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158A - Console arm res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Console arm rest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11158A KR20200011158A KR1020180085935A KR20180085935A KR20200011158A KR 20200011158 A KR20200011158 A KR 20200011158A KR 1020180085935 A KR1020180085935 A KR 1020180085935A KR 20180085935 A KR20180085935 A KR 20180085935A KR 20200011158 A KR20200011158 A KR 202000111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rest
- holder
- mounting unit
- rear portion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터블 디스플레이 기기를 간편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기기 거치구조를 갖는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 및 전석 승객의 활용도가 낮은 암레스트 후방 영역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거치유닛을 설치하여 포터블 디스플레이 기기를 편안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거치유닛이 콘솔 박스의 후방에서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를 후석 승객이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전석 시트의 리클라이닝 및 슬라이딩 시에 전석 시트백에 디스플레이 기기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전석 시트의 리클라이닝 및 슬라이딩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mounted console armrest of a vehicle having a device mounting structure for easily mounting a portable display device, and can form a mounting space of a display device in a rear region of the armrest having low utilization of drivers and all passenger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mounted console armrest for installing a portable unit in which a portable display device can be used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ounting unit to be deployed at the rear of the console box to allow the rear seat passengers to comfortably watch the seat, and to prevent the display device from being caught in the seat seatback when reclining and sliding the seat sea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degree of freedom of reclining and sliding the seat shee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스플레이 기기를 간편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기기 거치구조를 갖는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mounted console arm rest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mounted console arm rest of a vehicle having a device mounting structure for easily mounting a portable display device.
최근 포터블 디스플레이 기기가 범용화됨에 따라 차량 내부에서도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Recently, as portable display devices have been generalized, the use of display devices has become common in vehicles.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석 엔터테인먼트는 주로 전석 시트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하거나 또는 후석 시트 암레스트 혹은 센터 콘솔 암레스트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기기를 활용하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 기기는 고가의 차량이나 미니밴과 같은 대형 차량에만 지원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보급율이 낮고 컨텐츠 활용이 제한적이다. 또한 일반 차량에는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휴대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한 시청 환경이 별도로 갖추어져 있지 않으며, 별물로 거치대를 구매하여 사용하더라도 상기 거치대를 후석 전방에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차량 진동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거치대를 이용한 안정적인 시청 환경을 확보하기 곤란하다. In general, the rear seat entertainment of a vehicle mainly uses a display device attached to the front seat, or a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rear seat armrest or the center console armrest, which is a large vehicle such as an expensive vehicle or a minivan. Most vehicles are only supported, so the penetration rate is low and content utilization is limited. In addition, a general vehicle is not equipped with a viewing environment for a display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tablet PC that a user has, and even if a user purchases a cradle separately, it is difficult to stably install the cradle in front of the rear seat. In addition, since the cradle does not absorb vehicle vibration,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table viewing environment using the cradl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운전자 및 전석 승객의 활용도가 낮은 암레스트 후방 영역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거치유닛을 설치하여 포터블 디스플레이 기기를 편안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can be installed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by installing a mounting unit which can form a mounting space of the display device in the rear area of the armrest with low utilization of the driver and all passengers. The object is to provide a vehicle mounted console armrest for use.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거치유닛이 콘솔 박스의 후방에서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를 후석 승객이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전석 시트의 리클라이닝 및 슬라이딩 시에 전석 시트백에 디스플레이 기기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전석 시트의 리클라이닝 및 슬라이딩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ounting unit to be deployed at the rear of the console box to allow the rear seat passengers to comfortably watch the seat, and to prevent the display device from being caught in the seat seatback when reclining and sliding the seat sea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degree of freedom of reclining and sliding the seat sheet.
이에 본 발명에서는, 콘솔 박스를 개폐하는 암레스트 본체의 일단(후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콘솔 박스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여 콘솔 박스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는 암레스트 리어부; 상기 암레스트 리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암레스트 리어부로부터 선택적으로 기립되고, 길이 신장 시에 발생하는 스프링 장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을 로워 거치유닛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는 어퍼 거치유닛; 상기 어퍼 거치유닛이 기립될 때 상기 어퍼 거치유닛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암레스트 리어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어퍼 거치유닛과의 사이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을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는 로워 거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mrest rear portion that is disposed on one end (rear end) of the armrest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sole box, which can be disposed in the rear of the console box by turning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console box; The upper mounting unit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armrest rear portion and selectively stands from the armrest rear portion, and can press and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device toward the lower mounting unit by the spring tension generated when the length is extended. ; When the upper mounting unit is standing, it is withdrawn from the armrest rear part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upper mounting unit to form a mounting space of the display device between the upper mounting unit and to fix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device. Provides a device mounting console armrest of the vehicle comprising a; lower mounting unit that can support.
구체적으로, 상기 암레스트 리어부는 암레스트 힌지축에 의해 콘솔 박스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암레스트 힌지축과 암레스트 리어부는 암레스트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힌지 링크를 매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암레스트 리어부는 암레스트 본체의 후단부에 형성된 결합홀에 압입 고정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에 조립될 때 암레스트 리어부의 상단면이 상기 암레스트 본체의 상단면과 동일 높이에 연장되도록 배치된다.Specifically, the armrest rear portion is pivotally coupled to the console box by an armrest hinge shaft, and the armrest hinge shaft and the armrest rear portion are connected via a hinge link rotatably coupled to the armrest hinge shaft. . The armrest rear portion may be press-fitted into a coupling hol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armrest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 rear portion may be flush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 body when assembled to the coupling hole. It is arranged to exte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어퍼 거치유닛은, 암레스트 리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랭크; 상기 크랭크의 단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레일; 상기 슬라이드 레일내에 출입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서 인출될 때 스프링 장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을 로워 거치유닛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어퍼 홀더; 및 상기 슬라이드 레일과 어퍼 홀더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mounting unit, a crank rotatably coupled to the armrest rear portion; A slide rail fixed to an end of the crank; An upper holder which is assembled to move in and out of the slide rail and pressurizes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device to the lower mounting unit by spring tension when pulled out of the slide rail; And at least one spring member between the slide rail and the upper holder.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드 레일과 어퍼 홀더 사이에는 상기 어퍼 홀더의 이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가이드 기어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기어유닛은, 슬라이드 레일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일 기어; 어퍼 홀더의 표면에 상기 어퍼 홀더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일 기어와 선형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홀더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And preferably, a guide gear unit for controlling the moving speed of the upper hold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lide rail and the upper holder. Specifically, the guide gear unit, a rail gear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slide rail; And a holder gear formed to extend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upper holder on a surface of the upper holder and linearly coupled to the rail gear.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어퍼 홀더에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이 접하게 되는 표면에 논슬립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Also preferably, the upper holder may be provided with a non-slip pad on a surface of which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holder.
한편, 상기 로워 거치유닛은, 슬라이드 레일의 반대편에서 크랭크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크랭크의 회전에 연동하여 암레스트 리어부에서 인출되는 로워 홀더; 상기 로워 홀더에 형성되어 로워 홀더위에 거치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을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턱은 로워 홀더에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로워 홀더의 이동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로워 홀더와 크랭크 사이에는 커넥팅 로드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팅 로드는 크랭크의 회전에 연동하여 로워 홀더를 암레스트 리어부의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암레스트 리어부에는 로워 홀더의 선형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로워 홀더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mounting unit, the lower hold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nd of the crank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lide rail and drawn out from the rear armrest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rank;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jaw formed in the lower holder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lower holder to be fixed, the fixing jaw is formed in a plurality of lower holder and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lower holder . A connecting rod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holder and the crank, and the connecting rod is configured to push the lower holder to the outside of the armrest rear portion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rank.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armrest may be provided with a lower holder guide for guid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lower holder.
본 발명에 따른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Device mounted console arm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전석 승객의 활용도가 낮은 암레스트 본체의 후방에 디스플레이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유닛을 설치하고 사용 시에만 전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평상 시 사용되는 콘솔 암레스트의 기본적인 기능(팔 거치 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차량 후석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포터블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성 및 활용성을 증대할 수 있다. 1.Hold the basic function of the console armrest used in everyday life (eg arm mounting) by installing a mounting unit that can mount the display device on the rear of the armrest body that is not utilized by all passengers and deploying it only when us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ountability and usability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for car rear seat entertainment.
2. 상기 거치유닛이 설치된 암레스트 리어부가 암레스트 본체와 동일 힌지를 사용하여 상기 거치유닛이 콘솔 박스의 후방에서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를 후석 승객이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전석 시트의 리클라이닝 및 슬라이딩 시에 전석 시트백에 디스플레이 기기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별도 공간을 확보할 필요없이 전석 시트의 리클라이닝 및 슬라이딩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2. The armrest rear portion in which the mounting unit is installed uses the same hinge as the armrest body to allow the mounting unit to be deployed at the rear of the console box so that the rear seat passengers can comfortably watch the rear seats and reclining the seats.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device from being caught in the seat seat back when sliding,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degree of freedom of reclining and sliding of the seat seat without having to secure a separate space.
3.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후석 승객의 시청 환경을 보다 편안하게 개선할 수 있다. 3. The mount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adjusted to improve the viewing environment of rear passengers more comfortably.
4. 스프링 장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흔들림 없이 잡아줄 수 있으며, 따라서 주행 중에도 안정적인 시청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4. The spring tension can hold the display device more stably without shaking, thus providing a stable viewing environment while driv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솔 암레스트의 거치유닛이 사용가능한 방향으로 회전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 리어부에 설치된 거치유닛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퍼 거치유닛이 기립됨에 따라 로워 거치유닛이 암레스트 리어부에서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 내부에 배치된 어퍼 홀더의 작동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도 3의 A-A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유닛의 사용전과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유닛에 거치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device mounted console arm res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unit of the console armrest rotational deployment in the usable dire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partial structure of the mounting unit installed in the armrest rea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mounting unit is drawn out from the armrest rear part as the upper moun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nds up.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structure of the upper holder disposed inside the slide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AA of FIG. 3.
7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use of the moun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mount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는 콘솔 박스(1)의 내부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암레스트 본체(2)와 상기 암레스트 본체(2)의 후단부에 조립되는 암레스트 리어부(23) 및 상기 암레스트 리어부(23)에 설치되는 거치유닛(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and 2, the device mounting console arm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상기 암레스트 리어부(23)는 암레스트 본체(2)의 힌지축(암레스트 힌지축)(24)을 이용하여 콘솔 박스(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암레스트 리어부(23)는 별도의 힌지축을 이용하여 콘솔 박스(1)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암레스트 힌지축(24)에 의해 콘솔 박스(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암레스트 본체(2)는 콘솔 박스(1)를 개폐할 때 암레스트 리어부(23)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암레스트 리어부(23)는 암레스트 본체(2)의 후단부 중앙에 압입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armrest
도 7의 우측 도면을 보면, 상기 암레스트 본체(2)의 후단부에는 암레스트 리어부(23)를 압입 고정하기 위해 단차지게 형성된 결합홀(21)이 구비되고, 암레스트 리어부(23)는 상기 결합홀(21)에 억지 끼움으로 조립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암레스트 본체(2)와 암레스트 리어부(23)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7, the rea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암레스트 리어부(23)는 결합홀(21)에 압입되어 암레스트 본체(2)의 후단부에 고정될 때 그 상단면이 암레스트 본체(2)의 상단면과 동일한 높이에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암레스트 리어부(23)는 암레스트 본체(2)에 압입 고정될 때, 차량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암레스트 리어부(23)의 상단면이 암레스트 본체(2)의 상단면과 동일 표면 높이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레스트 본체(2)는 결합홀(21)의 하측에 암레스트 리어부(23)의 거치유닛(3)을 받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단(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단(22)은 암레스트 본체(2)의 강성 확보를 위한 아치 구조상에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armrest
상기 암레스트 힌지축(24)은 힌지축(24)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힌지 링크(25)를 매개로 암레스트 리어부(2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링크(25)는 암레스트 리어부(23)가 콘솔 박스(1)의 후방까지 선회하여 젖혀지도록 배치되고 형성될 수 있으며, 암레스트 리어부(23)는 암레스트 본체(2)와 함께 회전할 때보다 더 큰 각도로 회전하여 콘솔 박스(1)의 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암레스트 본체(2)보다 낮은 높이에서 수평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 링크(25)의 한쪽은 암레스트 힌지축(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 링크(25)의 다른 한쪽은 암레스트 리어부(23)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콘솔 박스(1)의 후단면에는 암레스트 리어부(23)의 라운드진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안착홈부(도 7의 11 참조)가 형성되어 암레스트 리어부(23)의 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암레스트 리어부(23)의 최대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ating groove portion (see 11 in FIG. 7) is formed at a rear end surface of the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유닛(3)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을 잡아주기 위한 어퍼 거치유닛(32)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을 잡아주기 위한 로워 거치유닛(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유닛(3)은 사용하지 않을 때 즉, 어퍼 거치유닛(32)과 로워 거치유닛(33)이 미전개될 시에는 암레스트 리어부(23)에 접힌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하기 위해 어퍼 거치유닛(32)과 로워 거치유닛(33)을 전개시킬 때에는 상기 어퍼 거치유닛(32)과 로워 거치유닛(33) 사이에 디스플레이 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상기 어퍼 거치유닛(32)은 거치유닛 힌지축(31)에 의해 암레스트 리어부(23)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암레스트 리어부(23)상에 얹혀진 형태로 접혀서 포개질 수 있고, 사용자가 어퍼 거치유닛(32)을 회전시켜 들어올리면 상방으로 젖혀지면서 기립되어진다.The
이러한 어퍼 거치유닛(32)은 길이 변동이 가능하도록 신장가능하게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신장되는 경우 스프링 장력을 생성하게 되고 상기 장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을 로워 거치유닛(33)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The
이를 위해, 상기 어퍼 거치유닛(32)은 암레스트 리어부(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랭크(321)와 상기 크랭크(321)의 한쪽 단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레일(322) 및 상기 슬라이드 레일(322)내에 출입가능하게 조립되는 어퍼 홀더(3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upper mounting
상기 크랭크(321)는 거치유닛 힌지축(31)에 의해 암레스트 리어부(23)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거치유닛 힌지축(31)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암레스트 리어부(23)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 리어부(23)는 크랭크(321) 및 크랭크(321)와 연결되는 로워 거치유닛(33)의 설치 및 작동을 위해 개방된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The
크랭크(321)는 슬라이드 레일(322)과 연결되는 한쪽 단부에 거치유닛 힌지축(31)이 관통하여 끼워지고 다른 한쪽 단부(슬라이드 레일의 반대편)에 로워 거치유닛(33)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크랭크(321)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로워 거치유닛(33)이 암레스트 리어부(23)에서 인출가능하게 된다.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레일(322)은 크랭크(321)와 동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어퍼 홀더(323)가 선형이동가능하게 출입하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상기 내부공간에는 어퍼 홀더(323)의 출입 및 선형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기어유닛(326)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홀더(323)는 가이드 기어유닛(326)에 의해 절도감 있게 선형이동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5, the
상기 어퍼 홀더(323)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단부가 대략 ㄱ 모양으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로워 거치유닛(33)과의 사이에 디스플레이 기기가 끼워질 때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을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The
어퍼 홀더(323)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이즈 및 거치각도 등에 따라 슬라이드 레일(322)에 대한 인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슬라이드 레일(322)에서 인출될 때 스프링 장력이 생성되도록 설치된다. The
이를 위해 어퍼 홀더(323)와 슬라이드 레일(32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부재(32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부재(325)는 어퍼 홀더(323)가 슬라이드 레일(322)에서 인출되기 전(초기 상태)에도 장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살짝 인장된 상태로 어퍼 홀더(323)와 슬라이드 레일(32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To this end, at least one
다시 말해, 상기 어퍼 홀더(323)는 슬라이드 레일(322)에서 인출될 때 스프링부재(325)가 인장되면서 발생하는 스프링 장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을 로워 거치유닛(33)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In other words, the
한편, 상기 가이드 기어유닛(326)은 어퍼 홀더(323)의 출입 및 이동 속도를 제어하여 어퍼 홀더(323)가 절도감있게 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어퍼 홀더(323)의 좌우 요동을 방지하고 고급스러운 조작감을 부여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기어유닛(326)은 슬라이드 레일(322)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일 기어(326a) 및 상기 레일 기어(326a)와 선형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홀더 기어(326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기어(326a)는 슬라이드 레일(322)의 내벽면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홀더 기어(326b)는 어퍼 홀더(323)의 표면에 어퍼 홀더(323)의 선형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홀더 기어(326b)는 어퍼 홀더(323)에 표면에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어퍼 홀더(323)의 선형이동 시에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홀더 기어(326b)가 레일 기어(326a)와 맞물린 상태로 선형이동을 함에 따라 어퍼 홀더(323)의 이동 속도 및 작동감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레일 기어(326a)는 피니언 기어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홀더 기어(326b)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될 수 있는 랙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아울러, 상기 어퍼 홀더(323)의 상단에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이 접하여 거치되는 표면에 논슬립패드(324)가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논슬립패드(324)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이 어퍼 홀더(323)의 상단 표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마찰저항 등을 이용하여 미끄럼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어퍼 거치유닛(32)은 사용자에 의해 상방으로 젖혀질 때 슬라이드 레일(322)이 암레스트 리어부(23)의 한쪽에 맞닿아서 기립된 상태로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 어퍼 거치유닛(32)은 기립 각도를 고정하기 위해,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를 갖는 힌지 구조를 이용하거나 혹은 외력이 가해질 때만 회전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마찰저항 등에 의해 정지하는 힌지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The
로워 거치유닛(33)은, 상기 어퍼 거치유닛(32)이 회전되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고 암레스트 리어부(23)로부터 기립될 때, 상기 어퍼 거치유닛(32)의 회전 작동에 연동하여 암레스트 리어부(23)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된다(도 4 참조).The
상기 로워 거치유닛(33)은 암레스트 리어부(23)로부터 인출되어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때에 어퍼 거치유닛(32)과의 사이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을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When the
이를 위하여 로워 거치유닛(33)은 크랭크(321)의 회전에 연동하여 암레스트 리어부(23)에서 인출되는 로워 홀더(331)와 상기 로워 홀더(331)에 형성되어 로워 홀더(331)위에 거치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을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고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복수의 고정턱(3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상기 로워 홀더(331)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을 거치할 수 있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암레스트 리어부(23)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워 홀더(331)는 커넥팅 로드(333)를 매개로 크랭크(321)의 한쪽 단부(크랭크의 양쪽 단부 중 거치유닛 힌지축(31)이 결합되어 있는 단부의 반대편임)에 결합되며, 암레스트 리어부(23)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로워 홀더 가이드(26)에 선형이동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로워 홀더 가이드(26)는 크랭크(321)의 회전에 연동하여 인출되는 로워 홀더(331)의 선형이동을 안내하고 상하좌우의 요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암레스트 리어부(23)의 내부공간에서 대략 거치유닛 힌지축(3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고정턱(332)은 로워 홀더(331)의 표면에 치 모양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로워 홀더(331)의 이동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고정턱(332)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을 고정되도록 지지하여 로워 홀더(331) 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탱할 수 있는 형태이면 제한 없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The fixing
상기 커넥팅 로드(333)는 로워 홀더(331)가 크랭크(321)의 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선형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로워 홀더(331)와 크랭크(321) 사이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로드(333)의 한쪽 단부에는 크랭크(32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넥팅 로드(333)의 다른 한쪽 단부에는 로워 홀더(33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크랭크(321)의 회전 작동 시에 커넥팅 로드(333)가 로워 홀더(331)를 암레스트 리어부(23)의 외측으로 밀어주고 상기 로워 홀더(331)가 암레스트 리어부(23)내에서 선형이동하여 인출되어진다. 즉, 상기 커넥팅 로드(333)는 크랭크(321)의 회전 작동에 연동하여 로워 홀더(331)를 암레스트 리어부(23)내에서 밀어주게 되며, 이때 로워 홀더(331)는 로워 홀더 가이드(26)를 따라 선형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connecting
이와 같이 구성되는 로워 거치유닛(33)은 상기 고정턱(332)을 이용하여 어퍼 거치유닛(32)과 로워 거치유닛(33)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도 8 참조). The
여기서, 도 7 및 도 8 등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의 작동을 살펴보도록 한다. Here, the operation of the device-mounted console arm res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will be described.
도 7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유닛(3)을 미사용할 시(평상 시)에는 거치유닛(3)이 설치된 암레스트 리어부(23)가 암레스트 본체(2)측으로 접혀서 암레스트 본체(2)의 결합홀(21) 내측으로 완전히 수납되며(도 1 참조), 상기 거치유닛(3)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콘솔 박스(1)에 고정되어 있는 암레스트 본체(2)로부터 암레스트 리어부(23)를 선회시켜 콘솔 박스(1)의 후방으로 펼쳐 전개한다(도 2 참조). 이때 암레스트 리어부(23)의 단부가 콘솔 박스(1)의 후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부(11)에 접하여 지지된다. 상기 안착홈부(11)는 암레스트 리어부(23)의 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암레스트 리어부(23)의 라운드진 표면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된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the left figure of FIG. 7, when the mounting
다음, 도 4와 같이 암레스트 리어부(23)에서 거치유닛 힌지축(31)을 기준으로 어퍼 거치유닛(32)을 회전시키면 상기 어퍼 거치유닛(32)의 회전각도에 따라 로워 거치유닛(33)이 암레스트 리어부(23)로부터 후방으로 인출된다.Next, when the upper mounting
도 8과 같이 어퍼 거치유닛(32)을 수직에 가깝게 기립시키면 로워 거치유닛(33)이 암레스트 리어부(23)에서 최대로 인출되며, 이때 어퍼 거치유닛(32)은 거치유닛 힌지축(31)의 홀더구조에 의해 위치 고정되거나 또는 암레스트 리어부(23)에 의해 지지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거치유닛(3)을 전개한 뒤에는 어퍼 홀더(323)를 슬라이드 레일(322)에서 인출시키고 로워 홀더(331)의 고정턱에 디스플레이 기기(D)의 하단을 기댄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D)의 상단 위에 어퍼 홀더(323)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D)는 어퍼 홀더(323)와 로워 홀더(331) 사이에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upper mounting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D)를 거치유닛(3)에서 제거하는 경우 어퍼 홀더(323)는 그 하단에 인장되어 있는 스프링부재(325)의 장력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322) 안쪽으로 자동 복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device (D) is removed from the mounting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는 앞서 언급한 효과 외에도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device-mounted console arm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effects.
1. 거치유닛(3)을 미사용할 시에는 상기 거치유닛(3)이 암레스트 본체(2)의 결합홀(21) 내측에 완전히 삽입되어 수납되므로 불편함 없이 콘솔 암레스트의 사용이 가능하다. 1. When the mounting
2. 후석 승객이 휴대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이즈 및 원하는 거치각도에 따라 어퍼 홀더(323)의 인출량을 조절하고 로워 홀더(331)의 고정턱(332)을 선택 사용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시청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2.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carried by the rear passengers and the desired mounting angle, the withdrawal amount of the
3. 암레스트 본체(2)와 암레스트 리어부(23)의 높이 단차를 최소화하여 콘솔 암레스트의 팔 거치성 및 상품성을 향상할 수 있다. 3. The arm rest and armability of the console armrest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Improve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콘솔 박스
11 : 안착홈부
2 : 암레스트 본체
21 : 결합홀
22 : 지지단
23 : 암레스트 리어부
24 : 암레스트 힌지축
25 : 힌지 링크
26 : 로워 홀더 가이드
3 : 거치유닛
31 : 거치유닛 힌지축
32 : 어퍼 거치유닛
321 : 크랭크
322 : 슬라이드 레일
323 : 어퍼 홀더
324 : 논슬립패드
325 : 스프링부재
326 : 가이드 기어유닛
326a : 레일 기어
326b : 홀더 기어
33 : 로워 거치유닛
331 : 로워 홀더
332 : 고정턱
333 : 커넥팅 로드
D : 디스플레이 기기1: console box 11: seating groove
2: armrest body 21: coupling hole
22: support end 23: armrest rear
24: Armrest hinge axis 25: Hinge link
26: lower holder guide 3: mounting unit
31: hinge unit hinge axis 32: upper mounting unit
321: crank 322: slide rail
323: upper holder 324: non-slip pad
325: spring member 326: guide gear unit
326a:
33: lower mounting unit 331: lower holder
332: fixing jaw 333: connecting rod
D: display device
Claims (12)
상기 암레스트 리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암레스트 리어부로부터 선택적으로 기립되고, 길이 신장 시에 발생하는 스프링 장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을 로워 거치유닛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는 어퍼 거치유닛;
상기 어퍼 거치유닛이 기립될 때 상기 어퍼 거치유닛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암레스트 리어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어퍼 거치유닛과의 사이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을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는 로워 거치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
An armrest rear part disposed at one end of the armrest body that opens and closes the console box, and may be disposed by pivoting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console box;
The upper mounting unit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armrest rear portion and selectively stands from the armrest rear portion, and can press and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device toward the lower mounting unit by the spring tension generated when the length is extended. ;
When the upper mounting unit is standing, it is drawn out from the rear of the armrest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upper mounting unit to form a mounting space of the display device between the upper mounting unit and to fix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device. A lower mounting unit that can be supported;
Device mounted console armrest of a vehicle comprising a.
상기 암레스트 리어부는 암레스트 힌지축에 의해 콘솔 박스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암레스트 힌지축과 암레스트 리어부는 암레스트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힌지 링크를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rmrest rear portion is pivotally coupled to the console box by an armrest hinge shaft, and the armrest hinge shaft and the armrest rear portion are connected via a hinge link rotatably coupled to the armrest hinge shaft. Vehicle-mounted console armrests in vehicles.
상기 암레스트 리어부는 암레스트 본체의 후단부에 형성된 결합홀에 압입 고정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에 조립될 때 암레스트 리어부의 상단면이 상기 암레스트 본체의 상단면과 동일 높이에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rmrest rear portion is formed to be press-fitted into a coupling hol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armrest body, and when assembled to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armrest rear portion extends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 body. Device-mounted console arm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상기 어퍼 거치유닛은,
암레스트 리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랭크;
상기 크랭크의 단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레일;
상기 슬라이드 레일내에 출입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서 인출될 때 스프링 장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을 로워 거치유닛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어퍼 홀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mounting unit,
A crank rotatably coupled to the armrest rear portion;
A slide rail fixed to an end of the crank;
An upper holder which is assembled to move in and out of the slide rail and pressurizes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device to the lower mounting unit by spring tension when pulled out of the slide rail;
Device mounted console arm 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슬라이드 레일과 어퍼 홀더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t least one spring member is installed between the slide rail and the upper holder device mounted console armrest of the vehicle.
상기 슬라이드 레일과 어퍼 홀더 사이에는 상기 어퍼 홀더의 이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가이드 기어유닛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nd a guide gear unit configured to control a moving speed of the upper holder between the slide rail and the upper holder.
상기 가이드 기어유닛은,
슬라이드 레일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일 기어;
어퍼 홀더의 표면에 상기 어퍼 홀더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일 기어와 선형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홀더 기어;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guide gear unit,
A rail gear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slide rail;
A holder gea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upper holder to extend in a movement direction of the upper holder and fastened to the rail gear in a linearly movable manner;
Appliance mounted console arm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어퍼 홀더에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이 접하게 되는 표면에 논슬립패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upper holder has a non-slip pad on the surface that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device mounting console arm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로워 거치유닛은,
슬라이드 레일의 반대편에서 크랭크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크랭크의 회전에 연동하여 암레스트 리어부에서 인출되는 로워 홀더;
상기 로워 홀더에 형성되어 로워 홀더위에 거치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을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턱;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lower mounting unit,
A lower holder rotat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crank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lide rail and withdrawn from the armrest rear portion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crank;
A fixing jaw formed in the lower holder and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lower holder to be fixed;
Device mounted console arm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고정턱은 로워 홀더에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로워 홀더의 이동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fixing jaw is formed in a plurality of lower holder and the device mounted console arm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lower holder.
상기 로워 홀더와 크랭크 사이에는 커넥팅 로드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팅 로드는 크랭크의 회전에 연동하여 로워 홀더를 암레스트 리어부의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A connecting rod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holder and the crank, and the connecting rod interlocks with the rotation of the crank to push the lower holder to the outside of the armrest rear portion.
상기 암레스트 리어부에는 로워 홀더의 선형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로워 홀더 가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armrest rear portion of the vehicle mounting console arm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holder guide for guid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lower holder is provid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5935A KR102552156B1 (en) | 2018-07-24 | 2018-07-24 | Console arm rest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5935A KR102552156B1 (en) | 2018-07-24 | 2018-07-24 | Console arm rest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1158A true KR20200011158A (en) | 2020-02-03 |
KR102552156B1 KR102552156B1 (en) | 2023-07-05 |
Family
ID=6962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5935A Active KR102552156B1 (en) | 2018-07-24 | 2018-07-24 | Console arm rest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215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257489A (en) * | 2022-09-02 | 2022-11-01 | 宁波劳伦斯汽车内饰件有限公司 | Central channel interior trim assembly |
CN118082663A (en) * | 2024-04-23 | 2024-05-28 | 洛阳圣鑫重工科技有限公司 | Fixed platform for adjustment vehicle and adjustment vehic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16856A (en) * | 2004-08-19 | 2006-02-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 Cell Phone Holder |
KR20170008011A (en) | 2015-07-13 | 2017-01-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sole arm-rest for vehicle |
KR101704295B1 (en) * | 2015-11-30 | 2017-02-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ell phone supporter for wireless rechargable of vehicle |
-
2018
- 2018-07-24 KR KR1020180085935A patent/KR10255215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16856A (en) * | 2004-08-19 | 2006-02-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 Cell Phone Holder |
KR20170008011A (en) | 2015-07-13 | 2017-01-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sole arm-rest for vehicle |
KR101704295B1 (en) * | 2015-11-30 | 2017-02-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ell phone supporter for wireless rechargable of vehicl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257489A (en) * | 2022-09-02 | 2022-11-01 | 宁波劳伦斯汽车内饰件有限公司 | Central channel interior trim assembly |
CN115257489B (en) * | 2022-09-02 | 2023-07-25 | 宁波劳伦斯汽车内饰件有限公司 | Central channel interior trim assembly |
CN118082663A (en) * | 2024-04-23 | 2024-05-28 | 洛阳圣鑫重工科技有限公司 | Fixed platform for adjustment vehicle and adjustment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52156B1 (en) | 2023-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00026068A1 (en) | Apparatus for tilting vehicle seat cushion | |
JP6615596B2 (en) | Automotiv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 |
US9408472B2 (en) | Leg rest device | |
JP2019512421A (en) | Armrest box structure and car having the same | |
US11225178B2 (en) | Slim headrest device | |
US11634058B2 (en) | Table for seat | |
KR20200011158A (en) | Console arm rest for vehicle | |
JP5668423B2 (en) | Portable device fixing device | |
JP7600803B2 (en) | Vehicle door device | |
KR101440147B1 (en) | Apparatus for seat side bolster of vehicle | |
KR20040021034A (en) | Arm rest of center console for vehicles | |
KR20140065293A (en) | Hinge device of armrest | |
KR102125978B1 (en) | Apparatus for extending of seat-cushion and vehicle seat comprising the same | |
KR102522891B1 (en) | Height adjusting device of armrest for seat | |
KR101395360B1 (en) | Arm rest for a rear seat with length adjusting function | |
KR101835546B1 (en) | Rear seat arm-rest for vehicle | |
JP5177368B2 (en) | Ottoman device for vehicle seat | |
JP4855219B2 (en) | Vehicle seat | |
KR100391786B1 (en) | An Angle Adjusting Table for Vehicle | |
KR101470185B1 (en) | seat cution extention pad operating system | |
JP4505496B2 (en) | Tonneau cover device for vehicle | |
CN211422248U (en) | Hinge assembly and automobile trunk | |
KR200473233Y1 (en) | Hinge device of armrest | |
KR20200021040A (en) | Tilting apparatus for extending | |
KR100373121B1 (en) | Apparatus for height adjusting a rear armrest of an automob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7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