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63988A - 피곤포체 및 곤포체 - Google Patents

피곤포체 및 곤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988A
KR20200063988A KR1020190151856A KR20190151856A KR20200063988A KR 20200063988 A KR20200063988 A KR 20200063988A KR 1020190151856 A KR1020190151856 A KR 1020190151856A KR 20190151856 A KR20190151856 A KR 20190151856A KR 20200063988 A KR20200063988 A KR 20200063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otective
tired
laminate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스케 후지이
후미노리 고토
고우이치 모로하시
도루 엔도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63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988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ackag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피곤포체(1)는 판상 기체(21) 및 당해 판상 기체(21)의 제1, 제2 주면(21A, 21B)에 배치된 제1, 제2 보호 필름(22, 23)을 갖는 적층체(2)와, 적층체(2)를 제1, 제2 주면(21A, 21B)의 양측으로부터 집도록 배치된 한 쌍의 보호판(4)을 구비하고, 제1, 제2 보호 필름(22, 23)의 적어도 일부의 외측 테두리는, 판상 기체(21)의 외측 테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한 쌍의 보호판(4)의 외측 테두리 전체는, 적층체(2)의 외측 테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피곤포체 및 곤포체{BODY TO BE PACKED AND PACKAGE}
본 발명은, 피곤포체 및 곤포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직사각형의 유리판의 주면 상에, 보호 필름을 적층한 적층체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적층체의 보호 필름은, 유리판의 평면으로 볼 때, 유리판이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변과 겹치거나 또는 당해 제1 변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단부 테두리와, 유리판이 대향하는 다른 한 쌍의 제2 변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단부 테두리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상술한 보호 필름을 유리판의 양쪽의 주면 상에 마련하여, 제2 단부 테두리를 포함하는 단부 영역끼리를 점착시켜도 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17-17137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와 같이 제2 단부 테두리를 포함하는 단부 영역끼리를 점착시켜도, 유리판의 제1 변을 구성하는 단부면은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적층체를 비닐 봉투에 넣고 곤포한 경우, 곤포 중이나 반송 중에, 단부면과 비닐 봉투의 마찰에 의해 발생한 파티클이 단부면에 부착되어, 후속 공정에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판상 기체에 대한 파티클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피곤포체 및 곤포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피곤포체는, 수용 부재 내에 수용되는 피곤포체이며, 판상 기체 및 당해 판상 기체의 한 쌍의 주면 중 적어도 한쪽 주면 상에 배치된 보호 필름을 갖는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를 상기 한 쌍의 주면의 양측으로부터 집도록 배치된 한 쌍의 보호판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 필름의 적어도 일부의 외측 테두리는, 상기 판상 기체의 외측 테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보호판의 외측 테두리 전체는, 상기 적층체의 외측 테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한쪽 주면에 보호 필름이 배치된 판상 기체를 갖는 적층체를 한 쌍의 보호판으로 집고, 당해 한 쌍의 보호판의 외측 테두리 전체를 적층체의 외측 테두리보다 외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피곤포체가 수용 부재에 수용되었을 때, 수용 부재가 주머니체인 경우에는, 당해 주머니체가 한 쌍의 보호판의 외측 테두리끼리를 건너지르도록 배치되게 되고, 수용 부재가 상자체인 경우에는, 상자체의 내주면이 보호판의 외측 테두리끼리를 연결하는 직선상 혹은 보호판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거의 직선상으로 되어, 수용 부재의 내주면과 보호 필름의 외측 테두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부재와 보호 필름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고, 당해 마찰에 기인하는 파티클이 판상 기체에 부착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곤포체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에 대하여 상기 한 쌍의 보호판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서는, 피곤포체의 반송 시에 있어서 보호판에 대한 적층체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곤포체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적층체 및 상기 한 쌍의 보호판에 감아 조여진 띠상 또는 끈상 또는 환상의 감아 조임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서는, 띠상 또는 끈상 또는 환상의 감아 조임 부재를 적층체 및 한 쌍의 보호판에 감아 조이는 것뿐인 간단한 방법으로, 양자의 고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띠상 또는 끈상의 감아 조임 부재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양단 부분의 고정은, 감아 조임 부재의 양단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것, 버클에 의한 고정, 접착, 융착 등, 감아 조임 부재의 형상이나 재질에 의해 적절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곤포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호판 중 적어도 한쪽의 보호판은, 상기 감아 조임 부재의 감아 조이는 힘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서는, 보호판이 판상 기체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휘어져, 보호판에 대한 판상 기체의 면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곤포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쪽의 보호판은, 골함석상의 중간 코어와, 상기 중간 코어의 적어도 한쪽 면에 마련된 라이너를 구비하는 골판지 구조를 갖고, 상기 감아 조임 부재는, 그의 길이 방향과 상기 중간 코어의 능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 이상 30° 이하가 되도록 감아 조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서는, 보호판이 중간 코어의 능선을 따라 굴곡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보호판의 파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곤포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쪽의 보호판은, 골함석상의 중간 코어와, 상기 중간 코어의 적어도 한쪽 면에 마련된 라이너를 구비하는 골판지 구조를 갖고, 상기 적층체 및 상기 한 쌍의 보호판에는, 제1 감아 조임 부재 및 제2 감아 조임 부재가 감아 조여지고, 상기 제1 감아 조임 부재는, 그의 길이 방향과 상기 중간 코어의 능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 이상 30° 이하가 되도록 감아 조여지고, 상기 제2 감아 조임 부재는, 그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1 감아 조임 부재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50° 이상 90° 이하가 되도록 감아 조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서는, 제1 감아 조임 부재에 의해, 보호판이 중간 코어의 능선과 교차하는 선을 따라 조금 휘기 때문에, 그의 길이 방향과 제1 감아 조임 부재가 이루는 각도가 50° 이상 90° 이하가 되도록 제2 감아 조임 부재를 감아 조였다고 해도, 그 기하학적 강성 효과에 의해, 보호판이 중간 코어의 능선을 따라 굴곡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보호판의 파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곤포체에 있어서, 상기 판상 기체의 주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한 쌍의 보호판의 코너부는, 둔각 또는 곡선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서는, 피곤포체가 수용 부재에 수용되었을 때, 보호판의 코너부가 수용 부재를 흠집내거나 절단되게 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곤포체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와 상기 한 쌍의 보호판 사이에 마련된 접촉 억제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서는, 예를 들어 피곤포체의 반송 시에, 판상 기체의 보호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보호판에 충돌되어, 판상 기체가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피곤포체에 있어서, 상기 접촉 억제 부재는, 당해 접촉 억제 부재에 접촉하고 있는 부재간의 미끄럼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적층체 사이에는, 상기 접촉 억제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서는, 예를 들어 피곤포체의 반송 시에, 적층체와 보호판 사이나 적층체간에서의 미끄럼을 억제할 수 있어, 판상 기체가 다른 부재에 충돌해서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피곤포체에 있어서, 상기 판상 기체의 양 주면 상에 각각 보호 필름이 배치되고, 한쪽의 상기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판상 기체의 외측 테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단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다른 쪽의 상기 보호 필름의 단부 영역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있어서의 적층체는, 보호 필름에 의해 판상 기체의 양 주면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한쪽의 보호 필름의 적어도 일부의 단부 영역이 다른 쪽의 보호 필름의 단부 영역과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접촉하고 있지 않은 단부 영역을 파지해서 보호 필름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피곤포체는, 이러한 효과를 발휘하는 적층체이면서도, 수용 부재와 보호 필름의 마찰을 억제할 수 있어, 파티클이 판상 기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곤포체에 있어서, 상기 판상 기체는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서는, 높은 강도와 양호한 질감을 겸비하면서도, 취성이 있는 유리를 확실하게 곤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곤포체에 있어서, 상기 유리는 강화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서는, 높은 강도와 양호한 질감을 겸비하면서도, 취성이 있는 유리를 확실하게 곤포할 수 있다. 또한, 압축 응력층을 초과하는 크랙은 강화 유리의 강도 저하에 영향을 끼치지만, 그러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곤포체는, 전술한 피곤포체와,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서는, 적층체가 외부 분위기에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피곤포체를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곤포체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수지제의 주머니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서는, 곤포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피곤포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피곤포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다른 피곤포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피곤포체를 구비하는 곤포체에 있어서의 도 2의 IV-IV선을 따르는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피곤포체를 구비하는 곤포체에 있어서의 도 2의 V-V선을 따르는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피곤포체를 구비하는 곤포체에 있어서의 도 3의 VI-VI선을 따르는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피곤포체를 구비하는 곤포체에 있어서의 도 3의 VII-VII선을 따르는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피곤포체의 일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피곤포체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동 내성 평가 방법을 도시하는 모식도다.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피곤포체〕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곤포체(1)는, 복수 적층된 적층체(2)와, 복수의 접촉 억제 부재(3)와, 한 쌍의 보호판(4)과, 한 쌍의 고정 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적층체(2)는, 제1 주면(21A) 및 제2 주면(21B) 및 단부면(21C)을 갖는 판상 기체(21)와, 제1 주면(21A)에 배치된 제1 보호 필름(22)과, 제2 주면(21B)에 배치된 제2 보호 필름(23)을 구비하고 있다.
판상 기체(21)의 두께는, 0.5㎜ 이상 2.5㎜ 이하가 바람직하다. 판상 기체(21)는, 높은 강도와 양호한 질감을 겸비하면서도, 취성이 있는 유리가 바람직하다. 판상 기체(21)가 유리인 경우, 강도와 내찰상성이 우수한 강화 유리가 바람직하다.
판상 기체(21)의 제1 주면(21A)에는, 도시하지 않은 반사 방지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은, 제1 주면(21A) 전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상 기체(21)의 제1 주면(21A)에는, 반사 방지층을 끼우거나 또는 끼우지 않고, 도시하지 않은 방오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오층은, 제1 주면(21A) 전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주면(21A)에, 반사 방지층 및 방오층 중 적어도 한쪽에 추가로 또는 반사 방지층 및 방오층 대신에 방현 처리층, 방담층 등의 기능층을 마련해도 된다.
판상 기체(21)의 제2 주면(21B)에는, 도시하지 않은 인쇄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층은, 판상 기체(21)가 표시 패널의 커버 유리로서 사용되는 경우, 제2 주면(21B)의 외측 테두리를 포함하는 소정 폭의 프레임상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층은, 판상 기체(21)가 마련되는 표시 패널의 배선을 은폐하는 은폐층이어도 되고, 판상 기체(21)의 의장성을 높이는 장식층이어도 된다.
판상 기체(21)의 단부면(21C)은 모따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2 보호 필름(22, 23)은, 적어도 일부의 외측 테두리가 판상 기체(21)의 외측 테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보호 필름(22)은, 제1 필름 기체(22A)와, 당해 제1 필름 기체(22A)의 한 면에 마련된 제1 점착층(22B)과, 탭(22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필름 기체(22A)는, 판상 기체(21)의 제1 주면(21A)보다 작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탭(22C)은, 그 일부가 제1 필름 기체(22A)의 면 내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이 제1 필름 기체(22A)의 일 측연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1 필름 기체(22A)로부터의 탭(22C)의 돌출 길이는, 0.2㎜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상 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 있으면, 탭(22C)이 제2 보호 필름(23)과 접촉하지 않고, 또한 탭(22C)을 파지해서 용이하게 제1 필름 기체(22A)를 박리할 수 있다. 탭(22C)은,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점착층을 개재하여, 제1 필름 기체(22A)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탭(22C)부와 제1 필름 기체(22A)를 합친 외형의 1매의 필름 기체를 사용해도 된다.
제2 보호 필름(23)은, 제2 필름 기체(23A)와, 당해 제2 필름 기체(23A)의 한 면에 마련된 제2 점착층(23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필름 기체(23A)는, 판상 기체(21)의 제2 주면(21B)보다 큰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보호 필름(22)은, 제1 필름 기체(22A)의 외측 테두리 전체가 판상 기체(21)의 외측 테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탭(22C)의 일부가 판상 기체(21)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필름 기체(22A)의 외측 테두리가 판상 기체(21)의 외측 테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개소에서는, 판상 기체(21)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제1 필름 기체(22A)의 외측 테두리까지의 거리는, 3㎜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3㎜를 초과하면 면 내에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제2 보호 필름(23)은, 제2 필름 기체(23A)의 외측 테두리 전체가 판상 기체(21)의 외측 테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제2 보호 필름(22, 23)은, 한쪽의 보호 필름의 적어도 일부의 단부 영역이 다른 쪽의 보호 필름의 단부 영역과 접촉하고 있지 않고, 단부면(21C)을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2 필름 기체(22A, 23A)는, 재료의 입수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PET 또는 P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필름 기체(22A)와 제2 필름 기체(23A)의 정지 마찰 계수는, 적층된 한쪽의 적층체(2)에 대한 다른 쪽의 적층체(2)의 미끄럼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0.05 이상 0.15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1, 제2 점착층(22B, 23B)의 주성분은, 접착성이나 박리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제1, 제2 보호 필름(22, 23)과 제1, 제2 주면(21A, 21B) 사이의 기포의 발생이 억제된다고 하는 관점에서,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제2 보호 필름(22, 23)은, 형상이나 재질이 동일한 구성이어도 되고,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제2 보호 필름(22, 23)의 형상이 다른 구성은, 첩부하는 면을 착각할 가능성이 적어진다고 하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접촉 억제 부재(3)는, 복수 적층된 적층체(2)를 끼워 넣도록 배치되어 있다. 접촉 억제 부재(3)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 억제 부재(3)는, 그 외측 테두리 전체가, 적층체(2)의 외측 테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억제 부재(3)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보호판(4)에 대한 적층체(2)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접촉 억제 부재(3)로서는, 고발포 폴리에틸렌 시트인 미라매트(가부시키가이샤 JSP사제(등록상표)), 합지(나가라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제 키라리(등록상표)), 발포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접촉 억제 부재(3)는, 적층체(2)끼리의 접촉을 억제할 목적으로, 적층체(2)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 억제 부재(3)는, 미끄럼 억제의 효과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관점에서는 고발포 폴리에틸렌 시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 억제 부재(3)는, 제1, 제2 보호 필름(22, 23)과 마찬가지 재료로부터 제작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접촉 억제 부재(3)는, PET 또는 PE를 포함하는 필름과, 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보호판(4)은, 복수 적층된 적층체(2)를 접촉 억제 부재(3)를 사이에 두고 끼워 넣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호판(4)은, 평면으로 볼 때 사각형 판상의 네 코너가 절결된 팔각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호판(4)의 8개의 코너부의 각도는, 둔각(135°)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보호판(4)은, 그 외측 테두리 전체가, 적층체(2)의 외측 테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크기를 갖고 있다. 보호판(4)은, 평면으로 볼 때 그 중심이 제1, 제2 필름 기체(22A, 23A)의 중심과 겹치도록 배치되었을 때, 당해 보호판(4)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탭(22C)의 돌출 선단까지의 거리 및 당해 보호판(4)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제2 필름 기체(23A)의 외측 테두리까지의 거리가, 5㎜ 이상 5㎝ 이하로 되는 크기가 바람직하다. 5㎜ 미만이면, 보호판(4)과 적층체(2)의 중심 위치의 어긋남에 의해 적층체(2)가 보호판(4)으로부터 비어져 나와버릴 가능성이 커진다. 5㎝를 초과하면, 보호판(4)만의 부분이 외부로부터의 의도치 않은 하중에 의해 굴곡되어버릴 가능성이 있고, 또한 필요로 하는 보호 주머니나 곤포가 불필요하게 커져버린다. 보호판(4)은, 상기 사각형 판상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변에 상당하는 한 쌍의 제1 측변부(4A)와, 당해 한 쌍의 제1 측변부(4A)와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측변부(4B)를 구비하고 있다.
보호판(4)은, 고정 부재(5)가 당해 보호판(4), 적층체(2) 및 접촉 억제 부재(3)에 감아 조여졌을 때, 변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변형된다고 하는 관점에서, 보호판(4)의 굽힘 탄성률은, 5N/㎝ 이상 500N/㎝ 이하가 바람직하다. 방향에 따라 굽힘 탄성률에 차가 있는 경우에는, 큰 쪽의 굽힘 탄성률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보호판(4)의 두께는, 2㎜ 이상 5㎜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보호판(4)은, 골함석상의 중간 코어(41)와, 중간 코어(41)의 적어도 양면에 마련된 라이너(42)를 구비하는 골판지 구조를 갖고 있다. 골판지 구조를 갖는 보호판(4)은, 수지성이어도 되고 종이제여도 되지만, 내구성의 관점에서 수지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판(4)을 적층체(2) 사이에 배치해도 된다.
고정 부재(5)는, 적층체(2)에 대하여 한 쌍의 보호판(4)을 고정한다. 고정 부재(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감아 조임 부재로서의 제1 고무 밴드(5A)와, 제2 감아 조임 부재로서의 제2 고무 밴드(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5)는, 감아 조이는 힘을 갖는 부재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부(51)와 버클(52)을 갖는 감아 조임 부재로서의 체결 밴드(50) 등이어도 되고, 밴드부(51)를 용착해서 고정해도 된다. 밴드부(51)의 재질이나 폭 혹은 두께, 버클(52)의 재질 혹은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층체(2)의 크기나 중량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밴드부(51)로서는, PP 밴드 등의 수지성의 것, 포성(布性)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적층체(2), 접촉 억제 부재(3), 보호판(4) 및 고정 부재(5)를 사용하여, 피곤포체(1)는 이하와 같이 제조된다.
또한, 이하의 작업은, 그 전체를 장치가 행해도 되고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행해도 되고, 일부를 장치 또는 작업자가 행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작업을 동시에 행해도 된다.
먼저, 보호판(4) 상에 접촉 억제 부재(3)를 적재한다. 접촉 억제 부재(3)는, 그 중심이 보호판(4)의 중심과 겹치고, 그 외측 테두리 전체가 보호판(4)의 외측 테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적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 억제 부재(3) 상에 적층체(2) 및 접촉 억제 부재(3)를 이 순서로 복수 적재한다. 이때, 적층체(2)의 외측 테두리 전체가 보호판(4)의 외측 테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적층체(2)를 적재한다. 또한, 적층체(2) 및 접촉 억제 부재(3)는, 그 중심이 보호판(4)의 중심과 겹치도록 적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체(2)의 개수나 중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피곤포체(1)를 판상 기체(21)의 면 방향으로 반송해서 정지시켰을 때의 관성력이나, 피곤포체(1)를 세로 배치했을 때(판상 기체(21)의 면 방향이 연직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두었을 때)의 중력에 의해, 적층체(2)가 보호판(4)에 대하여 위치 어긋나지 않거나, 위치 어긋나더라도 제2 보호 필름(23)의 외측 테두리 전체가 보호판(4)의 외측 테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장 위의 접촉 억제 부재(3) 상에 보호판(4)을 적재한다. 이때, 상측의 보호판(4)의 중간 코어(41)의 능선(41A)을 따르는 방향(이하, 능선 방향이라고 한다)이 하측의 보호판(4)의 능선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보호판(4)을 접촉 억제 부재(3) 상에 적재한다. 또한, 보호판(4)은, 당해 적층체(2)의 하측에 위치하는 보호판(4)과 평면으로 볼 때 겹치도록 적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1, 제2 고무 밴드(5A, 5B)를 적층체(2), 접촉 억제 부재(3), 보호판(4)에 걸어 감는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제1 고무 밴드(5A)의 길이 방향과 능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 θ1이 0° 이상 30° 이하가 되도록, 제1 고무 밴드(5A)를 걸어 감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고무 밴드(5A)의 길이 방향이 보호판(4)의 단변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즉 θ1이 0°가 되도록, 제1 고무 밴드(5A)를 보호판(4)의 장변의 중심부에 걸어 감는다. 또한, 제1 고무 밴드(5A)의 길이 방향과 제2 고무 밴드(5B)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 θ2가 50° 이상 90° 이하가 되도록, 제2 고무 밴드(5B)를 걸어 감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고무 밴드(5B)의 길이 방향이 보호판(4)의 장변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즉 θ2가 90°가 되도록, 제2 고무 밴드(5B)를 보호판(4)의 단변의 중심부에 걸어 감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어 감긴 제1, 제2 고무 밴드(5A, 5B)의 합계 장력은, 10N 이상 80N 이하가 바람직하다.
10N 미만인 경우, 고정력이 부족하여 적층체(2)가 어긋나버린다. 80N을 초과하는 경우, 보호판(4)이 굴곡지거나, 보호판(4)과 제1, 제2 고무 밴드(5A, 5B)가 강하게 접촉하여, 보호판(4)이 파손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제1, 제2 고무 밴드(5A, 5B)의 합계 장력은, 15N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0N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제2 고무 밴드(5A, 5B)의 합계 장력은, 60N 이하가 바람직하고, 50N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무 밴드(5A)에 의해, 보호판(4)에 있어서의 판상 기체(21)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중간 코어(41)의 능선(41A)과 교차하는 선을 따라 조금 휘어진다. 이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과 능선(41A)이 이루는 각도가 90°가 되도록 제2 고무 밴드(5B)를 걸어 감았다 하더라도, 그 기하학적 강성 효과에 의해, 보호판(4)에 있어서의 판상 기체(21)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능선(41A)을 따라 크게 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작업에 의해, 피곤포체(1)의 제조가 종료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 밴드(50)를 사용하는 경우, 먼저, 2개의 체결 밴드(50)의 밴드부(51)를 작업대에 소정 간격 이격되며 또한 평행해지도록 적재하고, 그 위에 보호판(4)을 적재한다. 이때, 제1 고무 밴드(5A)와 마찬가지로, 능선 방향과 밴드부(51)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 이상 30° 이하가 되도록 적재한다.
그 후, 제1, 제2 고무 밴드(5A, 5B)를 사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적층체(2), 접촉 억제 부재(3), 보호판(4)을 적재하고, 밴드부(51)를 적층체(2), 접촉 억제 부재(3), 보호판(4)에 걸어 감고, 그 양 끝을 버클(52)을 사용해서 고정한다. 그 후, 밴드부(51)에 있어서의 버클(52)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측의 단부(51A)를, 도 3에 있어서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인장하는 것으로 밴드부(51)를 체결한다. 밴드부(51)의 합계 장력은, 10N 이상 80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밴드부(51)가 접촉하고 있지 않은 보호판(4)의 제1 측변부(4A)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측변부(4A)가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접촉 억제 부재(3) 및 제2 보호 필름(23)에 있어서의 당해 제1 측변부(4A) 측의 부분도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한편, 밴드부(51)가 접촉하고 있는 보호판(4)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밴드부(51)의 감아 조이는 힘에 의해 중간 코어(41)의 능선(41A)과 교차하는 선을 따라 조금 휜다. 이 제2 측변부(4B)의 휨에 의해, 접촉 억제 부재(3) 및 제2 보호 필름(23)에 있어서의 당해 제2 측변부(4B)측의 부분은 판상 기체(21)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조금 휜다.
〔곤포체〕
이어서, 상술한 피곤포체(1)를 갖는 곤포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곤포체(10)는, 도 4 및 도 5, 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곤포체(1)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로서의 주머니체(11)와, 이 주머니체(11)를 수용하는 사각 상자 형상의 상자체(12)와, 주머니체(11)와 상자체(12) 사이에 마련된 완충재(13)를 구비하고 있다.
주머니체(11)는, 예를 들어 투명한 혹은 착색된 비닐 봉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주머니체(11)로서는, 가젯 주머니를 예시할 수 있다.
상자체(12)는, 예를 들어 종이 골판지에 의해 구성되어, 상면이 개구한 본체(12A)와, 상면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덮개(12B)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12B)의 고정은, 점착 테이프나 밴드에 의해 행해도 된다. 또한, 상자체(12)는, 수지제여도 된다.
또한, 완충재(13)는 없어도 된다.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판상 기체(21)의 제1, 제2 주면(21A, 21B)에 제1, 제2 보호 필름(22, 23)이 배치된 적층체(2)를 한 쌍의 보호판(4)으로 집고, 당해 한 쌍의 보호판(4)의 외측 테두리 전체를 적층체(2)의 외측 테두리보다 외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피곤포체(1)가 주머니체(11)에 수용되었을 때, 주머니체(11)가 한 쌍의 보호판(4)의 외측 테두리끼리를 건너지르도록 배치되게 되어, 주머니체(11)와 제1, 제2 보호 필름(22, 23)의 외측 테두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주머니체(11)와 제1, 제2 보호 필름(22, 23)의 마찰을 억제할 수 있어, 당해 마찰에 기인하는 파티클이 판상 기체(21)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부재(5)에 의해 보호판(4)을 적층체(2)에 대하여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피곤포체(1)의 반송 시에 보호판(4)에 대한 적층체(2)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고정 부재(5)로서 제1, 제2 고무 밴드(5A, 5B)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제2 고무 밴드(5A, 5B)를 적층체(2) 및 보호판(4)에 걸어 감는 것뿐인 간단한 방법으로 양자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제2 고무 밴드(5A, 5B)의 감아 조이는 힘에 의해 제2 보호 필름(23), 접촉 억제 부재(3), 보호판(4)의 단부를 판상 기체(21)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휘어지기 하기 때문에, 당해 휨에 의해 적층체(2)의 도 4, 도 5, 도 7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체결 밴드(50)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보호판(4)의 중간 코어(41)의 능선 방향과 밴드부(51)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0°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보호판(4)의 제2 측변부(4B)가 능선(41A)과 직교하는 선을 따라 휘어지게 한다. 따라서, 보호판(4)의 제1 측변부(4A)를 능선(41A)을 따라 휘어지게 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호판(4)의 파단을 억제할 수 있다.
보호판(4)의 코너부를 평면으로 볼 때 둔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보호판(4)의 코너부가 주머니체(11)를 흠집내거나 절단되게 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적층체(2)와 보호판(4) 사이나 적층체(2)간에 접촉 억제 부재(3)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피곤포체(1)의 반송 중이나 세로 배치 시에, 적층체(2)가 보호판(4)이나 다른 적층체(2)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주머니체(11)와 제1, 제2 보호 필름(22, 23)의 마찰에 의해 발생한 파티클이 판상 기체(21)에 부착되거나, 판상 기체(21)가 바닥 등에 충돌해서 파손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보호 필름(22)의 적어도 일부의 단부 영역을, 제2 보호 필름(23)의 단부 영역과 접촉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탭(22C)이나 제2 보호 필름(23)에 있어서의 판상 기체(21)의 외측 테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파지하여, 제1, 제2 보호 필름(22, 23)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효과를 발휘하는 적층체(2)이면서도, 주머니체(11)와 제1, 제2 보호 필름(22, 23)의 마찰을 억제할 수 있어, 파티클이 판상 기체(21)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개량 및 설계의 변경 등을 할 수 있고, 그 외, 본 발명의 실시 시의 구체적인 수순 및 구조 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변경해도 된다.
〔피곤포체의 변형예〕
예를 들어, 적층체(2)는, 판상 기체(21)의 편면에만 제1 보호 필름(22) 또는 제2 보호 필름(23)이 배치된 구성이어도 되고, 판상 기체(21)의 양면에 제1 보호 필름(22) 또는 제2 보호 필름(23)만이 배치된 구성이어도 된다.
본 변형예 또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피곤포체를 구성하는 적층체(2)는 하나여도 된다.
접촉 억제 부재(3)는, 상측의 적층체(2)와 보호판(4) 사이, 또는 하측의 적층체(2)와 보호판(4) 사이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전혀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접촉 억제 부재(3)는, 판상 기체(21)와 판상 기체(21) 사이, 제1 보호 필름(22) 또는 제2 보호 필름(23)과 판상 기체(21)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보호판(4)의 코너부는, 평면으로 볼 때 곡선상이어도 되고, 둔각이면 보호판(4)의 전체 형상이 팔각형이 아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보호판(4)의 코너부가 주머니체(11)를 흠집내거나 절단되게 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보호판(4)의 코너부는 평면으로 볼 때 직각이나 예각이어도 되고, 이 경우, 보호판(4)에 접촉하는 수용 부재는, 당해 접촉에 의해 흠집내거나 절단되게 하거나 하지 않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보호판(4) 중 적어도 한쪽의 보호판(4)은, 변형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골판지 구조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보호판(4)은, 그 능선 방향과 밴드부(51)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가 되도록, 위치 결정되어도 되고, 이 경우, 당해 보호판(4)이 능선 방향을 따라서 휘었을 때, 파단하지 않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상 기체(21)가 구부러져 있는 경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판(4)은, 적층체(2)의 형상을 따라 구부러진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판상 기체(21)의 어긋남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보호판(4)은, 예를 들어 발포 수지 시트를 성형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보호판(4)의 단부는, 절곡 가능해도 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판(4)의 단부가 절곡되어 있는 것으로, 판상 기체(21)와 주머니체(11)의 접촉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판상 기체(21)를 적재할 때는, 보호판(4)의 단부를 절곡하지 않고, 판상 기체(21)를 적재한 후에, 보호판(4)의 단부를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상 기체(21)를 적재할 때, 적층체(2)의 측면부를 유지하면, 보호 필름(22)의 컬링 또는 마찰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적층체(2)의 주면을 흡착 또는 끼워 넣고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판상 기체(21)를 적재할 때 가로 방향으로부터 적층체(2)를 겹칠 수 있다. 그리고, 판상 기체(21)를 적재한 후에, 적층체(2)의 측면부를 보호할 목적으로, 보호판(4)의 단부를 절곡하도록 하면, 파티클의 판상 기체(21)에 대한 부착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제1 고무 밴드(5A) 또는 제2 고무 밴드(5B)를 걸어 감지 않아도 되고, 제1 고무 밴드(5A)나 제2 고무 밴드(5B) 옆에, 또 다른 고무 밴드를 걸어 감아도 된다.
체결 밴드(50)를 밴드부(51) 및 버클(52)을 갖는 체결 벨트로 구성했지만, 띠상 또는 끈상의 감아 조임 부재로 구성하고, 당해 감아 조임 부재의 양단 부분끼리를 연결하거나, 접착하거나, 융착하거나 하거나 해서 고정해도 된다.
고정 부재로서 점착 테이프를 적용해도 된다.
〔곤포체의 변형예〕
주머니체(11)에 수용된 피곤포체(1)를 상자체(12)에 수용했지만, 상자체(12)에 수용하지 않아도 되고, 이 경우, 곤포체의 경량화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주머니체(11)를 종이제나 포제(布製)로 해도 되고, 이 경우에도, 보호판(4)에 의해 주머니체(11)와 제1, 제2 보호 필름(22, 23)의 마찰을 억제할 수 있어, 당해 마찰에 기인하는 파티클이 판상 기체(21)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지제, 종이제, 포제의 시트상 부재를 피곤포체(1)에 감아 조임으로써, 주머니체(11)를 구성해도 된다.
피곤포체(1)를 주머니체(11)에 수용하지 않고 상자체(12)에 직접 수용해도 되고, 이 경우, 상자체(12)가 본 발명의 수용 부재에 해당한다.
〔그 밖의 변형예〕 <판상 기체>
본 발명의 판상 기체의 용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예로서는, 차량용 투명 부품(헤드라이트 커버, 사이드미러, 프론트 투명 기판, 사이드 투명 기판, 리어 투명 기판, 인스트루먼트 패널 표면 등), 미터, 건축창, 쇼윈도우, 건축용 내장 부재, 건축용 외장 부재, 디스플레이(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LCD, PDP, ELD, CRT, PDA 등), LCD 컬러 필터, 터치 패널용 기판, 픽업 렌즈, 광학 렌즈, 안경 렌즈, 카메라 부품, 비디오 부품, CCD용 커버 기판, 광 파이버 단부면, 프로젝터 부품, 복사기 부품, 태양 전지용 투명 기판(커버 유리 등), 휴대 전화 창, 백라이트 유닛 부품(도광판, 냉음극관 등), 백라이트 유닛 부품 액정 휘도 향상 필름(프리즘, 반투과 필름 등), 액정 휘도 향상 필름, 유기 EL 발광 소자 부품, 무기 EL 발광 소자 부품, 형광체 발광 소자 부품, 광학 필터, 광학 부품의 단부면, 조명 램프, 조명 기구의 커버, 증폭 레이저 광원, 반사 방지 필름, 편광 필름, 농업용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판상 기체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판, 타원판, 삼각형이나 오각형의 다각형판 등을 들 수 있다.
판상 기체로서는, 예를 들어 소다 석회 유리, 붕규산 유리, 알루미노규산 유리, 무알칼리 유리 등의 일반적인 유리판이나, 다양한 조성의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무기 유리 또는 투명 수지판을 들 수 있다.
최적의 유리판의 재료로서는, 소다 석회 유리, 석영 유리, 수정 유리, 사파이어 유리 등의 유리 재료를 들 수 있고, 철분이 보다 낮고, 청미가 적은 고투과 유리가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판의 재료로서는, 투명성이 높은 수지 재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을 들 수 있다.
판상 기체로서는, 투명성이 높은 것, 내광성, 내열성, 저굴절률성, 높은 평면 정밀도, 내표면 찰상성,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점에서도, 유리판이 가장 바람직하다.
유리판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 기계적 강도를 높여도 된다. 유리판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리판에 미리 강화 처리를 실시한다.
강화 처리로서는, 유리판을 고온화에 노출시킨 후에 풍냉하는 물리 강화, 또는 유리판을,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용융염 중에 침지시켜서, 유리판의 최표면에 존재하는 원자 직경의 작은 알칼리 금속(이온)을, 용융염 중에 존재하는 원자계의 큰 알칼리 금속(이온)과 치환하는 화학 강화를 들 수 있다.
특히 얇은 유리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학 강화를 실시한 유리판(이하 「화학 강화 유리」라고도 한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상 기체로서의 화학 강화 유리는, 이하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리 기판의 표면 압축 응력(이하, CS라고 한다)은, 400㎫ 이상 1200㎫ 이하가 바람직하고, 700㎫ 이상 9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CS가 하한값 이상이면, 실용상의 강도로서 충분하다.
또한, CS가 상한값 이하이면, 자신의 압축 응력에 견딜 수 있어, 자연스럽게 파괴해버릴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의 판상 기체를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전방면판(커버 유리)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유리 기판의 CS는 700㎫ 이상 85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 기판의 응력값의 깊이(이하, DOL이라고 한다)는, 15㎛ 내지 50㎛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40㎛가 보다 바람직하다. DOL이 하한값 이상이면, 용이하게 흠집이 생겨서 파괴될 우려가 없다.
또한, DOL이 상한값 이하이면 기판 자신의 압축 응력에 견딜 수 있어, 자연스럽게 파괴해버릴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의 판상 기체를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전방면판(커버 유리)로서 사용하는 경우, 유리 기판의 DOL은 25㎛ 이상 35㎛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기계적 강도의 점에서, 사파이어 유리도 바람직하다.
판상 기체의 형상은, 통상, 평활하고 또한 직사각형의 형상이다. 판상 기체의 형상은,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형상이나, 표시 장치의 의장, 표시 장치의 설치 위치 등에 따라, 필요해지는 형상은 적절히 변경된다.
즉, 판상 기체의 형상은 평활 형상이나 직사각형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면에 요철을 갖는 형판 유리여도 되고, 다각 형상이나 원 형상, 타원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평탄한 유리뿐만 아니라 곡면 형상을 갖는 유리여도 된다.
판상 기체의 크기는, 표시 패널의 크기나 표시 장치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의 커버 유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30㎜×50㎜ 내지 300㎜×400㎜으로, 두께가 0.1㎜ 이상 2.5㎜ 이하이고, 디스플레이 장치, 카 내비게이션, 콘솔 패널, 계기판 등의 표시 장치인 경우, 50㎜×100㎜ 내지 2000㎜×1500㎜으로, 두께는 0.5㎜ 이상 4㎜ 이하가 바람직하다.
판상 기체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두께 10㎜ 이하의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기계적 강도나 투명성 등의 점에서, 유리판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6㎜ 정도이다. 특히,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판상 기체에는 안전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의 점에서, 0.2㎜ 이상 2㎜ 이하가 바람직하다.
화학 강화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학 강화 처리를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해서, 유리 기판의 두께는 통상 5㎜ 이하가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판의 경우에는, 2㎜ 이상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두께가 얇을수록 광의 흡수가 낮게 억제되기 때문에, 시인 성향상이나 투명 성향상의 점에서도 유리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상 기체는, 반드시 단일의 층으로 구성되는 단층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접합 유리와 같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다층 구조여도 된다.
<보호 필름>
제조 과정이나 제품 반송에 있어서, 표시 장치에 부착된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서, 제1 보호 필름을 판상 기체에 첩부해 두고, 판상 기체를 보호한다.
표시 장치의 사용 시에 있어서, 제1 보호 필름을 판상 기체로부터 박리해서 이용한다.
보호 필름의 어느 표면은, 부착력을 갖는 층을 갖고 있다. 부착력으로서는, 점착력, 반데르발스힘, 정전력 등 들 수 있지만, 판상 기체로부터의 박리 용이성 및 비용의 관점에서 점착력이 바람직하고, 보호 필름은 점착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제의 점착력을 조정함으로써, 점착제가 판상 기체의 최표면(제1 주면 또는 반사 방지층 또는 방오층 또는 그 밖의 기능층)의 적어도 일부에 잔류하는 것이나, 반사 방지층이나 방오층의 적어도 일부가 벗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의 박리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서, 보호 필름의 외주연의 적어도 일부에 점착층을 형성하지 않는 부분을 설치함으로써도, 제1 보호 필름을 제2 보호 필름이나 판상 기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박리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을 위하여 제작된 탭 부분은, 핸들링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외주부에 비어져 나와 있어도 된다.
반사 방지층이나 방오층을 구비하는 판상 기체와 보호 필름을 접합할 때는, 수작업으로 행해도 되지만, 롤상의 두루마리로서 공급되는 보호 필름을, 고무 롤 등을 사용해서 접합시키는 것이나, 보호 필름을 판상 기체의 치수에 맞춰서 사전에 재단하여 매엽 필름으로 해 두고, 라벨 부착기나 시일 부착기에 의해 접합하는 방법이 제조 효율이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필름 기체>
필름 기체로서는, 수지제의 필름상의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필름 기체는 단층 구조여도 되고, 대전 방지층, 하드 코트층, 접착 용이층 등, 복수의 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여도 된다. 또한, 판상 기체로부터 보호 필름 벗기는 것을 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름 기체의 일부 또는 전체면에 색을 입히거나, 시일을 첩부해도 된다.
필름 기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나 폴리에틸렌계 필름,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점착층과의 부착성의 점, 내구성이나 광학 특성의 점에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바람직하다.
필름 기체의 두께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필름 기체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이상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이상 75㎛ 이하이면 박리할 때 필름 기체가 휘기 쉬워 박리시키는 것이 용이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5㎛ 미만이면, 판상 기체를 충분히 보호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100㎛을 초과하면, 비용의 증대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점착층>
점착층의 점착제는, 보호 필름을 판상 기체로부터 박리할 때, 판상 기체의 최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점착제가 잔류하기 어려운 점착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의 점착제는, 보호 필름을 판상 기체로부터 박리할 때, 반사 방지층이나 방오층의 적어도 일부의 박리를 억제하는 점착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착제로서,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의 점착제 등이, 접착성이나, 박리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점착층의 점착력이 0.01N/10㎜ 이상이면, 점착제가, 판상 기체의 최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어, 반사 방지층이나 방오층에 점착층을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반송 중에 보호 필름이 판상 기체로부터 박리되는 등, 보호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점착층의 점착력이 0.3N/10㎜ 이하이면, 점착층의 점착력이 적당해서,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 반사 방지층이나 방오층의 적어도 일부가 필요 이상으로 박리되거나, 점착제가 판상 기체의 최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잔류하는 것에 기인하는 시인성의 저하나 오염 등의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없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 1 내지 5는 실시예, 예 6은 비교예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곤포체의 제작]
〔예 1〕
판상 기체로서, 두께가 1.3㎜, 평면으로 본 사이즈가 120㎜×280㎜인 화학 강화용 유리(미강화 드래곤 트레일(등록상표), 아사히 가라스사제(표 1에 있어서 「DT」라고 표기한다))를 준비했다.
제1 보호 필름으로서, 평면으로 본 사이즈가 118㎜×278㎜인 PET를 포함하는 필름 기체와, 점착층을 포함하는 타입 A인 것(닛토덴코사 제조, 형번 RP-207)을 준비했다.
제2 보호 필름으로서, 필름 기체의 평면으로 본 사이즈를 125㎜×285㎜으로 한 타입 A인 것을 준비했다. 보호 필름끼리의 정지 마찰 계수는 0.08이다.
접촉 억제 부재로서, 고발포 폴리에틸렌 시트인 미라매트(등록상표)를 준비했다. 접촉 억제 부재와 보호 필름의 정지 마찰 계수는 0.6이었다.
보호판으로서,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팔각형 판상의 타입 A인 것(대전 방지 플라스틱 골판지)을 준비했다. 보호판의 평면으로 본 사이즈는, 170㎜×330㎜이다. 보호판은, 중간 코어의 양면에 라이너가 마련된 골판지 구조를 가지며, 전체의 두께는 3㎜이다. 굽힘 탄성률은 35N/㎝이다.
고정 부재로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 고무 밴드(가부시키가이샤 쿄와사제 고무 밴드 번수 #180)를 2개 준비했다.
수용 부재로서, 비닐제의 가젯 주머니(플러스 포장 시스템사 제조, 가젯식 PE 주머니)를 준비했다.
그리고, 먼저, 판상 기체의 제1, 제2 주면에 제1, 제2 보호 필름을 접합해서 적층체를 제작했다. 이때, 제1 보호 필름의 제1 필름 기체의 외측 테두리가, 판상 기체의 외측 테두리보다 1㎜ 내측에 위치하고, 제2 보호 필름이, 그 외주 방향 전체에 걸쳐, 판상 기체보다 2.5㎜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고, 양 보호 필름의 단부 영역끼리가 밀착되지 않도록(판상 기체 단부면의 보호가 없도록), 적층체를 제작했다. 또한, 제1 필름에, 판상 기체보다 1㎜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도록 탭을 설치했다.
이어서, 보호판 상에 접촉 억제 부재를 적재한 후, 적층체 및 접촉 억제 부재를 이 순서로 25개씩 적재했다. 또한, 가장 위의 접촉 억제 부재 상에 보호판을 적재했다. 이때, 평면으로 볼 때, 보호판, 접촉 억제 부재 및 적층체를, 그들의 중심이 겹치도록 했다. 또한, 보호판이, 그 외주 방향 전체에 걸쳐, 판상 기체보다 25㎜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도록 했다.
그 후, 제1 고무 밴드(가부시키가이샤 쿄와사제 고무 밴드 번수 #180)를 사용하여, 보호판의 장변의 중심부에 단변 방향으로 걸어 감음과 함께, 제2 고무 밴드(가부시키가이샤 쿄와사제 고무 밴드 번수 #270)를, 보호판의 단변의 중심부에 장변 방향으로 걸어 감았다. 그 때의 제1 고무 밴드의 장력은 12N이고, 제2 고무 밴드의 장력은 11N이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피곤포체를 가젯 주머니에 수용해서 곤포체를 제작했다. 이때, 측면에서 볼 때, 가젯 주머니를, 상하의 보호판의 외측 테두리끼리를 거의 직선상으로 건너지르도록 하였다.
〔예 2〕
보호판으로서 타입 B인 것(미쓰이 가가쿠 토셀로 가부시키가이샤제 폴리프로필렌 3배 발포 시트, 상품명: 팔로니어(등록상표))을 사용하고, 고무 밴드(가부시키가이샤 쿄와사제 고무 밴드 번수 #180)의 개수를 2개로 하고, 2개의 고무 밴드를, 그 길이 방향이 보호판의 단변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또한 50㎜ 이격되도록, 보호판, 접촉 억제 부재 및 적층체에 걸어 감았다. 그 때의 고무 밴드 장력은 1개당 12N이었다.
타입 B의 보호판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P) 3배 발포 시트이며, 평면으로 본 형상은 12각형이고, 사이즈는 170㎜×330㎜이다. 굽힘 탄성률은 300N/㎝이다. 보호판은, 전체의 두께가 5㎜이다.
이와 같이 제작된 피곤포체를, 예 1과 동일 조건에서 가젯 주머니에 수용해서 곤포체를 제작했다.
〔예 3〕
판상 기체의 제1 보호 필름으로서 필름 기체가 PE를 포함하는 타입 B인 것(닛토덴코사제 형번 RB-100S)을 사용하여, 보호판으로서 타입 A와 동일 재질이지만, 두께가 2㎜인 타입 C인 것을 사용했다. 굽힘 탄성률은 12N/㎝이다. 고정 부재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밴드부를 갖는 체결 밴드를 사용했다. 보호 필름과 접촉 억제 부재와의 정지 마찰 계수는 0.3이었다.
타입 B의 보호 필름의 평면으로 본 사이즈는, 154㎜×284㎜이다.
타입 C의 보호판의 평면으로 본 형상은 10㎜의 R부를 갖는 직사각형이고, 사이즈는 170㎜×330㎜이다.
그리고, 먼저, 2개의 체결 밴드를, 50㎜ 이격되도록 배치하고, 그 위에 예 1과 동수의 보호판, 접촉 억제 부재, 적층체를, 예 1과 같이 적재했다. 이때, 2개의 체결 밴드간의 중심과 적층체의 중심이 겹치고, 또한 보호판의 중간 코어의 능선 방향과 밴드부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가 되도록 했다.
그 후, 상측의 보호판 상에서 밴드부의 양 끝을 버클에 의해 고정하고, 버클이 마련되지 않은 측의 밴드부의 단부를 인장함으로써, 보호판, 접촉 억제 부재 및 적층체를 체결했다. 이때, 체결 밴드의 장력을 1개당 20N으로 해서, 보호판, 접촉 억제 부재 및 보호 필름이 판상 기체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휘어지게 했다.
이와 같이 제작된 피곤포체를, 예 1과 동일 조건에서 가젯 주머니에 수용해서 곤포체를 제작했다.
〔예 4〕
판상 기체로서, 평면으로 본 사이즈가 280㎜×140㎜이고, 단변 방향으로, 곡률 반경 1000㎜으로 균일하게 오목형으로 만곡되어 있는 DT를 사용했다. 또한, 제1 보호 필름으로서, 타입 A인 것을 사용하고, 크기는 평면으로 볼 때 284㎜×144㎜으로 했다. 그 밖에는 예 1과 동일 조건에서 피곤포체를 제작했다. 그리고, 이 피곤포체를 예 1과 동일 조건에서 가젯 주머니에 수용해서 곤포체를 제작했다.
〔예 5〕
고정 부재를 1개의 고무 밴드(가부시키가이샤 쿄와사제 고무 밴드 번수 #270)로 하고, 보호판의 단변의 중심부에 장변 방향으로 걸어 감은 것 이외에는, 예 1과 동일 조건에서 피곤포체를 제작했다. 그 때의 고무 밴드 장력은 7N이었다. 그리고, 이 피곤포체를 예 1과 동일 조건에서 가젯 주머니에 수용해서 곤포체를 제작했다.
〔예 6〕
보호판, 고정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예 1과 같이 겹쳐진 26개의 접촉 억제 부재 및 25개의 적층체만을 갖는 피곤포체를 제작했다. 그리고, 이 피곤포체를 예 1과 같은 가젯 주머니에 수용해서 곤포체를 제작했다.
Figure pat00001
[평가]
〔파티클 평가〕
예 1의 곤포체를 대차에 싣고, 아스팔트의 지면을 20분간 이동시켰다. 그리고, 가젯 주머니로부터 피곤포체를 꺼내고, 25매의 판상 기체의 단부면에 그린 램프를 조사하여, 가젯 주머니와 보호 필름의 마찰에 기인하는 파티클이, 판상 기체의 단부면에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눈으로 확인했다. 예 2 내지 6의 곤포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평가를 행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보호 판 사이에 적층체를 배치한 예 1 내지 5의 곤포체에서는, 모든 판상 기체의 단부면에 파티클이 부착되어 있지 않았지만(평가 A), 한 쌍의 보호판을 사용하지 않는 예 6의 곤포체에서는, 단부면에 파티클이 부착되어 있는 판상 기체가 있었다(평가 C).
예 1 내지 5에서 평가가 A였던 이유는, 한 쌍의 보호판에 의해 가젯 주머니와 보호 필름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가젯 주머니와 보호 필름의 마찰이 억제되어, 파티클이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한편, 예 6에서 평가가 C였던 이유는, 한 쌍의 보호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가젯 주머니와 보호 필름이 마찰되어 파티클이 발생하고, 이 발생한 파티클이 한 쌍의 보호 필름 사이를 통과해서 판상 기체에 도달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서, 적층체를 한 쌍의 보호판으로 집고, 당해 한 쌍의 보호판의 외측 테두리 전체를 적층체의 외측 테두리보다 외측으로 위치시킴으로써, 가젯 주머니와 보호 필름과의 마찰을 억제할 수 있고, 당해 마찰에 기인하는 파티클의 판상 기체에 대한 부착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동 내성 평가〕
예 1의 곤포체를 대차에 싣고 아스팔트의 지면을 20분 이동시키고, 그 후, 피곤포체를 가젯 주머니로부터 꺼내어, 판상 기체의 정렬 상태를 확인했다. 정렬 상태의 평가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테두리가 가장 보호판(4)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판상 기체(21)의 외측 테두리와, 가장 보호판의 외측 테두리측에 위치하는 판상 기체(21)의 외측 테두리와의 어긋남양 A를 사용해서 평가하고, 어긋남양 A가 10㎜ 이상인 것을 내진동성이 없다(평가 C)고 하고, 10㎜ 미만인 것을 내진동성이 있다(평가 A)고 했다.
예 2 내지 예 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평가를 행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부재의 합계 장력이 23N 이상인 예 1 내지 예 4의 곤포체에서는, 평가가 A였지만, 고정 부재의 합계 장력이 7N 이하인 예 5 및 고정 부재를 사용하지 않은 예 6에서는, 평가가 C였다.
이러한 점에서, 고정 부재의 합계 장력이 20N 이상이면, 수송 시의 진동에 의한 기판의 어긋남은 보다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한 A의 평가에서도, 예 1과 예 3은 특히 어긋난 양이 적었다. 예 3은 장력이 충분히 높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예 1은, 교차해서 걸어 감고 있기 때문에, 4 방향 모두 움직이기 어려워져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걸어 감기의 간편함을 고려하면, 예 1이 가장 효율적으로 파티클이나 기판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히 또한 특정한 실시 양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18년 11월 28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 2018-222190 및 2019년 8월 23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 2019-152535에 기초하는 것이고,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해서 도입된다.
1 : 피곤포체
10 : 곤포체
11 : 주머니체(수용 부재)
2 : 적층체
21 : 판상 기체
21A : 제1 주면
21B : 제2 주면
3 : 접촉 억제 부재
4 : 보호판
41 : 중간 코어
41A : 능선
42 : 라이너
5 : 고정 부재
5A, 5B : 제1, 제2 고무 밴드(제1, 제2 감아 조임 부재)
51 : 밴드부(감아 조임 부재)

Claims (14)

  1. 수용 부재 내에 수용되는 피곤포체이며,
    판상 기체 및 당해 판상 기체의 한 쌍의 주면 중 적어도 한쪽 주면 상에 배치된 보호 필름을 갖는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를 상기 한 쌍의 주면의 양측으로부터 집도록 배치된 한 쌍의 보호판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 필름의 적어도 일부의 외측 테두리는, 상기 판상 기체의 외측 테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보호판의 외측 테두리 전체는, 상기 적층체의 외측 테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곤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에 대하여 상기 한 쌍의 보호판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피곤포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적층체 및 상기 한 쌍의 보호판에 감아 조여진 띠상 또는 끈상 또는 환상의 감아 조임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피곤포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호판 중 적어도 한쪽의 보호판은, 상기 감아 조임 부재의 감아 조이는 힘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고 있는 피곤포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쪽의 보호판은, 골함석상의 중간 코어와, 상기 중간 코어의 적어도 한쪽 면에 마련된 라이너를 구비하는 골판지 구조를 갖고,
    상기 감아 조임 부재는, 그의 길이 방향과 상기 중간 코어의 능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 이상 30° 이하가 되도록 감아 조여져 있는 피곤포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쪽의 보호판은, 골함석상의 중간 코어와, 상기 중간 코어의 적어도 한쪽 면에 마련된 라이너를 구비하는 골판지 구조를 갖고,
    상기 적층체 및 상기 한 쌍의 보호판에는, 제1 감아 조임 부재 및 제2 감아 조임 부재가 감아 조여지고,
    상기 제1 감아 조임 부재는, 그의 길이 방향과 상기 중간 코어의 능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 이상 30° 이하가 되도록 감아 조여지고,
    상기 제2 감아 조임 부재는, 그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1 감아 조임 부재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50° 이상 90° 이하가 되도록 감아 조여져 있는 피곤포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기체의 주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한 쌍의 보호판의 코너부는, 둔각 또는 곡선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피곤포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와 상기 한 쌍의 보호판 사이에 마련된 접촉 억제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피곤포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억제 부재는, 당해 접촉 억제 부재에 접촉하고 있는 부재간의 미끄럼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적층체 사이에는, 상기 접촉 억제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피곤포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기체의 양 주면 상에 각각 보호 필름이 배치되고,
    한쪽의 상기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판상 기체의 외측 테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단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다른 쪽의 상기 보호 필름의 단부 영역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피곤포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기체는 유리인 피곤포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는 강화 유리인 피곤포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곤포체와,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곤포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수지제의 주머니체인 곤포체.
KR1020190151856A 2018-11-28 2019-11-25 피곤포체 및 곤포체 Pending KR202000639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22190 2018-11-28
JPJP-P-2018-222190 2018-11-28
JP2019152535A JP7434752B2 (ja) 2018-11-28 2019-08-23 被梱包体および梱包体
JPJP-P-2019-152535 2019-08-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988A true KR20200063988A (ko) 2020-06-05

Family

ID=7108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856A Pending KR20200063988A (ko) 2018-11-28 2019-11-25 피곤포체 및 곤포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434752B2 (ko)
KR (1) KR20200063988A (ko)
TW (1) TWI8318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39699B2 (ja) * 2020-12-21 2024-08-26 株式会社ダイワ シート状の物品の搬送方法
CN114104511A (zh) * 2021-12-24 2022-03-01 滁州钰顺企业管理咨询合伙企业(有限合伙) 一种晶圆以框架方式包装出货的方法
CN118922358A (zh) * 2022-04-13 2024-11-08 凸版控股株式会社 调光片材的捆包体
JP7256485B1 (ja) * 2022-04-13 2023-04-12 凸版印刷株式会社 調光シートの梱包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71372A (ja) 2016-03-25 2017-09-2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付きガラス板、その製造方法、及び梱包体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98153A (fr) 1958-06-04 1959-12-04 Charfa Perfectionnement apporté aux palettes servant au transport des sacs vides en papier
US3708946A (en) 1970-12-01 1973-01-09 Itt Packaging for cylindrical and similar objects
JP2000226087A (ja) 1998-11-30 2000-08-15 Nippon Shokubai Co Ltd 脆性薄板材の包装体、包装方法および輸送方法
US20020170842A1 (en) * 2001-05-16 2002-11-21 Fuji Photo Film Co.,Ltd. Packaging structure for planographic printing plates and method of packaging the same
JP2002347877A (ja) * 2001-05-28 2002-12-04 Mitsubishi Electric Corp 包装装置、可燃性冷媒が充填された機器の保管方法
JP2003112770A (ja) 2001-10-02 2003-04-18 Toppan Printing Co Ltd エッチング部品の梱包用押さえ板、及びそれを用いたエッチング部品の梱包方法
EP1407880A1 (de) * 2002-10-07 2004-04-14 Alcan Technology &amp; Management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mehrschichtigen Folien-Verbundes für Verpackungsmaterialen
JP2006066841A (ja) 2004-08-30 2006-03-09 Epson Toyocom Corp シート状ウェハのダイシング及び梱包方法、ウェハの梱包物、剥離治具
JP2006282278A (ja) 2005-03-10 2006-10-19 Epson Toyocom Corp ウェハー用梱包体
JP4933840B2 (ja) * 2006-05-29 2012-05-16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及びガラス基板搬送用包装体
JP2008062957A (ja) * 2006-09-06 2008-03-21 Fujifilm Corp 包装形態
JP2009040431A (ja) * 2007-08-06 2009-02-2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板状物梱包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スペーサ
KR20120061991A (ko) * 2009-11-25 2012-06-1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표시패널 보호용 시트
JP5930485B2 (ja) 2010-11-30 2016-06-08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シートを梱包するパッケージおよび梱包方法
WO2014088742A1 (en) * 2012-12-03 2014-06-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e sheet and cargo container comprising same
CN103213771B (zh) * 2013-05-06 2015-04-2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平板玻璃包装箱及其拆包方法
JP6617433B2 (ja) * 2015-04-17 2019-12-1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基板梱包体
CN108778959B (zh) 2016-03-15 2020-10-20 Agc株式会社 包装用构件、包装体及包装体的制造方法
JP6977322B2 (ja) * 2016-06-16 2021-12-08 Agc株式会社 ガラス合紙、ガラス合紙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積層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71372A (ja) 2016-03-25 2017-09-2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付きガラス板、その製造方法、及び梱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31567A (zh) 2020-09-01
JP7434752B2 (ja) 2024-02-21
JP2020093839A (ja) 2020-06-18
TWI831872B (zh) 202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3988A (ko) 피곤포체 및 곤포체
KR101646479B1 (ko)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
JP4797561B2 (ja) 基板収納体
WO2019151091A1 (ja) 光学積層体ロール
KR20190064532A (ko) 유리 롤
CN111232430B (zh) 被捆包体以及捆包体
EP3526141B1 (en) Packing materials for display apparatus
JP6812296B2 (ja) 単層体または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9155636A (ja) 積層体、梱包体および表示装置
US11873179B2 (en) Method for conveying glass film composite
CN111867945A (zh) 包装盒
WO2010134362A1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複層偏光板
KR20180065734A (ko) 디스플레이 장치 포장재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장 방법
JPWO2017159563A1 (ja) 梱包用部材、梱包体および梱包体の製造方法
JP2009241955A (ja) 光学フィルム重畳体の収納方法および収納容器
JPH11258424A (ja) フィルム偏光板の保護構造
WO2020045010A1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
JP4303896B2 (ja) フィルムの貼合装置
TWI565583B (zh) 一種製造具邊緣保護功能之光學膜片的方法及產品
JP4626449B2 (ja) 光学フィルム重畳体の梱包方法
JP2007055633A (ja) 光学フィルム重畳体の梱包体および梱包方法
JP2012058574A (ja)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ムの切断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製造方法
JPH10175664A (ja) フィルム偏光板の保護構造
JP4462427B2 (ja) 平面表示装置等の電子・電気製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ための帯状収納体
JP3155490U (ja)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の梱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