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31285A - 플렉서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285A
KR20190031285A KR1020197004728A KR20197004728A KR20190031285A KR 20190031285 A KR20190031285 A KR 20190031285A KR 1020197004728 A KR1020197004728 A KR 1020197004728A KR 20197004728 A KR20197004728 A KR 20197004728A KR 20190031285 A KR20190031285 A KR 20190031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groove
centrifugal
housing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러 리아오
Original Assignee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6/090479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14196A1/zh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6/090478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14195A1/zh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6/09047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14194A1/zh
Application filed by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31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28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53Flexible stra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8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liding pin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15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providing information, e.g. bracelets with calenda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10Link constructions not extensible
    • A44C5/107Link constructions not extensible with links made of more than two elements including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플렉서블 디바이스로서, 플렉서블 스크린 및 플렉서블 스크린을 지지하는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지지 조립체는 복수개의 가동 부재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인접한 가동 부재는 연결 부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인접한 가동 부재는 상대하여 이동함으로써, 플렉서블 스크린을 전개 상태 또는 만곡 상태로 지지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수요에 따라 부동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 스크린의 여러가지 형상의 응용 수요에 적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바이스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스크린을 사용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의 소재에 제한되어, 기존의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비디오 플레이어 등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고 있는 전자 장치는 모두 직선 모양이다. 스크린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산업계는 이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개발하였고, 미래에는 만곡 또는 접의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를 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만곡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대응하는 가동 기계 구조로 지지해야 한다. 기존의 하드 디스플레이의 지지 구조는 만곡 또는 접의 요구를 만족할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은 만곡 또는 접의 수요를 만족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로서, 플렉서블 스크린 및 플렉서블 스크린을 지지하는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지지 조립체는 복수개의 가동 부재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인접한 가동 부재는 연결 부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인접한 가동 부재는 상대하여 이동함으로써, 플렉서블 스크린을 전개 상태 또는 만곡 상태로 지지한다.
가동 부재는 원심을 중심으로 인접한 가동 부재에 상대하여 회전하고, 인접한 가동 부재에 상대하여 회전하는 가동 부재의 원심은 플렉서블 스크린 내에 있다.
가동 부재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형성된 관통 구멍 및 위치 제한 홈을 포함하고, 연결 부재는 가동 부재의 위치 제한 홈을 통과한 다음에 인접한 가동 부재의 관통 구멍을 통과한다.
가동 부재의 위치 제한 홈은 그 원심이 플렉서블 스크린 내에 있는 원호 형상이다.
가동 부재는 각각 베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에 있는 제 1 위치 제한부와 제 2 위치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가동 부재의 제 2 위치 제한부는 인접한 가동 부재의 제 1 위치 제한부와 이동 가능하게 당접된다.
인접한 가동부재의 제 1 위치 제한부에 대한 가동 부재의 제 2 위치 제한부의 이동 궤적은 그 원심이 플렉서블 스크린 내에 있는 원호 형상이다.
제 1 위치 제한부는 원호 형상의 제 1 위치 결정 표면을 포함하고, 제 2 위치 제한부는 원호 형상의 제 2 위치 결정 표면을 포함하며, 제 1 위치 결정 표면 및 제 2 위치 결정 표면의 원심은 플렉서블 스크린 내에 있다.
제 1 위치 결정 표면과 제 2 위치 결정 표면은 각각 베이스의 대향하는 양단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다.
제 1 위치 결정 표면의 원심의 높이와 제 2 위치 결정 표면의 원심의 높이는 동일하다.
제 2 위치 결정 표면의 원심과 위치 제한 홈의 원심은 제 1 방향에 따라 중합되고, 제 1 방향은 베이스의 일측에서 대향하는 타측으로의 방향이다.
베이스의 바닥면은 플렉서블 스크린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전개 상태에서 베이스의 바닥면이 플렉서블 스크린을 지지하는 면적은 만곡 상태에서 베이스의 바닥면이 플렉서블 스크린을 지지하는 면적보다 크다.
베이스의 탑면은 원호형 표면이고,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인접한 가동 부재의 베이스의 탑면은 서로 엇갈리고, 만곡 상태에 있을 때, 인접한 가동 부재의 베이스의 탑면은 서로 연속된다.
베이스의 탑면의 원심은 플렉서블 스크린보다 낮다.
베이스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조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포함하고, 연결 부재는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끼워져 있는 헤드부, 제 1 기판의 위치 제한 홈 내에 삽입되는 단부 및 제 2 기판의 위치 제한 홈을 통과하는 로드부를 포함하며, 단부와 로드부는 각각 헤드부의 대향하는 양측에 있다.
제 2 기판의 제 1 기판과 대향하는 표면에는 수용 홈이 형성되고, 연결 부재는 로드부의 말단에 고정되는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하며, 잠금 부재는 인접한 가동 부재의 제 2 기판의 수용 홈 내에 수용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분리된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은 홈에 의해 이격되며, 플렉서블 스크린은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홈에 대응하게 설치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지지 조립체는 연결부를 지지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연결부에 부착된 지지판을 더 포함하고, 가동 부재의 바닥면은 지지판에 이동 가능하게 당접된다.
지지 조립체는 홈 내에 수용되고, 지지 조립체의 대향하는 양측의 가동 부재는 각각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에 고정된다.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지지 조립체는 제 1 하우징으로부터 경사지게 제 2 하우징을 향해 연장된다.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개의 가동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원하는대로 전개 상태와 만곡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고, 따라서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가 쉽게 만곡되거나 접힐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히 소개한다. 다음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할 뿐이고, 당업자는 또한 창조적인 노력 없이 이들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다른 명백한 변형 방법을 도출할 수도 있다는 점이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지지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 조립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 조립체의 가동 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동 부재의 뒷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가동 부재의 좌상단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가동 부재의 거꾸로 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가동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가동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가동 부재의 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가동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3 은 도 9에 도시된 가동 부재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지지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지지 조립체의 말단에 위치한 가동 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만곡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지지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지지 조립체의 가동 부재의 제 1 기판의 확대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제 1기판의 뒷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지지 조립체의 가동 부재의 제 2 기판의 확대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제 2 기판의 뒷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20에 도시된 제 1 기판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20에 도시된 제 1 기판의 배면도이다.
도 26은 도22에 도시된 제 2 기판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22에 도시된 제 2 기판의 배면도이다.
도 28은 도 18에 도시된 지지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도시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제 1 하우징(10), 제 2 하우징(20),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에 부착된 플렉서블 스크린(30), 플렉서블 스크린(30)을 지지하는 지지 조립체(40)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전개 상태와 접이/만곡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전개 상태에 있어서, 플렉서블 스크린(30)은 펼쳐져 있고, 제 1 하우징(10)과 제 2 하우징(20)은 나란히 배치되며; 접이/만곡 상태에 있어서, 플렉서블 스크린(30)은 접이 또는 만곡되고, 제 1 하우징(10)과 제 2 하우징(20)은 아래위로 적층된다.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은 대체로 평판 형태이며, 양자는 금속,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은 제어 모듈, 저장 모듈, 구동 모듈, 전원 모듈, 스위치 모듈, 스피커 모듈, 마이크로폰 모듈, 센서 모듈 등과 같은 여러가지 전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중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 하우징(10)과 제 2 하우징(20)은 서로 분리되고, 양자 사이에 좁고 긴 홈(100)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하우징(10)의 한쪽에 그 길이 방향에 따라 지지 조립체(4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요홈(10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요홈(102)의 개수는 4개이며, 그 중 2개는 각각 제 1 하우징(10)의 서로 대향하는 양단에 가깝고, 나머지 2개는 제 1 하우징(10)의 중간에 가깝다. 요홈(102)은 제 1 하우징(10)의 탑면(top surface)으로부터 아래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제 1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종결되며, 즉, 요홈(102)은 제 1 하우징(10)을 위에서 아래로 관통하지 않는다. 측방향에서 요홈(102)은 또한 인접한 제 1 하우징(10)의 측면을 관통한다. 요홈(102)의 바닥면에는 나사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형 나사 구멍이 형성되고, 따라서 나사로 지지 조립체(40)를 제 1 하우징(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0)의 한쪽에 있어서, 각 요홈(102)에 가까운 위치에 회피 슬롯(104)이 형성되어 있다. 회피 슬롯(104)은 제 1 하우징(10)의 바닥면으로부터 위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제 1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종결되며, 즉 회피 슬롯(104)도 제 1 하우징(10)을 아래에서 위로 관통하지 않는다. 측방향에서 회피 슬롯(104)도 인접한 제 1 하우징(10)의 측면을 관통한다. 회피 슬롯(104)은 지지 조립체(40)의 일부를 수용하는 데에 사용되며, 따라서 지지 조립체(40)가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한다. 각 회피 슬롯(104)은 하나의 요홈(102)과 짝을 이루어 설치된다.
제 1 하우징(10)에 가까운 제 2 하우징(20)의 한쪽에도 지지 조립체(4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요홈(20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요홈(202)의 개수도 4개이며, 그 중 2개는 제 2 하우징(20)의 일단에 가깝고, 나머지 2개는 제 2 하우징(20)의 타단에 가깝다. 특히, 제 2 하우징(20)의 단부와 가장 가까운 요홈(202)과 제 2 하우징(20)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제 1 하우징(10)의 단부와 가장 가까운 요홈(102)과 제 1 하우징(10)의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제 1 하우징(10) 또는 제 2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제 2 하우징(20)의 각 요홈(202)과 제 1 하우징(10)의 각 요홈(102)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지지 조립체(40)의 상이한 부분을 고정한다. 요홈(202)은 제 2 하우징(20)의 탑면으로부터 아래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제 2 하우징(20)의 내부에서 종결되며, 즉, 요홈(202)은 제 2 하우징(20)을 위에서 아래로 관통하지 않는다. 측방향에서 요홈(202)은 또한 인접한 제 2 하우징(20)의 측면을 관통한다. 요홈(202)의 바닥면에는 나사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형 나사 구멍이 형성되고, 따라서 나사로 지지 조립체(40)를 제 2 하우징(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20)의 각 요홈(202)에 가까운 위치에 회피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회피 슬롯은 제 2 하우징(20)의 바닥면으로부터 위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제 2 하우징(20)의 내부에서 종결되며, 즉 회피 슬롯(204)도 제 2 하우징(20)을 아래에서 위로 관통하지 않는다. 측방향에서 회피 슬롯(204)도 인접한 제 2 하우징(20)의 측면을 관통한다. 회피 슬롯(204)은 지지 조립체(40)의 일부를 수용하는 데에 사용되며, 따라서 지지 조립체(40)가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한다. 각 회피 슬롯은 하나의 요홈(202)과 짝을 이루어 설치된다.
플렉서블 스크린(30)은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의 바닥면에 부착된다. 플렉서블 스크린(3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양자의 조합, 또는 다른 유형의 플렉서블 스크린일 수 있다. 플렉서블 스크린(30)은 제 1 하우징(10)에 부착되는 부착부(32), 제 2 하우징(20)에 부착되는 부착부(32), 두 부착부(32) 사이에 있는 연결부(34)를 포함한다. 연결부(34)는 제 1 하우징(10)과 제 2 하우징(20) 사이의 홈(100) 내에 위치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전개될 경우, 부착부(32)와 연결부(34)는 함께 평평하게 펼쳐져 평면을 이루고;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접이 또는 만곡될 경우, 연결부(34)는 따라서 만곡되며, 2개의 부착부(32)는 서로 마주 보게 설치되고, 제 1 하우징(10)과 제 2 하우징(20)은 서로 등지게 설치된다.
도 3과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조립체(40)는 4개의 그룹으로 구성되며, 각 그룹은 제 1 하우징(10)/제 2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제 1 하우징(10)과 제 2 하우징(20)을 연결한다. 각 그룹의 지지 조립체(40)는 직렬 연결된 복수의 가동 부재(50)를 포함한다. 각 가동 부재(50)는 연결 부재(60)에 의해 인접한 가동 부재(50)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이동 가능하게 플렉서블 스크린(30)을 지지한다.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 부재(50)는 베이스(52) 및 베이스(52)의 전후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제 1 위치 제한부(54) 및 제 2 위치 제한부(56)를 포함한다. 베이스(52)는 대체로 부채형을 이루고, 탑면(520), 바닥면(521), 좌단면(522), 우단면(523), 앞측면(524) 및 뒤측면(525)을 포함한다. 베이스(52)의 바닥면(521)은 직사각형 평면이고, 좌단면(522) 및 우단면(523)은 바닥면(521)에 수직되는 직사각형 평면이다. 베이스(52)의 탑면(520)은 바닥면(5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로 돌출하는 볼록 표면이다. 탑면(520)의 높이는 좌단면(522) 및 우단면(523)으로부터 중간을 향하여 점차 커져 곡면을 형성한다. 탑면(520)의 원심(O0)은 베이스(52)의 바닥면(521) 아래에 위치된다(도 10 참조). 앞측면(524)과 뒤측면(525)도 바닥면(521)에 수직되고, 동시에 좌단면(522) 및 우단면(523)에 수직된다. 앞측면(524)과 뒤측면(525)의 면적은 좌단면(522) 및 우단면(523)의 면적보다 크다. 베이스(52)에는 그 앞측면(524)과 뒤측면(525)을 관통하는 위치 제한 홈(51) 및 관통 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제한 홈(51)은 베이스(52)의 우단면(523)에 가깝다. 위치 제한 홈(51)은 원호 형상을 이루고, 전체적으로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며 또한 탑면을 향해 만곡되고, 그 원심(O1)은 베이스(52)의 바닥면(521)보다 낮다(도 10 참조). 위치 제한 홈(51)은 바닥면(510), 탑면(512), 바닥면(510)과 탑면(512)을 연결하는 2개의 측면(514)을 포함한다. 바닥면(510)은 위로 돌출된 볼록 곡면이고, 탑면(512)은 위로 오목된 오목 곡면이며, 측면(514)은 각각 왼쪽 및 오른쪽으로 안으로 오목된 오목 곡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닥면(510)의 곡률은 탑면(512)의 곡률보다 크고, 바닥면(510)과 탑면(512)은 평행된다. 바닥면(510)의 곡면은 원호면의 일부이고, 그 원심(O2)은 베이스(52)의 바닥면(521) 아래에 위치된다. 탑면(512)의 곡면도 원호면의 일부이고, 그 원심(O3)은 베이스(52)의 바닥면(521) 아래에 위치되고 바닥면(510)의 원심(O2)과 중합된다. 특히, 바닥면(510)의 원심(O2)과 탑면(512)의 원심(O3)은 모두 베이스(52)의 바닥면(521)에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또한 위치 제한 홈(51)의 원심(O1)과 중합된다. 측면(514)은 탑면(512)과 바닥면(510)을 매끄럽게 연결한다. 측면(514)도 원호면의 일부이지만, 그 원심(O4)은 위치 제한 홈(51)의 내부에 있으며 바닥면(510)보다 높고 탑면(512)보다 낮다. 두 측면(514)의 원심(O4)의 높이가 다르며, 좌측면(514)의 원심(O4)은 우측면(514)의 원심(O4)보다 높기 때문에, 위치 제한 홈(51)은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다시 말하면, 탑면(512)의 원심(O3)과 바닥면(510)의 원심(O2)은 측면(514)의 원심(O4)보다 낮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52)는 위치 제한 홈(51)의 외주에 위치 결정 홈(55)을 더 형성한다. 위치 결정 홈(55)은 앞측면(524)에 가깝고, 위치 제한 홈(51)을 둘러싸고 있다. 위치 결정 홈(55)의 면적은 위치 제한 홈(51)의 면적보다 크다. 위치 결정 홈(55)도 원호 형상이며, 그 원심(O5)은 베이스(52)의 바닥면(521)보다 낮다(도 11 참조). 위치 결정 홈(55)은 베이스(52)의 앞측면(524)에서 뒤로 연장되고 베이스(52)의 내부에서 종결되며, 즉 위치 결정 홈(55)은 베이스(52)를 앞에서 뒤로 관통하지 않는다. 위치 결정 홈(55)도 탑면(552), 바닥면(550), 측면(554)을 포함한다. 위치 결정 홈(55)의 탑면(552)도 오목 곡면이고 위치 제한 홈(51)의 탑면(512)과 평행되며; 위치 결정 홈(55)의 바닥면(550)도 볼록 곡면이고, 위치 제한 홈(51)의 바닥면(510)과 평행되며; 위치 결정 홈(55)의 측면(554)은 오목 곡면이고 위치 제한 홈(51)의 측면(514)과 평행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결정 홈(55)의 바닥면(550)의 곡률은 탑면(552)의 곡률보다 크다. 바닥면(550)의 곡면은 원호면의 일부이고, 그 원심(O6)은 베이스(52)의 바닥면(521) 아래에 위치된다. 탑면(552)의 곡면도 원호면의 일부이고, 그 원심(O7)은 베이스(52)의 바닥면(521) 아래에 위치되고 바닥면(550)의 원심(O6) 및 위치 결정 홈(55)의 원심(O5)과 중합된다. 특히, 위치 결정 홈(55)의 바닥면(550)의 원심(O6)과 탑면(552)의 원심(O7)은 모두 베이스(52)의 바닥면(521)에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위치 제한 홈(51)의 바닥면(510)의 원심(O2) 및 탑면(512)의 원심(O3)과 제 1 방향에 따라 중합된다. 제 1 방향은 베이스(52)의 일측에서 대향하는 타측으로의 방향이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방향은 베이스(52)의 앞측면(524)으로부터 뒤측면(525)으로의 방향 또는 뒤측면(525)으로부터 앞측면(524)으로의 방향이다. 다시 말하면, 제 1 방향은 베이스(52)의 두께 방향이거나 위치 제한 홈(51) 또는 위치 결정 홈(55)의 깊이 방향이다. 위치 결정 홈(55)의 측면(554)은 탑면(552)과 바닥면(550)을 매끄럽게 연결한다. 측면(554)도 원호면의 일부이지만, 그 원심(O8)은 위치 결정 홈(55)의 내부에 있으며 바닥면(550)보다 높고 탑면(552)보다 낮다. 두 측면(554)의 원심(O8)의 높이가 다르며, 좌측면(554)의 원심(O8)은 우측면(554)의 원심(O8)보다 높기 때문에, 위치 결정 홈(55)은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위치 결정 홈(55)의 측면(554)의 원심(O8)과 위치 제한 홈(51)의 측면(514)의 원심(O4)도 제 1 방향에 따라 중합된다.
제 1 위치 제한부(54)와 제 2 위치 제한부(56)는 각각 베이스(52)의 서로 대향하는 양단에 가깝다. 제 1 위치 제한부(54)는 베이스(52)의 앞측면(524)의 좌측 단부에 있으며, 위치 제한 홈(51) 및 위치 결정 홈(55)에 가깝다. 제 1 위치 제한부(54)는 베이스(52)의 앞측면(524)으로부터 앞으로 돌출되고, 그 탑면에 있어서의 베이스(52)의 앞측면(524)에 가까운 곳에 홈(540)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위치 제한부(54)의 탑면에 있어서의 홈(54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위로 돌출하는 제 1 위치 제한 시트(542)를 형성한다. 제 1 위치 제한부(54)의 바닥면은 베이스(52)의 바닥면(521)과 동일한 평면에 있고, 좌단면은 베이스(52)의 좌단면(522)과 동일한 평면에 있으며, 우단면은 위치 결정 홈(55)에 가깝고, 뒤측면은 베이스(52)의 앞측면(524)과 접합된다. 제 1 위치 제한부(54)의 탑면의 높이는 베이스(52)의 탑면(520)의 높이보다 낮다. 제 1 위치 제한부(54)의 바닥면, 좌단면 및 우단면은 모두 평면이며, 탑면은 볼록 곡면이다. 제 1 위치 제한부(54)의 탑면은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을 형성한다.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은 원호면의 일부이고, 그 원심(O9)은 베이스(52)의 바닥면(521) 아래에 위치되며(도 10 참조), 위치 제한 홈(51)의 원심(O1), 위치 결정 홈(55)의 원심(O5), 위치 제한 홈(51)의 바닥면(510)의 원심(O2), 위치 제한 홈(51)의 탑면(512)의 원심(O3), 위치 결정 홈(55)의 바닥면(550)의 원심(O6), 위치 결정 홈(55)의 탑면(552)의 원심(O7)의 높이와 동일하다. 특히,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의 원심(O9)은 베이스(52)의 좌단면(522)에 가깝고, 위치 제한 홈(51)의 원심(O1), 위치 결정 홈(55)의 원심(O5), 위치 제한 홈(51)의 바닥면(510)의 원심(O2), 위치 제한 홈(51)의 탑면(512)의 원심(O3), 위치 결정 홈(55)의 바닥면(550)의 원심(O6), 위치 결정 홈(55)의 탑면(552)의 원심(O7)은 베이스(52)의 우단면(523)에 가깝다.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의 곡률은 베이스(52)의 탑면(520)의 곡률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의 곡률은 위치 결정 홈(55)의 탑면(552) 및 바닥면(550)의 곡률보다 작으며, 또한 위치 제한 홈(51)의 탑면(512) 및 바닥면(510)의 곡률보다 작다.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은 왼쪽으로 기울어지고, 위치 결정 홈(55) 및 위치 제한 홈(51)의 경사 방향과 반대된다. 제 1 위치 제한 시트(542)는 홈(540)에 의해 베이스(52)의 앞측면(524)과 이격된다. 홈(540)은 위로부터 아래로 제 1 위치 제한부(54)의 내부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에서 제 1 위치 제한부(54)의 좌단면 및 우단면을 관통한다. 홈(540)의 바닥면은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을 형성한다(도 11 참조).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은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보다 낮으며,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보다 베이스(52)에 더 가깝다.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도 원호면의 일부이고, 그 원심(O10)은 베이스(52)의 바닥면(521) 아래에 위치되며, 위치 제한 홈(51)의 원심(O1), 위치 결정 홈(55)의 원심(O5), 위치 제한 홈(51)의 바닥면(510)의 원심(O2), 위치 제한 홈(51)의 탑면(512)의 원심(O3), 위치 결정 홈(55)의 바닥면(550)의 원심(O6), 위치 결정 홈(55)의 탑면(552)의 원심(O7),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의 원심(O9)의 높이와 동일하다.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의 원심(O10)과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의 원심(O9)은 제 1 방향에 따라 중합된다.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의 원심(O10)의 높이 및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의 원심(O9)의 높이는 모두 베이스(52)의 탑면(520)의 원심(O0)의 높이보다 높다. 특히,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의 원심(O9)과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의 원심(O10)은 베이스(52)의 좌단면(522)에 가깝고, 위치 제한 홈(51)의 원심(O1), 위치 결정 홈(55)의 원심(O5), 위치 제한 홈(51)의 바닥면(510)의 원심(O2), 위치 제한 홈(51)의 탑면(512)의 원심(O3), 위치 결정 홈(55)의 바닥면(550)의 원심(O6), 위치 결정 홈(55)의 탑면(552)의 원심(O7)은 베이스(52)의 우단면(523)에 가깝다.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과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은 평행된다.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의 곡률은 베이스(52)의 탑면(520)의 곡률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의 곡률은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의 곡률보다 크고, 위치 제한 홈(51)의 탑면(512) 및 바닥면(510)의 곡률보다 작으며, 위치 결정 홈(55)의 탑면(552)의 곡률보다 크며, 위치 결정 홈(55)의 바닥면(550)의 곡률보다 작다.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은 왼쪽으로 기울어지고, 위치 결정 홈(55) 및 위치 제한 홈(51)의 경사 방향과 반대되며,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의 경사 방향과 같다. 베이스(52)의 관통 구멍(53)은 또한 제 1 위치 제한부(54)의 앞측면으로 연장되어 앞으로부터 뒤로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한다.
제 2 위치 제한부(56)는 베이스(52)의 뒤측면(525)에 위치한다. 제 2 위치 제한부(56)는 베이스(52)의 뒤측면(525)으로부터 뒤로 돌출된다. 제 2 위치 제한부(56)는 연결 플레이트(560)와, 연결 플레이트(56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562)를 포함한다. 연결 플레이트(560)의 바닥면과 베이스(52)의 바닥면(521)은 동일한 평면에 있고, 좌단면은 관통 구멍(53)에 가깝고, 우단면은 베이스(52)의 우단면(523)과 동일한 평면에 있고, 탑면은 베이스(52)의 탑면(520)과 정렬된다. 연결 플레이트(560)는 베이스(52)의 뒤측면(525)과 접합된다. 연결 플레이트(560)와 베이스(52)의 접합 면적은 제 1 위치 제한 부(54) 와 베이스(52)의 접합 면적보다 크다. 돌출부(562)는 연결 플레이트(560)의 뒤측면의 상부로부터 돌출된다. 돌출부(562)의 탑면은 연결 플레이트(560)의 탑면과 정렬된다. 돌출부(562)의 탑면, 연결 플레이트(560)의 탑면 및 베이스(52)의 탑면(520)은 모두 볼록한 원호면이며, 삼자는 원활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각 가동 부재(50)의 탑면은 연속적인 원호면을 형성한다. 돌출부(562)의 좌단면은 연결 플레이트(560)의 좌단면과 정렬되고, 우단면은 연결 플레이트(560)의 우단면과 정렬되며, 바닥면은 연결 플레이트(560)의 바닥면보다 높다. 돌출부(562)의 바닥면에 요홈(564)이 형성된다. 요홈(564)은 아래로부터 위로 연장되고 돌출부(562) 내부에서 종결된다. 요홈(564)은 좌우 방향에서 돌출부(562)의 좌단면 및 우단면을 관통한다. 돌출부(562)의 바닥면에 있어서의 요홈(56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제 2 위치 제한 시트(565)를 형성한다. 제 2 위치 제한 시트(565)의 높이는 제 1 위치 제한 시트(542)의 높이보다 높다. 제 2 위치 제한 시트(565)는 요홈(564)에 의해 연결 플레이트(560)의 뒤측면과 이격된다. 제 2 위치 제한 시트(565)의 바닥면은 뒤측면에 인접한 가동 부재(50)의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에 당접되는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을 형성한다.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은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보다 약간 높다.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은 원호면의 일부이고, 그 원심(O11)은 베이스(52)의 바닥면(521) 아래에 위치되며(도 12 참조),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의 원심(O10),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의 원심(O9), 위치 제한 홈(51)의 원심(O1), 위치 결정 홈(55)의 원심(O5), 위치 제한 홈(51)의 바닥면(510)의 원심(O2), 위치 제한 홈(51)의 탑면(512)의 원심(O3), 위치 결정 홈(55)의 바닥면(550)의 원심(O6), 위치 결정 홈(55)의 탑면(552)의 원심(O7)의 높이와 동일하다. 또한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의 원심(O11)은 위치 제한 홈(51)의 원심(O1), 위치 결정 홈(55)의 원심(O5), 위치 제한 홈(51)의 바닥면(510)의 원심(O2), 위치 제한 홈(51)의 탑면(512)의 원심(O3), 위치 결정 홈(55)의 바닥면(550)의 원심(O6), 위치 결정 홈(55)의 탑면(552)의 원심(O7)과 제 1 방향에 따라 중합된다. 특히,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의 원심(O11)은 베이스(52)의 우단면(523)에 가깝고,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의 원심(O10),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의 원심(O9)은 베이스(52)의 좌단면(522)에 가깝다.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의 곡률은 베이스(52)의 탑면(520)의 곡률보다 크고, 위치 제한 홈(51)의 탑면(512) 및 바닥면(510)의 곡률보다 작다.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은 오른쪽으로 기울어지고, 위치 결정 홈(55) 및 위치 제한 홈(51)의 경사 방향과 같으며,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 및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 의 경사 방향과 반대된다.
제 2 위치 제한부(56)의 요홈(564)의 탑면은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을 형성한다.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은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보다 높고, 뒤측면에 인접한 가동 부재(50)의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에 당접된다.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은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보다 베이스(52)에 더 가깝다. 제 2 위치 제한부(56)의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은 원호면의 일부이고, 그 원심(O12)은 베이스(52)의 바닥면(521) 아래에 위치되며(도 13 참조),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의 원심(O10),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의 원심(O9),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의 원심(O11), 위치 제한 홈(51)의 원심(O1), 위치 결정 홈(55)의 원심(O5), 위치 제한 홈(51)의 바닥면(510)의 원심(O2), 위치 제한 홈(51)의 탑면(512)의 원심(O3), 위치 결정 홈(55)의 바닥면(550)의 원심(O6), 위치 결정 홈(55)의 탑면(552)의 원심(O7)의 높이와 동일하다.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의 원심(O12)은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의 원심(O11), 위치 제한 홈(51)의 원심(O1), 위치 결정 홈(55)의 원심(O5), 위치 제한 홈(51)의 바닥면(510)의 원심(O2), 위치 제한 홈(51)의 탑면(512)의 원심(O3), 위치 결정 홈(55)의 바닥면(550)의 원심(O6), 위치 결정 홈(55)의 탑면(552)의 원심(O7)과 제 1 방향에 따라 중합된다. 특히,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의 원심(O12) 및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의 원심(O11)은 베이스(52)의 우단면(523)에 가깝고,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의 원심(O10),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의 원심(O9)은 베이스(52)의 좌단면(522)에 가깝다.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과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은 평행된다.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의 곡률은 베이스(52)의 탑면(520)의 곡률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의 곡률은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의 곡률, 위치 제한 홈(51)의 탑면(512) 및 바닥면(510)의 곡률, 위치 결정 홈(55)의 탑면(552) 및 바닥면(550)의 곡률보다 작다.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은 오른쪽으로 기울어지고,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 위치 결정 홈(55) 및 위치 제한 홈(51)의 경사 방향과 같으며,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 및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의 경사 방향과 반대된다.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 및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은 모두 오목 곡면이고,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 및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은 모두 볼록 곡면이다. 베이스(52)의 위치 결정 홈(55) 및 위치 제한 홈(51)은 제 2 위치 제한부(56)를 관통한다. 위치 제한 홈(51)의 높이는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 및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의 높이보다 낮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인접한 가동 부재(50)는 연결 부재(60)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인접한 2개의 가동 부재(50)를 직렬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60)는 로드 부재(62)와 로드 부재(62)에 슬리브된 잠금 부재(64)를 포함한다. 조립할 때, 각 가동 부재(50)의 위치 제한 홈(51)과 위치 결정 홈(55)은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의 관통 구멍(53)과 정렬되고, 각 가동 부재(50)의 제 2 위치 제한 부(56)는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의 제 1 위치 제한 부재(54)와 당접되며, 각 가동 부재(50)의 제 1 위치 제한 부재(54)는 앞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의 제 2 위치 제한 부(56)와 당접된다. 로드 부재(62)는 각 가동 부재(50)의 위치 결정 홈(55)과 위치 제한 홈(51)을 통과한 다음에 뒤쪽의 가동 부재(50)의 관통 구멍(53)을 통과하여 노출된다. 잠금 부재(64)는 로드 부재(62)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53)을 통과하여 노출된 말단에 로킹되어 로드 부재(62)를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로드 부재(62)는 헤드부(620) 및 헤드부(620)로부터 연장되는 로드부(622)를 포함한다. 로드부(622)는 위치 제한 홈(51)과 관통 구멍(53)을 통과한다. 헤드부(620)의 외경은 관통 구멍(53)의 내경보다 크며, 헤드부(620)는 가동 부재(50)의 위치 결정 홈(55)에 수용되면서 가동 부재(50)의 위치 결정 홈(55)의 뒤측면에 당접되어 로드 부재(62)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헤드부(62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로드부(622)의 말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잠금 부재(64)는 너트이며, 그는 로드부(622)의 말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어 로드 부재(62)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인접한 가동 부재(50) 사이의 회전 댐핑을 조절하기 위해, 로드부(622)에 탄성 시트(66)가 추가로 슬리브된다. 탄성 시트(66)는 가동 부재(50)의 뒤측면(525)과 너트의 앞측면 사이에 끼워 있다. 로드 부재(62)의 나사산에서의 너트의 로킹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탄성 시트(66)가 압축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인접한 가동 부재(50) 사이의 회전 댐핑을 조정할 수 있다.
로드 부재(62)의 연결을 통해, 인접한 가동 부재(50)는 이동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된다. 각 가동 부재(50)의 제 1 위치 제한부(54)의 제 1 위치 제한 시트(542)는 앞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의 제 2 위치 제한부(56)의 요홈(564) 내에 삽입되고, 각 가동 부재(50)의 제 1 위치 제한부(54)의 제 1 위치 제한 시트(542)의 뒤측면은 앞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의 제 2 위치 제한부(56)의 제 2 위치 제한 시트(565)의 앞측면과 당접됨으로써, 인접한 2개의 가동 부재(50)의 위치가 제한되고 양자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각 가동 부재(50)의 제 1 위치 제한부(54)의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은 앞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의 제 2 위치 제한부(56)의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에 당접됨으로써, 인접한 2개의 가동 부재(50)의 상대 이동 궤적을 제한한다. 각 가동 부재(50)의 제 2 위치 제한부(56)의 제 2 위치 제한 시트(565)는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의 제 1 위치 제한부(54)의 홈(540)에 삽입되고, 각 가동 부재(50)의 제 2 위치 제한부(56)의 제 2 위치 제한 시트(565)의 앞측면은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의 제 1 위치 제한부(54)의 제 1 위치 제한 시트(542)의 뒤측면과 당접됨으로써, 인접한 2개의 가동 부재(50)의 위치가 제한되고 양자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각 가동 부재(50)의 제 2 위치 제한부(56)의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은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의 제 1 위치 제한부(54)의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에 당접됨으로써, 인접한 2개의 가동 부재(50)의 상대 이동 궤적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인접한 2개의 가동 부재(50)는 위치 결정 홈(55), 위치 제한 홈(51), 연결 부재(60), 제 1 위치 제한부(54) 및 제 2 위치 제한부(56)를 통하여 상대 이동 궤적이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동 부재(50)의 위치 제한 홈(51)의 좌측면(514) 및 우측면(514)은 모두 원호면이고, 그 직경은 위치 제한 홈(51)의 탑면(512)과 바닥면(510)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고, 관통 구멍(53)의 직경과 동일하다. 가동 부재(50)의 위치 결정 홈(55)의 좌측면(554) 및 우측면(554)도 원호면이며, 그 직경은 위치 결정 홈(55)의 탑면(552)과 바닥면(550)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로드 부재(62)의 로드부(622)의 외경은 관통 구멍(53)의 직경보다 약간 작거나 같고, 헤드부(620)의 외경은 위치 결정 홈(55)의 탑면과 바닥면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거나 같다. 로드 부재(62)가 가동 부재(50)의 위치 결정 홈(55) 및 위치 제한 홈(51)을 통과할 때, 헤드부(620)는 위치 결정 홈(55) 내에 배치되고, 로드부(622)는 위치 제한 홈(51)을 통과한 다음에 뒤쪽의 가동 부재(50)의 관통 구멍(53)을 통과한다. 로드 부재(62)는 인접하는 2개의 가동 부재(50)의 회전축으로 된다. 위치 제한 홈(51)의 형상 제한으로 인해,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에 대한 가동 부재(50)의 이동도 대응하게 제한된다. 특히,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에 대한 가동 부재(50)의 회전 원심은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의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의 원심(O12), 제 2 위치 결정 표면의 원심(O11), 위치 제한 홈(51)의 원심(O1), 위치 결정 홈(55)의 원심(O5), 위치 제한 홈(51)의 바닥면(510)의 원심(O2), 위치 제한 홈(51)의 탑면(512)의 원심(O3), 위치 결정 홈(55)의 바닥면(550)의 원심(O6), 위치 결정 홈(55)의 탑면(552)의 원심(O7)과 제 1 방향에 따라 중합되며, 즉, 인접하는 가동 부재(50)에 대한 각 가동 부재(50)의 회전 원심은 인접하는 가동 부재(50)의 바닥면보다 낮다. 또한, 가동 부재(50)가 회전 중에 불필요하게 자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동 부재(50)의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 및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은 함께 가동 부재(50)의 운동 궤적을 제한한다. 각 가동 부재(50)의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은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의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에 당접되고, 각 가동 부재(50)의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은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의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에 당접된다. 가동 부재(50)의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의 원심(O12),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의 원심(O11)은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의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의 원심(O9) 및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의 원심(O10)과 제 1 방향에 따라 중합되고, 또한 가동 부재(50)의 위치 제한 홈(51)의 원심(O1), 위치 결정 홈(55)의 원심(O5), 위치 제한 홈(51)의 바닥면(510)의 원심(O2), 위치 제한 홈(51)의 탑면(512)의 원심(O3), 위치 결정 홈(55)의 바닥면(550)의 원심(O6), 위치 결정 홈(55)의 탑면(552)의 원심(O7)과 제 1 방향에 따라 중합되므로,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은 인접하는 2개의 가동 부재(50)의 소정의 궤적을 따른 상대 이동을 더욱 제한할 수 있고, 가동 부재(50)의 불필요한 자전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2개의 가동 부재(50)가 상대적으로 회전하기 전에(즉, 지지 조립체(40)가 전개 상태에 있음), 양자의 볼록한 탑면은 양자의 경계 부분에서 엇갈리게 되고; 2개의 가동 부재(50)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 양자의 탑면은 점차 정렬되며; 2개의 가동 부재가 상대적으로 회전된 후(즉, 지지 조립체(40)가 만곡 상태에 있음), 양자의 탑면은 정렬되어 연속적인 볼록 곡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곡면을 지지하기 편리하다.
각 가동 부재(50)의 위치 결정 홈(55)과 위치 제한 홈(51)은 인접하는 가동 부재(50)의 관통 구멍(53)과 정렬되어 인접하는 2 개의 가동 부재(50)가 엇갈리게 직렬로 연결되도록 한다. 엇갈리게 직렬로 연결된 가동 부재(50)들은 함께 각 그룹의 지지 조립체를 형성한다. 가동 부재(50)가 엇갈리게 직렬로 연결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동 부재(50)의 수량이 많으면, 좌우 방향에서의 지지 조립체(40)의 폭이 커진다. 지지 조립체(40)가 휴대 전화, 휴대용 비디오 플레이어 등 소형 전자 장치에 응용되는 경우, 좌우 방향에서의 지지 조립체(40)의 폭이 크면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이것은 디바이스의 소형화에 불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지지 조립체(40)를 서로 분리되는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폭을 비교적 작은 범위 내로 제어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따라 모두 4개 그룹의 지지 조립체(40)가 있으며, 그 중에서 제 1 그룹 및 제 3 그룹의 지지 조립체(40)의 가동 부재(50)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가동 부재(50)이고, 제 2 그룹 및 제 4 그룹의 지지 조립체(40)의 가동 부재와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가동 부재(50)는 그 구조가 좌우 대칭된다. 앞으로부터 뒤로의 방향에 따라, 제 1 그룹 및 제 3 그룹의 지지 조립체(40)는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인접한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을 연결하고, 제 2 그룹 및 제 4 그룹의 지지 조립체(40)는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인접한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을 연결한다. 따라서, 제 1 하우징(10)과 제 2 하우징(20) 사이의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는 보다 잘 지지될 수 있다.
도 2 및 도 15를 참조하면, 각 그룹의 지지 조립체(40)는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가동 부재(70)를 포함한다. 2개의 가동 부재(70)는 각각 각 조립 지지체(40)의 전후 양측에 위치한다. 제 1 그룹 및 제 3 그룹의 지지 조립체(40)의 앞쪽의 가동 부재(70)의 우측 부분은 가동 부재(50)의 우측 부분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역시 위치 결정 홈(75), 위치 제한 홈(71), 제 2 위치 제한부(76), 제 2 위치 제한 표면, 제 2 위치 결정 표면 등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가동 부재(50)의 관련된 구조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가동 부재(70)의 좌측 부분은 L형 지지대(72)를 포함하며, 그 탑부분(top portion)에 제 1 하우징(10)의 나사 구멍과 정렬된 나사 구멍(720)이 형성된다. 가동 부재(70)의 지지대(72)를 제 1 하우징(10)의 요홈(102) 내에 끼워 넣고, 나사는 지지대(72)의 나사 구멍(720)을 관통하여 제 1 하우징(10)의 나사 구멍에 체결됨으로써, 양자를 고정한다. 제 1 그룹 및 제 3 그룹의 지지 조립체(40)의 뒤쪽의 가동 부재(70)의 좌측 부분은 가동 부재(50)의 좌측 부분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역시 관통 구멍, 제 1 위치 제한부, 제 1 위치 제한 표면, 제 1 위치 결정 표면 등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가동 부재(50)의 관련된 구조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가동 부재(70)의 우측 부분은 L형 지지대(72)를 포함하며, 그 탑부분에 제 2 하우징(20)의 나사 구멍과 정렬된 나사 구멍(720)이 형성된다. 가동 부재(70)의 지지대(72)를 제 2 하우징(20)의 요홈(202) 내에 끼워 넣고, 나사는 지지대(72)의 나사 구멍(720)을 관통하여 제 2 하우징(20)의 나사 구멍에 체결됨으로써, 양자를 고정한다. 제 2 그룹 및 제 4 그룹의 지지 조립체(40)의 앞쪽의 가동 부재(70)는 제 1 그룹 및 제 3 그룹의 지지 조립체(40)의 뒤쪽의 가동 부재(70)와 좌우 대칭되게 설치되고, 제 2 그룹 및 제 4 그룹의 지지 조립체(40)의 뒤쪽의 가동 부재(70)는 제 1 그룹 및 제 3 그룹의 지지 조립체(40)의 앞쪽의 가동 부재(70)와 좌우 대칭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각 그룹의 지지 조립체(40)는 가동 부재(70)에 의해 제 1 하우징(10)과 제 2 하우징(20)을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각 가동 부재(50, 70)의 바닥면(521)은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의 탑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당접되어 연결부(34)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가동 부재(50, 70)의 위치 제한 홈(51)의 원심(O1), 위치 결정 홈(55)의 원심(O5), 위치 제한 홈(51)의 바닥면(510)의 원심(O2), 위치 제한 홈(51)의 탑면(512)의 원심(O3), 위치 결정 홈(55)의 바닥면(550)의 원심(O6), 위치 결정 홈(55)의 탑면(552)의 원심(O7),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의 원심(O9),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의 원심(O12),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의 원심(O10),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의 원심(O11)은 모두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의 내부에 있고, 각 가동 부재(50, 70)의 베이스(52)의 탑면(520)의 원심(O0)은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보다 낮다. 각 가동 부재(50, 70)의 상대 회전의 원심이 모두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의 내부에 있으므로, 제 1 하우징(10)과 제 2 하우징(20)이 상대적으로 회전할 경우, 제 1 하우징(10)과 제 2 하우징(20) 사이의 연결부(34)의 길이는 변함없고, 압축되거나 인장되지 않으며, 따라서 플렉서블 스크린(30)의 파손을 방지한다.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면,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 부재(50, 70)의 바닥면(521)과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의 탑면이 분리 가능하게 당접된다. 즉, 가동 부재(50, 70)는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보다 유연한 지지 효과를 제공한다. 연결부(34)가 펼쳐지면, 가동 부재(50, 70)의 바닥면(521) 전체가 연결부(34)에 당접되고; 연결부(34)가 만곡되면, 가동 부재(50, 70)의 바닥면(521)의 일부분은 연결부(34)와 당접되고, 나머지 부분은 연결부(34)와 분리된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34)가 만곡될 때 가동 부재(50, 70)에 의해 지지되는 면적은 연결부(34)가 펼쳐질 때 가동 부재(50, 70)에 의해 지지되는 면적보다 작다.
지지 조립체(40)가 전개될 때, 각 가동 부재(50, 70)는 하나씩 엇갈리게 배열되어 사선을 이루고, 각 가동 부재(50, 70)의 탑면(520)도 각자로 엇갈리게 배열되어 불연속 표면을 형성하며; 지지 조립체(40)가 만곡될 때, 각 가동 부재(50, 70)는 원호형으로 둘러싸게 되고, 가동 부재(50, 70)의 탑면(520)은 서로 연속되어 연속적인 윈호형 곡면을 형성한다.
플렉서블 스크린(30)을 보다 잘 지지하기 위해, 가동 부재(50, 70)의 바닥면(521)과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 사이에 지지판(36)(도 2 참조)이 더 설치된다. 지지판(36)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 플렉서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지지판(36)의 면적은 연결부(34)의 면적보다 약간 크며, 그 양측은 각각 홈(100) 근처의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의 바닥면에 부착된다. 지지 조립체(40)의 가동 부재(50, 70)의 바닥면(521)은 지지판(36)의 탑면에 당접되고, 지지판(36)의 바닥면은 연결부(34)의 탑면에 고정되어, 지지 조립체(40)는 지지판(36)을 통해 연결부(34)를 지지함으로써, 가동 부재(50, 70)가 연결부(34)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초래하는 연결부(34)의 손상을 피할 수 있다. 지지판(36)과 지지 조립체(40)는 상이한 상태에서 상이한 접촉 관계를 갖는다. 가동 부재(50, 70)의 바닥면(521)과 지지판(36)의 탑면도 분리 가능하게 당접될 수 있고, 연결부(34)가 펼쳐지면, 가동 부재(50, 70)의 바닥면(521) 전체가 지지판(36)에 당접되고; 연결부(34)가 만곡되면, 가동 부재(50, 70)의 바닥면(521)의 일부분은 지지판(36)과 당접되고, 나머지 부분은 지지판(36)과 분리된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34)가 만곡될 때, 지지판(36)과 가동 부재(50, 70)의 접촉 면적은 연결부(34)가 펼쳐질 때 지지판(36)과 가동 부재(50, 70)의 접촉 면적보다 작다.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각 가동 부재(50)는 제 1 위치 제한부(54) 및 제 2 위치 제한부(56)를 포함한다. 정밀도에 대한 요구가 높지 않은 경우, 2개의 가동 부재(50)만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그 중 하나의 가동 부재(50)는 제 1 위치 제한부(54)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가동 부재(50)는 제 2 위치 제한부(56)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동 부재(50)는 제 1 하우징(10)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가동 부재(50)는 제 2 하우징(20)에 고정된다. 제 1 위치 제한부(54)와 제 2 위치 제한부(56)의 당접에 의해,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위치 제한부(54)는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만 포함할 수 있고, 제 2 위치 제한부(56)는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만 포함할 수 있으며, 즉 제 1 위치 제한부(54)는 제 1 위치 제한 표면(544)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제 2 위치 제한부(56)는 제 2 위치 제한 표면(568)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가동 부재(50)는 제 1 위치 제한부(54) 및 제 2 위치 제한부(56)를 구비하지 않고, 위치 결정홈(55)과 위치 제한홈(51)만으로 인접한 가동 부재(50)의 상대 이동 궤적을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가동 부재(50)는 위치 제한홈(51)만 구비할 수 있고, 이럴 경우 마찬가지로 가동 부재(50)의 이동 궤적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8과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40a)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지지 조립체(40a)는 전술한 실시예의 지지 조립체(40)와 동일하게 기능하며, 인접한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을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지지판(36)/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를 지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 1 하우징(10), 제 2 하우징(20), 지지판(36) 및 플렉서블 스크린(30)의 관련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지지 조립체(40a)도 복수의 가동 부재(50a)가 직렬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각 가동 부재(50a)도 베이스(52a), 베이스(52a)의 앞측에 형성된 제 1 위치 제한부(54a), 베이스(52a)의 뒤측에 형성된 제 2 위치 제한부(56a)를 포함한다. 베이스(52a)에 관통 구멍(53a)과 위치 제한 홈(51a)이 형성되어 연결 부재(60a)와 협동하여 인접한 베이스(52a)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베이스(52a)는 제 1 기판(52b)과 제 1 기판(52b)에 연결된 제 2 기판(52c)을 포함한다. 제 1 기판(52b)과 제 2 기판(52c)은 별개로 제조되며, 연결 부재(60a)와 조립될 때 용접 등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도 20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제 1 기판(52b)의 외부 윤곽은 전술한 실시예의 베이스(52)의 외부 윤곽과 동일하다. 제 1 기판(52b)의 바닥면(521b)은 평평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제 1 기판(52b)의 좌단면(522b) 및 우단면(523b)은 모두 바닥면(521b)에 수직되는 평면이고; 제 1 기판(52b)의 앞측면(524b) 및 뒤측면(525b)도 모두 바닥면(521b)에 수직되는 평면이며, 면적은 좌단면(522b) 및 우단면(523b)의 면적보다 크고; 제 1 기판(52b)의 탑면(520b)은 볼록면이며, 바람직하게는 볼록한 원호면이며, 그 원심(O0)은 바닥면(521b) 아래에 위치한다. 제 1 기판(52b)의 좌측 부분에는 관통 구멍(53b)이 형성되어 있고, 우측 부분에는 위칙 제한 홈(51b)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53b)은 제 1 기판(52b)을 전후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53b)의 내벽면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평면을 가지며, 관통 구멍(53b)의 좌우 방향에서의 폭을 줄이는데 사용되며, 따라서 관통 구멍(53b)이 차지하는 면적을 절약한다. 위칙 제한 홈(51b)도 제 1 기판(52b)을 전후로 관통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위치 제한 홈(51b)과 전술한 실시예의 위치 제한 홈(51)은 형상, 연장 궤적의 방향 및 각도가 모두 동일하다. 위치 제한 홈(51b)의 연장 궤도도 윈심(O1)이 제 1 기판(52b)의 바닥면(521b) 아래에 위치하는 원호 형상이다. 본 실시예의 위치 제한 홈(51b)도 바닥면(510b), 탑면(512b) 및 탑면(512b)과 바닥면(510b)을 연결하는 2개의 측면(514b)을 포함한다. 바닥면(510b)은 위로 돌출된 볼록 곡면이고, 탑면(512b)은 위로 오목된 오목 곡면이며, 측면(514b)은 각각 왼쪽 및 오른쪽으로 안으로 오목된 오목 곡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닥면(510b)의 곡률은 탑면(512b)의 곡률보다 크고, 바닥면(510b)과 탑면(512b)은 평행된다. 바닥면(510b)의 곡면은 원호면의 일부이고, 그 원심(O2)은 제 1 기판(52b)의 바닥면(521b) 아래에 위치된다. 탑면(512b)의 곡면도 원호면의 일부이고, 그 원심(O3)은 제 1 기판(52b)의 바닥면(521b) 아래에 위치되고 바닥면(510b)의 원심(O2) 및 위치 제한 홈(51b) 자체의 원심(O1)과 중합된다. 특히, 위치 제한 홈(51b)의 원심(O1), 그 바닥면(510b)의 원심(O2) 및 탑면(512)의 원심(O3)은 모두 제 1 기판(52b)의 바닥면(521b)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측면(514b)은 탑면(512b)과 바닥면(510b)을 매끄럽게 연결한다. 측면(514b)도 원호면의 일부이지만, 그 원심(O4)은 위치 제한 홈(51b)의 내부에 있으며 바닥면(510b)보다 높고 탑면(512b)보다 낮다. 두 측면(514b)의 원심(O4)의 높이가 다르며, 좌측면(514b)의 원심(O4)은 우측면(514b)의 원심(O4)보다 높기 때문에, 위치 제한 홈(51b)은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다시 말하면, 탑면(512b)의 원심(O3)과 바닥면(510b)의 원심(O2)은 측면(514b)의 원심(O4)보다 낮다.
제 1 기판(52b)은 그 앞측면(524b)에 홈(540b)이 형성되어 있다. 홈(540b)은 탑면(512b)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제 1 기판(52b) 내부에서 종결되며, 홈(540b)은 또한 앞으로 제 1 기판(52b)의 앞측면(524b)을 관통한다. 제 1 기판(52b)에 있어서의 홈(540b) 아랫 부분은 제 1 위치 제한부(54a)를 형성한다. 홈(540b)의 바닥면(즉 제 1 위치 제한부(54a)의 탑면)은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a)을 형성한다. 관통 구멍(53b)의 상부는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a)을 관통하여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a)을 독립적인 두 부분으로 분할한다.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a)은 원호면이고, 그 원심(O10)은 제 1 기판(52b)의 바닥면(521b) 아래에 위치되며, 위치 제한 홈(51b) 자체의 원심(O1), 그 바닥면(510b)의 원심(O2) 및 탑면(512)의 원심(O3)의 높이와 동일하다.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a)의 원심(O10)의 높이는 제 1 기판(52b)의 탑면(520b)의 원심(O0)의 높이보다 높다. 특히,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a)의 원심(O10)은 제 1 기판(52b)의 좌단면(522b)에 가깝고, 위치 제한 홈(51b) 자체의 원심(O1), 그 바닥면(510b)의 원심(O2) 및 탑면(512)의 원심(O3)은 제 1 기판(52b)의 우단면(523b)에 가깝다.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b)의 곡률은 제 1 기판(52b)의 탑면(520b)의 곡률보다 크다.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b)은 왼쪽으로 기울어져 위치 제한 홈(51b)의 경사 방향과 반대된다.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a)의 좌단부는 제 1 기판(52b)의 좌단면(522b)과 동일한 평면에 있고, 우단부는 위치 제한 홈(51b)의 에지에서 종결된다.
제 1 기판(52b)의 앞측면(524b)에 있어서, 위치 제한 홈(51b)에 가까운 곳에 스토퍼 블록(58b)이 돌출된다. 스토퍼 블록(58b)은 위치 제한 홈(51b)의 위쪽에 위치하고, 제 1 기판(52b)의 탑면(520b) 및 우단면(523b)에 가깝다. 스토퍼 블록(58b)은 가동 부재(50a)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데에 사용된다. 지지 조립체(40a)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가동 부재(50a)는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a)의 스토퍼 블록(58b)에 당접되고, 지지 조립체(40a)가 만곡 상태에 있을 때, 가동 부재(50a)는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a)의 스토퍼 블록(58b)과 분리되어 있다.
제 1 기판(52b)의 뒤측면(525b)에 있어서, 위치 제한 홈(51b) 주위에 위치 결정 홈(55b)이 형성된다. 위치 결정 홈(55b)의 면적은 위치 제한 홈(51b)의 면적보다 크다. 위치 결정 홈(55b)은 제 1 기판(52b)의 뒤측면(525b)에서 앞으로 연장되고, 제 1 기판(52b) 내부에서 종결되며, 즉 위치 결정 홈(55b)은 제 1 기판(52b)을 뒤에서 앞으로 관통하지 않는다. 위치 결정 홈(55b)의 연장 궤적은 원호 형상이며, 그 원심(O5)은 제 1 기판(52b)의 바닥면(521b)보다 낮다. 위치 결정 홈(55b)도 탑면(552b), 바닥면(550b), 측면(554b)을 포함한다. 위치 결정 홈(55b)의 탑면(552b)도 오목 곡면이고 위치 제한 홈(51b)의 탑면(512b)과 평행되며; 위치 결정 홈(55b)의 바닥면(550b)도 볼록 곡면이고, 위치 제한 홈(51b)의 바닥면(510b)과 평행되며; 위치 결정 홈(55b)의 측면(554b)은 오목 곡면이고 위치 제한 홈(51b)의 측면(514b)과 평행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결정 홈(55b)의 바닥면(550b)의 곡률은 탑면(552b)의 곡률보다 크다. 바닥면(550b)의 곡면은 원호면의 일부이고, 그 원심(O6)은 제 1 기판(52b)의 바닥면(521b) 아래에 위치된다. 탑면(552b)의 곡면도 원호면의 일부이고, 그 원심(O7)은 제 1 기판(52b)의 바닥면(521b) 아래에 위치되고 바닥면(550b)의 원심(O6)과 중합된다. 특히, 위치 결정 홈(55b)의 원심(O5), 위치 결정 홈(55b)의 바닥면(550b)의 원심(O6), 위치 결정 홈(55b)의 탑면(552b)의 원심(O7)은 모두 제 1 기판(52b)의 바닥면(521b)에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위치 제한 홈(51b)의 윈심(O1), 위치 제한 홈(51b)의 바닥면(510b)의 원심(O2), 위치 제한 홈(51b)의 탑면(512b)의 원심(O3)과 제 1 방향에 따라 중합된다. 제 1 방향은 베이스(52a)의 일측에서 대향하는 타측으로의 방향이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방향은 베이스(52a)의 앞측면으로부터 뒤측면으로의 방향 또는 뒤측면으로부터 앞측면으로의 방향이다. 다시 말하면, 제 1 방향은 베이스(52a)의 두께 방향이거나 위치 제한 홈(51b) 또는 위치 결정 홈(55b)의 깊이 방향이다. 위치 결정 홈(55b)의 측면(554b)은 탑면(552b)과 바닥면(550b)을 매끄럽게 연결한다. 측면(554b)도 원호면의 일부이지만, 그 원심(O8)은 위치 결정 홈(55b)의 내부에 있으며 바닥면(550b)보다 높고 탑면(552b)보다 낮다. 위치 결정 홈(55b)의 측면(554b)의 원심(O8)과 위치 제한 홈(51b)의 측면(514b)의 원심(O4)도 제 1 방향에 따라 중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결정 홈(55b)은 단지 하나의 측면(554b)을 가지며, 위치 결정 홈(55b)의 다른 한 측은 제 1 기판(52b)의 우단면(523b)을 관통한다. 위치 결정 홈(55b)은 우측으로 경사진 방향을 취한다.
제 2 기판(52c)은 제 1 기판(52b)의 뒤쪽에 위치한다. 제 2 기판(52c)의 외부 윤곽은 제 1 기판(52b) 및 전술한 실시예의 베이스(52)의 외부 윤곽과 동일하다. 제 2 기판(52c)에 그 앞측면(524c) 및 뒤측면(525c)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53c) 및 위치 제한 홈(51c)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기판(52c)의 관통 구멍(53c)은 제 1 기판(52b)의 관통 구멍(53b)과 정렬되고, 위치 제한 홈(51c)은 제 1 기판(52b)의 위치 제한 홈(51b)과 정렬된다. 제 2 기판(52c)의 관통 구멍(53c)은 원형이며, 그 면적은 제 1 기판(52b)의 관통 구멍(53b)의 면적보다 작다. 제 2 기판(52c)의 위치 제한 홈(51c)의 형상, 방향 및 크기는 모두 제 1 기판(52b)의 위치 제한 홈(51b)과 동일하므로, 제 1 기판(52b)의 위치 제한 홈(51b)의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위치 제한 홈(51c)의 연장 궤적은 원호 형상이며, 그 원심(O13)은 제 2 기판(52c)의 바닥면(521c) 아래에 있다. 본 실시예의 위치 결정 홈(51c)도 탑면(512c), 바닥면(510c), 탑면(512c)과 바닥면(510c)을 연결하는 두 측면(514c)을 포함한다. 바닥면(510c)은 위로 돌출된 볼록 곡면이고, 탑면(512c)은 위로 오목된 오목 곡면이며, 측면(514c)은 각각 왼쪽 및 오른쪽으로 안으로 오목된 오목 곡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닥면(510c)의 곡률은 탑면(512c)의 곡률보다 크고, 탑면(512c)과 바닥면(510c)은 평행된다. 바닥면(510c)의 곡면은 원호면의 일부이고, 그 원심(O14)은 제 2 기판(52c)의 바닥면(521c) 아래에 위치된다. 탑면(512c)의 곡면도 원호면의 일부이고, 그 원심(O15)은 제 2 기판(52c)의 바닥면(521c) 아래에 위치되고 바닥면(510c)의 원심(O14) 및 위치 제한 홈(51c) 자체의 원심(O13)과 중합된다. 특히, 위치 제한 홈(51c)의 원심(O13), 그 바닥면(510c)의 원심(O14) 및 탑면(512c)의 원심(O15)은 모두 제 2 기판(52c)의 바닥면(521c)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측면(514b)은 탑면(512c)과 바닥면(510c)을 매끄럽게 연결한다. 측면(514c)도 원호면의 일부이지만, 그 원심(O16)은 위치 제한 홈(51c)의 내부에 있으며 바닥면(510c)보다 높고 탑면(512c)보다 낮다. 두 측면(514c)의 원심(O16)의 높이가 다르며, 좌측면(514c)의 원심(O16)은 우측면(514c)의 원심(O16)보다 높기 때문에, 위치 제한 홈(51c)은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다시 말하면, 탑면(512c)의 원심(O15)과 바닥면(510c)의 원심(O14)은 측면(514c)의 원심(O16)보다 낮다. 제 2 기판(52c)의 뒤측면(525c)에 있어서, 위치 제한 홈(51c)에 가까운 곳에 제 2 위치 제한부(56a)가 돌출된다. 제 2 위치 제한부(56a)는 제 2 기판(52c)의 탑면(520c) 및 우단면(523c)에 가깝다. 제 2 위치 제한부(56a)의 탑면은 제 2 기판(52c)의 탑면(520c)과 동일한 평면에 있고, 우단면은 제 2 기판(52c)의 우단면(523c)과 동일한 평면에 있으며, 좌단면은 위치 제한 홈(51c)의 좌측면(514c)에 가깝고, 바닥면은 위치 제한 홈(51c)의 탑면(512c)에 가깝다. 제 2 위치 제한부(56a)의 바닥면은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a)을 형성한다.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a)은 원호면이고, 그 원심(O11)은 제 2 기판(52c)의 바닥면(521c) 아래에 위치된다.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a)의 원심(O11)의 높이는 위치 제한 홈(51c)의 원심(O13), 위치 제한 홈(51c)의 바닥면(510c)의 원심(O14), 위치 제한 홈(51c)의 탑면(512c)의 원심(O15)의 높이와 동일하며, 또한 제 1 기판(52b)의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a)의 원심(010), 위치 제한 홈(51b)의 원심(O1), 위치 제한 홈(51b)의 바닥면(510b)의 원심(02), 위치 제한 홈(51b)의 탑면(512b)의 원심(03)의 높이와 동일하다.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a)의 원심(O11)의 높이는 제 2 기판(52c)의 탑면(520c)의 원심(O17)의 높이보다 높다. 특히,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a)의 원심(O11)은 제 2 기판(52c)의 우단면(523c)에 가깝다.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a)의 원심(O11)은 위치 제한 홈(51c)의 원심(O13), 위치 제한 홈(51c)의 탑면(512c)의 원심(O15), 위치 제한 홈(51c)의 바닥면(510c)의 원심(O14)과 제 1 방향에 따라 중합되고, 또한 제 1 기판(52b)의 위치 제한 홈(51b)의 원심(O1), 위치 제한 홈(51b)의 바닥면(510b)의 원심(02), 위치 제한 홈(51b)의 탑면(512b)의 원심(03) 과 제 1 방향에 따라 중합된다.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a)의 곡률은 제 2 기판(52c)의 탑면(520c)의 곡률보다 크다.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a)은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위치 제한 홈(51c)의 경사 방향과 동일하다.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a)의 좌단부는 위치 제한 홈(51c)의 좌측면(514c)와 가깝고, 우단부는 제 2 기판(52c)의 우단면(523c)과 동일한 평면에 있다.
제 2 기판(52c)의 앞측면(524c)에 수용 홈(57c)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홈(57c)은 앞에서 뒤로 연장되며 제 2 기판(52c)의 내부에서 종결된다. 수용 홈(57c)의 좌측 윤곽은 원형이고, 우측 윤곽은 위치 제한 홈(51c)의 윤곽과 동일하다. 수용 홈(57c)의 좌측은 관통 구멍(53c)과 연통하고, 우측은 위치 제한 홈(51c)과 연통한다.
제 1 기판(52b)과 제 2 기판(52c)은 용접, 접착 등에 의해 함께 고정되어 완전한 가동 부재(50a)를 형성한다. 제 1 기판(52b)과 제 2 기판(52c)의 외부 윤곽은 서로 정렬되고; 제 1 기판(52b)의 관통 구멍(53b)과 제 2 기판(52c)의 관통 구멍(53c)은 정렬되고 연통되어 가동 부재(50a)의 관통 구멍(53a)을 구성하며; 제 1 기판(52b)의 위치 제한 홈(51b)과 제 2 기판(52c)의 위치 제한 홈(51c)은 정렬되고 연통되어 가동 부재(50a)의 위치 제한 홈(51a)을 구성하고; 제 1 기판(52b)의 위치 결정 홈(55b)은 제 2 기판(52c)의 수용 홈(57c)과 연통된다. 제 1 기판(52b)의 바닥면(521b)과 제 2 기판(52c)의 바닥면(521c)은 조합하여 베이스(50a)의 바닥면(521a)을 형성하고, 제 1 기판(52b)의 탑면(520b)과 제 2 기판(53b)의 탑면(520c)은 조합하여 베이스(52a)의 탑면(520a)을 형성하며, 제 1 기판(52b)의 좌단면(522b)과 제 2 기판(52c)의 좌단면(522c)은 조합하여 베이스(52a)의 좌단면(522a)을 형성하고, 제 1 기판(52b)의 우단면(523b)과 제 2 기판(52c)의 우단면(523c)은 조합하여 베이스(52a)의 우단면(523a)을 형성하며, 제 1 기판(52b)의 앞측면(524b)은 베이스(52a)의 앞측면(524a)을 형성하고, 제 2 기판(52c)의 뒤측면(525c)은 베이스(52a)의 뒤측면(525a)을 형성한다.
도 19 및 도 28을 참조하면, 인접한 가동 부재(50a)는 연결 부재(60a)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인접한 2개의 가동 부재(50a)를 직렬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60a)는 로드 부재(62a)와 로드 부재(62a)에 슬리브된 잠금 부재(64a)를 포함한다. 조립할 때, 각 가동 부재(50a)의 관통 구멍(53a)은 인접한 가동 부재(50a)의 위치 제한 홈(51a)과 정렬되고, 각 가동 부재(50a)의 제 2 위치 제한부(56a)는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a)의 제 1 위치 제한부(54a)와 당접되며, 각 가동 부재(50a)의 제 1 위치 제한 부재(54a)는 앞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a)의 제 2 위치 제한 부(56a)와 당접된다. 로드 부재(62a)는 각 가동 부재(50a)의 위치 제한 홈(51a)을 통과한 다음에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a)의 관통 구멍(53a)을 통과한다. 잠금 부재(64a)는 로드 부재(62a)에 있어서의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a)의 관통 구멍(53a)을 통과하여 노출된 말단에 로킹되어 로드 부재(62a)를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로드 부재(62a)는 헤드부(620a), 헤드부(620a)로부터 뒤로 연장되는 로드부(622a) 및 헤드부(620a)로부터 앞으로 연장되는 단부(624a)를 포함한다. 로드부(622a)는 가동 부재(50a)의 제 1 기판(52b)의 위치 제한 홈(51b)와 위치 제한 홈(51c)를 통과한 다음에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a)의 제 1 기판(52b)의 관통 구멍(53b)와 제 2 기판(52c)의 관통 구멍(53c)을 통과한다. 특히, 로드부(622a)는 관통 구멍(53b)의 2개의 평면에 각각 당접되는 2개의 평면을 갖는다. 헤드부(620a)는 가동 부재(50a)의 제 1 기판(52b)의 위치 결정 홈(55b)에 수용되면서 제 1 기판(52b)의 위치 결정 홈(55b)의 앞측면과 제 2 기판(52c)의 앞측면(524c)에 당접되어 로드 부재(62a)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단부(624a)는 제 1 기판(52b)의 위치 제한 홈(51b) 내에 삽입된다. 헤드부(620a)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로드부(622a)의 말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잠금 부재(64a)는 너트이며, 그는 로드부(622a)의 말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어 로드 부재(62a)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인접한 가동 부재(50a) 사이의 회전 댐핑을 조절하기 위해, 로드부(622a)에 탄성 시트(66a)가 추가로 슬리브된다. 탄성 시트(66a)는 가동 부재(50a)의 뒤측면(525a)과 너트의 앞측면 사이에 끼워 있다. 로드 부재(62a)의 나사산에서의 너트의 로킹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탄성 시트(66a)가 압축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인접한 가동 부재(50a) 사이의 회전 댐핑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잠금 부재(64a) 및 탄성 시트(66a)는 모두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a)의 수용 홈(57c) 내에 수용되어 잠금 부재(64a) 및 탄성 시트(66a)를 보호한다.
로드 부재(62a)의 연결을 통해, 인접한 가동 부재(50a)는 이동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된다. 각 가동 부재(50a)의 제 1 위치 제한부(54a)는 인접한 가동 부재(50a)의 제 2 위치 제한부(56a)와 당접되고, 그 중에서 제 1 위치 제한부(54a)의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a)은 제 2 위치 제한부(56a)의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a)과 당접됨으로써, 인접한 2개의 가동 부재(50a)의 위치가 제한되고, 따라서 인접한 2개의 가동 부재의 상대 이동 궤적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로드 부재(62a)는 인접하는 2개의 가동 부재(50a)의 회전축으로 된다. 위치 제한 홈(51a)의 형상 제한으로 인해,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a)에 대한 가동 부재(50a)의 이동도 대응하게 제한된다. 특히,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a)에 대한 가동 부재(50a)의 회전 원심은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a)의 위치 제한 홈(51a)의 원심(O1, O13), 그 탑면(512b, 512c)의 원심(O3, O15), 그 바닥면(510b, 510c)의 원심(O2, O14)과 제 1 방향에 따라 중합되며, 즉, 인접하는 가동 부재(50a)에 대한 각 가동 부재(50a)의 회전 원심은 인접하는 가동 부재(50a)의 바닥면(521a)보다 낮다. 또한, 가동 부재(50a)가 회전 중에 불필요하게 자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동 부재(50a)의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a),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a)은 함께 가동 부재(50a)의 운동 궤적을 제한한다. 각 가동 부재(50a)의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a)은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a)의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a)에 당접된다. 가동 부재(50a)의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a)의 원심(O11)은 뒤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a)의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a)의 원심(O10)과 제 1 방향에 따라 중합되고, 또한 가동 부재(50a)의 위치 제한 홈(51a)의 원심(O1, O13), 그 탑면(512b, 512c)의 원심(O3, O15), 그 바닥면(510b, 510c)의 원심(O2, O14)과 제 1 방향에 따라 중합되므로,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a),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a)은 인접하는 2개의 가동 부재(50a)의 소정의 궤적을 따른 상대 이동을 더욱 제한할 수 있고, 가동 부재(50a)의 불필요한 자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가동 부재(50a)의 앞측면(524a)의 스토퍼 블록(58b)은 앞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a)의 회전을 더 막을 수 있으며, 앞쪽의 인접한 가동 부재(50a)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한편, 2개의 가동 부재(50a)가 상대적으로 회전하기 전에(즉, 지지 조립체(40a)가 전개 상태에 있음), 양자의 볼록한 탑면(520a)은 양자의 경계 부분에서 엇갈리게 되고; 2개의 가동 부재(50a)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 양자의 탑면(520a)은 점차 정렬되며; 2개의 가동 부재(50a)가 상대적으로 회전된 후(즉, 지지 조립체(40a)가 만곡 상태에 있음), 양자의 탑면(520a)은 정렬되어 연속적인 볼록 곡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곡면을 지지하기 편리하다.
본 실시예의 지지 조립체(40a)도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될 수 있고, 각 그룹의 지지 조립체(40a)의 전후 2개의 가동 부재(50a)도 전술한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10) 또는 제 2 하우징(20)에 고정되는 지지대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구체적인 구조 및 연결 관계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각 가동 부재(50a)의 바닥면(521a)은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의 탑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당접되어 연결부(34)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가동 부재(50a)의 위치 제한 홈(51a)의 원심(O1, O13), 위치 결정 홈(55b)의 원심(O5), 위치 제한 홈(51a)의 바닥면(510b, 510c)의 원심(O2, O14), 위치 제한 홈(51a)의 탑면(512b. 512c)의 원심(O3, O15), 위치 결정 홈(55a)의 바닥면(550b)의 원심(O6), 위치 결정 홈(55a)의 탑면(552b)의 원심(O7),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a)의 원심(O10),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a)의 원심(O11)은 모두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의 내부에 있고, 각 가동 부재(50a)의 베이스(52a)의 탑면(520a)의 원심(O0)은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보다 낮다. 각 가동 부재(50a)의 상대 회전의 원심이 모두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의 내부에 있으므로, 제 1 하우징(10)과 제 2 하우징(20)이 상대적으로 회전할 경우, 제 1 하우징(10)과 제 2 하우징(20) 사이의 연결부(34)의 길이는 변함없고, 압축되거나 인장되지 않으며, 따라서 플렉서블 스크린(30)의 파손을 방지한다. 가동 부재(50a)의 바닥면(521a)과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의 탑면이 분리 가능하게 당접된다. 즉, 가동 부재(50a)는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보다 유연한 지지 효과를 제공한다. 연결부(34)가 펼쳐지면, 가동 부재(50a)의 바닥면(521a) 전체가 연결부(34)에 당접되고; 연결부(34)가 만곡되면, 가동 부재(50a)의 바닥면(521a)의 일부분은 연결부(34)와 당접되고, 나머지 부분은 연결부(34)와 분리된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34)가 만곡될 때 가동 부재(50a)에 의해 지지되는 면적은 연결부(34)가 펼쳐질 때 가동 부재(50a)에 의해 지지되는 면적보다 작다.
지지 조립체(40a)가 전개될 때, 각 가동 부재(50a)는 하나씩 엇갈리게 배열되어 사선을 이루고, 각 가동 부재(50a)의 탑면(520a)도 각자로 엇갈리게 배열되어 불연속 표면을 형성하며; 지지 조립체(40a)가 만곡될 때, 각 가동 부재(50a)는 원호형으로 둘러싸게 되고, 가동 부재(50a)의 탑면(520a)은 서로 연속되어 연속적인 윈호형 곡면을 형성한다.
플렉서블 스크린(30)을 보다 잘 지지하기 위해, 가동 부재(50a)의 바닥면(521a)과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 사이에 지지판(36)이 더 설치된다. 지지판(36)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 플렉서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지지판(36)의 면적은 연결부(34)의 면적보다 약간 크며, 그 양측은 각각 홈(100) 근처의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의 바닥면에 부착된다. 지지 조립체(40a)의 가동 부재(50a)의 바닥면(521a)은 지지판(36)의 탑면에 당접되고, 지지판(36)의 바닥면은 연결부(34)의 탑면에 고정되어, 지지 조립체(40a)는 지지판(36)을 통해 연결부(34)를 지지함으로써, 가동 부재(50a)가 연결부(34)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초래하는 연결부(34)의 손상을 피할 수 있다. 지지판(36)과 지지 조립체(40a)는 상이한 상태에서 상이한 접촉 관계를 갖는다. 가동 부재(50a)의 바닥면(521a)과 지지판(36)의 탑면도 분리 가능하게 당접될 수 있고, 연결부(34)가 펼쳐지면, 가동 부재(50a)의 바닥면(521a) 전체가 지지판(36)에 당접되고; 연결부(34)가 만곡되면, 가동 부재(50a)의 바닥면(521a)의 일부분은 지지판(36)과 당접되고, 나머지 부분은 지지판(36)과 분리된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34)가 만곡될 때, 지지판(36)과 가동 부재(50a)의 접촉 면적은 연결부(34)가 펼쳐질 때 지지판(36)과 가동 부재(50a)의 접촉 면적보다 작다.
정밀도에 대한 요구가 높지 않은 경우, 지지 조립체(40a)도 2개의 가동 부재(50a)만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그 중 하나의 가동 부재(50a)는 제 1 위치 제한부(54a)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가동 부재(50a)는 제 2 위치 제한부(56a)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동 부재(50a)는 제 1 하우징(10)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가동 부재(50a)는 제 2 하우징(20)에 고정된다. 제 1 위치 제한부(54a)와 제 2 위치 제한부(56a)의 당접에 의해,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연결부(34)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처럼, 제 1 위치 제한부(54a)도 동시에 제 1 위치 제한 표면과 제 1 위치 결정 표면(546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위치 제한부(56a)도 동시에 제 2 위치 제한 표면과 제 2 위치 결정 표면(566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위치 제한부(54a)는 제 1 위치 제한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2 위치 제한부(56a)는 제 2 위치 제한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동 부재(50a)는 제 1 위치 제한부(54a) 및 제 2 위치 제한부(56a)를 구비하지 않고, 위치 결정홈(55a)과 위치 제한홈(51a)만으로 인접한 가동 부재(50a)의 상대 이동 궤적을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가동 부재(50a)는 위치 제한홈(51a)만 구비할 수 있고, 이럴 경우 마찬가지로 가동 부재(50a)의 이동 궤적을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분리된 제 1 기판(52b)과 제 2 기판(52c)의 디자인으로 하여 연결 부재(60a)의 조립이 간단해지고, 헤드부(620a)를 제 1 기판(52b)과 제 2 기판(52c) 사이에 끼우기만 하면 연결 부재(60a)와 가동 부재(50a)의 조립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50, 50a)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플렉서블 스크린(30)을 지지할 수 있으며, 특히 만곡 형태 및 평판 형태를 지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지 조립체(40, 40a)는 플렉서블 스크린(30)의 접이 또는 만곡 가능한 제품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 《전개 상태》 및 《만곡 상태》는 2개의 상대적 비교 상태 관계를 지칭하며, 지지 조립체(40, 40a)/플렉서블 디바이스가 완전히 전개되거나 완전히 만곡되도록 요구하지 않으며, 그 중 하나의 상태가 다른 상태보다 더 만곡된다면 각각 만곡 상태와 전개 상태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 《표면의 원심》은 상기 표면에 수직되는 평면 내에서 상기 표면의 각 위치로부터 원심까지의 거리가 일치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이해햐여야 한다. 같은 도리로,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 《홈의 원심》은 홈의 연장 궤적의 각 위치로부터 원심까지의 거리가 일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20)

  1. 플렉서블 스크린 및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을 지지하는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조립체는 복수개의 가동 부재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인접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인접한 상기 가동 부재는 상대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을 전개 상태 또는 만곡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원심을 중심으로 인접한 상기 가동 부재에 상대하여 회전하고, 인접한 상기 가동 부재에 상대하여 회전하는 상기 가동 부재의 원심은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관통 구멍 및 위치 제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의 위치 제한 홈을 통과한 다음에 인접한 상기 가동 부재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의 위치 제한 홈은 그 원심이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 내에 있는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각각 상기 베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에 있는 제 1 위치 제한부와 제 2 위치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의 제 2 위치 제한부는 인접한 상기 가동 부재의 제 1 위치 제한부와 이동 가능하게 당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가동부재의 제 1 위치 제한부에 대한 상기 가동 부재의 제 2 위치 제한부의 이동 궤적은 그 원심이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 내에 있는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제한부는 원호 형상의 제 1 위치 결정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위치 제한부는 원호 형상의 제 2 위치 결정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위치 결정 표면 및 상기 제 2 위치 결정 표면의 원심은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플렉서블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결정 표면과 상기 제 2 위치 결정 표면은 각각 상기 베이스의 대향하는 양단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결정 표면의 원심의 높이와 상기 제 2 위치 결정 표면의 원심의 높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 결정 표면의 원심과 상기 위치 제한 홈의 원심은 제 1 방향에 따라 중합되고,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서 대향하는 타측으로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1.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은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전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이 플렉서블 스크린을 지지하는 면적은 만곡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이 플렉서블 스크린을 지지하는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3.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탑면은 원호형 표면이고,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인접한 상기 가동 부재의 베이스의 탑면은 서로 엇갈리고, 만곡 상태에 있을 때, 인접한 상기 가동 부재의 베이스의 탑면은 서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4.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탑면의 원심은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5.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조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끼워져 있는 헤드부, 상기 제 1 기판의 위치 제한 홈 내에 삽입되는 단부 및 상기 제 2 기판의 위치 제한 홈을 통과하는 로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부와 상기 로드부는 각각 상기 헤드부의 대향하는 양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하는 표면에는 수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로드부의 말단에 고정되는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인접한 상기 가동 부재의 제 2 기판의 수용 홈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7.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분리된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은 홈에 의해 이격되며,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은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홈에 대응하게 설치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조립체는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상기 연결부에 부착된 지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의 바닥면은 상기 지지판에 이동 가능하게 당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조립체는 상기 홈 내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 조립체의 대향하는 양측의 가동 부재는 각각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20. 제 17 항에 있어서,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지지 조립체는 상기 제 1 하우징으로부터 경사지게 상기 제 2 하우징을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0197004728A 2016-07-19 2017-02-13 플렉서블 디바이스 Ceased KR201900312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90479 WO2018014196A1 (zh) 2016-07-19 2016-07-19 柔性装置
PCT/CN2016/090478 WO2018014195A1 (zh) 2016-07-19 2016-07-19 柔性装置
CNPCT/CN2016/090479 2016-07-19
CNPCT/CN2016/090478 2016-07-19
CNPCT/CN2016/090477 2016-07-19
PCT/CN2016/090477 WO2018014194A1 (zh) 2016-07-19 2016-07-19 柔性装置
PCT/CN2017/073362 WO2018014541A1 (zh) 2016-07-19 2017-02-13 柔性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285A true KR20190031285A (ko) 2019-03-25

Family

ID=60991710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725A Abandoned KR20190028792A (ko) 2016-07-19 2017-01-20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0197004726A Expired - Fee Related KR102134546B1 (ko) 2016-07-19 2017-01-20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0197004724A Ceased KR20190028535A (ko) 2016-07-19 2017-01-20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0197004727A Ceased KR20190031284A (ko) 2016-07-19 2017-02-13 지지 조립체
KR1020197004728A Ceased KR20190031285A (ko) 2016-07-19 2017-02-13 플렉서블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725A Abandoned KR20190028792A (ko) 2016-07-19 2017-01-20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0197004726A Expired - Fee Related KR102134546B1 (ko) 2016-07-19 2017-01-20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0197004724A Ceased KR20190028535A (ko) 2016-07-19 2017-01-20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0197004727A Ceased KR20190031284A (ko) 2016-07-19 2017-02-13 지지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5) US11459808B2 (ko)
EP (5) EP3489567B1 (ko)
JP (5) JP2019523056A (ko)
KR (5) KR20190028792A (ko)
CN (5) CN108366739B (ko)
CA (5) CA3034150A1 (ko)
WO (5) WO20180145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95051B1 (en) * 2016-04-29 2020-10-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exible structures
JP6847445B2 (ja) * 2017-02-15 2021-03-24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多軸ヒンジ装置およびこの多軸ヒンジ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
TWI612207B (zh) * 2017-04-25 2018-01-2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鉸接組件及應用其之電子裝置
EP3767611A1 (en) * 2018-03-12 2021-01-20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Bending component and flexible display device
CN110500492B (zh) * 2018-05-18 2020-12-08 兆利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挠性结构及具有挠性结构的组合体
CN110513389B (zh) * 2018-05-21 2021-06-15 兆利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挠性结构及具有挠性结构的组合
CN110557476A (zh) * 2018-05-31 2019-12-1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
CN110547562B (zh) * 2018-05-31 2021-06-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节组件及终端
CN110554737B (zh) * 2018-05-31 2023-01-2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节组件及其终端
CN110547553B (zh) * 2018-05-31 2021-10-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穿戴设备链节及其表带
CN110547561B (zh) * 2018-05-31 2021-08-0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条组件及终端
CN110554767B (zh) * 2018-05-31 2025-02-1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
CN110547555B (zh) * 2018-05-31 2021-12-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节组件及其穿戴设备
CN110547560B (zh) * 2018-05-31 2021-11-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节及表带组件、穿戴设备
TWI675356B (zh) * 2018-09-06 2019-10-21 富世達股份有限公司 多連桿式鉸鏈及電子裝置
CN109256048B (zh) * 2018-11-08 2024-09-10 上海富驰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屏幕的折叠机构
CN109600466B (zh) * 2018-12-15 2020-07-0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WO2020124580A1 (zh) * 2018-12-21 2020-06-25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金属片的固定方法及柔性显示设备
CN111536139B (zh) * 2019-03-04 2021-10-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链节
JP7268853B2 (ja) * 2019-05-17 2023-05-08 スタッフ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用ヒンジ機構
CN110332217B (zh) * 2019-05-30 2021-10-15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同步机构、折叠显示装置及通讯设备
TWI696062B (zh) * 2019-06-25 2020-06-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捲折拉伸定位結構及使用其之電子裝置
CN110338527B (zh) * 2019-06-28 2021-04-0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节连接结构和可穿戴设备
CN110432603B (zh) * 2019-06-28 2021-05-0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节连接组件和可穿戴设备
CN110353370B (zh) * 2019-06-28 2021-05-1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条组件和可穿戴设备
CN110448019A (zh) * 2019-06-28 2019-11-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条组件和可穿戴设备
CN209823807U (zh) * 2019-07-09 2019-12-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TWI688324B (zh) 2019-08-02 2020-03-11 宏碁股份有限公司 摺疊式電子裝置
CN112392853B (zh) * 2019-08-16 2022-01-11 宏碁股份有限公司 折叠式电子装置
WO2021042122A1 (en) * 2019-08-27 2021-03-04 Google Llc Hinge mechanism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CN110879671B (zh) * 2019-11-07 2021-09-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10971724B (zh) * 2019-11-25 2021-06-04 昆山科森科技股份有限公司 外折屏手机用转轴机构
TWI751461B (zh) * 2019-12-16 2022-01-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穿戴式生理訊號偵測裝置
CN111600979A (zh) * 2020-05-22 2020-08-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可弯折显示屏的支撑骨架及可弯折显示屏
US11416039B2 (en) * 2020-06-08 2022-08-16 Fositek Corp. Complex moving/rotating pivot shaft device
CN113803575A (zh) * 2020-06-12 2021-12-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屏支撑装置及智能终端
CN113983067B (zh) * 2020-11-25 2024-06-04 东莞市劲丰电子有限公司 内斜槽与半圆弧结合的u型内折转动机构
US11533813B1 (en) * 2021-07-21 2022-12-20 Rockwell Collins, Inc. Touchscreen display panel gripping mechanism and bezel
CN114046313B (zh) * 2021-11-25 2023-08-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铰链、显示面板及电子装置
EP4298949B1 (fr) 2022-06-30 2025-02-26 Comadur SA Bracelet avec maillons en materiau dur
EP4298948B1 (fr) 2022-06-30 2025-02-26 Comadur S.A. Bracelet avec maillons en materiau dur
CN115273662B (zh) * 2022-07-15 2024-11-19 深圳市联建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led显示屏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15835A (de) * 1970-04-24 1971-11-30 Gebr Hennig Gmbh Gliederbahn
JPS5235731Y2 (ko) * 1972-04-14 1977-08-15
EP0118774A1 (fr) * 1983-02-15 1984-09-19 Paul Houriet Bracelet articulé
JPS615092U (ja) * 1985-04-01 1986-01-13 ヤマハ株式会社 バンド
US4961126A (en) * 1988-07-04 1990-10-02 Casio Computer Co., Ltd. Structure of a device casing
JP2536491Y2 (ja) * 1990-05-14 1997-05-21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時計バンドの構造
IT227994Y1 (it) * 1992-02-28 1998-02-05 Morellato Spa Struttura di cinturino
ES2130812T3 (es) * 1995-05-15 1999-07-01 Braloba Ag Pulsera de reloj.
JP2003079410A (ja) * 2001-09-17 2003-03-18 Seiko Instruments Inc バンド
JP2003144209A (ja) * 2001-11-16 2003-05-20 Ricoh Elemex Corp 腕時計用バンド
JP4058494B2 (ja) * 2003-07-14 2008-03-12 株式会社クリエイション・ルネ マグネット付きバンド
JP2005034292A (ja) * 2003-07-18 2005-02-10 Casio Comput Co Ltd バンド
JP4301881B2 (ja) * 2003-07-18 2009-07-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バンド
US7056246B2 (en) * 2003-10-24 2006-06-06 Borgwarner Inc. Compliant chain guide with multiple joints
CN2660959Y (zh) * 2003-11-10 2004-12-08 詹世阳 易拆装式的手表表带单元
US20070117600A1 (en) * 2005-11-21 2007-05-24 Robertson William H Jr Flexible hing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057914B1 (fr) * 2007-11-06 2016-07-06 Rolex Sa Bracelet à maillons articulés
TWI378781B (en) * 2008-03-12 2012-12-11 Jung Tang Huang A belt integrated with stress sensing and output reaction
JP2010218102A (ja) * 2009-03-16 2010-09-30 Sony Corp 電子機器
US9372504B2 (en) * 2009-10-13 2016-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 display apparatus and hinge device therefor
CH704963B1 (fr) * 2011-05-16 2015-08-14 Buccellati Watches Sa Bracelet pour une pièce d'horlogerie.
US9176535B2 (en) * 2011-06-03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flexure assembly
CN102297322B (zh) * 2011-07-03 2013-04-10 苏州达方电子有限公司 支架及应用其的显示装置和灯具
EP2546721B1 (en) * 2011-07-11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EP2604140B1 (fr) * 2011-12-16 2014-08-13 The Swatch Group Management Services AG Maillon anti-rotation
CN103161819B (zh) * 2012-02-27 2015-04-29 联想(北京)有限公司 铰链装置和包括其的电子设备
KR20140002243A (ko) * 2012-06-28 2014-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8971032B2 (en) * 2012-11-02 2015-03-03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US9013864B2 (en) * 2012-11-02 2015-04-21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TWM453753U (zh) * 2012-12-21 2013-05-21 First Dome Corp 多節式轉軸結構
KR101452871B1 (ko) * 2013-01-11 2014-10-22 (주) 프렉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445B1 (ko) * 2013-09-27 2019-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형 기기
KR102171118B1 (ko) * 2013-09-30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GB2520271A (en) * 2013-11-13 2015-05-20 Nokia Corp A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apparatus comprising a bendable portion
CN203692696U (zh) * 2013-11-27 2014-07-09 深圳莱茵表业有限公司 双保险内工字架新型表带结构
WO2015093801A1 (ko) * 2013-12-16 2015-06-25 주식회사 세네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모듈
EP3087812B9 (en) * 2013-12-24 2021-06-09 Flexterra, Inc. Support structures for an attachable, two-dimensional flexible electronic device
CN106030688B (zh) * 2013-12-24 2020-01-24 飞利斯有限公司 可挠性电子物品
WO2015100396A1 (en) * 2013-12-24 2015-07-02 Polyera Corporation Support structures for a flexible electronic component
KR102244807B1 (ko) * 2014-03-07 2021-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1641B1 (ko) * 2014-05-13 2021-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0975603B2 (en) * 2014-06-12 2021-04-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computing device
CN105332995B (zh) * 2014-06-26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转轴及电子设备
CN204009613U (zh) * 2014-07-03 2014-12-10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可穿戴设备
US9612623B2 (en) 2014-09-16 2017-04-0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2319835B1 (ko) * 2014-09-22 2021-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9720376B2 (en) * 2014-11-18 2017-08-01 Sony Corporation Band type electronic device and substrate arrangement method
US10449415B2 (en) * 2014-12-01 2019-10-22 Polar Electro Oy Wrist-worn physical activity measurement apparatus
KR101879556B1 (ko) * 2014-12-08 2018-07-17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가요성 스크린 보호 구조물 및 상기 보호 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상기 보호 구조물을 사용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CN204242150U (zh) * 2014-12-12 2015-04-01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EP3242281A4 (en) 2014-12-30 2018-08-08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Supporting structure having variable form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ing structure
CN104523280B (zh) * 2014-12-31 2017-01-18 成都云卫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孕妇用智能手环
CN104433010B (zh) * 2014-12-31 2016-03-23 成都艾克尔特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阿尔茨海默病患者的手环
KR101893317B1 (ko) * 2014-12-31 2018-08-29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KR102318656B1 (ko) * 2015-01-05 2021-10-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지지 장치
KR102341879B1 (ko) * 2015-01-14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TWI557333B (zh) * 2015-02-02 2016-11-11 宏碁股份有限公司 樞轉機構以及可攜式電子裝置
US9733668B2 (en) * 2015-02-16 2017-08-15 Lg Electronics Inc. Wearable smart device
KR102381657B1 (ko) * 2015-05-27 2022-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힌지 모듈 장치
CN104851365B (zh) * 2015-05-28 2017-07-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TWM510038U (zh) * 2015-06-17 2015-10-01 First Dome Corp 可應用在軟性顯示屏幕之樞鈕裝置
US9915981B2 (en) * 2015-06-17 2018-03-13 First Dome Corporation Hinge device applicable to soft display module
CN105065431B (zh) * 2015-07-20 2017-12-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和柔性连接装置
CN106468936A (zh) * 2015-08-14 2017-03-01 联想(北京)有限公司 弯曲结构和电子设备
CN205121415U (zh) * 2015-08-14 2016-03-30 联想(北京)有限公司 弯曲结构和电子设备
CN204965020U (zh) * 2015-08-21 2016-01-13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
KR102366516B1 (ko) * 2015-08-31 2022-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105185231B (zh) * 2015-08-31 2017-07-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器件支撑装置及柔性显示器
CN105124868A (zh) * 2015-09-09 2015-12-09 成都创想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驱蚊型智能儿童体温手环
CN205030631U (zh) * 2015-09-29 2016-02-17 四川爱迪讯科技有限公司 一种带数据流量卡的智能手环
CN105394892A (zh) * 2015-09-30 2016-03-16 浙江理工大学 具有定时收缩功能的手环
DE202015106713U1 (de) * 2015-12-09 2016-01-08 Josef Luber Band mit integriertem Feuchttuch
CN205281987U (zh) * 2015-12-24 2016-06-01 联想(北京)有限公司 柔性装置和电子设备
CN105530340B (zh) * 2015-12-29 2018-01-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终端
CN105700841B (zh) * 2016-01-11 2021-12-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柔性电子设备
CN105676962B (zh) * 2016-01-11 2020-06-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536A (ko) 2019-03-18
US20190345748A1 (en) 2019-11-14
EP3488769B1 (en) 2020-08-19
EP3489791A1 (en) 2019-05-29
WO2018014530A1 (zh) 2018-01-25
CN108292150A (zh) 2018-07-17
CN108369786B (zh) 2020-03-24
CA3034476A1 (en) 2018-01-25
EP3489934A1 (en) 2019-05-29
CN108366739B (zh) 2021-08-17
WO2018014532A1 (zh) 2018-01-25
CN108366739A (zh) 2018-08-03
CN108368965A (zh) 2018-08-03
CA3034150A1 (en) 2018-01-25
KR20190028535A (ko) 2019-03-18
EP3488726A1 (en) 2019-05-29
EP3488769A4 (en) 2019-07-31
KR102134546B1 (ko) 2020-07-16
JP2019523056A (ja) 2019-08-22
JP2019522823A (ja) 2019-08-15
CA3034154A1 (en) 2018-01-25
WO2018014542A1 (zh) 2018-01-25
CN108369786A (zh) 2018-08-03
CA3034442A1 (en) 2018-01-25
KR20190031284A (ko) 2019-03-25
KR20190028792A (ko) 2019-03-19
EP3488726A4 (en) 2019-07-31
EP3489567A4 (en) 2019-08-07
US20210030123A1 (en) 2021-02-04
WO2018014531A1 (zh) 2018-01-25
JP2019529817A (ja) 2019-10-17
US11459808B2 (en) 2022-10-04
CN108289532A (zh) 2018-07-17
JP2019525087A (ja) 2019-09-05
JP2019527103A (ja) 2019-09-26
CN108368965B (zh) 2020-12-18
EP3489567A1 (en) 2019-05-29
EP3488769A1 (en) 2019-05-29
US20210034108A1 (en) 2021-02-04
EP3489567B1 (en) 2020-07-22
WO2018014541A1 (zh) 2018-01-25
US20210030122A1 (en) 2021-02-04
CA3034146A1 (en) 2018-01-25
US20210093054A1 (en)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1285A (ko) 플렉서블 디바이스
KR20220163847A (ko) 폴딩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050063A1 (en) Adjustable table stand and device using the same
US7054145B2 (en) Mechanism for adjusting a display
US20110085297A1 (en) Self Releasing Hinge
US11208835B2 (en) Adjusting base for door closer
KR20200086029A (ko) 폴더블 전자장치 액세서리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장치
US7426114B2 (en) Electronic apparatus
TWI435007B (zh) 雙軸式樞轉機構及其電子裝置
US8480049B2 (en) Wall mounting apparatus
US20070134966A1 (en) Display
JP2007164118A (ja) ディスプレイ及びディスプレイの自動安定装置
US20120140429A1 (en) Display device
US20120106093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955815B2 (en) Supporting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es
JP5561771B2 (ja) 筐体を備える機器、及び、携帯機器
KR101301722B1 (ko)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KR102173717B1 (ko) 기표대
US11934225B1 (en) Mobile device support system
TWI559121B (zh) 鉸鏈裝置及可攜式電子裝置
US20060126283A1 (en) Support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CN213338496U (zh) 壳体组件及笔记本电脑
EP4455498A1 (en) Rotating shaft assembly and terminal device
KR20130002955U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TWM564871U (zh) 微調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4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10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