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19003A -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 Google Patents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003A
KR20190019003A KR1020180027740A KR20180027740A KR20190019003A KR 20190019003 A KR20190019003 A KR 20190019003A KR 1020180027740 A KR1020180027740 A KR 1020180027740A KR 20180027740 A KR20180027740 A KR 20180027740A KR 20190019003 A KR20190019003 A KR 20190019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user
mask pack
boom
plu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3947B1 (ko
KR102073947B9 (ko
Inventor
권영일
조용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엘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엘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엘에프
Priority to PCT/KR2018/00935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35648A1/ko
Publication of KR20190019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947B1/ko
Publication of KR10207394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947B9/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귀로부터 얼굴을 향해 배치되는 붐; 상기 붐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의 외이도에 삽입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두피에 밀착하는 플러그; 상기 붐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된 마스크 팩에 접촉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과 상이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에 수용되어,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CURRENT CONTROLLER FOR MASK PACK}
본 발명은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귀 또는 머리에 착용하여,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 방법을 이용하는 마스크 팩에 미세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근래, 피부 미용의 관심도가 증대됨에 따라, 피부 개선 등을 목적으로 화장품이나 천연 재료 등의 미용 물질을 얼굴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일정 시간 동안 피부에 부착하는 마스크 팩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피부에 부착하는 종래의 마스크 팩은 미용 물질의 흡수 정도가 충분하지 못하고, 충분한 흡수 및 이에 따른 효과의 획득을 위해서는 마스크 팩을 오랜 기간 피부에 접촉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피부는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화장품 또는 약물을 피부에 바르게 되면 피부 상층의 표피는 화장품을 독소로 인지하고, 분자 크기, 생체 특성 및 생화학현상 등의 영향으로 화장품이나 약물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에 피부에 실질적으로 흡수되는 양이 매우 적다.
이에 따라, 피부에 전기적 또는 물리적 자극을 주어, 화장료 및 피부에 유용한 성분들이 피부로 빠른 시간 내에 흡수되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료 및 피부에 유용한 성분들이 피부로 빠른 시간 내에 흡수되도록 하는 기술로서,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은 피부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하를 가진 약물이나 화장품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전기 반발력에 의해 피부로 침투되게 하는 방법을 일컫는다.
이러한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을 이용하는 마스크 팩에는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패턴 등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을 이용하는 마스크 팩에 미세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선행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771361호에는 커넥터 기기에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잭 접속단자를 연결시켜 마스크 팩으로 미세 전류를 공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커넥터 기기를 이용하는 경우, 커넥터 기기에 연결된 각 도전성 리드선을 마스크 팩의 각 전극단자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커넥터를 전선으로 휴대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므로,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도중에 도전성 리드선과 전선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마스크 팩을 부착한 상태에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마스크 팩과 휴대 단말기의 전기 접속이 단락되지 않도록 적어도 한 손으로 커넥터 기기와 휴대 단말기를 들고 이동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7136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도중에 사용자는 움직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귀로부터 얼굴을 향해 배치되는 붐; 상기 붐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의 외이도에 삽입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두피에 밀착하는 플러그; 상기 붐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된 마스크 팩에 접촉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과 상이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에 수용되어,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발생기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가능한 헤드 밴드; 상기 헤드 밴드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하며 상기 헤드 밴드의 이탈을 방지하고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패드; 상기 패드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향해 배치되는 붐; 상기 붐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패드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 상기 붐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된 마스크 팩에 접촉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과 상이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에 수용되어, 상기 패드와 접촉하는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발생기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노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붐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의 일 영역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 발생기는, 미세 전류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1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단자;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2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어, 상기 전류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가능한 헤드 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 밴드에는 상기 제2전극이 노출하며 상기 플러그가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붐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사용자의 귀 둘레에 착용가능한 귀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귀 또는 머리에 착용하여 마스크 팩에 미세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도중에 사용자는 움직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토피 치료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a)는 붐(10, boom)과, 플러그(20)와, 제1전극(30)과, 제2전극(40)과, 전류 발생기(50)를 포함한다.
붐(10)은 일정 길이의 로드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의 귀로부터 얼굴을 향해 배치된다.
붐(10)은 사용자의 얼굴 턱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 영역이 만곡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의 얼굴 쪽을 향하는 붐(10)의 일 측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의 폭과 깊이로 함몰된 끼움홈(15)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홈(15)에는 제1전극(30)의 일 영역이 노출하도록 끼움 결합된다.
플러그(20)는 붐(10)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에 착탈 예컨대,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된다.
플러그(20)는 사용자의 외이도에 장착이 가능한 크기를 가지며, 속이 빈 통 형상을 가진다. 플러그(20)는 사용자의 얼굴 쪽을 향하는 붐(10)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붐(10)과 플러그(2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a)는 전체적으로 이어폰의 형태를 가진다.
한편, 플러그(20)의 상부에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a)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25)이 돌출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제1전극(30)은 도전성(導電性)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 길이의 바아 형상을 가진다.
제1전극(30)은 붐(10)의 끼움홈(15)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붐(10)의 끼움홈(15)에 노출되도록 결합된다.
제1전극(30)은,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패턴(110, 도 5 참조)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된 마스크 팩(100, 도 5 참조)에 접촉하여, 마스크 팩(100)에 미세 전류를 전달한다.
이와 같이, 제1전극(30)을 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노출되게 배치함으로써, 마스크 팩(100)을 사용하는 다양한 사용자의 귀의 위치와 얼굴의 크기에 대응하며, 제1전극(30)과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을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의 귀의 위치와 얼굴의 크기에 관계없이, 붐(10)을 마스크 팩(100)의 어느 위치에 위치시키더라도, 제1전극(30)과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을 간편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전극(30)은 붐(10)의 끼움홈(15)에 노출하며 끼움 결합되지 않고, 붐(10)에 수용되는 전선 또는 도전체에 의해 전류 발생기(50)의 제1단자(53)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2전극(40)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반 형상을 가진다.
제2전극(40)은 제1전극(30)과 상이한 극성을 가진다. 제2전극(40)은 플러그(20)에 노출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 예컨대, 사용자의 외이도와 접촉한다.
여기서, 제1전극(30)은 '+'전극에 해당하고, 제2전극(40)은 '-'전극에 해당할 수 있다.
전류 발생기(50)는 플러그(20)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를 출력한다. 전류 발생기(50)는 제1전극(30) 및 제2전극(40)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류 발생기(50)는 제어부(51)와, 제1단자(53)와, 제2단자(55)를 포함한다.
제어부(51)는 회로기판 형상을 가지며, 플러그(20)에 수용된다. 제어부(51)에는 미세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전기 회로가 마련되어 있다.
제어부(51)는, 제1전극(30) 및 제2전극(40)이 갈바닉 관리, 패러딕 관리, 미세 전류관리 및 고주파 관리 중 어느 한 방식에 따른 주파수 및 파형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는 갈바닉 관리, 패러딕 관리, 미세 전류관리 및 고주파 관리에 대한 주파수 및 파형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래밍이 되어 있어, 상기 프로그래밍된 각 주파수 및 파형을 순서대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이러한 전류 파형을 출력함에 따라, 이온포토레시스 효과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출력된 미세 전류 자체로 사용자의 피부를 좋게 할 수 있게 된다.
아래의 <표 1>은 갈바닉관리, 패러딕관리, 미세전류관리 및 고주파관리에 대한 전류 형태, 전류 범위, 주파수 및 그에 따른 효과이다.
<표 1>
Figure pat00001
또한, 제어부(51)는 제1전극(30) 및 제2전극(40)이 사인파, 사각파 및 톱니파 중 어느 하나의 파형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파형은 공지의 파형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미세 전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미세전류라 함은, 수∼수백 마이크로암페어(㎂)의 범위에 속하는 전류로서, 일반적으로 감각수준 이하 자극(sub-sensory level stimulation)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 전류에 의한 자극은 경피신경전기자극(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과 같은 형태보다 전류의 강도가 훨씬 낮기 때문에 다른 형태의 전기 자극과는 구분될 수 있다.
제1단자(53)는 제어부(5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제어부(51)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단자(53)는 제1전극(30)의 일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제어부(51)에서 출력한 미세 전류는 제1단자(53)를 통해 제1전극(30)으로 흐르게 된다.
제2단자(55)는 제어부(5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제어부(51)의 측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단자(55)는 제2전극(40)의 일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20)에는 전류 발생기(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59)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a)의 사용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a)와 함께 사용되는 마스크 팩(100)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마스크 팩(100)은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마스크 팩 시트에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 작용이 가능한 미용 물질 또는 약물을 포함하고, 마스크 팩 시트에는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실을 박음질하여 도전성 패턴(110)을 형성하거나, 또는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물질로 마스크 팩 시트의 표면에 인쇄하여 도전성 패턴(11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전성 패턴(110)은 마스크 팩 시트의 재질보다 높은 도전성을 가진 영역이다.
또한, 마스크 팩(100)은 도전성 섬유가 일반 섬유와 혼합되어 제조된 부직포 형태가 될 수 있거나, 또는 겔 형태의 시트에 도전성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먼저, 도전성 패턴(110)이 형성된 마스크 팩(100)을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a)의 붐(10)의 말단부가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과 접촉하도록, 플러그(20)를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한다.
다음, 전류 발생기(50)의 제어부(51)가 미세 전류를 출력하도록, 조작 버튼(25)을 조작한다.
전류 발생기(50)의 제어부(51)로부터 출력한 미세 전류는 제1단자(53)를 거쳐, 제1단자(5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전극(30)으로 흐르게 된다.
제1전극(30)을 따라 흐르는 미세 전류는 제1전극(30)과 접촉하는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으로 유입되어, 마스크 팩(100)으로 유입된 미세 전류는 도전성 패턴(110)을 따라 유동하며 피부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 때, 마스크 팩(100)에 포함된 전하를 가진 미용 물질 또는 약물의 유효 성분은 미세 전류에 의한 이온토포레시스 작용에 의해 피부에 도포되며 침투하게 된다.
그리고, 미세 전류는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이 단락되는 단락부(미도시)를 통해 피부로 침투된다.
이로써, 마스크 팩(100)에 포함된 미용 물질 또는 약물의 유용한 성분들이 미세 전류의 전기적 자극에 의해 피부로 빠른 시간 내에 흡수된다.
한편, 피부로 침투된 미세 전류는 사용자의 외이도와 접촉하는 제2전극(40)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a)는 미세 전류가 흐르는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하며, 미용물질 또는 약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100)을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a)는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 팩(100)에 미세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마스크 팩(100)을 사용하는 도중에 사용자는 움직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아토피 치료도 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b)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가능한 헤드 밴드(60a)를 더 포함한다.
헤드 밴드(60a)는 플라스틱 또는 유연성을 갖는 메모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헤드 밴드(60a)의 일단부에는 플러그(20)가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61)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 밴드(60a)의 장착공(61)에는 제2전극(40)이 헤드 밴드(60a)에 노출가능하도록 플러그(20)가 결합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b)는 전체적으로 헤드셋의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헤드 밴드(60a)에 플러그(20)가 피벗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붐(10)이 플러그(20)를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되어, 붐(10)의 말단부를 사용자 얼굴에 부착된 마스크 팩(100)의 여러 위치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b)의 사용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전성 패턴(110)이 형성된 마스크 팩(100)을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밴드(60a)를 머리에 착용함과 동시에, 플러그(20)를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한다.
다음, 붐(10)의 말단부가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과 접촉하도록, 헤드 밴드(60a)에 결합된 플러그(20)를 중심으로 붐(10)을 선회시킨다.
다음, 전류 발생기(50)의 제어부(51)로부터 미세 전류가 출력되도록 조작 버튼(25)을 조작한다.
전류 발생기(50)의 제어부(51)로부터 출력한 미세 전류는 제1단자(53)를 거쳐, 제1단자(5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전극(30)으로 흐르게 된다.
제1전극(30)을 따라 흐르는 미세 전류는 제1전극(30)과 접촉하는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으로 유입되어, 마스크 팩(100)으로 유입된 미세 전류는 도전성 패턴(110)을 따라 유동하며 피부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 때, 마스크 팩(100)에 포함된 전하를 가진 미용 물질 또는 약물의 유효 성분은 미세 전류에 의한 이온토포레시스에 의해 피부에 도포되며 침투하게 된다.
그리고, 미세 전류는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이 단락되는 단락부(미도시)를 통해 피부로 침투된 후, 사용자의 외이도와 접촉하는 제2전극(40)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b)는 미세 전류가 흐르는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하며, 미용물질 또는 약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100)을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c)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달리, 헤드 밴드(60b)의 각 양단부에는 각각,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하며 헤드 밴드(60b)의 이탈을 방지하는 패드(65)가 마련되어 있다.
패드(65)는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패드(65)에는 플러그(20)가 피벗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러그(20)는 사용자의 두피를 향해 노출되지 않도록 패드(65)에 결합된다.
그리고, 붐(10)은 패드(65)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향해 배치된다.
또한, 제1전극(30)은 붐(10)의 말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1전극(30)은 도시하지 않은 전선 또는 도전체에 의해 전류 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제1전극(30)은 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노출되게 붐(10)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c)의 사용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전성 패턴(110)이 형성된 마스크 팩(100)을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밴드(60b)를 머리에 착용한다.
이 때, 패드(65)를 사용자의 두피에 밀착시킨다.
다음, 붐(10)의 말단부가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과 접촉하도록, 헤드 밴드(60b)에 결합된 플러그(20)를 중심으로 붐(10)을 선회시킨다.
다음, 전류 발생기(50)의 제어부(51)로부터 미세 전류가 출력되도록 조작 버튼(25)을 조작한다.
전류 발생기(50)의 제어부(51)로부터 출력한 미세 전류는 제1단자(53)를 거쳐, 제1단자(5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전극(30)으로 흐르게 된다.
제1전극(30)을 따라 흐르는 미세 전류는 제1전극(30)과 접촉하는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으로 유입되어, 마스크 팩(100)으로 유입된 미세 전류는 도전성 패턴(110)을 따라 유동하며 피부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 때, 마스크 팩(100)에 포함된 전하를 가진 미용 물질 또는 약물의 유효 성분은 미세 전류에 의한 이온토포레시스에 의해 피부에 도포되며 침투하게 된다.
그리고, 미세 전류는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이 단락되는 단락부(미도시)를 통해 피부로 침투된 후, 사용자의 두피와 접촉하는 패드(65)를 거쳐 제2전극(40)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c)는 미세 전류가 흐르는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하며, 미용물질 또는 약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100)을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b) 및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c)는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 팩(100)에 미세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마스크 팩(100)을 사용하는 도중에 사용자는 움직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2 및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d)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를 사용자의 귀의 외이도에 삽입하여 착용하거나, 또는 헤드 밴드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귀 둘레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d)는 붐(10)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사용자의 귀 둘레에 착용가능한 귀걸이부(7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전성 패턴(110)이 형성된 마스크 팩(100)을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한 상태에서 제2전극(40)이 두피에 밀착하도록,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걸이부(70)를 귀 둘레에 착용한다.
다음, 제1전극(30)이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과 접촉하도록, 붐(10)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전류 발생기(50)로부터 미세 전류를 출력하면, 미세 전류는 제1전극(30)으로 흘러 제1전극(30)과 접촉하는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으로 유입되고, 마스크 팩(100)으로 유입된 미세 전류는 도전성 패턴(110)을 따라 유동하며 피부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 때, 마스크 팩(100)에 포함된 전하를 가진 미용 물질 또는 약물의 유효 성분은 미세 전류에 의한 이온토포레시스에 의해 피부에 도포되며 침투하게 된다.
그리고, 미세 전류는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이 단락되는 단락부(미도시)를 통해 피부로 침투된 후, 사용자의 두피와 접촉하는 제2전극(40)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d)는 미세 전류가 흐르는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하며, 미용물질 또는 약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100)을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d)는 귀 둘레에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 팩(100)에 미세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마스크 팩(100)을 사용하는 도중에 사용자는 움직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a,1b,1c :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10 : 붐
15 : 끼움홈
20 : 플러그
30 : 제1전극
40 : 제2전극
50 : 전류 발생기
51 : 제어부
53 : 제1단자
55 : 제2단자
59 : 배터리
60a,60b : 헤드 밴드
61 : 장착공
65 : 패드
70 : 귀걸이부

Claims (8)

  1. 사용자의 귀로부터 얼굴을 향해 배치되는 붐;
    상기 붐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의 외이도에 삽입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두피에 밀착하는 플러그;
    상기 붐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된 마스크 팩에 접촉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과 상이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에 수용되어,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발생기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2.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가능한 헤드 밴드;
    상기 헤드 밴드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하며 상기 헤드 밴드의 이탈을 방지하고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패드;
    상기 패드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향해 배치되는 붐;
    상기 붐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패드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
    상기 붐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된 마스크 팩에 접촉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과 상이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에 수용되어, 상기 패드와 접촉하는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발생기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노출되게 마련되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붐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의 일 영역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발생기는,
    미세 전류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1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단자;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2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단자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어, 상기 전류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가능한 헤드 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 밴드에는 상기 제2전극이 노출하며 상기 플러그가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이 형성된,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사용자의 귀 둘레에 착용가능한 귀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KR1020180027740A 2017-08-16 2018-03-09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Active KR102073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9359 WO2019035648A1 (ko) 2017-08-16 2018-08-14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589 2017-08-16
KR1020170103589 2017-08-16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003A true KR20190019003A (ko) 2019-02-26
KR102073947B1 KR102073947B1 (ko) 2020-02-05
KR102073947B9 KR102073947B9 (ko) 2022-03-28

Family

ID=6556248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889A Active KR102000547B1 (ko) 2017-08-16 2018-01-15 미세 전류를 이용하는 마스크 팩
KR1020180027740A Active KR102073947B1 (ko) 2017-08-16 2018-03-09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KR1020190082971A Abandoned KR20190085898A (ko) 2017-08-16 2019-07-10 미세 전류를 이용하는 마스크 팩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889A Active KR102000547B1 (ko) 2017-08-16 2018-01-15 미세 전류를 이용하는 마스크 팩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971A Abandoned KR20190085898A (ko) 2017-08-16 2019-07-10 미세 전류를 이용하는 마스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0005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510A (ko) 2019-07-17 2021-01-27 주식회사우리엘큐에너지 전기자극을 이용한 미용 마스크 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986B1 (ko) * 2019-03-28 2021-02-25 (주)제니스타 미세전류 인가 방식의 마스크 팩
KR102141761B1 (ko) * 2019-07-08 2020-08-05 (주)리솔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KR102134157B1 (ko) * 2019-07-08 2020-07-15 (주)리솔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CN113825761B (zh) 2019-07-16 2023-12-12 株式会社Lg化学 化合物、包含其的涂覆组合物和使用其的有机发光器件
KR102315060B1 (ko) * 2019-08-01 2021-10-20 주식회사 이엠텍 미세전류 및 광 자극 기능을 가지는 미용 기기
KR102118679B1 (ko) * 2019-11-18 2020-06-03 김태준 미세전류 및 저주파를 이용한 기능성 마스크팩 장치
KR102288678B1 (ko) 2019-11-19 2021-08-11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전위차 소재를 이용한 전도성 패턴이 구비된 마스크팩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288681B1 (ko) 2019-12-09 2021-08-11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및 제조방법
KR102188236B1 (ko) * 2020-07-08 2020-12-09 (주)리솔 인지 능력 및 집중력 향상을 위한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KR102188239B1 (ko) * 2020-07-08 2020-12-09 (주)리솔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KR102188234B1 (ko) * 2020-07-08 2020-12-09 (주)리솔 수면 장애 개선을 위한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KR102201903B1 (ko) 2020-09-10 2021-01-12 (주)세라켐 자가전류 퍼프타월
KR102197499B1 (ko) 2020-09-28 2020-12-31 주식회사 메디셀 미세전류 발생 디바이스를 이용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207318B1 (ko) 2020-12-18 2021-01-25 주식회사 메디셀 미세전류 발생기 부착형 마스크팩
KR20220110364A (ko) 2021-01-29 2022-08-08 주식회사 바이오스톰 하이드로겔 미세전류 마스크팩 시스템
KR20230129796A (ko) 2022-03-02 2023-09-11 주식회사 메디셀바이오 미세전류를 이용하는 다이어트 패치
CN117323562B (zh) * 2023-11-10 2024-05-17 阿木(深圳)新科技有限公司 一种具备可自收纳处理的tens微电流美容面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944B1 (ko) * 2008-04-16 2010-04-16 (주)클래시스 개인용 피부미용 관리장치
KR20130104650A (ko) * 2012-03-14 2013-09-25 권혁중 미용 기구
KR101771361B1 (ko) 2016-07-12 2017-08-24 조정호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마스크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049A (ko) * 2008-01-16 2009-07-21 함창화 부직포 발열체의 제조방법
KR101526939B1 (ko) 2011-03-22 2015-06-12 정우협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KR101326796B1 (ko) * 2012-01-10 2013-11-11 상명대학교서울산학협력단 텍스타일 터치 센서
KR101372799B1 (ko) * 2012-07-03 2014-03-11 주식회사 제닉 전도성 팩 및 이의 사용방법
KR20160131429A (ko) * 2015-05-06 2016-11-16 주식회사 코넥실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
KR20170052865A (ko) * 2015-11-05 2017-05-15 주식회사 코넥실 도전성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944B1 (ko) * 2008-04-16 2010-04-16 (주)클래시스 개인용 피부미용 관리장치
KR20130104650A (ko) * 2012-03-14 2013-09-25 권혁중 미용 기구
KR101771361B1 (ko) 2016-07-12 2017-08-24 조정호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마스크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510A (ko) 2019-07-17 2021-01-27 주식회사우리엘큐에너지 전기자극을 이용한 미용 마스크 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997A (ko) 2019-02-26
KR102073947B1 (ko) 2020-02-05
KR102000547B1 (ko) 2019-07-16
KR20190085898A (ko) 2019-07-19
KR102073947B9 (ko) 202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9003A (ko)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KR101840781B1 (ko) 패턴 형상의 전극이 배치된 마스크팩형 피부 미용 기기
ES2713923T3 (es) Sistema conector de perfil bajo
KR101571444B1 (ko) 마스크팩을 이용한 휴대용 이온도입 시스템
EA005742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медицинской терапии
JP2020192386A (ja) 皮膚美容機器
KR20210006395A (ko) 귀 신경장 자극 디바이스
KR20160095579A (ko) 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개인용 경두개직류자극장치
KR100628946B1 (ko) 미세 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팩 세트
US20160310734A1 (en) Handheld electrical stimulation medical device
KR102209529B1 (ko) 피부 미용 장치
KR102283882B1 (ko) 전기 자극 마스크 시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이에 이용되는 멀티 마스크 시트
KR102123164B1 (ko) 고주파 미용기기
KR20220063832A (ko) 마스크팩 미세전류 인가장치
KR102196871B1 (ko) 저주파 자극 마스크용 저주파 자극도자
KR102108393B1 (ko) 착용된 마스크팩의 이온 흡수를 촉진시키는 시계형 이온 도입기
KR101637101B1 (ko) 지압용구
WO1992008516A1 (en) Earpiece for electrical stimulation of acupuncture point
JP3232820U (ja) フェイスマスクセット
KR20150124240A (ko) 피부미용장치
KR102195403B1 (ko) 저주파 자극 마스크
KR102318693B1 (ko) 미세전류 미용기기
CN218652730U (zh) 一种一体式电刺激治疗棒
WO2019035648A1 (ko)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JP3218941U (ja) 耳つぼ押圧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220321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22032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