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3592Y1 -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592Y1
KR200383592Y1 KR20-2005-0004046U KR20050004046U KR200383592Y1 KR 200383592 Y1 KR200383592 Y1 KR 200383592Y1 KR 20050004046 U KR20050004046 U KR 20050004046U KR 200383592 Y1 KR200383592 Y1 KR 2003835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toilet
pipe
living
deodoriz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원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팩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팩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팩트
Priority to KR20-2005-0004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5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59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60)을 구비한 오수받이 몸체(20)의 일측에 오물을 포함한 화장실오수와 오물을 포함하지 않은 생활하수를 구분하여 유입할 수 있도록 화장실오수 유입구(22) 및 생활하수 유입구(24)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몸체(20)의 타측에는 유입된 화장실오수 및 생활하수를 배출하는 배수구(26)를 형성하며, 상기 생활하수 유입구(24)에 삽입되어 생활하수관(2)과 연결되는 접속구(42)와 유입된 생활하수를 배출하는 봉수부(44)와 상기 접속구(42) 및 봉수부(44)와 연통하는 소제구(46)를 형성한 방취관(40)을 형성하는 한편, 화장실오수관(1)이 삽입되어 화장실오수 유입구(22)로 유입되는 화장실오수를 즉시 배수구(26)로 배출하는 화장실오수로(54)를 형성함과 아울러 방취관(40)의 봉수부(44)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에 의해 봉수부(44)가 잠기도록 봉수통(56)을 형성한 방취틀(50)을 몸체(20)의 저면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10)의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화장실오수관(1)과 오수받이(10) 및 오폐수관(3)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봉수통(56)의 생활하수에 의하여 차단되어 방취관(40) 및 생활하수관(2)을 통하여 주방 등으로 악취가 역류하지 않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하수의 경우 오수받이(10) 내부에서 고이지 않고 즉시 오폐수관(3)으로 배출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오수받이내 잔류오물에 의한 악취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A MANHOLE WITH A STINK TRAP}
본 고안은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의 변기 등에서 배수되는 오수와 주방 등에서 배수되는 생활하수를 각각 유입하여 단일 배수구를 통하여 오폐수관으로 배출하는 오수받이를 형성하되, 화장실오수는 오수받이내에서 고이지 않고 즉시 배수하도록 함과 아울러 생활하수는 방취관 및 방취틀을 통하여 배수하도록 하여 상기 화장실오수 및 오폐수관의 악취가 생활하수관을 통하여 주방 등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주거하는 공간에는 필연적으로 오폐수가 발생하게 마련이고, 상기 오폐수는 주방, 세탁실, 베란다, 싱크대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와, 화장실의 변기에서 배출되는 오폐수와 같이 오물이 포함된 화장실오수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장실오수 및 생활하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오수관(1)과 생활하수관(2)을 통하여 각각 배수되어 합류된 후 오수받이(5)로 유입된 다음 오폐수관(3)으로 배출되는바, 상기 오수받이(5)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살펴본다.
종래 오수받이(5)는 몸체(6)와 뚜껑(9)으로 구분되며, 몸체(6)의 일측에는 합류된 화장실오수와 생활하수를 입수하는 유입구(7)가 형성됨과 아울러 유입구(7)의 타측에는 오수받이(5)의 내부로 유입된 오폐수를 배출하는 배수구(8)가 상기 유입구(7)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배수구(8)의 아래쪽 몸체(6)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일정량의 오폐수가 고이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오수받이(5)의 구성 및 그 사용상태에 의하면, 화장실오수관(1)에 잔류하는 오물에서 발생한 악취와 오수받이(5)의 내부에 고여있는 오물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오폐수관(3) 내부의 악취가 생활하수관(2)을 통하여 주방 등으로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었는바, 이는 화장실 변기의 경우 자체적으로 방취트랩이 형성되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반면, 주방의 싱크대와 세탁실의 배수관 및 베란다의 배수관 등에는 방취트랩이 구성되지 않은 경우가 상당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장실오수관에 잔류하는 오물 및 오수받이 내부에 고여있는 오물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오폐수관 내부의 악취가 생활하수관을 통하여 주방 등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화장실오수와 생활하수를 각각 유입하여 단일 배수구로 배출하는 오수받이를 구성하되, 화장실오수는 오수받이 내부에서 고이지 않고 즉시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생활하수는 방취틀에 고여있는 생활하수에 잠긴 방취관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를 구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의 구성은, 화장실오수 유입구 및 생활하수 유입구와 배수구를 형성한 오수받이 몸체의 내부 저면에 방취수단으로서 방취관과 방취틀을 형성하되, 상기 방취관은 생활하수 유입구에 삽입되어 생활하수관과 연결되는 접속구 및 생활하수를 하향으로 배출하는 봉수부와 상기 접속구 및 봉수부와 연통된 소제구로 형성하고, 방취틀은 화장실오수를 유입하여 즉시 배출하는 화장실오수로와 유입된 생활하수가 일정량만큼 고일 수 있는 봉수통 및 상기 화장실오수로와 봉수통을 구획하는 칸막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살펴본다.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10)는 몸체(20)의 일측에 화장실오수관(1)이 삽입되는 화장실오수 유입구(22)와 생활하수관(2)이 연결되는 생활하수 유입구(24)를 각각 별개로 형성하고, 몸체(20)의 타측에는 유입된 화장실오수와 생활하수가 합류되어 배출되는 배수구(26)를 형성하되 상기 배수구(26)는 상기 화장실오수 유입구(22) 및 생활하수 유입구(24)보다 다소 낮은 위치에 형성하며, 몸체(20)의 내부 저면에는 방취수단(30)으로서 방취관(40)과 방취틀(50)을 구비하여 화장실오수와 생활하수를 합류하여 배출함에 있어 화장실오수 등의 악취가 생활하수관(2)을 통하여 주방 등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방취수단(30)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되 우선 방취관(40)의 구성을 살펴보면, 방취관(40)의 일측에는 생활하수 유입구(24)에 삽입되어 생활하수관(2)과 연결되는 접속구(42)를 형성하고, 하단에는 상기 접속구(42)와 연통 되어 유입된 생활하수를 방취틀(50)의 봉수통(56)으로 배출하는 봉수부(44)를 형성하며, 상단에는 상기 접속구(42) 및 봉수부(44)와 연통하되 마개(47)가 개폐 가능토록 형성된 소제구(46)를 형성함으로써 "┥"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방취틀(50)의 구성을 살펴보면, 방취틀(50)은 칸막이(52)에 의하여 화장실오수로(54)와 봉수통(56)으로 구획되는바, 화장실오수로(54)는 화장실오수 유입구(22)에 삽입된 화장실오수관(1)으로부터 유입되는 화장실오수가 즉시 오수받이(10)의 배수구(26)로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봉수통(56)은 방취관(40)으로부터 유입되는 생활하수가 일정량 고이도록 형성하여 방취관(40)의 봉수부(44)가 생활하수에 잠길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화장실오수로(54) 및 봉수통(56)을 구획하는 칸막이(52)에는 개구부(53)를 형성하여 봉수통(56)의 생활하수가 일정량 이상일 때 생활하수가 상기 개구부(53)를 통하여 화장실오수로(54)를 거쳐 배수구(26)로 배출되도록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오수받이(10)에 있어 오수받이 몸체(20)에 형성한 화장실오수 유입구(22) 및 생활하수 유입구(24)에는 패킹(70)을 삽입함으로써 오폐수가 오수받이(1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한바, 상기 패킹(70)은 고무재질로써 양측면에는 받침편(72a)(72b)을 각각 형성하여 화장실오수 유입구(22) 및 생활하수 유입구(24)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받침편(72a)(72b) 사이의 외주면에는 돌기(74)를 형성함과 아울러 양측 받침편(72a)(72b)의 내주면에도 각각 돌출부(76a)(76b)를 형성하여 오수받이(10) 내부와 외부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 방취틀(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받이(10)와 별개로 형성하여 오수받이(10)의 저면에 설치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으나 오수받이(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60"은 뚜껑(60)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의 작용효과를 하기에서 상세히 살펴보면, 화장실오수 유입구(22)에 삽입된 화장실오수관(1)을 통하여 오물이 포함된 화장실오수가 오수받이(10)의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화장실오수는 경사진 화장실오수로(54)를 통하여 즉시 배수구(26)를 거쳐 오폐수관(3)으로 배출됨으로써 오수받이내 잔류 오물에 의한 악취 발생이 없다.
그리고 생활하수관(2)이 연결된 방취관(40)을 통하여 생활하수가 방취틀(50)의 봉수통(56)으로 유입되면 상기 생활하수는 칸막이(52)의 개구부(53)로 넘쳐 화장실오수로(54)를 경유하여 배수구(26)로 배출되는바, 이때 방취관(40)의 봉수부(44)가 방취틀(50)의 봉수통(56)에 고여있는 생활하수에 잠겨 있음으로 화장실오수 및 오폐수관(3)의 악취가 생활하수관(2)을 통하여 주방 등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물질 유입에 따라 생활하수관(2) 내부의 청소가 필요한 경우 또는 봉수통(56)에 침전된 이물질을 청소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방취관(40)의 소제구 마개(47)를 열어 생활하수관(2)의 내부 및 봉수통(56)의 구석진 부분까지 소제기구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화장실오수 유입구(22) 및 생활하수 유입구(24)에 패킹(70)을 삽입하여 화장실오수관(1)과 생활하수관(2)을 연결함으로써 오수받이(10) 내부에 유입된 오폐수의 기밀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화장실오수관(1) 및 생활하수관(2)과 오수받이(10) 사이의 배관연결 작업이 용이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에 따른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에 의하면, 화장실오수관과 생활하수관이 상호 연결되지 않음으로 화장실오수관에 잔류하는 오물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생활하수관으로 유입되지 않음과 아울러 오수받이로 유입된 화장실오수 및 오폐수관의 악취는 봉수된 방취관에 의하여 차단됨으로써 화장실오수관과 오수받이 및 오폐수관의 악취가 생활하수관을 통하여 주방 등으로 역류하지 않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오수의 경우 오수받이 내부에 고이지 않고 즉시 오폐수관으로 배출됨으로써 종래 오수받이내 잔류오물에 의한 악취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한편, 오수받이와 배관의 연결부에 패킹을 삽입하여 오폐수의 기밀을 유지함과 아울러 배관작업이 용이한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오수받이와 배수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오수받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와 배수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의 주요부 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의 소제구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의 패킹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장실오수관 2 : 생활하수관 3 : 오폐수관
10 : 오수받이 20 : 몸체 22 : 화장실오수 유입구
24 : 생활하수 유입구 26 : 배수구 30 : 방취수단
40 : 방취관 42 : 접속구 44 : 봉수부
46 : 소제구 47 : 마개 50 : 방취틀
52 : 칸막이 53 : 개구부 54 : 화장실오수로
56 : 봉수통 60 : 뚜껑 70 : 패킹

Claims (3)

  1. 오폐수 유입구 및 배수구를 형성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을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방취수단을 형성한 오수받이에 있어서;
    오물을 포함한 화장실오수와 오물을 포함하지 않은 생활하수를 구분하여 유입하도록 몸체(20)의 일측에 각각 형성한 화장실오수 유입구(22) 및 생활하수 유입구(24)와; 상기 생활하수 유입구(24)에 삽입되어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접속구(42)를 일측에 형성하고, 유입된 생활하수를 배출하는 봉수부(44)를 하단에 형성하며, 상기 접속구(42) 및 봉수부(44)와 연통하되 마개(47)를 구비한 소제구(46)를 상단에 형성한 방취관(40)과; 화장실오수 유입구(22)로 유입되는 화장실오수가 즉시 배수구(26)로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진 화장실오수로(54)와, 방취관(40)의 봉수부(44)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에 의해 상기 봉수부(44)가 잠기도록 한 봉수통(56)을 형성하되, 상기 화장실오수로(54)와 봉수통(56)을 칸막이(52)로 구획한 방취틀(50)을 몸체(20)의 저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오수로(54) 및 봉수통(56)을 구획하는 칸막이(52)에 개구부(5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오수받이 몸체(20)에 형성한 화장실오수 유입구(22) 및 생활하수 유입구(24)에는 패킹(70)을 삽입하되, 상기 패킹(70)은 고무재질로써 양측면에는 받침편(72a)(72b)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받침편(72a)(72b) 사이의 외주면에는 돌기(74)를 형성하며, 양측 받침편(72a)(72b)의 내주면 각각 돌출부(76a)(76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KR20-2005-0004046U 2005-02-15 2005-02-15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Expired - Lifetime KR2003835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046U KR200383592Y1 (ko) 2005-02-15 2005-02-15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046U KR200383592Y1 (ko) 2005-02-15 2005-02-15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592Y1 true KR200383592Y1 (ko) 2005-05-06

Family

ID=4368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046U Expired - Lifetime KR200383592Y1 (ko) 2005-02-15 2005-02-15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5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174B1 (ko) 2005-02-28 2007-02-20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악취 차단 오수받이
KR20200133672A (ko) * 2019-05-20 2020-11-30 주식회사 부원에코베라 우수 및 오폐수 받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174B1 (ko) 2005-02-28 2007-02-20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악취 차단 오수받이
KR20200133672A (ko) * 2019-05-20 2020-11-30 주식회사 부원에코베라 우수 및 오폐수 받이장치
KR102376779B1 (ko) * 2019-05-20 2022-03-21 주식회사 부원에코베라 우수 및 오폐수 받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7831B2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US20070074337A1 (en) Urinal
KR20080081572A (ko)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JP5756938B2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200383592Y1 (ko)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JP3721469B2 (ja) 排水配管
KR100766508B1 (ko) 오수받이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JP4872055B2 (ja) 排水トラップ
KR100654309B1 (ko) 하수관로의 물받이 배수트랩
KR101726293B1 (ko) 물을 사용하지 않고 악취를 차단하면서 위생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소변기용 카트리지
KR200273584Y1 (ko) 냄새역류방지용 u자형 배수관
KR101114822B1 (ko) 오수받이
KR200327222Y1 (ko) 실내 바닥배수장치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JP4099574B2 (ja) 排水装置
JP2892310B2 (ja) エルボ付溜め桝
KR200434181Y1 (ko) 오수받이용 악취차단트랩
KR200356294Y1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100951028B1 (ko) 배수구용 악취 차단구
KR100737270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21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2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30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60101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1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