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560A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2560A KR20190032560A KR1020197005898A KR20197005898A KR20190032560A KR 20190032560 A KR20190032560 A KR 20190032560A KR 1020197005898 A KR1020197005898 A KR 1020197005898A KR 20197005898 A KR20197005898 A KR 20197005898A KR 20190032560 A KR20190032560 A KR 201900325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rigerant
- pressure
- valve
- compressor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25B41/043—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3—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 F25B41/3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via diaphrag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16K31/126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one side of the diaphragm being spring load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16K31/126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one side of the diaphragm being acted upon by the circulating flu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85—Dispositions with two or more expansion means arranged in parallel on a refrigerant line leading to the same evapora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9—Dispositions with two or more expansion means arranged in series, i.e. multi-stage expansion, on a refrigerant line leading to the same evapora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1/00—Details of ejectors not being used as compression device; 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1—Pressures near an expansion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공기 조화기(10)는, 냉매 회로(13)와, 냉매를 구비하고 있다. 냉매 회로(13)는, 압축기(1), 응축기(2), 압력조정밸브(3) 및 증발기(4)를 갖는다. 냉매는, R32이다. 압력조정밸브(3)는, 응축기(2)로부터 유입한 냉매를 증발기(4)에 흘리는 유로(33)와, 유로(33)로부터 구획되면서 불활성 가스가 봉입된 압력기준실(S2)과, 유로(33) 내에 배치된 밸브부(34)를 포함하고 있다. 압력조정밸브(3)는, 밸브부(34)의 밸브개방도를 조정함에 의해 유로(33)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 가능하다. 밸브부(34)는, 유로(33) 내의 압력이 압력기준실(S2) 내의 압력보다도 커지면 밸브개방도를 증가시키고, 유로(33) 내의 압력이 압력기준실(S2) 내의 압력보다도 작아지면 밸브개방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air conditioner (10) is provided with a refrigerant circuit (13) and a refrigerant. The refrigerant circuit 13 has a compressor 1, a condenser 2, a pressure regulating valve 3 and an evaporator 4. The refrigerant is R32.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3 includes a flow path 33 for flowing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ndenser 2 to the evaporator 4, a pressure reference chamber S2 which is partitioned from the flow path 33 and in which the inert gas is sealed, And a valve portion 34 disposed in the valve body 33.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3 is capable of regulat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33 by adjusting the valv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portion 34. The valve portion 34 increase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valve when the pressure in the flow path 33 is larger than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reference chamber S2 and the valve 34 is closed when the pressure in the flow path 33 becomes smaller than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reference chamber S2, And is configured to reduce the opening degree.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지구 환경을 고려하여, 저(低)GWP(Global Warming Potential : 지구 온난화 계수)냉매를 사용한 냉매 절약의 공기 조화기가 요구되고 있다. 저GWP 냉매를 사용한 냉매 절약의 공기 조화기를 실현하는 냉매로서 R32가 사용되고 있다. R32는, 폴리트로프 지수(指數)가 작고,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오르기 쉬운 냉매이다. 그 때문에, 냉매로서 R32가 사용되면, 고외기(高外氣)로서 응축 온도가 높은 때에 냉매의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오르기 쉬워진다. 냉매의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올라가면 압축기가 고장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압축기가 고장나지 않도록 냉매의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도 상승하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In consideration of the global environment, there is a demand for a refrigerant saving air conditioner using a low global warming potential (GWP) refrigerant. R32 is used as a refrigerant for realizing an air conditioner for refrigerant saving using low GWP refrigerant. R32 is a refrigerant whose polytropic index is small and the discharge temperature from the compressor is likely to rise. Therefore, when R32 is used as the refrigerant, the discharging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becomes high when the condensation temperature is high as the high outside air. It is required that the discharge temperature from the compressor of the refrigerant does not rise above the set temperature in order to prevent the compressor from failing because the compressor may be broken if the discharge temperature from the compressor of the refrigerant is increased.
그 때문에, 종래, 냉매로서 R32가 사용된 공기 조화기에서는, LEV(Linear Expansion Valve : 전자 팽창밸브)를 이용하여 냉매의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조절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냉매의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온도를 검출한 서미스터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마이크로 컴퓨터가 LEV의 밸브개방도를 제어함에 의해, 냉매의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도 상승하지 않도록 조절되고 있다.Therefore, conventionally, in the air conditioner in which R32 is used as the refrigerant, the discharge temperature from the compressor of the refrigerant is controlled by using LEV (Linear Expansion Valve). More specifically, the microcomputer controls the valve opening degree of the LEV based on a signal from the thermistor that detects the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so that the discharge temperature from the compressor of the refrigerant is adjusted so as not to rise above the set temperature have.
냉매로서 R32가 사용되고, LEV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16-109356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R32 is used as the refrigerant, and the air conditioner having the LEV is disclosed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6-109356 (Patent Document 1).
상기한 공보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서는, LEV의 밸브개방도의 조정에 대한 냉매의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온도의 응답 시간이 길다. 그 때문에, 냉매의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온도의 상승에 대해, LEV의 밸브개방도의 조정이 안맞아서, 냉매의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도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냉매량이 적어지면 LEV의 밸브개방도의 조정에 대한 냉매의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온도의 응답 시간은 짧아진다. 그 때문에, 냉매의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설정 온도로 되도록 LEV의 밸브개방도가 조정되어도, 냉매의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설정 온도의 상하의 온도가 되는 현상(헌팅)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In the air conditioner described in the above publication, the response time of the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to the adjustment of the valve opening degree of the LEV is long.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alve opening degree of the LEV is not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rise of the discharge temperature from the compressor of the refrigerant, and the discharge temperature from the compressor of the refrigerant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Further, when the amount of refrigerant is decreased, the response time of the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to the adjustment of the valve opening degree of the LEV is shortened. Therefore, even if the valve opening degree of the LEV is adjusted such that the discharge temperature from the compressor of the refrigerant becomes the set tempera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henomenon (hunting) occurs in which the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becomes the upper and lower temperatures of the set temperature.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냉매의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저GWP 냉매를 사용한 냉매 절약의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for refrigerant saving that can suppress the rise of the discharge temperature from the compressor of the refrigerant and use the low GWP refrigerant.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냉매 회로와, 냉매를 구비하고 있다. 냉매 회로는, 압축기, 응축기, 압력조정밸브 및 증발기를 갖는다. 냉매는, 냉매 회로를, 압축기, 응축기, 압력조정밸브, 증발기의 순서로 흐른다. 냉매는, R32이다. 압력조정밸브는, 응축기로부터 유입한 냉매를 증발기에 흘리는 유로와, 유로로부터 구획되면서 불활성 가스가 봉입된 압력기준실과, 유로 내에 배치된 밸브부를 포함하고 있다. 압력조정밸브는, 밸브부의 밸브개방도(弁開度)를 조정함에 의해 유로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 가능하다. 밸브부는, 유로 내의 압력이 압력기준실 내의 압력보다도 커지면 밸브개방도를 증가시켜서, 유로 내의 압력이 압력기준실 내의 압력보다도 작아지면 밸브개방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frigerant circuit and a refrigerant. The refrigerant circuit has a compressor, a condenser, a pressure regulating valve and an evaporator.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refrigerant circuit in the order of the compressor, the condenser,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and the evaporator. The refrigerant is R32.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includes a flow path for flowing th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condenser into the evaporator, a pressure reference chamber in which the inert gas is enclosed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flow path, and a valve portion disposed in the flow path.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is capable of regulat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by adjusting the valv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portion. The valve portion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valve opening degree when the pressure in the flow passage becomes larger than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reference chamber and to decrease the valve opening degree when the pressure in the flow passage becomes smaller than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reference chamber.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압력기준실 내의 압력을 냉매의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설정 온도에서의 유로 내의 압력으로 설정함으로써, 유로 내의 압력이 압력기준실 내의 압력보다도 커지면 밸브부의 밸브개방도를 증가시켜서, 냉매의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도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매의 압축기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도 상승하기 전에 밸브부의 밸브개방도를 조정함에 의해 헌팅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R32는 저GWP 냉매이다. 이에 의해, 저GWP 냉매를 사용한 냉매 절약의 공기 조화기를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reference chamber to the pressure in the flow path at the set temperature, the discharge temperature from the compressor of the refrigerant is set to be higher than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reference chamber, So that the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can be prevented from rising above the set temperature. In addition, occurrence of hunting can be suppressed by adjusting the valv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portion before the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And R32 is a low GWP refrigerant. Thereby,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air conditioner for refrigerant saving using a low GWP refrigera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공기 조화기의 압력조정밸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공기 조화기의 밸브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비교례에서의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공기 조화기의 변형례의 압력조정밸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refrigerant circu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pressure regulating valv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3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alve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frigerant circuit of an air conditioner in a comparative example;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refrigerant circu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refrigerant circu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pressure regulating valv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의 형태 1.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공기 조화기(1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공기 조화기(10)는, 냉방 전용기이다. 즉, 본 실시의 형태의 공기 조화기(10)는 냉방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만 난방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1, the configuration of the
본 실시의 형태의 공기 조화기(10)는, 압축기(1)와, 응축기(2)와, 압력조정밸브(3)와, 증발기(4)와, 응축기용 송풍기(5)와, 증발기용 송풍기(6)와, 배관(PI1∼PI4)과, 냉매를 주로 갖고 있다. 압축기(1)와, 응축기(2)와, 압력조정밸브(3)와, 응축기용 송풍기(5)는 실외기(11)에 수용되어 있다. 증발기(4)와, 증발기용 송풍기(6)는 실내기(12)에 수용되어 있다.The
냉매 회로(13)는, 압축기(1), 응축기(2), 압력조정밸브(3) 및 증발기(4)를 갖는다. 압축기(1)와, 응축기(2)와, 압력조정밸브(3)와, 증발기(4)가 배관(PI1∼PI4)을 통하여 연통됨에 의해 냉매 회로(13)가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축기(1)와 응축기(2)는 서로 배관(PI1)으로 접속되어 있다. 응축기(2)와 압력조정밸브(3)는 서로 배관(PI2)으로 접속되어 있다. 압력조정밸브(3)와 증발기(4)는 서로 배관(PI3)으로 접속되어 있다. 증발기(4)와 압축기(1)는 서로 배관(PI4)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냉매 회로(13)는, 압축기(1), 배관(PI1), 응축기(2), 배관(PI2), 압력조정밸브(3), 배관(PI3), 증발기(4), 배관(PI4)의 순서로 냉매가 순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냉매는, 냉매 회로(13)를, 압축기(1), 응축기(2), 압력조정밸브(3), 증발기(4)의 순서로 흐른다. 냉매는, R32이다. 냉매 회로(13)를 흐르는 냉매의 양은 300g 이상 50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압축기(1)는, 냉매를 압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1)는 흡입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축기(1)는 용량 가변(可變)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압축기(1)는, 회전수를 가변으로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축기(1)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구동 주파수가 변경됨에 의해, 압축기(1)의 회전수가 조정된다. 이에 의해, 압축기(1)의 용량이 변화한다. 이 압축기(1)의 용량은 단위시간당의 냉매를 송출하는 양이다. 즉, 압축기(1)는 고용량 운전 및 저용량 운전을 행할 수가 있다. 고용량 운전에서는, 압축기(1)의 구동 주파수를 높게 함에 의해 냉매 회로(13)를 순환하는 냉매의 유량을 많게 하여 운전이 행하여진다. 저용량 운전에서는, 압축기(1)의 구동 주파수를 낮게 함에 의해 냉매 회로(13)를 순환하는 냉매의 유량을 적게 하여 운전이 행하여진다.The compressor (1) is configured to compress the refrigerant. In addition, the
응축기(2)는, 압축기(1)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응축기(2)는, 파이프와 핀으로 구성된 공기 열교환기이다. 압력조정밸브(3)는, 응축기(2)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감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력조정밸브(3)는, 팽창밸브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압력조정밸브(3)는, 기계식의 압력 제어 밸브이다. 또한, 압력조정밸브(3)는, 압력조정밸브(3)를 통과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압력조정밸브(3)를 통과하는 냉매의 유량은, 단위시간당의 유량이다. 증발기(4)는, 압력조정밸브(3)에 의해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증발기(4)는, 파이프와 핀으로 구성된 공기 열교환기이다.The condenser (2) is configured to condense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1). The condenser (2) is an air heat exchanger composed of a pipe and a fin. The
응축기용 송풍기(5)는, 응축기(2)에서의 실외의 공기와 냉매와의 열교환량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응축기용 송풍기(5)는 팬(5a)과 모터(5b)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5b)는, 팬(5a)을 회전수 가변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모터(5b)는 팬(5a)을 회전수 일정하게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증발기용 송풍기(6)는, 증발기(4)에서의 실내의 공기와 냉매와의 열교환량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증발기용 송풍기(6)는, 팬(6a)과 모터(6b)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6b)는, 팬(6a)을 회전수 가변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모터(6b)는 팬(6a)을 회전수 일정하게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The blower (5) for the condenser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mount of heat exchange between the outdoor air and the refrigerant in the condenser (2). 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압력조정밸브(3)의 구성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압력조정밸브(3)는, 케이스(31)와, 다이어프램(32)과, 유로(33)와, 밸브부(34)와, 스프링(35)과, 칸막이 부재(36)를 갖고 있다. 압력조정밸브(3)는, 밸브부(34)의 밸브개방도를 조정함에 의해 유로(33)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케이스(31)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케이스(31)의 내측에 다이어프램(32)이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31)는, 다이어프램(32)으로 구획된 제1실(S1)과, 제2실(S2)을 갖고 있다.A
제1실(S1)은, 응축기(2)로부터 유입한 냉매를 증발기(4)에 흘리는 유로(33)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실(S1)은, 유입부(31a) 및 유출부(31b)를 갖고 있다. 유입부(31a)는 배관(PI2)에 접속되어 있다. 유출부(31b)는 배관(PI3)에 접속되어 있다. 제1실(S1)은, 냉매 회로를 흐르는 냉매가 배관(PI2)으로부터 유입부(31a)를 통과하여 제1실(S1)에 유입하고, 유출부(31b)를 통과하여 배관(PI3)에 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 중 화살표(A1)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매 회로를 흐르는 냉매는, 제1실(S1)에 유입부(31a)로부터 유입하고, 유출부(31b)로부터 유출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유입부(31a)로부터 유출부(31b)에 이르는 경로가 냉매의 유로(33)를 구성하고 있다.The first chamber S1 has a
제1실(S1)의 압력은, 유로(33) 내의 냉매의 압력이 된다. 제1실(S1)의 압력은, 응축기(2)로부터 유입한 냉매의 압력이기 때문에, 냉매 회로(13)를 흐르는 고압측의 냉매의 압력이다. 따라서 압력조정밸브(3)는, 고압의 압력조정밸브이다.The pressure in the first chamber S1 becomes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n the
제2실(S2)은 압력기준실(S2)을 구성하고 있다. 압력기준실(S2)은 유로(33)로부터 구획되어 있다. 압력기준실(S2)에는 불활성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압력기준실(S2)은 압력기준실(S2) 내에 불활성 가스가 봉입된 상태에서 밀폐되어 있다. 압력기준실(S2) 내의 압력은 불활성 가스의 압력이 된다. 불활성 가스는, 예를 들면 질소, 헬륨 등이다. 질소는 비용이 낮다는 이점이 있다. 헬륨은 안전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압력기준실(S2) 내의 압력은, 예를 들면 3㎫ 이상 4㎫ 이하이다.And the second chamber S2 constitutes the pressure reference chamber S2. The pressure reference chamber S2 is partitioned from the
다이어프램(32)은, 제1실(S1)의 압력과 제2실(S2)의 압력과의 차압(差壓), 즉, 유로(33) 내의 냉매의 압력과, 압력기준실(S2) 내의 불활성 가스의 압력과의 차압에 의해, 도 2중 양화살표(A2)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이어프램(32)은, 유로(33) 내의 냉매의 압력이 압력기준실(S2) 내의 불활성 가스의 압력보다도 큰 경우에는, 압력기준실(S2)측으로 볼록형상으로 만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 다이어프램(32)은, 유로(33) 내의 냉매의 압력이 압력기준실(S2) 내의 불활성 가스의 압력 이하인 경우에는, 평면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 경우에는, 다이어프램(32)은 압력기준실(S2)측으로 볼록형상으로 만곡하지 않는다.The
제1실(S1) 내에는, 밸브부(34)와, 스프링(35)과, 칸막이 부재(36)가 배치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36)는, 제1실(S1)을 유입부(31a)측의 제1 영역과, 유출부(31b)측의 제2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칸막이 부재(36)는, 유입부(31a)로부터 유출부(31b)에 이르는 유로(33)에서 유입부(31a)와 유출부(31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first chamber S1, a
밸브부(34)는, 밸브체(34a)와, 밸브시트(34b)를 갖고 있다. 밸브부(34)는, 밸브체(34a)와 밸브시트(34b) 사이의 간극에 의해 밸브개방도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밸브체(34a)는 축형상(軸狀)으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체(34a)의 일단(제1단)은 다이어프램(32)에 접속되어 있다. 밸브체(34a)의 타단(제2단)은 스프링(35)에 접속되어 있다. 밸브체(34a)는, 다이어프램(32)의 변형에 의해, 도 2 중 양화살표(A3)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밸브체(34a)는, 다이어프램(32)의 변형에 의해, 밸브체(34a)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밸브체(34a)는 일단부터 타단을 향하여 단면적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다. 밸브체(34a)는, 원추대형상(圓錐臺狀)으로 구성되어 있고, 축방향으로 밸브시트(34b)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밸브시트(34b)는, 칸막이 부재(36)에 마련되어 있다. 밸브시트(34b)는, 유입부(31a)로부터 유출부(31b)에 이르는 유로(33)에서, 유입부(31a)와 유출부(31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시트(34b)는, 밸브시트(34b)를 관통하는 밸브구멍(37)의 주위에 마련되어 있다. 밸브체(34a)가 다이어프램(32)의 변형에 의해 밸브체(34a)의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밸브체(34a)가 밸브시트(34b)로부터 떨어짐에 의해, 밸브구멍(37)이 열린다. 구체적으로는, 유로(33) 내의 냉매의 압력이 압력기준실(S2) 내의 불활성 가스의 압력보다도 커지면, 다이어프램(32)이 압력기준실(S2)측으로 볼록형상으로 만곡한다. 이 때문에, 다이어프램(32)에 접속된 밸브체(34a)가 밸브체(34a)의 축방향으로 압력기준실(S2)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밸브체(34a)의 타단이 밸브시트(34b)로부터 떨어짐에 의해, 밸브체(34a)로부터 밸브구멍(37)이 노출함으로써, 밸브구멍(37)이 열린다.The
밸브시트(34b)는, 제1실(S1)의 제1 영역측의 면(상면) 및 제1실(S1)의 제2 영역측의 면(하면)의 각각이 움푹패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밸브시트(34b)는, 제1실(S1)의 제1 영역측 및 제2 영역측의 각각에 오목부를 갖고 있다. 밸브시트(34b)는, 제1실(S1)의 제1 영역측의 오목부의 저부와 제1실(S1)의 제2 영역측의 오목부의 저부가 서로 연통하고 있다. 서로 연통하는 제1실(S1)의 제1 영역측의 오목부의 저부와 제1실(S1)의 제2 영역측의 오목부의 저부가 밸브구멍(37)을 구성하고 있다.The
구체적으로는, 밸브시트(34b)는, 제1실(S1)의 제1 영역측의 면 및 제2 영역측의 면의 각각이 유발형상(鉢狀)으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시트(34b)는, 제1실(S1)의 제1 영역측의 면이 제1실(S1)의 제2 영역을 향하여 직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유발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시트(34b)의 제1실(S1)의 제1 영역측의 면은, 제1실(S1)의 제2 영역을 향하여 직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유발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밸브부(34)는, 유로(33) 내의 압력이 압력기준실(S1) 내의 압력보다도 커지면 밸브개방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밸브부(34)는, 유로(33) 내의 압력이 압력기준실(S2) 내의 압력보다도 커지면, 밸브체(34a)가 밸브체(34a)의 축방향에서 다이어프램(32)측으로 이동함에 의해, 밸브체(34a)와 밸브시트(34b) 사이의 간극이 커짐으로써, 밸브개방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부(34)는, 유로(35) 내의 압력이 압력기준실(S2) 내의 압력보다도 작아지면 밸브개방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밸브부(34)는, 유로(35) 내의 압력이 압력기준실(S2) 내의 압력보다도 작아지면, 밸브체(34a)가 밸브체(34a)의 축방향에서 스프링(35)측으로 이동함에 의해, 밸브체(34a)와 밸브시트(34b) 사이의 간극이 작아짐으로써, 밸브개방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밸브부(34)는, 다이어프램(32)의 변형에 의해 밸브체(34a)가 밸브체(34a)의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밸브체(34a)와 밸브시트(34b) 사이의 간극의 크기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밸브부(34)는, 밸브체(34a)의 축방향의 이동량에 비례하여, 밸브부(34)의 밸브개방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스프링(35)은, 밸브체(34a)의 타단과 케이스(31)의 저부에 접속되어 있다. 스프링(35)은 탄성력에 의해 밸브체(34a)를 케이스(31)의 저부를 향하여 가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칸막이 부재(36)에는 세공(細孔)(38)이 마련되어 있다. 세공(38)은 칸막이 부재(36)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세공(38)은 유로(33)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세공(38)은 밸브체(34a)에 의해 닫혀지지 않고서 항상 열려 있기 때문에, 냉매는 항상 세공(38)을 통과하여 제1실(S1) 내를 제1 영역부터 제2 영역으로 흐르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세공(38)은 캐피럴리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즉, 냉매는 세공(38)을 통과함으로써 감압된다.The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의 공기 조화기(10)의 냉매 회로의 냉매의 흐름에 관해 설명한다.Next,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n the refrigerant circuit of the
도 1을 참조하면, 압축기(1)에 유입한 냉매는 압축기(1)에 의해 압축되어 고온 고압 가스 냉매가 된다. 압축기(1)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 가스 냉매는, 배관(PI1)을 통과하여 응축기(2)에 유입한다. 응축기(2)에 유입한 냉매는, 응축기(2)에서 공기와 열교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응축기(2)에서, 냉매는 공기 중으로의 방열(放熱)에 의해 응축되고, 공기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다. 응축기(2)에서 응축된 고압 액냉매는, 배관(PI2)을 통과하여 압력조정밸브(3)에 유입한다.Referring to Fig. 1,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압력조정밸브(3)에 유입한 냉매는, 압력조정밸브(3)에서 감압되어 저압의 기액 2상(相) 냉매가 된다. 압력조정밸브(3)에서 감압된 냉매는, 배관(PI3)을 통과하여 증발기(4)에 유입한다. 증발기(4)에 유입한 냉매는, 증발기(4)에서 공기와 열교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증발기(4)에서, 공기는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냉매는 저압 가스 냉매가 된다. 증발기(4)에서 감압되어 저압 가스가 된 냉매는, 배관(PI4)을 통과하여 압축기(1)에 유입한다. 압축기(1)에 유입한 냉매는, 재차 압축되고 가압되고 나서 압축기(1)로부터 토출된다.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계속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압력조정밸브(3)의 동작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유로(33) 내의 냉매의 압력이 압력기준실(S2) 내의 불활성 가스의 압력 이하면, 다이어프램(32)은 평면형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밸브체(34a)가 밸브시트(34b)에 접하여 있다. 이 때문에, 밸브구멍(37)이 밸브체(34a)에 의해 막혀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밸브부(34)는 닫혀져 있다.When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n the
유로(33) 내의 냉매의 압력이 압력기준실(S2) 내의 불활성 가스의 압력보다도 높아지면, 다이어프램(32)은 압력기준실(S2)측으로 볼록형상이 되도록 변형한다. 이 다이어프램(32)의 변형에 의해 밸브체(34a)가 밸브체(34a)의 축방향에서 압력기준실(S2)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밸브체(34a)가 밸브시트(34b)로부터 떨어진다. 이 상태에서 밸브부(34)는 열린다. 더욱, 다이어프램(32)의 변형에 의해 밸브체(34a)가 밸브체(34a)의 축방향에서 압력기준실(S2)측으로 이동하면, 밸브체(34a)와 밸브시트(34b) 사이의 간극이 커진다. 즉, 밸브부(34)의 밸브개방도가 커진다. 이에 의해, 압력조정밸브(3)를 흐르는 냉매량이 증가함으로써, 증발기(4)에 유입하는 냉매량도 증가한다. 이 때문에, 과열도(過熱度)(SH)가 작아진다. 따라서, 냉매의 압축기(1)로부터의 토출 온도의 상승이 억제된다.When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n the
또한, 밸브체(34a)의 축방향의 이동량은, 유로(33) 내의 냉매의 압력과, 압력기준실(S2) 내의 불활성 가스의 압력과, 밸브체(34a)에 접속된 스프링(35)의 가세력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밸브부(34)의 밸브개방도는, 밸브체(34a)와 밸브시트(34b) 사이의 간극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밸브체(34a)의 축방향의 이동량과, 밸브부(34)의 밸브개방도를 조정함에 의해, 압력조정밸브(3)를 흐르는 냉매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의 작용 효과에 관해 비교례와 대비하여 설명한다. 이하, 특히 설명하지 않는 한, 이 비교례에서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Next,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comparison with a comparative example. Hereinafter, unless otherwise described, in this comparative exampl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not be repeated.
도 4를 참조하면, 비교례의 공기 조화기(10)는, LEV(전자 팽창밸브)(30)와, 서미스터(7)와, 마이크로 컴퓨터(8)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본 실시의 형태의 공기 조화기(10)와 다르다. 비교례의 공기 조화기(10)에서는, 냉매의 압축기(1)로부터의 토출 온도를 검출한 서미스터(7)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마이크로 컴퓨터(8)가 LEV(30)의 밸브개방도를 제어함에 의해, 냉매의 압축기(1)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설정 온도(압축기(1)가 고장나지 않도록 설정된 온도)보다도 상승하지 않도록 조절되고 있다.4, the
본 실시의 형태의 공기 조화기(10)에서는, 냉매는 R32이다. R32는, 폴리트로프 지수가 작고, 압축기(1)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오르기 쉬운 냉매이기 때문에, 냉매로서 R32가 사용되면, 고외기(높은 외기 온도)에서 응축 온도가 높은 때에, 냉매의 압축기(1)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오르기 쉬워진다.In the
본 실시의 형태의 공기 조화기(10)에 의하면, 압력기준실(S2) 내의 압력을 냉매의 압축기(1)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설정 온도(압축기(1)가 고장나지 않도록 설정된 온도)에서의 유로(33) 내의 압력으로 설정함으로써, 유로(33) 내의 압력이 압력기준실(S2) 내의 압력보다도 커지면 밸브부(34)의 밸브개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냉매의 압축기(1)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도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압력조정밸브(3)를 흐르는 냉매량을 증가시킴에 의해, 증발기(4)에 유입하는 냉매량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과열도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냉매의 압축기(1)로부터의 토출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매의 압축기(1)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도 상승하기 전에 밸브부(34)의 밸브개방도를 조정함에 의해 헌팅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R32는 저GWP 냉매이다. 이에 의해, 저GWP 냉매를 사용한 냉매 절약의 공기 조화기(10)를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또한, 비교례의 공기 조화기(10)에서는, 냉매의 압축기(1)로부터의 토출 온도를 조정하기 위해, LEV(30), 서미스터(7), 마이크로 컴퓨터(8)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공기 조화기(10)의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 또한, 공기 조화기(10)의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이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의 공기 조화기(10)에서는, 압력조정밸브(3)에 의해 냉매의 압축기(1)로부터의 토출 온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조화기(10)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공기 조화기(10)의 제조 비용을 낮게 할 수 있다.Since the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공기 조화기(10)에서는, 압력조정밸브(3)는, 밸브부(34)의 밸브개방도를 조정함에 의해 유로(33)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 가능하기 때문에, 가령 밸브부(34)가 단순하게 개폐(ON/OFF)되는 경우에 비하여, 헌팅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매의 유량의 제어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the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공기 조화기(10)에서는, 냉매 회로(13)를 흐르는 냉매의 양은 300g 이상 500g 이하이다. 경제산업성(經濟産業省)의 자료(2003년 신고(屈出)외(外) 배출량의 추계 방법 등에 관한 자료)에 의하면, 룸 에어컨의 평균 냉매 프론 충전량은 800g이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의 공기 조화기(10)에서는, 냉매의 양을 룸 에어컨의 평균 냉매 프론 충전량인 800g의 반분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냉매의 양을 룸 에어컨의 평균 냉매 프론 충전량의 반분인 400g의 ±100g라면, 냉각 능력을 유지하면서 냉매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In the
비교례의 공기 조화기(10)에서는, 냉매량이 적어지면, LEV(30)의 밸브개방도의 조정에 대한 냉매의 압축기(1)로부터의 토출 온도의 응답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설정 온도에 대해 헌팅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의 공기 조화기(10)에서는, 압력기준실(S2) 내의 압력을 기준으로 하여 밸브부(34)의 밸브개방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냉매량이 적어져도 설정 온도에 대한 헌팅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the
본 실시의 형태의 공기 조화기(10)에서는, 압축기(1)는, 회전수를 가변으로 제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압축기(1)의 회전수를 가변으로 제어함에 의해,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의 회전수가 올라감에 의해, 냉매의 압축기(1)로부터의 토출 온도가 올라가는 경우에도, 압력기준실(S2) 내의 압력을 기준으로 하여 밸브부(34)의 밸브개방도를 증가시킴에 의해 압축기(1)의 냉매의 토출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실시의 형태 2.Embodiment 2:
이하, 특히 설명하지 않는 한,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Hereinafter, unless otherwise described, i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공기 조화기(10)는, 상기한 실시의 형태 1의 공기 조화기(10)에 비하여, 압력조정밸브(3)의 구성이 다르다.Referring to Fig. 5, the
본 실시의 형태의 공기 조화기(10)에서는, 압력조정밸브(3)는 캐피럴리(39)를 포함하고 있다. 캐피럴리(39)는, 압력조정밸브(3)의 케이스(31)와 증발기(4)에 접속되어 있다. 압력조정밸브(3)의 케이스(31) 내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의 구성과 동일하다. 캐피럴리(39)는, 냉매 회로(13)에서의 밸브부(34)와 증발기(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캐피럴리(39)에 의해 냉매를 감압할 수 있다.In the air conditioner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3) includes a capillary (39). The capillary 39 is connected to the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캐피럴리(39)에 의해 냉매의 감압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냉매의 감압의 조정이 용이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pressurization of the refrigerant can be adjusted by the capillary (39). Therefore, it is easy to adjust the decompression of the refrigerant.
실시의 형태 3.
이하, 특히 설명하지 않는 한,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Hereinafter, unless otherwise described, in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공기 조화기(10)는, 상기한 실시의 형태 1의 공기 조화기(10)와 비교하여, 압력조정밸브(3)의 구성이 다르다.Referring to Fig. 6, the
본 실시의 형태의 공기 조화기(10)에서는, 압력조정밸브(3)는 캐피럴리(39)를 포함하고 있다. 캐피럴리(39)는, 냉매 회로(13)에서의 압력조정밸브(3)의 케이스(31)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압력조정밸브(3)의 케이스(31) 내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의 구성과 동일하다. 캐피럴리(39)는, 냉매 회로(13)에서의 밸브부(34)와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캐피럴리(39)에 의해 냉매를 감압할 수 있다.In the air conditioner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3) includes a capillary (39). The capillary 39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캐피럴리(39)에 의해 냉매의 감압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냉매의 감압의 조정이 용이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pressurization of the refrigerant can be adjusted by the capillary (39). Therefore, it is easy to adjust the decompression of the refrigerant.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실시의 형태 3의 공기 조화기(10)의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이 변형례는, 실시의 형태 1과는 세공(38)이 마련되지 않은 점에서 다르다. 이 변형례에서는, 캐피럴리(39)가 냉매 회로(13)에서의 밸브부(34)와 병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시의 형태 1의 세공(38)이 마련되지 않아도, 캐피럴리(39)에 의해 냉매 회로(13)에 냉매를 항상 흘릴 수 있다.Next, a modification of the
실시의 형태 1의 세공(38)과 비교하여 캐피럴리(39)의 쪽이 냉매의 감압의 조정이 용이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의 공기 조화기(10)의 변형례에서는, 캐피럴리(39)에 의해 냉매의 감압의 조정이 용이해진다.Compared to the
금회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illustrative and non-restrictive in all respects.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at all change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 : 압축기
2 : 응축기
3 : 압력조정밸브
4 : 증발기
5 : 응축기용 송풍기
6 : 증발기용 송풍기
7 : 서미스터
8 : 마이크로 컴퓨터
9 : 캐피럴리
10 : 공기 조화기
11 : 실외기
12 : 실내기
13 : 냉매 회로
31 : 케이스
31a : 유입부
31b : 유출부
32 : 다이어프램
33 : 유로
34a : 밸브체
34b : 밸브시트
35 : 스프링
36 : 칸막이 부재
37 : 밸브구멍
38 : 세공
39 : 캐피럴리
S1 : 제1실
S2 : 제2실(압력기준실)1: Compressor
2: condenser
3: Pressure regulating valve
4: Evaporator
5: Blower for condenser
6: blower for evaporator
7: Thermistor
8: Microcomputer
9: Capillary
10: Air conditioner
11: outdoor unit
12: indoor unit
13: Refrigerant circuit
31: Case
31a:
31b:
32: Diaphragm
33: Euro
34a:
34b: valve seat
35: spring
36: partition member
37: Valve hole
38: Handwork
39: Capillary
S1: 1st room
S2: Second chamber (pressure reference chamber)
Claims (5)
상기 냉매 회로를,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압력조정밸브, 상기 증발기의 순서로 흐르는 냉매를 구비하고,
상기 냉매는, R32이고,
상기 압력조정밸브는, 상기 응축기로부터 유입한 상기 냉매를 상기 증발기에 흘리는 유로와, 상기 유로로부터 구획되면서 불활성 가스가 봉입된 압력기준실과, 상기 유로 내에 배치된 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조정밸브는, 상기 밸브부의 밸브개방도를 조정함에 의해 상기 유로를 흐르는 상기 냉매의 유량을 조정 가능하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유로 내의 압력이 상기 압력기준실 내의 압력보다도 커지면 상기 밸브개방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유로 내의 압력이 상기 압력기준실 내의 압력보다도 작아지면 상기 밸브개방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A refrigerant circuit hav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 pressure regulating valve and an evaporator,
Wherein the refrigerant circuit includes a refrigerant flowing in order of the compressor, the condenser,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and the evaporator,
The refrigerant is R32,
Wherein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includes a flow path for flowing th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condenser into the evaporator, a pressure reference chamber in which an inert gas is enclosed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flow path, and a valve portion disposed in the flow path,
Wherein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is capable of regulating a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by adjusting a valv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portion,
Wherein the valve portion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valve opening degree when the pressure in the flow passage becomes larger than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reference chamber and decrease the valve opening degree when the pressure in the flow passage becomes smaller than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reference chamber The air conditioner comprising:
상기 냉매 회로를 흐르는 상기 냉매의 양은 300g 이상 500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mount of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refrigerant circuit is 300 g or more and 500 g or less.
상기 압력조정밸브는, 캐피럴리를 포함하고,
상기 캐피럴리는, 상기 냉매 회로에서 상기 밸브부와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includes a capillary,
Wherein the capillary is disposed between the valve portion and the evaporator in the refrigerant circuit.
상기 압력조정밸브는, 캐피럴리를 포함하고,
상기 캐피럴리는, 상기 냉매 회로에서 상기 밸브부와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includes a capillary,
Wherein the capillary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valve portion in the refrigerant circuit.
상기 압축기는, 회전수를 가변으로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compressor is capable of vary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6/082119 WO2018078808A1 (en) | 2016-10-28 | 2016-10-28 |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2560A true KR20190032560A (en) | 2019-03-27 |
KR102147693B1 KR102147693B1 (en) | 2020-08-25 |
Family
ID=6196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05898A Expired - Fee Related KR102147693B1 (en) | 2016-10-28 | 2016-10-28 |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3) | US20200018530A1 (en) |
EP (1) | EP3534088B1 (en) |
JP (1) | JP6312943B1 (en) |
KR (1) | KR102147693B1 (en) |
CN (1) | CN109891164A (en) |
AU (1) | AU2016427727B2 (en) |
WO (1) | WO2018078808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6984B1 (en) * | 2019-01-31 | 2023-1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
CN112254218B (en) * | 2020-10-22 | 2025-06-27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ing unit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21879A (en) * | 1994-10-26 | 1996-05-17 | Mitsubishi Heavy Ind Ltd | Refrigerating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
JPH09133436A (en) * | 1995-11-08 | 1997-05-20 | Mitsubishi Heavy Ind Ltd | Temperature type expansion valve and air-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using the valve |
JP2007198712A (en) * | 2006-01-30 | 2007-08-09 | Sanden Corp | Refrigerating system |
JP2009234607A (en) * | 2008-03-27 | 2009-10-15 | Japan Crown Cork Co Ltd | Container sealing structure |
JP2009243607A (en) * | 2008-03-31 | 2009-10-22 | Fuji Koki Corp | Pressure control valve |
JP2013032874A (en) * | 2011-08-02 | 2013-02-14 | Saginomiya Seisakusho Inc | Temperature expansion valve |
JP2016109356A (en) | 2014-12-05 | 2016-06-20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JP2016114274A (en) * | 2014-12-12 | 2016-06-23 |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refrigeration cycle |
Family Cites Families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630156A (en) * | 1925-03-17 | 1927-05-24 | Firm Atlas Werke Pohler & Co | Device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compressed-air containers |
US2765629A (en) * | 1946-02-02 | 1956-10-09 | Carrier Corp | Refrigerant expansion control |
US3054273A (en) * | 1959-12-28 | 1962-09-18 | Carrier Corp | Thermal expansion valve |
US3320763A (en) * | 1965-11-19 | 1967-05-23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Controls for refrigeration systems |
US3797266A (en) * | 1972-07-07 | 1974-03-19 | Borg Warner |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
JPS6030432B2 (en) * | 1977-12-14 | 1985-07-16 |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 | evaporation pressure control valve |
JPS591970A (en) * | 1982-06-25 | 1984-01-07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Controller for flow rate of refrigerant |
JPH03105179A (en) * | 1989-09-20 | 1991-05-01 | Mitsubishi Heavy Ind Ltd | Automatic expansion valve device |
JP3858297B2 (en) * | 1996-01-25 | 2006-12-13 | 株式会社デンソー | Pressure control valve and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cycle |
JPH10259961A (en) * | 1997-03-19 | 1998-09-29 | Hitachi Ltd | Air conditioner |
JPH1137311A (en) * | 1997-05-23 | 1999-02-12 | Fuji Koki Corp | Motor-operated valve |
JP2000205664A (en) * | 1999-01-14 | 2000-07-28 | Denso Corp | Refrigerating cycle system |
EP1698842A3 (en) * | 1999-03-02 | 2009-12-09 | Daikin Industries, Ltd. | Refrigerating apparatus |
WO2001006183A1 (en) * | 1999-07-16 | 2001-01-25 |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oration | Refrigerating cycle |
JP2001194016A (en) * | 1999-10-18 | 2001-07-17 | Daikin Ind Ltd | Refrigeration equipment |
US6766816B2 (en) * | 2001-10-03 | 2004-07-27 | Hunter Group, Inc. | Collapsible dispensing system |
JP2004036997A (en) * | 2002-07-03 | 2004-02-05 |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 Supercritical steam compression refrigerating cycle |
JP2004132561A (en) * | 2002-10-08 | 2004-04-30 | Saginomiya Seisakusho Inc | Pressure control valve and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cycle device |
US6626000B1 (en) * | 2002-10-30 | 2003-09-30 |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side pressure regulation in a vapor compression cycle |
JP2007032979A (en) * | 2005-07-28 | 2007-02-08 | Mitsubishi Electric Corp | Refrigerating cycle device |
JP4323489B2 (en) * | 2005-11-01 | 2009-09-02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
DE102006021327A1 (en) * | 2006-05-05 | 2007-11-08 | Otto Egelhof Gmbh & Co. Kg | Control method for expansion valves in car air conditioning systems uses bellows filled with inert gas which pushes rods against spring attached to the valve stem so as to open valve when threshold pressure or temperature is exceeded |
JP2008089220A (en) * | 2006-09-29 | 2008-04-17 | Denso Corp | Pressure control valve |
JP2008164239A (en) * | 2006-12-28 | 2008-07-17 | Denso Corp | Pressure regulation valve |
CN101377239A (en) * | 2007-08-30 | 2009-03-04 | 浙江春晖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 Thermal Expansion Valve |
KR101636092B1 (en) * | 2011-01-13 | 2016-07-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Expansion Device for Turbo-Refrigerator |
CN202521934U (en) * | 2012-01-19 | 2012-11-07 | 天津商业大学 | Variable flow ejector and refrigeration device constituted thereby |
CN202501649U (en) * | 2012-02-06 | 2012-10-24 |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 Refrigeration equipment |
SG11201503792VA (en) * | 2013-01-17 | 2015-08-28 | Jx Nippon Oil & Energy Corp | Refrigerating machine oil and working fluid composition for refrigerating machine |
JP6343805B2 (en) * | 2014-05-12 | 2018-06-20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Refrigeration equipment |
US9395000B2 (en) * | 2014-08-19 | 2016-07-19 | Flowserve Management Company | Apparatus for excluding particle contaminants from a gas lift off mechanical seal |
-
2016
- 2016-10-28 WO PCT/JP2016/082119 patent/WO201807880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10-28 JP JP2017545775A patent/JP6312943B1/en active Active
- 2016-10-28 US US16/313,671 patent/US2020001853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6-10-28 KR KR1020197005898A patent/KR10214769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10-28 EP EP16920284.3A patent/EP3534088B1/en active Active
- 2016-10-28 AU AU2016427727A patent/AU2016427727B2/en not_active Ceased
- 2016-10-28 CN CN201680089229.4A patent/CN109891164A/en active Pending
-
2021
- 2021-02-22 US US17/181,511 patent/US2021017265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1-02-22 US US17/181,541 patent/US20210180842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21879A (en) * | 1994-10-26 | 1996-05-17 | Mitsubishi Heavy Ind Ltd | Refrigerating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
JPH09133436A (en) * | 1995-11-08 | 1997-05-20 | Mitsubishi Heavy Ind Ltd | Temperature type expansion valve and air-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using the valve |
JP2007198712A (en) * | 2006-01-30 | 2007-08-09 | Sanden Corp | Refrigerating system |
JP2009234607A (en) * | 2008-03-27 | 2009-10-15 | Japan Crown Cork Co Ltd | Container sealing structure |
JP2009243607A (en) * | 2008-03-31 | 2009-10-22 | Fuji Koki Corp | Pressure control valve |
JP2013032874A (en) * | 2011-08-02 | 2013-02-14 | Saginomiya Seisakusho Inc | Temperature expansion valve |
JP2016109356A (en) | 2014-12-05 | 2016-06-20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JP2016114274A (en) * | 2014-12-12 | 2016-06-23 |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refrigeration cy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018530A1 (en) | 2020-01-16 |
EP3534088A1 (en) | 2019-09-04 |
CN109891164A (en) | 2019-06-14 |
WO2018078808A1 (en) | 2018-05-03 |
EP3534088B1 (en) | 2022-03-02 |
AU2016427727B2 (en) | 2019-10-10 |
JP6312943B1 (en) | 2018-04-18 |
US20210172659A1 (en) | 2021-06-10 |
KR102147693B1 (en) | 2020-08-25 |
AU2016427727A1 (en) | 2019-02-21 |
US20210180842A1 (en) | 2021-06-17 |
JPWO2018078808A1 (en) | 2018-11-01 |
EP3534088A4 (en) | 2019-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122276B1 (en) | Free-cooling limitation control for air conditioning systems | |
AU2009219540B2 (en) | Refrigeration system | |
US10731904B2 (en) | Air conditioner | |
JP2010112616A (en) | Thermal expansion valve | |
US20210172659A1 (en) | Air conditioner | |
JP2017219307A (en) | air conditioner | |
JP6049936B1 (en) | Air conditioner | |
CN112254218B (en) | Air conditioning unit | |
JP2017072352A (en) | Refrigerating device | |
KR102173688B1 (en) | Electronic expansion valve with multiple orifice plates | |
US20240247845A1 (en) | Heating,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systems and methods with bypass line | |
WO2015001464A1 (en) | An expansion valve comprising a stop element | |
WO2015001466A1 (en) | An expansion valve with a two-step variable orifice area | |
US10281181B2 (en) | Expansion valve with a variable orifice area | |
JP5907846B2 (en) | Air conditioner | |
KR101290780B1 (en) | Heating and cooling system | |
KR100930963B1 (en) | Expansion valve for air conditioner using stacked piezoelectric pilot valve | |
HK1138360B (en) | Free-cooling limitation control for air conditioning syste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2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