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07538A - 차량용 통합 배터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통합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538A
KR20180007538A KR1020160088695A KR20160088695A KR20180007538A KR 20180007538 A KR20180007538 A KR 20180007538A KR 1020160088695 A KR1020160088695 A KR 1020160088695A KR 20160088695 A KR20160088695 A KR 20160088695A KR 20180007538 A KR20180007538 A KR 20180007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battery
low
inlet duct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석
박진호
민경인
최제훈
김유석
김동건
전윤철
서정훈
김석형
권범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8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7538A/ko
Priority to US15/370,082 priority patent/US10170806B2/en
Priority to CN201621357683.7U priority patent/CN206312980U/zh
Publication of KR20180007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53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battery ageing, e.g. to the number of charging cycles or the state of health [So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B60L11/1857
    • B60L11/1868
    • B60L11/187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nominal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6/00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 H01M2/108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가 유입되는 인렛덕트와,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아웃렛덕트가 장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인렛덕트와 상기 아웃렛덕트 사이에 배치된 고전압배터리 및 상기 고전압배터리와 상기 인렛덕트 사이에 배치된 저전압 배터리를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통합 배터리{Combination Batter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통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및 저전압 배터리를 통합하여 제어하고, 메인 및 저전압 배터리를 직접 및 간접적으로 냉각시키는 차량용 통합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HEV(Hybrid Electric Vehicle),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EV(Electric Vehicle)등의 배터리 기반 친환경 차량에는 고전압 배터리와 저전압 배터리를 따로 구분하여 탑재한다.
차량에 탑재시에는 고전압 배터리와 저전압 배터리를 각각 트렁크, 하부시트등으로 분리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차량 공간을 차지하고, W/H(Wire Harness) 등은 복잡해져 상품성 및 작업의 효율 등이 감소한다.
또, 저전압 배터리를 제어하기 위한 IBS(Intelligent battery sensor)와, 고전압 배터리를 제어하기 위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가 각각 구비되어 IBS와 BMS는 각각 저전압 배터리와 고전압 배터리의 온도, 전류, SOC(State Of Charge)등을 판단하여 동일한 기능을 각각의 제어기가 담당하여 비효율적이다.
한편, 저전압 배터리는 차량 엔진룸 또는 트렁크에 탑재된다. 이때, 엔진룸에 탑재될 경우에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배터리 열화가 가속되어 수명이 감소하고, 트렁크에 탑재될 경우에는 트렁크의 공간이 좁아져 차량의 상품성이 떨어진다.
또,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 하부 또는 트렁크 타이어 웰 등에 저전압 배터리가 위치하여, 마지막 공정에서 배터리와 그라운드를 연결한다. 이때, 배터리가 연결된 상태로 공정라인에서 조립을 하면 쇼트발생으로 안전성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저전압 배터리가 조기 방전될 수 있다. 따라서, B+ 그라운드단이 연결된 상태로 다른 추가 부품들이 조립됨에 따라, 조립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튬 고전압 배터리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된 리튬 저전압 배터리를 고전압배터리와 같은 패키지로 통합시키고, 고전압 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를 직접 및 간접적으로 냉각시켜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배터리에 있어서, 공기가 유입되는 인렛덕트와,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아웃렛덕트가 장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인렛덕트와 상기 아웃렛덕트 사이에 배치된 고전압배터리 및 상기 고전압배터리와 상기 인렛덕트 사이에 배치된 저전압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인렛덕트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아웃렛덕트로 흐르는 냉각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고전압배터리를 직접냉각시키고, 상기 저전압 배터리를 간접냉각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고전압배터리가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고전압배터리와 상기 저전압 배터리는 직렬로 배치되고, 상기 냉각유로를 통하여 상기 고전압배터리 및 상기 저전압 배터리로 공기를 유도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베플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냉각유로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를 상기 고전압배터리로 유도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고전압배터리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 저전압 배터리는,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셀과, 상기 냉각유로와 열교환되는 히트 싱크와, 상기 복수의 셀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히트 싱크로 전달하는 냉각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통합 배터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로, 본 발명의 차량용 통합 배터리에 따르면, 고전압 모듈 및 저전압모듈을 통합하여 제어으로서 고전압과 저전압 모듈을 각각 제어할 때 발생하던 전류 및 열손실이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본 발명의 차량용 통합 배터리에 따르면, 고전압 모듈 및 저전압 모듈이 통합됨에 따라 고전압 및 저전압 모듈을 제어 및 설치에 필요한 부속품(센서, 릴레이, 볼트, 셀, 하우징)등의 공용화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로, 본 발명의 차량용 통합 배터리에 따르면, 고전압 배터리과 저전압 배터리의 사이즈를 공용화하여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로, 본 발명의 차량용 통합 배터리에 따르면, 고전압 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를 통합하여 엔진룸과 트렁크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상품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로, 본 발명의 차량용 통합 배터리에 따르면, 저전압 배터리와 고전압 배터리를 통합 냉각시킴으로써, 저전압 배터리의 사이클, 효율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로, 본 발명의 차량용 통합 배터리에 따르면, 통합 배터리에 유량을 적절히 분배하여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배터리의 수명을 보증(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로, 본 발명의 차량용 통합 배터리에 따르면, 통합 배터리에 유입되는 유량을 고전압 배터리는 직접 공냉 방식으로, 저전압 배터리는 간접 공냉 방식으로 제어하여, 한정된 공간에서 배터리 모듈을 냉각시키도록 사용되는 냉각에 필요한 부속품(냉각유로 및 냉각팬)을 공용화할 수 있어, 냉각팬 및 덕트에 의한 중량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여덟째로, 본 발명의 차량용 통합 배터리에 따르면, 고전압 배터리 제조 공정 라인과, 보조배터리 제조 공정 라인을 통합하여 제조 가능하여 제조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에 장착된 통합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합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차량용 통합 배터리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하우징에 장착되는 저전압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통합 배터리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통합 배터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에 장착된 통합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합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차량용 통합 배터리의 하우징을 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하우징에 장착되는 저전압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B-B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통합 배터리의 블록도이며,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바람직한 차량의 차량용 통합 배터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통합 배터리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에 장착된 통합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합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합 배터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량의 시트프레임(10)에 장착되는 통합 배터리(40)는 공기가 유입되는 인렛덕트(20)와 공기를 배출하는 아웃렛덕트(30)가 장착된 하우징(15)과 하우징(15)에 장착되고, 인렛덕트(20)와 아웃렛덕트(30) 사이에 배치된 고전압 배터리(60) 및 고전압 배터리(60)와 인렛덕트(20) 사이에 배치된 저전압 배터리(50)를 포함한다.
하우징(15)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인렛덕트(20)와 공기를 배출하는 아웃렛덕트(30)가 장착된다. 하우징(15)에는 인렛덕트(2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아웃렛덕트(30)로 흐르는 냉각유로(F)가 형성된다. 냉각유로(F)는 고전압 배터리(60) 및 저전압 배터리(50)와 열교환될 수 있다. 냉각유로(F)는 상기 인렛덕트와 상기 아웃렛덕트 사이를 공기가 이동하며 상기 고전압배터리및 상기 저전압 배터리와 열교환한다.
하우징(15)에는 고전압 배터리(60)가 복수개 구비되고, 고전압 배터리(60)와 저전압 배터리(50)는 직렬로 배치되고, 냉각유로(F)를 통하여 고전압 배터리(60) 및 저전압 배터리(50)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브라켓(70,75)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5)은 장방형으로 수용부(15a,15b,15c)가 형성된다. 하우징(15)의 양측에 중 일측에는 하우징(15)의 수용부(15a,15b,15c)를 향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인렛덕트(20)가 구비된다. 하우징(15)의 양측 중 타측에는 인렛덕트에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아웃렛덕트(30)가 구비된다. 수용부(15a,15b,15c)에는 고전압 배터리(60)와 저전압 배터리(5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수용부(15a,15b,15c)는 저전압 배터리(50)가 배치되는 제 1수용부(15a)와 고전압 배터리(60)가 배치되는 제 2수용부(15b,15c)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2수용부(15b,15c)는 후술할 제 2브라켓(75)에 의해 구획되어, 고전압 배터리(60)가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5)의 타측에는 저전압 배터리(50) 및 고전압 배터리(60)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팬(Cooling Pan)이 구비된다. 이러한, 쿨링팬은 외부에서 공기를 유입하여 통기함으로써 배터리가 고온으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한다. 쿨링팬과 근접하여 안전플러그(S-PLUG)를 설치한다.
안전플러그(S-PLUG)는 일반적으로 고전압 배터리를 적용한 차량의 제작공정 또는 주행중의 안전을 위해 고전압 계통의 회로루프를 연결 및 차단하기 위한 소자로서, 안전플러그의 상태는 미도시된 센싱부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하우징에 장착되는 저전압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B-B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전압 배터리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저전압 배터리(50)는 차량 전장부품에 전원을 공급한다. 저전압 배터리(50)는 인렛덕트(20)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되어 냉각된다. 이때, 저전압 배터리(50)는 고전압 배터리(60)와 인렛덕트(20) 사이에 고전압 배터리(60)와 직렬로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저전압 배터리(50)는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셀과 냉각유로(F)와 열교환되는 히트 싱크(55)와 복수의 셀에서 발생하는 열을 히트 싱크(55)로 전달하는 냉각 플레이트(57)를 포함한다. 저전압 배터리(50)는 하우징(15)에 인렛덕트(20)와 근접하여 배치된다. 저전압 배터리(50)는, 인렛덕트(2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간접적(a)으로 열교환된다. 한편, 저전압 배터리(50)는 -단 퓨즈와 +단 퓨즈가 구비되고, +단 퓨즈를 통합 배터리(40) 전장품쪽으로 이동하여 구비된다.
이에 따라, 인렛덕트(20)에서 유입된 공기를 고전압 배터리와 저전압 배터리(50)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고전압 배터리와 저전압 배터리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팬의 추가를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무게와 부피(약 50% 감소)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저전압 배터리(50)는 정상온도(45℃이하)를 유지하기 위해 특정온도 이상 냉각팬 작동이 필요 하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은 고전압 배터리 온도가 저전압 배터리 온도보다 높으므로 보조배터리 냉각팬 작동 시점 이전에 고전압 배터리 냉각팬이 작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통합 패키지는 저전압 배터리(50)가 고전압 배터리 냉각팬에 의해 미리 냉각되어 온도 상승 지연 및 연비가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4는 도 2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차량용 통합 배터리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배터리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한편, 고전압 배터리(60)는 미도시된 인버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차량의 모터를 구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고전압 배터리(60)는 복수개의 모듈로 구비되어, 하우징(15)에 배치된다. 이때, 고전압 배터리(60)는 직렬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고전압 배터리(60)는 냉각유로(F)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되어 냉각된다.
고전압 배터리(60)는, 제 1배터리 모듈(63)과 제 2배터리 모듈(66)을 포함한다. 저전압 배터리(50)와 제 1배터리 모듈(63) 사이 및 제 1배터리 모듈(63)과 제 2배터리 모듈(66) 사이에 각각 브라켓(70,75)이 구비된다.
브라켓(70,75)은 베플 형상으로 형성된다. 브라켓(70,75)은 고전압 배터리(60)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다. 브라켓(70,75)은 본 발명에서와 같이 복수개 구비되어 고전압 배터리(60)으로 공기를 유도한다.
브라켓(70,75)은 저전압 배터리(50)와 제 1배터리 모듈(63) 사이 및 제 1배터리 모듈(63)과 제 2배터리 모듈(66)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고전압 배터리(60)를 직접공냉(b,c) 시키도록 공기를 유도한다.
브라켓(70,75)은 인렛덕트(2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 중 일부를 저전압 배터리(50)와 열교환된 후, 고전압 배터리(60)로 이동하도록 냉각유로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하우징(15)에 장착된다.
브라켓(70,75)은 냉각유로(F)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 중 일부를 고전압 배터리(60) 사이로 공급되도록 배치되는 제 1브라켓(75)과, 냉각유로(F)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 중 일부를 저전압 배터리(50)에 공급키도록 배치되는 제 2브라켓(70)을 포함한다.
제 1브라켓(75)은 제 1배터리 모듈(63)과 제 2배터리 모듈(66)의 사이에 배치되어, 냉각유로(F)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 중 일부를 고전압 배터리(60) 사이로 공급한다. 제 2브라켓(70)은 저전압 배터리(50)와 제 1배터리 모듈(63) 사이에 배치되어, 냉각유로(F)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 중 일부를 고전압 배터리(60) 공급한다. 제 2브라켓(70)은 고전압 배터리(60)과 저전압 배터리(5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우징(40)에 장착된다. 한편, 제 1, 2브라켓(70,75)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부(70a,75a)가 형성된다. 브라켓(70,75)은 간접냉각 방식에 의해 열전도율이 높은 도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통합 배터리(40)는 고전압 배터리(60)와 저전압 배터리(50)를 제어하는 제어부(EMS Engine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5)에 의해 고전압 배터리(60)와 저전압 배터리(50)를 제어한다. 여기서, BMS(5)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류, 전압, 칩(chip)의 온도를 측정하는 기능에서 IBS의 기능을 포함하여 별도의 IBS(Intelligent battery sensor)가 필요하지 않다.
즉, IBS는 SOC(State of Charge), SOH(State Of Health), SOF(State Of Fail) 등에서 얻은 정보를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버스를 통하여 제어부로 송신하고, 제어부는 BS(Battery Stabler)를 통하여 배터리 온도를 예측한다.
이러한, IBS는 다수의 기구부와, 분류기(Shunt resistor)가 부착된 인쇄회로기판(PCB; Print Circuit Board)로 구성된다. 기구부는 터미널+Ground cable로 구비될 수 있다. 또, IBS는 MCU(Micro Controller Unit), Timers watch dog, LIN,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을 포함하여, IBS의 상태, 배터리의 상태, IBS측정데이터를 LIN통신으로 제어부로 전달하고 SOC등을 연산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어부는 고전압 배터리(60)를 제어하던 BMS(5)에 센서를 추가함에 따라, 고전압 배터리(60)와 저전압 배터리(5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으며, BMS(5)와 IBS에서 각각 요구하는 부속품 PCB, LIN, EEPROM, 케이블, 전류센서(shunt resistor, Hall sensor), 전압센서, 온도센서, watchdog timer 등이 공용으로 사용가능하여, IBS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지 않음으로서 부속품의 감소, 통합 배터리 모듈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통합 배터리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와 같이 제 2실시예에 의하면, 고전압 배터리(60)와 저전압 배터리(50), 냉각장치 및 전장품(70,75)을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저전압 배터리(50)에 BMS(5)를 부착하여 고전압 배터리(60) 및 저전압 배터리(50)를 동시에 냉각시킬 수 있다.
또, 도 10의 (b)와 같이 제 3실시예에 의하면, 고전압 배터리(60)와 저전압 배터리(50), 냉각장치 및 전장품(70,275), BMS(5) 순으로 배치하여, 고전압 배터리(60) 및 저전압 배터리(50)를 동시에 냉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10의 (b)와 같이 수직으로도 적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합 배터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해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에 장착된 통합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합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통합 배터리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합 배터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우징(15)에 인렛덕트(20)와 아웃렛덕트(30)를 양측에 각각 구비하고, 인렛덕트(20)와 아웃렛덕트(30)의 사이에 저전압 배터리(50)를 인렛덕트(20)와 근접하여 배치하고, 고전압 배터리(60)를 아웃렛덕트(30)와 근접하여 순차적으로 배치한다.
그리고, 저전압 배터리(50)와 고전압 배터리(60)의 사이에 제 2브라켓(70)이 배치되도록 하우징(15)에 장착한다. 한편, 복수개로 구비된 고전압 배터리(60)의 사이에 제 1브라켓(75)이 배치되도록 하우징(15)에 장착한다.
이에 따라, 통합 배터리(40)는 BMS(5)에서 저전압 배터리(50) 및 고전압 배터리(6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높아질 경우, 통합 배터리(40)의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유입하도록 냉각팬이 작동한다. 냉각팬이 작동하면, 인렛덕트(50)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냉각유로(F)를 따라 흐른다. 냉각유로(F)의 공기 중 일부는 저전압 배터리(50)와 간접공냉(a) 방식에 의해 열교환된다.
이후, 저전압 배터리(50)와 열교환된 공기는 제 2브라켓(70)을 통과하여 제 1고전압 배터리모듈(63)과 직접공냉(b) 방식에 의해 열교환된 뒤, 제 2고전압 배터리모듈(66)을 직접공냉(c) 방식에 의해 열교환되고 아웃렛덕트(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냉각유로(F)의 공기 중 다른 일부는 고전압 배터리(60)와 직접공냉(b,c)에 의해 열교환된다. 이때, 제 1브라켓(75)은 공기 중 일부의 방향을 바꾸어 제 2배터리 모듈(66)과 열교환된 뒤 아웃렛덕트(60)를 통하여 배출된다.
차량 조립 시 가장 마지막 공정에서 배터리와 그라운드를 연결하였는데, 이때, 배터리가 연결된 상태로 라인에서 조립하면 쇼트발생으로 안전하지 않고, 저전압 배터리의 조기 방전이 야기되고, B+ 그라운드단이 연결된 상태로 다른 추가 부품들이 조립됨으로 시트 하부나 트렁크 타이어웰등에 위치하여, 가장 마지막 공정에서 조립이 가능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B+ relay off상태로 통합 배터리(40)를 조립하고, 최종검사 시 B+ relay를 on하는 방법으로 해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전압 모듈 및 저전압모듈을 통합하여 제어으로서 고전압과 저전압 모듈을 각각 제어할 때 발생하던 전류 및 열손실이 감소하고, 고전압 모듈 및 저전압 모듈이 통합됨에 따라 고전압 및 저전압 모듈을 제어 및 설치에 필요한 부속품(센서, 릴레이, 볼트, 셀, 하우징)등의 공용화로 원가를 절감하며, 고전압 배터리과 저전압 배터리의 사이즈를 공용화하여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고전압 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를 통합하여 엔진룸과 트렁크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상품성 향상되고, 저전압 배터리와 고전압 배터리를 통합 냉각시킴으로써, 저전압 배터리의 사이클, 효율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통합 배터리에 유량을 적절히 분배하여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배터리의 수명이 보증(연장)되고, 통합 배터리에 유입되는 유량을 고전압 배터리는 직접 공냉 방식으로, 저전압 배터리는 간접 공냉 방식으로 제어하여, 한정된 공간에서 배터리 모듈을 냉각시키도록 사용되는 냉각에 필요한 부속품(냉각유로 및 냉각팬)을 공용화할 수 있어, 냉각팬 및 덕트에 의한 중량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하며, 고전압 배터리 제조 공정 라인과, 보조배터리 제조 공정 라인을 통합하여 제조 가능하여 제조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기존 저전압 제어기, 고전압 제어기 분리 시스템의 경우 제어 기능 추가를 위해 2개의 제어기에 모두 기능을 추가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향상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RTC(real time clock)은 주기적으로 제어기가 작동하게 되는데, BMS가 작동하여, 고전압 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RTC HW를 고전압제어기와 저전압제어기 모두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본 출원발명은 고전압 배터리와 저전압 배터리를 통합하여 제어하는 경우로서 1개의 RTC가 통합 제어기만을 작동시키면 됨으로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한편, 저전압 제어기, 고전압 제어기 분리 시 저전압 제어기가 주는 신호를 고전압 제어기가 받기 위해 두 제어기는 활성화(Wake-up) 상태여야 한다. 통합 시스템의 경우 활성화(Wake-up) 싱크(sink)가 동일함으로 소프트웨어(SoftWare)가 가벼워지고 메모리를 적게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또, 고전압 배터리 SOC와 저전압배터리 SOC 추정 SW공용 사용 가능하다. 분리 시스템의 경우 분리된 제어기간에 통신을 통해 충전이 필요한지 결정하고, 결정된 사항을 LDC같은 제어기에 알려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시스템은 고전압 SOC와 저전압 SOC를 동일한 제어로직(SoftWare)로 계산하여 LDC같은 제어기에 신호를 보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배터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시트프레임 20: 인렛덕트
30: 아웃렛덕트 40: 통합배터리
50: 저전압 배터리 60: 고전압배터리
70: 제 2브라켓 75: 제 1브라켓

Claims (13)

  1. 공기가 유입되는 인렛덕트와,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아웃렛덕트가 장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인렛덕트와 상기 아웃렛덕트 사이에 배치된 고전압배터리; 및
    상기 고전압배터리와 상기 인렛덕트 사이에 배치된 저전압 배터리를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인렛덕트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아웃렛덕트로 흐르는 냉각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고전압배터리를 직접냉각시키고, 상기 저전압 배터리를 간접냉각시키도록 형성된 차량용 통합 배터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고전압배터리가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고전압배터리와 상기 저전압 배터리는 직렬로 배치되고,
    상기 냉각유로를 통하여 상기 고전압배터리 및 상기 저전압 배터리로 공기를 유도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 배터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베플 형상으로 형성된 차량용 통합 배터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냉각유로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를 상기 고전압배터리로 유도하도록 배치된는 차량용 통합 배터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고전압배터리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 차량용 통합 배터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 배터리는,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셀과,
    상기 냉각유로와 열교환되는 히트 싱크와,
    상기 복수의 셀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히트 싱크로 전달하는 냉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 배터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배터리와 상기 저전압 배터리를 제어하는 제어부(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 배터리.
  9. 장방형으로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인렛덕트;
    상기 인렛덕트에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아웃렛덕트;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고전압배터리; 및
    상기 고전압배터리와 상기 인렛덕트 사이에 상기 고전압배터리와 직렬로 배치된 저전압 배터리를 포함하는 통합 배터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덕트와 상기 아웃렛덕트 사이를 공기가 이동하며 상기 고전압배터리및 상기 저전압 배터리와 열교환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된 차량용 통합 배터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인렛덕트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저전압 배터리와 열교환된 후, 상기 고전압배터리로 이동하도록 상기 냉각유로의 방향을 조절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 배터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고전압배터리는,
    제 1배터리 모듈과 제 2배터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 2배터리 모듈의 사이에 제 1브라켓이 구비된 차량용 통합 배터리 냉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 배터리와 상기 제 1배터리 모듈 사이에 제 2브라켓이 구비된 차량용 통합 배터리.
KR1020160088695A 2016-07-13 2016-07-13 차량용 통합 배터리 Ceased KR20180007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695A KR20180007538A (ko) 2016-07-13 2016-07-13 차량용 통합 배터리
US15/370,082 US10170806B2 (en) 2016-07-13 2016-12-06 Battery cooling system
CN201621357683.7U CN206312980U (zh) 2016-07-13 2016-12-12 用于车辆的集成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695A KR20180007538A (ko) 2016-07-13 2016-07-13 차량용 통합 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538A true KR20180007538A (ko) 2018-01-23

Family

ID=5925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695A Ceased KR20180007538A (ko) 2016-07-13 2016-07-13 차량용 통합 배터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70806B2 (ko)
KR (1) KR20180007538A (ko)
CN (1) CN20631298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727Y1 (ko) 2018-10-17 2019-07-31 타프기계공업(주) 김치 양념 혼합장치
KR200492222Y1 (ko) 2019-11-05 2020-08-31 홍병환 김치 양념 혼합장치
KR20240043732A (ko) * 2018-03-02 2024-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9011B1 (ko) * 2019-11-14 2024-08-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시스템
KR102731555B1 (ko) * 2019-12-12 2024-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수납 장치
JP7594366B2 (ja) * 2020-03-16 2024-1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ユニット
CN113997787B (zh) * 2021-10-27 2024-03-08 的卢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动车辆的能量模块化集成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3289B2 (ja) * 2001-12-12 2008-0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蓄電池の温度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装置
KR100494936B1 (ko) 2003-06-30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배터리 냉각장치용 공기 덕트
JP4160039B2 (ja) 2004-10-29 2008-10-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デバイス冷却装置
KR101018438B1 (ko) 2009-10-16 2011-03-02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용 고전압과 저전압의 분리 제어 시스템
DE102010048985A1 (de) 2010-10-20 2012-04-26 Li-Tec Battery Gmbh Batteriemanagementsystem für Stromversorgungssystem mit Niederspannungsbereich und Hochspannungsbereich
RU2013158343A (ru) * 2011-06-03 2015-07-20 Энердел, Инк. Система аккумулирования энергии
KR101428175B1 (ko) * 2012-07-18 2014-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냉각 덕트
JP5725064B2 (ja) 2012-09-21 2015-05-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KR101561121B1 (ko) 2012-11-01 2015-10-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효율적인 냉각 구조의 중대형 전지팩
KR101428383B1 (ko) 2013-04-26 2014-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모듈 간접 냉각장치
KR101794265B1 (ko) 2013-07-18 2017-1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강 비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491282B1 (ko) 2013-07-23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고정구조
KR101621880B1 (ko) 2013-09-26 2016-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냉각 시스템
KR102008533B1 (ko) 2013-11-25 2019-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냉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3732A (ko) * 2018-03-02 2024-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KR200489727Y1 (ko) 2018-10-17 2019-07-31 타프기계공업(주) 김치 양념 혼합장치
KR200492222Y1 (ko) 2019-11-05 2020-08-31 홍병환 김치 양념 혼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70806B2 (en) 2019-01-01
CN206312980U (zh) 2017-07-07
US20180019507A1 (en)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7538A (ko) 차량용 통합 배터리
US8264204B2 (en) Cell controller, battery module and power supply system
US9748619B2 (en) Onboard battery for vehicle
US9742043B2 (en) Battery pack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s
EP4199188B1 (en) Self-heating control circuit and system
EP3579327A1 (en) Battery module equalization apparatus, and battery pack and automobile including same
US7511455B2 (en) Power supply unit having uniform battery characteristic
CA2532410C (en) Vehicle charging,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for electric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US6879057B1 (en) Electrical distribution box for vehicles having two networks with different voltage levels
US20180168075A1 (en) Power converter
CN101570147A (zh) 一种电动汽车电池系统结构
US20100101877A1 (en) Built-in equipment for a micro-hybrid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and micro-hybrid device compirising the same
JP6264579B2 (ja) 電源装置、輸送機器、電源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CN204801535U (zh) 集成式动力系统及具有其的车辆
CN107231016A (zh) 电源装置、输送设备、电源控制方法、控制装置及蓄电模块
CN113043963A (zh) 用于车辆的充配电装置和车辆
WO2022168575A1 (ja) 電子機器モジュール、及び電源システム
KR101257923B1 (ko) 대 전류 전원 자동 차단장치
CN116169422A (zh) 一种标准化动力电池模组与采集板连接结构及其连接方法
CN112955344A (zh) 高压配电模块和高压电控总成
CN115158042A (zh) 一种电池切断单元模块化方法及车辆
CN210168381U (zh) 高压附件装置及电动车
CN222867759U (zh) 电池包以及车辆
CN222995529U (zh) 一种平台化bdu及电池包
Bigorra et al. Innovative electrical and electronic architecture for vehicles with dual voltage power networks. In-vehicle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8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1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902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1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10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9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