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157B1 -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4157B1 KR102134157B1 KR1020190082097A KR20190082097A KR102134157B1 KR 102134157 B1 KR102134157 B1 KR 102134157B1 KR 1020190082097 A KR1020190082097 A KR 1020190082097A KR 20190082097 A KR20190082097 A KR 20190082097A KR 102134157 B1 KR102134157 B1 KR 1021341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electrical stimulation
- stimulation
- unit
- microcurr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6—Head electrodes
- A61N1/0529—Electrodes for brain stimulation
- A61N1/0534—Electrodes for deep brain stimu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5—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ing a mental or cerebral condi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128—Control systems
- A61N1/36135—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 A61N1/3614—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based on impedance measur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생부가 변형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에 구비되는 미세전류 자극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전극부에 구비되는 전극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한 쌍의 전극이 나머지 전극과 절연된 상태에서의 전기자극 및 순간 전기자극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한 쌍의 전극이 나머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의 전기자극 및 유효 순간 전기자극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에 구비되는 미세전류 자극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발생부가 변형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에 구비되는 미세전류 자극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미세전류 자극장치의 제어부가 임피던스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임피던스를 기반으로 미세전류 세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6 및 7에 도시된 전극부에 구비되는 전극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한 쌍의 전극이 나머지 전극과 절연된 상태에서의 임피던스를 반영한 전기자극 및 순간 전기자극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한 쌍의 전극이 나머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의 임피던스를 반영한 전기자극 및 유효 순간 전기자극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에 구비되는 미세전류 자극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발생부가 변형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에 구비되는 미세전류 자극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에 구비되는 사용자 인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에 구비되는 사용자 인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미세전류 자극장치의 순간 전기자극 또는 유효 순간 전기자극에 따라 사용자 인지장치의 발광부, 출력부가 빛, 사운드를 제공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0: 제1 실시예의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100: 제어부,
110: 전원 공급부,
121: 미세전류 발생부,
123: 인지자극 발생부,
130: 전극부,
20: 제2 실시예의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200: 임피던스 측정부,
210: 제어부,
220: 전원 공급부,
231: 미세전류 발생부,
233: 인지자극 발생부,
240: 전극부,
30: 제3 실시예의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300: 스트레스 측정부,
305: 센서,
310: 임피던스 측정부,
320: 제어부,
330: 전원 공급부,
341: 미세전류 발생부,
343: 인지자극 발생부,
350: 전극부.
50: 사용자 인지장치,
51: 통신부,
52: 제어부,
53: 전원 공급부,
54: 발광부,
55: 출력부.
Claims (10)
- 전기자극이 동 시간동안 인가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가해지는 순간 전기자극 또는 상기 순간 전기자극이 소멸되기 전에 순차적으로 상기 순간 전기자극이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가해지는 유효 순간 전기자극을 통해 사용자를 치료하는 미세전류 자극장치(10, 20, 30) 중 하나의 미세전류 자극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연동되는 미세전류 자극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순간 전기자극 또는 유효 순간 전기자극이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지장치(50)를 포함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류 자극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순간 전기자극 또는 유효 순간 전기자극을 전달받는 통신부(51);
상기 통신부(51)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순간 전기자극 또는 유효 순간 전기자극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52);
상기 제어부(5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색상의 빛 또는 상기 제1 색상과 다른 색상인 제2 색상의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54);
상기 제어부(5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사운드 또는 상기 제1 사운드와 다른 세기, 높낮이, 음색을 가진 제2 사운드를 출력하는 출력부(55); 및
상기 발광부(54)와 상기 출력부(55)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는,
상기 신체 부위에 가해질 전기자극 방법의 종류인 TDCS, DBS, TACS, ECT, ECS, CES 별로 설정되는 자극 효용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는,
상기 미세전류 자극장치로부터 시간대별 임피던스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임피던스 중 적어도 하나의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임피던스를 반영하여 보정된 임계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임피던스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실시간 측정되는 스트레스 수치를 반영하여 보정되는 임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54)는,
상기 제어부(52)가 상기 순간 전기자극 또는 유효 순간 전기자극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 색상의 빛을 발광, 점멸, 발광 및 점멸 중 하나의 방식으로 발생시키며,
상기 제어부(52)가 상기 순간 전기자극 또는 유효 순간 전기자극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2 색상의 빛을 발광, 점멸, 발광 및 점멸 중 하나의 방식으로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색상 또는 상기 제2 색상 빛의 발광 및 점멸은, 상기 제1 색상 또는 상기 제2 색상의 빛을 일정 주기동안 발광시킨 후에 다시 일정 주기동안 상기 제1 색상 또는 상기 제2 색상의 빛을 점멸시키며, 또 다시 상기 제1 색상 또는 상기 제2 색상의 빛을 일정 주기동안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2)는,
상기 발광부(54)로부터 상기 제1 색상 또는 상기 제2 색상의 빛이 발광 및 점멸되도록 하되, 시간이 경과될수록 상기 제1 색상 또는 상기 제2 색상의 발광과 점멸 간의 간격이 짧아지도록 상기 발광부(54)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55)는,
상기 제어부(52)가 상기 순간 전기자극 또는 유효 순간 전기자극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운드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52)가 상기 순간 전기자극 또는 유효 순간 전기자극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운드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2)는,
상기 출력부(55)로부터 상기 제1 사운드 또는 상기 제2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되, 시간이 경과될수록 상기 제1 사운드 또는 상기 제2 사운드의 출력 주기가 길어지도록 상기 출력부(55)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운드는,
상기 제1 사운드에 비해 상기 세기의 진폭이 크며, 상기 높낮이의 진동수가 크고, 상기 제1 사운드와 상기 음색의 파형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2)는,
상기 발광부(54)와 상기 출력부(55)가 서로 연동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발광부(54)로부터 상기 제1 색상의 빛이 발생되는 동시에 상기 출력부(55)로부터 상기 제1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발광부(54)로부터 상기 제2 색상의 빛이 발생되는 동시에 상기 출력부(55)로부터 상기 제2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2)는,
상기 발광부(54)와 상기 출력부(55)를 선택 제어하여, 상기 발광부(54)와 상기 출력부(55)로부터 상기 제1, 2 색상의 빛 및 상기 제1, 2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 또는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2097A KR102134157B1 (ko) | 2019-07-08 | 2019-07-08 |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2097A KR102134157B1 (ko) | 2019-07-08 | 2019-07-08 |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4235A Division KR102188234B1 (ko) | 2020-07-08 | 2020-07-08 | 수면 장애 개선을 위한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KR1020200084237A Division KR102188239B1 (ko) | 2020-07-08 | 2020-07-08 |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KR1020200084236A Division KR102188236B1 (ko) | 2020-07-08 | 2020-07-08 | 인지 능력 및 집중력 향상을 위한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4157B1 true KR102134157B1 (ko) | 2020-07-15 |
Family
ID=7160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2097A Active KR102134157B1 (ko) | 2019-07-08 | 2019-07-08 |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4157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30450A (ko) | 2003-09-26 | 2005-03-30 | 주식회사 대경솔라 | 미세전류에 의한 건강증진 기능이 부여된 장신구 |
KR100795830B1 (ko) | 2006-11-01 | 2008-01-17 | 주식회사 지맨 | 기능성 신발 |
KR20080095347A (ko) * | 2007-04-24 | 2008-10-29 | 상 규 김 | 미세전류장치 |
KR100938605B1 (ko) | 2009-08-01 | 2010-01-22 | (주)지원에프알에스 |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내장된 의류 |
KR20130081426A (ko) * | 2012-01-09 | 2013-07-17 | 박천정 | 인체 미세전류의 발생을 위한 발마사지 장치 |
KR101777338B1 (ko) * | 2016-07-22 | 2017-09-15 | 박정식 | 생체 임피던스를 고려한 미세 전류 치료 장치 |
KR20190018997A (ko) * | 2017-08-16 | 2019-02-26 | 주식회사 이엘에프 | 미세 전류를 이용하는 마스크 팩 |
-
2019
- 2019-07-08 KR KR1020190082097A patent/KR10213415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30450A (ko) | 2003-09-26 | 2005-03-30 | 주식회사 대경솔라 | 미세전류에 의한 건강증진 기능이 부여된 장신구 |
KR100795830B1 (ko) | 2006-11-01 | 2008-01-17 | 주식회사 지맨 | 기능성 신발 |
KR20080095347A (ko) * | 2007-04-24 | 2008-10-29 | 상 규 김 | 미세전류장치 |
KR100938605B1 (ko) | 2009-08-01 | 2010-01-22 | (주)지원에프알에스 |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내장된 의류 |
KR20130081426A (ko) * | 2012-01-09 | 2013-07-17 | 박천정 | 인체 미세전류의 발생을 위한 발마사지 장치 |
KR101777338B1 (ko) * | 2016-07-22 | 2017-09-15 | 박정식 | 생체 임피던스를 고려한 미세 전류 치료 장치 |
KR20190018997A (ko) * | 2017-08-16 | 2019-02-26 | 주식회사 이엘에프 | 미세 전류를 이용하는 마스크 팩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805153B2 (ja) | 患者遠隔装置および関連付けられた神経刺激システムとの使用の方法 | |
US11135438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stimulation for glial modulation | |
JP2020039868A (ja) | 省エネによるインターリーブ多接点式神経調節療法 | |
CA2873894C (en) | Dc output apparatus which can be used for therapeutic purposes | |
US20190209834A1 (en) | Implantable stimulation leads for glial modula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 |
CN106714899A (zh) | 具有突发刺激的神经调制 | |
CN106714900A (zh) | 对患者输入的亚感知调制响应 | |
KR101209102B1 (ko) | 전기자극 기능을 가지는 미세전류 기기 | |
KR102141761B1 (ko) |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
KR101188269B1 (ko) | 인체 미세전류의 공급과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팩 | |
KR20170074926A (ko) | 안구 건조증을 치료하기 위한 자극 장치 및 방법 | |
JP2009513248A (ja) | 医療装置用の複数の信号モードの提供 | |
CN107073266A (zh) | 用于接收电极列表的用户提供的选择的系统和方法 | |
CN107073265A (zh) | 短脉冲宽度刺激 | |
JP2007535978A (ja) | 電磁誘導処理装置および方法 | |
KR101291036B1 (ko) | 인체 미세전류의 발생을 위한 발마사지 장치 | |
KR20110035377A (ko) | 시변자기장을 이용하는 복부패드 | |
ITPD20130193A1 (it) | Calzatura per magnetoterapia e assieme per magnetoterapia comprendente detta calzatura | |
KR102188234B1 (ko) | 수면 장애 개선을 위한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
KR102510152B1 (ko) | 부위별 전기자극 기반의 생체신호 측정장치 | |
KR102134157B1 (ko) |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
KR102188239B1 (ko) |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
KR102188236B1 (ko) | 인지 능력 및 집중력 향상을 위한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 |
KR20130073387A (ko) | 인체 미세전류의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 |
KR102048219B1 (ko) |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2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9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70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