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76790B1 - 단자대 - Google Patents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790B1
KR101276790B1 KR1020110047897A KR20110047897A KR101276790B1 KR 101276790 B1 KR101276790 B1 KR 101276790B1 KR 1020110047897 A KR1020110047897 A KR 1020110047897A KR 20110047897 A KR20110047897 A KR 20110047897A KR 101276790 B1 KR101276790 B1 KR 101276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block
square plate
nut
groov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9561A (ko
Inventor
김상진
강성근
Original Assignee
김상진
강성근
원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진, 강성근, 원동 filed Critical 김상진
Priority to KR1020110047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790B1/ko
Publication of KR20120129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79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너트(21a)가 각각 삽입 안착되는 육각 형상의 너트홈(21b)이 다수 쌍 형성된 단자대 바디(21)와; 상기 다수 쌍 중 한 쌍의 너트홈(21b)씩을 동시에 커버하고, 상기 너트홈(21b)들의 중심점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진 관통홀(22a)과, 상기 관통홀(22a)의 내주면에 다수개 돌설되되 여기에 삽입되는 단자볼트(23)의 수나사홈에 삽입되도록 뾰족한 형상의 돌기(22b)가 형성된 다수의 사각판부재(22)와; 상기 다수의 사각판부재(22)의 상면을 동시에 누름과 동시에 상기 너트홈(21b) 들 위에 위치하도록 너트홈(21b) 들 사이에 세워진 분할벽(21c)을 관통하고 양단이 외벽(21d)의 내측홈(21e)에 삽입된 누름부재(24)와; 상기 단자대 바디(21) 위에 핀(13)을 매개로 결합되는 단자대 덮개(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단자대 바디(21)에 육각형상의 너트홈(21b)을 형성하고 이 너트홈(21b) 위에 사각판부재(22)와 제2사각판부재(25)를 올려 놓고 단자볼트(23)를 그들 관통홀(22a, 25a)에 손으로 삽입하여 그 뾰족한 형상의 돌기(22b)에 단자볼트(23)의 수나사홈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단자볼트(23)를 돌리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현장 건축물에 단자대를 설치하여 단자를 연결할 때에도 간단한 작동, 즉 단자볼트(23)를 일일이 풀 필요없이 바로 단자를 연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단자대{A TERMINAL PLATE}
본 발명은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를 연결하지 않은 단자대를 완성품으로 조립시 단자를 연결하는 단자볼트를 공구를 이용하여 조립하지 않고 손으로 사각판부재의 관통홀을 통해 너트 위에 삽입하여 관통홀의 내주면에 돌설된 뾰족한 형상의 돌기가 단자볼트의 수나사홈 사이에 걸리도록 조립되도록 한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단자대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단자대(10)는 단자대 바디(11)와, 상기 단자대 바디(11) 위에 핀(13)을 매개로 결합되는 단자대 덮개(12)로 구성된다.
상기 단자대 바디(11)는 단자(1)를 단자볼트(11a)로 조여 연결하도록 나사홀(1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홀(11b)의 사이사이에는 이 나사홀(11b)을 구획하는 단자 분할벽(11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홀(11b)의 외측에는 외벽(11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 분할벽(11c)의 상면에는 핀(13)이 끼워져 상기 단자대 덮개(12)를 상기 단자대 바디(11) 위에 덮도록 핀 결합홈(11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13)은 자체 탄성이 큰 소재로 형성된 것으로서, 큰 자체 탄성에 의해 핀(13)이 단자대 덮개(12)에 끼워지며, 단자대 덮개(12)와 결합된 핀(13)이 자체탄성에 의해 핀 결합홈(11e)에 탈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단자대(10)는 단자(1)를 연결하기 전, 즉 단자(1)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자대(10)를 납품하여 건축물에 이 단자대(1)를 설치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단자(1)를 연결하지 않은채 납품될 때 상기 단자볼트(11a)를 나사홀(11b)에 각각 나사 결합하여서 납품되고 건축물에 설치된다.
건축물에 이 단자대(10)를 설치후 단자(1)를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나사홀(11b)에 각각 나사 결합된 단자볼트(11a)를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나사 결합 상태를 풀고, 단자(1)를 끼운 후 다시 나사 결합하여 조이게 된다.
이와 같이 단자볼트(11a)와 결합되는 나사홀(11b)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나사를 돌려 결합하고 단자를 연결할 때에는 이를 다시 풀고 단자(1)를 삽입한 후 다시 단자볼트(11a)를 돌려 나사 결합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자를 연결하지 않은 단자대를 완성품으로 조립시 단자를 연결하는 단자볼트를 공구를 이용하여 조립하지 않고 손으로 사각판부재의 관통홀을 통해 너트 위에 삽입하여 관통홀의 내주면에 돌설된 뾰족한 형상의 돌기가 단자볼트의 수나사홈 사이에 걸리도록 조립되도록 한 단자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단자대는, 너트가 각각 삽입 안착되는 육각 형상의 너트홈이 다수 쌍 형성된 단자대 바디와; 상기 다수 쌍 중 한 쌍의 너트홈 씩을 동시에 커버하고, 상기 너트홈들의 중심점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진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다수개 돌설되되 여기에 삽입되는 단자볼트의 수나사홈에 삽입되도록 뾰족한 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다수의 사각판부재와; 상기 다수의 사각판부재의 상면을 동시에 누름과 동시에 상기 너트홈 들 위에 위치하도록 너트홈 들 사이에 세워진 분할벽을 관통하고 양단이 외벽의 내측홈에 삽입된 누름부재와; 상기 단자대 바디 위에 핀을 매개로 결합되는 단자대 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각판부재들의 상면에는 판의 중앙에 다수개 돌설된 기둥돌기)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사각판부재와 동일하게 관통홀을 가진 제2사각판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단자대는, 너트가 각각 삽입 안착되는 육각 형상의 너트홈이 다수개 형성된 단자대 바디와; 상기 다수의 너트홈 전체를 커버하고, 상기 너트홈들의 중심점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진 다수의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다수개 돌설되되 여기에 삽입되는 단자볼트의 수나사홈에 삽입되도록 뾰족한 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사각판부재와; 상기 사각판부재의 관통홀 들 사이사이에 형성된 사각홀에 하부 다리가 삽입되어 분할벽을 형성하는 격벽부재와; 상기 격벽부재의 양측에 수직으로 돌기와 홈이 삽입되어 외측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단자대 바디 위에 커버되는 단자대 덮개의 하면에 부착된 핀이 삽입되는 핀 결합홈이 형성된 한 쌍의 외측벽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단자대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단자대 바디에는 육각형상의 너트홈을 형성하고 이 너트홈 위에 사각판부재와 제2사각판부재를 올려 놓고 단자볼트를 그들 관통홀에 손으로 삽입하여 그 뾰족한 형상의 돌기에 단자볼트의 수나사홈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단자볼트를 돌리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현장 건축물에 단자대를 설치하여 단자를 연결할 때에도 간단한 작동, 즉 단자볼트를 일일이 풀 필요없이 바로 단자를 연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자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단자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단자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단자대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단자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단자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단자대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단자대(20)는, 너트(21a)가 각각 삽입 안착되는 육각 형상의 너트홈(21b)이 다수 쌍 형성된 단자대 바디(21)와; 상기 다수 쌍 중 한 쌍의 너트홈(21b)을 동시에 커버하고, 상기 너트홈(21b)들의 중심점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진 관통홀(22a)과, 상기 관통홀(22a)의 내주면에 다수개 돌설되되 여기에 삽입되는 단자볼트(23)의 수나사홈에 삽입되도록 뾰족한 형상의 돌기(22b)가 형성된 다수의 사각판부재(22)와; 상기 다수의 사각판부재(22)의 상면을 누름과 동시에 상기 너트홈(21b) 들 위에 위치하도록 너트홈(21b) 들 사이에 세워진 분할벽(21c)을 관통하고 양단이 외벽(21d)의 내측홈(21e)에 삽입된 누름부재(24)와; 상기 단자대 바디(21) 위에 핀(13)을 매개로 결합되는 단자대 덮개(12)로 구성된다.
상기 사각판부재(22)들의 상면에는 판의 중앙에 다수개 돌설된 기둥돌기(22c)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사각판부재(22)와 같이 동일하게 관통홀(25a)을 가진 제2사각판부재(25)가 설치된 것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상기 사각판부재(22) 위에 각각 제2사각판부재(25)가 설치된 경우 상기 누름부재(24)는 상기 제2사각판부재(25)위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단자대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단자대 바디(21)에 다수개, 즉 6개 형성된 너트 형상과 같이 육각 형상을 가진 너트홈(21b)에 너트(21a)를 삽입하고, 이들 너트홈(21b) 중 한 쌍의 너트홈(21b)씩의 위에 사각판부재(22)를 올려 놓고, 이 사각판부재(22) 위에 제2사각판부재(25)를 올려 놓으며, 이들 사각판부재(22)와 제2사각판부재(25)의 관통홀(22a, 25a)에 단자볼트(23)를 손으로 밀어 넣게 되면, 단자볼트(23)의 수나사홈에 상기 사각판부재(22)의 관통홀(22a)의 내주면에 돌설된 뾰족한 형상의 돌기(22b)가 삽입되어 단자볼트(23)가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런후 상기 사각판부재(22)와 제2사각판부재(25) 들을 누름부재(24)로 누르고, 핀(13)으로 단자대 커버(12)를 상기 단자대 바디(21) 위에 조립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단자대 바디(21)에는 육각형상의 너트홈(21b)을 형성하고 이 너트홈(21b) 위에 사각판부재(22)와 제2사각판부재(25)를 올려 놓고 단자볼트(23)를 그들 관통홀(22a, 25a)에 손으로 삽입하여 그 뾰족한 형상의 돌기(22b)에 단자볼트(23)의 수나사홈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단자볼트(23)를 돌리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현장 건축물에 단자대를 설치하여 단자를 연결할 때에도 간단한 작동, 즉 단자볼트(23)를 일일이 풀 필요없이 바로 단자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단자대(30)는, 너트(31a)가 각각 삽입 안착되는 육각 형상의 너트홈(31b)이 다수개 형성된 단자대 바디(31)와; 상기 다수의 너트홈(31b) 전체를 커버하고, 상기 너트홈(31b)들의 중심점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진 다수의 관통홀(32a)과, 상기 관통홀(32a)의 내주면에 다수개 돌설되되 여기에 삽입되는 단자볼트(33)의 수나사홈에 삽입되도록 뾰족한 형상의 돌기(32b)가 형성된 사각판부재(32)와; 상기 사각판부재(32)의 관통홀(32a) 들 사이사이에 형성된 사각홀(32c)에 하부 다리(34a)가 삽입되어 분할벽(34a)을 형성하는 격벽부재(34)와; 상기 격벽부재(34)의 양측에 수직으로 돌기(35a)와 홈(35b)이 삽입되어 외측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단자대 바디(31) 위에 커버되는 단자대 덮개(12)의 하면에 부착된 핀(13)이 삽입되는 핀 결합홈(35c)이 형성된 한 쌍의 외측벽부재(35)로 구성된다.
상기 사각판부재(32)의 상면에는 판의 중앙에 다수개 돌설된 기둥돌기(32d)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사각판부재(32)의 관통홀(32a)과 일치하는 관통홀(36a)을 가진 다수의 제2사각판부재(36)가 설치된 것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상기 사각판부재(32) 위에 다수의 제2사각판부재(36)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격벽부재(34)는 상기 제2사각판부재(36) 위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단자대의 작용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작용 및 효과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 : 단자 21, 31 : 단자대 바디
21a : 너트 22, 32 : 사각판부재
22a : 관통홀 22b : 뾰족한 형상의 돌기
23, 33 : 단자볼트 24 : 누름부재
25 : 제2사각판부재 34 : 격벽부재
35 : 외측벽부재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너트(31a)가 각각 삽입 안착되는 육각 형상의 너트홈(31b)이 다수개 형성된 단자대 바디(31)와;
    상기 다수의 너트홈(31b) 전체를 커버하고, 상기 너트홈(31b)들의 중심점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진 다수의 관통홀(32a)과, 상기 관통홀(32a)의 내주면에 다수개 돌설되되 여기에 삽입되는 단자볼트(33)의 수나사홈에 삽입되도록 뾰족한 형상의 돌기(32b)가 형성된 사각판부재(32)와;
    상기 사각판부재(32)의 관통홀(32a) 들 사이사이에 형성된 사각홀(32c)에 하부 다리(34a)가 삽입되어 분할벽(34a)을 형성하는 격벽부재(34)와;
    상기 격벽부재(34)의 양측에 수직으로 돌기(35a)와 홈(35b)이 삽입되어 외측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단자대 바디(31) 위에 커버되는 단자대 덮개(12)의 하면에 부착된 핀(13)이 삽입되는 핀 결합홈(35c)이 형성된 한 쌍의 외측벽부재(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KR1020110047897A 2011-05-20 2011-05-20 단자대 Expired - Fee Related KR101276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897A KR101276790B1 (ko) 2011-05-20 2011-05-20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897A KR101276790B1 (ko) 2011-05-20 2011-05-20 단자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561A KR20120129561A (ko) 2012-11-28
KR101276790B1 true KR101276790B1 (ko) 2013-07-03

Family

ID=47514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897A Expired - Fee Related KR101276790B1 (ko) 2011-05-20 2011-05-20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7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100Y1 (ko) 2017-01-20 2018-04-03 주식회사 범한 보호커버를 구비한 단자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2046B (zh) * 2018-12-17 2024-09-27 南通市华冠电器有限公司 多联端子排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8616A (ja) * 1999-10-18 2001-04-27 D D K Ltd 端子台
KR200236826Y1 (ko) * 2001-03-27 2001-10-10 건흥전기 주식회사 단자대
KR200304740Y1 (ko) * 2003-01-18 2003-02-19 조형순 터미널 블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8616A (ja) * 1999-10-18 2001-04-27 D D K Ltd 端子台
KR200236826Y1 (ko) * 2001-03-27 2001-10-10 건흥전기 주식회사 단자대
KR200304740Y1 (ko) * 2003-01-18 2003-02-19 조형순 터미널 블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100Y1 (ko) 2017-01-20 2018-04-03 주식회사 범한 보호커버를 구비한 단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561A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0433B2 (en) Waterproof structure for portion where members are tightened with screw
KR20100005400A (ko) 케이스 체결 장치
KR101276790B1 (ko) 단자대
KR101396229B1 (ko) 스페이스 프레임의 연결장치
KR101407703B1 (ko) 모듈 방식의 방폭형 터미널 블럭
KR101656736B1 (ko) 조립식 가구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20160054685A (ko) 케이블 레이스 웨이용 조인트
US9583864B1 (en) Connection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an electrical load with a source of electrical power
KR101575569B1 (ko) 프로파일용 연결구 구조
CN203868514U (zh) 空调用压线装置及空调
KR101155954B1 (ko) 파티션 고정구
JP3177219U (ja) 組立式家具用の連結手段
CN204608991U (zh) 膜结构边界的固定组件
KR102117071B1 (ko) 전선 접속장치
JP2009200017A (ja) 電線と電気機器との接続端子
CN218182108U (zh) 一种组装结构以及开关和插座
KR20180107615A (ko) 프레임 체결체
JP5236091B2 (ja) 電線と電気機器との接続端子
CN215870634U (zh) 一种固定接线盒的可拆卸防拔出结构
JP2015053121A (ja) バッテリー端子
JP2014184016A (ja) 脚固定構造
KR200452701Y1 (ko) 케이블 접속모듈
KR101068563B1 (ko) 전선 연결장치
JP4111317B2 (ja) ボルト支持具
KR101009506B1 (ko) 전주용 완금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10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