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141U -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2141U KR20200002141U KR2020190001163U KR20190001163U KR20200002141U KR 20200002141 U KR20200002141 U KR 20200002141U KR 2020190001163 U KR2020190001163 U KR 2020190001163U KR 20190001163 U KR20190001163 U KR 20190001163U KR 20200002141 U KR20200002141 U KR 2020000214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age
- hinge
- trap housing
- drain trap
- dr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7 drainag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트랩하우징을 소변기나 싱크대, 세면대, 하수구 등과 같은 설치대상물의 배수관과 고정트랩하우징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트랩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오수를 배수하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차단배수체가 배수트랩하우징의 하단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배수관 크기에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으며, 차단배수체의 배수공간부를 통해 소변이나 오물과 같은 오수가 즉시 배수되고 오수 배수 후 배수공간부가 즉시 차단될 수 있어 역한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단배수체를 쉽고 용이하게 배수트랩하우징에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은 물론 관리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수가 배수되고 냄새를 차단하는 차단배수체가 트랩하우징의 하부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배수관 크기에 관계없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싱크대나 세면대는 물론 소변기에 설치 사용이 가능하며 오수는 물론 이물질이 배수관측으로 바로 배수되도록 하여 이물질이 끼임을 방지하고 청소작업이 용이하며 교체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변기는 화장실 벽 등에 설치되어 배수관을 따라 소변과 물이 함께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위생 법규상 배수관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가스를 밀폐하거나 봉해야하기 때문에 배수용 물에서 남은 물로 냄새를 막기 위한 소변기의 배수구와 연결된 p자 모양의 피-트랩이나 s자 모양의 에스-트랩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소변기는 물을 내릴 때 많은 양의 배수용 물이 사용되어 수자원의 고갈과 막대한 비용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소변이 물과 결합되기 때문에 심한 악취가 발생되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 소변기 트랩은 아래의 홈에 상부 마개를 끼워 물이 차면 물이 아래 홈과 상부 마개 공간을 막아주도록 이루어져 냄새를 차단하도록 하고 있으나 물의 양이 적어 쉽게 물이 증발되기 때문에 아래로부터 냄새가 위로 올라오는 문제점이 있으며, 물의 증발을 막기 위해 아래 홈을 깊게 구비하고 상부 마개를 길게 하고는 있으나 이 경우 아래 홈에 소변과 이물질이 쌓이게 되어 악취나 가스가 방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소변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화장실에 배기팬을 부착하거나 공기정화기를 설치하고는 있으나, 소변 시 발생되는 냄새가 소변기에서부터 화장실 전체로 확산되어 화장실 내의 공기를 오염시킨 후 배기되기 때문에 화장실의 전체를 정화시키기 어렵고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종래 등록특허 10-1299660호인 소변기용 배수 트랩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중앙 부분이 상부를 향해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센터홀이 형성된 배수구에 설치되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의 내곽에 설치되는 트랩 시트, 상기 배수구의 내면과 상기 돌출부의 외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도록 바닥판을 기준으로 바닥판의 상부로 외벽과 내벽이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외벽의 상단은 상기 트랩 시트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내벽의 상단은 상기 돌출부의 센터 홀을 향하도록 형성된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내벽을 외곽에서 간격을 두고 감싸는 원통형 격벽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원통형 격벽의 중간 높이 부분에는 상기 하부 몸체의 외벽을 향해서 원반형 격벽이 연장 형성되는 상부 몸체 및 복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드레인 커버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배수구의 중앙 부분이 상부를 향해서 돌출된 형태의 소변기의 원형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소변을 본 후에 물을 내리지 않아도 소변의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화장실에서의 물 사용을 줄이는 가운데 소변으로 인한 악취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고, 소변기와 배수트랩간의 밀폐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은 물론, 청소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며 교체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기술은 소변기에 한정되어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싱크대나 세면대용으로 활용이 곤란하고 배수관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오수를 배수하고 냄새를 차단하는 차단배수체를 배수트랩 내부에 구비하되 차단배수체가 배수트랩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배수관의 크기에 관계없이 설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성은 물론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소변이나 오수가 트랩에 고이지 않고 바로 배수되도록 하며 이물질이 끼임을 최소화하며 트랩 청소작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단배수체만을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은, 배수관이 하단에 연결되는 배수트랩하우징과 상기 배수트랩하우징을 설치대상물에 고정하는 고정트랩하우징과 상기 배수트랩하우징에 끼워져 오수를 배수하고 냄새의 역류를 차단하는 차단배수체와 상기 배수트랩하우징과 설치대상물 및 상기 고정트랩하우징과 설치대상물의 기밀을 각각 유지하는 기밀패킹으로 이루어진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하단에 연결되는 배수트랩하우징에 끼워지는 상기 차단배수체는, 상기 배수트랩하우징의 상단 내주면에 돌출된 안착턱에 안착되어 상기 배수트랩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배수트랩하우징 하단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상기 배수트랩하우징에 연결되는 배수관의 크기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차단배수체는, 상기 배수트랩하우징의 안착턱에 안착되는 외향플랜지를 갖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 하부측으로 연장되되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가이드면과; 상기 경사가이드면 끝단에 구비되는 힌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측 하부측으로 연장되되 수직 연장되고 배수공간부를 갖는 악취차단배수부로 구비되며, 상기 힌지부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배수공간부를 통해 오수가 배수될 때 배수되는 오수의 수압에 의해 힌지회전되어 상기 배수공간부를 개방하고 상기 오수의 배수가 정지될 때 힌지회전되어 상기 배수공간부를 차단하는 힌지차폐판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힌지차폐판은, 상기 힌지부의 수직선상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각도로 구비되어 오수의 배수가 정지될 때 힌지차폐판의 자중에 의해 상기 배수공간부측으로 힌지복귀되어 개방된 상기 배수공간부를 차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힌지차폐판의 외면에는 배수되는 오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힌지차폐판이 힌지회전되어 상기 배수공간부를 개방할 때 상기 힌지차폐판이 물기에 의해 상기 경사가이드면에 밀착되어 오수의 배수가 정지될 때 상기 배수공간부측으로 힌지복귀되는 것을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경사가이드면에 닿아 상기 힌지차폐판과 상기 경사가이드면을 이격시키는 밀착방지돌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배수트랩하우징을 소변기나 싱크대, 세면대, 하수구 등과 같은 설치대상물의 배수관과 고정트랩하우징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트랩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오수를 배수하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차단배수체가 배수트랩하우징의 하단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배수관 크기에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으며, 차단배수체의 배수공간부를 통해 소변이나 오물과 같은 오수가 즉시 배수되고 오수 배수 후 배수공간부가 즉시 차단될 수 있어 역한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단배수체를 쉽고 용이하게 배수트랩하우징에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은 물론 관리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작용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작용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수관(101)이 하단에 연결되는 배수트랩하우징(10)과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을 설치대상물(102)에 고정하는 고정트랩하우징(20)과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에 끼워져 오수를 배수하고 냄새의 역류를 차단하는 차단배수체(30)와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과 설치대상물(102) 및 상기 고정트랩하우징(20)과 설치대상물(102)의 기밀을 각각 유지하는 기밀패킹(40)으로 이루어진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은, 소변기는 물론 싱크대, 세면대, 하수구 등의 설치대상물(102)의 배수관(101)과 연결 설치되어 오수를 배수함은 물론 배수관(101)을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상물(102)에 안착된 상태로 배수관(101)이 하단에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고정트랩하우징(20)은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을 설치대상물(102)에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밀패킹(40)은 예를 들어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과 설치대상물(102) 사이 및 상기 고정트랩하우징(20)과 설치대상물(102)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과 설치대상물(102) 사이 및 상기 고정트랩하우징(20)과 설치대상물(102)의 사이의 기밀을 각각 유지함은 물론 상기 고정트랩하우징(20)에 의해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이 설치대상물(102)에 고정될 때 밀착됨에 따라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배수관(101)의 하단에 연결되는 배수트랩하우징(10)에 끼워지는 상기 차단배수체(30)는,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의 상단 내주면에 돌출된 안착턱(11)에 안착되어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 내부에 위치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차단배수체(30)는,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 하단면(10a)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위치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차단배수체(30)가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의 하단면(10a)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배수트랩하우징(10)의 하단과 연결되는 배수관(101)의 크기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소변기는 물론 싱크대, 세면대, 하수구 등의 설치대상물(102)의 배수관(101)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차단배수체(30)는, 오수가 막힘없이 즉시 배출되기 때문에 오수가 잔류하거나 오수가 잔류함에 따라 냄새가 역류하거나 또는 잔류된 오수에 의해 각종 유해균이 발생하거나 또는 오수와 함께 배수되는 이물질이 쌓이는 것이 방지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차단배수체(30)는,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의 안착턱(11)에 안착되는 외향플랜지(31)를 갖는 지지부(34)와, 상기 지지부(34)의 일측 하부측으로 연장되되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가이드면(36)과, 상기 경사가이드면(36) 끝단에 구비되는 힌지부(37)와, 상기 지지부(34)의 타측 하부측으로 연장되되 수직 연장되고 배수공간부(38)를 갖는 악취차단배수부(39)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배수체(30)를 이루고 있는 상기 외향플랜지(32)와 지지부(34), 경사가이드면(36), 악취차단배수부(39)는 일체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차단배수체(30)는 상기 지지부(34) 내측으로 유입된 오수와 이물질이 상기 경사가이드면(36)을 따라 즉시 악취차단배수부(39)의 내부측으로 낙하되어 상기 배수공간부(38)를 통해 배수된다.
이 때, 상기 배수공간부(38)는 힌지차폐판(50)에 의해 개방 또는 차단되는 것으로, 오수가 배수되고 난 후 힌지차폐판(50)에 의해 배수공간부(38)가 차단되기 때문에 악취가 역류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즉, 상기 힌지차폐판(50)은, 상기 악취차단배수부(39)의 힌지부(37)에 힌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공간부(38)를 통해 오수가 배수될 때 배수되는 오수의 수압에 의해 힌지회전되어 상기 배수공간부(38)를 개방하고 상기 오수의 배수가 정지될 때 힌지회전되어 상기 배수공간부(38)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 힌지차폐판(50)은, 상기 힌지부(37)의 수직선상(a)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각도(b)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악취차단배수부(39) 내측으로 오수의 유입이 중지되어 상기 배수공간부(38)를 통해 오수의 배수가 정지될 때 힌지차폐판(50)의 자중에 의해 상기 배수공간부(38)측으로 힌지복귀되어 개방된 상기 배수공간부(38)를 차단하기 때문에 오수의 배수 즉시 배수공간부(38)를 차단할 수 있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힌지차폐판(50)의 외면에는 오수가 배수되는 과정에서 수압에 의해 힌지회전되어 상기 배수공간부(38)를 개방하는 상기 힌지차폐판(50)이 상기 경사가이드면(36)측으로 힌지회전되었을 때 상기 힌지차폐판(50)과 상기 경사가이드면(38)을 이격시키는 밀착방지돌부(5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밀착방지돌부(5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되는 오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힌지차폐판(50)이 상기 경사가이드면(36)측으로 힌지회전되어 상기 배수공간부(38)를 개방할 때 상기 힌지차폐판(50)이 물기에 의해 상기 경사가이드면(36)에 밀착되어 오수의 배수가 정지될 때 상기 배수공간부(38)측으로 힌지복귀되는 것을 간섭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배수트랩하우징 11 : 안착턱
10a : 배수트랩하우징 하단면
20 : 고정트랩하우징 30 : 차단배수체
31 : 외향플랜지 34 : 지지부
36 : 경사가이드면 37 : 힌지부
38 : 배수공간부 39 : 악취차단배수부
40 : 기밀패킹
50 : 힌지차폐판 51 : 밀착방지돌부
10a : 배수트랩하우징 하단면
20 : 고정트랩하우징 30 : 차단배수체
31 : 외향플랜지 34 : 지지부
36 : 경사가이드면 37 : 힌지부
38 : 배수공간부 39 : 악취차단배수부
40 : 기밀패킹
50 : 힌지차폐판 51 : 밀착방지돌부
Claims (2)
- 배수관(101)이 하단에 연결되는 배수트랩하우징(10)과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을 설치대상물(102)에 고정하는 고정트랩하우징(20)과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에 끼워져 오수를 배수하고 냄새의 역류를 차단하는 차단배수체(30)와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과 설치대상물(102) 및 상기 고정트랩하우징(20)과 설치대상물(102)의 기밀을 각각 유지하는 기밀패킹(40)으로 이루어진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101)의 하단에 연결되는 배수트랩하우징(10)에 끼워지는 상기 차단배수체(30)는,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의 상단 내주면에 돌출된 안착턱(11)에 안착되어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 하단면(10a)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에 연결되는 배수관(101)의 크기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차단배수체(30)는,
상기 배수트랩하우징(10)의 안착턱(11)에 안착되는 외향플랜지(31)를 갖는 지지부(34)와;
상기 지지부(34)의 일측 하부측으로 연장되되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가이드면(36)과;
상기 경사가이드면(36) 끝단에 구비되는 힌지부(37)와;
상기 지지부(34)의 타측 하부측으로 연장되되 수직 연장되고 배수공간부(38)를 갖는 악취차단배수부(39)로 구비되되,
상기 차단배수체(30)를 이루고 있는 상기 외향플랜지(32)와 지지부(34), 경사가이드면(36), 악취차단배수부(39)는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힌지부(37)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배수공간부(38)를 통해 오수가 배수될 때 배수되는 오수의 수압에 의해 힌지회전되어 상기 배수공간부(38)를 개방하고 상기 오수의 배수가 정지될 때 힌지회전되어 상기 배수공간부(38)를 차단하는 힌지차폐판(50)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차폐판(50)은,
상기 힌지부(37)의 수직선상(a)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각도(b)로 구비되어 오수의 배수가 정지될 때 힌지차폐판(50)의 자중에 의해 상기 배수공간부(38)측으로 힌지복귀되어 개방된 상기 배수공간부(38)를 차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힌지차폐판(50)의 외면에는 배수되는 오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힌지차폐판(50)이 힌지회전되어 상기 배수공간부(38)를 개방할 때 상기 힌지차폐판(50)이 물기에 의해 상기 경사가이드면(36)에 밀착되어 오수의 배수가 정지될 때 상기 배수공간부(38)측으로 힌지복귀되는 것을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경사가이드면(36)에 닿아 상기 힌지차폐판(50)과 상기 경사가이드면(38)을 이격시키는 밀착방지돌부(51)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1163U KR20200002141U (ko) | 2019-03-21 | 2019-03-21 |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1163U KR20200002141U (ko) | 2019-03-21 | 2019-03-21 |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2141U true KR20200002141U (ko) | 2020-10-05 |
Family
ID=72802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1163U Ceased KR20200002141U (ko) | 2019-03-21 | 2019-03-21 |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02141U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7534B1 (ko) | 2008-07-29 | 2009-05-18 | 김복희 | 무수 소변기의 악취차단트랩 |
KR101299660B1 (ko) | 2011-10-04 | 2013-08-27 | 스티븐 준 한 | 소변기용 배수 트랩 |
-
2019
- 2019-03-21 KR KR2020190001163U patent/KR20200002141U/ko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7534B1 (ko) | 2008-07-29 | 2009-05-18 | 김복희 | 무수 소변기의 악취차단트랩 |
KR101299660B1 (ko) | 2011-10-04 | 2013-08-27 | 스티븐 준 한 | 소변기용 배수 트랩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00089838A1 (en) | Floor drain | |
US20070294815A1 (en) | Fixture for disposing of bodily waste having an anti-overflow feature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KR101757620B1 (ko) |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 |
KR20080081572A (ko) |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 |
KR200265950Y1 (ko) | 악취방지용 배수구 | |
EP3002377A1 (en) | Floor drain with siphon | |
KR100538651B1 (ko) | 오수받이 장치 | |
KR20200002141U (ko) |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 | |
KR100658160B1 (ko) | 공동주택 베란다의 배수구조 | |
JP6194505B2 (ja) | 自封式弁部材及び継ぎ手部材 | |
KR101188012B1 (ko) | 배수 트랩 및 층상 배수 시스템 | |
KR200417636Y1 (ko) | 배수트랩의 악취유입 방지구조 | |
KR200273523Y1 (ko) | 건축물에서 부력을 이용한 유해가스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 |
JP7359357B2 (ja) | 防臭弁ユニット | |
KR20200002041U (ko) | 다용도 배수트랩 | |
KR200403172Y1 (ko) |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 |
KR100740525B1 (ko) | 오수받이 장치 | |
KR20180000448U (ko) | 악취 차단장치가 장착된 하수구 배수트랩 | |
KR20050095067A (ko) |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 |
KR200327222Y1 (ko) | 실내 바닥배수장치 | |
KR200356294Y1 (ko) |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 |
KR200383592Y1 (ko) |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 |
KR101487394B1 (ko) |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 |
KR101511683B1 (ko) |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 |
KR20120097922A (ko) | 하수구냄새트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032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519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200829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