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73556A - 셀 식별 정보 - Google Patents

셀 식별 정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556A
KR20190073556A KR1020197016095A KR20197016095A KR20190073556A KR 20190073556 A KR20190073556 A KR 20190073556A KR 1020197016095 A KR1020197016095 A KR 1020197016095A KR 20197016095 A KR20197016095 A KR 20197016095A KR 20190073556 A KR20190073556 A KR 20190073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er
cell identifier
cell
network node
seque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0171B1 (ko
Inventor
안드레스 레이알
이카로 엘. 제이. 다 실바
아스브죄른 그뢰블렌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90073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1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빔 송신을 위한 소스를 식별하는 셀 식별자를 송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의 셀 식별자(CID)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네트워크 노드의 빔의 빔 식별자(BID)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CID와 BID를 링크하는 단계 및 BID및 CID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셀 식별 정보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성 참조 신호(mobility reference signal)들에 관한 것이다.
RAN1#86bis에서, CONNECTED 모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에서의 다운링크(downlink)(DL) 측정에 기초한 L3 이동성에 대해, 비-UE-특정(non-UE-specific) DL 신호가 CONNECTED 모드 라디오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RRM) 측정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동의하였다. 또한, 추가 연구가 CONNECTED 모드 RRM 측정을 위한 특정 DL 신호: (1) 셀-ID(예를 들어, 뉴 라디오 일차 동기화 신호(new radio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NR-PSS), 뉴 라디오 이차 동기화 신호(new radio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NR-SSS))를 반송하는 셀 관련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RS);(2) 이동성을 위한 RS: 빔-ID 또는 셀-ID와의 연관; (3) 방송 채널을 복조하기 위한 RS; 및 (4) (1)과 (2)의 조합에 관해 수행될 것이다. 다른 옵션도 배제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L3 이동성에 대해 보고될 특정 RRM 측정 양들: (1) (예를 들어, 멀티 빔인 경우, 멀티 빔 측정들의 함수로서) 셀 당 도출된 양; (2) 빔당 도출된 량; 및(3) (1)과 (2)의 조합에 관한 추가 연구가 수행될 것이다.
빔 그룹핑 표시(beam grouping indication)는 셀들의 로컬 식별을 위해 이미 구성된 셀 ID(cell ID)(CID) 정보를 이용한다. 이러한 로컬 식별자의 예는 LTE에서의 물리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er)(PCI)이다. 빔 ID 정보를 반송하는 MRS가 송신된다. BID와 연관하여, BID를 검출할 때 검출될 수 있는 추가의 CID 정보가 송신된다. CID 정보는 BID를 검출하기 이전, 이후, 또는 동시에 검출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UE는 MRS를 수신하고 BID를 검출하고, BID로부터 연관 정보를 추출하여 연관된 CID를 검출하고, 마지막으로 BID와 연관된 CID를 검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CID 및 BID 부분은 별도로 검출될 수 있고 이들의 연관성이 확립될 수 있다.
연관된 CID 정보를 제공하는 것의 몇몇 예들은 다음과 같다:
* 스크램블링된 시퀀스 변조 CID 정보를 BID로부터 도출된 시퀀스로 송신하는 것
* CID 정보 - CID 정보의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DMRS) 및 변조 레벨 및 코딩 방식(modulation level and coding scheme)(MCS)은 BID로부터 도출됨 - 를 이용하여 통상적으로 변조된 심볼을 송신하는 것
* 물리 다운링크 채널(physical downlink channel)(PDCH) 컨테이너 - 물리 다운링크 채널 컨테이너의 시간/주파수(time/frequency)(T/F) 자원들, DMRS 및/또는 MCS은 BID로부터 도출됨 - 를 송신하는 것
* BID들과 이들의 대응하는 CID들 사이의 매핑을 제공하는 전용 제어 시그널링 메시지를 UE로 송신하는 것.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network)(NW)에서 MRS 송신에 동반할 CID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 및 UE에서의 수신은 구성 가능하고; 일부 배치에서 그 송신은 생략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빔 송신을 위한 소스를 식별하는 셀 식별자를 송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의 셀 식별자(CID)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네트워크 노드의 빔의 빔 식별자(BID)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CID와 BID를 링크하는 단계 및 BID및 CID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빔 송신을 위한 소스를 식별하는 셀 식별자를 수신하는 UE에서의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BID를 수신하는 단계 및 BID에 링크된 CID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빔 송신을 위한 소스를 식별하는 셀 식별자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노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네트워크 노드의 셀 식별자(CID)를 결정한다. 프로세서는 추가로 네트워크 노드의 빔의 빔 식별자(BID)를 결정하고 CID와 BID를 링크시킨다. 프로세서는 추가로 BID 및 CID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에 송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빔 송신(beamed transmission)들을 위한 소스를 식별하는 셀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UE)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BID를 수신하고 BID에 링크된 CID를 수신한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기술적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UE는 MRS에 분명하게 링크된 추가의 그룹 ID(예를 들어, 셀 ID) 송신에 기초하여 어떤 MRS 신호가 동일한 셀에서 유래한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이것은 MRS에 의해 어드레싱된 빔들의 개수를 감소시키지 않고 그룹 ID의 빈번한 조정을 요구하지도 않으면서 달성된다. 이 특징은 보다 효율적인 핸드오버 측정들 및 절차들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장점들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명백해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은 열거된 장점들 중 아무것도 갖지 않거나, 그 일부 또는 전부를 가질 수 있다.
이제, 개시된 실시예들 및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장점들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작성된 다음의 설명이 참조된다.
도 1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의 예시이다.
도 2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의 예시이다.
도 3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신호의 예시이다.
도 4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신호의 예시이다.
도 5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신호 타이밍의 예시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빔 그룹핑 표시의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7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8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9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유휴(idle) 및 연결(connected) 모드 이동성에 대한 NR 동기화 신호들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을 도시한다.
도 16 내지 도 17은 NR DL 이동성 측정 신호 설계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을 도시한다.
자립적이고, 동기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TRP) 식별 및 신호 품질 측정 기능들을 지원하는 액티브 모드 이동성 신호에 대한 요구가 있다. 액티브 모드 이동성 측정 신호들에 대한 신호 포맷이 고려된다.
한 세트의 인접한 셀들로부터의 MRS 송신들이 적절히 조정될 때, 개개의 MRS들에 의해 반송되는 빔 ID는 고유하다. UE는 검출된 빔 ID만을 사용하여 측정들을 보고할 수 있고, 네트워크는 보고된 빔들을 이들 빔의 발신 셀들/TRP들과 연관시킬 수 있다. UE는 이전의 RRC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자신의 서빙 셀로부터 발생하는 MRS들을 명시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UE가 다른 비-서빙 셀(non-serving cell)들의 기원에 따라 다른 비-서빙 셀들로부터의 MRS들을 그룹핑하는 것도 또한 유리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먼저 CONNECTED 모드 RRM 측정을 위한 DL 신호의 4 개의 옵션을 비교하고 그룹핑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기를 논의하지만, 단지 네 개의 옵션만이 있는 것이 아니고 다른 옵션들도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옵션 1: 셀-ID를 반송하는 셀 관련 RS(예들 들어, NR-PSS, NR-SSS)
옵션 1에서, 후보는 NR 셀 ID를 인코딩하고 셀 선택과 셀 재선택을 위한 RRM 측정, 시스템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동기화,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PRACH) 자원들 등에 대한 DL 동기화 참조 등과 같은 유휴 모드 동작의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상되는 NR-PSS/NR-SSS이다. 이 신호를 사용하는 주된 이득은 이 신호가 이동성을 위한 새로운 RS를 정의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NR-PSS/NR-SSS를 사용하는 것의 문제는 우리가 이들을 매우 좁은 빔포밍으로 송신해야 하고(UE가 또한 빔포밍된 데이터 채널들을 디코딩하는 동안 UE가 이들을 검출할 수 있도록) 좁은 단일 빔 마다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PBCH)을 송신하는 오버헤드를 발생할 것이라는 것 또는 측정 갭들이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는 추가의 오버헤드 및 감소된 데이터 속도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또한, 우리는 액티브 모드 이동성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유휴 모드 동작의 주기성을 조정해야만 한다. 이것은 신호들이 더 자주 송신되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임의의 다른 셀 특정 참조 신호들에도 동일한 염려 사항들이 적용된다.
옵션 1의 다른 문제는 동일한 NR-PSS/NR-SSS(및/또는 다른 셀 특정 RS)를 송신하는 넓은 빔들이 거의 없을 수 있다고 가정한다면, UE에게는 주어진 송수신 포인트(TRP)로부터의 빔들을 구별하는 것이 어려운 과제일 수 있다는 사실이다. L3 이동성의 경우, 빔을 구별하는 이러한 기능은 예를 들어, 한번만의 측정들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 및 UE가 옵션 1에서 더욱 어려워질 수도 있는 동일한 빔의 다수의 시점(occasion)들을 평균하는 경우, 빔 당 RRM 측정들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다른 이유는 UE가 인접 셀들의 RRM 측정들을 서빙 셀에 보고해야 하며, 이 경우 주어진 셀이 서빙 셀보다 낫다는 보고는 서빙 셀로부터의 빔 정보를 단순히 감추는 것이다. 아날로그 및/또는 하이브리드 빔포밍에서, 기지국 수신기는 PRACH를 위해 그리고 동일한 TRP로부터의 주어진 빔 및/또는 빔 그룹에 연관될 Rx 빔포밍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떤 빔들 및/또는 어떤 PRACH 자원을 액세스할지를 통지하지 않으면 UE는 UE가 액세스하려 시도하는 빔에 연관된 PRACH 자원을 액세스하지 못하게 되거나(예를 들어, UL 간섭을 일으키고 및/또는 적당한 PRACH 커버리지를 갖지 못함) 또는 핸드오버가 실행될 때마다 UE는 인접 빔으로부터 PBCH를 읽어야 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는데, 이것은 오늘날의 LTE에서는 그렇지 않다.
옵션 2: 이동성을 위한 RS
옵션 2에서, 이동성을 위해 사용되는 새로운 RS는 네트워크가 이 신호를 송신하여 RRC CONNECTED에서 이동성에 대한 특정한 요건들을 충족시키는 유연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새로운 신호 또는 새로운 세트의 신호를 정의하면, 유휴 모드 동작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가 이러한 이동성 참조 신호들(MRS들)을 서로 다른 빔포밍 구성으로 송신할 수 있게 할 것인데, 예를 들면, (NR-PSS/NR-SSS가 넓은 빔들에서 및/또는 전방향성(omnidirectional)으로 및/또는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ingle frequency network)(SFN))들에서 송신될 때 측정 간격들을 만들어야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MRS를 좁은 빔들에서 송신하고 반면에 (시스템 정보 송신의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NR-PSS/NR-SSS/PBCH가 넓은 빔들에서 송신될 수 있다. 빔포밍을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 이외에, 새로운 신호(예를 들어, 목적에 맞추어 구축된 한 꾸러미의 기존 신호들)는 또한 에너지 효율성을 위해 불연속 송신(discontinuous transmission)(DTX) 사이클을 길게 할 수 있는데 중요한, 특히 유휴 모드에서 중요한, 주기성들을 상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옵션 2와 연관된 미해결 문제는 이러한 이동성 RS를 빔-ID 및/또는 셀-ID와 연관시킬 것인지 여부였다. 옵션 1로부터 내재하는 어려운 과제들을 완화하기 위해 이동성 RS는 적어도 빔 ID를 반송하여 L3 이동성을 지원하여야 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유휴 모드 동작을 위해 설계된 NR-PSS/NR-SSS와는 다른 빔포밍 특성을 갖는 액티브 모드 이동성의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MRS들을 구성하는 유연성을 달성하려면, 그리고 동시에, 이동성 RS들을 유휴 모드 동작에 사용되는 NR-셀에 연관시키는 몇 가지 이득을 달성하려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해결책이 연구되어야 한다.
- 옵션 a) MRS 식별자들의 범위 별로 빔들의 그룹을 정의한다. 그런 다음 식별자들과 셀 ID 간의 연관이 이루어질 수 있다.
- 옵션 b) 빔들이 송신되는 주파수 자원들 별로 빔들의 그룹을 정의한다. MRS들이 송신되는 주파수 자원들과 셀 ID 간의 연관은 시스템 정보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 옵션 c) 유휴 모드에 사용되는 셀 ID 및 이동성 RS 내의 빔 ID를 인코딩한다: 그 다음에 이들이 인코딩되는 방법, 예를 들어, 단일 변조 시퀀스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한다.
옵션 3: 방송 채널의 복조를 위한 RS
PRACH 검출을 위해 Rx 아날로그 빔포밍을 사용한다고 것을 가정하면, UE가 PBCH를 디코딩하기 위해 간단히 이들 참조 신호들을 사용하여 각 참조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고 옵션 2에 대해 위에서 논의된 요건들을 충족시키도록 빔 특정 PBCH를 가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UE는 NR-PSS/NR-SSS를 사용하여 이들 빔을 그룹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상이한 PBCH 콘텐츠를 송신하는 빔들 전체에 걸친 간섭을 피하기 위해 결국 이들 PBCH RS들이 빔 특정 RS이어야 하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옵션 4: 옵션들 1과 2의 조합
옵션 2의 이득들과 옵션 1의 장점들을 고려하면, 특히 RRM 측정들을 위해 이들 RS들을 좁은 빔들에서 (예를 들어, 더 낮은 주파수들에서 및/또는 UE들이 항상 매우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로 송신하지 않을 때 그리고 측정 갭들이 구성될 필요가 없거나 문제가 아닐 때) 송신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네트워크는(심지어 PBCH에 사용된 RS들을 비롯한) NR-PSS/NR-SSS에 관해 측정할 UE를 구성하는 유연성 및/또는 유휴 상태에서 사용되는 셀 ID와 연관될 수 있는 빔들의 그룹의 일부 개념을 인코딩할 수 있는 이동성 RS들을 새롭게 설계하는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IDLE 셀 신호들 및 액티브(ACTIVE) 모드 이동성을 위해 발신 셀을 식별하는 임의적인 가능성이 있는 액티브 이동성 RS의 둘 다를 지원하는 것은 다양한 네트워크 해결책들을 특정 배치 조건들과 운영자 선호도들을 매칭시킬 수 있게 한다.
MRS 설계
자립적이고, 동기화, TRP 식별 및 신호 품질 측정 기능들을 지원하는 액티브 모드 이동성 신호가 논의되었다. 한 세트의 인접한 셀들로부터의 MRS 송신들이 적절히 조정될 때, 개개의 MRS들에 의해 반송되는 빔 ID는 고유하다. UE는 검출된 빔 ID만을 사용하여 측정들을 보고할 수 있고, 네트워크는 보고된 빔들을 이들 빔의 발신 셀들/TRP들과 연관시킬 수 있다. UE는 이전의 RRC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자신의 서빙 셀로부터 발생하는 MRS들을 명시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빔 그룹핑의 동기
다운링크 기반 액티브 모드 이동성은 서빙 노드에 속하는 MRS에 관한 측정들을 다른 MRS들과 비교하는 것에 기초한다. UE는 어느 MRS들이 서빙 노드에 속하는지를 알아야 하며, 이것은 "서빙 MRS 세트"로 표시된다. "부재(away) MRS"(서빙 MRS 세트에 없는 MRS)가 서빙 MRS 세트 내의 MRS보다 나은지를 보고하기 위해, UE는 부재 MRS가 속하는 노드를 알 필요가 없다.
그러나, UE는 다른 비-서빙 셀들의 기원에 따라 다른 비-서빙 셀들로부터 MRS들을 그룹핑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UE가 두 개의 MRS가 동일한 노드에 속한다는 것을 아는 경우, UE는 예를 들어, 제1의 부재 MRS 트리거링 조건부가 발생할 때 MRS 측정 보고를 위해 트리거 시간(time to trigger)(TTT)을 시작할 수 있다. 그런 다음 UE가 제2의 부재 MRS가 더 낫다는 것을 통지하면, UE는 TTT 실행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부재 MRS가 동일한 노드에 속한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경우에 UE가 행할 수 있는 다른 일은 두 개의 측정을 UE가 핸드오버 이후에 예측할 수 있는 품질을 더 잘 반영할 수도 있는 복합 측정(composite measurement)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몇몇 MRS가 동일한 비-서빙 셀로부터 기원한다는 것을 UE가 인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동일한 셀로부터의 빔 그룹들에는 공통이지만 상이한 셀의 그룹들에 대해서는 상이하다는 몇몇 표시자를 MRS 송신들에 포함시켜야 한다.
일부 해결책에서, 구성된 시간, 주파수 및 시퀀스 자원들 통해 MRS에 의해 전달된 빔 ID(beam ID)(BID) 필드는 동일한 셀로부터 기원하는 빔에 공통인 그룹 ID를 포함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ID 필드가 10 비트 폭인 경우, 4 비트가 그룹(예를 들어, 셀)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고 나머지 6 비트가 그룹 내의 빔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에는 심각한 단점들이 있다. 예를 들어, 그룹 ID에 4 비트를 할당하면 셀 내의 개개의 빔을 식별하기 위해 남아 있는 비트 수가 줄어든다. 아마도 더 중요하게는 그룹 ID들의 할당은 그룹 ID 충돌들을 피하기 위해 주어진 인접 셀들에서 조정되어야 한다. 이것은 인터-셀(inter-cell) 또는 인터-TRP(inter-TRP) 협상 및 시그널링 측면에서 상당한 오버헤드를 부과할 수 있다.
따라서, 셀 별로 특정된 빔의 수를 감소시키지 않고 및/또는 셀들 사이의 빈번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빔 그룹들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개시내용은 셀 ID 정보를 이동성 참조 신호들(MRS)에다 포함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원격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사용자 장비(UE)(예를 들어, 이동 전화, 태블릿 등)에 신호들을 송신하고 UE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가 신호들을 송신하고 수신하는 영역은 "셀"이라고 지칭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신호가 전달되는 빔을 형성함으로써 셀에서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빔들은 셀의 일부분만을 커버할 수 있고 셀 내의 특정 위치(예를 들어, UE의 위치)를 향해 지향될 수 있다. UE를 향해 빔을 형성함으로써, UE로 또는 UE로부터의 신호 품질이 개선되고 및/또는 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향된 빔은 그렇지 않았더라면 간섭 및/또는 신호 열화로 방해 받을 수 있는 신호들을 UE가 수신하게 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셀과 빔 모두의 식별자들을 전달할 수 있다. 셀 식별자(CID)는 네트워크 노드 또는 해당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커버되는 셀을 식별한다. 빔 식별자(BID)는 네트워크 노드의 특정 빔을 식별한다. 통상의 원격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네트워크 노드의 CID 및 BID(들)는 서로 링크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UE는 특정 빔의 수신된 BID로부터 그 특정 빔이 단독으로 송신된 셀을 결정할 수 없다. 반대로, UE는 특정 셀의 수신된 CID만으로부터 그 특정 셀 내의 빔들을 결정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UE가 상이한 셀들로부터 다수의 빔을 수신하도록 위치되어 있을 때, UE는 자신의 라디오 장치를 특정 빔 쪽으로 튜닝할지를 결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닝으로 인해 UE가 상이한 셀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하기 위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결과를 가져온다면, UE를 특정 빔 쪽으로 튜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UE가 특정 빔에 링크된 셀을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UE가 그 빔 쪽으로 튜닝할지를 결정하는 것은 어렵다.
본 개시내용은 BID가 CID에 링크되는 네트워크를 고려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BID와 CID를 링크함으로써, UE는 빔의 BID를 사용하여 빔이 형성된 셀을 식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UE는 예를 들어 특정 셀 또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빔들을 다른 셀 또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빔들에 비해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것과 같은 이전에 불가능했던 특징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UE는 빔들을 그 빔들의 셀 또는 네트워크 노드 별로 그룹핑할 수 있다. 네트워크 및 그 기능들은 도 1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 될 것이다.
도 1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의 예시이다. 네트워크(100)는(상호 교환 가능하게 무선 디바이스들(110)이라고 지칭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UE(들)(110) 및 (상호 교환 가능하게 노드 B들(eNBs) 또는 5G 네트워크 노드들(gNBs)(115)이라고 지칭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115)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적합한 네트워크 인 네트워크(100)를 고려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00)는 2G, 3G, 4G, LTE 또는 5G(뉴 라디오(New Radio)(NR) 네트워크라고도 지칭함) 네트워크 또는 이러한 유형의 네트워크 중 임의의 네트워크들의 조합일 수 있다. 5G 구현예에서, 네트워크(100)는 네트워크(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UE)(110))과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고 수신하는 송수신 포인트들(TRPs)로서 역할을 하는 하나 이상의 5G 네트워크 노드들(gNBs)(1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특정 용어들이 일반적으로 롱 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LTE) 네트워크들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지만, 이들 용어는 예들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을 특정 네트워크로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3GPP 뉴 라디오(NR)와 같은 다른 라디오 시스템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징들 중 임의의 특징을 구현하는데 고려된다.
UE들(110)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들(115)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1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115)로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115)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신호들은 음성 트래픽, 데이터 트래픽, 제어 신호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15)와 연관된 무선 신호 커버리지 영역은 셀(125)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들(110)은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UE들(110)은 다른 UE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및/또는 신호들을 직접 다른 UE에 송신 가능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들(115)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는 네트워크 노드들(115)을 제어할 수 있고, 특정 라디오 자원 관리 기능들, 이동성 관리 기능들 및/또는 다른 적합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의 기능들은 네트워크 노드(115)에 포함될 수 있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는 상호 연결 네트워크(120)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상호 연결 네트워크(120)는 오디오, 비디오, 신호들, 데이터, 메시지 또는 전술한 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상호 연결 시스템을 말할 수 있다. 상호 연결 네트워크(120)는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PSTN), 공중 또는 사설 데이터 네트워크,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LAN), 도시 지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M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WAN), 인터넷과 같은 로컬, 지역 또는 전역 통신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기업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통신 링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들의 조합을 비롯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UE들(110)에 대해 통신 세션들 및 다양한 다른 기능들의 설정을 관리할 수 있다. UE들(110)은 비-액세스 층의 계층(non-access stratum layer)을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특정 신호들을 교환할 수 있다. 비-액세스 계층 시그널링에서, UE들(110)과 코어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신호들은 투명하게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과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들(115)은 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와 같은 노드 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110) 및 무선 디바이스들(110)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제한적인 용어인 UE가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UE들(110)은 네트워크 노드들(115) 또는 다른 UE와 라디오 신호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UE(110)는 또한 라디오 통신 디바이스, 타겟 디바이스, D2D UE, 머신-타입-통신(machine-type-communication) UE 또는 사물 지능 통신(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M2M) 가능 UE, 저비용 및/또는 저복잡성 UE, UE 장비형 센서(sensor equipped with UE), 태블릿, 이동 단말기들, 스마트 폰, 랩톱 내장 장비(laptop embedded equipped)(LEE), 랩톱 장착 장비(laptop mounted equipment)(LME), USB 동글들, 고객 댁내 장비(Customer Premises Equipment)(CPE) 등일 수 있다. UE(110)는 자신의 서빙 셀과 관련하여 정상적인 커버리지 또는 강화된 커버리지 하에서 동작할 수 있다. 강화된 커버리지는 확장된 커버리지라고 상호 교환 가능하게 지칭될 수 있다. UE(110)는 또한 복수의 커버리지 레벨들(예를 들어, 정상 커버리지,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3 등)에서 동작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UE(110)는 또한 아웃-오브- 커버리지(out-of-coverage) 시나리오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반적인 용어인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또는 간단히 "네트워크 노드")가 사용된다. 이것은 기지국(base station)(BS), 라디오 기지국, 노드 B, 기지국(BS), 다중 표준 라디오(multi-standard radio)(MSR) BS와 같은 MSR 라디오 노드,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eNB), 네트워크 제어기,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RNC),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BSC), 중계 노드, 중계 도너 노드 제어 중계기(relay donor node controlling relay), 기지국 송수신기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BTS),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 라디오 액세스 포인트, 송신 포인트들, 송신 노드들, 원격 라디오 유닛(Remote Radio Unit)(RRU), 원격 라디오 헤드(Remote Radio Head)(RRH),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DAS) 내 노드들, 다중 셀/멀티캐스트 조정 엔티티(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MCE),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SC, MME 등), O&M, OSS, SON, 위치 결정 노드(positioning node)(예를 들어, E-SMLC), MDT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 및 UE와 같은 용어는 비 제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특히 둘 사이의 특정 계층 관계를 의미하지는 않으며; 일반적으로 "eNodeB"는 디바이스 1으로 간주되고 "UE"는 디바이스 2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들 두 디바이스는 일부 라디오 채널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MRS 설계 기준
MRS는 동적으로 (어떤 빔들, 얼마나 자주, 형상 등) 구성 가능 하여야 하고, 자립적이어야 하며(MRS 관련 정보는 동일 빔에서 함께 활성화/비활성화됨) 서로 다른 커버리지 속성을 가진 다수의 신호에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 이것은 동기화, 빔 검출, 품질 측정들을 가능하게 해야 하고 수백 개의 고유 빔의 어드레스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BID들은 국부적으로 (조정된 인터-TRP/인터-셀) 유일하여 하고 이에 따라 UE가 수신된 빔 ID를 보고할 때, NW는 어느 TRP/셀이 이것에 대응하는지를 안다. 빠른 빔 스윕/스캔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빔 당 지속 시간은 짧게 유지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MRS에 의해 제공되는 유효한 빔 ID(BID) 어드레스 공간을 제공하는 기본 MRS 구성이 약 10 비트이고, 95 개 RE에서 송신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합리적인 가정은 (LTE의 PCI에 대응하는) 로컬 CID가 10 비트를 수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MRS 설계는 100 개 미만의 RE로 구성된 서브 밴드에 포함될 수 있다. 옵션 1에 따른 추가의 CID 정보는 60+ RE를 차지할 것이다. 원래의 100-RE 할당이 AMM 측정들을 위해 비교적 제한적인 할당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일부 시나리오에서는 MRS 할당이 더 크면 측정의 강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제안들이 있었다. 중복 BID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추가 BW 또는 추가 RE들을 사용하는 대신에, 이들은 CID 정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MRS에 그룹 ID의 포함
특정 후보 빔 MRS들이 동일한 (비-서빙) 셀로부터 온다는 (예를 들어, 도면에서 MRS-4 및 -5가 NR 셀 2로부터 온다는) 것을 UE가 인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관련 있는 그룹 식별자(group identifier)(GID)는 MRS 송신과 연관되어야 한다. 비-서빙 셀 MRS 그룹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셀 식별자(CID) 정보는 MRS 송신들과 연관되는 GID로서 좋은 선택일 수 있다.
도 2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의 예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빙 셀(셀 1)(125A)은 MRS 세트(MRS-1, MRS-2 및 MRS-3) 내의 세 개의 MRS를 가질 수 있고, 다른 셀들(셀 2 및 3)(125B 및 125C)은 네 개의 부재 MRS들(MRS-4 ~ MRS-7)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MRS들은 네트워크 노드들(115)에 의해 UE(110)로 송신될 수 있다.
CID 정보는 로컬 범위(SS/PCI) 또는 글로벌 범위(예를 들어, ANR에 사용되는 글로벌 셀 ID)를 가질 수 있다. 이 논의에서, 추가적인 자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PSS/SSS 정보와 동등한 로컬 CID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그러나, CID 정보는 예를 들어 PSS/SSS 송신에서와 동일한 물리적 포맷을 가정할 필요가 없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더 낮은 자원 사용 영향으로 인해 로컬 CID 정보를 MRS 내에 연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CID를 포함시키기 위한 옵션들
BID + CID 세트의 전체 길이는 20 비트 정도이므로, 단일 메시지 시퀀스 변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BID 대 CID 매핑 정보를 제공하는 다수의 접근법을 제안한다.
MRS 송신들에 CID 정보를 추가하면 MRS 빔들이 활성화될 때마다 더 많은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유형의 배치들에서, 비-서빙 MRS들 및 연관된 CID 정보의 셀 별 그룹핑은 필요하지 않다. 대신에, UE는 각각의 비-서빙 셀 BID를 다른 셀로부터 기원하는 것으로서 보고할 수 있거나, 또는 MRS 송신 특징들이 UE에 의해 사용되어 특정 빔들이 동일한 셀로부터 기원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MRS에 CID 필드를 포함시키거나 다른 수단에 의해 CID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구성 가능해야 한다. MRS가 구성된 BW에서는 작지는 않지만, MRS BW 내의 비 연속적인 RE들의 그룹에 할당된다면 논의된 것과 동일한 원리들이 사용될 수 있다.
1. CID를 시퀀스 변조된 필드(sequence-modulated field)로서 추가하는 것
이러한 옵션에서, CID(310) 정보가 TSS+BRS 필드와 별도로, 별개의 필드로서 MRS 심볼에 추가되지만, 스크램블링을 이용하여 MRS 심볼에 명확한 방식으로 링크된다. 도 3의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CID(310)는 두 개의 5- 비트 시퀀스 변조된 시퀀스로서 MRS(TSS/BSR)와 연관하여 송신된다. CID(310) 송신 부분들(CIDa(310) 및 CIDb(310))을 명확하게 연관시키기 위해, 이들 부분은 예를 들어, TSS 및 BRS 내의 MRS 식별과 함께 스크램블링된다. CID(310)는 MRS로부터의 별개의 송신으로서 송신될 수 있다.
과도하게 긴 시퀀스들을 필요로 하지 않고 10 비트의 CID(310)를 수용하기 위해, CID 필드는 예를 들어 M-시퀀스를 사용하여 별개로 시퀀스 변조된 두 개의 길이-5의 서브필드(CIDa(310) 및 CIDb(310))로 분할된다. CIDa(310) 및 CIDb(310) 필드들은 MRS 내 BID로부터 도출된 스크램블링 시퀀스와 함께 주파수 도메인에서 스크램블링된다. 따라서, UE는 먼저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 MRS를 검출하고, 그 다음에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추출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CIDa(310) 및 CIDb(310) 필드의 콘텐츠를 검출한다. 스크램블링은 검출 전에 제거되기 때문에, CID 시퀀스의 교차-상관 속성들은 스크램블링에 의해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접근법은 빔 스윕 시 각 빔 송신의 지속기간을 단일 심볼로 유지한다.
예에서, UE는 MRS를 수신하고 TSS 및 BRS를 추출할 수 있다. UE는 TSS 및 BRS로부터 인덱스를 추출할 수 있다. UE는 인덱스를 사용하여 매핑으로부터 BID를 얻을 수 있다. 그 다음에 UE는 BID를 TSS 및 BRS와 결합한다. UE는 이 조합으로부터 디스크램블링 코드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나서 UE는 이러한 디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CID(CIDa(310) 및 CIDb(310))를 디스크램블링할 수 있다.
2. CID를 통상적으로 인코딩된 필드로서 추가하는 것
이러한 옵션에서, CID 정보가TSS+BRS 필드와 별도로, 송신된 MRS 빔에 별개의 필드로서 추가되지만, 통상의 변조 및 인코딩을 이용한다. 도 4의 예에서, CID(310)는 MRS(TSS/BSR)와 연관하여 물리 채널에서 "통상적으로 인코딩된 필드"로서 송신된다. 연관된 CID(310)를 포함하고 있는 물리 채널은 MRS 식별로부터 도출된 DMRS 또는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명확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CID(310) 필드는 TSS/BRS 필드와 동일한 단일 심볼에서 RE들을 점유하는 인코딩되고 QAM-변조된 심볼들의 시퀀스일 수 있다. CID(310) 필드는 채널 추정을 위해 DMRS와 함께 RE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도면에서 검은 색으로 표시된다. CID 필드의 인코딩 방식 및 레이트는 충분한 링크 예산을 제공하기 위해 적절히 선택된다. UE는 먼저 시간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 MRS를 검출하고, 그 다음에 BID의 함수로서 DMRS 시퀀스를 추출하고, 최종적으로 채널을 추정하고 CID 필드를 복조/복호화한다. 위와 같이, 이러한 접근법은 빔 스윕 시 각 빔 송신의 지속기간을 단일 심볼로 유지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이 옵션은 미리 정의된 CID 시퀀스가 검출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본질적으로, CID(310)는 인코딩된 정보를 반송하는 개방 채널에서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채널에는 중복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각 채널은 채널 추정(예를 들어, CID(310) 조각의 검색, 추출 및 디코딩)에 사용되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RE)들을 전달할 수 있다.
3. 물리 다운링크 채널(physical downlink channel)(PDCH)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CID를 제공하는 것
이 옵션에서, CID 정보는 TSS/BRS 필드들과 동일한 빔포밍으로 송신되는 별도의 PDCH 송신으로서 추가된다. 도 5의 예에서, 특정 MRS와 연관된 CID는 MRS 식별로부터 도출된 PDCCH/PDSCH 구성을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스케줄링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이러한 PDCCH/PDCH 구성은 연관된 MRS와 동일한 빔포밍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CID 필드는 CID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통상의 PDCCH/PDCH 송신이다. 모든 MRS 송신이 PDCH 컨테이너를 동반할 필요는 없다. UE는 먼저 시간 및 주파수 도메인들에서 MRS를 검출한다. BID 정보는 PDCCH를 수신하기 위해 자기 차례에서 PDCH를 가리키는 RNTI에 매핑한다. 대안적으로, BID 정보는 PDCH 파라미터들(RB들, DMRS, MCS 등)에 직접 매핑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CID는 MRS와 비동기적으로 송신된다. 결과적으로, CID는 경우에 따라 MRS와 함께 송신되고 경우에 따라 MRS와 함께 송신되지 않는다. CID는 MRS 다음에 송신된 다음 번 심볼일 필요는 없다. CID는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을 빌릴 수 있다. UE는 PDCCH상에서 별도의 CID 송신을 검출할 수 있다. MRS는 CID와 상이한 채널을 통해 송신된다. 옵션 1 및/또는 옵션 2와 유사한 스크램블링이 CID 및 MRS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UE는 MRS를 수신하고 MRS로부터 BID를 추출할 수 있다. BID는 PDCCH에 매핑된다.
4. CID 정보를 전용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제공하는 것
UE는 MRS에 의해 전달된 가능한 BID들과 이들의 대응하는 CID들 사이의 매핑들로 이미 구성될 수 있다. 그래서 MRS 송신들은 원래 포맷을 유지하며 어떠한 CID 정보도 무선으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이 접근법은 MRS 대 셀 매핑이 자주 변경되지 않는 넓은 빔의 주기적 MRS 송신들을 이용하는 배치들을 위한 효율적인 해결책이다. 변경이 발생할 때마다 NW는 업데이트된 매핑으로 UE를 재구성한다.
5. MRS ID 하위 범위로부터 동일한 발신 셀을 추론하는 것
MRS에 의해 전달된 미리 결정된 BID 비트 세트는 주어진 발신 셀마다 국부적으로 고유하게 할당되어 그룹 ID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 비트 BID의 4 개의 MSB는 특정 셀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빔에 대해 동일할 수 있지만 6 개의 LSB는 빔 특정일 수 있다.
BID 비트들은 MRS 신호의 상이한 차원들(시간/주파수/TSS 시퀀스/BRS 시퀀스) 및 MRS 수신 시 추출된 그룹 ID 비트들에서 전달될 수 있다. 그룹 ID 필드를 BID 비트들에서 분리하는 특별한 사례는 UE가 MRS 내의 나머지 BID 비트들로부터 분리하여 수신할 수 있는 별개의 신호로서 그룹 ID 필드를 송신함으로써 생기는 사례이다.
6. MRS 주파수로부터 동일한 발신 셀을 추론하는 것
로컬로 인접한 각각의 셀에는 MRS 송신을 위한 별도의 주파수 서브 대역이 할당된다. 특정 서브 대역에서 검출된 모든 MRS는 동일한 셀로부터 에서 기원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도 6a는 빔 그룹핑 표시의 예시적인 방법(60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방법(600)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단계(605)에서 그룹 ID를 결정함으로써 시작한다. 단계(610)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빔 ID를 결정한다. 그 다음에, 단계(615)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빔 ID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620)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그룹 ID 정보를 송신한다.
도 6b는 빔 그룹핑 표시의 예시적인 방법(625)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UE는 방법(625)을 수행한다. UE는 단계(630)에서 빔 ID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시작한다. 단계(635)에서, UE는 연관된 그룹 ID 수신을 구성한다. 그 다음에, UE는 그 구성에 따라 그룹 ID 정보를 수신한다.
도 6c는 빔 그룹핑 표시의 예시적인 방법(645)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방법(645)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단계(650)에서 네트워크 노드의 셀 식별자(CID)를 결정함으로써 시작한다. CID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셀을 식별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네트워크 노드는 네트워크 노드의 빔의 빔 식별자(BID)를 결정한다. BID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형성된 빔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660)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CID와 BID를 링크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위에서 설명한 CID와 BID를 링크하기 위한 옵션들 중 임의의 옵션을 구현할 수 있다. 단계(665)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BID 및 CID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BID 및 CID를 동일한 송신 또는 상이한 송신들에서 송신할 수 있다.
도 6d는 빔 그룹핑 표시의 예시적인 방법(67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UE는 방법(670)을 수행한다. UE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빔 식별자(BID)를 수신함으로써 시작한다. BID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형성된 빔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680)에서, UE는 BID에 링크된 CID를 수신한다. CID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셀을 식별할 수 있다.
도 7은 특정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110)의 블록도이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셀룰러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노드 및/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임의의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의 예들은 이동 전화, 스마트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휴대용 컴퓨터(예를 들어, 랩톱, 태블릿), 센서, 모뎀, 머신-타입-통신(MTC) 디바이스/사물 지능 통신(M2M) 디바이스, 랩톱 내장 장비(laptop embedded equipment)(LEE), 랩톱 장착 장비(LME), USB 동글들, D2D 가능 디바이스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UE, 스테이션(station)(STA), 디바이스, 또는 단말기로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송수신기(710), 프로세서(720) 및 메모리(73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수신기(710)는(예를 들어, 안테나(740)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네트워크 노드(115)에 송신하고 네트워크 노드(115)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프로세서(720)는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위에서 설명한 기능성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며, 메모리(730)는 프로세서(72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프로세서(720)는 도 1 내지 도 6b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무선 디바이스(110)의 기능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설명된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명령어들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조작하도록 하나 이상의 모듈에 구현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720)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BID 및 링크된 CID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BID 및 CID는 동일한 송신 또는 상이한 송신들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72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CPU),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하나 이상의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또는 다른 로직과 같은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조립된 전기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저항기들, 트랜지스터들, 캐패시터들, 인덕터들 등)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로직, 규칙들, 알고리즘들, 코드, 테이블들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명령어들 및/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른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메모리(730)의 예들은 컴퓨터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ROM)), 대용량 저장 매체(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착탈 가능한 저장 매체(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DVD)), 및/또는 정보, 데이터 및/또는 프로세서(72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및/또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110)의 다른 실시예들은 위에서 설명한 기능성 중 임의의 기능성 및/또는 (위에서 설명한 해결책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성을 비롯한) 임의의 추가의 기능성을 비롯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성의 특정 양태들을 제공하는 책임을 맡을 수 있는 도 7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무선 디바이스(110)는 입력 디바이스들 및 회로들, 출력 디바이스들, 및 프로세서(720)의 일부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동기화 유닛 또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들은 무선 디바이스(110)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메커니즘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들은 마이크로폰, 입력 요소들,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입력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는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하드 카피 포맷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디바이스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노드(115)는 임의의 타입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또는 UE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는 임의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15)의 예들은 eNodeB, 노드 B, 기지국, 무선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Wi-Fi 액세스 포인트), 저전력 노드, 기지국 송수신기 스테이션(BTS), 중계기, 도너 노드 제어 중계기, 송신 포인트들, 송신 노드들, 원격 RF 유닛(RRU), 원격 라디오 헤드(RRH), MSR BS와 같은 다중 표준 라디오(MSR) 라디오 노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 내 노드, O&M, OSS, SON, 위치 결정 노드(예를 들어, E-SMLC), MDT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네트워크 노드 일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들(115)은 동종 배치(homogenous deployment), 이종 배치(heterogeneous deployment) 또는 혼합형 배치로서 네트워크(100) 도처에 배치될 수 있다. 동종 배치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또는 유사한) 유형의 네트워크 노드(115) 및/또는 유사한 커버리지와 셀 크기들 및 사이트 간 거리들로 구성된 배치를 말할 수 있다. 이종 배치는 일반적으로 셀 크기들, 송신 전력들, 용량들 및 사이트 간 거리들이 상이한 각종 유형의 네트워크 노드들(115)을 사용하는 배치를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종 배치는 매크로 셀 레이아웃 도처에 배치된 복수의 저전력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형 배치들은 동종 부분들과 이종 부분들의 혼합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15)는 송수신기(810), 프로세서(820), 메모리(8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4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수신기(810)는(예를 들어, 안테나(850)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고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프로세서(820)는 네트워크 노드(115)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위에서 설명한 기능성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고, 메모리(830)는 프로세서(82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40)는 게이트웨이, 스위치, 라우터, 인터넷,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PSTN),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 또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들 등과 같은 백엔드 네트워크(backend network) 구성요소들에 신호를 전달한다.
프로세서(820)는 위의 도 1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무선 디바이스(115)의 기능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115)의 설명된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명령어들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조작하도록 하나 이상의 모듈에 구현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20)는 빔에 대한 BID 및 셀에 대한 CID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CID가 BID로부터 추출되고, 디스크램블링되고, 디코딩되고 및/또는 결정될 수 있도록 위에서 설명한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BID와 CID를 링크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또한 BID 및 CID를 하나 이상의 송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110)로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82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PU),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다른 로직과 같은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조립된 전기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저항기들, 트랜지스터들, 캐패시터들, 인덕터들 등)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로직, 규칙들, 알고리즘들, 코드, 테이블들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명령어들 및/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른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메모리(830)의 예들은 컴퓨터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저장 매체(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착탈 가능한 저장 매체(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및/또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40)는 프로세서(82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노드(115)로의 입력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노드(115)로부터의 출력을 송신하고, 입력 또는 출력 또는 둘 모두의 적절한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또는 전술한 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40)는 프로토콜 변환 및 데이터 프로세싱 능력들을 비롯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적절한 하드웨어(예를 들어, 포트,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등)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15)의 다른 실시예들은 위에서 설명한 기능성 중 임의의 기능성 및/또는(위에서 설명한 해결책들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성을 비롯한) 임의의 추가의 기능성을 비롯하여,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성의 특정 양태들을 제공하는 책임을 맡을 수 있는 도 8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상이한 유형들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동일한 물리적 하드웨어를 갖되 상이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을 지원하도록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성된 물리적 하드웨어를 갖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상이한 물리적 구성요소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9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노드들의 예는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MSC), 서빙 GPRS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SGSN),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MME),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RNC), 기지국 제어기(BS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프로세서(920), 메모리(9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4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92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한 기능성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고, 메모리(930)는 프로세서(92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40)는 게이트웨이, 스위치, 라우터, 인터넷,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 네트워크 노드들(115),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들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노드에 신호들을 전달한다.
프로세서(920)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의 설명된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명령어들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조작하도록 하나 이상의 모듈에 구현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92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PU),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다른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30)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로직, 규칙들, 알고리즘들, 코드, 테이블들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명령어들 및/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른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메모리(930)의 예들은 컴퓨터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저장 매체(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착탈 가능한 저장 매체(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및/또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40)는 프로세서(92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노드로의 입력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출력을 송신하고, 입력 또는 출력 또는 둘 모두의 적절한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또는 전술한 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40)는 프로토콜 변환 및 데이터 프로세싱 능력들을 비롯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적절한 하드웨어(예를 들어, 포트,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등)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의 다른 실시예들은 위에서 설명한 기능성 중 임의의 기능성 및/또는(위에서 설명한 해결책들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성을 비롯한) 임의의 추가의 기능성을 비롯하여,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성의 특정 양태들을 제공하는 책임을 맡을 수 있는 도 9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특정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110)의 블록도이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는 결정 모듈(1010), 통신 모듈(1020), 수신 모듈(1030), 입력 모듈(1040), 디스플레이 모듈(1050)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결정 모듈(1010)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프로세싱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 모듈(1010)은 빔 ID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셀 ID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 모듈(1010)은 또한 그룹 ID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다. 결정 모듈(1010)은 채널 추정 및 빔포밍 스윕들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결정 모듈(1010)은 도 7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프로세서(72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 있다. 결정 모듈(1010)은 위에서 설명한 결정 모듈(1010) 및/또는 프로세서(720)의 기능들 중 임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결정 모듈(1010)의 기능들은 특정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별도의 모듈에서 수행될 수 있다.
통신 모듈(1020)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프로세싱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20)은 네트워크(100)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115)에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20)은 송신기 및/또는 도 7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송수신기(710)와 같은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20)은 메시지들 및/또는 신호들을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통신 모듈(1020)은 결정 모듈(1010)로부터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들 및/또는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위에서 설명한 통신 모듈(1020)의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별도의 모듈에서 수행될 수 있다.
수신 모듈(1030)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수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수신 모듈(1030)은 빔 ID 정보, 그룹 ID 정보 및 셀 ID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빔 ID와 셀 ID는 링크될 수 있다. 수신 모듈(1030)은 수신기 및/또는 도 7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송수신기(710)와 같은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1030)은 메시지들 및/또는 신호들을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수신 모듈(1030)은 수신된 메시지들 및/또는 신호들을 결정 모듈(1010)에 전달할 수 있다.
입력 모듈(1040)은 무선 디바이스(110)를 위해 의도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은 키 누름들, 버튼 누름들, 터치들, 손가락으로 밀기(swipe)들, 오디오 신호들, 비디오 신호들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은 하나 이상의 키, 버튼, 레버, 스위치, 터치스크린, 마이크로폰 및/또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은 수신된 신호를 결정 모듈(1010)에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50)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신호들을 나타내 보이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50)은 디스플레이 및/또는 디스플레이 상에 신호들을 나타내 보이게 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절한 회로 및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50)은 결정 모듈(1010)로부터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내 보이게 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결정 모듈(1010), 통신 모듈(1020), 수신 모듈(1030), 입력 모듈(104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50)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합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위에서 설명한 기능성 중 임의의 기능성 및/또는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해결책들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성을 비롯한) 임의의 추가의 기능성을 비롯한, 임의의 적합한 기능성을 제공하는데 책임을 맡을 수 있는 도 10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 노드(115)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노드(115)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15)는 결정 모듈(1110), 통신 모듈(1120), 수신 모듈(1130),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결정 모듈(1110), 통신 모듈(1120), 수신 모듈(1130),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모듈 중 하나 이상은 도 8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프로세서(82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모듈 중 두 개 이상의 모듈의 기능들은 단일 모듈로 조합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15)는 도 1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결정 모듈(1110)은 네트워크 노드(115)의 프로세싱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정 모듈(1110)은 그룹 ID 정보, 빔 ID 정보 및 셀 ID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 모듈(1110)은 빔 ID를 셀 ID에 링크시킬 수 있다. 결정 모듈(1110)은 도 8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프로세서(82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 있다. 결정 모듈(1110)은 위에서 설명한 결정 모듈(1110) 및/또는 프로세서(820)의 기능들 중 임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 모듈(1110)의 기능들은 특정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별도의 모듈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결정 모듈(1110)의 기능성 중 일부는 할당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통신 모듈(1120)은 네트워크 노드(115)의 송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통신 모듈(1120)은 그룹 ID 정보, 빔 ID 정보 및 셀 ID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20)은 무선 디바이스들(110)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20)은 송신기 및/또는 도 8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송수신기(810)와 같은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20)은 메시지들 및/또는 신호들을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통신 모듈(1120)은 결정 모듈(1110) 또는 임의의 다른 모듈로부터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들 및/또는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모듈(1130)은 네트워크 노드(115)의 수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모듈(1130)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임의의 적합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모듈(1130)은 수신기 및/또는 도 8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송수신기(810)와 같은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1130)은 메시지들 및/또는 신호들을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수신 모듈(1130)은 수신된 메시지들 및/또는 신호들을 결정 모듈(1110)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결정 모듈(1110), 통신 모듈(1120), 및 수신 모듈(1130)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합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15)는 위에서 설명한 기능성 중 임의의 기능성 및/또는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해결책들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성을 비롯한) 임의의 추가의 기능성을 비롯한, 임의의 적합한 기능성을 제공하는데 책임을 맡을 수 있는 도 11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휴 및 연결 모드 이동성 예의 NR 동기화 신호들
LTE에서, IDLE UE는 그의 서빙 셀을 선택하고 재 선택한다. LTE 셀은 일반적으로 동기화 신호들(PSS/SSS)에 의해 정의된다. PSS/SSS를 검출하고 이와 동기화할 때, UE는 셀 ID(PCI)를 알고 있다. PSS/SSS와 밀접하게 연결된 것은 또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따라서, PSS/SSS는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의 목적으로 쓰인다.
LTE에서, RRC_CONNECTED UE는 인접 셀들의 품질을 측정하고, 이들을 잠재적 핸드오버 후보들로 평가한다. 여기서, PSS/SSS는 다시 셀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며, 대응하는 CRS에 관한 측정은 서빙 eNodeB에 보고되고, 서빙 eNodeB는 그 보고를 사용하여 착신 핸드오버를 위한 타겟 eNodeB를 준비한다. 여기서, PSS/SSS는 연결 모드 동기화 신호의 목적으로 쓰인다.
LTE에서 PSS/SSS는 5 ms마다 송신된다. 극단적인 핸드오버 시나리오의 경우, 양호한 핸드오버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그러한 빈번한 송신들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기간은 CONNECTED 모드 요건을 충족시키도록 선택되었다. IDLE 모드 성능의 경우, 그러한 빈번한 송신은 필요하지 않다: 훨씬 더 드문(sparser) 송신으로 적당한 IDLE 모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몇몇 추가사항을 표준에 더하면, 예를 들면, IDLE 모드 측정 윈도우를 도입하면, 100 ms의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 주기성으로 많은 배치에서 충분한 IDLE 모드 성능이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모드 동기화 신호는 빈번하게 송신될 필요가 있는 반면,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는 낮은 주기성으로 송신될 수 있다.
IDLE 모드에서 신호들의 드문 송신을 사용하고 임의의 RRC_CONNECTED UE가 서빙되어야 하자마자 보다 빈번한 송신을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에너지 소비가 최소화될 수 있다. 소형 셀 강화 작업에서는 그런 방향으로 하나의 스텝이 취해졌고, 이 경우 PSS/SSS는 어떤 UE에 대해서도 활성화되지 않았던 캐리어를 통해 드물게 송신되었다.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해 활성화되었을 때 추가의 PSS/SSS가 송신되었다. 이 상황은 도 12에 도시된다. 도 12는 유휴 모드 및 연결 모드 동기화 신호들의 송신을 도시한다.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들의 주기성은 다음과 같은 유휴 모드 절차들에 대한 경쟁력 있는 성능을 얻기 위해 선택된다: 셀 재선택, 시스템 정보 획득 및 랜덤 액세스.
또한, 미래의 송신 방식들을 설계할 때 고려되어야 하는 상시-온(always-on) 신호 송신들이 적기 때문에, 시스템은 더 많이 미래에 호환 가능해진다. 또한, 상시-온 신호들의 드문 송신에 의하면, 신호들은 필요할 때 자주 송신될 뿐이기 때문에 오버헤드 양이 최소한으로 유지될 수 있다. UE가 RRC_CONNECTED 모드에 있는 경우 조차도, 5 ms 주기성은 극단적인 상황들을 처리하는 데만 요구될 뿐이다. 거의 모든 상황에서, 연결 모드 절차에 대해서도 드문 송신들이면 충분하다.
마지막으로,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배치될 때, 유휴 모드 신호의 빈번한 송신(예를 들어, 매 5 ms)은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배치들의 경우, 드문 송신들이 이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드문 송신 방식은 LAA에서 도입되었으며, MulteFire에서도 도입되고 있다. NR은 시초부터 비면허 대역들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면허 방식들 하에서도 동작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의 드문 송신은 네트워크 에너지 소비 및 미래의 호환성에 중요한다. 비면허 대역들에서의 동작은 유휴 모드 신호들이 드물게 송신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NR에서, 유휴 모드 절차들은 모든 관련 KPI들을 드물게 송신되는, 예를 들어 100 ms마다의 동기화 신호들을 가지고 충족시켜야 한다. UE는 RRC_CONNECTED 모드에 있을 때 추가의 동기화 신호에 의존할 수 있다.
유휴 모드 절차에 관한 요건들을 드물게 송신된 동기화 신호들로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의 기능성이 네트워크 측에 도입되어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셀 재선택 동안 UE를 돕기 위해, LAA에서의 DMTC 윈도우와 유사한 측정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고, 그러면 네트워크는 모든 관련 있는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들이 그 측정 윈도우에서 송신되는 것을 보장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휴 모드 신호들의 드문 송신은 LTE에서도 또한 특정 배치들을 위해, 예를 들면, 소형 셀을 위해 또는 비면허 대역들에서의 동작을 위해 도입되었다. NR의 경우, 이러한 동작은 더 많은 배치들에 확장될 수 있다. 드문 사례들이지만, 유휴 모드 신호들의 빈번한 송신이 요구되어야 한다.
5G에 대해 가장 되풀이 되는 동기들 중 하나는 5G가 진보된 안테나들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날로그 및 디지털 빔포밍이 둘 다 지원되어야 하며, 확장된 커버리지, 증가된 셀-에지 처리량(cell-edge throughput) 및 개선된 용량을 제공해야 한다. 진보된 안테나 시스템(advanced antenna system)을 사용하여 높은 셀-에지 비트레이트들을 제공하도록 배치가 치수로 정해질 때, 시스템 정보와 같은 신호 및 셀 재선택 및 초기 액세스를 위한 참조 신호들은 넓은-빔 또는 심지어 전방향성 송신을 이용하여 여전히 충분한 커버리지를 달성할 수 있다. 진보된 안테나는 연결 모드에서 결정적이며, 이 모드에서 안테나는 개개의 UE들에게 데이터 레이트들을 높이게 하는 데 사용된다. 측정들을 수행하고 타겟 노드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위해, UE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동시에 연결 모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NR에서는 연결 모드 동기화 신호들을 수신하는 동시에 대량으로 빔포밍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여야 한다.
당연히, UE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은 빔포밍의 결과로서 높아질 것이다. 데이터 신호 및 동기화 신호의 동시적인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들 신호는 UE에서 유사한 전력들로 수신되어야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두 신호 모두의 수신 전력은 UE 수신기의 동적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이 상황은 도 13에 도시된다. 도 13은 데이터 신호의 수신 전력을 도시하며, 동기화 신호는 UE 수신기의 동적 범위에 들어 있어야 한다.
이 요건은 연결 모드 동기화 신호에 적용된다. UE가 IDLE 모드에 있을 때, UE는 고 이득(high gain) 빔포밍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으며, 도 1에서의 동적 범위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전방향 송신들 및 빔포밍된 송신의 동시적 수신이라는 쟁점을 피하기 위해, 빔포밍된 송신들에서 송신 갭들이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송신 갭은 모든 관련 있는 인트라-주파수(intra-frequency) 이웃들이 측정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길어야 한다. 이러한 접근법과 연관된 두 가지 주요한 단점이 있다: i) 오버헤드로 인한 성능의 손실이 있고, ii) 인접한 연결 모드 동기화 신호 송신은 송신 갭과 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빈번한 연결 모드 동기화 신호 송신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UE들은 언제나 인트라-주파수 측정들을 수행할 수는 없다.
송신 갭들이 바람직하지 않다면, 빔포밍된 데이터 송신과 동시에 수신되어야 하는 모든 신호가 또한 UE 수신기 윈도우에 포함되도록 빔포밍되어야 한다. 물론, 이것은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가 연결 모드에서 수신되어야 하면, 이 신호는 커버리지 이유들 때문에 빔포밍이 요구되지 않을 때라도, 빔포밍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의 빔포밍은 시스템 정보 프로비저닝을 위한 오버헤드를 증가시킨다. 이것은 또한 네트워크 계획을 복잡하게 만든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SI)의 방송은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의 송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SI를 방송하기 위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ingle-frequency network)(SFN) 송신에 의존할 수 있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최소한의 시스템 정보가 SFN 송신에 매우 적합하다: SI는 대개 넓은 영역에 걸쳐 동일하므로, 방송을 통해 제공되어야 하며 셀 경계에서 커버리지는 어려운 과제이다. NR에서는 많은 TRP를 통한 SFN 송신을 사용하여 시스템 정보를 분배하는 것이 가능하여야 한다.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는 SI 중의 일부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동기화 소스로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SI와 동일한 송신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가 그러한 SFN 클러스터를 통해 송신될 때, UE는 개개의 TRP들로부터 송신된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들을 구별할 수 없다. SFN을 사용하여 SI를 분배할 때,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는 클러스터 내의 개개 TRP를 연결 모드 핸드오버 타겟으로서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없다.
SFN 신호가 연결 모드 핸드오버 측정을 위한 타겟으로서 사용되면, UE는 전체 SFN 클러스터로 핸드오버될 것이다. 그 다음에 SFN 클러스터 내에서 최상의 TRP를 찾기 위해 추가의 절차가 요구될 것이다.
유휴 모드에서 SFN 송신들을 가능하게 하고 대규모로 빔포밍된 데이터 송신들의 존재 시 연결 모드 참조 신호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네트워크는 연결 모드 SS 송신들에 견주어 유휴 모드 SS 송신들을 위해 상이한 빔포밍을 사용할 수 있다.
동적 로드 밸런싱(dynamic load balancing)은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에 트래픽을 재분배하는 절차이다. 동적 로드 밸런싱의 주요 동기는 로드가 많은 노드에서 로드가 적은 노드로 트래픽을 오프로드하는 것이다.
별도의 연결 모드 동기화 신호를 사용하면, 해당 신호의 송신 전력을 줄임으로써 트래픽은 과부하가 걸린 셀로부터 핸드오버될 수 있다. 초기 액세스는 여전히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들을 사용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액세스 가능성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연결 모드 이동성이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를 기초로 한다면, 이 절차는 가능하지 않다: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의 송신 전력의 임의의 조정은 초기 액세스 성능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에 따라 시스템의 기본 커버리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시스템에서 유휴 및 연결 모드 둘 모두에 대해 하나의 동기화를 사용하여 동적 로드 밸런싱을 수행하는 것은 대신에 개개 UE들의 이동성 문턱 값들에 의존해야 한다. 이러한 절차는 더 느릴 뿐만 아니라, 모든 단일 UE 마다 문턱 값이 변경되어야 한다. 별도의 연결 모드 동기화 신호를 사용하면, 동적 로드 밸런싱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4는 대규모로 빔포밍된 데이터의 존재 하에서 연결 모드 참조 신호들의 SFN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휴 모드(넓은 빔) 및 연결 모드(좁은 다중 빔)에서 동기화 신호의 상이한 빔포밍을 도시한다.
유휴 모드와 연결 모드 동기화 신호에 관한 요건은 적어도 어느 정도 상이하다. 이러한 통찰력으로부터, 이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에 접근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접근법(a)에서, 동기화 신호들은 IDLE 모드 및 CONNECTED 모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별도로 설계된다. 따라서,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는 유휴 모드 UE들로부터의 요건들을 고려하도록 설계되고, 연결 모드 동기화 신호는 연결 모드의 UE들로부터의 요건들을 고려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각각의 신호가 개개의 목적에 맞게 최적화되는 결과를 가져오고, 결과적인 배치는 효율적이 된다. 그러면 동일하지 않은 두 개의 신호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접근법(b)에서, 하나의 동기화 신호가 IDLE 및 CONNECTED 모드에 대한 요건들의 상위 집합을 충족시키도록 설계되고, 결과적으로는 절충 설계(compromise design)에 이르게 된다. 그러면 동기화 신호는 IDLE 및 RRC_CONNECTED UE들의 요구들을 충족시키도록 배치된다. 표준에서 포착해야 할 하나의 신호 설계가 있을 수 있다.
IDLE 모드 및 CONNECTED 모드 동기화 신호들의 요건들은 대부분의 경우 아주 상이하다. 따라서, RAN1에서는 RRC_CONNECTED 모드에 있는 UE가 연결 모드 이동성 측정 목적을 위해 유휴 모드 동기화 신호와 상이한 DL 신호에 의존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NR DL 이동성 측정 신호 설계 예에 관해
R1-1609668, "NR Synchronization signals for idle and connected mode mobility", Ericsson, 3GPP TSG-RAN WG1 #86bis, Lisbon, Portugal, October 10-14, 2016(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에서, 자립 원리를 준수하고 동기화, TRP 식별 및 신호 품질 측정 기능들을 지원하는 액티브 모드 이동성 신호들에 대한 필요성이 논의된다. 이 논문에서는 액티브 모드 이동성 RS를 위한 신호 포맷 설계를 제안하고 있다.
R1-1609668, “NR Synchronization signals for idle and connected mode mobility", Ericsson, 3GPP TSG-RAN WG1 #86bis, Lisbon, Portugal, October 10-14, 2016, 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DL 이동성 측정 신호들은 다음의 기능들을 충족시켜야 한다:
* 커스(coarse) 심볼 T/F 동기화의 가능하게 하는 것
* TRP 또는 빔 식별을 제공하는 것
* 충분한 품질의 링크 신호 품질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
하나의 중요한 특징은 이동성 신호들이 서빙 링크 신호와 밀접하게(CP 레벨) 동기화되지 않을 수 있는 TRP들로부터의 신호들의 후보 링크 품질들의 측정들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필요한 DL 이동성 특징들을 지원하기 위해, 자립 신호 설계에는 동기화, 식별 및 품질 측정들을 위한 기능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MRS는 효율적인 이동성 빔 스위핑 (TX) 및 스캐닝 (RX)을 지원하여야 한다. 전통적인 설계들, 예를 들면 PSS/SSS에서, 다른 분야들. MRS의 상이한 부분들을 분리하여 송신하기 위해 여러 심볼을 사용하는 설계들에서, 스윕 및 스캔 시간들의 지속기간은 필요한 심볼들의 수로 곱해진다.
이러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도 16에 도시된 신호 포맷이 제안된다. 전체 채널은 SCH라고 지칭되고, 신호. 신호는 두 개의 필드, 즉 본 명세서에서 TSS라고 부르는 동기화 필드와 본 명세서에서 BRS라고 부르는 링크(셀 또는 빔) 식별 필드로 구성된다. 필드들은 주어진 개수의 빔들에 대해 빔 스위핑 지속기간을 절반으로 줄이는 단일 OFDM 심볼로 다중화된다. 빔 스위핑을 위한 MRS 심볼들의 사용은 또한 도 16에 도시된다. 동일한 TRP로부터의 빔들은 동일한 TSS를 사용할 수 있지만, BRS 필드들은 개개의 빔들을 식별할 수 있다. 도 16은 TSS 및 BID 필드들(T- 및 F-연결(concatenation))로 이루어진 MRS 신호 설계 및 스위핑 시 다수의 MRS 사용을 도시한다.
도면이 두 필드에 동일한 자원 할당을 보여주지만, 필드들은 균일하지 않게 할당될 수 있다.
개념적으로 LTE에서의 PSS와 유사한 TSS 필드는 바람직하게는 초기 타이밍 동기화를 위해 LTE에서 사용된 Zadoff-Chu 시퀀스이다. UE 검색 노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일 시퀀스 또는 그 중 작은 번호가 사용되어야 한다.
LTE에서의 SSS와 기능면에서 유사한 BRS 시퀀스는 의사 램덤 2진 시퀀스, 예를 들면 M-시퀀스(M-sequence) 또는 골드 시퀀스(Gold sequence)이어야 한다. 양호한 교차 상관 특성들을 갖는 수십 내지 수백 개의 BRS 시퀀스가 수용되어야 한다.
도 17은 MRS 및 MRS 신호 발생(T-연결)을 생성하는 송신기 구조를 도시한다. 시간 도메인 연결은 필드 둘 모두의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최대화할 수 있고 전체 MRS 주파수 범위가 TSS 기반 타이밍 추정에 사용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선호된다.
UE 수신기는 적절한 타이밍 및 주파수 탐색 그리드를 사용하여 시간 도메인에서 TSS 시퀀스를 먼저 검색한다. 심볼 타이밍 및 주파수 동기화를 취득한 이후, FFT가 적용되고 MRS 서브캐리어들이 추출된다. MRS 서브캐리어들의 IDFT 이후에, BRS(ID 신호) 심벌들이 시간 도메인 표현으로 얻어진다. BRS는 한 세트의 BRS 가설들에 대해 매칭된 필터링을 행함으로써 식별될 수 있다.
MRS 품질 측정들을 위해, 전체 심볼(필드들 둘 다)이 신호 품질 평가에 사용될 수 있다.
설계 MRS는 동기화 부분 그리고 빔 식별 및 식별 부분을 포함하는 두 부분의 신호 포맷일 수 있다. TSS 부분 및 BRS 부분을 단일 OFDM 심볼로 다중화하는 것이 지원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 및 장치들에 대한 수정들, 추가들 또는 생략들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시스템들 및 장치들의 구성요소들은 통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더욱이, 시스템들 및 장치들의 동작들은 더 많거나, 더 적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들 및 장치들의 동작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다른 로직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로직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각각"은 세트의 각 구성원 또는 세트의 서브세트의 각 구성원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에 대한 수정들, 추가들 또는 생략들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방법들은 더 많거나, 더 적거나 또는 다른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이 특정 실시예들의 관점에서 설명되었지만, 실시예들의 변경들 및 치환들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들의 위의 설명은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의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변경들, 대체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
앞의 설명에서 사용된 약어들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AP 액세스 포인트
BS 기지국
BRS 빔 참조 신호
BSC 기지국 제어기
BTS 기지국 송수신기 스테이션
CPE 고객 구내 장비
CRS 셀 특정 참조 신호
CQI 채널 품질 표시기
CSI 채널 상태 정보
CSI-RS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D2D 장치 대 장치
DL 다운링크
DMRS 복조 참조 신호
eNB 진화된 노드 B
EPDCCH 강화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FFT 고속 푸리에 변환
IDFT 역 이산 푸리에 변환
LAN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LEE 랩톱 내장 장비
LME 랩톱 장착 장비
LTE 롱 텀 에볼루션
M2M 사물 지능 통신
MAN 도시 지역 네트워크
MCE 멀티-셀/멀티캐스트 조정 엔티티
MCS 변조 레벨 및 코딩 방식
MSR 다중 표준 라디오
NR 뉴 라디오
O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PDCCH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SCH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
PSTN 공중 전화 네트워크
RB 자원 블록
RNC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RRC 라디오 자원 제어
RRH 원격 라디오 헤드
RRU 원격 라디오 유닛
TRP 송수신 포인트
TSS TRP 동기화 신호
TTT 트리거 시간
UE 사용자 장비
UL 업링크
WAN 광역 네트워크

Claims (56)

  1. 하나 이상의 빔 송신(beamed transmissions)을 위한 소스를 식별하는 셀 식별자를 송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115)에서의 방법(645)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15)의 셀 식별자(310)를 결정하는 단계(650);
    상기 네트워크 노드(115)의 빔의 빔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655);
    상기 셀 식별자(310)와 상기 빔 식별자를 링크하는 단계(660); 및
    상기 빔 식별자 및 상기 셀 식별자(310)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110)로 송신하는 단계(665)
    를 포함하는, 방법(64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를 상기 빔 식별자와 링크하는 단계는:
    상기 빔 식별자로부터 시퀀스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셀 식별자(310)를 상기 시퀀스로 스크램블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645).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를 상기 빔 식별자와 링크하는 단계는,
    상기 빔 식별자로부터 시퀀스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된 셀 식별자(310)와 연관된 필드를 상기 시퀀스로 스크램블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645).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를 제1 서브 필드 및 제2 서브 필드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필드는 상기 제2 서브 필드와는 별도로 변조되는, 방법(645).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스크램블링되는, 방법(645).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복조 참조 신호를 갖는 하나 이상의 자원 요소와 함께 송신되는, 방법(645).
  7. 제1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심볼에서 자원 요소들을 점유하는 인코딩된 직교 진폭 변조된 심볼들의 시퀀스인, 방법(645).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상기 빔 식별자 송신과는 별도로 송신되는, 방법(645).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방법(645).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빔 식별자는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에 매핑하는, 방법(645).
  11. 제1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 장비(110)로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는, 방법(645).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110)를 상기 셀 식별자(310)와 상기 빔 식별자 사이의 매핑으로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645).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를 상기 빔 식별자와 링크하는 단계는 상기 빔 식별자에 기초하여 셀 식별자 송신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들, 복조 참조 신호, 및 변조 레벨 및 코딩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645).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 송신은 상기 빔 식별자 송신과 동일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에서 수행되는, 방법(645).
  15. 하나 이상의 빔 송신을 위한 소스를 식별하는 셀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UE(110)에서의 방법(670)으로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빔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675); 및
    상기 빔 식별자에 링크된 셀 식별자(310)를 수신하는 단계(680)
    를 포함하는, 방법(670).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상기 빔 식별자와 연관된 이동성 참조 신호로부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셀 식별자(310)를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이용하여 디스크램블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670).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제1 서브 필드와 제2 서브 필드로 분리되고, 상기 제1 서브 필드는 상기 제2 서브 필드와는 별도로 변조되는, 방법(670).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스크램블링되는, 방법(670).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복조 참조 신호를 갖는 하나 이상의 자원 요소와 함께 송신되는, 방법(670).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빔 식별자의 함수로서 복조 참조 신호 시퀀스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자원 요소를 사용하여 채널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셀 식별자(310)를 복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670).
  21. 제15항 및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심볼에서 자원 요소들을 점유하는 인코딩된 직교 진폭 변조된 심볼들의 시퀀스인, 방법(670).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상기 빔 식별자의 송신과는 별도로 송신되는, 방법(670).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방법(670).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빔 식별자는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에 매핑하는, 방법(670).
  25. 제15항 및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 장비(110)로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는, 방법(670).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110)는 상기 셀 식별자(310)와 상기 빔 식별자 사이의 매핑으로 구성되는, 방법(670).
  27. 제15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식별자 및 상기 셀 식별자(310)를 사용하여 상기 빔 식별자와 연관된 빔의 신호 품질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670).
  28. 제1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셀 식별자를 사용하여, 수신된 이동성 참조 신호들을 이들 신호들의 발신 셀들에 따라 그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670).
  29. 하나 이상의 빔 송신을 위한 소스를 식별하는 셀 식별자를 송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115)로서,
    메모리(830); 및
    상기 메모리(83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820)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820)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115)의 셀 식별자(310)를 결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115)의 빔의 빔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셀 식별자(310)와 상기 빔 식별자를 링크하고;
    상기 빔 식별자 및 상기 셀 식별자(310)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110)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15).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를 상기 빔 식별자와 링크하는 것은,
    상기 빔 식별자로부터 시퀀스를 도출하는 것; 및
    상기 셀 식별자(310)를 상기 시퀀스로 스크램블링하는 것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15).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를 상기 빔 식별자와 링크하는 것은,
    상기 빔 식별자로부터 시퀀스를 도출하는 것; 및
    상기 셀 식별자(310)와 연관된 필드를 상기 시퀀스로 스크램블링하는 것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15).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820)는 상기 셀 식별자(310)를 제1 서브 필드 및 제2 서브 필드로 분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서브 필드는 제2 서브 필드와는 별도로 변조되는, 네트워크 노드(115).
  33. 제2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스크램블링되는, 네트워크 노드(115).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복조 참조 신호를 갖는 하나 이상의 자원 요소와 함께 송신되는, 네트워크 노드(115).
  35. 제29항 및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심볼에서 자원 요소들을 점유하는 인코딩된 직교 진폭 변조된 심볼들의 시퀀스인, 네트워크 노드(115).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상기 빔 식별자 송신과는 별도로 송신되는, 네트워크 노드(115).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네트워크 노드(115).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빔 식별자는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에 매핑하는, 네트워크 노드(115).
  39. 제29항 및 제36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 장비(110)로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는, 네트워크 노드(115).
  4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820)는 상기 사용자 장비(110)를 상기 셀 식별자(310)와 상기 빔 식별자 사이의 매핑으로 구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15).
  4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를 상기 빔 식별자와 링크하는 것은 상기 빔 식별자에 기초하여 셀 식별자 송신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들, 복조 참조 신호, 및 변조 레벨 및 코딩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15).
  4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 송신은 상기 빔 식별자 송신과 동일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심볼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노드(115).
  43. 하나 이상의 빔 송신을 위한 소스를 식별하는 셀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110)로서,
    메모리(730); 및
    상기 메모리(73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720)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720)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빔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빔 식별자에 링크된 셀 식별자(310)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110).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720)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상기 빔 식별자와 연관된 이동성 참조 신호로부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추출하고;
    상기 셀 식별자(310)를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이용하여 디스크램블링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110).
  45.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제1 서브 필드와 제2 서브 필드로 분할되고, 상기 제1 서브 필드는 상기 제2 서브 필드와는 별도로 변조되는, 사용자 장비(110).
  46. 제43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스크램블링되는, 사용자 장비(110).
  4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복조 참조 신호를 갖는 하나 이상의 자원 요소와 함께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110).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720)는,
    상기 빔 식별자의 함수로서 복조 참조 신호 시퀀스를 추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자원 요소를 사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고;
    상기 셀 식별자(310)를 복조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110).
  49. 제43항 및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심볼에서 자원 요소들을 점유하는 인코딩된 직교 진폭 변조된 심볼들의 시퀀스인, 사용자 장비(110).
  50.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상기 빔 식별자의 송신과는 별도로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110).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110).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식별자는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에 매핑하는, 사용자 장비(110).
  53. 제43항 및 제50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310)는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 장비(110)로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는, 사용자 장비(110).
  5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110)는 상기 셀 식별자(310)와 상기 빔 식별자 사이의 매핑으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110).
  55. 제43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720)는 상기 빔 식별자 및 상기 셀 식별자(310)를 사용하여 상기 빔 식별자와 연관된 빔의 신호 품질을 추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110).
  56. 제43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720)는 상기 수신된 셀 식별자를 사용하여, 수신된 이동성 참조 신호들을 이들 신호들의 발신 셀들에 따라 그룹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110).
KR1020197016095A 2016-11-04 2017-11-02 셀 식별 정보 Active KR102240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17808P 2016-11-04 2016-11-04
US62/417,808 2016-11-04
PCT/EP2017/078028 WO2018083158A1 (en) 2016-11-04 2017-11-02 Ce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556A true KR20190073556A (ko) 2019-06-26
KR102240171B1 KR102240171B1 (ko) 2021-04-14

Family

ID=60320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095A Active KR102240171B1 (ko) 2016-11-04 2017-11-02 셀 식별 정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904931B2 (ko)
EP (2) EP3913983B1 (ko)
JP (2) JP6976325B2 (ko)
KR (1) KR102240171B1 (ko)
CN (2) CN110121895B (ko)
ES (2) ES2868823T3 (ko)
MX (1) MX2019005228A (ko)
PL (1) PL3913983T3 (ko)
WO (1) WO20180831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1895B (zh) * 2016-11-04 2021-11-3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小区标识信息
EP3545706A4 (en) 2016-12-26 2020-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DEVICE (UE) AND METHOD FOR PERFORMING DIRECT ACCESS FOR CONNECTING MODE HANDOVER BASED ON BEAM SHAPING
CN106851675B (zh) * 2017-02-03 2022-01-1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波束组的管理方法、基站及终端
WO2018155918A1 (ko) * 2017-02-24 2018-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이동성 히스토리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0939394B2 (en) * 2017-07-28 2021-03-02 Qualcomm Incorporated Measurement synchronization signals (SS)
CN110891313B (zh) * 2018-09-10 2022-08-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网络设备及终端
WO2020065818A1 (ja) * 2018-09-27 2020-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MX2021008836A (es) 2019-02-14 2021-09-08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s para configurar parámetros de señal de resincronización de células vecinas (rss).
EP4021085B1 (en) * 2019-08-23 2025-02-19 Ntt Docomo, Inc.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1811488B2 (en) 2019-11-07 2023-11-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 of a 5G satellite radio access technology
US12167361B2 (en) * 2019-11-07 2024-12-10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 of fixed cells for user equipment access to a non-terrestrial network
US11696106B2 (en) 2019-11-07 2023-07-04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 of fixed tracking areas and fixed cells for a 5G satellite rat
US11296782B2 (en) 2019-11-07 2022-04-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ing radio cell acquisition by a mobile device for mobile satellite wireless access
US11844120B2 (en) * 2020-04-22 2023-12-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hysical cell identification
CN111901880A (zh) * 2020-06-24 2020-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指示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11852740B2 (en) * 2020-11-13 2023-12-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enhancements using beam relation crowdsourcing
US11689398B2 (en) * 2021-09-24 2023-06-27 Qualcomm Incorporated Scrambling initialization indication for higher bands
WO2024248716A1 (en) * 2023-05-31 2024-12-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mechanisms of separated synchronization signa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1364A1 (en) * 2011-08-23 2013-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using beam scanning in beamform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0874A1 (en) * 2008-11-03 2010-05-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transmission of reference signals and determination of precoding matrices for multi-antenna transmission
CN102076076B (zh) * 2009-11-20 2015-11-25 夏普株式会社 一种解调参考信号的资源分配通知方法
KR20120120775A (ko) * 2011-04-25 2012-11-02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28397A (ko) * 2011-09-09 2013-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시스템 정보 획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264478B2 (en) * 2011-12-16 2019-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enhance reliability in millimeter wave wideband communications
KR20140056561A (ko) * 2012-10-29 2014-05-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빔을 운영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 방법
CN103812546B (zh) * 2012-11-07 2017-08-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天线阵列的参考信号映射方法、装置及系统
CN103856894B (zh) * 2012-12-06 2019-05-0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基于波束的定位方法及设备
US9468022B2 (en) * 2012-12-26 2016-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CN103906139B (zh) * 2012-12-27 2018-10-30 夏普株式会社 系统信息的发送和接收方法以及基站和用户设备
US9503171B2 (en) * 2013-01-04 2016-11-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using multiple antennas
EP2974457B1 (en) * 2013-03-15 2018-01-31 Qualcomm Incorporated Improved random access procedure with beamforming in lte
JP6320683B2 (ja) * 2013-04-05 2018-05-09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9948375B2 (en) * 2013-08-05 2018-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 through beam group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399765B2 (ja) * 2014-02-28 2018-10-03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6044994A1 (zh) * 2014-09-23 2016-03-31 华为技术有限公司 波束配置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10334489B2 (en) * 2014-10-08 2019-06-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ity synchronization measurements
KR101969787B1 (ko) * 2014-11-13 2019-04-1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고주파 통신을 위한 신호 동기화 방법 및 장치
BR112016028336A2 (pt) * 2014-12-15 2017-08-22 Huawei Tech Co Ltd método e aparelho de processamento para implantar comunicação de alta frequência, e dispositivo
KR102289945B1 (ko) * 2014-12-16 2021-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고주파 대역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WO2016115711A1 (zh) 2015-01-22 2016-07-28 华为技术有限公司 获取ue位置的方法和装置
WO2016172840A1 (en) * 2015-04-28 2016-11-03 Mediatek Inc. Robust mobility measurements and inter-cell coordination in mmwave small cell
US10148332B2 (en) * 2015-05-28 2018-12-0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level beamformed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s
CN107925605B (zh) * 2015-09-10 2021-01-15 苹果公司 针对5g rat中的基于波束的无小区操作的随机接入过程
JP6676766B2 (ja) * 2016-02-03 2020-04-08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方法
US20170289917A1 (en) * 2016-04-01 2017-10-0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ynamic time division duplex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11063717B2 (en) * 2016-08-08 2021-07-13 Lg Electronics Inc. Channel state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and base station
US10425139B2 (en) * 2016-09-21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3451605B1 (en) * 2016-09-30 2022-03-0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hannel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0121895B (zh) * 2016-11-04 2021-11-3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小区标识信息
US10750393B2 (en) * 2017-12-22 2020-08-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 first 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by to handle a log of information about a set of bea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1364A1 (en) * 2011-08-23 2013-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using beam scanning in beamform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63917B (zh) 2024-04-30
EP3536026A1 (en) 2019-09-11
EP3913983B1 (en) 2024-06-26
EP3913983A1 (en) 2021-11-24
JP6976325B2 (ja) 2021-12-08
EP3913983C0 (en) 2024-06-26
US20210105839A1 (en) 2021-04-08
US10904931B2 (en) 2021-01-26
WO2018083158A1 (en) 2018-05-11
CN114363917A (zh) 2022-04-15
CN110121895A (zh) 2019-08-13
EP3536026B1 (en) 2021-03-31
MX2019005228A (es) 2019-08-05
ES2868823T3 (es) 2021-10-22
ES2986491T3 (es) 2024-11-11
KR102240171B1 (ko) 2021-04-14
PL3913983T3 (pl) 2025-03-24
CN110121895B (zh) 2021-11-30
JP2019534644A (ja) 2019-11-28
JP7488241B2 (ja) 2024-05-21
JP2022031693A (ja) 2022-02-22
US20190335517A1 (en)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88241B2 (ja) セル識別情報
US10681599B2 (en) Active mode mobility measurement signal configuration
EP2997770B1 (en) Methods of discovery and measurements for small cells in ofdm/ofdma systems
EP3108710B1 (en) Small cell deactivation
US20180242225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over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USRE49397E1 (en) Discovery signals and procedures
US9832691B2 (en) Cell ID expansion and hierarchical cell ID structures
CN106664171B (zh) 用于管理小区参考符号的传输的网络节点和方法
US108929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measurement gaps and reference signals
CN110463067B (zh) 无线电网络节点、无线设备以及其中执行的方法
KR101400849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이종 시스템으로의 전환을위한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05392148A (zh) 一种信号测量与上报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CN106576306B (zh) 用于管理小区参考符号的功率的网络节点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6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