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33907A -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907A
KR20190033907A KR1020170122631A KR20170122631A KR20190033907A KR 20190033907 A KR20190033907 A KR 20190033907A KR 1020170122631 A KR1020170122631 A KR 1020170122631A KR 20170122631 A KR20170122631 A KR 20170122631A KR 20190033907 A KR20190033907 A KR 20190033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y valve
outlet port
outdoor
in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3894B1 (ko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8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8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2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between evaporator and compressor
    • F25B41/04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6/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 F25B6/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3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three-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외기는 흡입관 및 토출관이 연결된 압축기와;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는 실외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와 실외팽창기구 연결관으로 연결된 실외팽창기구와; 토출관과 연결되고 실외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 연결관으로 연결된 사방밸브와; 사방밸브와 제1 사방밸브 연결관 및 제2 사방밸브 연결관으로 연결된 삼방밸브와; 실외팽창기구에 연결된 액관과; 삼방밸브에 연결된 가스관과; 토출관에 연결된 고압 가스관을 포함하고, 흡입관은 제1사방밸브 연결관에 연결되며, 삼방밸브는 제1사방밸브 연결관이 연결된 출구포트와; 가스관이 연결된 제1입출구포트와; 제2사방밸브 연결관이 연결된 제2입출구포트를 포함하여, 간단한 구조로 동시형 공기조화기나 절환형 공기조화기에 공용화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방밸브를 갖고 실내기와 연결된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동사이클이 적용되어 공기를 조화하는 것으로,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는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 및 실외팬을 포함할 수 있고, 압축기의 구동시 냉매가 실외열교환기로 유동되어 실외열교환기에서 응축될 수 있다.
실내기는 실내열교환기와 실내팬을 포함할 수 있고, 냉매는 실내열교환기에서 증발될 수 있고, 실내팬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실내열교환기에 의해 냉각된 후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사방밸브를 포함할 경우, 냉매의 유동방향에 따라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을 절환할 수 있는 히트 펌프형 공기조화기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복수개 실내기가 분배기에 연결되고 실외기가 분배기에 접속되어 분배기를 통해 다수의 실내기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분배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는 복수개 실내기 중 일부 실내기가 냉방운전인 동안 복수개 실내기 중 다른 실내기가 난방운전되는 동시형 공기조화기일 수 있다.
반면에, 공기조화기는 실외기가 액관과 기관을 통해 다수개 실내기와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 실내기 중 운전중인 실내기가 모두 냉방운전으로 운전되거나 난방운전으로 운전되는 절환형 공기조화기로 구성될 수 있다.
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50550 B1(2013년04월09일 공고)에는 실외기가 복수개 실내기와 분배기로 연결되고, 실외기에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을 절환하는 절환유닛이 구비된 동시형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44498 A(2009년05월07일 공개)에는 실외기가 복수개 실내기와 액관 및 기관으로 연결된 절환형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50550 B1(2013년04월09일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44498 A(2009년05월07일 공개)
본 발명은 동시형 공기조화기와 절환형 공기조화기 모두에 공용화 가능하면서 구조가 간단한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는 흡입관 및 토출관이 연결된 압축기와;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는 실외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와 실외팽창기구 연결관으로 연결된 실외팽창기구와; 토출관과 연결되고 실외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 연결관으로 연결된 사방밸브와; 사방밸브와 제1 사방밸브 연결관 및 제2 사방밸브 연결관으로 연결된 삼방밸브와; 실외팽창기구에 연결된 액관과; 삼방밸브에 연결된 가스관과; 토출관에 연결된 고압 가스관을 포함하고, 흡입관은 제1사방밸브 연결관에 연결되며, 삼방밸브는 제1사방밸브 연결관이 연결된 출구포트와; 가스관이 연결된 제1입출구포트와; 제2사방밸브 연결관이 연결된 제2입출구포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외기와 연결되거나 분배기를 통해 실외기와 연결된 복수개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액관과 가스관 및 고압 가스관은 복수개 실내기와 연결된 분배기에 접속될 수 있다.
액관 및 가스관은 실내기와 접속될 수 있고, 고압 가스관은 일단이 토출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막힐 수 있다.
삼방밸브는 출구포트와 제1출입포트 및 제2출입포트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된 밸브 바디와; 밸브 바디에 배치되어 출구포트와 제2출입포트를 선택적으로 막게 배치된 개폐부재와; 개폐부재을 조작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삼방밸브는 출구포트와 제1출입포트 및 제2출입포트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된 밸브 바디와; 밸브 바디에 배치되어 출구포트와 제2출입포트를 선택적으로 막게 배치된 개폐부재와; 개폐부재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는 삼방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솔레노이드 기구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개폐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방밸브와 삼방밸브에 의해 절환형 공기조화기와 동시형 공기조화기 모두에 적용 가능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삼방밸브가 사방밸브와 제1사방밸브 연결관 및 제2사방밸브 연결관으로 연결되고, 가스관이 삼방밸브에 연결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절환형 공기조화기와 동시형 공기조화기 모두에 적용 가능한 실외기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설치자가 가스관과 고압 가스관을 잘못 연결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삼방밸브의 레버를 조작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절환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와 동시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어부가 삼방밸브를 제어하여 절환형 공기조화기나 동시형 공기조화기의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일예가 냉방 주체운전일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일예가 난방 주체운전일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다른예가 냉방 운전일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다른예가 난방 운전일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의 제어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일예가 냉방 주체운전일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일예가 난방 주체운전일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다른 예가 냉방 운전일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다른 예가 난방 운전일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실외기(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4)(5)(6)(7)와 분배기(8)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4)(5)(6)(7)와 액관(60) 및 가스관(70)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실내기(4)(5)(6)(7)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실내기(4)(5)(6)(7)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8)에 연결되거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관(60) 및 가스관(70)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8)을 포함하고, 실외기(1) 및 복수개 실내기(4)(5)(6)(7)가 분배기(8)에 각각 연결될 경우, 공기조화기는 동시형 공기조화기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분배기(8)을 포함하지 않고 복수개의 실내기(4)(5)(6)(7)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관(60) 및 가스관(70)에 연결될 경우, 공기조화기는 절환형 공기조화기일 수 있다.
복수개 실내기(4)(5)(6)(7) 각각은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실내기 케이스(101)과, 실내기 케이스(101) 내에 설치되고 냉매를 감압시키는 실내팽창기구(102)와, 실내기 케이스(101) 내부에 설치되고 실내공기와 열교환되는 실내열교환기(104)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팽창기구(102)와 실내열교환기(104)는 실내열교환기 연결관(103)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 실내기(4)(5)(6)(7) 각각은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열교환기(104)를 통과시킨 후 실내기 케이스(101) 외부로 송풍하는 실내팬(106)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4)(5)(6)(7)는 공조를 희망하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열교환기(104)와 열교환시킨 후 공조를 희망하는 실내로 토출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 실내기(4)(5)(6)(7)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8)에 연결될 수 있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관(60) 및 가스관(7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 제조자는 실외기(1) 및 복수개 실내기(4)(5)(6)(7)를 공용화하고, 분배기(8)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면서 동시형 공기조화기와 절환형 공기조화기 모두를 제조 및 판매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실외기(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외기(1)는 압축기(10)와; 실외열교환기(20)와; 실외팽창기구(30)와; 사방밸브(40)와; 삼방밸브(50)와; 액관(60)와; 가스관(70)과; 고압 가스관(80)을 포함한다.
실외기(1)는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실외기 케이스(9)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0)와, 실외열교환기(20)와, 실외팽창기구(30)와, 사방밸브(40)와, 삼방밸브(50)는 실외기 케이스(9)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액관(60)과, 가스관(70)과, 고압 가스관(80)는 실외기 케이스(9) 내부에서 실외기 케이스(9)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압축기(10)에는 흡입관(11) 및 토출관(12)이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10)는 흡입관(11)의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토출관(12)으로 토출할 수 있다.
흡입관(11)은 압축기(10) 및 후술하는 제1사방밸브 연결관(44)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사방밸브 연결관(44)의 냉매는 흡입관(11)을 통과하여 압축기(10)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관(11)은 일단이 제1사방밸브 연결관(44)에 연결되고 타단이 압축기(10)에 연결될 수 있다.
흡입관(11)은 냉매 중 액냉매가 담겨지는 어큐물레이터(11A)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관(11)이 어큐물레이터(11A)를 포함할 경우, 흡입관(11)은 일단이 제1사방밸브 연결관(44)에 연결되고 타단이 어큐물레이터(11A)에 연결된 어큐물레이터 흡입관(11B)과, 일단이 어큐물레이터(11A)에 연결되고 타단이 압축기(10)에 연결된 어큐물레이터 출구관(11C)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어큐물레이터 흡입관(11B), 어큐물레이터(11A) 및 어큐물레이터 출구관(11C)는 함께 흡입관(11)을 구성할 수 있다.
토출관(12)는 압축기(10) 및 사방밸브(40)에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10)에서 압축된 냉매는 토출관(12)을 통해 사방밸브(40)로 유동될 수 있다. 토출관(12)은 일단이 압축기(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사방밸브(40)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관(12)은 압축기(1)에서 토출된 냉매와 오일 중 오일을 냉매와 분리하는 오일분리기(12A)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관(12)이 오일분리기(12A)를 포함할 경우, 토출관(12)는 일단이 압축기(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오일분리기(12A)에 연결된 오일분리기 입구관(12B)과, 일단이 오일분리기(12A)에 연결되고 타단이 사방밸브(40)에 연결된 오일분리기 출구관(12C)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오일분리기 입구관(12B), 오일분리기(12A) 및 오일분리기 출구관(12C)는 함께 토출관(12)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오일분리기(12A)를 포함할 경우, 오일분리기(12A)에는 냉매와 분리된 오일을 압축기(10) 또는 흡입관(11)로 안내하는 오일회수관(13)이 연결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20)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20)는 냉방운전시, 사방밸브(40)에서 유동된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시키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고, 난방운전시, 실외팽창기구(30)를 통과한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시켜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잇다.
실외기(1)는 실외열교환기(20)로 실외공기를 송풍하는 실외팬(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팬(22)는 실외열교환기(20) 주변에 설치되어 실외열교환기(20)로 실외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실외팽창기구(30)는 실외열교환기(20)와 실외팽창기구 연결관(3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외팽창기구(30)는 액관(60) 및 실외팽창기구 연결관(32) 사이에 설치되어 냉매를 감압시킬 수 있다. 실외팽창기구(30)는 캐필러리 튜브로 구성되거나 개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팽창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사방밸브(40)는 토출관(12)과 연결될 수 있고, 실외열교환기(20)와 실외열교환기 연결관(4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방밸브(40)는 삼방밸브(50)와 제1 사방밸브 연결관(44) 및 제2 사방밸브 연결관(46)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방밸브(4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모드로 운전될 수 있고, 토출관(12)에서 유입된 냉매를 실외열교환기 연결관(42)으로 안내할 수 있고, 제2사방밸브 연결관(46)에서 유입된 냉매를 제1사방밸브 연결관(44)으로 안내할 수 있다.
사방밸브(4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모드로 운전될 수 있고, 사방밸브(40)는 토출관(12)에서 유입된 냉매를 제2사방밸브 연결관(46)로 안내하고, 실외열교환기 연결관(42)에서 유입된 냉매를 제1사방밸브 연결관(44)로 안내할 수 있다.
삼방밸브(50)는 하나의 출구포트(52)와, 한 쌍의 입출구포트(54)(56)을 포함할 수 있다.
삼방밸브는 제1사방밸브 연결관(44)이 연결된 출구포트(52)와, 가스관(70)이 연결된 제1입출구포트(54)와, 제2사방밸브 연결관(46)이 연결된 제2입출구포트(56)를 포함할 수 있다.
삼방밸브(50)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기계식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삼방밸브(50)는 출구포트(52)와 제1출입포트(54) 및 제2출입포트(56)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된 밸브 바디(57)와; 밸브 바디(57)에 배치되어 출구포트(52)와 제2출입포트(56)를 선택적으로 막게 배치된 개폐부재(미도시)와, 개폐부재(미도시)을 조작하는 레버(58)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재는 볼 형상 또는 판체 형상일 수 있고, 레버(58)에 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개폐부재가 볼 형상일 경우, 삼방밸브(50)는 레버(58)에 의해 조작되는 3-WAY 볼 밸브일 수 있다.
레버(58)의 조작시, 개폐부재는 출구포트(52)와 제2출입포트(56) 중 어느 하나를 막고, 다른 하나를 개방하게 회전되거나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레버(58)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개폐부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포트(52)를 개방하면서 제2출입포트(56)를 막을 수 있고, 이 경우, 삼방밸브(50)는 동시형 모드일 수 있다.
레버(58)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개폐부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출입포트(56)를 개방하면서 출구포트(52)를 막을 수 있고, 이 경우 삼방밸브(50)는 절환형 모드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일 예는 액관(60)과 가스관(70) 및 고압 가스관(80)이 복수개 실내기(4)(5)(6)(7)와 연결된 분배기(8)에 접속될 수 있고, 이 경우 실외기(1)는 동시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다른 예는 액관(60) 및 가스관(70) 실내기(4)(5)(6)(7)와 접속될 수 있고, 고압 가스관(80)은 일단이 토출관(12)에 연결되고 타단이 막힐 수 있으며, 이 경우 실외기(1)는 절환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될 수 있다. 절환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는 고압 가스관(80)이 실외기 내부에만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 실내기(4)(5)(6)(7)는 고압 가스관(80)과 연결되지 않는다.
액관(60)는 실외팽창기구(30)에 연결될 수 있다.
가스관(70)은 삼방밸브(50)에 연결될 수 있다. 가스관(70)은 삼방밸브(50)의 제1입출구포터(54)에 연결될 수 있다.
고압 가스관(80)은 토출관(12)에 연결될 수 있다. 고압 가스관(80)의 관경은 가스관(70)의 관경 보다 작다.
실외기(1)는 액관(60), 가스관(70) 및 고압 가스관(80) 모두가 분배기(8)에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공기조화기는 실외기(1)와 복수개 실내기(4)(5)(6)(7)이 분배기(8)를 통해 연결되는 동시형 공기조화기일 수 있다.
액관(6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8)에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냉방운전시 실외팽창기구(30)에 의해 감압된 냉매를 분배기(8)로 안내할 수 있고, 난방운전시 분배기(8)에서 유동된 냉매를 실외팽창기구(30)으로 안내할 수 있다.
가스관(7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8)에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냉방운전이거나 난방운전일 때, 분배기(8)에서 유동된 냉매를 삼방밸브(50)의 제1입출구포트(54)로 안내할 수 있고, 가스관(70)은 분배기(8)에서 유동된 저압 냉매를 삼방밸브(50)로 안내하는 저압 가스관으로 기능할 수 있다.
고압 가스관(8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8)에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냉방운전 및 난방운전시 압축기(10)에서 토출관(12)으로 토출된 냉매 중 일부를 분배기(8)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1)는 액관(60) 및 가스관(70)이 복수개 실내기(4)(5)(6)(7)와 연결되고, 이 경우, 공기조화기는 별도의 분배기(8)를 포함하지 않는 절환형 공기조화기일 수 있다.
절환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액관(6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실내기(4)(5)(6)(7)에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냉방운전시 실외팽창기구(30)에 의해 감압된 냉매를 복수개 실내기(4)(5)(6)(7)로 안내할 수 있고, 난방운전시 복수개 실내기(4)(5)(6)(7)에서 유동된 냉매를 실외팽창기구(30)로 안내할 수 있다.
절환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가스관(7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실내기(4)(5)(6)(7)에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냉방운전시 복수개 실내기(4)(5)(6)(7)에서 유동된 냉매를 삼방밸브(50)의 제1입출구포트(54)로 안내할 수 있고, 난방운전시, 삼방밸브(50)에서 유동된 냉매를 복수개의 실내기(4)(5)(6)(7)로 안내할 수 있다.
절환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고압 가스관(80)은 실내기에 연결되지 않고, 냉매가 흐르지 않게 막힐 수 있다. 고압 가스관(80)은 동시형 공기조화기의 경우에만 사용되는 관일 수 있고, 절환형 공기조화기에서는 그 내부유로가 막힌 차폐관일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분배기(8)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배기(8)는 실외기(1)의 액관(60)과 연결되고, 복수개의 실내기(4)(5)(6)(7)의 각각과 실내액관(4b)(5b)(6b)(7b)으로 연결된 액 파이프(120)를 포함한다.
분배기(8)는 실외기(1)의 가스관(70)과 연결되고 복수개의 실내기(4)(5)(6)(7)의 각각과 실내기관(4a)(5a)(6a)(7a)으로 연결되는 저압 가스 파이프(118)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8)는 실외기(1)의 고압가스관(80)과 연결되고 실내기관(4a)(5a)(6a)(7a)과 분지관(4c)(5c)(6c)(7c)으로 각각 연결된 고압 가스 파이프(119)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8)은 복수개의 실내기(4)(5)(6)(7)와 저압 가스 파이프(118) 사이의 냉매 흐름을 제어하도록 실내기관(4a)(5a)(6a)(7a)에 설치되고 개도 조절이 가능한 저압 밸브(121)(122)(123)(12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8)는 복수개의 실내기(4)(5)(6)(7)와 고압 가스 파이프(119) 사이의 냉매 흐름을 제어하도록 분지관(4c)(5c)(6c)(7c)에 설치되고 개도 조절이 가능한 고압 밸브(131)(132)(133)(13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8)는 복수개의 실내기(4)(5)(6)(7)의 운전에 따라 저압 밸브(121)(122)(123)(124)와 고압 밸브(131)(132)(133)(134)가 조절된다.
분배기(8)는 복수개의 실내기(4)(5)(6)(7)가 모두 냉방일 경우 모든 저압 밸브(121)(122)(123)(124)를 오픈할 수 있고 모든 고압 밸브(131)(132)(133)(134)를 클로즈할 수 있다.
분배기(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인 실내기(4)(5)(6)가 난방인 실내기(7) 보다 더 많은 냉방 주체 운전일 경우, 냉방인 실내기(4)(5)(6)의 실내기관(4a)(5a)(6a)에 설치된 저압밸브(121)(122)(123)를 오픈하고, 난방인 실내기(7)의 실내기관(7a)에 연결된 분지관(7c)의 고압밸브(134)를 오픈할 수 있다.
분배기(8)는 복수개의 실내기(4)(5)(6)(7)가 난방일 경우 모든 고압밸브(122)를 오픈할수 있고, 모든 저압밸브(121)를 클로즈할 수 있다.
분배기(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인 실내기(4)(5)(6)가 냉방인 실내기(7) 보다 더 많은 난방 주체 운전일 경우, 난방인 실내기(4)(5)(6)의 실내기관(4a)(5a)(6a)에 연결된 분지관(4c)(5c)(6c)의 고압밸브(131)(132)(133)를 오픈하고, 냉방인 실내기(7)의 실내기관(4a)에 설치된 저압밸브(124)를 개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실외기(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0), 실외팬(22), 실외팽창기구(30) 및 사방밸브(40)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는 복수개의 실내기(4)(5)(6)(7) 및/또는 분배기(8)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는 통신부를 통해 복수개의 실내기(4)(5)(6)(7) 및/또는 분배기(8)와 통신할 수 있다.
삼방밸브(50)가 사용자나 설치자에 의해 조작되는 기계식 밸브이므로, 실외기(1)의 제어부(100)는 삼방밸브(50)와 연결되지 않고, 사용자나 설치자나 판매자는 실외기(1)의 설치시 동시형 공기조화기와 절환형 공기조화기의 여부에 따라 삼방밸브(50)의 레버(58)를 조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삼방밸브(50')는 전자 삼방밸브로 구성될 수 있고, 삼방밸브(50')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레버(59) 대신에 솔레노이드 기구가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100)는 삼방밸브(50') 특히, 솔레노이드 기구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삼방밸브(5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삼방밸브(50')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삼방밸브와 같이, 밸브 바디(57)와;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 일실시예의 레버(58) 대신에,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되어 개폐부재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동시형 공기조화기와 절환형 공기조화기의 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나 설치자나 제조자는 동시형 공기조화기와 절환형 공기조화기의 여부를 입력부로 입력하면, 제어부(100)는 입력부에서 입력된 여부에 따라, 삼방밸브(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입력부를 통해 동시형 공기조화기가 선택되면, 삼방밸브(50')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입출구포트(56)가 막히고 출구포트(52)가 개방되게 제어할 수 있고, 입력부를 통해 절환형 공기조화기가 선택되면, 삼방밸브(50')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포트(52)가 막히고, 제2입출구포트(56)이 개방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실외기 10: 압축기
11: 흡입관 12: 토출관
20: 실외열교환기 30: 실외팽창기구
32: 실외팽창기구 연결관 40: 사방밸브
42: 실외열교환기 연결관 44: 제1사방밸브 연결관
46: 제2사방밸브 연결관 50: 삼방밸브
52: 출구포트 54: 제1입출구 포트
56: 제2입출구 포트

Claims (10)

  1. 흡입관 및 토출관이 연결된 압축기와,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는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실외팽창기구 연결관으로 연결된 실외팽창기구와;
    상기 토출관과 연결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 연결관으로 연결된 사방밸브와;
    상기 사방밸브와 제1 사방밸브 연결관 및 제2 사방밸브 연결관으로 연결된 삼방밸브와;
    상기 실외팽창기구에 연결된 액관과;
    상기 삼방밸브에 연결된 가스관과;
    상기 토출관에 연결된 고압 가스관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제1사방밸브 연결관에 연결되며,
    상기 삼방밸브는
    상기 제1사방밸브 연결관이 연결된 출구포트와,
    상기 가스관이 연결된 제1입출구포트와,
    상기 제2사방밸브 연결관이 연결된 제2입출구포트를 포함하는 실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관과 가스관 및 고압 가스관은 복수개 실내기와 연결된 분배기에 접속된 실외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관 및 가스관은 실내기와 접속되고,
    상기 고압 가스관은 일단이 토출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막힌 실외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삼방밸브는
    출구포트와 제1출입포트 및 제2출입포트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된 밸브 바디와;
    상기 밸브 바디에 배치되어 출구포트와 제2출입포트를 선택적으로 막게 배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을 조작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실외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삼방밸브는
    출구포트와 제1출입포트 및 제2출입포트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된 밸브 바디와;
    상기 밸브 바디에 배치되어 출구포트와 제2출입포트를 선택적으로 막게 배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 기구를 포함하는 실외기.
  6.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와 연결되거나 분배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연결된 복수개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기는
    흡입관 및 토출관이 연결된 압축기와,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는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실외팽창기구 연결관으로 연결된 실외팽창기구와;
    상기 토출관과 연결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 연결관으로 연결된 사방밸브와;
    상기 사방밸브와 제1 사방밸브 연결관 및 제2 사방밸브 연결관으로 연결된 삼방밸브와;
    상기 실외팽창기구에 연결된 액관과;
    상기 삼방밸브에 연결된 가스관과;
    상기 토출관에 연결된 고압 가스관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제1사방밸브 연결관에 연결되며,
    상기 삼방밸브는
    상기 제1사방밸브 연결관이 연결된 출구포트와,
    상기 가스관이 연결된 제1입출구포트와,
    상기 제2사방밸브 연결관이 연결된 제2입출구포트를 포함하는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관과 가스관 및 고압 가스관은 상기 분배기에 접속된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관 및 가스관은 상기 실내기와 접속되고,
    상기 고압 가스관은 일단이 토출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막힌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삼방밸브는
    출구포트와 제1출입포트 및 제2출입포트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된 밸브 바디와;
    상기 밸브 바디에 배치되어 출구포트와 제2출입포트를 선택적으로 막게 배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조작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삼방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삼방밸브는
    출구포트와 제1출입포트 및 제2출입포트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된 밸브 바디와;
    상기 밸브 바디에 배치되어 출구포트와 제2출입포트를 선택적으로 막게 배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 기구를 포함하는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170122631A 2017-09-22 2017-09-22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Active KR102363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631A KR102363894B1 (ko) 2017-09-22 2017-09-22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631A KR102363894B1 (ko) 2017-09-22 2017-09-22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907A true KR20190033907A (ko) 2019-04-01
KR102363894B1 KR102363894B1 (ko) 2022-02-17

Family

ID=6610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631A Active KR102363894B1 (ko) 2017-09-22 2017-09-22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8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105536A1 (ko) * 2023-11-13 2025-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613B1 (ko) * 1993-01-25 2001-11-30 오가와 히로히사 공기조화기용4웨이절환밸브와이를구비한인입밸브
KR20090044498A (ko) 2007-10-31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사방밸브 제어방법
KR101250550B1 (ko) 2006-12-27 2013-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배관설정방법
KR101266120B1 (ko) * 2005-04-27 2013-05-27 이글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절환밸브
KR20160055583A (ko) * 2014-11-10 201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히트 펌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613B1 (ko) * 1993-01-25 2001-11-30 오가와 히로히사 공기조화기용4웨이절환밸브와이를구비한인입밸브
KR101266120B1 (ko) * 2005-04-27 2013-05-27 이글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절환밸브
KR101250550B1 (ko) 2006-12-27 2013-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배관설정방법
KR20090044498A (ko) 2007-10-31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사방밸브 제어방법
KR20160055583A (ko) * 2014-11-10 201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히트 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105536A1 (ko) * 2023-11-13 2025-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894B1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804B1 (ko) 2배관식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100442392B1 (ko) 한 쌍의 실외열교환기를 구비한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EP1703230B1 (en) Multi type air-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477347B2 (ja) 遮断可能な複数の分配機を有するマルチ空気調和機
JP4331544B2 (ja) 冷暖房同時型マルチ空気調和機
JP4909093B2 (ja) マルチ型空気調和機
JP2008513725A (ja) 再熱およびエコノマイザ機能を備えたヒートポンプ
EP2829821B1 (en) Heat pump
KR100511286B1 (ko) 동시 제상 및 난방 운전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및 자체제상 사이클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US11680740B2 (en) Gas-liquid separato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US11499727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0619756B1 (ko) 열교환용량 조절가능한 실외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1288745B1 (ko) 공기조화기
CN101280949A (zh) 针对多空气调节器的室外单元
KR101186331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
JP7350888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0048506A (ja) マルチ型空気調和機
KR20140139240A (ko) 공기조화 시스템
KR200469716Y1 (ko) 공조시스템
JP2017142027A (ja) 空気調和装置
KR20190033907A (ko) 실외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1218862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 조화기
KR102337394B1 (ko) 공기조화기
CN213272814U (zh) 多联式空调系统
KR102078278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7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9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0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