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3172Y1 -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172Y1
KR200403172Y1 KR20-2005-0025972U KR20050025972U KR200403172Y1 KR 200403172 Y1 KR200403172 Y1 KR 200403172Y1 KR 20050025972 U KR20050025972 U KR 20050025972U KR 200403172 Y1 KR200403172 Y1 KR 200403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e contact
opening
tubular body
closing plate
dr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구현
Original Assignee
남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구현 filed Critical 남구현
Priority to KR20-2005-0025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17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나 욕실 등의 하수구 악취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하수구를 통하여 물은 원활하게 배수시키고 올라오는 악취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차단장치는 싱크대나 하수구의 입구에 장착되고 하단부 관체(10)의 수직 중심선으로부터 45도 이내의 각도로 경사진 밀착부(13)가 구성되는 관체(10)와, 상기 관체(10)에 힌지(11)로 설치되고 밀착부(13)에 밀착되는 개폐판(20)과, 관체(10)에 고정되면서 그 끝단이 개폐판(20)에 밀착되어 개폐판(20)이 밀착부(13)에 밀착되는 힘을 가하는 탄성편(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서 싱크대의 배수구나 하수구의 하방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됨으로써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오랜 수명을 가지면서 정확한 작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Offensive odor interception device for gutter}
본 고안은 싱크대나 욕실 등의 하수구 악취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하수구를 통하여 물은 원활하게 배수시키고 올라오는 악취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싱크대와 욕실의 하수구는 사용된 생활하수를 흘려 보내게 되는데, 생활하수는 대부분이 물건을 세척하거나 세탁을 하고 버려지는 물로서 많은 유기물이 포함되어 오염된 것이므로 부패하면서 악취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악취는 하수관을 따라 실내로 유입되게 되므로 실내가 악취로 오염되게 된다.
종래에도 상기와 같이 실내로 유입되는 악취를 방지코자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 중 가장 기본적인 수단은 하수관의 입구를 덮개로 덮어주는 방식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물을 배수시킬 때는 덮개를 열어 주어야 하고 배수 후에는 다시 덮개를 덮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악취방지의 또 다른 방법으로는 배수관의 일부분을 U형으로 형성하여 굴곡진 관의 하단에 일정량의 물이 고이게 하여 악취가 관체를 따라 올라오는 것을 방지한 것이 있었는데, 이러한 경우는 관체의 굴곡부에 찌꺼기가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면 관체가 막히게 되므로 수시로 분해하여 청소를 하여야 하고 싱크대 및 세면기와 같이 관체가 노출된 곳에는 사용이 가능하나 욕실과 같이 하수구가 바닥에 설치되는 곳에는 사용조차 불가능한 것이다.
다른 한가지 방법은 배수관의 하단에 비닐과 같이 얇은 재질로 된 튜브를 구성함으로써 물이 유입되면 튜브가 벌어지면서 배수가 이루어지고 배수가 완료된 후에는 튜브가 밀착됨으로써 악취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있었으나, 이는 튜브의 수명이 짧아 오랜 시간 원활한 밀착을 기대할 수가 없어서 수시로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명이 영구적이면서 물의 배출이 원활하고 악취의 차단을 위한 차단작용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차단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쾌적한 실내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차단장치는 물이 통과하는 관체(10)와, 관체(10)의 하단에 힌지(11)로 구성되어 개폐작용을 하는 개폐판(20)과, 개폐판(20)의 작동을 돕는 탄성편(30)으로 구성된다.
관체(10)는 상단에 싱크대나 하수구의 입구에 장착되어 물이 유입되면서 외부로는 누출을 방지하도록 밀폐링(12)을 구성하고, 하단부 관체(10)의 수직 중심선으로부터 45도 이내의 각도로 경사진 밀착부(13)를 구성하였다.
상기 밀착부(13)에 개폐판(20)을 힌지(11)로 설치하여 개폐판(20)이 밀착부(13)에 밀착됨으로써 상부로 악취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개방되면 물이 하부로 흐르게 하였다.
그리고 관체(10)에는 탄성편(30)을 고정시켜 그 끝단이 개폐판(20)에 밀착되어 개폐판(20)이 밀착부(13)에 밀착되는 힘을 가하도록 하였다.
상기 탄성편(30)은 무게에 민감하게 작용하도록 탄성력이 적당한 것으로 선택하면 원활한 작동에 도움이 될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된 부호 1은 배수관, 21은 탄성편 가이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고안을 설치할 때는 기존 욕실의 바닥에 설치된 배수구에 삽입하여도 되고 배수 파이프의 중간에 삽입하여도 된다.
설치 후에 싱크대나 욕실에서 하수가 흘러 본 고안의 관체(10)로 유입되면 물의 무게에 의해 개폐판(20)이 개방되면서 물이 원활하게 배수되는 것이다.
개폐판(20)의 작용은 힌지(11)에 의해 정확하고 균일하게 이루어진다.
물의 배수가 완료되면 탄성편(30)의 탄성력으로 개폐판(20)이 밀착부(13)에 밀착됨으로써 악취가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서 싱크대의 배수구나 하수구의 하방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됨으로써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오랜 수명을 가지면서 정확한 작용을 유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도 1의 측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관체
11: 힌지
12: 밀폐링
13: 밀착부
20: 개폐판
30: 탄성편

Claims (1)

  1. 싱크대나 하수구의 입구에 장착되고 하단부 관체(10)의 수직 중심선으로부터 45도 이내의 각도로 경사진 밀착부(13)가 구성되는 관체(10)와,
    상기 관체(10)에 힌지(11)로 설치되고 밀착부(13)에 밀착되는 개폐판(20)과,
    관체(10)에 고정되면서 그 끝단이 개폐판(20)에 밀착되어 개폐판(20)이 밀착부(13)에 밀착되는 힘을 가하는 탄성편(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KR20-2005-0025972U 2005-09-08 2005-09-08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03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972U KR200403172Y1 (ko) 2005-09-08 2005-09-08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972U KR200403172Y1 (ko) 2005-09-08 2005-09-08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172Y1 true KR200403172Y1 (ko) 2005-12-08

Family

ID=43704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97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03172Y1 (ko) 2005-09-08 2005-09-08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17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00Y1 (ko) * 2009-06-18 2010-02-10 박경자 배수트랩
KR200466764Y1 (ko) 2011-05-02 2013-05-09 임회규 확장관에 장착되는 이중튜브관
KR200493623Y1 (ko) * 2019-12-31 2021-05-06 김낙권 척력 개폐식 하수트랩
KR200493622Y1 (ko) * 2019-12-27 2021-05-06 김낙권 자력 개폐식 하수트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00Y1 (ko) * 2009-06-18 2010-02-10 박경자 배수트랩
WO2010147322A3 (ko) * 2009-06-18 2011-03-31 Kim Ki Sung 배수트랩 및 배수트랩 개폐장치
KR200466764Y1 (ko) 2011-05-02 2013-05-09 임회규 확장관에 장착되는 이중튜브관
KR200493622Y1 (ko) * 2019-12-27 2021-05-06 김낙권 자력 개폐식 하수트랩
KR200493623Y1 (ko) * 2019-12-31 2021-05-06 김낙권 척력 개폐식 하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551476T1 (de) Ablaufgarnitur mit integriertem überlauf
AU2013232928B2 (en) Waterless urinal
KR200434948Y1 (ko) 하수구용 배스트랩
JP6752411B2 (ja) 配管構造
KR200403172Y1 (ko)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JP6194505B2 (ja) 自封式弁部材及び継ぎ手部材
KR100756933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200273523Y1 (ko) 건축물에서 부력을 이용한 유해가스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200257186Y1 (ko) 악취방지용 부표가 장착된 배수트랩
KR200249076Y1 (ko) 방취용 배수트랩
KR100952311B1 (ko) 배수트랩
KR200403107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120097922A (ko) 하수구냄새트랩
JP2006138065A (ja) 排水装置
JP2006291496A (ja) 水洗トイレ用手洗器の排水構造
KR102749118B1 (ko)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KR200196519Y1 (ko) 소변기의 악취 차단구
JP2001311197A (ja) 排水栓装置
KR200435966Y1 (ko) 배수구 악취방지기
JPH0718713A (ja) ユニット形排水トラップ
JP2006063764A (ja) 浴槽の配管構造に用いられる目皿部材
RU2017108641A (ru) Комплект санузла
KR200262180Y1 (ko) 하수구 공기 차단켑
CN114787460A (zh) 排水装置
KR20220067821A (ko) 배수 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90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9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1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0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1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