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911B1 -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및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및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0911B1 KR102000911B1 KR1020197003140A KR20197003140A KR102000911B1 KR 102000911 B1 KR102000911 B1 KR 102000911B1 KR 1020197003140 A KR1020197003140 A KR 1020197003140A KR 20197003140 A KR20197003140 A KR 20197003140A KR 102000911 B1 KR102000911 B1 KR 1020009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ractive power
- zone
- average refractive
- spectacle lens
- progressive specta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4
- 208000001491 myopia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01000009310 astigmatis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418 eye ro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4379 myopia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1525 retina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402 high myopia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515 progressive myopia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733 refractive erro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93 visual impair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4569 Blind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77 Catarac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0823 Choroidal neovascularis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412 Glauc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06688 Meridi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8848 Retinal detach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50 conditio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40 degenerative myopi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309 degenerative myop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67 diminis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8 ed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533 ey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87 fa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8015 ma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04 pastoral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43 peripheral vi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264 retinal detach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257 vis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45 visual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3—Shape of the progressive surface
- G02C7/066—Shape, location or size of the viewing zon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표면 비점수차의 등고선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암시적인 눈 경로를 따라 도 1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광선 추적된 평균 부가 굴절력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평균 표면 부가 굴절력의 등고선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복수의 수평 라인을 따라 도 1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평균 표면 부가 굴절력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은 약 2.0 D의 부가 굴절력을 갖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을 중심으로 40 mm 직경의 원 내에서 이동하는 눈에 대한 광선 추적된 평균 부가 굴절력 등고선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표면 비점수차의 등고선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암시적인 눈 경로를 따라 도 6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광선 추적된 평균 부가 굴절력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6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평균 표면 부가 굴절력의 등고선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복수의 수평 라인을 따라 도 6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평균 표면 부가 굴절력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1은 약 2.5 D의 부가 굴절력을 갖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을 중심으로 40 mm 직경의 원 내에서 이동하는 눈에 대한 광선 추적된 평균 부가 굴절력 등고선을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표면 비점수차의 등고선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경로를 따라 도 11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광선 추적된 평균 부가 굴절력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4는 도 11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평균 표면 부가 굴절력의 등고선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복수의 수평 라인을 따라 도 11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평균 표면 부가 굴절력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6은 렌즈의 눈 측면 상에 프로그레시브 표면을 갖는 약 1.5 D의 부가 굴절력을 갖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을 중심으로 40 mm 직경의 원 내에서 이동하는 눈에 대한 광선 추적된 평균 부가 굴절력 등고선을 도시한다.
도 17은 도 16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후방 표면 비점수차의 등고선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암시적인 눈 경로를 따라 도 16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광선 추적된 평균 부가 굴절력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9는 도 16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후방 표면 상의 평균 표면 부가 굴절력의 등고선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복수의 수평 라인을 따라 도 16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평균 표면 부가 굴절력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을 중심으로 40 mm 직경의 원 내에서 이동하는 눈에 대한 광선 추적된 평균 부가 굴절력 등고선을 도시한다.
도 22는 도 21의 종래기술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표면 비점수차의 등고선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암시적인 눈 경로를 따라 도 21의 종래기술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광선 추적된 평균 표면 부가 굴절력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4는 도 21의 종래기술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평균 표면 부가 굴절력의 등고선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복수의 수평 라인을 따라 도 16의 종래기술의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대한 평균 표면 부가 굴절력의 도면을 도시한다.
2: 부분-원
3: 반원
4L, 4R: 좌측, 우측 주변 구역
5: 하부 시야 구역
6: 회랑
7: 상부 시야 구역
8: 눈 라인
9A-9D: 수평 라인
10: 서브-구역
11: 서브-구역
12: 서브-구역
Claims (33)
-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로서,
- 원거리 시력에 적응된 제1 굴절력, 특히 제1 평균 굴절력을 특정 착용 위치에서 제공하는 원거리 기준점(2A)을 갖는 상부 시야 구역(7);
- 근거리 시력에 적응된 제2 굴절력, 특히 제2 평균 굴절력을 상기 특정 착용 위치에서 제공하는 근거리 기준점(3A)을 갖는 하부 시야 구역(5)으로서, 상기 제2 굴절력, 특히 상기 제2 평균 굴절력은 상기 제1 굴절력, 특히 상기 제1 평균 굴절력에 대한 부가 굴절력을 나타내는, 하부 시야 구역(5);
- 상기 특정 착용 위치에서, 굴절력, 특히 평균 굴절력이 상기 제1 굴절력, 특히 상기 제1 평균 굴절력으로부터 상기 제2 굴절력, 특히 상기 제2 평균 굴절력으로 점진적으로 변경되는, 상기 상부 시야 구역(7)과 상기 하부 시야 구역(5) 사이의 회랑(6);
- 상기 하부 시야 구역(5) 및 상기 회랑에 의해 분리되는 좌측 주변 구역(4L) 및 우측 주변 구역(4R); 및
- 상기 상부 시야 구역(7), 상기 좌측 주변 구역(4L) 및 상기 우측 주변 구역(4R)에서의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 11, 12)을 포함하며,
상기 특정 착용 위치에서 착용자가 경험하는 상기 평균 굴절력은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 11, 12)에서 상기 제1 굴절력, 특히 상기 제1 평균 굴절력, 플러스 0.125 D를 초과하지 않고,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 11, 12)은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영역의 적어도 40%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에 대한 상기 특정 착용 위치에서, 상기 굴절력, 특히 상기 평균 굴절력은 이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이동하는 눈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한정되고,
이에 의해 상기 굴절력, 특히 상기 평균 굴절력은, 눈이 1차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렌즈의 후방 정점 뒤의 20 mm 내지 30 mm 범위의 특정 간격에 위치된 상기 눈의 회전 중심 및 피팅 지점과 동공의 중심을 정렬시키도록 피팅된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통해 무한원 물체를 보는 상기 이동하는 눈에 대해 셋업된 광선 추적으로부터 계산되며,
상기 굴절력, 특히 상기 평균 굴절력은, 상기 눈의 회전 중심에서 시작하여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상기 후방 정점과 접촉되는 구면을 기준으로 하고,
상기 시뮬레이션은 상기 눈 회전의 리스팅 회전 모델링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가 상기 피팅 지점에서 -20°내지 +30°의 범위에서 선택된 범초점 기울기를 갖고 상기 피팅 지점에서 -5°내지 +15°의 범위에서 선택된 랩 각도를 갖는다고 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주변 구역(4L) 및 상기 우측 주변 구역(4R)에서 착용자가 경험하는 상기 평균 굴절력은 항상 상기 제2 굴절력 미만, 특히 상기 제2 평균 굴절력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는 적어도 40 mm의 직경을 갖는 원형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이며,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 11, 12)은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을 중심으로 40 mm의 직경 내에 있는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영역의 적어도 40%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절력, 특히 상기 제1 평균 굴절력에 대한 상기 제2 굴절력, 특히 상기 제2 평균 굴절력으로 제공되는 상기 부가 굴절력은 1.0 D 내지 3.0 D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주변 구역(4L)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1)과 상기 우측 주변 구역(4R)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2) 사이의 간격은 25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주변 구역(4L, 4R)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1, 12)은 상기 근거리 기준점(3A)을 통과하는 수평 라인 아래의 위치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주변 구역(4L, 4R)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1, 12)은 적어도, 상기 근거리 기준점(3A)을 통과하는 수평 라인보다 5 mm 위 및 아래에 위치된 수평 라인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시야 구역(7)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은 상기 원거리 기준점(2A)을 통과하는 수평 라인 위에 있는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을 중심으로 40 mm의 직경 내의 모든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영역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시야 구역(7)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 상기 좌측 주변 구역(4L)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1) 및 상기 우측 주변 구역(4R)의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2)은 인접한 낮은 굴절력 구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굴절력, 특히 상기 제2 평균 굴절력은 상기 제1 굴절력, 특히 상기 제1 평균 굴절력에 대한 1.5 D 이하의 부가 굴절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 11, 12)은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을 중심으로 40 mm의 직경 내에 있는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상기 영역의 적어도 50%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굴절력, 특히 상기 제2 평균 굴절력은 상기 제1 굴절력, 특히 상기 제1 평균 굴절력에 대한 1.5 D 초과 및 최대 2.0 D의 부가 굴절력을 나타내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주변 구역(4L, 4R)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1, 12)은 상기 상부 시야 구역(7)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평균 굴절력이 상기 제1 굴절력, 특히 상기 제1 평균 굴절력, 플러스 0.125 D를 초과하지만 상기 제1 굴절력, 특히 상기 제1 평균 굴절력, 플러스 0.5 D를 초과하지 않는 영역은 상기 상부 시야 구역(7)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을 상기 좌측 및 우측 주변 구역(4L, 4R)의 각각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1, 12)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굴절력, 특히 상기 제2 평균 굴절력은 상기 제1 굴절력, 특히 상기 제1 평균 굴절력에 대한 2.0 D 초과 및 최대 2.5 D의 부가 굴절력을 나타내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주변 구역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1, 12)은 상기 상부 시야 구역(7)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평균 굴절력이 상기 제1 굴절력, 특히 상기 제1 평균 굴절력, 플러스 0.125 D를 초과하지만 상기 제1 굴절력, 특히 상기 제1 평균 굴절력, 플러스 0.5 D를 초과하지 않는 영역은 상기 상부 시야 구역(7)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을 상기 좌측 및 우측 주변 구역(4L, 4R)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1, 12)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40 mm 직경 내부의 표면 비점수차는 5.5 D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40 mm 직경 내부의 상기 표면 비점수차는 3.5 D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40 mm 직경 내부의 상기 표면 비점수차는 4.5 D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특정 착용 위치에 의해 특정 착용자에게 적응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착용자에 대한 상기 특정 착용 위치를 획득 또는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착용자의 원거리 시력을 위한 굴절력을 획득 또는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착용자의 근거리 시력을 위한 굴절력을 획득 또는 제공하는 단계;
- 렌즈 블랭크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착용자에 대한 상기 특정 착용 위치, 상기 원거리 시력을 위한 굴절력, 및 상기 근거리 시력을 위한 굴절력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 블랭크의 전방 표면 및/또는 후방 표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자유-형태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유-형태 표면은, 원거리 시력에 적응된 제1 굴절력, 특히 제1 평균 굴절력을 상기 특정 착용 위치에서 제공하는 원거리 기준점(2A)을 갖는 상부 시야 구역(7); 근거리 시력에 적응된 제2 굴절력, 특히 제2 평균 굴절력을 상기 특정 착용 위치에서 제공하는 근거리 기준점(3A)을 갖는 하부 시야 구역(5); 상기 상부 시야 구역(7)과 상기 하부 시야 구역(5) 사이의 회랑(6); 상기 하부 시야 구역(5) 및 상기 회랑(6)에 의해 분리되는 좌측 주변 구역(4L) 및 우측 주변 구역(4R)을 한정하고,
상기 자유-형태 표면은 상기 좌측 주변 구역(4L) 및 상기 우측 주변 구역(4R)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상부 시야 구역(7)에서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 11, 12)이 존재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특정 착용 위치에서, 착용자가 경험하는 평균 굴절력은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 11, 12)에서 상기 제1 굴절력, 특히 상기 제1 평균 굴절력, 플러스 0.125 D를 초과하지 않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유-형태 표면은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 11, 12)이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영역의 적어도 40%를 차지하도록 형성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 특정 착용 위치에 의해 특정 착용자에게 적응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으로서,
- 상기 착용자에 대한 상기 특정 착용 위치를 획득 또는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착용자의 원거리 시력을 위한 굴절력을 획득 또는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착용자의 근거리 시력을 위한 굴절력을 획득 또는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착용자에 대한 상기 특정 착용 위치, 상기 원거리 시력을 위한 굴절력, 및 상기 근거리 시력을 위한 굴절력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에 의해 달성될 표면 특성 또는 광학 특성을 한정하는 타겟 렌즈 설계를 제공하는 단계; 및
- 예를 들어, 자유-형태 표면의 표면 특성 또는 자유-형태 표면으로 달성된 광학 특성과 상기 타겟 렌즈 설계에 의해 한정된 표면 특성 또는 광학 특성 사이의 차이를 각각 최소화하기 위해, 렌즈 블랭크 상에 형성될 자유-형태 표면을 최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최적화가 상기 렌즈 블랭크의 전방 표면 및/또는 후방 표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최적화된 자유-형태 표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타겟 렌즈 설계가 선택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적화된 자유-형태 표면은, 원거리 시력에 적응된 제1 굴절력, 특히 제1 평균 굴절력을 상기 특정 착용 위치에서 제공하는 원거리 기준점(2A)을 갖는 상부 시야 구역(7); 근거리 시력에 적응된 제2 굴절력, 특히 제2 평균 굴절력을 상기 특정 착용 위치에서 제공하는 근거리 기준점(3A)을 갖는 하부 시야 구역(5); 상기 상부 시야 구역(7)과 상기 하부 시야 구역(5) 사이의 회랑(6); 상기 하부 시야 구역(5) 및 상기 회랑(6)에 의해 분리되는 좌측 주변 구역(4L) 및 우측 주변 구역(4R)을 한정하며,
상기 최적화된 자유-형태 표면은 상기 좌측 주변 구역(4L) 및 상기 우측 주변 구역(4R)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상부 시야 구역(7)에서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 11, 12)이 존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특정 착용 위치에서, 착용자가 경험하는 평균 굴절력은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 11, 12)에서 상기 제1 굴절력, 특히 상기 제1 평균 굴절력, 플러스 0.125 D를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유-형태 표면의 최적화 후에,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 11, 12)이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영역의 적어도 40%를 차지하도록, 상기 타겟 렌즈 설계가 선택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주변 구역(4L)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1)과 상기 우측 주변 구역(4R)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2) 사이의 간격은 25 mm 이하인, 컴퓨터 구현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는 원형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유-형태 표면의 최적화 후에,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 11, 12)이 상기 원형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을 중심으로 40 mm의 직경 내에 있는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영역의 적어도 40%를 차지하도록, 상기 타겟 렌즈 설계가 선택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주변 구역(4L) 및 우측 주변 구역(4R)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1, 12)은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영역의 적어도 10%를 차지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유-형태 표면의 최적화 후에, 상기 좌측 주변 구역(4L) 및 우측 주변 구역(4R)의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1, 12)이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영역의 적어도 10%를 차지하도록, 상기 타겟 렌즈 설계가 선택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착용 위치에서, 원거리 처방에 따른 단초점 렌즈를 통해 눈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반응에 대한 상기 착용자의 조절 반응이 근거리 시력 학업 동안에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중심와 앞에 또는 중심와 상에 이미지가 생성되거나 또는 적어도 중심와에 대한 조절 지연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상기 좌측 주변 구역(4L) 및/또는 상기 우측 주변 구역(4R)의 그러한 영역을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 11, 12)이 차지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유-형태 표면의 최적화 후에, 상기 특정 착용 위치에서, 원거리 처방에 따른 단초점 렌즈를 통해 눈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반응에 대한 상기 착용자의 조절 반응이 근거리 시력 학업 동안에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중심와 앞에 또는 중심와 상에 이미지가 생성되거나 또는 적어도 중심와에 대한 조절 지연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상기 좌측 주변 구역(4L) 및/또는 상기 우측 주변 구역(4R)의 그러한 영역을 상기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 11, 12)이 차지하도록, 상기 타겟 렌즈 설계가 선택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렌즈 블랭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렌즈 블랭크로부터 상기 최적화된 자유-형태 표면을 갖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낮은 평균 굴절력 구역(10, 11, 12)은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을 중심으로 40 mm의 직경 내에 있는 상기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의 상기 영역의 적어도 50%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6002581.3A EP3330777A1 (en) | 2016-12-01 | 2016-12-01 | Progressive ophthalmic lens,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and method of designing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
EP16002581.3 | 2016-12-01 | ||
EP17179412 | 2017-07-03 | ||
EP17179412.6 | 2017-07-03 | ||
PCT/EP2017/080886 WO2018100012A1 (en) | 2016-12-01 | 2017-11-29 | Progressive spectacle lens,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and method of designing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8732A KR20190018732A (ko) | 2019-02-25 |
KR102000911B1 true KR102000911B1 (ko) | 2019-10-01 |
Family
ID=6047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03140A Active KR102000911B1 (ko) | 2016-12-01 | 2017-11-29 |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및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US (1) | US10394054B2 (ko) |
EP (1) | EP3472661B1 (ko) |
JP (1) | JP6722342B2 (ko) |
KR (1) | KR102000911B1 (ko) |
CN (1) | CN109564359B (ko) |
AU (1) | AU2017369607B2 (ko) |
BR (1) | BR112019000673B1 (ko) |
CA (1) | CA3030229C (ko) |
ES (1) | ES2755817T3 (ko) |
PH (1) | PH12019500001B1 (ko) |
SG (1) | SG11201811537QA (ko) |
WO (1) | WO201810001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31298A1 (en) | 2020-08-07 | 2022-02-10 |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 Progressive addition lens for myopia contr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EP4095592A1 (en) | 2020-11-26 | 2022-11-30 |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 Spectacle lens design, spectacle lens k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ctacle lens |
CN114911072B (zh) * | 2021-02-09 | 2025-02-11 | 晶硕光学股份有限公司 | 智能多焦点镜片及多焦点散光镜片 |
EP4198615A1 (en) * | 2021-12-16 | 2023-06-21 | Essilor International | Method for determining an ophthalmic lens |
CN114815308A (zh) * | 2022-05-24 | 2022-07-29 | 江苏全真光学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渐进屈光力的树脂镜片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7026579A1 (en) | 1996-01-19 | 1997-07-24 | Sola International Inc. | Hard/soft superposition progressive lens design |
WO2011054058A1 (en) | 2009-11-09 | 2011-05-12 | Carl Zeiss Vision Australia Holdings Limited | Ophthalmic lens element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701312A1 (de) | 1997-01-16 | 1998-07-23 | Zeiss Carl Fa | Brillenglas mit sphärischer Vorderseite und multifokaler Rückseite,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
US6343861B1 (en) | 1998-06-12 | 2002-02-05 |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 Myopia lens |
US6142627A (en) * | 1998-12-01 | 2000-11-07 | Sola International, Inc. | Short-corridor progressive lens |
PL2069854T3 (pl) * | 2006-09-15 | 2015-08-31 | Carl Zeiss Vision Australia Holdings Ltd | Element soczewki oftalmicznej |
FR2916864B1 (fr) | 2007-05-31 | 2010-01-08 | Essilor Int | Verre ophtalmique progressif de correction de myopie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 tel verre |
WO2010100528A1 (en) | 2009-03-05 | 2010-09-10 |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 Spectacle eyeglass for myopic child |
US8042940B2 (en) * | 2009-03-24 | 2011-10-25 | Crossbows Optical Limited | Opthalmic lenses having reduced base out prism |
CN101661167B (zh) * | 2009-09-05 | 2011-01-26 | 温州医学院眼视光研究院 | 一种利用子午线设计渐进多焦点眼用镜片的方法 |
CN101968575B (zh) * | 2010-08-31 | 2012-06-27 | 苏州科技学院 | 一种渐进多焦点眼用镜片及其制备方法 |
ES2927468T3 (es) * | 2012-03-14 | 2022-11-07 | Holden Brien Vision Inst | Lente para ojo miope |
WO2016190391A1 (ja) * | 2015-05-26 | 2016-12-01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 累進屈折力レンズの設計方法及びレンズセット |
US10330950B2 (en) | 2017-02-23 | 2019-06-25 | Indizen Optical Technologies of America, LLC | Progressive lenses with reduced peripheral mean sphere |
-
2017
- 2017-11-29 ES ES17804584T patent/ES2755817T3/es active Active
- 2017-11-29 JP JP2019500589A patent/JP6722342B2/ja active Active
- 2017-11-29 CA CA3030229A patent/CA3030229C/en active Active
- 2017-11-29 KR KR1020197003140A patent/KR102000911B1/ko active Active
- 2017-11-29 AU AU2017369607A patent/AU2017369607B2/en active Active
- 2017-11-29 PH PH1/2019/500001A patent/PH12019500001B1/en unknown
- 2017-11-29 CN CN201780047847.7A patent/CN109564359B/zh active Active
- 2017-11-29 EP EP17804584.5A patent/EP3472661B1/en active Active
- 2017-11-29 SG SG11201811537QA patent/SG11201811537QA/en unknown
- 2017-11-29 BR BR112019000673-7A patent/BR112019000673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7-11-29 WO PCT/EP2017/080886 patent/WO2018100012A1/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9
- 2019-01-22 US US16/254,536 patent/US10394054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7026579A1 (en) | 1996-01-19 | 1997-07-24 | Sola International Inc. | Hard/soft superposition progressive lens design |
WO2011054058A1 (en) | 2009-11-09 | 2011-05-12 | Carl Zeiss Vision Australia Holdings Limited | Ophthalmic lens ele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472661B1 (en) | 2019-10-02 |
AU2017369607B2 (en) | 2019-07-25 |
JP2019525230A (ja) | 2019-09-05 |
WO2018100012A1 (en) | 2018-06-07 |
AU2017369607A1 (en) | 2019-02-21 |
EP3472661A1 (en) | 2019-04-24 |
CA3030229A1 (en) | 2018-06-07 |
JP6722342B2 (ja) | 2020-07-15 |
SG11201811537QA (en) | 2019-01-30 |
CN109564359A (zh) | 2019-04-02 |
PH12019500001A1 (en) | 2019-10-21 |
US20190155057A1 (en) | 2019-05-23 |
CN109564359B (zh) | 2021-04-06 |
KR20190018732A (ko) | 2019-02-25 |
BR112019000673A2 (pt) | 2019-04-24 |
PH12019500001B1 (en) | 2022-10-26 |
BR112019000673B1 (pt) | 2020-11-24 |
ES2755817T3 (es) | 2020-04-23 |
CA3030229C (en) | 2020-08-04 |
US10394054B2 (en) | 2019-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0548B1 (ko) | 근시를 예방하거나 또는 근시 진행을 늦추는 렌즈 디자인 및 방법 | |
KR102000911B1 (ko) |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및 프로그레시브 안경 렌즈를 설계하는 방법 | |
CN117031777A (zh) | 镜片元件 | |
KR20230042379A (ko) | 근시 제어용 누진 가입도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 |
CN116745688A (zh) | 眼镜镜片设计、制造眼镜镜片的方法和提供用于至少延缓近视进展的眼镜镜片的方法 | |
US12001087B2 (en) | Progressive spectacle lens | |
WO2022238191A1 (en) | Spectacle lens design, spectacle lens kit,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ctacle lens and method of providing a spectacle lens design | |
JP7557630B2 (ja) | 眼鏡レンズ設計、眼鏡レンズキット及び眼鏡レンズを製造する方法 | |
JP2024527108A (ja) | レンズ要素 | |
EP3004973B1 (en) | Non-progressive corridor bi-focal lens with substantially tangent boundary of near and distal visual fields | |
JP2023529470A (ja) | レンズ要素 | |
EP3330777A1 (en) | Progressive ophthalmic lens,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and method of designing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 |
HK40000427A (en) | Progressive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and designing method thereof | |
HK40000427B (zh) | 漸進眼鏡鏡片、其製造方法和設計方法 | |
JP2023156300A (ja) | 眼鏡レンズ設計、眼鏡レンズキット及び眼鏡レンズを製造する方法 | |
EA033949B1 (ru) | Прогрессивная очковая линза,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огрессивной очковой линзы и способ проектирования прогрессивной очковой линз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1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2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2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