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003A - Current controller for mask pack - Google Patents
Current controller for mask pa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9003A KR20190019003A KR1020180027740A KR20180027740A KR20190019003A KR 20190019003 A KR20190019003 A KR 20190019003A KR 1020180027740 A KR1020180027740 A KR 1020180027740A KR 20180027740 A KR20180027740 A KR 20180027740A KR 20190019003 A KR20190019003 A KR 201900190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user
- mask pack
- boom
- plu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귀 또는 머리에 착용하여,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 방법을 이용하는 마스크 팩에 미세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rent controller for a mask p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rrent controller for a mask pack that can supply a minute current to a mask pack which is worn on an ear or a head and which uses an iontophoresis method.
근래, 피부 미용의 관심도가 증대됨에 따라, 피부 개선 등을 목적으로 화장품이나 천연 재료 등의 미용 물질을 얼굴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일정 시간 동안 피부에 부착하는 마스크 팩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interest in skin beauty has been increasing, and mask packs have been widely used to adhere to the ski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stably supply cosmetic or natural cosmetic materials such as natural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skin improvement.
이러한 피부에 부착하는 종래의 마스크 팩은 미용 물질의 흡수 정도가 충분하지 못하고, 충분한 흡수 및 이에 따른 효과의 획득을 위해서는 마스크 팩을 오랜 기간 피부에 접촉하는 것이 요구된다.Conventional mask packs adhering to such skin have insufficient absorption of cosmetic materials, and it is required to contact the skin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order to obtain a sufficient absorption and effect.
한편, 피부는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화장품 또는 약물을 피부에 바르게 되면 피부 상층의 표피는 화장품을 독소로 인지하고, 분자 크기, 생체 특성 및 생화학현상 등의 영향으로 화장품이나 약물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에 피부에 실질적으로 흡수되는 양이 매우 적다.On the other hand, the skin is composed of epidermis, dermis and subcutaneous fat tissue. When the cosmetic or drug is applied to the skin, epidermis of the upper skin recognizes the cosmetic as toxin, and cosmetics or medicines The amount absorbed by the skin is very small.
이에 따라, 피부에 전기적 또는 물리적 자극을 주어, 화장료 및 피부에 유용한 성분들이 피부로 빠른 시간 내에 흡수되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Accordingly,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for imparting electrical or physical stimulation to the skin, so that ingredients useful for cosmetics and skin are quickly absorbed into the skin.
이러한 화장료 및 피부에 유용한 성분들이 피부로 빠른 시간 내에 흡수되도록 하는 기술로서,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 방법이 알려져 있다.[0002] The iontophoresis method is known as a technique for allowing such cosmetics and ingredients useful for skin to be quickly absorbed into the skin.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은 피부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하를 가진 약물이나 화장품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전기 반발력에 의해 피부로 침투되게 하는 방법을 일컫는다.The iontophoresis method refers to a method in which a microcurrent is caused to flow through the skin to allow the effective ingredient contained in a drug or cosmetic having a charge to penetrate into the skin by an electric repulsive force.
이러한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을 이용하는 마스크 팩에는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패턴 등이 형성되어 있다.A conductive pattern or the like through which a minute current flows is formed in the mask pack using the iontophoresis method.
따라서,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을 이용하는 마스크 팩에 미세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선행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771361호에는 커넥터 기기에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잭 접속단자를 연결시켜 마스크 팩으로 미세 전류를 공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ccordingly, Korean Patent No. 10-1771361 discloses a method for supplying a micro current to a mask pack using an iontophoresis method. In Korean Patent No. 10-1771361, a connector device is connected to an earphone jack connection terminal of a portable terminal, And the like.
그런데, 이러한 커넥터 기기를 이용하는 경우, 커넥터 기기에 연결된 각 도전성 리드선을 마스크 팩의 각 전극단자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커넥터를 전선으로 휴대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므로,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도중에 도전성 리드선과 전선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connector device is used, each conductive lead wi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device is connected to each electrode terminal of the mask pack, and at the same time,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electric wire. Therefore, during use of the mask pack, The movement of the user is restricted by the user, which results in inconvenience.
특히, 사용자가 마스크 팩을 부착한 상태에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마스크 팩과 휴대 단말기의 전기 접속이 단락되지 않도록 적어도 한 손으로 커넥터 기기와 휴대 단말기를 들고 이동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Particularly, when the user wishes to move while the mask pack is attached, the user must move the connector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with at least one hand so as not to shor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mask pack and the portable terminal, .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도중에 사용자는 움직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rrent controller for a mask pack which allows a user to freely move without being restricted by motion while using a mask pack and which improves user's convenience. The purpose of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귀로부터 얼굴을 향해 배치되는 붐; 상기 붐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의 외이도에 삽입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두피에 밀착하는 플러그; 상기 붐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된 마스크 팩에 접촉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과 상이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에 수용되어,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발생기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om that is disposed toward a face from a user's ear; A plug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om and inserted in the ear canal of the user's ear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calp; A first electrode provided on the boom to form a conductive pattern through which a minute current flows and to contact a mask pack attached to a user's face; A second electrode having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lectrode and being received in the plug, the second electrode contacting the ear of the user; And a current genera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he current controller being provided in the plug and outputting a minute curren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가능한 헤드 밴드; 상기 헤드 밴드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하며 상기 헤드 밴드의 이탈을 방지하고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패드; 상기 패드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향해 배치되는 붐; 상기 붐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패드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 상기 붐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된 마스크 팩에 접촉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과 상이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에 수용되어, 상기 패드와 접촉하는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발생기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band which can be worn on a user's head, A pad provided on the headband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o contact the scalp of the user and prevent the headband from being separated; A boom disposed toward the user's face from the pad; A plug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om and pivotally coupled to the pad; A first electrode provided on the boom to form a conductive pattern through which a minute current flows and to contact a mask pack attached to a user's face; A second electrode having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lectrode and being received in the plug, the second electrode being in contact with the pad; And a current genera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he current controller being provided in the plug and outputting a minute current.
여기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노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first electrode may be ex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m.
상기 붐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의 일 영역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om may further include a fitting groove formed in the boom and fitted into a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상기 전류 발생기는, 미세 전류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1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단자;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2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rrent generato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minute current; A firs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control unit; And a secon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second electrode.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어, 상기 전류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battery provided in the plug for supplying power to the current generator.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가능한 헤드 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 밴드에는 상기 제2전극이 노출하며 상기 플러그가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headband may further include a wearable headband on the head of the user, wherein the headband is formed with a mounting hole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is exposed and the plug is pivotably mounted.
상기 붐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사용자의 귀 둘레에 착용가능한 귀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n earr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oom and being worn around the ear of the user.
본 발명에 따르면, 귀 또는 머리에 착용하여 마스크 팩에 미세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도중에 사용자는 움직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토피 치료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a minute current to the mask pack by being worn on the ear or head, the user can freely move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motion during the use of the mask pack, an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I can do i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rrent controller for a mask pa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eft side view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
5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current controller for a mask pa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rrent controller for a mask pa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ssential portion of Fig. 6,
8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current controller for a mask pa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rrent controller for a mask pa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urrent controller for a mask pack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current controller for a mask pa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rrent controller for a mask pac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urrent controller for a mask pack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And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technicia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elements mention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embodiments, only components different from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가 도시되어 있다.1 to 4 show a current controller for a mask pa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a)는 붐(10, boom)과, 플러그(20)와, 제1전극(30)과, 제2전극(40)과, 전류 발생기(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붐(10)은 일정 길이의 로드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의 귀로부터 얼굴을 향해 배치된다.The
붐(10)은 사용자의 얼굴 턱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 영역이 만곡 형성되어 있다.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face jaw of the user, the
한편, 사용자의 얼굴 쪽을 향하는 붐(10)의 일 측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의 폭과 깊이로 함몰된 끼움홈(15)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홈(15)에는 제1전극(30)의 일 영역이 노출하도록 끼움 결합된다.On one side of the
플러그(20)는 붐(10)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에 착탈 예컨대,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된다.The
플러그(20)는 사용자의 외이도에 장착이 가능한 크기를 가지며, 속이 빈 통 형상을 가진다. 플러그(20)는 사용자의 얼굴 쪽을 향하는 붐(10)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이러한 붐(10)과 플러그(2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a)는 전체적으로 이어폰의 형태를 가진다.Thus, the
한편, 플러그(20)의 상부에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a)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25)이 돌출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n
제1전극(30)은 도전성(導電性)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 길이의 바아 형상을 가진다.The
제1전극(30)은 붐(10)의 끼움홈(15)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붐(10)의 끼움홈(15)에 노출되도록 결합된다.The
제1전극(30)은,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패턴(110, 도 5 참조)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된 마스크 팩(100, 도 5 참조)에 접촉하여, 마스크 팩(100)에 미세 전류를 전달한다.The
이와 같이, 제1전극(30)을 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노출되게 배치함으로써, 마스크 팩(100)을 사용하는 다양한 사용자의 귀의 위치와 얼굴의 크기에 대응하며, 제1전극(30)과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을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의 귀의 위치와 얼굴의 크기에 관계없이, 붐(10)을 마스크 팩(100)의 어느 위치에 위치시키더라도, 제1전극(30)과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을 간편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By disposing the
여기서, 제1전극(30)은 붐(10)의 끼움홈(15)에 노출하며 끼움 결합되지 않고, 붐(10)에 수용되는 전선 또는 도전체에 의해 전류 발생기(50)의 제1단자(53)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The
제2전극(40)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반 형상을 가진다.The
제2전극(40)은 제1전극(30)과 상이한 극성을 가진다. 제2전극(40)은 플러그(20)에 노출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 예컨대, 사용자의 외이도와 접촉한다.The second electrode (40) has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lectrode (30). The
여기서, 제1전극(30)은 '+'전극에 해당하고, 제2전극(40)은 '-'전극에 해당할 수 있다.Here, the
전류 발생기(50)는 플러그(20)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를 출력한다. 전류 발생기(50)는 제1전극(30) 및 제2전극(40)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The
전류 발생기(50)는 제어부(51)와, 제1단자(53)와, 제2단자(55)를 포함한다.The
제어부(51)는 회로기판 형상을 가지며, 플러그(20)에 수용된다. 제어부(51)에는 미세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전기 회로가 마련되어 있다.The
제어부(51)는, 제1전극(30) 및 제2전극(40)이 갈바닉 관리, 패러딕 관리, 미세 전류관리 및 고주파 관리 중 어느 한 방식에 따른 주파수 및 파형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는 갈바닉 관리, 패러딕 관리, 미세 전류관리 및 고주파 관리에 대한 주파수 및 파형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래밍이 되어 있어, 상기 프로그래밍된 각 주파수 및 파형을 순서대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이러한 전류 파형을 출력함에 따라, 이온포토레시스 효과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출력된 미세 전류 자체로 사용자의 피부를 좋게 할 수 있게 된다.The
아래의 <표 1>은 갈바닉관리, 패러딕관리, 미세전류관리 및 고주파관리에 대한 전류 형태, 전류 범위, 주파수 및 그에 따른 효과이다.Table 1 below shows the current type, current range, frequency, and the effect of galvanic management, paradigm management, microcurrent management, and high frequency management.
<표 1><Table 1>
또한, 제어부(51)는 제1전극(30) 및 제2전극(40)이 사인파, 사각파 및 톱니파 중 어느 하나의 파형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파형은 공지의 파형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미세 전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 the micro curr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본 명세서에서 미세전류라 함은, 수∼수백 마이크로암페어(㎂)의 범위에 속하는 전류로서, 일반적으로 감각수준 이하 자극(sub-sensory level stimulation)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 전류에 의한 자극은 경피신경전기자극(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과 같은 형태보다 전류의 강도가 훨씬 낮기 때문에 다른 형태의 전기 자극과는 구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icrocurrent refers to a current in the range of several to several hundred microamperes (μA), which is generally referred to as sub-sensory level stimulation. These microcurrent stimuli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types of electrical stimuli because their currents are much lower in intensity than in the form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제1단자(53)는 제어부(5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제어부(51)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단자(53)는 제1전극(30)의 일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제어부(51)에서 출력한 미세 전류는 제1단자(53)를 통해 제1전극(30)으로 흐르게 된다.The
제2단자(55)는 제어부(5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제어부(51)의 측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단자(55)는 제2전극(40)의 일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한편, 플러그(20)에는 전류 발생기(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59)가 마련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a)의 사용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use of the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a)와 함께 사용되는 마스크 팩(100)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Prior to the explanation, the
마스크 팩(100)은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마스크 팩 시트에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 작용이 가능한 미용 물질 또는 약물을 포함하고, 마스크 팩 시트에는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실을 박음질하여 도전성 패턴(110)을 형성하거나, 또는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물질로 마스크 팩 시트의 표면에 인쇄하여 도전성 패턴(11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전성 패턴(110)은 마스크 팩 시트의 재질보다 높은 도전성을 가진 영역이다.The
또한, 마스크 팩(100)은 도전성 섬유가 일반 섬유와 혼합되어 제조된 부직포 형태가 될 수 있거나, 또는 겔 형태의 시트에 도전성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The
먼저, 도전성 패턴(110)이 형성된 마스크 팩(100)을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a)의 붐(10)의 말단부가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과 접촉하도록, 플러그(20)를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한다.5, the end portion of the
다음, 전류 발생기(50)의 제어부(51)가 미세 전류를 출력하도록, 조작 버튼(25)을 조작한다.Next, the
전류 발생기(50)의 제어부(51)로부터 출력한 미세 전류는 제1단자(53)를 거쳐, 제1단자(5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전극(30)으로 흐르게 된다.The fine current output from the
제1전극(30)을 따라 흐르는 미세 전류는 제1전극(30)과 접촉하는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으로 유입되어, 마스크 팩(100)으로 유입된 미세 전류는 도전성 패턴(110)을 따라 유동하며 피부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한다.The microcurrent flowing along the
이 때, 마스크 팩(100)에 포함된 전하를 가진 미용 물질 또는 약물의 유효 성분은 미세 전류에 의한 이온토포레시스 작용에 의해 피부에 도포되며 침투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smetic material having the charge contained in the
그리고, 미세 전류는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이 단락되는 단락부(미도시)를 통해 피부로 침투된다.Then, the microcurrent flows into the skin through a short circuit (not shown) in which the
이로써, 마스크 팩(100)에 포함된 미용 물질 또는 약물의 유용한 성분들이 미세 전류의 전기적 자극에 의해 피부로 빠른 시간 내에 흡수된다.As a result, the cosmetic material contained in the
한편, 피부로 침투된 미세 전류는 사용자의 외이도와 접촉하는 제2전극(40)으로 유입된다.On the other hand, the micro current impregnated into the skin flows into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a)는 미세 전류가 흐르는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하며, 미용물질 또는 약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100)을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a)는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 팩(100)에 미세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마스크 팩(100)을 사용하는 도중에 사용자는 움직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아토피 치료도 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가 도시되어 있다.6 and 7 show a current controller for a mask pa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b)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가능한 헤드 밴드(60a)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헤드 밴드(60a)는 플라스틱 또는 유연성을 갖는 메모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헤드 밴드(60a)의 일단부에는 플러그(20)가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61)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mounting
헤드 밴드(60a)의 장착공(61)에는 제2전극(40)이 헤드 밴드(60a)에 노출가능하도록 플러그(20)가 결합된다.The
이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b)는 전체적으로 헤드셋의 형태를 가진다.Thus, the
이와 같이, 헤드 밴드(60a)에 플러그(20)가 피벗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붐(10)이 플러그(20)를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되어, 붐(10)의 말단부를 사용자 얼굴에 부착된 마스크 팩(100)의 여러 위치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As the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b)의 사용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using the
도전성 패턴(110)이 형성된 마스크 팩(100)을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밴드(60a)를 머리에 착용함과 동시에, 플러그(20)를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한다.The
다음, 붐(10)의 말단부가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과 접촉하도록, 헤드 밴드(60a)에 결합된 플러그(20)를 중심으로 붐(10)을 선회시킨다.Next, the
다음, 전류 발생기(50)의 제어부(51)로부터 미세 전류가 출력되도록 조작 버튼(25)을 조작한다.Next, the
전류 발생기(50)의 제어부(51)로부터 출력한 미세 전류는 제1단자(53)를 거쳐, 제1단자(5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전극(30)으로 흐르게 된다.The fine current output from the
제1전극(30)을 따라 흐르는 미세 전류는 제1전극(30)과 접촉하는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으로 유입되어, 마스크 팩(100)으로 유입된 미세 전류는 도전성 패턴(110)을 따라 유동하며 피부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한다.The microcurrent flowing along the
이 때, 마스크 팩(100)에 포함된 전하를 가진 미용 물질 또는 약물의 유효 성분은 미세 전류에 의한 이온토포레시스에 의해 피부에 도포되며 침투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smetic material having the charge contained in the
그리고, 미세 전류는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이 단락되는 단락부(미도시)를 통해 피부로 침투된 후, 사용자의 외이도와 접촉하는 제2전극(40)으로 유입된다.The microcurrent flows into the skin through a short circuit (not shown) in which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b)는 미세 전류가 흐르는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하며, 미용물질 또는 약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100)을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가 도시되어 있다.9 and 10 show a current controller for a mask pa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c)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달리, 헤드 밴드(60b)의 각 양단부에는 각각,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하며 헤드 밴드(60b)의 이탈을 방지하는 패드(65)가 마련되어 있다.The current controller 1c for the mask pack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the both ends of the
패드(65)는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또한, 패드(65)에는 플러그(20)가 피벗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러그(20)는 사용자의 두피를 향해 노출되지 않도록 패드(65)에 결합된다.The
그리고, 붐(10)은 패드(65)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향해 배치된다.Then, the
또한, 제1전극(30)은 붐(10)의 말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1전극(30)은 도시하지 않은 전선 또는 도전체에 의해 전류 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제1전극(30)은 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노출되게 붐(10)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Also, the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c)의 사용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using the current controller 1c for a mask pack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전성 패턴(110)이 형성된 마스크 팩(100)을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밴드(60b)를 머리에 착용한다.The
이 때, 패드(65)를 사용자의 두피에 밀착시킨다.At this time, the
다음, 붐(10)의 말단부가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과 접촉하도록, 헤드 밴드(60b)에 결합된 플러그(20)를 중심으로 붐(10)을 선회시킨다.Next, the
다음, 전류 발생기(50)의 제어부(51)로부터 미세 전류가 출력되도록 조작 버튼(25)을 조작한다.Next, the
전류 발생기(50)의 제어부(51)로부터 출력한 미세 전류는 제1단자(53)를 거쳐, 제1단자(5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전극(30)으로 흐르게 된다.The fine current output from the
제1전극(30)을 따라 흐르는 미세 전류는 제1전극(30)과 접촉하는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으로 유입되어, 마스크 팩(100)으로 유입된 미세 전류는 도전성 패턴(110)을 따라 유동하며 피부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한다.The microcurrent flowing along the
이 때, 마스크 팩(100)에 포함된 전하를 가진 미용 물질 또는 약물의 유효 성분은 미세 전류에 의한 이온토포레시스에 의해 피부에 도포되며 침투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smetic material having the charge contained in the
그리고, 미세 전류는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이 단락되는 단락부(미도시)를 통해 피부로 침투된 후, 사용자의 두피와 접촉하는 패드(65)를 거쳐 제2전극(40)으로 유입된다.The microcurrent is penetrated into the skin through a short circuit (not shown) in which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c)는 미세 전류가 흐르는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하며, 미용물질 또는 약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100)을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urrent controller 1c for a mask pack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losed circuit through which a minute current flows, and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b) 및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c)는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 팩(100)에 미세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마스크 팩(100)을 사용하는 도중에 사용자는 움직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12 및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가 도시되어 있다.12 and 13 show a current controller for a mask pac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d)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를 사용자의 귀의 외이도에 삽입하여 착용하거나, 또는 헤드 밴드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귀 둘레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구조를 가진다.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d)는 붐(10)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사용자의 귀 둘레에 착용가능한 귀걸이부(70)를 더 포함한다.Accordingly,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전성 패턴(110)이 형성된 마스크 팩(100)을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한 상태에서 제2전극(40)이 두피에 밀착하도록,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걸이부(70)를 귀 둘레에 착용한다.13, when the
다음, 제1전극(30)이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과 접촉하도록, 붐(10)을 위치시킨다.Next, the
그리고, 전류 발생기(50)로부터 미세 전류를 출력하면, 미세 전류는 제1전극(30)으로 흘러 제1전극(30)과 접촉하는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으로 유입되고, 마스크 팩(100)으로 유입된 미세 전류는 도전성 패턴(110)을 따라 유동하며 피부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한다.When a minute current is output from the
이 때, 마스크 팩(100)에 포함된 전하를 가진 미용 물질 또는 약물의 유효 성분은 미세 전류에 의한 이온토포레시스에 의해 피부에 도포되며 침투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smetic material having the charge contained in the
그리고, 미세 전류는 마스크 팩(100)의 도전성 패턴(110)이 단락되는 단락부(미도시)를 통해 피부로 침투된 후, 사용자의 두피와 접촉하는 제2전극(40)으로 유입된다.The microcurrent flows into the skin through a short circuit (not shown) in which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d)는 미세 전류가 흐르는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하며, 미용물질 또는 약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100)을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1d)는 귀 둘레에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 팩(100)에 미세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마스크 팩(100)을 사용하는 도중에 사용자는 움직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a,1b,1c :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10 : 붐
15 : 끼움홈
20 : 플러그
30 : 제1전극
40 : 제2전극
50 : 전류 발생기
51 : 제어부
53 : 제1단자
55 : 제2단자
59 : 배터리
60a,60b : 헤드 밴드
61 : 장착공
65 : 패드
70 : 귀걸이부1a, 1b, 1c: Current controller for mask pack
10: Boom
15: Fitting groove
20: Plug
30: first electrode
40: second electrode
50: current generator
51:
53: first terminal
55: second terminal
59: Battery
60a, 60b: Headband
61: Mounting ball
65: Pad
70: Earring section
Claims (8)
상기 붐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의 외이도에 삽입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두피에 밀착하는 플러그;
상기 붐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된 마스크 팩에 접촉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과 상이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에 수용되어,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발생기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A boom disposed from the user's ear toward the face;
A plug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om and inserted in the ear canal of the user's ear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calp;
A first electrode provided on the boom to form a conductive pattern through which a minute current flows and to contact a mask pack attached to a user's face;
A second electrode having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lectrode and being received in the plug, the second electrode contacting the ear of the user; And
And a current generator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is provided in the plug and outputs a minute current.
상기 헤드 밴드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하며 상기 헤드 밴드의 이탈을 방지하고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패드;
상기 패드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향해 배치되는 붐;
상기 붐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패드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
상기 붐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된 마스크 팩에 접촉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과 상이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에 수용되어, 상기 패드와 접촉하는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어, 미세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발생기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A wearable headband on the wearer's head;
A pad provided on the headband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o contact the scalp of the user and prevent the headband from being separated;
A boom disposed toward the user's face from the pad;
A plug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om and pivotally coupled to the pad;
A first electrode provided on the boom to form a conductive pattern through which a minute current flows and to contact a mask pack attached to a user's face;
A second electrode having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lectrode and being received in the plug, the second electrode being in contact with the pad; And
And a current generator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is provided in the plug and outputs a minute current.
상기 제1전극은 상기 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노출되게 마련되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electrode is ex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m.
상기 붐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의 일 영역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fitting groove formed in the boom so that one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is fitted to the fitting groove.
상기 전류 발생기는,
미세 전류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1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단자;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2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단자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urrent generator comprises: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minute current;
A firs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control unit; And
And a secon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second electrode.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어, 상기 전류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battery provided in the plug for supplying power to the current generator.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가능한 헤드 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 밴드에는 상기 제2전극이 노출하며 상기 플러그가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이 형성된,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earable headband on the head of the user,
Wherein the headband is formed with a mounting hole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is exposed and the plug is pivotably mounted.
상기 붐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사용자의 귀 둘레에 착용가능한 귀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ar piec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oom and worn around the ear of the us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8/009359 WO2019035648A1 (en) | 2017-08-16 | 2018-08-14 | Current controller for mask pa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3589 | 2017-08-16 | ||
KR1020170103589 | 2017-08-16 |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9003A true KR20190019003A (en) | 2019-02-26 |
KR102073947B1 KR102073947B1 (en) | 2020-02-05 |
KR102073947B9 KR102073947B9 (en) | 2022-03-28 |
Family
ID=6556248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4889A Active KR102000547B1 (en) | 2017-08-16 | 2018-01-15 | Mask pack using micro-current |
KR1020180027740A Active KR102073947B1 (en) | 2017-08-16 | 2018-03-09 | Current controller for mask pack |
KR1020190082971A Abandoned KR20190085898A (en) | 2017-08-16 | 2019-07-10 | Mask pack using micro-current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4889A Active KR102000547B1 (en) | 2017-08-16 | 2018-01-15 | Mask pack using micro-current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2971A Abandoned KR20190085898A (en) | 2017-08-16 | 2019-07-10 | Mask pack using micro-curr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10200054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9510A (en) | 2019-07-17 | 2021-01-27 | 주식회사우리엘큐에너지 | Cosmetic mask pack device using electric stimula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9986B1 (en) * | 2019-03-28 | 2021-02-25 | (주)제니스타 | A Micro-Current Appling Type of a Mask Pack |
KR102141761B1 (en) * | 2019-07-08 | 2020-08-05 | (주)리솔 | Micro current treatment system with micro current stimulator |
KR102134157B1 (en) * | 2019-07-08 | 2020-07-15 | (주)리솔 | Micro current treatment system with user recognition device |
CN113825761B (en) | 2019-07-16 | 2023-12-12 | 株式会社Lg化学 | Compound,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
KR102315060B1 (en) * | 2019-08-01 | 2021-10-20 | 주식회사 이엠텍 | Skin care apparatus with microcurrent stimulating function and photon therapy function |
KR102118679B1 (en) * | 2019-11-18 | 2020-06-03 | 김태준 | Apparatus for Function Mask Pack Using Micro Current and Low Frequency |
KR102288678B1 (en) | 2019-11-19 | 2021-08-11 |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 Sheet with conductive pattern using potential difference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102288681B1 (en) | 2019-12-09 | 2021-08-11 |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 Patterned conductive detachable mask pack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o orient current using potential difference material |
KR102188236B1 (en) * | 2020-07-08 | 2020-12-09 | (주)리솔 | Microcurrent Treatment System for Improving Cognition and Concentration |
KR102188239B1 (en) * | 2020-07-08 | 2020-12-09 | (주)리솔 | microcurrent treatment system for stress relief |
KR102188234B1 (en) * | 2020-07-08 | 2020-12-09 | (주)리솔 | Microcurrent Treatment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Sleep Disorders |
KR102201903B1 (en) | 2020-09-10 | 2021-01-12 | (주)세라켐 | Self-powered puff towel |
KR102197499B1 (en) | 2020-09-28 | 2020-12-31 | 주식회사 메디셀 | Mask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micro-current generator |
KR102207318B1 (en) | 2020-12-18 | 2021-01-25 | 주식회사 메디셀 | Mask pack with micro-current generator |
KR20220110364A (en) | 2021-01-29 | 2022-08-08 | 주식회사 바이오스톰 | Hydrogel Microcurrent Mask Pack System |
KR20230129796A (en) | 2022-03-02 | 2023-09-11 | 주식회사 메디셀바이오 | Diet Patch using Microcurrent |
CN117323562B (en) * | 2023-11-10 | 2024-05-17 | 阿木(深圳)新科技有限公司 | TeNS micro-current beauty mask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stored and processe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2944B1 (en) * | 2008-04-16 | 2010-04-16 | (주)클래시스 | Personal skin care management device |
KR20130104650A (en) * | 2012-03-14 | 2013-09-25 | 권혁중 | Skin beauty instrument |
KR101771361B1 (en) | 2016-07-12 | 2017-08-24 | 조정호 | Mask pack for iontophoresis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79049A (en) * | 2008-01-16 | 2009-07-21 | 함창화 | Manufacturing method of nonwoven heating element |
KR101526939B1 (en) | 2011-03-22 | 2015-06-12 | 정우협 | Mask using micro electrical current |
KR101326796B1 (en) * | 2012-01-10 | 2013-11-11 | 상명대학교서울산학협력단 | Textile touch sensor |
KR101372799B1 (en) * | 2012-07-03 | 2014-03-11 | 주식회사 제닉 | Conductive pack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KR20160131429A (en) * | 2015-05-06 | 2016-11-16 | 주식회사 코넥실 | Electric conduction pad for electrostimulation |
KR20170052865A (en) * | 2015-11-05 | 2017-05-15 | 주식회사 코넥실 | Conductive pad |
-
2018
- 2018-01-15 KR KR1020180004889A patent/KR102000547B1/en active Active
- 2018-03-09 KR KR1020180027740A patent/KR102073947B1/en active Active
-
2019
- 2019-07-10 KR KR1020190082971A patent/KR20190085898A/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2944B1 (en) * | 2008-04-16 | 2010-04-16 | (주)클래시스 | Personal skin care management device |
KR20130104650A (en) * | 2012-03-14 | 2013-09-25 | 권혁중 | Skin beauty instrument |
KR101771361B1 (en) | 2016-07-12 | 2017-08-24 | 조정호 | Mask pack for iontophoresi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9510A (en) | 2019-07-17 | 2021-01-27 | 주식회사우리엘큐에너지 | Cosmetic mask pack device using electric stimul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8997A (en) | 2019-02-26 |
KR102073947B1 (en) | 2020-02-05 |
KR102000547B1 (en) | 2019-07-16 |
KR20190085898A (en) | 2019-07-19 |
KR102073947B9 (en) | 2022-03-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19003A (en) | Current controller for mask pack | |
KR101840781B1 (en) | Mask pack type skin care apparatus having pattern type electrode | |
ES2713923T3 (en) | Low profile connector system | |
KR101571444B1 (en) | Ion injector using a mask-pack | |
EA00574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medical therapy | |
JP2020192386A (en) | Skin care device | |
KR20210006395A (en) | Ear nerve stimulation device | |
KR20160095579A (en) | Personal transcrania direct current stimulation minimizing abuse | |
KR100628946B1 (en) | Mask pack set using micro current | |
US20160310734A1 (en) | Handheld electrical stimulation medical device | |
KR102209529B1 (en) | Skin beauty apparatus | |
KR102283882B1 (en) | Device for electric stimulation mask shee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multi mask sheet used to the same | |
KR102123164B1 (en) | Aesthetic apparatus using high-frequency treatment | |
KR20220063832A (en) | Micro current applying device for maskpack | |
KR102196871B1 (en) | Lower frequency stimulation conductor for lower frequency stimulation mask | |
KR102108393B1 (en) | Clock type ion implanter device for promoting ion absorption of mask pack | |
KR101637101B1 (en) | A treatment tool for oriental finger pressing | |
WO1992008516A1 (en) | Earpiece for electrical stimulation of acupuncture point | |
JP3232820U (en) | Face mask set | |
KR20150124240A (en) | skin beauty apparatus | |
KR102195403B1 (en) | Lower frequency stimulation mask | |
KR102318693B1 (en) | Micro current esthetic machine | |
CN218652730U (en) | Integrated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rod | |
WO2019035648A1 (en) | Current controller for mask pack | |
JP3218941U (en) | Earbud pressing fix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220321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22032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