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82001A -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및 그를 이용한 니트원단 - Google Patents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및 그를 이용한 니트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001A
KR20200082001A KR1020180172093A KR20180172093A KR20200082001A KR 20200082001 A KR20200082001 A KR 20200082001A KR 1020180172093 A KR1020180172093 A KR 1020180172093A KR 20180172093 A KR20180172093 A KR 20180172093A KR 20200082001 A KR20200082001 A KR 20200082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olyester
wool fibers
wool
yar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희영
나성란
신문웅
임선옥
용광중
이종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화텍스타일
재단법인 한국의류지능화연구소
나성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화텍스타일, 재단법인 한국의류지능화연구소, 나성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화텍스타일
Priority to KR1020180172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2001A/ko
Publication of KR20200082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001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8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 D10B2211/02Woo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울 섬유를 포함하는 방적사를 포함하는 심사와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효과사로 사용하고, 연사(twisting)하여 형성되어 신축성이 향상되고 슬럽 및 멜란지 투톤 효과가 부여된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및 그를 이용한 니트원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및 그를 이용한 니트원단{Elastic composite yarn comprising wool fiber, and Knitted fabric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및 그를 이용한 니트원단에 관한 것으로 울 섬유를 포함하는 방적사와 신축성 폴리에스테르계 사를 함유하면서 꼬임수 조절을 통해 신축성이 향상되고 슬럽 및 멜란지 투톤 효과가 부여된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및 그를 이용한 니트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성을 갖는 복합사는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섬유를 심사로 사용하고, 비탄성 필라멘트 사 또는 비탄성 방적사를 효과사로 사용하여 연사하거나 커버링되어 속옷, 안감, 겉감 등 다양한 의류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폴리우레탄 섬유는 탄성특성이 우수한 반면에 내염성, 내열성, 내광성이 약하고 염색이 잘되지 않아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상기와 같이 효과사를 사용하여 연사 또는 커버링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폴리우레탄 섬유는 가격이 다른 합성섬유에 비해 매우 고가로 폴리우레탄 섬유를 사용하는 의류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일본 공개특허 평6-212525호에 의하면, 폴리우레탄 섬유의 심사에 비탄성 단섬유가 피복된 피복 탄성사와 방적사 또는 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지는 비탄성사를 연합하여 얻은 복합사에 대해 개시된 것으로 이러한 복합사를 사용한 직물은 신축성은 대체로 양호하나, 폴리우레탄 섬유를 사용함에 따라 내염성, 내열성, 내광성이 약하고, 염색공정에서의 공정불량률이 높은 결점이 있다.
또한, 가을/겨울용 의류용 섬유에 많이 사용되는 울 섬유는 오르소(Ortho-) 파라-코텍스(Para-Cotex)의 단면구조에 의한 고유의 클림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소모 방적사로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우수한 방한성, 독특한 감성과 볼륨감 때문에 주로 슈트, 재킷, 드레스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울 섬유는 고가의 의류용 섬유로 울 섬유를 대신할 수 있는 울 라이크(wool-like) 합성섬유 복합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제품화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울 섬유의 고유 특성으로 재현하는 복합사는 개발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울 섬유로 의류 제조시에는 울 섬유를 100%사용하거나, 아크릴 섬유를 혼방하여 사용되어 왔으나, 종래의 울 섬유를 함유하는 복합사는 강도가 약하고 신축성이 낮아 사용에 용도가 제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울 섬유를 포함하여도 높은 신축성을 갖는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와 울 섬유를 사용하면서 꼬임수를 조절하여 신축성 및 강도가 우수한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통해 염색 시에 슬럽 및 멜란지 투톤효과가 발생되는 니트원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40~60수의 울 섬유를 포함하는 방적사를 포함하는 심사와 50~150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효과사로 사용하고, 꼬임수 2~10 TPI로 연사(twisting)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40~60수의 울 섬유를 포함하는 방적사를 포함하는 심사와 50~150데니어의 제1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와 50~150데니어의 제2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효과사로 사용하고, 꼬임수 2~10 TPI로 연사(twisting)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심사 또는 효과사에 하나 또는 2개의 기능성 폴리에스테르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폴리에스테르사는 카티온 가염성 폴리에스테르사 또는 중공 폴리에스테르사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울 섬유를 포함하는 방적사는 아크릴 섬유와 울 섬유로 형성되는 방적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효과사가 2개 사용시에 효과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원단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와 울 섬유가 포함된 방적사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꼬임수를 조절하여 신축성 및 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와 울 섬유를 사용하여 염색시 슬럽 및 멜란지 투톤 효과가 발생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통해 염색 시에 투톤효과가 발생되는 니트원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복합사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사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복합사 사진이다.
본 발명은 울 섬유를 포함하는 방적사와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포함하는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복합사는 40~60수의 울 섬유를 포함하는 방적사를 포함하는 심사와 50~150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효과사로 사용하고, 꼬임수 2~10 TPI로 연사(twisting)하여 형성된다.
상기 꼬임수가 2 TPI 미만인 경우 복합사의 물성이 저하되어 강도 및 신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꼬임수가 10 TPI를 초과하는 경우 복합사가 경직되어 촉감 및 외관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울 섬유는 의류로 사용가능한 울 섬유는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위해 워셔블(Washable) 울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울 섬유를 포함하는 방적사는 사용목적에 따라 아크릴 섬유와 울 섬유로 형성되는 방적사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는 고유점도 차이가 있거나, 용융점도 차이가 있는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인 복합섬유 형태로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는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는 효과사로 사용되는 것으로 하나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효과사에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2개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제1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와 제2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로 구분하여 효과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2개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효과사로 사용할 경우에는 섬도가 다른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사용하여 신축성 복합사의 광택과 외관에서 천연질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는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심사 또는 효과사에 하나 또는 2개의 기능성 폴리에스테르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폴리에스테르사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성을 복합사에 부여하는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갖는 기능성 폴리에스테르사가 심사 또는 효과사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일예로 카티온 가염성 폴리에스테르사 또는 중공 폴리에스테르사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일 수 있다.
상기 카티온 가염성 폴리에스테르사는 카티온 염료로 염색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사로 본 발명의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의 염색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신축성 복합사의 다양한 염색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중공 폴리에스테르사는 섬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사로 심사 또는 효과사에 사용될 경우 신축성 복합사의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량화가 향상될 것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가 더 포함될 경우 효과사 보다는 심사에 함유되어 본 발명의 신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능성 폴리에스테르사는 카티온 가염성 폴리에스테르사 또는 중공 폴리에스테르사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 이외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항균 물질, 자외선 차단 물질, 원적외선 방사 물질 등을 첨가된 기능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안티필링(Anti pilling)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울 섬유를 포함하는 방적사를 포함하는 심사와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효과사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는 꼬임수 2~10 TPI로 연사(twisting)하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는 복합 커버링 연사기를 이용하여 심사와 효과사 또는 심사와 제1 효과사, 제2 효과사를 MH, MX방식으로 연사하여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효과사가 2개 사용시에 효과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사되는 MX방식으로 연사하여 신축성 복합사의 신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는 울 섬유의 보온성과 천연질감을 위해 30~8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합사에 함유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사는 복합사의 물성을 위해 30~6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가을/겨울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신축성 복합사의 섬도를 5~20번수로 조절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는 신도가 1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이상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는 울 섬유와 폴리에스테르계 사가 혼합된 복합사로 염색성의 차이로 염색 시에 슬럽 및 멜란지 투톤 효과가 발생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천연섬유로 형성된 실과 같은 외관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포함하는 니트원단은 꼬임수 및 염색성의 차이로 멜란지 효과가 있으며, 울 섬유와 폴리에스테르계 사의 혼용 사용으로 세탁치수변화율이 매우 낮고, 뒤틀림 현상이 억제되어 우수한 형태안정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울 100%로 형성되는 48's 울방적사, 50D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심사로, 75D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효과사로 사용하였으며, 복합 커버링 연사기를 사용하여 꼬임수 약 5 TPI, MH방식으로 연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울 100%로 형성되는 48's 울방적사를 심사로, 50D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 및 75D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효과사로 사용하였으며, 복합 커버링 연사기를 사용하여 꼬임수 약 5 TPI, MX방식으로 연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울 100%로 형성되는 60's 울방적사, 65D 폴리에스테르계 중공사, 75D 폴리에스테르계 카티온가염사를 심사로, 50D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효과사로 사용하였으며, 복합 커버링 연사기를 사용하여 꼬임수 약 6 TPI, MH방식으로 연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울 100%로 형성되는 60's 울방적사, 65D 폴리에스테르계 중공사를 심사로, 50D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 75D 폴리에스테르계 카티온가염사를 효과사로 사용하였으며, 복합 커버링 연사기를 사용하여 꼬임수 약 6 TPI, MX방식으로 연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 신축성 복합사의 물성 측정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4의 신축성 복합사를 표준상태(20℃/65%)에서 24시간 이상 방치 후 표준상태에서 번수, 강도, 신도, 및 꼬임수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번수는 KS K ISO 2060, 강도 및 신도는 KS K ISO 2062의 시험규격으로 측정하였다.
구분 번수(Ne) 강도(cN/tex) 신도(%)
실시예 1 16.1 16 21
실시예 2 16.3 16 21
실시예 3 10.6 17 24
실시예 4 10.7 17 24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는 모두 신도가 20%이상이고, 강도가 16cN/tex 이상으로 강도와 신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 염색 및 원단 물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분산염료로 각각 염색하여 도 1,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은 도 1의 왼쪽, 실시예 2는 도 1의 오른쪽이며, 실시예 3은 도 2의 왼쪽, 실시예 4는 도 2의 오른쪽으로 본 발명의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는 염색시 투톤효과가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편직하여 니트원단으로 제조 후 세탁치수변화율(%) 및 뒤틀림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로 울 100%로 형성되는 20's 울방적사로 제조된 니트원단을 사용하였다.
세탁 치수변화율은 KS K ISO 5077, 뒤틀림은 KS K ISO 16322-2의 시험규격으로 측정하였다.
구분 세탁치수변화율(%) 뒤틀림(%)
웨일 코스
실시예1 -0.5 -0.5 0
실시예2 -0.5 0.5 0
실시예3 -1.0 -1.0 0
실시예4 -0.5 -1.0 0
비교예 -9.5 -8.5 4.3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는 세탁에 따른 치수변화율이 실시예 1 내지 4 모두 1%이하로 비교예 보다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뒤틀림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로 니트원단을 제조시에 형태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잇을 것이다.

Claims (7)

  1. 40~60수의 울 섬유를 포함하는 방적사를 포함하는 심사와 50~150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효과사로 사용하고, 꼬임수 2~10 TPI로 연사(twisting)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2. 40~60수의 울 섬유를 포함하는 방적사를 포함하는 심사와 50~150데니어의 제1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와 50~150데니어의 제2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효과사로 사용하고, 꼬임수 2~10 TPI로 연사(twisting)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사 또는 효과사에 하나 또는 2개의 기능성 폴리에스테르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폴리에스테르사는 카티온 가염성 폴리에스테르사 또는 중공 폴리에스테르사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울 섬유를 포함하는 방적사는 아크릴 섬유와 울 섬유로 형성되는 방적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사가 2개 사용시에 효과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원단.
KR1020180172093A 2018-12-28 2018-12-28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및 그를 이용한 니트원단 Withdrawn KR20200082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093A KR20200082001A (ko) 2018-12-28 2018-12-28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및 그를 이용한 니트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093A KR20200082001A (ko) 2018-12-28 2018-12-28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및 그를 이용한 니트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001A true KR20200082001A (ko) 2020-07-08

Family

ID=7160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093A Withdrawn KR20200082001A (ko) 2018-12-28 2018-12-28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및 그를 이용한 니트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20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831B1 (ko) 2021-05-17 2021-07-29 (주)마이라텍스 울 소재 합연사를 이용한 의류용 또는 아웃도어 의류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원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831B1 (ko) 2021-05-17 2021-07-29 (주)마이라텍스 울 소재 합연사를 이용한 의류용 또는 아웃도어 의류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1637B1 (ja) 柄を有するアウター衣料用編地
TW202124799A (zh) 一種複合紗線及由其製得的面料
KR101336632B1 (ko) 인장강도가 우수한 한지사/합성섬유 커버링사
KR100759478B1 (ko) 실크 커버링 복합사
KR100860266B1 (ko) 멜란지형 외관이 우수한 초극세 섬유포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초극세 섬유포 및 그의 용도
KR100811065B1 (ko)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dty를 이용한 고신축성 코어방적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코어 방적사를 이용한편직물
KR20200082001A (ko) 울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및 그를 이용한 니트원단
US2936569A (en) Composite stretch yarn and fabric and processes of producing same
KR102099141B1 (ko) 신도가 우수한 팬티용 신축성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남성용 팬티
KR102254463B1 (ko) 고감성 린넨 라이크 신축성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1339805B1 (ko) 스날지수가 낮은 한지사/합성섬유 더블커버링사
JP2016113714A (ja) 仮撚中空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及び織編物
KR100952467B1 (ko) 편평단면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2441B1 (ko) 다기능성 장단 복합사
KR20230161247A (ko) 직물 제직방법
KR101402257B1 (ko) 직물용 실 및 이를 이용하여 제직된 직물
KR20120022153A (ko) 고신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1905047B1 (ko) 경편에 적합한 천연복합 사이로-컴팩트 방적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편물
KR101949264B1 (ko) 셀룰로오스계 사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KR102016130B1 (ko) 셀룰로오스계 사를 포함하는 신축성 원단
KR102160649B1 (ko) 감성적 및 기능적 특성이 우수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433503B1 (ko) 중공사가 혼합된 염반 방적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9595A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 가연사
JP6234771B2 (ja) 杢調布帛の製造方法
KR101555098B1 (ko)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