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04702A -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702A
KR20190104702A KR1020180025119A KR20180025119A KR20190104702A KR 20190104702 A KR20190104702 A KR 20190104702A KR 1020180025119 A KR1020180025119 A KR 1020180025119A KR 20180025119 A KR20180025119 A KR 20180025119A KR 20190104702 A KR20190104702 A KR 20190104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oling
high voltage
auxiliary battery
auxili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해규
김용재
최용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5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4702A/ko
Priority to US15/995,932 priority patent/US10756397B2/en
Priority to CN201810633897.XA priority patent/CN110224194B/zh
Priority to EP18183455.7A priority patent/EP3534454B1/en
Publication of KR20190104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702A/ko
Priority to KR1020240038022A priority patent/KR102761287B1/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01M10/6568Liquids characterised by flow circuits, e.g. loops, located externally to the cells or cell casing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통합냉각장치는 내부에 고전압배터리 및 보조배터리가 배치되고, 외주면에 냉각수가 유출입되는 입구포트 및 출구포트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입구포트로부터 냉각수가 전달되어 내부공간을 유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전압배터리에 열전달 가능하도록 설치된 냉각채널; 및 상기 냉각채널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공급받고, 상기 보조배터리에 열전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조배터리를 냉각하는 냉각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INTEGRATED BATTERY COOLING SYSTEM}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에 적용되는 고전압배터리 및 12v 보조배터리가 통합되어 구성된 배터리 구조를 효율적으로 냉각하기 위해 고안된 배터리 통합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표적 친환경 차량인 HEV/PHEV(Hybrid Electric Vehicle/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는 가솔린 또는 디젤 엔진과 엔진출력을 사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고 배터리 등 내에 저장된 전력에 의해 구동될 때 엔진 출력을 보조하는 모터가 적용된다.
종래의 친환경 차량은 엔진뿐만 아니라 모터가 동력원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대용량의 고전압배터리와, 고전압배터리의 전압이 저전압으로 변환되어 충전되는 보조배터리가 마련된다. 여기서, 보조배터리는 통상 시동 및 차량의 각종 전장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에는 상기 고전압배터리와 보조배터리가 각각 분리되어 마련되었으나, 최근에 고전압배터리와 보조배터리가 단일 하우징 내에 구성되는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고전압배터리 및 보조배터리는 배터리셀로부터 발생된 열을 냉각하기 위해 공냉식 또는 수냉식 냉각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데, 고전압배터리와 보조배터리가 동일한 패키지 구조를 구성한 상황에서 냉각구조를 적용할 때, 패키지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냉각효율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차량용 배터리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1-0122303 A
본 발명은 고전압배터리 및 보조배터리 통합모듈의 상품성 개선을 위해 제안된 것으로, 고전압배터리를 수냉각하는 냉각채널로부터 냉각수를 전달받아 2차적으로 보조배터리를 간접 냉각하는 냉각모듈이 구성됨으로써, 제조비용 및 부피 패키지를 효과적으로 저감하고, 배터리 냉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배터리 통합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통합냉각장치는 내부에 고전압배터리 및 보조배터리가 배치되고, 외주면에 냉각수가 유출입되는 입구포트 및 출구포트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입구포트로부터 냉각수가 전달되어 내부공간을 유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전압배터리에 열전달 가능하도록 설치된 냉각채널; 및 상기 냉각채널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공급받고, 상기 보조배터리에 열전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조배터리를 냉각하는 냉각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모듈은,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방 측에 구비되고, 상기 냉각채널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는 유입구와, 내부의 냉각수를 상기 출구포트로 배출하는 배출구로 구성된 챔버를 이루는 냉각블록; 및 상기 냉각블록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일측면에 열전달 가능하도록 설치된 냉각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전압배터리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보조배터리는 상기 복수의 고전압배터리 사이 지점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냉각블록은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단일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포트 및 출구포트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구포트와 냉각채널 입구를 연결하는 제1유로, 상기 냉각채널 출구와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2유로, 상기 배출구와 출구포트를 연결하는 제3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냉각모듈은, 일단부가 상기 냉각플레이트와 상기 보조배터리의 일측면 사이에 접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부로부터 상기 보조배터리를 관통하도록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핀 형상으로 형성된 열전도성 재질의 냉각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배터리는,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의 상하부를 덮는 배터리하우징; 및 양단부가 상기 배터리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양측면을 덮고, 외주면에 상기 냉각핀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안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중간부에 상기 냉각핀이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배터리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커버는 열계면물질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냉각핀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배터리셀과 교번하여 적층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배터리 통합냉각장치에 따르면, 고전압배터리와 보조배터리가 통합모듈로 마련된 구조에서 패키지 부피 및 무게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고전압배터리 및 보조배터리 냉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전압배터, 보조배터리, 냉각모듈의 패키지 구조가 최적화되도록 설계됨으로써 열전달 경로가 단순해져서 냉각성능이 개선되어 차압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냉각수를 이용하여 고전압배터리를 일차적으로 냉각시키고, 보조배터리를 이차적으로 냉각시키도록 마련됨으로써, 고전압배터리의 냉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통합냉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통합냉각장치의 하방 측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배터리 및 냉각모듈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통합냉각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통합냉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통합냉각장치의 하방 측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통합냉각장치는 내부에 고전압배터리(1) 및 보조배터리(3)가 배치되고, 외주면에 냉각수가 유출입되는 입구포트(12) 및 출구포트(14)가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입구포트(12)로부터 냉각수가 전달되어 내부공간을 유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전압배터리(1)에 열전달 가능하도록 설치된 냉각채널(20); 및 상기 냉각채널(20)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공급받고, 상기 보조배터리(3)에 열전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조배터리(3)를 냉각하는 냉각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HEV/PHEV(Hybird Electric Vehicle/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차량의 경우에 엔진뿐만 아니라 모터가 구동원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구동모터 또는 HSG(Hybrid Start Generator)를 구동시키기 위한 고전압이 필요로 되어지는데, 고전압배터리(1)가 그 고전압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차량에는 구동모터와 HSG만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저전압으로 구동되는 전장부품들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전장부품들은 과도한 고전압을 공급받으면 고장이 발생하기 때문에 고전압배터리(1)로부터 발생되는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될 필요가 있다.
상기 보조배터리(3)는 고전압배터리(1)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이 LDC(미도시)에 의해 변환된 저전압의 전류를 저장하고, 이를 차량의 전장부품들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보조배터리(3)는 리튬소재의 12v 배터리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에는 고전압배터리와 보조배터리가 각자 다른 패키지 구성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차량에 적용되었으나, 본 발명은 단일의 하우징(10) 내부에 고전압배터리(1)와 보조배터리(3)가 모듈화되어 패키지 구성된 상태에서 고전압배터리(1) 및 보조배터리(3)를 냉각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냉각수를 이용하여 고전압배터리(1) 및 보조배터리(3)를 냉각하기 위해 하우징(1) 외주면에 냉각수가 유입되는 입구포트(12)와, 냉각수가 배출되는 출구포트(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구포트(12)는 차량에 구비된 워터펌프를 통해서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채널(20)은 고전압배터리(1)의 하단면을 덮는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마련되고, 하우징(10)의 입구포트(12)로부터 전달받은 냉각수를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순환시키면서 고전압배터리(1)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채널(20)은 열전도성이 좋은 재료로 제작됨으로써, 냉각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보조배터리(3)의 냉각은 냉각모듈(30)에 의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냉각모듈(30)은 냉각채널(20)로부터 전달받은 냉각수를 이용하여 보조배터리(3)를 냉각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보조배터리(3)는 고전압배터리(1)에 비해 저전압을 형성하기 때문에 그만큼 발열량이 고전압배터리(1)보다 적은데, 본 발명은 냉각수가 고전압배터리(1)를 먼저 냉각하고 보조배터리(3)를 냉각하도록 마련되는바, 고온의 고전압배터리(1)의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보조배터리(3)를 냉각함에 있어서 고전압배터리(1)를 냉각하는데 사용된 냉각수를 재사용하기 때문에, 별도로 보조배터리(3) 냉각을 위해 워터펌프와 연결되는 구조가 추가되지 않아도 되는바, 패키지 부피나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배터리 및 냉각모듈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모듈(30)은 냉각채널(20)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보조배터리(3)와 열교환하도록 마련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모듈(30)은, 상기 보조배터리(3)의 전방 측에 구비되고, 상기 냉각채널(20)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는 유입구(33)와, 내부의 냉각수를 상기 출구포트(14)로 배출하는 배출구(34)로 구성된 챔버를 이루는 냉각블록(32); 및 상기 냉각블록(32)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보조배터리(3)의 일측면에 열전달 가능하도록 설치된 냉각플레이트(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냉각모듈(30)은 냉각채널(20)과 같이 배터리의 하단면에 밀착된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냉각수가 유출입되는 챔버인 냉각블록(32)과, 냉각블록(32)과 열전달하면서 연장되어 보조배터리(3)의 일측면에 열전달하는 냉각플레이트(36) 구성으로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보조배터리(3)는 양측면보다 상하면의 표면적이 더 넓게 형성되는데, 본 발명은 저온의 냉각플레이트(36)를 통해 보조배터리(3)의 일측면을 냉각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냉각채널타입의 냉각이 이루어지는 구조보다 패키지 부피나 무게가 증가가 적다.
또한, 냉각채널타입으로 보조배터리(3)를 냉각하기 위해선 냉각채널에 냉각수가 순환하는 유로가 형성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일정 두께를 가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반면, 본 발명의 냉각플레이트(36)는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하지 않기 때문에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냉각채널타입 냉각구조보다 부피, 무게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냉각플레이트(36)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대신 별도의 챔버를 이루어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블록(32)이 마련되고, 냉각블록(32)이 냉각플레이트(36)와 열교환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냉각플레이트(36)가 냉각수에 의해 저온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모듈(30)에 의하면 수냉각 방식으로 보조배터리(3)를 냉각하더라도 부피 패키지, 무게 및 비용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는 차량의 상품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플레이트(36)는 일측이 냉각블록(32)의 후단 측에 설치되고, 타측이 보조배터리(3)의 일측면에 열전달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설계자에 따라 냉각플레이트(36)가 냉각블록(32)와 접하는 부분을 가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전압배터리(1)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의 내부 양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보조배터리(3)는 상기 복수의 고전압배터리(1) 사이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블록(32)은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의 유입구(33)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단일의 배출구(3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입구포트(12) 및 출구포트(14)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구포트(12)와 냉각채널(20) 입구를 연결하는 제1유로(16), 상기 냉각채널(20) 출구와 유입구(33)를 연결하는 제2유로(17), 상기 배출구(34)와 출구포트(14)를 연결하는 제3유로(18)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 내부에서 보조배터리(3)의 양측에는 고전압배터리(1)가 각각 배치되고, 전방에는 냉각블록(32)이 배치되며, 일측면에 냉각블록(32)으로부터 연장되는 냉각플레이트(36)가 접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냉각수는 하우징(10)의 입구포트(12), 제1유로(16), 냉각채널(20), 제2유로(17), 냉각블록(32)의 유입구(33), 배출구(34), 제3유로(18), 출구포트(14)를 거치면서, 고전압배터리(1) 및 보조배터리(3)를 냉각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전면부에 입구포트(12)와 출구포트(14)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채널(20)들의 냉각수가 유출입되는 입구 및 출구가 전면부에 위치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1,2,3유로(16,17,18)의 길이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배터리 통합냉각장치의 무게 및 부피 패키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냉각모듈(30)은, 일단부가 상기 냉각플레이트(36)와 상기 보조배터리(3)의 일측면 사이에 접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부로부터 상기 보조배터리(3)를 관통하도록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핀 형상으로 형성된 열전도성 재질의 냉각핀(3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플레이트(36)와 열전달하면서 보조배터리(3)를 관통하는 냉각핀(38)을 추가적으로 마련함으로써, 상기 냉각모듈(30)을 통한 보조배터리(3)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배터리(3)는, 배터리셀(9); 상기 배터리셀(9)의 상하부를 덮는 배터리하우징(5); 및 양단부가 상기 배터리하우징(5)에 고정되어 상기 배터리셀(9)의 양측면을 덮고, 외주면에 상기 냉각핀(38)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안착되는 삽입홈(8)이 형성되며, 중간부에 상기 냉각핀(38)이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배터리커버(7);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보조배터리(3)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상기 냉각핀(38)을 고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보조배터리(3)에는 배터리셀(9)의 양측면을 덮는 배터리커버(7)가 마련된다.
특히, 배터리커버(7)의 외주면에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의 보조배터리(3)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안착되도록 삽입홈(8)이 형성됨으로써, 보조배터리(3)에 냉각핀(38)이 고정되도록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커버(7)는 열계면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커버(7)가 냉각플레이트(36)와의 열교환으로 인해 냉각됨으로써, 보조배터리(3)의 측면부를 냉각하여 배터리셀(9)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냉각핀(38)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보조배터리(3)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배터리셀(9)과 교번하여 적층되도록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핀(38)에 의해 적층된 배터리셀(9) 각각의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배터리 통합냉각장치에 따르면, 고전압배터리와 보조배터리가 통합모듈로 마련된 구조에서 패키지 부피 및 무게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고전압배터리 및 보조배터리 냉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전압배터, 보조배터리, 냉각모듈의 패키지 구조가 최적화되도록 설계됨으로써 열전달 경로가 단순해져서 냉각성능이 개선되어 차압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냉각수를 이용하여 고전압배터리를 일차적으로 냉각시키고, 보조배터리를 이차적으로 냉각시키도록 마련됨으로써, 고전압배터리의 냉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고전압배터리 3: 보조배터리
5: 배터리하우징 7: 배터리커버
8: 삽입홈 9: 배터리셀
10: 하우징 12: 입구포트
14: 출구포트 16: 제1유로
17: 제2유로 18: 제3유로
20: 냉각채널 30: 냉각모듈
32: 냉각블록 33: 유입구
34: 배출구 36: 냉각플레이트
38: 냉각핀

Claims (8)

  1. 내부에 고전압배터리 및 보조배터리가 배치되고, 외주면에 냉각수가 유출입되는 입구포트 및 출구포트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입구포트로부터 냉각수가 전달되어 내부공간을 유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전압배터리에 열전달 가능하도록 설치된 냉각채널; 및
    상기 냉각채널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공급받고, 상기 보조배터리에 열전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조배터리를 냉각하는 냉각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모듈은,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방 측에 구비되고, 상기 냉각채널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는 유입구와, 내부의 냉각수를 상기 출구포트로 배출하는 배출구로 구성된 챔버를 이루는 냉각블록; 및
    상기 냉각블록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일측면에 열전달 가능하도록 설치된 냉각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배터리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보조배터리는 상기 복수의 고전압배터리 사이 지점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냉각블록은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단일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포트 및 출구포트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구포트와 냉각채널 입구를 연결하는 제1유로, 상기 냉각채널 출구와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2유로, 상기 배출구와 출구포트를 연결하는 제3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냉각모듈은, 일단부가 상기 냉각플레이트와 상기 보조배터리의 일측면 사이에 접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부로부터 상기 보조배터리를 관통하도록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핀 형상으로 형성된 열전도성 재질의 냉각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는,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의 상하부를 덮는 배터리하우징; 및
    양단부가 상기 배터리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양측면을 덮고, 외주면에 상기 냉각핀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안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중간부에 상기 냉각핀이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배터리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커버는 열계면물질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냉각핀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배터리셀과 교번하여 적층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KR1020180025119A 2018-03-02 2018-03-02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Ceased KR20190104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119A KR20190104702A (ko) 2018-03-02 2018-03-02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US15/995,932 US10756397B2 (en) 2018-03-02 2018-06-01 Integrated battery cooling system
CN201810633897.XA CN110224194B (zh) 2018-03-02 2018-06-20 一体化电池冷却系统
EP18183455.7A EP3534454B1 (en) 2018-03-02 2018-07-13 Integrated battery cooling system
KR1020240038022A KR102761287B1 (ko) 2018-03-02 2024-03-19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119A KR20190104702A (ko) 2018-03-02 2018-03-02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8022A Division KR102761287B1 (ko) 2018-03-02 2024-03-19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702A true KR20190104702A (ko) 2019-09-11

Family

ID=629519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119A Ceased KR20190104702A (ko) 2018-03-02 2018-03-02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KR1020240038022A Active KR102761287B1 (ko) 2018-03-02 2024-03-19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8022A Active KR102761287B1 (ko) 2018-03-02 2024-03-19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56397B2 (ko)
EP (1) EP3534454B1 (ko)
KR (2) KR20190104702A (ko)
CN (1) CN1102241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8261B2 (en) * 2020-12-23 2022-12-06 Brunswick Corporation Marine battery charging system for a marine vessel
CN115149179B (zh) * 2021-03-30 2025-01-1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包及车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303A (ko) 2010-05-04 2011-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및 전장품 탑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8924B2 (en) * 2007-06-18 2014-06-24 Tesla Motors, Inc. Extruded and ribbed thermal interface for use with a battery cooling system
KR101180954B1 (ko) * 2010-12-03 2012-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 냉각 시스템
KR101898295B1 (ko) * 2012-08-20 2018-09-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US8895173B2 (en) * 2012-12-21 2014-11-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module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US8999548B2 (en) * 2013-03-13 2015-04-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iquid-cooled battery module
US20140308551A1 (en) * 2013-04-15 2014-10-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ries cooled module cooling fin
KR101589996B1 (ko) 2013-06-07 2016-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상 냉매 유출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US9368845B2 (en) * 2014-02-25 2016-06-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ction battery thermal plate with multi pass channel configuration
US9312571B2 (en) * 2014-03-19 2016-04-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ction battery thermal plate with flexible bladder
KR20150111422A (ko) * 2014-03-21 2015-10-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자동차용 전장 부품 케이스
KR101803958B1 (ko) * 2014-10-06 2017-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효율적인 냉각 구조의 전지팩 케이스
JP2018060594A (ja) 2015-02-25 2018-04-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KR101900998B1 (ko) * 2015-06-18 2018-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량화를 위한 냉각 플레이트,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제조방법
KR20170053071A (ko) * 2015-11-05 2017-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장치
CN205376685U (zh) 2015-12-15 2016-07-06 广东精进能源有限公司 一种冷却式电源模块
KR20180007538A (ko) * 2016-07-13 2018-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통합 배터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303A (ko) 2010-05-04 2011-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및 전장품 탑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34454A1 (en) 2019-09-04
CN110224194A (zh) 2019-09-10
CN110224194B (zh) 2025-03-11
US20190273291A1 (en) 2019-09-05
KR102761287B1 (ko) 2025-02-04
EP3534454B1 (en) 2020-09-16
KR20240043732A (ko) 2024-04-03
US10756397B2 (en)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7663B2 (en) Heat exchanging system of battery pack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US9559393B2 (en) Battery module thermal management fluid guide assembly
KR102761287B1 (ko)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US9819062B2 (en) Traction battery assembly with thermal device
JP2004031364A (ja) 流体冷却式電池パックシステム
KR101496523B1 (ko) 배터리 셀의 방열판
CN106997976B (zh) 电池散热片
CN110571494B (zh) 车辆用电池的冷却构造
US11622479B2 (en) Liquid cooled terminal block assemblies
US10727552B2 (en) Heat exchanger plate for electrified vehicle battery packs
US11108099B2 (en) Battery array frame designs with standoff features for reducing thermal interface material usage
CN117855663A (zh) 牵引电池组热管理总成和热管理方法
CN108327500B (zh) 具有接地散热翅片的电池组阵列框架
KR20220023465A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이 구비된 전기차량의 수냉식 배터리팩 구조
US20240234862A1 (en) Thermal exchange plates for immersion cooling battery array designs
US20240322345A1 (en) Traction battery pack cell block assemblies that exclude cell-to-cell spacers
US11581595B2 (en) Battery array frames with split thermal fin designs for reducing thermal interface material usage
US20240204281A1 (en) Immersion cooling battery array designs for electrified vehicle battery packs
US20240234857A1 (en) Volume filler for immersion cooling battery array designs
US20240297359A1 (en) Thermal exchange plate having multiple flow paths of substantially equal length
US20240363922A1 (en) Thermal management and venting systems for traction battery packs
US20240322291A1 (en) Battery pack
CN120221846A (zh) 用于牵引电池包的浸没式热管理系统
JP2024082813A (ja) ヒートシンク
CN118589081A (zh) 用于电动化车辆的电池包的分隔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3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8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5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8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7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1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5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23122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31108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30710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31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