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8790B1 -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790B1
KR100608790B1 KR1020040036539A KR20040036539A KR100608790B1 KR 100608790 B1 KR100608790 B1 KR 100608790B1 KR 1020040036539 A KR1020040036539 A KR 1020040036539A KR 20040036539 A KR20040036539 A KR 20040036539A KR 100608790 B1 KR100608790 B1 KR 100608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ttery
percentage
current
batte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294A (ko
Inventor
우영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790B1/ko
Priority to CNB2004101017025A priority patent/CN100410679C/zh
Publication of KR20050111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류 용량을 정확하게 검출 표시하는 것으로, 충전된 전원을 방전에 의하여 동작전원으로 공급하고 용량정보를 출력하는 스마트형 배터리부; 배터리부에 접속하고 제어에 의하여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을 검출 측정하는 센서부; 센서부가 검출하는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에디시부; 에디시부로부터 인가되는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 신호를 제어에 의하여 출력하거나 누적상태로 출력하는 누적부; 배터리부의 용량정보와 누적부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분석과 연산으로 백분율에 의한 잔량정보를 출력하며 기능부를 감시하는 제어부; 배터리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는 부하부가 포함되는 장치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배터리부의 용량정보를 확인하는 스마트 과정; 상기 휴대단말기는 다수 기능부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부가 정상동작하는 운용상태 인지 정상동작하지 않는 대기상태 인지를 판단하는 확인과정; 운용상태이면 소모전류를 검출하고 배터리부 총 전류로부터 차감 연산한 잔량 전류를 백분율로 환산하는 전류과정; 대기상태이면 배터리부 내부전압을 검출하고 운용전압 대비 백분율로 환산하는 전압과정; 환산된 값을 백분율 그래프 도표로 변환하여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는 표시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APPARATUS OF INDICATION BATTERY CAPACITY FOR MOBILE PHONE}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기능 구성도,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배터리부 110 : 센서부 120 : 부하부
130 : 에디시부 140 : 누적부 150 : 제어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류 용량을 정확하게 검출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대기상태와 운용상태로 구분하고, 대기상태는 전압의 비율로, 운용상태는 소모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류의 비율로 배터리 잔량을 정확하게 표시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는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해당 기 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고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항상 직접 휴대하면서 어디든지 이동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이동하면서 동작하고, 상용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탈착과 교환이 용이한 구조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한다.
상기 휴대단말기(UE)는, 실제 통신으로 운용하는 시간이 적으며 대부분의 시간을 휴대하는데 소모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상기와 같이 낮은 이용률을 높이고,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실생활의 응용성 및 편리성을 높이는 동시에, 통신 이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개발 제공되고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는, 크게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과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휴대단말기에 내장상태로 제공하는 것이 있다.
상기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에는, 카메라, 블루투스, 무선랜, 라디오, 게임, 전자계산기, 달력, 시계, 착신벨 설정 등이 있으며,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에는, 문자메시지, 영상 메시지, 온라인 게임, 무선인터넷 접속 등등이 있으며, 상기 부가서비스는 계속 새로운 기능이 개발되어 추가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다 양한 부가서비스에 의하여 카메라 기능에 의한 영상신호를 촬영하거나, 무선으로 인터넷을 접속하거나, 무선랜으로 근거리 데이터통신을 하거나, 온라인 게임을 하거나 MP3 또는 라디오 기능을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하므로, 동작전원의 소모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휴대와 이동의 편리를 위하여 크기와 무게를 작게하여야 하고,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는 크기가 클수록 많은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나 무한정 크게하지 못하는 제약이 있다.
또한, 영상신호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게임, 영상 메시지 전송 등등은 전력소모가 많으므로 해당 통신을 진행 중에 전원 부족 등에 의하여 중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레벨은, 배터리 내부저항과 부하의 내부저항 값에 의하여 전압강하로 측정되며, 부하에서 소모하는 전류의 량이 클 경우는 일시적으로 전압강하 발생 폭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현재 잔류 용량을 정확하게 확인하고 표시하는 기술의 개발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를 설명하면, 충전된 전원을 방전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착탈 이동이 용이한 배터리(10)로부터 해당 제어에 의하여 부하(LOAD)(20)에 동작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부하(20)는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 본체이며,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전원 스위치(SWITCH) 동작에 의하여 배터리(10)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 이동통신 기능과 카메라 기능과 무선랜 기능과 블루투스 기능과 게임 기능 등등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10)는 단순하게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덤브(DUMB) 배터리라고도 하고, 충전(CHARGING)에 의하여 저장된 전류를 방전(DISCHARGING)에 의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충방전용(RECHARGEABLE) 배터리를 사용하여 반복 재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10)는, 일반적으로 만충전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최대 전압이 약 4.2 볼트(V)이고, 전류를 방전 출력함에 따라서 전압이 떨어지며, 약 3.2 볼트(V)이하에서는 배터리의 파괴 현상, 즉, 재충전을 할 수 없는 파괴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3.2 볼트(V)를 컷오프(CUT-OFF) 전압이라 하고, 상기 컷오프 전압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해당 스위치를 제어하므로, 더 이상의 전류가 배터리(10)로부터 방전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 전압을 감지하는 것으로, 에디시부(30)가 있으며, 상기 에디시부(30)는, 배터리(10)의 아날로그(ANALOG) 상태 전압을 검출하고, 디지털 상 태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와 같이 디지털(DIGITAL) 전압은 제어부(40)에 인가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에디시부(30)가 검출한 배터리(10) 전압을 분석하고 해당 기준에 의하여 막대그래프로 현재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40)에 의한 배터리의 잔량 표시방식은, 배터리 출력전압 또는 내부전압이 만충전 상태의 4.2 볼트 전압으로 검출되면 100 %의 막대그래프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해당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DISPLAY)되도록 하고, 컷오프 상태의 3.2 볼트 전압이 검출되면 0 %의 막대그래프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컷오프(CUTOFF) 상태 이하의 전압이 검출되면 배터리(10) 보호를 위하여 동작전원의 출력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상기 배터리(10)와 부하(20)에는 각각 해당되는 내부저항이 있으며, 상기 부하(20)에서 전류소모가 늘어나는 경우, 상기 배터리(10)는 순간적으로 전류 방전량이 커지므로 전압강하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컷오프 전압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컷오프(CUTOFF) 전압 이하의 상태가 되면, 상기 에디시부(30)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40)에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40)는 배터리(10)를 보호하기 위하여 해당 스위치를 제어 차단하므로, 배터리(10)는 부하(20)로의 동작전원 공급을 하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 배터리(10)에 공급할 수 있는 전원이 아직 남아 있는 상태에서, 부하(20)의 순간적인 과전류 소모에 의하여 배터리(10)에 컷오프(CUT-OFF) 전압이 발생하고, 상기 제어부(40)의 컷오프 전압 감지에 의하여 배터리로부터 동작전원 출 력을 차단하므로 부하에 동작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것으로, 배터리 전압의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해당 제어부(40)는 배터리(10)로부터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지 판단하고(S10), 상기 판단(S10)에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 배터리 전압을 측정한다(S20).
상기 제어부(40)는 측정된 배터리(10) 전압을, 상기 배터리(10)의 만충전 상태 전압과 컷오프(CUT-OFF) 전압 사이의 백분율 값(%)으로 환산하고(S30), 막대그래프로 표시되도록 변환처리하며,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여 막대그래프로 표시(DISPLAY)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배터리 잔량 표시방식은, 배터리의 전압 레벨을 직접 측정하여 만충전 상태 전압과 컷오프 상태 전압 사이의 백분율에 의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지만, 과전류 소모에 의한 순간적인 컷오프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의 용량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동작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므로, 진행중인 통신을 차단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운용 상태에서 배터리 전류소모량 측정으로 잔량을 표시하고, 대기 상태에서는 배터리의 내부전압 측정으로 잔량을 표시하므로, 흔들림 없이 정확하게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고 표시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 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충전된 전원을 방전에 의하여 동작전원으로 공급하고 용량정보를 출력하는 스마트형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을 검출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가 검출하는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에디시부와; 상기 에디시부로부터 인가되는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 신호를 해당 제어에 의하여 출력하거나 누적상태로 출력하는 누적부와; 상기 배터리부의 용량정보와 상기 누적부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해당 분석과 연산으로 백분율에 의한 잔량정보를 출력하며 각 기능부를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는 부하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장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스마트형 배터리부의 용량정보를 확인하는 스마트 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는 다수 기능부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부가 정상동작하는 운용상태 인지 정상동작하지 않는 대기상태 인지를 판단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서 운용상태이면 소모전류를 검출하고 배터리부 총 전류로부터 차감 연산한 잔량 전류를 백분율로 환산하는 전류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서 대기상태이면 배터리부 내부전압을 검출하고 운용전압 대비 백분율로 환산하는 전압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환산된 값을 백분율 그래프 도표로 변환하여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는 표시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를 설명하면, 충전된 전원을 방전에 의하여 동작전원으로 공급하고 용량정보를 출력하는 스마트형(SMART TYPE)의 배터리부(100)와,
상기 배터리부(10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을 검출 측정하는 것으로, 제어부(15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배터리부(100)의 내부전압을 검출 측정하거나 배터리부(100)로부터 출력 또는 입력되는 소모전류를 선택에 의하여 검출 측정하는 센서부(110)와,
상기 배터리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다수 기능부로 이루어지는 부하부(120)와,
상기 센서부(110)가 검출하는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의 아날로그(ANALOG) 신호를 디지털(DIGITAL)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제어부(15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센서부(110)로부터 측정되고 인가되는 소모전류와 내부전압의 아날로그 신호를 각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에디시(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부(130)와,
상기 에디시부(130)로부터 인가되는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 신호를 해당 제어에 의하여 출력하거나 누적(ACCUMULATE) 상태로 출력하는 누적부(140)와,
상기 배터리부(100)의 용량정보와 상기 누적부(140)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해당 분석과 연산으로 백분율에 의한 잔량정보를 출력하며 각 기능부를 감시하는 것으로, 스마트형 배터리부(100)로부터 용량정보를 인가 받아 만충전 상태의 전류용량과 전압을 확인하고; 부하부(12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는 누적부(140)로부터 누적된 소모전류량을 입력하여 전체 전류용량 대비 소모전류량을 차감 연산하고 잔량비율을 백분율로 환산하며; 부하부(120)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누적부(140)로부터 검출된 배터리 측정 전압을 입력하여 운용전압 대비 백분율로 환산하며; 상기 환산된 백분율 값은 해당 그래프(GRAPH) 도표로 표시되도록 출력하는 제어부(1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장치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단말기에 탈부착 상태로 일체 구성되는 배터리부(100)는 스마트형으로, 동작전원을 출력하여 상기 부하부(120)에 공급하는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총 전류용량과 전압 레벨, 현재 상태의 전류 용량과 전압 상태 및 해당 고유번호(ID) 등의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50)에서 인식한다.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부(100)의 전압을 검출 측정하거나, 선택(OPTION)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소모전류량 또는 상기 배터리부(100)에 입력되는 소모전류량을 검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배터리부(100)의 동작전원이 부하부(120)에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 센서부(110)는 배터리부(100)와 직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소모전류를 검출하는 저항성분이 온도 변화에 민감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부하부(120)는, 다수 기능부로 구비되는 것으로, 일 예로, 이동통신을 하는 무선통신기능부,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영상신호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부, 음성급 신호를 입출력하는 오디오부, 블루투스로 근거리 통신하는 불루투스부, 무선인터넷 기능부 등등이고, 하나의 기능부가 운용되거나, 둘 이상의 기능부가 연계 동작되어 운용되며, 상기 배터리부(100)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운용된다.
상기 에디시부(130)는,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검출 측정되어 인가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부(100)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부하부(120)에서 소모하는 전류 또는 상기 배터리부(100)의 내부전압을 아날로그(ANALOG) 신호로 입력하고, 디지털(DIGITAL) 신호로 변환(CONVERSION)하여 상기 누적부(140)에 출력한다.
상기 누적부(140)는, 상기 제어부(150)의 해당 제어에 의하여, 소정 시간 누적된 소모전류를 출력하거나, 검출 측정된 내부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출력되는 신호는 제어부(150)에 인가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부하부(120)에 구비되는 다수 기능부를 감시하여, 하나 이상의 기능부가 동작하여 운용하는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에서 기능부가 운용되는 상태이면, 상기 누적부로부터 소정 시간 누적된 소모전류 값 신호 를 인가받고, 상기 확인에서 기능부가 운용되지 않는 상태이면, 상기 누적부로부터 검출 측정된 내부전압 값 신호를 인가 받는다.
상기 제어부(150)에 의하여 상기 부하부(120)가 운용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부(100)의 정보를 분석하여 확인된 총 전류용량으로부터 소정 시간 누적된 소모전류량을 차감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배터리부(100)의 잔류 전류용량을 총 전류용량과 대비하여 백분율(%) 값의 비율로 환산하며, 상기와 같이 환산된 백분율을 그래프의 도표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상기 그래프 도표는, 막대그래프 도표, 파이그래프 도표 등등이 있을 수 있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형태의 도표이면 어느 형태나 무방하다.
상기 제어부(150)에 의하여 상기 부하부(120)가 운용되지 않는 대기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누적부(140)로부터 검출 측정된 내부전압 값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배터리부(100)의 정보 확인에 의한 운용전압 대비 백분율(%) 비율로 환산하며, 상기와 같이 그래프(GRAPH) 도표로 변환하여 출력 표시한다.
상기 배터리부(100)의 운용전압은, 만충전 상태의 전압과 컷오프 상태의 전압에 의한 구간 값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운용상태 이면, 부하부에서 소모하는 전류량으로 배터리의 잔량을 연산하고, 휴대단말기의 부하부가 대기 상태이면 측정된 내부전압에 의하여 배터리의 잔량을 연산하여 그래프로 표시하므로, 부하의 전류소모에 의하여 잔량 표시가 흔들리는 문제를 개선하였다.
또한, 배터리부(100)의 잔량을 흔들림 없이 검출하고 컷오프 전압을 제어하 므로, 배터리부(100)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최대한 이용하며, 배터리부(100)의 용량을 크게 증가한 것과 같이 오래 사용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스마트형 배터리부의 용량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제어부(150)에 의하여 배터리부(100)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판단하여 스마트형 배터리부(100)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부(100)의 만충전 상태 전압과 전류정보 및 현재 상태에서의 전압과 전류정보를 포함하는 용량정보를 확인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과정과,
상기 스마트 과정의 휴대단말기(UE)는 다수 기능부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부가 정상동작하는 운용(OPERATING)상태 인지 정상동작하지 않는 대기(STANDBY)상태 인지를 판단하는 확인과정(S120)과,
상기 확인과정(S120)에서 운용상태이면 소모전류를 검출하고 배터리부(100) 총 전류로부터 차감 연산한 잔량 전류를 백분율로 환산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부(100)의 소모전류를 검출 측정하고 누적하는 과정(S130); 상기 배터리부(100)의 확인된 전류용량으로부터 상기 검출 측정되어 누적된 소모전류량을 차감 연산하여 잔량전류를 구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에서 연산되어 구한 잔량전류를 백분율(%)에 의한 비율로 환산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지는 전류과정과,
상기 확인과정(S120)에서 대기상태이면 배터리부 내부전압을 검출하고 운용전압 대비 백분율로 환산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부(100)의 내부전압을 검출 측정하는 과정(S170); 상기 과정(S170)에서 검출 측정된 내부전압을 배터리부(100)의 운용전압 대비 백분율(%)에 의한 비율로 환산하는 과정(S180)으로 이루어지는 전압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환산된 값을 백분율(%) 그래프(GRAPH) 도표로 변환하여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는 표시과정(S160)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UE)의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00)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S100)에서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스마트형 배터리부(100)의 정보를 확인 및 분석한다(S110).
상기 분석되는 정보는, 배터리부(100)의 충전 전류 용량과 전압 레벨이며, 현재의 전류 용량과 고유번호 등이 포함된다.
상기 과정(S110)의 제어부(150)는, 부하부(120)를 감시하여 운용상태 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S120), 상기 판단(S120)에서 운용상태이면, 배터리부(100)로부터 출력되고 부하부(120)에서 소모하는 전류량을 측정하며, 소정 시간 단위로 누적 연산한다(S130).
상기 과정(S130)에서 소정 시간 단위로 누적 연산된 부하부(120)의 소모전류량을 상기 확인된 배터리부(100)의 충전 가능한 총 전류량으로부터 차감 연산하고(S140), 상기 과정(S140)에서 차감 연산된 잔류 전류량을, 상기 충전 가능한 총 전류량과의 대비에 의한 백분율(%)로 환산한다(S150).
상기 과정(S150)에서 환산된 백분율에 의한 비율을 해당 그래프의 도표로 변환하여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므로, 그래프에 의한 배터리 잔량이 정확하게 표시된다(S160).
또한, 상기 확인과정(S120)에서 부하부가 운용되지 않는 대기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00)의 내부전압을 상기 센서부(110)와 에디시부(130)와 누적부(140)를 통하여 검출 측정하고(S170), 상기 배터리부(100)의 정보 확인에 의한 운용전압과 대비하여, 상기 검출 측정된 내부전압을 백분율(%)에 의한 비율로 환산하며(S180), 해당 그래프의 도표로 변환하여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므로, 그래프에 의한 배터리 잔량이 정확하게 표시된다(S160).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휴대단말기가 운용되는 경우, 과전류 소모에 의한 배터리 잔량 측정에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대기상태에서는 간단한 전압 측정 방식을 이용하므로 배터리부(100)의 잔량을 정확하게 검출 표시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부하부의 과전류 방전에 의하여 전압이 순간적으로 불규칙하게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배터리부의 잔량을 정확하게 검출하여 표시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부의 잔량을 흔들림 없이 검출하고 컷오프 전압을 제어하므로, 배터리부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최대한 이용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부의 용량을 최대한 사용하므로 배터리부의 용량이 증가된 것과 같은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에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을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에디시부와;
    상기 에디시부로부터 인가되는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 누적하는 누적부와;
    휴대단말기가 운용상태인지 또는 대기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배터리 잔량을 백분율로 환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환산된 백분율을 그래프 도표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대기상태이면,
    배터리부 내부전압을 검출하고, 운용전압 대비 백분율로 환산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운용상태이면,
    소모전류를 검출하고, 배터리부의 총 전류로부터 차감 연산한 잔량 전류를
    백분율로 환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상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다수 기능중 하나 이상의 기능부가 정상동작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
  5. 휴대단말기의 기능부가 정상동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정상동작하면, 소모전류를 검출하고, 배터리부 총 전류로부터 차감 연산한 잔량 전류를 백분율로 환산하는 단계와;
    상기 환산된 백분율을 그래프 도표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정상동작하지 않으면, 배터리부 내부전압을 검출하고 운용전압 대비 백분율로 환산하는 단계를 더 추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동작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다수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부가 실행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40036539A 2004-05-21 2004-05-21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608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539A KR100608790B1 (ko) 2004-05-21 2004-05-21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CNB2004101017025A CN100410679C (zh) 2004-05-21 2004-12-20 一种移动通信终端电池余量指示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539A KR100608790B1 (ko) 2004-05-21 2004-05-21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294A KR20050111294A (ko) 2005-11-24
KR100608790B1 true KR100608790B1 (ko) 2006-08-08

Family

ID=3547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539A KR100608790B1 (ko) 2004-05-21 2004-05-21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08790B1 (ko)
CN (1) CN10041067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736A (ko) * 2017-05-16 2018-1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609B1 (ko) * 2005-06-28 2007-01-17 (주)블루버드 소프트 전원 감시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283800B1 (ko) * 2006-08-10 2013-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압방식 배터리 잔량 측정 장치 및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휴대용 전자기기
KR101327617B1 (ko) * 2006-10-17 2013-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배터리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TWI403750B (zh) * 2011-01-07 2013-08-01 Acer Inc 電池容量計算方法及電池容量計算裝置
CN102508020A (zh) * 2012-01-06 2012-06-20 成都林海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终端电源电池组耗电时长的测量方法及装置
CN102540102A (zh) * 2012-03-12 2012-07-04 成都林海电子有限责任公司 终端机的电池电量检测方法及系统
CN102721927B (zh) * 2012-05-04 2016-02-1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检测移动设备电池电量的方法及系统
KR101678942B1 (ko) 2014-04-10 2016-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기 상태의 소비 전류를 측정하여 절전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전자 장치 및 절전 방법
CN103927249A (zh) * 2014-04-14 2014-07-16 可牛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移动终端中耗电量提供方法和装置
CN104931892B (zh) * 2015-06-17 2019-03-2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电池容量计算方法及系统
CN105487960B (zh) * 2015-12-28 2019-01-18 北京大学 一种基于物理实测的移动端app加载能耗自动测量方法
CN110456281B (zh) * 2019-06-28 2023-03-24 卧安科技(深圳)有限公司 电池电量检测方法、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3984A (ja) * 1987-11-30 1989-06-06 Aisin Aw Co Ltd 電池状態モニタ装置
US5248929A (en) * 1992-04-30 1993-09-28 Murata Machinery, Ltd. Battery time monitor for cellular telephone
JP3200339B2 (ja) * 1995-09-01 2001-08-2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池残存容量測定装置
JPH11262063A (ja) * 1998-03-10 1999-09-24 Fujitsu Ltd 電池残量表示装置
JP2000092721A (ja) * 1998-09-07 2000-03-31 Toshiba Corp 電池残量検出装置
SE514232C2 (sv) * 1999-01-27 2001-01-29 Ericsson Telefon Ab L M Portabel flerbandig kommunikationsanordning samt en metod för att bestämma en laddningsförbrukning för densamma
JP4576754B2 (ja) * 2001-06-12 2010-11-10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池残量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736A (ko) * 2017-05-16 2018-1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KR102252917B1 (ko) 2017-05-16 2021-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멀티미디어 유니트 데이터 모뎀의 대기모드 최적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294A (ko) 2005-11-24
CN100410679C (zh) 2008-08-13
CN1700030A (zh)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8790B1 (ko)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CN101126796B (zh) 一种电池电量的检测方法和装置
US7133703B2 (en) Small electronic device having battery level detection unit
CN114194067B (zh) 汽车电池智能管理方法、系统及其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9055782A (ja) 二次電池の充電管理
KR100664123B1 (ko) 휴대단말기의 전원 운용장치 및 방법
KR20080068543A (ko) 정보 처리 단말 및 표시 제어 방법
GB2451616A (en) Location or motion dependent automatic control in a cellular phone
US925260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harge control program and charge control method
JP2012112866A (ja) 内部抵抗測定装置、電池残量測定装置、携帯端末および内部抵抗測定方法
JPH07131410A (ja) 携帯用機器の残り使用可能時間通知方式
JP2001211480A (ja)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充電状態報知方法
US67038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recharging and discharging and recharging operations
JP5897080B2 (ja) 携帯端末、携帯端末システム、並びにバッテリ残量警告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582412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의 방전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JP2002075463A (ja) 二次電池の充電制御装置及び二次電池の充電方法
JP2011172311A (ja) 充電制御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H07218562A (ja) 電源装置
JP3371851B2 (ja) バッテリ不具合判定機能付携帯端末装置およびバッテリ不具合判定方法
JP4293076B2 (ja) 携帯電話機、該携帯電話機に用いられる二次電池管理方法及び二次電池管理制御プログラム
JPH0629903A (ja) コードレス電話子機の充電装置
KR100735623B1 (ko) 무선 단말기의 충전 및 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08670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관리 장치와 방법
KR20060109772A (ko)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용량 검출장치 및 방법
JP3459511B2 (ja) 通信機器用電池残量表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