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950A - 공중합체, 분산제, 분산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공중합체, 분산제, 분산체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4950A KR20200054950A KR1020207005502A KR20207005502A KR20200054950A KR 20200054950 A KR20200054950 A KR 20200054950A KR 1020207005502 A KR1020207005502 A KR 1020207005502A KR 20207005502 A KR20207005502 A KR 20207005502A KR 20200054950 A KR20200054950 A KR 202000549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monomer
- formula
- copolymer
- ma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125000006353 oxyeth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150000001732 carbox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150000001733 carboxylic acid ester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125000005702 oxyalk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0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description 17
- 125000002947 alk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group [H]* 0.000 claims description 7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4581 coalesce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KWYUFKZDYYNOTN-UHFFFAOYSA-M Potass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K+] KWYUFKZDYYNOT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5
- IAYPIBMASNFSPL-UHFFFAOYSA-N Ethylene oxide Chemical compound C1CO1 IAYPIBMASNFSP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3
- -1 alkenyl ether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1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VIBDJEWPNNCFQO-UHFFFAOYSA-N ethane-1,1,2-triol Chemical compound OCC(O)O VIBDJEWPNNCF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GOOHAUXETOMSMM-UHFFFAOYSA-N Propylene oxide Chemical group CC1CO1 GOOHAUXETOMS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WYURNTSHIVDZCO-UHFFFAOYSA-N Tetrahydrofuran Chemical compound C1CCOC1 WYURNTSHIVDZ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VZCYOOQTPOCHFL-OWOJBTEDSA-N Fum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OWOJBTEDSA-N 0.000 description 6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XXROGKLTLUQVRX-UHFFFAOYSA-N allyl alcohol Chemical compound OCC=C XXROGKLTLUQVR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125000000956 methoxy group Chemical group [H]C([H])([H])O*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VZCYOOQTPOCHFL-UHFFFAOYSA-N trans-bute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VZCYOOQTPOCHF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RTZKZFJDLAIYFH-UHFFFAOYSA-N ether Substances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125000003903 2-propenyl group Chemical group [H]C([*])([H])C([H])=C([H])[H] 0.000 description 4
- ROOXNKNUYICQNP-UHFFFAOYSA-N ammonium persulfate Chemical compound [NH4+].[NH4+].[O-]S(=O)(=O)OOS([O-])(=O)=O ROOXNKNUYICQ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27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169 water-solu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6017 1-prop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SMZOUWXMTYCWNB-UHFFFAOYSA-N 2-(2-methoxy-5-methylphenyl)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C1CCN SMZOUWXMTYCW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ZWEHNKRNPOVVGH-UHFFFAOYSA-N 2-Bu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NIXOWILDQLNWCW-UHFFFAOYSA-N 2-Prope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CERQOIWHTDAKMF-UHFFFAOYSA-N Methacr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98 Portland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FOBLEOULBTSOW-UHFFFAOYSA-N Propa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O)=O OFOBLEOULBTS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25000005396 acrylic acid est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4 alkalin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5210 alkyl ammonium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986 chain transfer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530 fum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ZCYOOQTPOCHFL-UPHRSURJSA-N male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UPHRSURJ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976 ma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818 (Hydroxyethyl)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6020 2-methyl-1-prop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SNNMFCWUKXFEE-UHFFFAOYSA-M Bisulfite Chemical compound OS([O-])=O LSNNMFCWUKXFEE-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RGHNJXZEOKUKBD-SQOUGZDYSA-N D-gluc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O RGHNJXZEOKUKBD-SQOUGZDYSA-N 0.000 description 2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MHAJPDPJQMAIIY-UHFFFAOYSA-N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MHAJPDPJQMAI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Chemical compound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870 ammonium per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63 ammon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18 anti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AOJOEFVRHOZDFN-UHFFFAOYSA-N benzyl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C(=O)OCC1=CC=CC=C1 AOJOEFVRHOZDF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334 co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5397 methacrylic acid est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62 monocarbox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MZGPNHSPWNGEP-UHFFFAOYSA-N octadecyl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C(=O)C(C)=C HMZGPNHSPWNG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924 oxira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UZRCGISJYYLJMA-UHFFFAOYSA-N phenol;styrene Chemical compound OC1=CC=CC=C1.C=CC1=CC=CC=C1 UZRCGISJYYLJ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05 polymerization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424 substituent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YLQBMQCUIZJEEH-UHFFFAOYSA-N tetrahydrofuran Natural products C=1C=COC=1 YLQBMQCUIZJE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11 α-olef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LCPVQAHEFVXVKT-UHFFFAOYSA-N 2-(2,4-difluorophenoxy)pyridin-3-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N=C1OC1=CC=C(F)C=C1F LCPVQAHEFVXVK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MIGHNLMNHATMP-UHFFFAOYSA-N 2-hydroxyeth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OCCOC(=O)C=C OMIGHNLMNHAT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THZUSWLNCPZLX-UHFFFAOYSA-N 6-fluoro-3-methyl-2h-indazole Chemical compound FC1=CC=C2C(C)=NNC2=C1 JTHZUSWLNCPZL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OSDWBNJEKMUWAV-UHFFFAOYSA-N All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C OSDWBNJEKMUWA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GZKDVFQNNGYKY-UHFFFAOYSA-O Ammonium Chemical compound [NH4+] QGZKDVFQNNGYKY-UHFFFAOYSA-O 0.000 description 1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41 Crude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GHNJXZEOKUKBD-UHFFFAOYSA-N D-gluconic acid Natural products OCC(O)C(O)C(O)C(O)C(O)=O RGHNJXZEOKUKB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OBHKFSMXKNTIM-UHFFFAOYSA-N Hydroxyethyl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OCCO WOBHKFSMXKNTI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BLZXFCXXLZCGV-UHFFFAOYSA-N Phosphorous acid Chemical compound OP(O)=O ABLZXFCXXLZCG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VMHLLURERBWHNL-UHFFFAOYSA-M Sodium acetate Chemical compound [Na+].CC([O-])=O VMHLLURERBWHNL-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lass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SNNMFCWUKXFEE-UHFFFAOYSA-N Sulfurous acid Chemical compound OS(O)=O LSNNMFCWUKXFE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38 aliphatic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40 alkali metal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42 alkaline earth metal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215 alkyl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129 an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945 aromatic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GCTPMLUUWLLESL-UHFFFAOYSA-N benz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O)OCC1=CC=CC=C1 GCTPMLUUWLLES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00 blast furnace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110 calc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8 calc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35 carboxy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91 cat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5 chemical reaction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PPKVPWEQAFLFU-UHFFFAOYSA-N di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P(O)(O)=O XPPKVPWEQAFLF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80 el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70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81 fly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4 gluc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08 gluco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0 grou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165 hydrophob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4 inorganic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BAFATDZDUQKNH-UHFFFAOYSA-M iron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Fe] FBAFATDZDUQKN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00 metal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92 metal hyd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JGQUHMNIGDVPM-UHFFFAOYSA-N nitrogen group Chemical group [N] QJGQUHMNIGDV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29 oil we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79 pH adjus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RKICGRDRMAZLK-UHFFFAOYSA-L peroxydisulfate Chemical compound [O-]S(=O)(=O)OOS([O-])(=O)=O JRKICGRDRMAZLK-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JSPKFLGISILEDM-UHFFFAOYSA-N phenol;styrene Chemical compound OC1=CC=CC=C1.C=CC1=CC=CC=C1.C=CC1=CC=CC=C1.C=CC1=CC=CC=C1 JSPKFLGISILED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15 polyalk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USHAGKDGDHPEEY-UHFFFAOYSA-L potassium persulfate Chemical compound [K+].[K+].[O-]S(=O)(=O)OOS([O-])(=O)=O USHAGKDGDHPEE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441 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1 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333 secondary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1 sewage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BMJWWWQQXIZIP-UHFFFAOYSA-N silicon carbide Chemical compound [Si+]#[C-] HBMJWWWQQXI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1 silicon carb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32 sodium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281 sodium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HQMHPLRPQMAMX-UHFFFAOYSA-L sodium persulfate Substances [Na+].[Na+].[O-]S(=O)(=O)OOS([O-])(=O)=O CHQMHPLRPQMAMX-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0 sod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SIJQEHRDSCQIU-UHFFFAOYSA-N tert-butyl 2,7-diazaspiro[4.5]decane-7-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1N(C(=O)OC(C)(C)C)CCCC11CNCC1 ISIJQEHRDSCQI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573 thi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45 zir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FQYVLUOOAAOGM-UHFFFAOYSA-N zirconium(iv) silicate Chemical compound [Zr+4].[O-][Si]([O-])([O-])[O-] GFQYVLUOOAAOG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20/36—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e.g. 2-N-morpholinoethyl (meth)acrylate or 2-isocyanatoethyl (meth)acryl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6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polymers, e.g. maleic anhydride co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76—Polystyre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88—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three different monomers
- C04B24/2694—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three different monomers containing polyether side chai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32—Polyethers, e.g. alkylphenol polyglycoleth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34—Monomers containing two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 C08F212/36—Divinylbenz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reactions, in the absence of non-macromolecular monomers
- C08F29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reactions, in the absence of non-macromolecular monomers from unsaturated polycondens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45—Polymers chosen for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 C04B2103/0054—Water dispersible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8—Slump-loss preventing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C04B2103/408—Dispers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분산성과 슬럼프 유지성이 우수한 분산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중합체는, 구성 단량체로서, 식 (1) 로 나타내는 단량체 (A) 및 식 (2) 로 나타내는 단량체 (B)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 그리고,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단량체 (C-1) 및 옥시에틸렌기 함유 불포화 카르복시산에스테르 (C-2)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 (C) 를 함유하고, 단량체 (C) 의 함유량이 2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인, 수용성의 공중합체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고, 또, 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분산제, 및 그 분산제를 사용한 분산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의 강도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중의 단위 수량을 줄이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단위 수량을 감소시키면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작업성을 저해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단위 수량을 줄인 경우의 작업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시멘트 등을 분산하기 위한 분산제가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적어도 3 종의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폴리옥시알킬에스테르계 단량체와 불포화 모노카르복시산계 단량체를 공중합시킨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불포화 폴리알킬렌글리콜알케닐에테르계 단량체와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단량체와 술폰산(염)기 함유 단량체를 공중합시킨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2 에 기재된 공중합체에서는, 분산성과 슬럼프 유지성이 충분히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예를 들어 분산성과 슬럼프 유지성이 우수한 분산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신규한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중합체는, 구성 단량체로서,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단량체 (A) 및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단량체 (B)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 그리고,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단량체 (C-1) 및 옥시에틸렌기 함유 불포화 카르복시산에스테르 (C-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 (C) 를 함유하고, 상기 단량체 (C) 의 함유량이 구성 단량체 중에 2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인,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중합체는, 구성 단량체로서,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단량체 (A) 및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단량체 (B)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 그리고,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단량체 (C-1) 및 옥시에틸렌기 함유 불포화 카르복시산에스테르 (C-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 (C) 를 함유하는, 수용성의 공중합체이다.
[화학식 1]
식 (1) 중, D1 은 하기 기 D1-1 및 D1-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중합성의 불포화기를 나타내고, 이들 식 중의 R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은 하기 기 R1-1, R1-2 및 R1-3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기를 나타내고, m1 및 m2 는 단량체 (A) 전체의 평균값으로서 각각 1 ∼ 2 이고, A1 은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m3 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1 ∼ 100 의 수이다.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
식 (2) 중, R3 은 탄소수 8 ∼ 1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2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n 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1 ∼ 100 의 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액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분산제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분산체 조성물은, 입자 및 상기 분산제를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중합체이면, 예를 들어 분산제로서 사용했을 때에 분산성과 슬럼프 유지성을 개선할 수 있다.
[단량체 (A)]
단량체 (A) 는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낸다.
[화학식 5]
일반식 (1) 중, D1 은, 기 D1-1 (즉, 하기 식 D1-1 로 나타내는 기) 및 기 D1-2 (즉, 하기 식 D1-2 로 나타내는 기)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중합성의 불포화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D1 은, 1 분자 중에 복수 포함될 때, 그들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 단량체 (A) 전체로서도, D1 은 모두 동일해도 되고, D1 이 상이한 화합물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화학식 6]
기 D1-1 및 D1-2 의 식 중에 있어서의 R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그 때문에, D1 은 구체적으로는, 1-프로페닐기, 2-메틸-1-프로페닐기, 또는 (메트)알릴기를 나타낸다. D1 로는, 이들 1-프로페닐기, 2-메틸-1-프로페닐기, 또는 (메트)알릴기가 어느 것이 단독으로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혼합물로서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1-프로페닐기이다. 또한, (메트)알릴기란, 알릴기 및/또는 메탈릴기를 의미한다.
기 D1 의 치환기수 m1 은, 단량체 (A) 전체의 평균값으로 1 ∼ 2 의 범위 내이다. m1 은, 분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1 을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m1 은, 분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1.8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 D1-1 및 기 D1-2 는, 양자의 몰비인 (D1-1)/(D1-2) 의 값이 2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D1 의 치환 위치는, 오르토 위치 및/또는 파라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오르토 위치이다.
일반식 (1) 중, R1 은, 기 R1-1 (즉, 하기 식 R1-1 로 나타내는 기), 기 R1-2 (즉, 하기 식 R1-2 로 나타내는 기) 및 기 R1-3 (즉, 하기 식 R1-3 으로 나타내는 기)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R1 은, 1 분자 중에 복수 포함될 때, 그들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 단량체 (A) 전체로서도, R1 은 모두 동일해도 되고, R1 이 상이한 화합물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화학식 7]
기 R1 의 치환기수 m2 는, 단량체 (A) 전체의 평균값으로 1 ∼ 2 의 범위 내이다. m2 는, 분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1 을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m2 는, 분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1.8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m1 과 m2 의 수의 합계는 분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m1 과 m2 의 수의 합계는 분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R1 의 치환 위치는, 오르토 위치 및/또는 파라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1) 중의 A1 은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 (즉, 알칸디일기) 를 나타내고, 직사슬형이어도 되고 분기형이어도 된다. 따라서, A1O 로 나타내는 옥시알킬렌기로는, 옥시에틸렌기, 옥시프로필렌기, 옥시부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1) 에 있어서의 (A1O)m3 사슬 부분은,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사이드로서,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1,4-부틸렌옥사이드) 등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한 부가 중합체이다. 옥시알킬렌기의 부가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 종류의 알킬렌옥사이드를 사용한 단독 부가체여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를 사용한 랜덤 부가체, 블록 부가체, 혹은 그들 랜덤 부가와 블록 부가의 조합이어도 된다.
상기 옥시알킬렌기로는, 슬럼프 유지성이 우수한 점에서, 옥시에틸렌기가 바람직하고, 2 종류 이상의 옥시알킬렌기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 1 종류는 옥시에틸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A1O)m3 사슬 부분은, 슬럼프 유지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옥시에틸렌기를 50 ∼ 10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100 몰% 함유하는 (폴리)옥시알킬렌 사슬이다.
m3 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1 ∼ 100 의 범위의 수이다. m3 은, 슬럼프 유지성이 우수한 점에서, 5 ∼ 8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5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단량체 (A) 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WO2013/108588A1 의 단락 0020 ∼ 0025 에 기재된 방법,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3921호의 단락 0024 ∼ 0027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단량체 (B)]
단량체 (B) 는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폴리옥시알킬렌-1-(알릴옥시메틸)알킬에테르이다.
[화학식 8]
일반식 (2) 중, R3 은 탄소수 8 ∼ 1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직사슬형이어도 되고 분기형이어도 된다. R3 은, 분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탄소수 10 이상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탄소수 12 이하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 (B) 는, R3 의 탄소수가 상이한 것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일반식 (2) 중의 A2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직사슬형이어도 되고 분기형이어도 된다. 따라서, A2O 로 나타내는 옥시알킬렌기로는, 옥시에틸렌기, 옥시프로필렌기, 옥시부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2) 에 있어서의 (A2O)n 사슬 부분은,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사이드로서,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한 부가 중합체이다. 옥시알킬렌기의 부가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 종류의 알킬렌옥사이드를 사용한 단독 부가체여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를 사용한 랜덤 부가체, 블록 부가체, 혹은 그들 랜덤 부가와 블록 부가의 조합이어도 된다.
상기 옥시알킬렌기로는, 슬럼프 유지성이 우수한 점에서, 옥시에틸렌기가 바람직하고, 2 종류 이상의 옥시알킬렌기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 1 종류는 옥시에틸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A2O)n 사슬 부분은, 슬럼프 유지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옥시에틸렌기를 50 ∼ 10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100 몰% 함유하는 (폴리)옥시알킬렌 사슬이다.
n 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1 ∼ 100 의 범위의 수이다. n 은, 슬럼프 유지성이 우수한 점에서,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n 은,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단량체 (B) 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릴알코올과 α-올레핀에폭사이드를, 수산화칼륨 등의 염기성 물질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2-하이드록시알킬알릴에테르를 얻고, 얻어진 2-하이드록시알킬알릴에테르에 공지된 방법으로 소정량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함으로써,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단량체 (B) 가 얻어진다.
[단량체 (C)]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단량체 (C-1) (이하, 간단히 단량체 (C-1) 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은, 불포화 카르복시산 및/또는 그 염이고, 불포화 모노카르복시산 및/또는 그 염이어도 되고, 불포화 디카르복시산 및/또는 그 염이어도 된다. 염으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알킬암모늄염, 알칸올암모늄염 또는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단량체 (C-1) 은 2 종 이상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어도 된다.
단량체 (C-1) 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들 수 있다. 그 때문에,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단량체 (C-1) 은 하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낸다.
[화학식 9]
일반식 (3) 중, R4 는 수소 원자,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염이다. R5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X 는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원자, 알칼리 토금속 원자, 알킬암모늄, 알칸올암모늄 또는 암모늄을 나타낸다. R4 에 있어서의 염의 구체예는, X 와 동일하게,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알킬암모늄염, 알칸올암모늄염 또는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단량체 (C-1) 로는, 분산성 및 슬럼프 유지성이 우수한 점에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옥시에틸렌기 함유 불포화 카르복시산에스테르 (C-2) (이하, 간단히 단량체 (C-2)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산에스테르, 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아크릴산에스테르, 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산에스테르, 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말레산(디)에스테르, 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푸마르산(디)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어느 1 종 또는 2 종 이상 사용해도 된다. 단량체 (C-2) 에 있어서의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 ∼ 50 이어도 되고, 1 ∼ 20 이어도 되고, 2 ∼ 20 이어도 된다. 여기서, (폴리)옥시에틸렌이란, 옥시에틸렌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을 의미하고, 괄호로 쓰인 것과 아닌 것의 쌍방을 포함한다. (디)아크릴산에스테르, (디)메타크릴산에스테르, (디)에스테르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들 중, 단량체 (C-2) 로는, 분산성 및 슬럼프 유지성이 우수한 점에서, 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아크릴산에스테르 및/또는 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단량체 (C) 로는, 슬럼프 유지성이 우수한 점에서,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단량체 (C-1)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단량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중합체에서는, 또 다른 단량체를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산벤질, 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벤질, 메타크릴산스테아릴 등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어느 1 종 또는 2 종 이상 사용해도 된다.
[공중합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중합체는, 구성 단량체로서, 단량체 (A) 및 단량체 (B)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 그리고,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단량체 (C-1) 및 옥시에틸렌기 함유 불포화 카르복시산에스테르 (C-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 (C) 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그 공중합체는, 단량체 (A) 유래의 구조 단위 및/또는 단량체 (B) 유래의 구조 단위와, 단량체 (C) 유래의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성 단량체란,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를 말하지만, 반드시 공중합체를 중합할 때에 사용하는 단량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중합 후에 알칼리성 물질로 중화하여 얻어지는 구조를 갖는 것도 포함한다.
단량체 (A) 및 (B) 의 합계 함유량은, 구성 단량체 중 (즉, 공중합체 중) 에, 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2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량체 (A) 및 단량체 (B) 의 각각의 함유량에 대해서도, 구성 단량체 중에,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다. 이들의 비율은, 구성 단량체 전체를 100 질량% 로 한 비율이다 (하기의 단량체 (C) 의 함유량에 대해서도 동일).
공중합체에 있어서, 단량체 (C) 의 함유량은, 구성 단량체 중 (즉, 공중합체 중) 에, 2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또, 99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8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7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량체 (C) 의 함유량은 2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이다.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중합체는, 수용성 폴리머이다. 공중합체를 수용성으로 하기 위해서는, 공중합체 중에 있어서의 단량체 (C) 의 비율을 높이면 되고, 예를 들어 단량체 (C) 의 함유량을 20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수용성 폴리머가 얻어진다.
여기서, 공중합체가 수용성인 것은, 다음과 같이 하여 정의된다. 즉, 공중합체의 1 질량% 수용액 (공중합체의 함유량이 1 질량% 가 되도록 물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것) 을 시료로 하여 광로 길이 1 ㎝ 의 석영 셀에 충전하고, 가시 자외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25 ℃ 에 있어서 파장 660 ㎚ 의 광 투과율을 측정한다. 광 투과율이 90 %T 이상인 것을 수용성으로 한다. 가시 자외 분광 광도계로는, 예로서 하기 실시예에서는 히타치 테크놀로지스사 제조 「U-1800 형 레시오 빔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였다.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5000 이상이어도 되고, 10000 이상이어도 된다. 또, 50000 이하여도 되고, 30000 이하여도 된다. 그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 (Mw/Mn) 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3 ∼ 2.5 의 범위여도 된다.
여기서, 중량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로 폴리에틸렌글리콜 환산하는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이하의 조건을 들 수 있다.
GPC 측정 조건 :
GPC 장치 : HLC-8020 RI 검출 (TOSOH 제조)
칼럼 : TSK guard column PWXL, TSKgel G2500 PWXL, TSKgel G3000 PWXL, TSKgelG4000 PWXL, 및 TSKgel G6000 PWXL (TOSOH 제조) 을 직렬로 접속
용리액 : 0.08 M 아세트산나트륨 수용액/아세토니트릴 = 70/30 vol%
유속 : 0.7 ㎖/min
온도 : 40 ℃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 중합의 경우, 용매는 물, 탄소수 1 ∼ 3 의 알코올, 벤젠 및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아세트산에틸,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물 및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반응에 있어서, 단량체의 혼합물은, 일부 또는 전체량을 반응 용기에 주입해도 되고, 연속 적하해도 된다. 또 중합 개시제는, 연속 적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과산화수소, 과황산염 (과황산암모늄,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칼륨 등), 아조아미딘 화합물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염산염,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염산염 등), 아조니트릴 화합물 (2-카르바모일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공지된 반응 촉진제를 병용해도 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 ∼ 1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12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 10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시에는, 공지된 연쇄 이동제를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연쇄 이동제로는, 예를 들어, 티올계 연쇄 이동제, 제 2 급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또, 아인산, 디아인산, 아황산 및 이들의 염을 사용해도 된다.
중합 반응 종료 후, 용매의 제거 또는 첨가에 의한 농도 조정, pH 조정, 정제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얻어진 공중합체는, pH 가 6 ∼ 8 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H 조정은, 예를 들어, 금속 수산화물, 암모니아, 유기 아민 등의 알칼리성 물질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중합체는, 중합 반응 후에 알칼리성 물질을 사용하여 중화된 것이어도 된다.
[공중합체의 용도]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시멘트 등의 무기 입자의 분산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시멘트 분산제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단,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지 입자 등의 각종 입자의 분산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중합체는, 일반적인 수용성 폴리머로서의 용도, 예를 들어, 증점제, 유화제 등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분산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분산제는, 상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 공중합체를 분산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시멘트 등의 입자의 분산성과 슬럼프 유지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성 단량체로서 포함되는 단량체 (A) 및/또는 단량체 (B) 가 특정한 소수기와 옥시알킬렌기를 가짐으로써, 시멘트 등의 입자 (분산질) 의 흡착이 촉진됨과 함께, 입자의 응집이 억제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분산제에 있어서, 공중합체는, 수용액의 형태로 사용해도 되고, 혹은 건조시켜 분체화된 형태로 사용해도 된다. 또, 분산제는, 상기 공중합체 이외에, 그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성분으로는, 술폰산계 분산제나 폴리카르복시산계 분산제 등의 공지된 분산제를 들 수 있다. 또, 공지된 첨가제, 예를 들어, 수용성 고분자 물질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경화 지연제 (글루콘산, 당, 포스폰산 등), 조강제·촉진제 (염화칼슘, 염화철, 수산화칼륨 등), 옥시알킬렌계 소포제 (폴리옥시알킬렌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류 등), 그 밖의 소포제 (광유계, 유지계, 실리콘계 등), AE 제 (수지 비누,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등), 계면 활성제 (아니온성, 카티온성, 논이온성, 양쪽성), 방수제, 방청제, 균열 저감제, 팽창재 등을 사용해도 된다.
[분산체 조성물]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분산체 조성물은, 입자와 상기 분산제를 함유하는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입자와 상기 분산제와 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분산체 조성물은 시멘트 조성물이고, 그 경우, 시멘트 조성물은, 시멘트와 상기 분산제와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멘트 조성물에 포함되는 시멘트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포틀랜드 시멘트 (보통, 조강, 초조강, 중용열, 내황산염 및 각각의 저알칼리형), 각종 혼합 시멘트 (고로 시멘트, 실리카 시멘트, 플라이애시 시멘트),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초속경 시멘트, 그라우트용 시멘트, 유정 시멘트, 저발열 시멘트, 초고강도 시멘트, 시멘트계 고화재, 에코 시멘트 (도시 쓰레기 소각재, 하수 오니 소각재의 1 종 이상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시멘트) 등을 들 수 있고, 어느 1 종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 사용해도 된다.
시멘트 조성물에는, 세골재나 조골재 등의 임의의 적절한 골재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골재로는, 예를 들어, 모래, 자갈, 쇄석, 수쇄 슬러그, 재생 골재 등을 들 수 있고, 또, 규석질, 점토질, 지르콘질, 하이 알루미나질, 탄화규소질, 흑연질, 크롬질, 크로마그질, 마그네시아질 등의 내화 골재도 들 수 있다.
시멘트 조성물 등의 분산체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분산제의 함유 비율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함유 비율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멘트 조성물이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인 경우, 시멘트 100 질량부에 대한, 상기 분산제의 함유 비율은, 공중합체의 함유 비율로서, 0.001 질량부 ∼ 10 질량부여도 되고, 0.01 질량부 ∼ 5 질량부여도 되고, 0.05 질량부 ∼ 3 질량부여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구조식 중, EO 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내고, PO 는 옥시프로필렌기를 나타낸다.
[단량체 (A) 의 합성]
·단량체 (A-1) :
온도계, 환류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스티렌화페놀 (모노스티렌화페놀 : 디스티렌화페놀 : 트리스티렌화페놀 = 72 : 27 : 1 의 혼합물) 230 g (1.0 몰), NaOH 40 g (1.0 몰) 및 아세톤 210 g 을 주입하고, 교반하면서 내온을 40 ℃ 로 승온하였다. 다음으로 알릴클로라이드 91 g (1.2 몰) 을 1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추가로 40 ℃ 로 2 시간 유지하고, 반응을 실시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여과하고, 부생된 NaCl 을 제거한 후, 감압하에 아세톤을 제거하고, 알릴스티렌화페닐에테르를 얻었다. 얻어진 알릴스티렌화페닐에테르 290 g 을 오토클레이브에 주입하고, 200 ℃ 에서 5 시간 교반 유지한 후, 수산화칼륨 촉매의 존재하, 압력 1.5 ㎏/㎤, 온도 130 ℃ 의 조건에서, 에틸렌옥사이드 880 g (20 몰) 을 반응시킴으로써, 다음 식으로 나타내는 단량체 (A-1) 을 얻었다.
[화학식 10]
·단량체 (A-2) :
에틸렌옥사이드의 양을 440 g (10 몰)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단량체 (A-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다음 식으로 나타내는 단량체 (A-2) 를 얻었다.
[화학식 11]
·단량체 (A-3) :
에틸렌옥사이드의 양을 2200 g (50 몰)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단량체 (A-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다음 식으로 나타내는 단량체 (A-3) 을 얻었다.
[화학식 12]
·단량체 (A-4) :
에틸렌옥사이드의 양을 2640 g (60 몰)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단량체 (A-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다음 식으로 나타내는 단량체 (A-4) 를 얻었다.
[화학식 13]
·단량체 (A-5) :
에틸렌옥사이드 880 g (20 몰) 대신에, 에틸렌옥사이드 660 g (15 몰) 과 프로필렌옥사이드 174 g (3 몰) 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단량체 (A-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다음 식으로 나타내는 단량체 (A-5) 를 얻었다.
[화학식 14]
[단량체 (B) 의 합성]
·단량체 (B-1) :
온도계, 환류관,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알릴알코올 76 g (1.3 몰) 과 수산화칼륨 8.4 g (0.15 몰) 을 주입하고, 질소하에서 80 ℃ 까지 승온하였다. 계속해서, α-올레핀에폭사이드 (탄소수 12 와 탄소수 14 의 혼합물) 212 g (1.0 몰) 을 적하하여 첨가하고, 5 시간 반응을 실시하였다. 감압하여 잔존하는 알릴알코올을 증류 제거한 후, 수세, 건조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건조물을 오토클레이브로 옮기고, 수산화칼륨 촉매의 존재하, 압력 1.5 ㎏/㎤, 온도 130 ℃ 의 조건에서, 에틸렌옥사이드 880 g (20 몰) 을 반응시킴으로써, 다음 식으로 나타내는 단량체 (B-1) 을 얻었다.
[화학식 15]
·단량체 (B-2) :
에틸렌옥사이드의 양을 880 g (20 몰) 에서 440 g (10 몰)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단량체 (B-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다음 식으로 나타내는 단량체 (B-2) 를 얻었다.
[화학식 16]
·단량체 (B-3) :
에틸렌옥사이드의 양을 880 g (20 몰) 에서 1760 g (40 몰)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단량체 (B-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다음 식으로 나타내는 단량체 (B-3) 을 얻었다.
[화학식 17]
·단량체 (B-4) :
에틸렌옥사이드의 양을 880 g (20 몰) 에서 3520 g (80 몰)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단량체 (B-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다음 식으로 나타내는 단량체 (B-4) 를 얻었다.
[화학식 18]
·단량체 (B-5) :
에틸렌옥사이드 880 g (20 몰) 대신에, 에틸렌옥사이드 660 g (15 몰) 과 프로필렌옥사이드 290 g (5 몰) 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단량체 (B-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다음 식으로 나타내는 단량체 (B-5) 를 얻었다.
[화학식 19]
[실시예 1 ∼ 14, 비교예 1 ∼ 4]
온도계, 교반기, 적하 깔때기, 냉각관,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유리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120 g 을 주입하고, 교반하에서 반응기 내를 질소 치환한 후, 80 ℃ 로 승온하였다. 표 1 에 기재된 비율로 혼합한 단량체 200 g 과 물 100 g 의 혼합물, 및 과황산암모늄 4 g 과 물 80 g 의 혼합물을, 각각 2 시간에 걸쳐 80 ℃ 로 유지한 반응기 내에 동시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추가로 80 ℃ 에서 2 시간 유지하였다. 계속해서, 40 ℃ 까지 냉각시키고, 24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pH 7.0 ∼ 7.5 로 중화함으로써, 표 1 에 나타내는 Mw 및 Mw/Mn 을 각각 갖는 실시예 1 ∼ 14 및 비교예 1 ∼ 4 의 공중합체의 수용액을 얻었다.
표 1 중의 단량체에 대해, A-1 ∼ A-5 및 B-1 ∼ B-5 는 상기에서 합성한 것이다. 그 밖의 단량체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다.
·AA : 아크릴산 (와코 순약 공업 (주) 제조)
·MA : 메타크릴산 (와코 순약 공업 (주) 제조)
·PMA :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13) 아크릴레이트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 제조 「뉴프론티어 MPE-600」)
·BnMA : 메타크릴산벤질 (쿄에이샤 화학 (주) 제조 「라이트에스테르 BZ」)
·SMA : 메타크릴산스테아릴 (쿄에이샤 화학 (주) 제조 「라이트에스테르 S」)
또한, 단량체 AA 및 MA 에 대해서는, 표 1 은 중화 후의 나트륨염 (AA-Na, MA-Na) 으로서의 함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얻어진 공중합체에 대해, 수용성인 것을 확인하기 위해, 1 질량% 수용액의 광 투과율을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 얻어진 공중합체의 수용액을, 고형분 40 질량% 로 조정하고, 분산제로 하였다. 얻어진 분산제를 사용하여,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산성]
JIS R 5201 에 준하여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작하였다. 즉, 고형분 환산으로 3 g 의 분산제와 물 300 g 을 혼합한 후, 시판되는 포틀랜드 시멘트 600 g 과 모래 1800 g 을 혼련한 혼합물에 첨가하고, 모르타르 믹서를 사용하여 1 분간 저속 교반한 후, 추가로 2 분간 고속 교반하여, 시멘트 모르타르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시멘트 모르타르에 대해, JIS R 5201 에 준하여, 제조 직후 및 제조 1 시간 후의 플로값 (㎜) 을 측정하고, 하기의 기준에 의해 분산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A : 제조 직후의 플로값이 170 ㎜ 를 초과하고 있다
B : 제조 직후의 플로값이 160 ㎜ 를 초과하고 170 ㎜ 이하
C : 제조 직후의 플로값이 160 ㎜ 이하
[슬럼프 유지성]
분산성에서 측정한 플로값을 사용하여, 하기 식으로부터 슬럼프 유지율을 산출하였다.
슬럼프 유지율 (%) = (제조 1 시간 후의 플로값/제조 직후의 플로값) × 100
산출한 슬럼프 유지율을 사용하여, 하기의 기준에 의해 슬럼프 유지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A : 슬럼프 유지율이 90 % 를 초과하고 있다
B : 슬럼프 유지율이 85 % 를 초과하고 90 % 이하
C : 슬럼프 유지율이 85 % 이하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단량체 (A) 및/또는 단량체 (B) 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 4 에 대하여, 이들 단량체를 사용한 실시예 1 ∼ 14 이면, 플로값이 크고 분산성이 우수함과 함께, 슬럼프 유지율이 높아 슬럼프 유지성이 우수하였다.
Claims (6)
- 구성 단량체로서,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단량체 (A) 및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단량체 (B)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 그리고,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단량체 (C-1) 및 옥시에틸렌기 함유 불포화 카르복시산에스테르 (C-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 (C) 를 함유하고, 상기 단량체 (C) 의 함유량이 구성 단량체 중에 2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인, 공중합체.
식 (1) 중, D1 은 하기 기 D1-1 및 D1-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중합성의 불포화기를 나타내고, 이들 식 중의 R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은 하기 기 R1-1, R1-2 및 R1-3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기를 나타내고, m1 및 m2 는 단량체 (A) 전체의 평균값으로서 각각 1 ∼ 2 이고, A1 은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m3 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1 ∼ 100 의 수이다.
식 (2) 중, R3 은 탄소수 8 ∼ 1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2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n 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1 ∼ 100 의 수이다. - 구성 단량체로서,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단량체 (A) 및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단량체 (B)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 그리고,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단량체 (C-1) 및 옥시에틸렌기 함유 불포화 카르복시산에스테르 (C-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 (C) 를 함유하는, 수용성의 공중합체.
식 (1) 중, D1 은 하기 기 D1-1 및 D1-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중합성의 불포화기를 나타내고, 이들 식 중의 R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은 하기 기 R1-1, R1-2 및 R1-3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기를 나타내고, m1 및 m2 는 단량체 (A) 전체의 평균값으로서 각각 1 ∼ 2 이고, A1 은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m3 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1 ∼ 100 의 수이다.
식 (2) 중, R3 은 탄소수 8 ∼ 1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2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n 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1 ∼ 100 의 수이다.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A) 및 (B) 의 합계 함유량이, 구성 단량체 중에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공중합체.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용액.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산제.
- 입자 및 제 5 항에 기재된 분산제를 함유하는 분산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183971A JP2019059815A (ja) | 2017-09-25 | 2017-09-25 | 共重合体、分散剤、分散体組成物 |
JPJP-P-2017-183971 | 2017-09-25 | ||
PCT/JP2018/034316 WO2019059143A1 (ja) | 2017-09-25 | 2018-09-15 | 共重合体、分散剤、分散体組成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4950A true KR20200054950A (ko) | 2020-05-20 |
Family
ID=6580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05502A Withdrawn KR20200054950A (ko) | 2017-09-25 | 2018-09-15 | 공중합체, 분산제, 분산체 조성물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199277A1 (ko) |
EP (1) | EP3689928A1 (ko) |
JP (1) | JP2019059815A (ko) |
KR (1) | KR20200054950A (ko) |
CN (1) | CN111065661A (ko) |
TW (1) | TW201915039A (ko) |
WO (1) | WO2019059143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17092A (ko) * | 2021-07-20 | 2024-02-06 |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및 수경성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07040B (zh) * | 2020-06-24 | 2022-11-04 | 南宁新泰瑞科建材股份有限公司 | 一种超徐放型聚羧酸保坍剂及其制备方法 |
JP7611451B1 (ja) | 2024-08-14 | 2025-01-09 |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 樹脂水分散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塗料及び粘着剤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23096A (ja) | 2014-07-17 | 2016-02-08 | 株式会社日本触媒 | セメント分散剤およびセメント組成物 |
JP2016179926A (ja) | 2015-03-24 | 2016-10-13 | 日本製紙株式会社 | セメント混和剤およびセメント組成物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18044A (ja) * | 1993-10-19 | 1995-05-09 |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 セメント混和剤 |
JP3723886B2 (ja) * | 1996-02-14 | 2005-12-07 |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 分散剤 |
US5912284A (en) * | 1996-12-26 | 1999-06-15 | Nippon Shokubai Co., Ltd. | Cement additive, its production process and use |
JPH10298211A (ja) * | 1997-04-25 | 1998-11-10 | Asahi Denka Kogyo Kk | 活性エネルギー線重合性エマルジョン |
JPH11322389A (ja) * | 1998-05-15 | 1999-11-24 | Toagosei Co Ltd | セメント用分散剤 |
JP4580080B2 (ja) * | 2000-09-22 | 2010-11-10 | サカタインクス株式会社 | カラーフィルター用顔料分散レジスト組成物 |
JP2007238387A (ja) * | 2006-03-09 | 2007-09-20 | Nippon Shokubai Co Ltd | 粉末状セメント分散剤 |
EP1775271A3 (en) * | 2005-10-14 | 2009-02-18 | Nippon Shokubai Co.,Ltd. | Cement additive |
US8519029B2 (en) * | 2008-06-16 | 2013-08-27 |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 Copolymer admixture system for workability retention of cementitious compositions |
CN101492518B (zh) * | 2009-02-27 | 2010-12-08 | 上海市建筑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 | 一种醚类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工艺 |
IN2014CN02953A (ko) * | 2011-10-20 | 2015-07-03 |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 |
CN103797034B (zh) * | 2012-01-16 | 2015-03-04 | 第一工业制药株式会社 | 乳液聚合用乳化剂 |
KR101539350B1 (ko) * | 2012-08-21 | 2015-07-2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의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
CN102976655B (zh) * | 2012-12-05 | 2014-07-02 | 江苏苏博特新材料股份有限公司 | 一种保坍型聚羧酸超塑化剂 |
CN103172798A (zh) * | 2012-12-19 | 2013-06-26 | 吉林大学 | 一种高性能聚羧酸减水剂的制备方法 |
JP2015000970A (ja) * | 2013-06-18 | 2015-01-05 |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 非水性分散媒用分散剤 |
JP2015009707A (ja) * | 2013-06-28 | 2015-01-19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無人ヘリコプタ |
JP6242611B2 (ja) * | 2013-07-03 | 2017-12-06 |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 界面活性剤組成物 |
CN104371071B (zh) * | 2014-05-23 | 2017-05-17 | 江苏苏博特新材料股份有限公司 | 一种超支化聚羧酸混凝土高效减水剂的制备方法 |
JP6114868B1 (ja) * | 2016-09-29 | 2017-04-12 |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 界面活性剤組成物 |
-
2017
- 2017-09-25 JP JP2017183971A patent/JP2019059815A/ja active Pending
-
2018
- 2018-09-06 TW TW107131209A patent/TW201915039A/zh unknown
- 2018-09-15 CN CN201880058786.9A patent/CN111065661A/zh active Pending
- 2018-09-15 EP EP18858803.2A patent/EP3689928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8-09-15 KR KR1020207005502A patent/KR20200054950A/ko not_active Withdrawn
- 2018-09-15 US US16/644,372 patent/US2020019927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9-15 WO PCT/JP2018/034316 patent/WO2019059143A1/ja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23096A (ja) | 2014-07-17 | 2016-02-08 | 株式会社日本触媒 | セメント分散剤およびセメント組成物 |
JP2016179926A (ja) | 2015-03-24 | 2016-10-13 | 日本製紙株式会社 | セメント混和剤およびセメント組成物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17092A (ko) * | 2021-07-20 | 2024-02-06 |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및 수경성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065661A (zh) | 2020-04-24 |
EP3689928A1 (en) | 2020-08-05 |
WO2019059143A1 (ja) | 2019-03-28 |
TW201915039A (zh) | 2019-04-16 |
JP2019059815A (ja) | 2019-04-18 |
US20200199277A1 (en) | 2020-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0719B1 (ko) | 신규한 중합체 및 이를 사용한 시멘트 혼화제 | |
JP5148111B2 (ja) | セメント混和剤 | |
KR101324266B1 (ko) | 수경성 조성물용 분산제 | |
JP6514806B2 (ja) | セメント組成物 | |
KR101840887B1 (ko) |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시멘트 분산제 | |
KR20200054950A (ko) | 공중합체, 분산제, 분산체 조성물 | |
JP6570433B2 (ja) | コンクリート用添加剤 | |
JP5561997B2 (ja) | セメント硬化促進剤組成物 | |
JP2015187054A (ja) | セメント分散剤組成物およびセメント組成物 | |
JP6649811B2 (ja) | 水硬性組成物用添加剤およびコンクリート組成物 | |
JP6570432B2 (ja) | ポゾラン性物質含有水硬性組成物用粘性低減剤 | |
JP2013082904A (ja) | 親水性共重合体の製造方法 | |
JP2012116951A (ja) | ポリ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系重合体及びセメント混和剤並びにセメント組成物 | |
JP6649810B2 (ja) | ポゾラン性物質含有水硬性組成物用強度向上剤、ポゾラン性物質含有水硬性組成物用添加剤、およびコンクリート組成物 | |
JP6626376B2 (ja) | 水硬性組成物用強度向上剤、水硬性組成物用添加剤、およびコンクリート組成物 | |
JP2023134481A (ja) | 重合体及びセメント混和剤 | |
JP6557005B2 (ja) | 無機粒子添加剤用櫛型ポリマー及びその用途 | |
JP2016069412A (ja) | (ポリ)アニオン系櫛型ポリマー及びその用途 | |
JP5637827B2 (ja) | 重合体含有組成物、セメント混和剤およびセメント組成物 | |
JP6145382B2 (ja) | (ポリ)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系ブロック共重合体およびその用途 | |
JP2012116949A (ja) | ポリ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系重合体、セメント混和剤及びセメント組成物 | |
JP5611789B2 (ja) | 重合体含有組成物、セメント混和剤及びセメント組成物 | |
JP7160632B2 (ja) | ポリカルボン酸系共重合体 | |
JP2024012339A (ja) | セメント添加剤 | |
WO2024101285A1 (ja) | 炭酸カルシウム配合セメント組成物用分散剤及び炭酸カルシウム配合セメント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2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