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29718A - 패널 연결구 - Google Patents

패널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718A
KR20200029718A KR1020180108091A KR20180108091A KR20200029718A KR 20200029718 A KR20200029718 A KR 20200029718A KR 1020180108091 A KR1020180108091 A KR 1020180108091A KR 20180108091 A KR20180108091 A KR 20180108091A KR 20200029718 A KR20200029718 A KR 20200029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s
panel
connecting member
support surfac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김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호 filed Critical 김재호
Priority to KR1020180108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9718A/ko
Publication of KR20200029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의 손상 없이 두 개의 패널을 쉽게 연결할 수 있는 패널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패널 연결구는, 제1 및 제2 패널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패널 연결구로, 제1 연결 부재; 상기 제1 연결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을 위치시키기 위한 제2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부재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이 압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부재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널 연결구{Panel connector}
본 발명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결구는 두 개의 부재를 연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결구는, 연결 대상물에 따라, 가구 등의 패널을 연결하는 패널 연결구와, 전선을 연결하는 전선 연결구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패널 연결구는, 테이블 등의 가구를 구성하는 부재들 중 두 개의 패널 사이에 놓여 이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패널 연결구 및 이에 의해 장착되는 두 개의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패널 연결구를 통해 두 개의 패널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패널 연결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볼트(10)와 연결 몸체부(20)를 포함한다. 연결 볼트(10)는 그 일 측에 형성되는 스크류부(11)를 이용해 제1 패널(80)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연결 몸체부(20)는 제2 판넬(90)에 형성되는 몸체 결합홈(9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렇게, 제1 패널에 삽입되어 결합된 연결 볼트(10)는 그 타 측에 형성되는 헤드부(13)가 제2 판넬(90)에 형성되는 체결공(91)을 통해 연결 몸체부(20)의 안착홈(23)에 끼워진 후, 연결 몸체부(20)를 회전시켜 연결 볼트(10)의 헤드부(13)를 연결 몸체부(20)의 포크부(24)에 걸어주어서 제1 및 제2 패널(80)(90)을 결합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패널 연결구는, 제1 패널(80)에 스크류부(11)의 결합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고, 제2 패널(90)에도 체결공(91)과 몸체 결합홈(92)이 형성되어야 하는 기술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구멍들로 인해, 제1 및 제2 패널(80)(90)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패널(80)(90)을 다른 구조물로 재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패널 연결구는, 연결 볼트(10)에 의한 체결 뿐만 아니라 연결 몸체부(20)를 회전시켜야 체결이 완료되는 구조여서, 연결 과정이 번잡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패널의 손상 없이 두 개의 패널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패널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연결구는, 제1 및 제2 패널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패널 연결구로, 제1 연결 부재; 상기 제1 연결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을 위치시키기 위한 제2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부재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이 압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부재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연결 몸체; 상기 제1 연결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패널의 일면을 면 접촉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제1 일단부 패널 지지면; 및 상기 제1 연결 몸체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패널의 일면을 면 접촉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제1 타단부 패널 지지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제2 연결 몸체; 상기 제2 연결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패널의 타면을 면 접촉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제2 일단부 패널 지지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패널의 타면을 면 접촉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제2 타단부 패널 지지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몸체의 중심부는, 상기 제2 일단부 패널 지지면과 상기 제2 타단부 패널 지지면 보다 제1 연결 몸체의 중심부를 향해 더 돌출된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이 직각을 이루며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일단부 패널 지지면과 상기 제1 타단부 패널 지지면은 서로 90도 경사질 수 있고, 상기 제2 일단부 패널 지지면과 상기 제2 타단부 패널 지지면은 서로 90도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제2 연결 부재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직각을 이루는 제1 및 제2 패널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직각을 이루는 제1 및 제2 패널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 중 상기 제2 일단부 패널 지지면에 인접하는 일 측면은 상기 제2 일단부 패널 지지면과 90도 경사질 수 있고, 상기 돌출부 중 상기 제2 타단부 패널 지지면에 인접하는 타 측면은 상기 제2 타단부 패널 지지면과 90도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중심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 통과공;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중심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 통과공; 상기 제1 통과공에 삽입되는 체결 너트; 및 상기 제2 통과공과 상기 제1 통과공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체결 너트에 체결되는 체결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너트는, 상기 제1 통과공에 삽입된 형태로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연결구는, 상기 체결 볼트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처리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부는,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통과공과 동심을 이루되 상기 제2 통과공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마감홈; 및 상기 마감홈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감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패널 연결구는, 가구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연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와, 그리고 체결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제1 및 제2 연결 부재 사이에 연결을 필요로 하는 제1 및 제2 패널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의 체결력에 의한 가압으로 제1 및 제2 패널을 압착시켜 연결할 수 있어, 즉 제1 및 제2 패널에 구멍을 뚫어 연결하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구멍을 뚫지 않아도 연결할 수 있어, 제1 및 제2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패널을 다른 가구의 구조물로 재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연결 부재의 제1 통과공에 마련된 체결 너트와, 제2 연결 부재의 제2 통과공과 제1 연결 부재의 제1 통과공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체결 볼트가 서로 나사 체결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체결 볼트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제1 및 제2 연결 부재 사이에 위치된 제1 및 제2 패널이 연결될 수 있어, 종래의 기술과 달리 연결 과정이 쉽고 간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일단부 패널 지지면과 제2 일단부 패널 지지면에 의해 제1 패널의 일면과 타면이 각각 면 접촉된 상태로 놓이고, 제1 타단부 패널 지지면과 제2 타단부 패널 지지면에 의해 제2 패널의 일면과 타면이 각각 면 접촉된 상태로 놓이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접촉 면적의 확대로 인해 마찰 면적의 증가로 서로 분리됨 없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일단부 패널 지지면과 제1 타단부 패널 지지면은 서로 90도 경사지고, 제2 일단부 패널 지지면과 제2 타단부 패널 지지면도 서로 90도 경사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제1 및 제2 패널을 서로 지각이 되도록 연결할 수 있어, 예를 들어 테이블의 경우 제1 패널은 상판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제2 패널은 측면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연결 몸체의 중심부에 제2 일단부 패널 지지면과 제2 타단부 패널 지지면 보다 제1 연결 몸체의 중심부를 향해 더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므로, 제1 및 제2 패널이 돌출부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에 걸리면서 제1 및 제2 패널의 간격이 자동적으로 정해질 수 있어, 제1 및 제2 패널의 연결 작업이 보다 수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체결 너트가 제1 연결 부재와 함께 인서트 사출되므로, 체결 볼트가 체결되는 동안 작업자 손으로 체결 너트를 잡을 필요가 없어, 제1 및 제2 패널의 연결 작업이 보다 수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마감부를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체결 볼트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미를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마감부의 일 구성인 마감 커버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제1 및 제2 패널의 사용처(예를 들어, 가구)와 조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연결 부재가 직각을 이루는 제1 및 제2 패널의 외측에 배치될 경우, 제2 연결 부재 또한 그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으로 주변 부재와의 조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패널 연결구 및 이에 의해 장착되는 두 개의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패널 연결구를 통해 두 개의 패널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연결구 및 이에 의해 장착되는 두 개의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패널 연결구를 통해 두 개의 패널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패널 연결구를 통해 두 개의 패널이 연결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연결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체결 너트가 제1 연결 부재에 인서트 사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절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제2 연결 부재에 마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연결구 및 이에 의해 장착되는 두 개의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패널 연결구를 통해 두 개의 패널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3의 패널 연결구를 통해 두 개의 패널이 연결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연결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체결 너트가 제1 연결 부재에 인서트 사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절개도이며, 그리고 도 8은 도 6의 제2 연결 부재에 마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연결구(10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패널(P10)(P20)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패널 연결구로, 제1 연결 부재(110)와, 제2 연결 부재(120)와, 그리고 체결부(13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연결 부재(1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패널(P10)(P20)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2 연결 부재(120)와 함께 그 사이에 제1 및 제2 패널(P10)(P20)을 위치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부재(110)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몸체(111), 제1 일단부 패널 지지면(112), 그리고 제1 타단부 패널 지지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몸체(111)는 제1 연결 부재(110)의 몸체를 이를 수 있다. 제1 일단부 패널 지지면(112)은, 제1 패널(P10)의 일면(도 5를 기준으로 저면)을 면 접촉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하여 제1 연결 몸체(111)의 일단부 중 제1 패널(P10)의 일면(저면)을 향하는 부분에 평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타단부 패널 지지면(113)은 제2 패널(P20)의 일면(도 5를 기준으로 우측면)을 면 접촉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하여 제1 연결 몸체(111)의 타단부 중 제2 패널(P20)의 일면(우측면)을 향하는 부분에 평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일단부 패널 지지면(112)과 후술할 제2 일단부 패널 지지면(122)에 의해 제1 패널(P10)의 일면(저면)과 타면(상면)이 각각 면 접촉된 상태로 놓일 수 있고, 제1 타단부 패널 지지면(113)과 후술할 제2 타단부 패널 지지면(123)에 의해 제2 패널(P20)의 일면(좌측면)과 타면(우측면)이 각각 면 접촉된 상태로 놓일 수 있어, 체결부(130)에 의해 제1 및 제2 연결 부재(110)(120)의 체결이 이루어질 경우 서로 간의 접촉 면적의 확대로 인한 마찰 면적의 증가로 제1 및 제2 연결 부재(110)(120) 사이에 제1 및 제2 패널(P10)(P2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및 제2 패널(P10)(P20)이 직각을 이루며 연결(도 3 내지 도 5 참조)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일단부 패널 지지면(112)과 제1 타단부 패널 지지면(113)은 서로 90도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일단부 패널 지지면(122)과 제2 타단부 패널 지지면(123)이 서로 90도 경사진 제2 연결 부재(120)와 함께 제1 및 제2 패널(P10)(P20)을 서로 지각이 되도록 연결할 수 있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널(P10)은 가구(예를 들어, 테이블)의 상판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제2 패널(P20)은 가구의 측면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 부재(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 부재(120)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을 이루는 제1 및 제2 패널(P10)(P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부재(1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패널(P10)(P20)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1 연결 부재(110)와 함께 그 사이에 제1 및 제2 패널(P10)(P20)을 위치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제2 연결 부재(120)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 몸체(121), 제2 일단부 패널 지지면(122), 그리고 제2 타단부 패널 지지면(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몸체(121)는 제2 연결 부재(120)의 몸체를 이를 수 있다. 제2 일단부 패널 지지면(122)은, 제1 패널(P10)의 타면(도 4를 기준으로 상면)을 면 접촉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하여 제2 연결 몸체(121)의 일단부 중 제1 패널(P10)의 타면(상면)을 향하는 부분에 평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타단부 패널 지지면(123)은 제2 패널(P20)의 타면(도 4를 기준으로 좌측면)을 면 접촉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하여 제2 연결 몸체(121)의 타단부 중 제2 패널(P20)의 타면(좌측면)을 향하는 부분에 평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일단부 패널 지지면(122)과 상술할 제1 일단부 패널 지지면(112)에 의해 제1 패널(P10)의 일면(저면)과 타면(상면)이 각각 면 접촉된 상태로 놓일 수 있고, 제2 타단부 패널 지지면(123)과 상술할 제1 타단부 패널 지지면(113)에 의해 제2 패널(P20)의 일면(우측면)과 타면(좌측면)이 각각 면 접촉된 상태로 놓일 수 있어, 체결부(130)에 의해 제1 및 제2 연결 부재(110)(120)의 체결이 이루어질 경우 서로 간의 접촉 면적의 확대로 인한 마찰 면적의 증가로 제1 및 제2 연결 부재(110)(120) 사이에 제1 및 제2 패널(P10)(P2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및 제2 패널(P10)(P20)이 직각을 이루며 연결(도 3 내지 도 5 참조)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일단부 패널 지지면(122)과 제2 타단부 패널 지지면(123)은 서로 90도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 일단부 패널 지지면(112)과 제1 타단부 패널 지지면(113)이 서로 90도 경사진 제1 연결 부재(110)와 함께 제1 및 제2 패널(P10)(P20)을 서로 지각이 되도록 연결할 수 있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널(P10)은 가구의 상판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제2 패널(P20)은 가구의 측면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 부재(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을 이루는 제1 및 제2 패널(P10)(P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 몸체(121)의 중심부에는, 제2 일단부 패널 지지면(122)과 제2 타단부 패널 지지면(123) 보다 제1 연결 몸체(111)의 중심부를 향해 더 돌출된 돌출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패널(P10)(P20)이 돌출부(124)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에 걸리면서 제1 및 제2 패널(P10)(P20)의 간격이 자동적으로 정해질 수 있어, 제1 및 제2 패널(P10)(P20)의 연결 작업이 보다 수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4) 중 제2 일단부 패널 지지면(122)에 인접하는 일 측면은 제2 일단부 패널 지지면(122)과 90도 경사질 수 있고, 돌출부(124) 중 제2 타단부 패널 지지면(123)에 인접하는 타 측면은 제2 타단부 패널 지지면(123)과 90도 경사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돌출부(124)는 구조의 강성을 위하여 제2 연결 몸체(121)와 하나의 몸체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130)는, 제1 및 제2 연결 부재(110)(120) 사이에 위치한 제1 및 제2 패널(P10)(P20)이 압착되면서 꽉 끼도록 제1 및 제2 연결 부재(110)(120)를 체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체결부(130)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과공(131), 제2 통과공(132), 체결 너트(133), 그리고 체결 볼트(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과공(131)은 제1 연결 부재(110)의 중심부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통과공(132)은 제2 연결 부재(120)의 중심부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너트(133)는 제1 통과공(131)에 삽입될 수 있고, 체결 볼트(134)는 제2 통과공(132)과 제1 통과공(131)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체결 너트(133)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볼트(134)를 제2 통과공(132)과 제1 통과공(131)에 순차적으로 삽입시킨 후 회전시킬 경우, 체결 볼트(134)와 체결 너트(133) 사이에 조입력이 발생되면서 제1 및 제2 연결 부재(110)(120) 사이에 위치된 제1 및 제2 패널(P10)(P20)이 연결될 수 있어, 종래의 기술과 달리 연결 과정이 쉽고 간결할 수 있다.
나아가, 체결 너트(1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과공(131)에 삽입된 형태로 제1 연결 부재(110)에 인서트 사출(insert molding)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볼트(134)가 체결되는 동안 작업자 손으로 체결 너트(133)를 잡을 필요가 없고 체결 너트(133)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1 및 제2 패널(P10)(P20)의 연결 작업이 보다 수월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제공되므로, 제1 및 제2 연결 부재(110)(120) 사이에 연결을 필요로 하는 제1 및 제2 패널(P10)(P2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130)의 체결력(조임력)에 의한 가압으로 제1 및 제2 패널(P10)(P20)을 압착시켜 연결할 수 있어, 즉 제1 및 제2 패널(도 1의 80)(도 1의 90)에 구멍을 뚫어 연결하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구멍을 뚫지 않아도 연결할 수 있어, 제1 및 제2 패널(P10)(P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패널(P10)(P20)을 다른 가구의 구조물로 재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본 발명의 패널 연결구(100)를 가구에 사용할 경우, 타공기 등의 연장의 사용 없이 일반 사용자가 직접 다양한 형태의 가구를 제작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연결구(100)는, 도 3,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감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볼트(134)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감부(1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홈(141)과 마감 커버(142)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감홈(141)은 제2 연결 부재(12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통과공(132)과 동심을 이루되 제2 통과공(132)보다 큰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마감 커버(142)는 마감홈(141)을 덮도록 마감홈(14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마감 커버(142)를 통해 체결 볼트(134)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미를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마감부(140)의 일 구성인 마감 커버(142)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제1 및 제2 패널(P10)(P20)의 사용처(예를 들어, 가구)와 조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제2 연결 부재(120)가 직각을 이루는 제1 및 제2 패널(P10)(P20)의 외측에 배치될 경우, 제2 연결 부재(120) 또한 그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으로 주변 부재와의 조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P10: 제1 패널 P20: 제2 패널
100: 패널 연결구 110: 제1 연결 부재
111: 제1 연결 몸체 112: 제1 일단부 패널 지지면
113: 제1 타단부 패널 지지면 120: 제2 연결 부재
121: 제2 연결 몸체 122: 제2 일단부 패널 지지면
123: 제2 타단부 패널 지지면 124: 돌출부
130: 체결부 131: 제1 통과공
132: 제2 통과공 133: 체결 너트
134: 체결 볼트 140: 마감부
141: 마감홈 142: 마감 커버

Claims (3)

  1. 제1 및 제2 패널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패널 연결구로,
    제1 연결 부재;
    상기 제1 연결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을 위치시키기 위한 제2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부재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이 압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부재를 체결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패널 연결구.
  2. 제1항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중심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 통과공;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중심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 통과공;
    상기 제1 통과공에 삽입되는 체결 너트; 및
    상기 제2 통과공과 상기 제1 통과공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체결 너트에 체결되는 체결 볼트;
    를 포함하는
    패널 연결구.
  3. 제2항에서,
    상기 패널 연결구는,
    상기 체결 볼트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처리하는 마감부
    를 더 포함하는,
    패널 연결구.
KR1020180108091A 2018-09-11 2018-09-11 패널 연결구 KR20200029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91A KR20200029718A (ko) 2018-09-11 2018-09-11 패널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91A KR20200029718A (ko) 2018-09-11 2018-09-11 패널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718A true KR20200029718A (ko) 2020-03-19

Family

ID=6995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091A KR20200029718A (ko) 2018-09-11 2018-09-11 패널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97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74712A1 (en) Quick-release cymbal felt locating device
WO2006123809A1 (ja) ねじによる部材締着部の防水構造
US6006679A (en) Table assembly
KR20200029718A (ko) 패널 연결구
KR101210682B1 (ko) 조립식선반용 클램프
KR200478855Y1 (ko) 패널용 코너 결합장치
KR101276790B1 (ko) 단자대
KR101837007B1 (ko) 테이블 프레임의 연결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US7033231B2 (en) Radial screw connecting device for an electrical wire
US20060254176A1 (en) Combinative partition
KR200482289Y1 (ko) 조립가구의 결합모듈
JP2019027554A (ja) 板材の連結構造
JPS6244674Y2 (ko)
KR200490419Y1 (ko) 스위치 및 통신용 모듈 공용 브라켓
KR101284518B1 (ko) 이층가구의 기둥 연결구
JPH0143879Y2 (ko)
CN103192909B (zh) 挡泥板快拆固定结构
KR20100090079A (ko) 가구용 체결구
JP2005341718A (ja) モーターケース
KR200278661Y1 (ko) 의자용 좌판고정구조체
TWM535274U (zh) 快速鎖緊裝置
JPH0716785Y2 (ja) 厨房用流し台の化粧板取付構造
JP2542475Y2 (ja) 脚の取付構造
KR20250015067A (ko) 나사 머리가 빠지는 나사못
JPH052413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0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0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4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3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1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0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4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