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005A - 근시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또는 방법 - Google Patents
근시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또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6005A KR20190076005A KR1020197015036A KR20197015036A KR20190076005A KR 20190076005 A KR20190076005 A KR 20190076005A KR 1020197015036 A KR1020197015036 A KR 1020197015036A KR 20197015036 A KR20197015036 A KR 20197015036A KR 20190076005 A KR20190076005 A KR 201900760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e
- lens
- micro
- lenslet
- spectacle le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2—Ophthalmic lenses having special refractive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6—Auxiliary lenses located directly on a main spectacle lens or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main spectacl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G02B27/4205—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having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contributing to image formation, e.g. whereby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or optical aberrations are relevan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4—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spectral characteristics for purposes other than sun-protec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6—Laminated or compound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0—Diffractive and Fresnel lenses or lens por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rostheses (AREA)
- Eyeglass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굴절 광학 소자(ROE)를 구성하는 3 개 층 렌즈릿 배열체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 및 회절 광학 소자(DOE)를 구성하는 3 개 층 렌즈릿 배열체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2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를 포함하는 3 개 층 렌즈릿 배열체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로 이루어진 렌즈릿을 갖는 안경 렌즈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DOE로 이루어진 렌즈릿을 갖는 안경 렌즈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c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로 이루어진 렌즈릿을 갖는 안경 렌즈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d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DOE로 이루어진 렌즈릿을 갖는 안경 렌즈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e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로 이루어진 렌즈릿을 갖는 안경 렌즈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f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DOE로 이루어진 렌즈릿을 갖는 안경 렌즈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g 및 3h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로 이루어진 렌즈릿을 갖는 안경 렌즈의 개략적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i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 및 DOE로 설계된 박막 필름으로 코팅된 안경 렌즈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3j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 및 DOE로 설계된 박막 필름으로 코팅된 안경 렌즈 표면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k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 및 DOE로 설계된 안경 매트릭스에 임베디드된 박막 필름 및 다른 광학 필름으로 코팅된 안경 렌즈 표면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l은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광학 박막 필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m은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ROE 및 DOE를 포함하는 광학 박막 필름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4는 양성 또는 음성 탈초점의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도입된 정시안으로 입사하는 단색광을 도시한다.
도 5는 양성 또는 음성 탈초점의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도입된 정시안으로 입사하는 다색광을 도시한다.
도 6a는 미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을 나타내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입사되는 단색광(555 nm)은 0 디옵터의 버전스(vergence)를 갖는다.
도 6b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입사되는 단색광(555 nm)이 미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geometric spot)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7은 -2 디옵터 도수를 갖는 단일 시각 안경의 색 코딩된, 2 차원, 시상 도수 프로파일(sagittal power profile)을 나타낸다.
도 8a는 도 7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을 나타내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입사되는 단색광(555 nm)은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다. 입사되는 빔은 모델 눈에 대해 축상(0 도) 또는 공동-축이다.
도 8b는 도 7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을 나타내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입사되는 단색광(555 nm)은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다. 입사되는 빔은 모델 눈으로의 축외(5 도), 비-공동-축(non-co-axial) 빔이다.
도 8c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입사되는 단색광(555 nm)이 도 7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7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을 나타내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입사되는 다색광은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다. 그러나, 표현을 위해 2 개의 파장(555 nm 및 610 nm)만이 사용된다. 확대된 도면은 어떻게 2 개의 파장이 상이한 면에서 초점이 맞춰지는지를 나타낸다.
도 10a는 도 7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을 나타내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입사되는 다색광은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다.
도 10b는 도 1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7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10c는 1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7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10d는 도 1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7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10e는 1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7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10f는 단일 근시안(Rx = -2D)이 단일 시각 렌즈(Rx =-2D)로 교정된 개략적 표현이다. 확대된 도면 일부는 S, M 및 L 추상체에 상응하는 파장에 대한 특정 초점을 나타낸다.
도 11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 내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11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새그(sag)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의 새그 프로파일은 25 mm 직경의 안경 렌즈 블랭크에 걸쳐 기재된다.
도 12a는 도 11a 및 11a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을 나타내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입사되는 다색광은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다. 그러나, 표현을 위해 2 개의 파장(555 nm 및 610 nm)만이 사용된다.
도 12b는 도 12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11a 및 11b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12c는 도 12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11a 및 도 11b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12d는 단일 근시안(Rx = -2D)이 다중 DOE가 임베디드된 단일 시각 렌즈(Rx =-2D)로 교정된 개략적 표현을 나타낸다. 확대된 도면 일부는 S, M 및 L 추상체에 상응하는 3 개의 파장에 대한 2 개의 상이한 망막 위치의 특정 초점을 나타낸다.
도 13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로 구성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갖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렌즈릿 배열체 또는 렌즈릿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sheet)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렌즈릿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3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DOE로 구성된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렌즈릿 배열체 또는 렌즈릿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DOE의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4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렌즈의 중심 부위가 렌즈릿 또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ROE(60)로 구성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갖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렌즈릿 배열체, ROE 배열체 또는 렌즈릿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렌즈릿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4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의 수평 중심 부위가 렌즈릿 또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렌즈릿 배열체, ROE 배열체 또는 렌즈릿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렌즈릿 배열체 또는 R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4c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의 수직 중심 부위가 렌즈릿 또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렌즈릿 배열체, ROE 배열체 또는 렌즈릿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렌즈릿 배열체 또는 R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4d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렌즈의 중심 부위가 렌즈릿 또는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DOE(60)로 구성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를 갖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렌즈릿 배열체, DOE 배열체 또는 렌즈릿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렌즈릿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4e는 장치의 수평 중심 부위가 렌즈릿 또는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렌즈릿 배열체, DOE 배열체 또는 렌즈릿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렌즈릿 배열체 또는 D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4f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의 수직 중심 부위가 렌즈릿 또는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렌즈릿 배열체, DOE 배열체 또는 렌즈릿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렌즈릿 배열체 또는 D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5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 영역의 중심 부위 내의 ROE가 장치의 주변 영역 내의 ROE에 비해 직경이 작은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ROE 배열체 또는 R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R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5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의 중심 영역 내의 ROE가 장치의 주변 영역 내의 ROE에 비해 직경이 큰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ROE 배열체 또는 R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R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5c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 영역의 중심 부위 내의 DOE가 장치의 주변 영역 내의 DOE에 비해 직경이 작은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DOE 배열체 또는 D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D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5d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장치의 중심 영역 내의 DOE가 장치의 주변 영역 내의 DOE에 비해 직경이 큰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DOE 배열체 또는 D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D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6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중심 부위가 작은 직경의 ROE로 채워진 ROE 배열체를 갖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ROE 배열체 또는 R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R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6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중심 부위가 작은 직경의 DOE로 채워진 DOE 배열체를 갖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DOE 배열체 또는 D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D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7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61)가 수평 경선 구역 상에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ROE 배열체 또는 R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R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7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가 수직 경선 구역 상에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ROE 배열체 또는 R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R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7c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가 사선 경선 구역 상에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R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ROE 배열체 또는 R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R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7d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DOE(61)가 수평 경선 구역 상에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DOE 배열체 또는 D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D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7e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DOE가 수직 경선 구역 상에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DOE 배열체 또는 D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D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7f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DOE가 사선 경선 구역 상에 배열되고 배열체의 나머지 부위는 DOE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안경 렌즈가 DOE 배열체 또는 DOE 시트와 안경 렌즈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로(또는 이의 일부로서) 형성된 DOE 배열체일 수 있다.
도 18a는 인간 망막의 단(S), 중(M) 및 장(L) 민감성 광수용기에 대한 스펙트럼 민감성 곡선을 도시한다.
도 18b는 인간 눈의 종 색수차를 도시한다. 디옵터로의 종 색수차는 가시성 파장의 연속 함수로서 플로팅된다(plotted). 상기 도면은 또한 인간 눈과 관련된 다양한 기준점/파장에 대한 초점 이동의 표를 디옵터로 나타낸다. 초점 이동은 540 nm 파장의 빛에 대해 계산된다.
도 19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19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도 19a에 나타낸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의 확대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ROE 소자의 실제 도수(+1D)를 강조하기 위해 1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19c는 도 19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19a 및 19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19d는 도 19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19a 및 19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19e는 도 19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19a 및 도 19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19f는 도 19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19a 및 19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0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0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도 20a에 나타낸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의 확대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ROE 소자의 실제 도수(+2D)를 강조하기 위해 1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0c는 도 2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0a 및 20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0d는 도 2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0a 및 20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0e는 도 2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0a 및 도 20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0f는 도 2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0a 및 20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1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1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도 21a에 나타낸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의 확대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ROE 소자의 실제 도수(+1D)를 강조하기 위해 1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1c는 도 21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1a 및 21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1d는 도 21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1a 및 21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1e는 도 21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1a 및 도 21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1f는 도 21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1a 및 21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2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개별 소자의 도수는 +2D이다.
도 22c는 도 22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2a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2d는 도 22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2a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2e는 도 22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2a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2f는 도 22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2a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3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3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도 23a에 나타낸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의 확대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ROE 소자의 실제 도수(+2D)를 강조하기 위해 2.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3c는 도 23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3a 및 23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3d는 도 23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3a 및 23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3e는 도 23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3a 및 도 23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3f는 도 23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3a 및 23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4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4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도 24a에 나타낸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의 확대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ROE 소자의 실제 도수(+2D)를 강조하기 위해 3.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4c는 도 24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4a 및 24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4d는 도 24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4a 및 24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4e는 도 24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4a 및 도 24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4f는 도 24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4a 및 24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5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5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도 25a에 나타낸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의 확대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ROE 소자의 실제 도수(+2D)를 강조하기 위해 2.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5c는 도 25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5a 및 25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5d는 도 25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5a 및 25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5e는 도 25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5a 및 도 25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5f는 도 25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5a 및 25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6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개별 소자의 도수는 +1D이다.
도 26c는 도 26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6a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6d는 도 26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6a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6e는 도 26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6a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6f는 도 26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6a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7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7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도 27a에 나타낸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의 확대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ROE 소자의 실제 도수(+2D)를 강조하기 위해 1.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7c는 도 27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7a 및 27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7d는 도 27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7a 및 27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7e는 도 27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7a 및 도 27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7f는 도 27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7a 및 27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8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8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도 28a에 나타낸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의 확대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ROE 소자의 실제 도수(+2D)를 강조하기 위해 2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28c는 도 28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8a 및 28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8d는 도 28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8a 및 28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8e는 도 28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8a 및 도 28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8f는 도 28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8a 및 28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9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개별 소자의 도수는 +1D이다.
도 29c는 도 29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9a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9d는 도 29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9a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9e는 도 29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9a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29f는 도 29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29a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30a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30b는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도 30a에 나타낸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의 2 차원 도수 프로파일의 확대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의 도수 프로파일은 ROE 소자의 실제 도수(+2D)를 강조하기 위해 2.5 mm 광학 구역 직경에 걸쳐 정규화된 좌표 상에 기재된다.
도 30c는 도 3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30a 및 30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30d는 도 3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555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30a 및 30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30e는 도 3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30a 및 도 30b에 기재된 ROE 배열체가 임베디드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축상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도 30f는 도 30a와 관련된 추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는 0 디옵터의 버전스를 갖는 다색 공급원의 2 개의 파장 중 하나(610 nm)를 갖는 입사광이 도 30a 및 30b에 기재된 안경 렌즈로 교정된 2 디옵터 근시 모델 눈에 입사할 때, 망막 면의 5 도 축외 기하학적 스폿 다이어그램 분석을 도시한다.
Claims (35)
-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focal power)을 갖는 베이스(base)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lenslet)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array)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510 nm 내지 610 nm의 파장에서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는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450,000 μm2 이하의 면적을 갖는 안과용 렌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0.2 mm2, 0.25 mm2 또는 0.3 mm2 미만의 면적을 갖는 안과용 렌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750 μ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안과용 렌즈.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400 μm, 500 μm 또는 600 μm 미만의 직경을 갖는 안과용 렌즈.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20% 이하의 채움비(fill ratio)를 갖는 안과용 렌즈.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20% 이하의 동공(pupil) 채움비를 갖는 안과용 렌즈.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500 mm 내지 2000 mm의 초점 거리를 갖는 안과용 렌즈.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1000 mm 초과의 초점 거리를 갖는 안과용 렌즈.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1 mm 미만인 중심-대-중심 거리를 갖는 마이크로 렌즈릿으로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안경 렌즈(spectacle lens)의 전면(anterior surface) 상에 있는 안과용 렌즈.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안경 렌즈의 후면(posterior surface) 상에 있는 안과용 렌즈.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릿 배열체가 베이스 안경 렌즈의 매트릭스(matrix)에 임베디드(embedded)되는 안과용 렌즈.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에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과용 렌즈.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렌즈에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과용 렌즈.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릿이 다음 형태 - 원형, 반-원형, 비-원형,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정사각형 -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안과용 렌즈. - 적어도 부분적으로 눈의 굴절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초점력을 갖는 베이스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510 nm 내지 610 nm의 파장에서 상충 광학 시그널을 도입하는 근시안용 안과용 렌즈.
-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450,000 μm2 이하의 면적을 갖는 안과용 렌즈. -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0.2 mm2, 0.25 mm2 또는 0.3 mm2 미만의 면적을 갖는 안과용 렌즈. -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750 μ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안과용 렌즈. -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400 μm, 500 μm 또는 600 μm 미만의 직경을 갖는 안과용 렌즈. -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20% 이하의 채움비를 갖는 안과용 렌즈. -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20% 이하의 동공 채움비를 갖는 안과용 렌즈. -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500 mm 내지 2000 mm의 초점 거리를 갖는 안과용 렌즈. -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1000 mm 초과의 초점 거리를 갖는 안과용 렌즈. -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안경 렌즈의 전면 상에 있는 안과용 렌즈. -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안경 렌즈의 후면 상에 있는 안과용 렌즈. -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베이스 안경 렌즈의 매트릭스에 임베디드되는 안과용 렌즈. - 제17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에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과용 렌즈. - 제1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렌즈에 1, 2, 3 또는 4 개 층이 포함되는 안과용 렌즈. - 제17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굴절 광학 소자가 다음 형태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안과용 렌즈: 원형, 반-원형, 비-원형,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정사각형. -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렌즈가 적어도 렌즈의 주변 영역의 일부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렌즈가 적어도 렌즈의 주변 영역의 상당 부분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렌즈가 렌즈의 주변 영역에서 탈초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가 안경 렌즈인 안과용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662412507P | 2016-10-25 | 2016-10-25 | |
US62/412,507 | 2016-10-25 | ||
PCT/AU2017/051173 WO2018076057A1 (en) | 2016-10-25 | 2017-10-25 | Devices, systems and/or methods for myopia contro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6005A true KR20190076005A (ko) | 2019-07-01 |
KR102619407B1 KR102619407B1 (ko) | 2024-01-02 |
Family
ID=6202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15036A Active KR102619407B1 (ko) | 2016-10-25 | 2017-10-25 | 근시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또는 방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5) | US11226497B2 (ko) |
EP (1) | EP3532891A4 (ko) |
JP (2) | JP7308749B2 (ko) |
KR (1) | KR102619407B1 (ko) |
CN (2) | CN110226118B (ko) |
AU (3) | AU2017351635C1 (ko) |
SG (2) | SG10202107685YA (ko) |
WO (1) | WO2018076057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6912B1 (ko) | 2020-12-15 | 2021-04-29 | 최태환 | 히팅시트 |
KR20250035577A (ko) * | 2022-10-28 | 2025-03-12 | 쿠퍼비젼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 안경 또는 다른 안과용 렌즈에 적용하기 위한 비대칭 grin 광학 요소를 갖는 필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77294B2 (en) | 2015-06-23 | 2020-12-29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Contact lens comprising non-coaxial lenslets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
US11061255B2 (en) * | 2015-06-23 | 2021-07-13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Ophthalmic lens comprising lenslets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
TW202443251A (zh) | 2016-08-01 | 2024-11-01 | 華盛頓大學 | 用於治療近視的眼用鏡片 |
CN110914743B (zh) | 2017-05-08 | 2021-08-13 | 视窗视觉公司 | 用于降低近视的接触镜片及用于制造该接触镜片的方法 |
WO2019124352A1 (ja) | 2017-12-19 | 2019-06-27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 眼鏡レンズ製造方法および眼鏡レンズ |
WO2019124354A1 (ja) | 2017-12-19 | 2019-06-27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 眼鏡レンズ成形型の製造方法及び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
US10884264B2 (en) | 2018-01-30 | 2021-01-05 | Sightglass Vision, Inc. | Ophthalmic lenses with light scattering for treating myopia |
US20210048690A1 (en) * | 2018-03-01 | 2021-02-18 | Essilor International | Lens element |
RU2757820C1 (ru) * | 2018-03-01 | 2021-10-21 | Эссилор Энтернасьональ | Элемент в виде линзы |
US10921612B2 (en) | 2018-03-29 | 2021-02-16 | Reopia Optics, Llc. |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for presbyopia treatment and myopia progression control |
US11681161B2 (en) | 2018-03-29 | 2023-06-20 | Reopia Optics, Inc. | Anti-myopia-progression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
JP7125985B2 (ja) * | 2018-06-29 | 2022-08-25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 眼鏡レンズ |
US11880094B2 (en) | 2018-06-29 | 2024-01-23 | Hoya Lens Thailand Ltd. | Eyeglass lens |
SG11202010887WA (en) * | 2018-06-29 | 2020-12-30 | Hoya Lens Thailand Ltd | Eyeglass lens |
KR20210066789A (ko) * | 2018-07-12 | 2021-06-07 | 사이트글래스 비전 인코포레이티드 | 아동의 근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CN109031696B (zh) * | 2018-08-20 | 2020-06-05 | 赵佩韬 | 基于周边微透镜的视力控制镜片及眼镜 |
US20210341751A1 (en) * | 2018-08-31 | 2021-11-04 | Hoya Lens Thailand Ltd. | Eyeglass lens, method for manufacturing eyeglass lens, and lens coating |
CN118050914A (zh) * | 2018-09-27 | 2024-05-17 | 瑞奥匹亚光学公司 | 抗近视发展眼镜及相关联方法 |
CN117970539A (zh) * | 2018-10-15 | 2024-05-03 | 依视路国际公司 | 包含光学元件的改进的光学制品及其制造方法 |
US11131867B2 (en) * | 2018-10-16 | 2021-09-28 | Essilor International | Optical lens |
EP3640713A1 (en) * | 2018-10-17 | 2020-04-22 | Essilor International | Optical articles having embossed films defining encapsulated microlens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EP3640714A1 (en) | 2018-10-17 | 2020-04-22 | Essilor International | Optical articles comprising encapsulated microlens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TWI846770B (zh) * | 2018-11-30 | 2024-07-01 | 美商賽特眼鏡視光有限公司 | 用於治療近視的光散射鏡片及包含該鏡片之眼鏡 |
JP7213090B2 (ja) | 2018-12-28 | 2023-01-26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 眼鏡レンズの評価方法 |
WO2020141375A1 (en) * | 2019-01-01 | 2020-07-09 | Shamir Optical Industry Ltd. | Visual receptive field enhancement |
CN119738978A (zh) * | 2019-03-01 | 2025-04-01 | 视窗视觉公司 | 用于降低近视加深的眼科镜片及制造该眼科镜片的方法 |
SG11202110890YA (en) | 2019-04-23 | 2021-10-28 | Sightglass Vision Inc | Ophthalmic lenses with dynamic optical properties for reducing development of myopia |
JP7657519B2 (ja) * | 2019-06-25 | 2025-04-07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 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設計方法 |
JP7217676B2 (ja) * | 2019-06-25 | 2023-02-03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 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設計方法 |
JP7641093B2 (ja) * | 2019-06-26 | 2025-03-06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 眼科用レンズ |
CN119556489A (zh) * | 2019-06-28 | 2025-03-04 | 华柏恩视觉研究中心有限公司 | 矫正、减缓、减少和/或控制近视进展的眼科镜片和方法 |
EP3761104A1 (en) * | 2019-07-04 | 2021-01-06 | Essilor International | Optical system |
CN110515219A (zh) * | 2019-07-19 | 2019-11-29 | 浙江工业大学 | 一种抗疲劳眼镜的制作方法 |
CN110507521A (zh) * | 2019-07-19 | 2019-11-29 | 浙江工业大学 | 一种活动式抗疲劳眼镜夹片的制作方法 |
EP4031934A4 (en) * | 2019-09-19 | 2023-09-06 | The UAB Research Foundation | MULTISPECTRAL AND MULTIFOCAL CONTROL OF MYOPIA |
JP7232927B2 (ja) * | 2019-09-25 | 2023-03-03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 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
AU2020353383B2 (en) | 2019-09-25 | 2022-07-07 | Zhong Jing Wei Shi (Suzhou) Optical Technology Ltd. | Apparatus and methods of spectacle solutions for myopia |
JP7256100B2 (ja) * | 2019-09-26 | 2023-04-11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 眼科用レンズ |
EP3812142A1 (de) | 2019-10-23 | 2021-04-28 |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rillenglases sowie ein erzeugnis umfassend ein brillenglas |
WO2021105979A1 (en) * | 2019-11-28 | 2021-06-03 | Shamir Optical Industry Ltd. | Retinal stimulation device for mitigation of myopia progression |
US12271057B1 (en) | 2019-12-20 | 2025-04-08 | The Uab Research Foundation | Chromatic aberration tuning ophthalmic corrector lens methods |
EP4076281A4 (en) * | 2019-12-20 | 2024-01-17 | Z Optics, Inc. | HIGH RESOLUTION AND EXTENDED DEPTH OF FIELD FOR INTRAOCULAR LENS |
JP7402675B2 (ja) * | 2019-12-23 | 2023-12-21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 眼鏡レンズ |
MY205644A (en) | 2020-02-12 | 2024-11-01 | Nthalmic Holding Pty Ltd | Spectacle lenses with auxiliary optical elements |
KR20220137104A (ko) * | 2020-02-14 | 2022-10-11 | 엔탈믹 홀딩 피티와이 리미티드 | 근시 관리를 위한 보조 안경 키트 솔루션의 장치 및 방법 |
KR20220144867A (ko) * | 2020-03-01 | 2022-10-27 | 엔탈믹 홀딩 피티와이 리미티드 | 단초점 안과용 렌즈를 근시 관리를 위한 안과용 렌즈로 변환하는 비-굴절성 불투명한 특징을 갖는 광학 필름 |
EP4118484A4 (en) * | 2020-03-11 | 2024-05-15 |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Limited | Ophthalmic lenses and methods for correcting, slowing, reducing, and/or controlling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conjunction with use of atropine or related compounds |
EP4123362A4 (en) * | 2020-03-17 | 2024-04-10 | Hoya Lens Thailand Ltd. | LENSES |
US20230128895A1 (en) * | 2020-03-31 | 2023-04-27 | Essilor International | Lens element |
KR102267489B1 (ko) * | 2020-04-08 | 2021-06-22 | (주)한국디자인사이언스연구소 | 시력교정용 안경렌즈 및 이를 포함한 안경 |
EP3896513A1 (en) * | 2020-04-14 | 2021-10-20 | Essilor International | Optical microstructure-containing laminate for ophthalmic lens incorporation |
WO2021209394A1 (en) * | 2020-04-14 | 2021-10-21 | Essilor International | Compound microlens design for hyperopic peripheral defocus reduction |
EP3896512B1 (en) * | 2020-04-14 | 2025-04-02 | Essilor International | Optical microstructure-containing laminate for ophthalmic lens incorporation |
AU2021255892A1 (en) * | 2020-04-17 | 2022-10-27 | Essilor International | Lens with surface microstructures encapsulated by a thick low refractive index hard coat |
JP2021173984A (ja) * | 2020-04-30 | 2021-11-01 | 省一 小野 | 視力支援装置 |
TWI856237B (zh) * | 2020-05-14 | 2024-09-21 | 泰國商豪雅鏡片泰國有限公司 | 眼鏡鏡片 |
EP3923061A1 (en) * | 2020-06-12 | 2021-12-15 | Essilor International | Lens element |
EP3923062A1 (en) * | 2020-06-12 | 2021-12-15 | Essilor International | Lens element |
TW202217401A (zh) * | 2020-06-26 | 2022-05-01 | 澳大利亞商布萊恩荷登視覺協會 | 用於眼用鏡片之幾何定義形狀及/或輪廓光學元件以及用於產生此種幾何定義形狀及/或輪廓光學元件的方法 |
EP4189467A1 (en) * | 2020-07-30 | 2023-06-07 | Essilor International | Method for manufacturing a lens element adapted for correcting an abnormal refraction of an eye of a wearer |
WO2022031298A1 (en) * | 2020-08-07 | 2022-02-10 |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 Progressive addition lens for myopia contr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JP7541882B2 (ja) * | 2020-09-18 | 2024-08-29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 眼鏡レンズ及びその設計方法 |
EP3982191A1 (en) * | 2020-10-09 | 2022-04-13 | Essilor International | Soft optical patch with light filtration and vision correction for ophthalmic applications |
EP4095592A1 (en) * | 2020-11-26 | 2022-11-30 |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 Spectacle lens design, spectacle lens k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ctacle lens |
EP4006626A1 (en) * | 2020-11-26 | 2022-06-01 |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 Spectacle lens design, spectacle lens k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ctacle lens |
CN114114711A (zh) * | 2020-12-23 | 2022-03-01 | 东海光学株式会社 | 用于抑制近视加深的眼镜镜片 |
CN116601550A (zh) * | 2020-12-23 | 2023-08-15 | 依视路国际公司 | 光学镜片 |
CN113703191B (zh) * | 2021-02-19 | 2023-04-07 | 艾普偏光科技(厦门)有限公司 | 一种倾斜光栅防止或减缓近视的眼镜镜片及其制备方法 |
EP4057052A1 (en) * | 2021-03-08 | 2022-09-14 | Essilor International | Ophthalmic set for myopia progression control |
EP4063942A1 (en) * | 2021-03-25 | 2022-09-28 | Essilor International | Eyewear |
WO2022236087A1 (en) | 2021-05-06 | 2022-11-10 | Ohio State Innovation Foundation | Myopia control contact lens |
EP4089473A1 (en) * | 2021-05-10 | 2022-11-16 |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 Spectacle lens design, spectacle lens kit,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ctacle lens and method of providing a spectacle lens design |
EP4091805B1 (en) | 2021-05-18 | 2025-01-22 | Essilor International | A method for improved coating of an optical article comprising optical elements |
CN113189790B (zh) * | 2021-05-20 | 2023-07-18 | 维哲视光科技有限公司 | 球棒结构环型多点微透镜离焦镜片以及其设计方法 |
AU2022281433A1 (en) * | 2021-05-28 | 2023-11-23 | Sightglass Vision, Inc. | Ophthalmic lenses for reducing myopia progression and laser base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
US11860453B2 (en) * | 2021-07-30 | 2024-01-02 |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 Methods of manufacturing an ophthalmic lens |
US20230036893A1 (en) * | 2021-07-30 | 2023-02-02 |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 Ophthalmic lenses having a photopolymer layer with grin elements |
US12248201B2 (en) * | 2021-07-30 | 2025-03-11 |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 Films having grin elements for application to spectacles or other ophthalmic lenses |
CN113900275B (zh) * | 2021-10-22 | 2022-07-19 | 温州医科大学 | 一种眼镜片及框架眼镜 |
DE102021132187B3 (de) | 2021-12-07 | 2023-03-30 | Rodenstock Gmbh | Adhäsionsfolie zur Reduzierung der Progression von Myopie sowie Verfahren zur Anbringung derselben |
US20230185111A1 (en) * | 2021-12-15 | 2023-06-15 | Essilor International | Lens element and corresponding computer-implemented determining method |
US20230236439A1 (en) * | 2022-01-21 | 2023-07-27 |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 Myopia-control contact lens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
WO2023155984A1 (en) * | 2022-02-16 | 2023-08-24 |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 Spectacle lens to reduce the progression of myopia |
KR20240161099A (ko) * | 2022-03-25 | 2024-11-12 |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 렌즈 요소 |
CA3219042A1 (en) * | 2022-05-30 | 2023-11-30 | Su Wang | Ophthalmic lenses and frame eyeglasses with the same |
JP2023177794A (ja) * | 2022-06-03 | 2023-12-14 | 東海光学株式会社 | 眼鏡用レンズ |
EP4292798A1 (en) | 2022-06-14 | 2023-12-20 |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 Method of providing refractive microstructures on a surface of a spectacle lens and spectacle lens design |
EP4318094A1 (en) * | 2022-08-05 | 2024-02-07 | Essilor International | Lens element |
CN115685593A (zh) * | 2022-10-15 | 2023-02-03 | 视悦光学有限公司 | 一种隐形网格微光单元防眩光镜片 |
JP2025520253A (ja) * | 2022-10-28 | 2025-07-03 | クーパーヴィジョ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 非対称の屈折率分布型光学素子を含む眼科用レンズ |
WO2024155925A1 (en) * | 2023-01-20 | 2024-07-25 | Hoya Optical Labs Of America, Inc. | Wavelength selective ophthalmic lens |
WO2024162240A1 (ja) * | 2023-02-01 | 2024-08-0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レンズ、及び光学センサシステム |
EP4481477A1 (en) * | 2023-06-23 | 2024-12-25 | Essilor International | Spectacle lens |
EP4521159A1 (en) * | 2023-09-11 | 2025-03-12 | Essilor International | Method for providing a lens element |
WO2025133288A1 (en) * | 2023-12-21 | 2025-06-26 | Essilor International | Method for defining an optical lens design of a pair of eyeglasses intended to be worn by a subject |
WO2025133136A1 (en) * | 2023-12-21 | 2025-06-26 | Essilor International | Chromatic optimizartion of phase-shift designs for myopia contro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43016A (ja) * | 1988-03-24 | 1989-09-27 | Takahiro Okamoto | 眼鏡用レンズおよびこれを使用する眼鏡 |
CN104678572A (zh) * | 2013-11-29 | 2015-06-03 | 豪雅镜片泰国有限公司 | 眼镜片 |
WO2016146254A1 (en) * | 2015-03-16 | 2016-09-22 | Universität Heidelberg | Agents for use in the therapeutic or prophylactic treatment of myopia or hyperopia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66712A (en) * | 1987-06-01 | 1992-11-24 | Valdemar Portney | Multifocal ophthalmic lens |
US4960326A (en) * | 1989-03-06 | 1990-10-02 | Dauvergne Hector A | Lenticular eyewear and method of fabrication |
WO2004081613A2 (en) * | 2003-03-06 | 2004-09-23 | Shadduck John H | Adaptive optic lens and method of making |
FR2888947B1 (fr) | 2005-07-20 | 2007-10-12 | Essilor Int | Composant optique a cellules |
US20080137030A1 (en) * | 2006-11-03 | 2008-06-12 | Hoffman William C | Optical devices with reduced chromatic aberration |
US9720253B2 (en) * | 2008-12-22 | 2017-08-01 | The Medical College Of Wisconsin |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growth of eye length |
CN102038596B (zh) * | 2011-01-28 | 2013-01-09 | 中山大学中山眼科中心 | 一种可调控刺激光源的视觉训练仪 |
US20140327875A1 (en) * | 2011-03-08 | 2014-11-06 | Ronald Blum | Advanced electro-active optic device |
CN104094164B (zh) * | 2011-07-27 | 2016-05-11 | 新加坡国立大学 | 用于减缓近视加深的光学镜片 |
SG10201400920RA (en) * | 2014-03-24 | 2015-10-29 | Menicon Singapore Pte Ltd |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xial growth with an ocular lens |
US10278864B2 (en) * | 2014-10-22 | 2019-05-07 | Elwha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
CN107407823B (zh) | 2015-02-03 | 2019-11-01 | 睛姿控股公司 | 焦点调节辅助透镜 |
DE202016009007U1 (de) | 2015-04-15 | 2021-06-11 | Vision Ease, Lp | Ophthalmische Linse mit abgestuften Mikrolinsen |
US10877294B2 (en) | 2015-06-23 | 2020-12-29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Contact lens comprising non-coaxial lenslets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
-
2017
- 2017-10-25 JP JP2019522321A patent/JP7308749B2/ja active Active
- 2017-10-25 CN CN201780080612.8A patent/CN110226118B/zh active Active
- 2017-10-25 AU AU2017351635A patent/AU2017351635C1/en active Active
- 2017-10-25 EP EP17864279.9A patent/EP3532891A4/en active Pending
- 2017-10-25 SG SG10202107685YA patent/SG10202107685YA/en unknown
- 2017-10-25 KR KR1020197015036A patent/KR102619407B1/ko active Active
- 2017-10-25 WO PCT/AU2017/051173 patent/WO2018076057A1/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7-10-25 US US16/344,318 patent/US11226497B2/en active Active
- 2017-10-25 CN CN202210079708.5A patent/CN114637129A/zh active Pending
- 2017-10-25 SG SG11201903710QA patent/SG11201903710QA/en unknown
-
2021
- 2021-12-14 US US17/550,728 patent/US11874532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03-18 US US17/698,499 patent/US12061383B2/en active Active
- 2022-12-08 AU AU2022283726A patent/AU2022283726B2/en active Active
-
2023
- 2023-07-04 JP JP2023110103A patent/JP2023134558A/ja active Pending
- 2023-12-05 US US18/529,594 patent/US20240201518A1/en active Pending
-
2024
- 2024-07-09 US US18/767,365 patent/US20250110355A1/en active Pending
-
2025
- 2025-02-14 AU AU2025201032A patent/AU2025201032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43016A (ja) * | 1988-03-24 | 1989-09-27 | Takahiro Okamoto | 眼鏡用レンズおよびこれを使用する眼鏡 |
CN104678572A (zh) * | 2013-11-29 | 2015-06-03 | 豪雅镜片泰国有限公司 | 眼镜片 |
WO2016146254A1 (en) * | 2015-03-16 | 2016-09-22 | Universität Heidelberg | Agents for use in the therapeutic or prophylactic treatment of myopia or hyperopia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6912B1 (ko) | 2020-12-15 | 2021-04-29 | 최태환 | 히팅시트 |
KR20250035577A (ko) * | 2022-10-28 | 2025-03-12 | 쿠퍼비젼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 안경 또는 다른 안과용 렌즈에 적용하기 위한 비대칭 grin 광학 요소를 갖는 필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2061383B2 (en) | 2024-08-13 |
CN110226118A (zh) | 2019-09-10 |
JP2020500328A (ja) | 2020-01-09 |
JP2023134558A (ja) | 2023-09-27 |
EP3532891A1 (en) | 2019-09-04 |
CN114637129A (zh) | 2022-06-17 |
US20230039493A1 (en) | 2023-02-09 |
US20240201518A1 (en) | 2024-06-20 |
AU2022283726B2 (en) | 2024-11-14 |
AU2017351635B2 (en) | 2022-09-08 |
SG11201903710QA (en) | 2019-05-30 |
SG10202107685YA (en) | 2021-08-30 |
US20230034749A1 (en) | 2023-02-02 |
AU2022283726A1 (en) | 2023-02-02 |
EP3532891A4 (en) | 2020-04-29 |
AU2017351635A1 (en) | 2019-05-23 |
US20250110355A1 (en) | 2025-04-03 |
US11226497B2 (en) | 2022-01-18 |
US20200073147A1 (en) | 2020-03-05 |
AU2017351635C1 (en) | 2023-08-03 |
US11874532B2 (en) | 2024-01-16 |
JP7308749B2 (ja) | 2023-07-14 |
KR102619407B1 (ko) | 2024-01-02 |
WO2018076057A1 (en) | 2018-05-03 |
AU2025201032A1 (en) | 2025-03-06 |
CN110226118B (zh) | 2022-0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22283726B2 (en) | Devices, systems and/or methods for myopia control | |
CN112673302B (zh) | 抗近视发展眼镜及相关联方法 | |
US11187921B2 (en) | Anti-myopia-progression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 |
US11681161B2 (en) | Anti-myopia-progression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 |
JP7571019B2 (ja) | 近視を治療するための光散乱レンズおよび光散乱レンズを含む眼鏡 | |
KR102797221B1 (ko) | 렌즈 요소 | |
CN116075769B (zh) | 用于近视控制的渐进多焦点镜片及其制造方法 | |
CN115280224A (zh) | 镜片元件 | |
WO2018152595A1 (en) | Ophthalmic lens system for controlling and/or reversing the 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 of a human eye using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 |
CN117289486A (zh) | 眼镜镜片、眼镜镜片套件和提供眼镜镜片设计的方法 | |
JP2008525829A (ja) | 電気適応性区域が備わっている眼鏡レンズ装置、眼鏡、眼鏡レンズ装置の使用および操作方法 | |
KR102000911B1 (ko) |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및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방법 | |
JP7630912B2 (ja) | 眼鏡レンズ | |
CN114930229B (zh) | 眼镜镜片 | |
CN118284840A (zh) | 用于减缓视觉屈光异常的演变的光学镜片元件 | |
CN120359455A (zh) | 包括旨在配戴在配戴者的第一眼睛前方的第一光学镜片和旨在配戴在配戴者的第二眼睛前方的第二光学镜片的一副眼镜镜片 | |
TW202522090A (zh) | 具有輔助光學元件之眼鏡鏡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5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4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6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6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1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6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