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736A -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25736A KR20180125736A KR1020170060402A KR20170060402A KR20180125736A KR 20180125736 A KR20180125736 A KR 20180125736A KR 1020170060402 A KR1020170060402 A KR 1020170060402A KR 20170060402 A KR20170060402 A KR 20170060402A KR 20180125736 A KR20180125736 A KR 201801257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m
- standby mode
- current
- algorithm
- subtrac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41000233805 Phoenix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2—Monitoring battery levels, e.g. power saving mode being initiated when battery voltage goes below a certain lev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8—Power saving in modem or I/O interfa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 Y02D7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음영혼합 지역에 있어서의 전류차감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통신상황 및 전계별 전류차감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핸드오버 및 로밍시의 전류차감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Claims (16)
-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TMU) 데이터 모뎀이 원격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모뎀이 최종 사용한 단일 통신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원격대기 모드 타이머를 설정하고, 상기 모뎀이 음영 혼합지역, 중첩 복합지역 또는 핸드오버 및 로밍지역 중의 어느 한 곳에서 대기하는 경우 전력 사용 조건에 따라 미리 정해진 크기의 모뎀 동작 전류를 배터리의 잔여전류로부터 차감하는 알고리즘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실행하는 단계와;
원격대기 모드 타이머가 종료하거나 또는 배터리의 잔여전류가 임계치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원격 대기모드 타이머 종료시 또는 잔여전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원격 대기모드를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의 실행시간 간격은 원격대기 모드 시의 로딩시간 및 전류차감 시간의 오차를 고려하여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이 음영혼합 지역에서 대기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모뎀 동작 전류를 차감하는 알고리즘은:
해당 지역의 통신 서비스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지역의 이전 상태가 서비스 상태였는지 또는 서비스 상태가 아니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해당 지역의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고, 이전 상태도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였던 경우, 긴급 SMS 메시지 수신 횟수 및 텔레매틱스 센터 통화 횟수 만큼의 서비스 전류를 차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이 음영혼합 지역에서 대기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모뎀 동작 전류를 차감하는 알고리즘은:
해당 지역의 통신 서비스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지역의 이전 상태가 서비스 상태였는지 또는 서비스 상태가 아니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해당 지역의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고, 이전 상태는 서비스가 불가능하였다면, 알고리즘 실행 간격당 등록차감 전류와, 긴급 SMS 메시지 수신 횟수 및 텔레매틱스 센터 통화 횟수만큼의 서비스 전류를 차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이 음영혼합 지역에서 대기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모뎀 동작 전류를 차감하는 알고리즘은:
해당 지역의 통신 서비스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지역의 이전 상태가 서비스 상태였는지 또는 서비스 상태가 아니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해당 지역의 통신 서비스가 불가능하고, 이전 상태에서는 서비스가 가능하였다면, 알고리즘 실행 간격당 네트워크 검색차감 전류와, 긴급 SMS 메시지 수신 횟수 및 텔레매틱스 센터 통화 횟수만큼의 서비스 전류를 차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이 음영혼합 지역에서 대기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모뎀 동작 전류를 차감하는 알고리즘은:
해당 지역의 통신 서비스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지역의 이전 상태가 서비스 상태였는지 또는 서비스 상태가 아니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해당 지역의 통신 서비스가 불가능하고, 이전 상태에서도 서비스가 불가능하였다면, 서비스 불가에 따른 알고리즘 실행간격당 차감전류를 차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이 강, 약전계 중첩 복합지역에서 대기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모뎀 동작 전류를 차감하는 알고리즘은:
강, 약전계 중첩 복합지역에서 센터 통화거절 발생, 긴급 SMS메시지 수신 발생 또는 긴급 SMS메시지 거절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 및,
전 단계에서의 상태 판단에 따라, 상황별 실패 사례가 없는 경우에는 알고리즘 실행 간격당 서비스 상태에서의 차감전류를 차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이 강, 약전계 중첩 복합지역에서 대기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모뎀 동작 전류를 차감하는 알고리즘은:
강, 약전계 중첩 복합지역에서 센터 통화거절 발생, 긴급 SMS메시지 수신 발생 또는 원격메시지 거절 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필드 수신 전계 레벨이 강전계/약전계 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전 단계에서 센터 통화거절이 발생한 경우, 강전계/약전계에 따라서 알고리즘 실행 간격당 강전계/약전계별 통화거절 차감전류를 발생횟수만큼 차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이 강, 약전계 중첩 복합지역에서 대기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모뎀 동작 전류를 차감하는 알고리즘은:
강, 약전계 중첩 복합지역에서 센터 통화거절 발생, 긴급 SMS메시지 수신 발생 또는 긴급 SMS메시지 거절 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필드 수신 전계 레벨이 강전계/약전계 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전 단계에서 긴급 SMS메시지 수신이 발생한 경우, 강전계/약전계에 따라서 알고리즘 실행 간격당 강전계/약전계별 메시지 수신 차감전류를 발생횟수만큼 차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이 강, 약전계 중첩 복합지역에서 대기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모뎀 동작 전류를 차감하는 알고리즘은:
강, 약전계 중첩 복합지역에서 센터 통화거절 발생, 긴급 SMS메시지 수신 발생 또는 긴급 SMS메시지 거절 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필드 수신 전계 레벨이 강전계/약전계 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전 단계에서 긴급 SMS메시지 거절이 발생한 경우, 강전계/약전계에 따라서 알고리즘 실행 간격당 강전계/약전계별 메시지 거절 차감전류를 발생횟수만큼 차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이 핸드오버 및 로밍 지역에서 대기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모뎀 동작 전류를 차감하는 알고리즘은:
핸드오버 발생 및 횟수를 판단하거나, 또는 로밍시 홈망 탐색 발생 및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전 단계에서 핸드오버나 홈망 탐색이 발생되지 않으면 알고리즘 실행 간격당 서비스 상태에서의 차감 전류를 차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이 핸드 오버 및 로밍 지역에서 대기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모뎀 동작 전류를 차감하는 알고리즘은:
핸드오버 발생 및 횟수를 판단하거나, 또는 로밍시 홈망 탐색 발생 및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전 단계에서 핸드오버가 발생한 경우, 핸드오버 필드의 수신전계 레벨이 강전계인지 또는 약전계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강전계/약전계의 각 경우에 대한 알고리즘 실행 간격당 차감전류를 발생횟수만큼 차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이 핸드 오버 및 로밍 지역에서 대기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모뎀 동작 전류를 차감하는 알고리즘은:
핸드오버 발생 및 횟수를 판단하거나, 또는 로밍시 홈망 탐색 발생 및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전 단계에서 로밍시 홈망 탐색이 발생한 경우, 알고리즘 실행 간격당 홈망 탐색 차감전류를 발생횟수만큼 차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LTE인 경우 TAU(Tracking Area Update) 발생시에 핸드오버에 따른 전류를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WCDA/GSM 인 경우 RAU(Routing Area Update)/LAU(Location Area Update) 발생시에 핸드오버에 따른 전류를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CDMA인 경우 등록(Registration) 발생 시에 핸드오버에 따른 전류를 차감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0402A KR102252917B1 (ko) | 2017-05-16 | 2017-05-16 |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US15/835,975 US10571990B2 (en) | 2017-05-16 | 2017-12-08 | Method for optimizing the sleep mode of telematics multimedia unit data modem |
CN201711457640.5A CN108882346B (zh) | 2017-05-16 | 2017-12-28 | 优化远程信息多媒体单元数据调制解调器睡眠模式的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0402A KR102252917B1 (ko) | 2017-05-16 | 2017-05-16 |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5736A true KR20180125736A (ko) | 2018-11-26 |
KR102252917B1 KR102252917B1 (ko) | 2021-05-18 |
Family
ID=64271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0402A Active KR102252917B1 (ko) | 2017-05-16 | 2017-05-16 |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571990B2 (ko) |
KR (1) | KR102252917B1 (ko) |
CN (1) | CN10888234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3007055A1 (de) * | 2013-04-23 | 2014-10-23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Verfahren zur Kommunikation zwischen einem Sender und einem Fahrzeug sowie entsprechende Vorrichtung |
CN109803241A (zh) * | 2018-12-11 | 2019-05-24 |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 车载终端的信号搜索方法、装置、存储介质及车载终端 |
CN109561492B (zh) * | 2018-12-17 | 2022-03-04 | 甄十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 一种智能省电装置及其省电方法 |
US12258005B2 (en) | 2020-10-20 | 2025-03-25 | Polaris Industrie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hazardous condition detection |
WO2022087152A1 (en) | 2020-10-20 | 2022-04-28 | Polaris Industries Inc. | Vehicl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
KR20220098992A (ko) * | 2021-01-05 | 2022-07-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커넥티드 카의 원격 서비스 대기시간 관리 방법 및 관리 시스템 |
KR20230014368A (ko) * | 2021-07-21 | 2023-01-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차량용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CN117652179A (zh) | 2021-07-21 | 2024-03-05 | 三星电子株式会社 | 车辆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
JP2023152162A (ja) * | 2022-04-01 | 2023-10-16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船舶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
US12344176B2 (en) | 2023-09-27 | 2025-07-01 |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 Battery management for c-V2X (cellular vehicle-to-everythin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8790B1 (ko) * | 2004-05-21 | 2006-08-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
KR20060109693A (ko) * | 2005-04-18 | 2006-10-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배터리 상태를 고려한핸드오버 방법 |
KR20150044201A (ko) * | 2013-10-16 | 2015-04-2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배터리 소모전류 차단 장치 및 그 방법 |
KR101714518B1 (ko) * | 2015-09-11 | 2017-03-2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텔레매틱스 단말에서의 암전류 초과 방지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99030B2 (en) * | 2000-10-11 | 2004-09-28 | Novatel Wireles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power operation of an RF wireless modem |
KR100539804B1 (ko) * | 2003-12-29 | 2006-01-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절전모드 구현 장치와 방법 |
KR100839980B1 (ko) | 2006-12-22 | 2008-06-19 |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 배터리팩의 충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US8000842B2 (en) * | 2007-09-28 | 2011-08-16 | General Motors Llc | Method to prevent excessive current drain of telematics unit network access device |
JP5281903B2 (ja) | 2009-01-09 | 2013-09-04 | 矢崎総業株式会社 | 残油量表示装置 |
GB2472428A (en) * | 2009-08-06 | 2011-02-09 | Wireless Fibre Systems Ltd | Wireless communication via seabed for underwater seismic detection network |
US8761829B2 (en) * | 2009-10-09 | 2014-06-24 | Broadcom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and handover management in a multiple wireless technology communication device |
JP5240244B2 (ja) | 2010-06-21 | 2013-07-17 | 株式会社デンソー | バッテリ異常警告装置 |
EP2463808A1 (en) * | 2010-12-10 | 2012-06-13 | Gemalto SA | Smartcard providing an improved standby mode |
KR101053830B1 (ko) | 2011-04-05 | 2011-08-03 | 제이엠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탈부착 가능한 태블릿 pc를 이용하는 전기자동차의 전원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
KR20130002661A (ko) * | 2011-06-29 | 2013-01-0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상태 점검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
US9141169B2 (en) * | 2012-01-20 | 2015-09-22 | Cisco Technology, Inc. | System and method to conserve power in an access network without loss of service quality |
US9452720B2 (en) * | 2012-01-27 | 2016-09-27 |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 Telematics master of power |
JP2013166307A (ja) * | 2012-02-15 | 2013-08-29 | Ricoh Co Ltd | 電子機器、画像処理装置及び機器制御方法 |
PL2648363T3 (pl) * | 2012-04-05 | 2018-03-30 | Lantiq Deutschland Gmbh | Sposoby kontrolowania stanu zasilania jednostki sieciowej |
US9393920B2 (en) * | 2013-05-20 | 2016-07-19 | General Motors Llc | Telematics-based system for protecting against vehicle battery drain |
KR20150029237A (ko) | 2013-09-09 | 2015-03-1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 |
KR101535627B1 (ko) | 2013-11-11 | 2015-07-09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차량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
JP6286191B2 (ja) * | 2013-11-25 | 2018-02-28 | クラリオン株式会社 | 車載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KR101491366B1 (ko) | 2013-12-10 | 2015-02-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
KR101514442B1 (ko) | 2014-03-28 | 2015-04-22 | 주식회사 씨에이치플러스 | 차량 연료잔량 정밀 디지털측정 시스템 및 차량 연료잔량 정밀 디지털측정 방법 |
KR101612829B1 (ko) * | 2014-11-27 | 2016-04-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전기 방전을 방지하는 텔레매틱스 단말, 텔레매틱스 센터 및 그 제어 방법 |
KR102296999B1 (ko) * | 2015-02-26 | 2021-09-0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배터리 방전 방지를 위한 차량용 모뎀 동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N106095057B (zh) * | 2016-06-03 | 2019-02-01 | 上海新案数字科技有限公司 | 一种车载设备的多级待机方法与车载设备 |
-
2017
- 2017-05-16 KR KR1020170060402A patent/KR102252917B1/ko active Active
- 2017-12-08 US US15/835,975 patent/US10571990B2/en active Active
- 2017-12-28 CN CN201711457640.5A patent/CN108882346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8790B1 (ko) * | 2004-05-21 | 2006-08-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
KR20060109693A (ko) * | 2005-04-18 | 2006-10-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배터리 상태를 고려한핸드오버 방법 |
KR20150044201A (ko) * | 2013-10-16 | 2015-04-2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배터리 소모전류 차단 장치 및 그 방법 |
KR101714518B1 (ko) * | 2015-09-11 | 2017-03-2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텔레매틱스 단말에서의 암전류 초과 방지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8882346A (zh) | 2018-11-23 |
KR102252917B1 (ko) | 2021-05-18 |
CN108882346B (zh) | 2022-05-03 |
US20180335825A1 (en) | 2018-11-22 |
US10571990B2 (en) | 2020-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125736A (ko) |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 |
US604124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balancing power savings and call set up ti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US8874167B2 (en) | Method and system for multi-standby operation for a multi-SIM multi-standby communication device | |
US20130223335A1 (en) | Multi-mod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thereof | |
CN111512657A (zh) | 信息传输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 |
CN103685474A (zh) | 文件下载的方法和装置 | |
JP2001016645A (ja) | 多モード無線通信システム | |
CN105493574A (zh) | 用于优化多sim移动装置的功耗的方法和系统 | |
CN111758270B (zh) | 终端的无线通知区rna更新、信息处理方法及装置 | |
KR100735664B1 (ko)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근 등급 제한 리스트를 이용한서비스 상태 제공 장치 및 방법 | |
KR102186552B1 (ko) | 통신 모듈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
US20120315885A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twork-side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method of changing operation period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CN113228764A (zh) | 寻呼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 |
US20150056944A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number list to user in case of failed registration | |
US20080043667A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packet service status using access class barred lis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CN116458088A (zh) | 信息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 |
CN111771421B (zh) | 信息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 |
EP3879922A1 (en) | Methods and devices for resolving du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dual sim (ds), paging conflict, and storage medium | |
JP2013030953A (ja) | 移動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 |
US20230292398A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olicy control | |
US2023037111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imer,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 |
CN112291749A (zh) | 唤醒T-Box的方法和装置、T-Box、服务器 | |
CN106412342B (zh) | 定位控制方法、定位控制装置和终端 | |
CN112913182B (zh) | 信号配置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 |
CN115943725B (zh) | 寻呼监听参数确定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5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