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352A - 열적 특성이 개선된 도펀트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펀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 - Google Patents
열적 특성이 개선된 도펀트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펀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64352A KR20190064352A KR1020170163822A KR20170163822A KR20190064352A KR 20190064352 A KR20190064352 A KR 20190064352A KR 1020170163822 A KR1020170163822 A KR 1020170163822A KR 20170163822 A KR20170163822 A KR 20170163822A KR 20190064352 A KR20190064352 A KR 201900643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id
- dopant
- diacetylene monomer
- monomer
- conductive nanocomposi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3/00—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 C07C303/02—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of sulfonic acids or halides thereof
- C07C303/22—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of sulfonic acids or halides thereof from sulfonic aci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sulfo or halosulfonyl groups; from sulfonic hal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halosulfonyl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9/00—Sulfonic acids; Halides, esters, or anhydrides thereof
- C07C309/01—Sulfonic acids
- C07C309/02—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09/20—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un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309/21—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H01B1/128—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compris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in the main chain, e.g. polyanilines, polyphenyl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단계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비교예 1 | 비교예 2 | |
PCDA-Cl 제조 |
용매 (L) |
MC 20 |
MC 20 |
MC 20 |
MC 20 |
||
반응물1 (mol) |
PCDA 2.67 |
PCDA 2.67 |
PCDA 2.67 |
PCDA 2.67 |
PCDA 2.67 |
||
반응물2 (mol) |
OC 5.34 |
OC 5.34 |
OC 5.34 |
OC 5.34 |
OC 8.01 |
||
촉매 (mol) |
DMF 0.3 |
DMF 0.3 |
DMF 0.3 |
DMF 0.3 |
DMF 0.3 |
||
반응시간 (h) | 4 | 4 | 4 | 4 | 18 |
||
수율(%) | 99 | 99 | 99 | 99 | 99 |
||
PCDA-TR 또는 PCDA-pBzS 제조 |
용매 (L) |
EAc 20 |
EAc 20 | H2O 10 AC 5 |
H2O 10 AC 5 |
DMF 0.3 |
|
반응물 1 (mol) |
TR 2.5 |
pBzS 2.5 |
TR 2.5 |
pBzS 2.5 |
pBzS salt 2.5 |
||
반응물 2 (mol) |
PCDA-Cl 2.5 |
PCDA-Cl 2.5 |
PCDA-Cl 2.5 |
PCDA-Cl 2.5 |
PCDA-Cl 2.5 |
||
촉매 (mol) |
TEA 10 |
TEA 10 |
NaCl 17 NaHCO3 10 |
NaCl 17 NaHCO3 10 |
TEA 24.03 |
||
반응시간 (h) | 18 | 18 | 18 | 18 | 18 |
||
수율(%) | 90 | 96 | 92 | 95 | 80 |
||
전도성고분자 복합체의 제조 |
용매 (L) | H2O 10 |
H2O 10 |
H2O 10 |
H2O 10 |
H2O 10 |
|
단량체 (mol) | Ani 1.26 |
Ani 1.26 |
Ani 1.26 |
Ani 1.26 |
Ani 1.26 |
||
1차 도펀트 (mol) | DBSA 1.26 |
DBSA 1.26 |
DBSA 1.26 |
DBSA 1.26 |
DBSA 1.89 |
||
2차 도펀트 (mol) | PCDA-TR 0.63 |
PCDA-pBzS 0.63 |
PCDA-TR 0.63 |
PCDA-pBzS 0.63 |
|||
산화제 (mol) | APS 1.26 |
APS 1.26 |
APS 1.26 |
APS 1.26 |
APS 1.26 |
||
반응시간 (h) | 12 | 12 | 12 | 12 | 12 | ||
표면저항 (Ω/sq) | 2.6 x101 | 3.8 x101 | 4.6 x101 | 4.8 x101 | 1.8 x101 | ||
300℃ 에서의 질량 손실율 (%) | 12.3 | 12.1 | 12.9 | 12.7 | 27.8 |
Claims (13)
- (A) 디메틸포름알데히드(Dimethyl formaldehyde), 이메틸 일산화황(Dimethyl sulfoxide, DMSO),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Dimethylacetamide, DMA), 메틸피롤리돈(1-Methyl-2-pyrrolidinone, NMP) 및 1,3-다이메틸-3,4,5,6-테트라하이드로-2(1H)-피리미디오논(1,3-Dimethyl-3,4,5,6-tetrahydro-2(1H)-pyrimidin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자가환원 촉매의 존재하에서 다이아세틸렌 단량체와 옥살릴클로라이드(Oxalyl chloride)를 반응시켜 염소 치환된 다이아세틸렌 단량체를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염소 치환된 다이아세틸렌 단량체와 아미노벤젠술폰산 또는 탄수소 1 내지 10의 아미노알킬술폰산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의 다이아세틸렌 단량체 제조방법:
[화학식 1]
CH3-(CH2)n-C≡C-C≡C-(CH2)m-A-(CH2)x-OSO3H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2 내지 20이고, m은 2 내지 15이고, x는 0 내지 10이며,
A는 CONH 또는 CONH-ph (CONH-ph일 경우 x는 0, ph는 페닐기)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세텔렌 단량체는 일측 말단에 카르복시기를 갖는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화학식 2]
CH3-(CH2)n-C≡C-C≡C-(CH2)m-COOH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2 내지 20이고, m은 2 내지 15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극성도(Polarity index) 4 이하의 무극성 용매 중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다이아세틸렌 단량체와 옥살릴클로라이드의 몰비는 1:0.5~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자가환원 촉매는 디메틸포름알데히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벤젠술폰산은 2-아미노벤젠술폰산, 3-아미노벤젠술폰산, 4-아미노벤젠술폰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알킬술폰산은 2-아미노에탄-1-술폰산, 3-아미노프로판-1-술폰산, 4-아미노부탄-1-술폰산, 5-아미노펜탄-1-술폰산, 6-아미노헥산-1-술폰산 또는 이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트리에틸아민(Trimethylamine), 1,8-디아자바이사이클로[5,4,0]언덱-7-엔 (1,8-Diazabicyclo[5.4.0]undec-7-ene, DBU), 피페리딘 (Piperidine), 피리딘 (Pyridine), 수산화나트륨(NaOH) 및 염화나트륨(Nac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촉매 존재 하에 반응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아미노벤젠술폰산 또는 탄수소 1 내지 10의 아미노알킬술폰산을 전해질 수용액에 용해한 후, 상기 (A) 단계에서 수득된 염소 치환된 다이아세틸렌 단량체를 메탄올, 에탄올, 테트라히드로퓨란(TH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벤젠,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 클로라이드, 메틸 에틸 케톤, 톨루엔, 에틸렌 글라이콜 디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용해한 용액에 첨가하여 탄산수소나트륨 존재 하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다이아세틸렌 단량체 및 폴리아닐린을 중합하여 수득한 전도성 나노 복합체.
- 제10항에 따른
상기 전도성 나노 복합체는 캄로술폰산(CSA), 도데실유기술폰산(DBSA), 아크릴아미도메틸술폰산(AMPSA), 파라-톨루엔술폰산(PTSA) 또는 이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나노 복합체는 표면저항(ANSI/ESD STM 11.11)이 60 Ω/sq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나노 복합체는 300℃에서의 질량 손실율(ASTM E831)이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3822A KR102226205B1 (ko) | 2017-11-30 | 2017-11-30 | 열적 특성이 개선된 도펀트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펀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3822A KR102226205B1 (ko) | 2017-11-30 | 2017-11-30 | 열적 특성이 개선된 도펀트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펀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4352A true KR20190064352A (ko) | 2019-06-10 |
KR102226205B1 KR102226205B1 (ko) | 2021-03-12 |
Family
ID=66848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3822A Active KR102226205B1 (ko) | 2017-11-30 | 2017-11-30 | 열적 특성이 개선된 도펀트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펀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620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1340B1 (ko) * | 2012-05-31 | 2013-12-20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세회로 패턴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도성 및 감광성 미세회로 패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미세회로 패턴을 포함하는 센서 |
KR101378042B1 (ko) * | 2012-03-21 | 2014-03-28 | 주식회사 제닉 | 수분산성 다이아세틸렌 단량체, 그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KR20170124675A (ko) * | 2016-05-02 | 2017-11-13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용성 다이아세틸렌 단량체 화합물, 수용성 다이아세틸렌 단량체 화합물과 pedot/pss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광미세가공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패턴의 제조방법 |
-
2017
- 2017-11-30 KR KR1020170163822A patent/KR10222620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8042B1 (ko) * | 2012-03-21 | 2014-03-28 | 주식회사 제닉 | 수분산성 다이아세틸렌 단량체, 그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KR101341340B1 (ko) * | 2012-05-31 | 2013-12-20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세회로 패턴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도성 및 감광성 미세회로 패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미세회로 패턴을 포함하는 센서 |
KR20170124675A (ko) * | 2016-05-02 | 2017-11-13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용성 다이아세틸렌 단량체 화합물, 수용성 다이아세틸렌 단량체 화합물과 pedot/pss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광미세가공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패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6205B1 (ko) | 2021-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261478B2 (ja) | 可溶性伝導性高分子 | |
CN102604156B (zh) | 碱产生剂 | |
JP4137583B2 (ja) | ポリアニリンおよび導電性ポリアニリンベース複合材料のドーパントとしてのスルホン酸、ホスホン酸およびリン酸の使用 | |
JP3400404B2 (ja) | 溶融加工または溶液加工可能な高度に導電性のポリアニリ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pvcおよびevaとこれとのブレンド | |
CN107118555A (zh) | 溶液共混法制备聚酰胺酰亚胺基抗静电薄膜的方法 | |
KR101428550B1 (ko) | 4,4-비스(4-클로로페닐술폰)-1,1-비페닐 화합물로 만든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과 이들의 제조방법 | |
JP5618175B2 (ja) | 新規複素環式芳香族ポリマー | |
CA2982373A1 (en) | Hydroxide-stable ionenes | |
CN110156840B (zh) | 一种含dopo的磷氮型阻燃剂及其制备方法 | |
CN114478278B (zh) | 一种含羰基多取代芳香二胺单体及其制备方法 | |
JP2024536492A (ja) | アニオン交換膜用の分岐構造を有するアリールエーテルフリー多環芳香族炭化水素ポリマー | |
JP2000204158A (ja) |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可溶性導電性化合物 | |
KR102226205B1 (ko) | 열적 특성이 개선된 도펀트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펀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 | |
KR101365014B1 (ko) | 유기술폰산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도판트, 및 상기 도판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 |
JP2609439B2 (ja) | ポリアニリンフィルム及びその複合体の製造方法 | |
JPWO2019054471A1 (ja) | ポリベンゾイミダゾール、その前駆体ポリアミド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 |
KR101307893B1 (ko) | 폴리비닐계 공중합체, 상기를 포함하는 도판트, 및 상기 도판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 |
KR102226203B1 (ko) | 열적 특성이 개선된 도펀트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도펀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나노 복합체 | |
WO2020228021A1 (zh) | 一种含dopo的磷氮型阻燃剂及其制备方法 | |
KR20190026132A (ko) |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계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481665B1 (ko) | 전기전도성 폴리(싸이오펜) 비-수계 분산액, 이의제조방법 및 이의용도 | |
KR20190026133A (ko) | 아민화된 폴리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WO2012153972A2 (ko) | 술폰화된 폴리페닐실세스퀴옥산 및 양의 저항온도계수를 가지기 위한 도판트가 도핑된 폴리아닐린 도전체와 그의 제조방법 | |
KR101877499B1 (ko) |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계열의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0156994B (zh) | 一种聚(醚酮-苯并咪唑)共聚物及其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30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801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5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1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4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