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26985A - 변형가능한 탐폰 - Google Patents

변형가능한 탐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985A
KR20190126985A KR1020180050983A KR20180050983A KR20190126985A KR 20190126985 A KR20190126985 A KR 20190126985A KR 1020180050983 A KR1020180050983 A KR 1020180050983A KR 20180050983 A KR20180050983 A KR 20180050983A KR 20190126985 A KR20190126985 A KR 20190126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vagina
deformable
absorbent
absorbent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안-청 치엔
Original Assignee
위안-청 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안-청 치엔 filed Critical 위안-청 치엔
Priority to KR1020180050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6985A/ko
Publication of KR20190126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98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22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2025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adapted to change of shape once expelled of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02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use
    • A61F13/202Catamenial tamp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22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2037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grooves or ribs, having a main axis in the radi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71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structure of th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34Means for withdrawing tampons, e.g. withdrawal st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변형가능한 탐폰(4, 4', 4", 4a, 4b)은 흡수체(41, 41', 41", 41a, 41b)와 당김 줄(pull string)(42)을 포함한다. 흡수체(41, 41', 41", 41a, 41b)는 생리혈을 흡수하기 위해 질(5)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솜체(411)로부터 나선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축선(A) 둘레로 서로 접촉하면서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솜 루프(412, 412', 412", 412b)를 구비한다. 당김 줄(42)은 흡수체(41, 41', 41", 41a, 41b)를 질(5)로부터 밖으로 당기기 위해 흡수체(41, 41', 41", 41a, 41b)의 단부에 제공된다.

Description

변형가능한 탐폰{DEFORMABLE TAMPON}
본 개시는 위생 용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형가능한 탐폰에 관한 것이다.
생리대에 추가하여, 탐폰이 여성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생리대와 달리 탐폰은 후텁지근한 느낌이 없어 사용하기에 편안하며, 보행중 마찰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도 않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탐폰(1)은 대체로 원통형상 및 만곡된 전방 단부 표면을 갖는 흡수체(11)와, 상기 흡수체(11)에 연결된 당김 줄(12)을 구비한다. 사용시, 흡수체(11)는 생리혈을 흡수하기 위해 질(2) 내로 삽입되어, 생리혈의 누설 방지 효과 및 세척 효과를 달성한다. 당김 줄(12)을 당겨서 질(2)로부터 흡수체(11)를 제거한다.
질(2)의 형상은 곡선이다. 탐폰(1)이 질(2) 내로 삽입된 후, 흡수체(11)는 생리혈을 흡수하여 팽창하지만,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질(2)의 내벽과 완전히 접촉하지는 않을 것이며, 그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11)와 질(2)의 내벽 사이에 간극이 존재할 것이다. 간극의 존재 때문에, 생리혈이 질(2)로부터 간극을 통해 유출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용자는 질(2)로부터 밖으로 유출되는 생리혈을 흡수하기 위해 생리대를 추가로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탐폰(1)은 사용하기에 불편하며, 개선할 여지가 여전히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극복할 수 있는 변형가능한 탐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변형가능한 탐폰은 흡수체 및 당김 줄을 포함한다. 흡수체는 생리혈을 흡수하기 위해 질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솜체(cotton body)로부터 나선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흡수체는 축선 둘레로 나선형상으로 연장되고 서로 접촉하고 있는 복수의 솜 루프를 포함한다. 당김 줄은 질로부터 흡수체를 당기기 위해 흡수체의 단부에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탐폰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탐폰의 사용상태도,
도 3은 종래의 탐폰과 질의 내벽 사이의 간극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의 사시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유사도이지만 제 1 실시형태의 흡수체에 부착된 보조 장치를 갖는 도면,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제 1 실시형태의 사용상태도,
도 9는 제 1 실시형태의 흡수체가 생리혈을 흡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생리혈을 흡수하기 전에 제 1 실시형태의 흡수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생리혈을 흡수한 후에 질의 내벽과 맞댐 접촉하고 있는 제 1 실시형태의 흡수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 형태에 대한 도면,
도 13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의 개략도,
도 14는 본 개시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의 개략도,
도 15는 본 개시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의 절결 사시도,
도 16은 제 4 실시형태의 변형 형태에 대한 도면,
도 17은 본 개시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의 사시도.
첨부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개시를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 앞서, 본 개시의 전체에 걸쳐 유사 요소는 동일 참조변호로 표시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변형가능한 탐폰 은 흡수체(41)와, 이 흡수체(41)의 일 단부에 제공된 당김 줄(42)을 포함하도록 도시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체(41)는 단일 솜체(411)로부터 나선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축선(A) 둘레로 나선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솜 루프(cotton loop: 412)를 구비한다. 솜 루프들(412) 중 두개의 최외곽 솜 루프의 일 단부는 용융가능한 접착제에 의해 인접 솜 루프(412)의 일 단부에 연결된다. 그렇기 때문에, 솜 루프(412)는 흡수체(41)의 나선 형상을 유지하도록 서로 맞댐 접촉하여 유지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솜 루프들(412)은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축선(A)을 따라 연장되는 수납 공간(413)을 형성하도록 서로 협동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실제 사용시, 이 실시형태는 보조 장치(43)를 구비한다. 보조 장치(43)는 수납 공간(413) 내로 제거가능하게 삽입되는 푸시 로드(431)와, 상기 푸시 로드(431)의 일 단부에 고정 연결되고 수납 공간(413)의 외측에 위치되는 손잡이(432)를 포함한다. 푸시 로드(431)의 길이는 흡수체(41)의 길이보다 짧다. 손잡이(432)의 폭은 푸시로드(431)의 폭 및 수납 공간(413)의 폭보다 길어서, 손잡이(432)가 수납 공간(413) 내로 연장되지 않을 것이다. 당김 줄(42)은 손잡이(432)에 근접한 최외측 솜 루프(412)에 묶이거나 또는 고정 연결된다. 사용자는 질(5)로부터 흡수체(41)를 제거하기 위해 당김 줄(42)을 당긴다 (도 8 참조).
도 7과 조합하여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시, 사용자는 손잡이(432)를 잡고 탐폰(4)의 흡수체(41)를 질(5) 내로 민다. 흡수체(41)가 질(5) 내에 위치된 후, 손잡이(432)를 질(5)로부터 당겨서, 푸시 로드(431)를 흡수체(41)의 수납 공간(413)으로부터 그리고 질(5)로부터 외측으로 제거한다. 흡수체(41)는 질(5)의 형상에 정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진다. 이 때, 솜 루프(412)와 질(5)의 내벽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도 10 참조). 도 7과 함께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접착제가 질(5) 내측에서 용융되기 때문에, 솜 루프(412)는 생리혈을 흡수한 후 서로에 대해 휘어져서,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벗어나도록 약간 이동할 수 있다. 그러한 이동성으로 인해, 솜 루프(412)는 질(5)의 내벽의 불균일 또는 만곡 표면에 대응하게 될 수 있다. 솜 루프(412)가 생리혈을 흡수한 후 그의 팽창 또는 융기와 결합하면, 변형되어 질(5)의 내측 표면과 맞댐 접촉할 수 있어서(도 11 참조), 간극의 존재 및 간극으로부터의 생리혈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탐폰(4)을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한 후 제거하려면, 사용자는 당김 줄(42)을 당겨서 흡수체(41)를 질(5)로부터 외측으로 제거한다. 흡수체(41)를 질(5)로부터 밖으로 당길 때, 흡수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차 곧게 펴져서, 질(5)의 내벽과의 과도한 마찰을 방지하며,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있어서, 흡수체(41)를 질(5) 내로 삽입할 때, 흡수체(41)는 질(5)의 질 개구와 반대쪽에 있는 원위 단부와, 질(5)의 질 개구에 인접해 있는 근위 단부를 구비하며, 당김 줄(42)의 일 단부는 흡수체(41)의 근위 단부에 위치된 최외측 솜 루프(412)에 고정된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형태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41)는 절반으로 절곡되며, 나선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요컨대, 본 개시의 변형가능한 탐폰(4)의 흡수체(41)는 솜 루프(412)를 구비하며, 솜 루프(412)는 축선(A) 둘레로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서로 맞댐 접촉하여 유지되며, 생리혈을 흡수하여 팽창한 후 질(5)의 형상에 따라 질(5)의 내벽과 맞댐 접촉하도록 자연스럽게 휘어져서 변형될 수 있어서, 생리혈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솜 루프(412)는 어떤 느낌도 없이 질(5)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종래의 탐폰에 있어서, 그 탐폰은 생리혈을 흡수한 후 팽창하여 질(5)을 채우지만, 질은 상이한 크기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는 질(5) 내측에서의 탐폰의 팽창 압력으로 인해 상이한 정도의 불편함을 느낄 수 있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변형가능한 탐폰(4')의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대체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체(41')의 솜 루프(412')의 외경이 손잡이(432)에 근접한 흡수체(41')의 일 단부로부터 손잡이(432)와 반대쪽의 흡수체의 타 단부까지 점차 감소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당김 줄(42)은 최대 외경을 갖는 솜 루프(412')에 고정된 일 단부를 갖는다. 이 실시형태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 흡수체(41')의 변형 형태를 제공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변형가능한 탐폰(4")의 제 3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대체로 유사한 것으로 도시되며,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체(41")의 솜 루프(412")의 외경이 손잡이(432)에 근접한 흡수체(41")의 일 단부로부터 그의 중앙부까지 점차 증가하며, 그 후 상기 중앙부로부터 손잡이(432)와 반대쪽의 흡수체(41")의 타 단부까지 점차 감소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제 3 실시형태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 흡수체(41")의 다른 변형 형태를 제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변형가능한 탐폰(4a)의 제 4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대체로 동일하게 도시되고,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체(41a)는 두개의 솜체(411)를 서로 꼬는 것에 의해서 나선 형상으로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 실시형태의 변형 형태에 있어서, 흡수체(41a)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개의 솜체(411)를 서로 꼬는 것에 의해서 나선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솜체(411)의 수는 본원에 개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은다. 제 4 실시형태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 흡수체(41a)의 또 다른 변형 형태를 제공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변형가능한 탐폰(4b)의 제 5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대체로 동일하도록 도시되며,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솜 루프(412b)의 외측 둘레 표면에, 축선(A)을 둘러싸는 복수의 둘레방향 이격 홈(414)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각각의 홈(414)은 축선(A)에 평행한 흡수체(4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솜 루프(412b)들 중 하나의 솜 루프의 홈(414)은 솜 루프들(412b)들 중 인접한 솜 루프(412b)의 홈(414)과 각기 정렬되어 연통한다. 질(5)에 대향하는 솜 루프(412b)가 생리혈로 포화되어 더 이상 생리혈을 흡수할 수 없을 때, 잉여 생리혈은 홈(414)을 통해 유동하여, 생리혈로 아직 포화되지 않은 나머지 솜 루프(412b)에 흡수될 것이며, 그에 따라 생리혈이 질(5)에 대향하는 솜 루프(412b)의 정상부에 달라붙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요컨대 생리혈을 흡수한 후 솜 루프(412, 412', 412", 412b)의 이동성을 통하여, 솜 루프(412, 412', 412"', 412b)는 질(5)의 내벽과 대응하여서 질과의 접촉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개시의 변형가능한 탐폰(4)은 생리혈의 누설을 방지함으로써, 탐폰의 사용 중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이 참으로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에 있어서는, 설명의 목적으로, 실시형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수많은 특정 상세를 기술하였다. 그러나, 당업자에게는, 이들 특정 상세의 일부가 없이,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형태가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실시형태", "일 실시형태", 서수로 표시된 실시형태 등을 언급하는 것은, 특정 특성, 구조 또는 특징이 본 개시의 실시에 포함될 수도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로, 전술한 기술에 있어서, 각종 특성은 개시를 능률화할 목적으로 그리고 각종 발명적 양상의 이해에 도움을 줄 목적으로 단일 실시형태, 도면 또는 그의 설명에서 때로 함께 그룹화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로 간주되는 것과 관련하여 본 개시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은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그러한 변경예 및 균등 구조를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 정신 및 점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를 포괄할 의도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8)

  1. 변형가능한 탐폰에 있어서,
    생리혈을 흡수하기 위해 질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솜체로부터 나선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흡수체로서, 서로 접촉하면서 축선 둘레로 나선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솜 루프를 구비하는 상기 흡수체와;
    상기 질로부터 상기 흡수체를 당기기 위해 상기 흡수체의 단부에 제공된 당김 줄을 포함하는
    변형가능한 탐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솜 루프들은 축선을 따라 연장하는 수납 공간을 협동하여 규정하고, 상기 변형가능한 탐폰은 상기 수납 공간 내로 제거가능하게 삽입되는 푸시 로드와, 상기 푸시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 공간의 외측에 위치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보조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흡수체를 상기 질 내로 밀도록 그리고 상기 푸시 로드를 상기 흡수체로부터 멀리 및 상기 질로부터 밖으로 당기도록 동작가능한
    변형가능한 탐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솜 루프들은 동일한 외경을 갖는
    변형가능한 탐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솜 루프는 상기 손잡이에 근접해 있는 상기 흡수체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손잡이와 반대쪽에 있는 흡수체의 타 단부까지 점차 감소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당김 줄은 보다 큰 외경을 갖는 상기 솜 루프에 고정되는
    변형가능한 탐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솜 루프는, 외경이 상기 흡수체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흡수체의 중앙부까지 점차 증가하고, 그 후 상기 흡수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흡수체의 반대쪽 타 단부까지 점차 감소하는
    변형가능한 탐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복수의 솜체를 서로 꼬는 것에 의해 나선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변형가능한 탐폰.
  7. 제 1 항에 있어서,
    각 솜 루프의 외측 둘레방향 표면에는 상기 축선을 둘러싸는 복수의 둘레방향 이격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각각은 상기 축선과 평행한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솜 루프들 중 하나의 솜 루프의 홈은 상기 솜 루프들 중 인접한 솜 루프의 홈과 각기 정렬되어 연통하는
    변형가능한 탐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질 내로 삽입되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질의 질 개구와 반대쪽에 있는 원위 단부와, 상기 질의 질 개구에 근접해 있는 근위 단부를 가지며, 상기 당김 줄의 일 단부는 상기 흡수체의 근위 단부에 위치하는 솜 루프에 고정되는
    변형가능한 탐폰.
KR1020180050983A 2018-05-03 2018-05-03 변형가능한 탐폰 Ceased KR20190126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983A KR20190126985A (ko) 2018-05-03 2018-05-03 변형가능한 탐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983A KR20190126985A (ko) 2018-05-03 2018-05-03 변형가능한 탐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985A true KR20190126985A (ko) 2019-11-13

Family

ID=6853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983A Ceased KR20190126985A (ko) 2018-05-03 2018-05-03 변형가능한 탐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69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8804A (en) Hygienic tampon and tampon applicator
US6419777B1 (en) Method of forming a tampon having a resilient member
US20200306098A1 (en) Tampon with membrane
US2092427A (en) Catamenial device
US3196873A (en) Tampon and applicator
US3712305A (en) Tampon for taking up menstrual liquids
EP1171072B1 (en) Tampon with enhanced leakage protection
US5437628A (en) Curved tampon applicator having an improved fingergrip
US3986511A (en) Intravaginal sanitary device
EP3354244A1 (en) Deformable tampon
JPH05212073A (ja) 生理用タンポン
KR100263237B1 (ko) 내부에서변형가능한탐폰
JPS6027303B2 (ja) タンポンのアプリケ−タ−
JP2016531671A (ja) 流体捕捉用装置及びその方法
JPH05212074A (ja) 湾曲したタンポンの製造方法
JP2013501559A (ja) 拡張器及び拡張器を備えたアッセンブリー
US3999549A (en) Catamenial tampon having fluid transmissive and resilient outer sheath
KR100460252B1 (ko) 탄성 부재를 갖는 탐폰 및 이 탐폰의 제조 방법
GB2120945A (en) Tampon applicator
KR20190126985A (ko) 변형가능한 탐폰
US4020841A (en) Catamenial tampon
CA3003194A1 (en) Deformable tampon
RU2689610C1 (ru) Деформируемый тампон
PH12018050192A1 (en) Deformable tampon
CN111093578B (zh) 卫生棉条施加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0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