도포부는,
    클리어 토너가 수용되는 수용부;
    전하 수용 부재;
    상기 전하 수용 부재에 상기 클리어 토너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전하를 공급하는 전하 공급부재;
    상기 클리어 토너를 상기 전사 수용 부재로 현상시키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클리어 토너를 상기 전하 수용 부재에 부착시키는 현상 부재;
    상기 클리어 토너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인쇄 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하 수용 부재와 대향되어 상기 전하 수용 부재에 부착된 클리어 토너를 상기 인쇄 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와 상기 정착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포토 피니싱부와 상기 클리어 토너 도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후처리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의 출구에 위치되어 상기 인쇄 매체를 상기 후처리부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경로 선택부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토너 도포부는 상기 인쇄 매체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정착부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는 감광체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기와, 상기 토너 화상이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중간 전사 벨트와, 상기 인쇄 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중간 전사 벨트와 대향되어 전사 닙을 형성하며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인쇄 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어 토너 도포부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클리어 토너를 도포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토너 도포부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현상기의 하류측에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클리어 토너를 도포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의 출구에 위치되어 상기 인쇄 매체를 상기 포토 피니싱부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경로 선택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와 상기 클리어 토너 도포부와 상기 정착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포토 피니싱부는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13. 인쇄 매체에 유색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열과 압력에 의하여 상기 유색 토너 화상을 상기 인쇄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부;
    상기 인쇄 매체의 화상면 전체에 클리어 토너를 0.3mg/cm2 이상 도포하는 클리어 토너 도포부;
    상기 클리어 토너가 도포된 상기 인쇄 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한 후 냉각하는 포토 피니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의 출구에 위치되어 상기 인쇄 매체를 상기 클리어 토너 도포부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경로 선택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와 상기 정착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포토 피니싱부와 상기 클리어 토너 도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후처리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90046354A 2019-04-19 2019-04-19 인쇄 화상의 균일한 광택도를 구현하는 클리어 토너의 도포량을 이용한 포토 피니싱 장치 Withdrawn KR20200122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354A KR20200122929A (ko) 2019-04-19 2019-04-19 인쇄 화상의 균일한 광택도를 구현하는 클리어 토너의 도포량을 이용한 포토 피니싱 장치
PCT/US2020/016538 WO2020214228A1 (en) 2019-04-19 2020-02-04 Clear toner based photo-finishing apparatus
CN202080005843.4A CN112955823A (zh) 2019-04-19 2020-02-04 基于透明调色剂的冲印设备
US17/283,630 US11448995B2 (en) 2019-04-19 2020-02-04 Clear toner based photo-finishing apparatus to realize uniform glossiness of printed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354A KR20200122929A (ko) 2019-04-19 2019-04-19 인쇄 화상의 균일한 광택도를 구현하는 클리어 토너의 도포량을 이용한 포토 피니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929A true KR20200122929A (ko) 2020-10-28

Family

ID=72836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354A Withdrawn KR20200122929A (ko) 2019-04-19 2019-04-19 인쇄 화상의 균일한 광택도를 구현하는 클리어 토너의 도포량을 이용한 포토 피니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48995B2 (ko)
KR (1) KR20200122929A (ko)
CN (1) CN112955823A (ko)
WO (1) WO20202142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63002A (ja) * 2021-10-22 2023-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8029B2 (ja) * 2001-06-18 2006-03-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定着ユニット
JP2005049530A (ja) * 2003-07-31 2005-02-24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写真方式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並びに電子写真プリント
JP2005283653A (ja) 2004-03-26 2005-10-13 Fuji Xerox Co Ltd 透明トナー及びこれを用いた現像剤、光沢付与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845343B2 (ja) * 2004-03-26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044946B1 (ko) * 2006-12-26 201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토너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인쇄방법
KR20080060070A (ko) 2006-12-26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인쇄방법
JP4924237B2 (ja) * 2007-06-25 2012-04-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61263B2 (ja) * 2007-08-03 2013-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JP5183351B2 (ja) * 2008-08-06 2013-04-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1095727A (ja) * 2009-09-29 2011-05-1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クリアトナー、画像形成方法
US8494385B2 (en) * 2010-02-25 2013-07-2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197319A (ja) 2010-03-18 2011-10-06 Ricoh Co Ltd 画像形成システム
JP5505197B2 (ja) 2010-08-25 2014-05-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沢付与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後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
JP5906658B2 (ja) * 2011-10-20 2016-04-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55823A (zh) 2021-06-11
WO2020214228A1 (en) 2020-10-22
US11448995B2 (en) 2022-09-20
US20210349416A1 (en)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139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ir flow path therein
US6983119B2 (en) Image heating apparatus with glass selector
JP2005164721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03344B2 (ja) シート材及び画像形成装置
JP4695976B2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8262042A (ja) 画像形成装置
US7466951B2 (en) Heater assembly in a fuser with a raised resilient pad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ing device
JP702793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39956A (ja) 画像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1448995B2 (en) Clear toner based photo-finishing apparatus to realize uniform glossiness of printed image
US9645539B2 (en) Decurl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958734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21141815A1 (en) Photo-finishing apparatus
JP5893968B2 (ja) 定着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5609558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156905A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ガイド部材
JP6772613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250102969A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190209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247518B2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4271908A (ja) 定着装置
JP2024153515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070453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040340B2 (ja) 定着装置
KR20210088198A (ko) 인쇄 매체에 광택도 향상용 필름을 코팅하는 포토 피니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