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790B1 - Battery lev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Battery lev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08790B1 KR100608790B1 KR1020040036539A KR20040036539A KR100608790B1 KR 100608790 B1 KR100608790 B1 KR 100608790B1 KR 1020040036539 A KR1020040036539 A KR 1020040036539A KR 20040036539 A KR20040036539 A KR 20040036539A KR 100608790 B1 KR100608790 B1 KR 1006087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battery
- percentage
- current
- battery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JYFKVYYMZPMAB-UHFFFAOYSA-N ethoprophos Chemical compound CCCSP(=O)(OCC)SCCC VJYFKVYYMZPMA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류 용량을 정확하게 검출 표시하는 것으로, 충전된 전원을 방전에 의하여 동작전원으로 공급하고 용량정보를 출력하는 스마트형 배터리부; 배터리부에 접속하고 제어에 의하여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을 검출 측정하는 센서부; 센서부가 검출하는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에디시부; 에디시부로부터 인가되는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 신호를 제어에 의하여 출력하거나 누적상태로 출력하는 누적부; 배터리부의 용량정보와 누적부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분석과 연산으로 백분율에 의한 잔량정보를 출력하며 기능부를 감시하는 제어부; 배터리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는 부하부가 포함되는 장치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배터리부의 용량정보를 확인하는 스마트 과정; 상기 휴대단말기는 다수 기능부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부가 정상동작하는 운용상태 인지 정상동작하지 않는 대기상태 인지를 판단하는 확인과정; 운용상태이면 소모전류를 검출하고 배터리부 총 전류로부터 차감 연산한 잔량 전류를 백분율로 환산하는 전류과정; 대기상태이면 배터리부 내부전압을 검출하고 운용전압 대비 백분율로 환산하는 전압과정; 환산된 값을 백분율 그래프 도표로 변환하여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는 표시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detect and display the battery remaining capacity of the mobile terminal, smart type battery unit for supplying the charged power to the operating power by the discharge and output capacity information; A sensor unit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 and detecting and measuring a current consumption amount and an internal voltage by control; An editing uni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analog signal having a current consumption amount and an internal voltag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into a digital signal; An accumulator for outputting a current consumption amount and an internal voltage signal applied from the edit unit under control or in a cumulative state; A control unit for inputting capacity information of the battery unit and an output signal of the accumulator unit, outputting remaining information by a percentage by analysis and calculation, and monitoring a function unit; A smart device comprising: a device configuration including a load unit operated by power supplied from a battery unit; and further, when operating power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a smart process of checking capacity information of the battery unit; The portable terminal checks whether one or more functional units among a plurality of functional units are in an operating state of normal operation or in a standby state of non-operating state; A current process of detecting a consumption current and converting the residual current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total current from the battery unit as a percentage when in an operating state; A voltage process of detecting an internal voltage of the battery unit and converting the battery unit into a percentage of the operating voltage in the standby st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consists of a display process of converting the converted value into a percentage graph chart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Description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기능 구성도, 1 is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battery remaining amount displa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 순서도,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isplaying a battery remaining amou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기능 구성도, 3 is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 순서도.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isplaying a battery remaining amoun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배터리부 110 : 센서부 120 : 부하부 100: battery unit 110: sensor unit 120: load unit
130 : 에디시부 140 : 누적부 150 : 제어부 130: Editing unit 140: Accumulation unit 150: Control uni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류 용량을 정확하게 검출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대기상태와 운용상태로 구분하고, 대기상태는 전압의 비율로, 운용상태는 소모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류의 비율로 배터리 잔량을 정확하게 표시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detect and display the battery remaining capacity of the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divided into the standby state and the operating state, the standby state is the ratio of the voltage, the operating state is detected the current consumed by the ratio of the curr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remaining amount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a mobile terminal for accurately displaying the remaining battery level.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는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해당 기 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고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항상 직접 휴대하면서 어디든지 이동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The mobile terminal (UE: USER EQUIPMENT) monitors the mobile switching center (MSC: MOBILE SWITCHING CENTER) freely moving in the service area formed by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RAN: RADIO ACCESS NETWORK) of the 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 is a high-tec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allows an individual to carry it anywhere and always carry it directly by wireless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desired party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established by the control and switching.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이동하면서 동작하고, 상용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탈착과 교환이 용이한 구조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한다. Since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while moving, and commercial power cannot be used as an operating power source, the portable terminal uses power supplied from a battery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removed and replaced.
상기 휴대단말기(UE)는, 실제 통신으로 운용하는 시간이 적으며 대부분의 시간을 휴대하는데 소모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상기와 같이 낮은 이용률을 높이고,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실생활의 응용성 및 편리성을 높이는 동시에, 통신 이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개발 제공되고 있다. The mobile terminal (UE) is analyzed to spend less of the time to carry out the actual communication and the actual communication, and to increase the low utilization rate as described above, and increase the applicability and convenience of real life using the mobile terminal At the same tim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provided to promote the use of communication.
상기 부가서비스는, 크게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과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휴대단말기에 내장상태로 제공하는 것이 있다. The additional services are largely developed and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developed by a producer and provided in a built-in state in a portable terminal.
상기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에는, 카메라, 블루투스, 무선랜, 라디오, 게임, 전자계산기, 달력, 시계, 착신벨 설정 등이 있으며,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에는, 문자메시지, 영상 메시지, 온라인 게임, 무선인터넷 접속 등등이 있으며, 상기 부가서비스는 계속 새로운 기능이 개발되어 추가된다. Additional services developed and provided by the manufacturers include cameras, Bluetooth, wireless LAN, radios, games, electronic calculators, calendars, clocks, ringtone settings, and the like. Messages, video messages, online games,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like, and these additional services continue to be developed with new features.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다 양한 부가서비스에 의하여 카메라 기능에 의한 영상신호를 촬영하거나, 무선으로 인터넷을 접속하거나, 무선랜으로 근거리 데이터통신을 하거나, 온라인 게임을 하거나 MP3 또는 라디오 기능을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하므로, 동작전원의 소모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is not only used for mobile communication, but also various video services can be used to shoot video signals using a camera function, access the Internet wirelessly, perform short-range data communication using a wireless LAN, or play online games. Or listening to music using the MP3 or radio fun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umption of operating power increases.
상기 휴대단말기는, 휴대와 이동의 편리를 위하여 크기와 무게를 작게하여야 하고,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는 크기가 클수록 많은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나 무한정 크게하지 못하는 제약이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should be small in size and weight for convenience of portability and movement, and the battery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can supply more operating power as the size is larger, but it is not limited indefinitely.
또한, 영상신호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게임, 영상 메시지 전송 등등은 전력소모가 많으므로 해당 통신을 진행 중에 전원 부족 등에 의하여 중단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multimedia communication, game, video message transmission, etc. using the video signal is a lot of power consump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s interrupted due to lack of power during the communication.
또한,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레벨은, 배터리 내부저항과 부하의 내부저항 값에 의하여 전압강하로 측정되며, 부하에서 소모하는 전류의 량이 클 경우는 일시적으로 전압강하 발생 폭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voltage level output from the battery is measured by the voltage drop based on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and the internal resistance value of the load, and when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by the load is large,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the width of the voltage drop temporarily increases. .
따라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현재 잔류 용량을 정확하게 확인하고 표시하는 기술의 개발 필요가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for accurately identifying and displaying the current remaining capacity of a battery that supplies an operating power source.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isplay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 순서도 이다. Attached to explain the prior art, FIG. 1 is a fun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ttery remaining amount displa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를 설명하면, 충전된 전원을 방전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착탈 이동이 용이한 배터리(10)로부터 해당 제어에 의하여 부하(LOAD)(20)에 동작전원이 공급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isplay device of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is described by discharging and supplying charged power. 20) is supplied with operating power.
상기 부하(20)는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 본체이며,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전원 스위치(SWITCH) 동작에 의하여 배터리(10)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 이동통신 기능과 카메라 기능과 무선랜 기능과 블루투스 기능과 게임 기능 등등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다. The
상기 배터리(10)는 단순하게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덤브(DUMB) 배터리라고도 하고, 충전(CHARGING)에 의하여 저장된 전류를 방전(DISCHARGING)에 의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충방전용(RECHARGEABLE) 배터리를 사용하여 반복 재사용하도록 한다. The
상기 배터리(10)는, 일반적으로 만충전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최대 전압이 약 4.2 볼트(V)이고, 전류를 방전 출력함에 따라서 전압이 떨어지며, 약 3.2 볼트(V)이하에서는 배터리의 파괴 현상, 즉, 재충전을 할 수 없는 파괴현상이 발생한다. In general, the
상기 3.2 볼트(V)를 컷오프(CUT-OFF) 전압이라 하고, 상기 컷오프 전압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해당 스위치를 제어하므로, 더 이상의 전류가 배터리(10)로부터 방전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The 3.2V is referred to as a cut-off voltage, and the switch is controlled by sensing that the voltage falls below the cut-off voltage, thereby preventing further current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상기와 같이 배터리 전압을 감지하는 것으로, 에디시부(30)가 있으며, 상기 에디시부(30)는, 배터리(10)의 아날로그(ANALOG) 상태 전압을 검출하고, 디지털 상 태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와 같이 디지털(DIGITAL) 전압은 제어부(40)에 인가된다. By detecting the battery voltag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에디시부(30)가 검출한 배터리(10) 전압을 분석하고 해당 기준에 의하여 막대그래프로 현재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한다. The
상기 제어부(40)에 의한 배터리의 잔량 표시방식은, 배터리 출력전압 또는 내부전압이 만충전 상태의 4.2 볼트 전압으로 검출되면 100 %의 막대그래프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해당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DISPLAY)되도록 하고, 컷오프 상태의 3.2 볼트 전압이 검출되면 0 %의 막대그래프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In the battery residual amount display method by the
또한, 컷오프(CUTOFF) 상태 이하의 전압이 검출되면 배터리(10) 보호를 위하여 동작전원의 출력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In addition, when a voltage below the cutoff state is detected, the output of the operating power is automatically cut off to protect the
상기 배터리(10)와 부하(20)에는 각각 해당되는 내부저항이 있으며, 상기 부하(20)에서 전류소모가 늘어나는 경우, 상기 배터리(10)는 순간적으로 전류 방전량이 커지므로 전압강하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컷오프 전압상태가 된다. Each of the
상기와 같이 컷오프(CUTOFF) 전압 이하의 상태가 되면, 상기 에디시부(30)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40)에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40)는 배터리(10)를 보호하기 위하여 해당 스위치를 제어 차단하므로, 배터리(10)는 부하(20)로의 동작전원 공급을 하지 못하게 된다. When the cutoff voltage is lower than the cutoff voltage, the
즉, 상기 배터리(10)에 공급할 수 있는 전원이 아직 남아 있는 상태에서, 부하(20)의 순간적인 과전류 소모에 의하여 배터리(10)에 컷오프(CUT-OFF) 전압이 발생하고, 상기 제어부(40)의 컷오프 전압 감지에 의하여 배터리로부터 동작전원 출 력을 차단하므로 부하에 동작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것으로, 배터리 전압의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That is, in a state in which power that can be supplied to the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displaying a battery remaining amou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해당 제어부(40)는 배터리(10)로부터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지 판단하고(S10), 상기 판단(S10)에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 배터리 전압을 측정한다(S20). The
상기 제어부(40)는 측정된 배터리(10) 전압을, 상기 배터리(10)의 만충전 상태 전압과 컷오프(CUT-OFF) 전압 사이의 백분율 값(%)으로 환산하고(S30), 막대그래프로 표시되도록 변환처리하며,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여 막대그래프로 표시(DISPLAY)한다. The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배터리 잔량 표시방식은, 배터리의 전압 레벨을 직접 측정하여 만충전 상태 전압과 컷오프 상태 전압 사이의 백분율에 의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지만, 과전류 소모에 의한 순간적인 컷오프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의 용량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동작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므로, 진행중인 통신을 차단되는 문제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level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a method of directly measuring a voltage level of a battery and displaying it by a percentage between a full charge state voltage and a cutoff state voltage. When a state occurs, a shaking phenomenon occurs that cuts off the supply of operating power while the capacity of the battery remains, and thus there is a problem of interrupting communication in progress.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운용 상태에서 배터리 전류소모량 측정으로 잔량을 표시하고, 대기 상태에서는 배터리의 내부전압 측정으로 잔량을 표시하므로, 흔들림 없이 정확하게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고 표시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 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remaining amount by measuring the battery current consumption 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nd displays the remaining amount by measuring the internal voltage of the battery in the standby state, so the remaining battery table of the mobile terminal accurately detects and displays the remaining battery without shak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market values and method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충전된 전원을 방전에 의하여 동작전원으로 공급하고 용량정보를 출력하는 스마트형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을 검출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가 검출하는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에디시부와; 상기 에디시부로부터 인가되는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 신호를 해당 제어에 의하여 출력하거나 누적상태로 출력하는 누적부와; 상기 배터리부의 용량정보와 상기 누적부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해당 분석과 연산으로 백분율에 의한 잔량정보를 출력하며 각 기능부를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는 부하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장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Smart battery unit for supplying the charged power to the operating power supply by discharging and outputting capacity information; A sensor unit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 and detecting and measuring a current consumption amount and an internal voltage by a corresponding control; An editing unit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having a current consumption amount and an internal voltag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ting the digital signal; An accumulator for outputting a current consumption amount and an internal voltage signal applied from the edit unit by a corresponding control or outputting them in a cumulative state; A control unit for inputting capacity information of the battery unit and an output signal of the accumulator unit, outputting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by a percentage by corresponding analysis and calculation, and monitoring each func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configuration comprises a load unit that is operated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unit.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스마트형 배터리부의 용량정보를 확인하는 스마트 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는 다수 기능부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부가 정상동작하는 운용상태 인지 정상동작하지 않는 대기상태 인지를 판단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서 운용상태이면 소모전류를 검출하고 배터리부 총 전류로부터 차감 연산한 잔량 전류를 백분율로 환산하는 전류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서 대기상태이면 배터리부 내부전압을 검출하고 운용전압 대비 백분율로 환산하는 전압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환산된 값을 백분율 그래프 도표로 변환하여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는 표시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mart process of checking the capa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type battery unit when the operating power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ocess includes a check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functional units in the operating state of normal operation or standby state not operating normally; A current process of detecting a consumption current and converting the residual current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total current from the battery unit as a percentage when the operation state is in the checking process; A voltage process of detecting an internal voltage of the battery unit and converting the battery unit into a percentage of the operating voltage when the standby state is performed in the checking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consisting of a display process for converting the value converted in the above process into a percentage graph chart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ttery remaining amou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 순서도 이다. 3 is a fun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ttery remaining amount display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isplaying a remaining battery level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를 설명하면, 충전된 전원을 방전에 의하여 동작전원으로 공급하고 용량정보를 출력하는 스마트형(SMART TYPE)의 배터리부(100)와, Referring to FIG. 3, the battery level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상기 배터리부(10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을 검출 측정하는 것으로, 제어부(15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배터리부(100)의 내부전압을 검출 측정하거나 배터리부(100)로부터 출력 또는 입력되는 소모전류를 선택에 의하여 검출 측정하는 센서부(110)와, It is connected to the
상기 배터리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다수 기능부로 이루어지는 부하부(120)와, It is operated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상기 센서부(110)가 검출하는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의 아날로그(ANALOG) 신호를 디지털(DIGITAL)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제어부(15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센서부(110)로부터 측정되고 인가되는 소모전류와 내부전압의 아날로그 신호를 각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에디시(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부(130)와, It converts the analog current signal of the current consumption and internal voltage detected by the
상기 에디시부(130)로부터 인가되는 소모전류량과 내부전압 신호를 해당 제어에 의하여 출력하거나 누적(ACCUMULATE) 상태로 출력하는 누적부(140)와, An
상기 배터리부(100)의 용량정보와 상기 누적부(140)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해당 분석과 연산으로 백분율에 의한 잔량정보를 출력하며 각 기능부를 감시하는 것으로, 스마트형 배터리부(100)로부터 용량정보를 인가 받아 만충전 상태의 전류용량과 전압을 확인하고; 부하부(12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는 누적부(140)로부터 누적된 소모전류량을 입력하여 전체 전류용량 대비 소모전류량을 차감 연산하고 잔량비율을 백분율로 환산하며; 부하부(120)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누적부(140)로부터 검출된 배터리 측정 전압을 입력하여 운용전압 대비 백분율로 환산하며; 상기 환산된 백분율 값은 해당 그래프(GRAPH) 도표로 표시되도록 출력하는 제어부(1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장치 구성이다. By inputting the capacity information of th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휴대단말기에 탈부착 상태로 일체 구성되는 배터리부(100)는 스마트형으로, 동작전원을 출력하여 상기 부하부(120)에 공급하는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총 전류용량과 전압 레벨, 현재 상태의 전류 용량과 전압 상태 및 해당 고유번호(ID) 등의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50)에서 인식한다. The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부(100)의 전압을 검출 측정하거나, 선택(OPTION)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소모전류량 또는 상기 배터리부(100)에 입력되는 소모전류량을 검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배터리부(100)의 동작전원이 부하부(120)에 인가되도록 한다. The
상기 센서부(110)는 배터리부(100)와 직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소모전류를 검출하는 저항성분이 온도 변화에 민감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The
상기 부하부(120)는, 다수 기능부로 구비되는 것으로, 일 예로, 이동통신을 하는 무선통신기능부,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영상신호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부, 음성급 신호를 입출력하는 오디오부, 블루투스로 근거리 통신하는 불루투스부, 무선인터넷 기능부 등등이고, 하나의 기능부가 운용되거나, 둘 이상의 기능부가 연계 동작되어 운용되며, 상기 배터리부(100)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운용된다. The
상기 에디시부(130)는,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검출 측정되어 인가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부(100)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부하부(120)에서 소모하는 전류 또는 상기 배터리부(100)의 내부전압을 아날로그(ANALOG) 신호로 입력하고, 디지털(DIGITAL) 신호로 변환(CONVERSION)하여 상기 누적부(140)에 출력한다. The
상기 누적부(140)는, 상기 제어부(150)의 해당 제어에 의하여, 소정 시간 누적된 소모전류를 출력하거나, 검출 측정된 내부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출력되는 신호는 제어부(150)에 인가된다. The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부하부(120)에 구비되는 다수 기능부를 감시하여, 하나 이상의 기능부가 동작하여 운용하는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에서 기능부가 운용되는 상태이면, 상기 누적부로부터 소정 시간 누적된 소모전류 값 신호 를 인가받고, 상기 확인에서 기능부가 운용되지 않는 상태이면, 상기 누적부로부터 검출 측정된 내부전압 값 신호를 인가 받는다. The
상기 제어부(150)에 의하여 상기 부하부(120)가 운용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부(100)의 정보를 분석하여 확인된 총 전류용량으로부터 소정 시간 누적된 소모전류량을 차감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배터리부(100)의 잔류 전류용량을 총 전류용량과 대비하여 백분율(%) 값의 비율로 환산하며, 상기와 같이 환산된 백분율을 그래프의 도표로 변환하여 표시한다.When the
상기 그래프 도표는, 막대그래프 도표, 파이그래프 도표 등등이 있을 수 있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형태의 도표이면 어느 형태나 무방하다. The graph chart may include a bar graph chart, a pie chart chart, and the like, and any type of chart may be easily identified.
상기 제어부(150)에 의하여 상기 부하부(120)가 운용되지 않는 대기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누적부(140)로부터 검출 측정된 내부전압 값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배터리부(100)의 정보 확인에 의한 운용전압 대비 백분율(%) 비율로 환산하며, 상기와 같이 그래프(GRAPH) 도표로 변환하여 출력 표시한다.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상기 배터리부(100)의 운용전압은, 만충전 상태의 전압과 컷오프 상태의 전압에 의한 구간 값이다.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운용상태 이면, 부하부에서 소모하는 전류량으로 배터리의 잔량을 연산하고, 휴대단말기의 부하부가 대기 상태이면 측정된 내부전압에 의하여 배터리의 잔량을 연산하여 그래프로 표시하므로, 부하의 전류소모에 의하여 잔량 표시가 흔들리는 문제를 개선하였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an operating stat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calculated by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by the load unit, and when the load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standby stat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calculated by the measured internal voltage. Since the graph is displayed, the problem of remaining amount fluctuating due to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load is improved.
또한, 배터리부(100)의 잔량을 흔들림 없이 검출하고 컷오프 전압을 제어하 므로, 배터리부(100)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최대한 이용하며, 배터리부(100)의 용량을 크게 증가한 것과 같이 오래 사용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4, a battery remaining amount display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스마트형 배터리부의 용량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제어부(150)에 의하여 배터리부(100)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판단하여 스마트형 배터리부(100)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부(100)의 만충전 상태 전압과 전류정보 및 현재 상태에서의 전압과 전류정보를 포함하는 용량정보를 확인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과정과, When operation power is su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ortable terminal, checking the capa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battery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operation power is supplied from the
상기 스마트 과정의 휴대단말기(UE)는 다수 기능부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부가 정상동작하는 운용(OPERATING)상태 인지 정상동작하지 않는 대기(STANDBY)상태 인지를 판단하는 확인과정(S120)과, The mobile terminal UE of the smart process may include a check process (S120) of determining whether one or more functional units from among a plurality of functional units are operating normally or in standby (STANDBY) not normally operating;
상기 확인과정(S120)에서 운용상태이면 소모전류를 검출하고 배터리부(100) 총 전류로부터 차감 연산한 잔량 전류를 백분율로 환산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부(100)의 소모전류를 검출 측정하고 누적하는 과정(S130); 상기 배터리부(100)의 확인된 전류용량으로부터 상기 검출 측정되어 누적된 소모전류량을 차감 연산하여 잔량전류를 구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에서 연산되어 구한 잔량전류를 백분율(%)에 의한 비율로 환산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지는 전류과정과, In operation S120, the current consumption is detected and the residual current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total current from the
상기 확인과정(S120)에서 대기상태이면 배터리부 내부전압을 검출하고 운용전압 대비 백분율로 환산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부(100)의 내부전압을 검출 측정하는 과정(S170); 상기 과정(S170)에서 검출 측정된 내부전압을 배터리부(100)의 운용전압 대비 백분율(%)에 의한 비율로 환산하는 과정(S180)으로 이루어지는 전압과정과, Detecting an internal voltage of the
상기 과정에서 환산된 값을 백분율(%) 그래프(GRAPH) 도표로 변환하여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는 표시과정(S160)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구성이다. The display structure S160 converts the converted value into a percentage graph graph and outputs it to the corresponding display unit.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휴대단말기(UE)의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00)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S100)에서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스마트형 배터리부(100)의 정보를 확인 및 분석한다(S110). The
상기 분석되는 정보는, 배터리부(100)의 충전 전류 용량과 전압 레벨이며, 현재의 전류 용량과 고유번호 등이 포함된다. The information to be analyzed is the charge current capacity and voltage level of the
상기 과정(S110)의 제어부(150)는, 부하부(120)를 감시하여 운용상태 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S120), 상기 판단(S120)에서 운용상태이면, 배터리부(100)로부터 출력되고 부하부(120)에서 소모하는 전류량을 측정하며, 소정 시간 단위로 누적 연산한다(S130). The
상기 과정(S130)에서 소정 시간 단위로 누적 연산된 부하부(120)의 소모전류량을 상기 확인된 배터리부(100)의 충전 가능한 총 전류량으로부터 차감 연산하고(S140), 상기 과정(S140)에서 차감 연산된 잔류 전류량을, 상기 충전 가능한 총 전류량과의 대비에 의한 백분율(%)로 환산한다(S150). The amount of current consumption of the
상기 과정(S150)에서 환산된 백분율에 의한 비율을 해당 그래프의 도표로 변환하여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므로, 그래프에 의한 배터리 잔량이 정확하게 표시된다(S160). Since the ratio based on the percentage converted in the process (S150) is converted into a graph of the corresponding graph and output to the corresponding display unit,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according to the graph is accurately displayed (S160).
또한, 상기 확인과정(S120)에서 부하부가 운용되지 않는 대기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00)의 내부전압을 상기 센서부(110)와 에디시부(130)와 누적부(140)를 통하여 검출 측정하고(S170), 상기 배터리부(100)의 정보 확인에 의한 운용전압과 대비하여, 상기 검출 측정된 내부전압을 백분율(%)에 의한 비율로 환산하며(S180), 해당 그래프의 도표로 변환하여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므로, 그래프에 의한 배터리 잔량이 정확하게 표시된다(S160).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ad unit does not operate in the checking process (S120),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휴대단말기가 운용되는 경우, 과전류 소모에 의한 배터리 잔량 측정에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대기상태에서는 간단한 전압 측정 방식을 이용하므로 배터리부(100)의 잔량을 정확하게 검출 표시하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operated, there is no shaking in measuring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due to overcurrent consumption, and since the simple voltage measuring method is used in the standby state,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부하부의 과전류 방전에 의하여 전압이 순간적으로 불규칙하게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배터리부의 잔량을 정확하게 검출하여 표시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prevents the phenomenon in which the voltage suddenly and irregularly shakes due to the overcurrent discharge of the load portion, and thus has an industrial use effect of accurately detecting and display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portion.
또한, 배터리부의 잔량을 흔들림 없이 검출하고 컷오프 전압을 제어하므로, 배터리부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최대한 이용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unit is detected without shaking and the cutoff voltage is controlled, there is a convenient effect of using the capacity of the battery unit efficiently.
또한, 배터리부의 용량을 최대한 사용하므로 배터리부의 용량이 증가된 것과 같은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apacity of the battery unit is maximized, there is a convenient effect in use, such as an increased capacity of the battery unit.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6539A KR100608790B1 (en) | 2004-05-21 | 2004-05-21 | Battery lev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CNB2004101017025A CN100410679C (en) | 2004-05-21 | 2004-12-20 | Device and method for indic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ttery allowr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6539A KR100608790B1 (en) | 2004-05-21 | 2004-05-21 | Battery lev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1294A KR20050111294A (en) | 2005-11-24 |
KR100608790B1 true KR100608790B1 (en) | 2006-08-08 |
Family
ID=3547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36539A KR100608790B1 (en) | 2004-05-21 | 2004-05-21 | Battery lev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608790B1 (en) |
CN (1) | CN100410679C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25736A (en) * | 2017-05-16 | 2018-11-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ethod for optimizing the sleep mode of telematics multimedia unit data mod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0609B1 (en) * | 2005-06-28 | 2007-01-17 | (주)블루버드 소프트 | Power monitoring circuit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
KR101283800B1 (en) * | 2006-08-10 | 2013-07-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of Measuring Charges in a Battery on the basis of the Voltage and Portable Electric Instrument with the Same |
KR101327617B1 (en) * | 2006-10-17 | 2013-11-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terminal having smart battery |
TWI403750B (en) * | 2011-01-07 | 2013-08-01 | Acer Inc | Battery capacity calculat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
CN102508020A (en) * | 2012-01-06 | 2012-06-20 | 成都林海电子有限责任公司 | Measuring method and measuring device for power consumption duration of battery pack of mobile terminal power supply |
CN102540102A (en) * | 2012-03-12 | 2012-07-04 | 成都林海电子有限责任公司 |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battery electric quantity of terminal machine |
CN102721927B (en) * | 2012-05-04 | 2016-02-10 |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 A kind of method and system detecting mobile device battery electric quantity |
KR101678942B1 (en) | 2014-04-10 | 2016-11-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management unit and electronic device for economizing power by measuring current consumption and method thereof |
CN103927249A (en) * | 2014-04-14 | 2014-07-16 | 可牛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 Power consumption providing method and device of mobile terminal |
CN104931892B (en) * | 2015-06-17 | 2019-03-26 |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 A kind of battery of mobile terminal capacity calculation methods and system |
CN105487960B (en) * | 2015-12-28 | 2019-01-18 | 北京大学 | A kind of mobile terminal APP load energy consumption method for automatic measurement based on physics actual measurement |
CN110456281B (en) * | 2019-06-28 | 2023-03-24 | 卧安科技(深圳)有限公司 | Battery power detec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43984A (en) * | 1987-11-30 | 1989-06-06 | Aisin Aw Co Ltd | Device for monitoring battery state |
US5248929A (en) * | 1992-04-30 | 1993-09-28 | Murata Machinery, Ltd. | Battery time monitor for cellular telephone |
JP3200339B2 (en) * | 1995-09-01 | 2001-08-20 | 矢崎総業株式会社 | Battery remaining capacity measurement device |
JPH11262063A (en) * | 1998-03-10 | 1999-09-24 | Fujitsu Ltd | Battery level display |
JP2000092721A (en) * | 1998-09-07 | 2000-03-31 | Toshiba Corp | Battery level detector |
SE514232C2 (en) * | 1999-01-27 | 2001-01-29 | Ericsson Telefon Ab L M | Portable multi-band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 charge consumption for the same |
JP4576754B2 (en) * | 2001-06-12 | 2010-11-10 | 日本電気株式会社 | Battery level indicator |
-
2004
- 2004-05-21 KR KR1020040036539A patent/KR10060879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2-20 CN CNB2004101017025A patent/CN100410679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25736A (en) * | 2017-05-16 | 2018-11-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ethod for optimizing the sleep mode of telematics multimedia unit data modem |
KR102252917B1 (en) | 2017-05-16 | 2021-05-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ethod for optimizing the sleep mode of telematics multimedia unit data mod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1294A (en) | 2005-11-24 |
CN100410679C (en) | 2008-08-13 |
CN1700030A (en) | 2005-1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08790B1 (en) | Battery lev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
CN101126796B (en) | Battery electric quantity detecting method and device | |
US7133703B2 (en) | Small electronic device having battery level detection unit | |
CN114194067B (en) | Intelligen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automobile battery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hereof | |
JP2009055782A (en) | Charging management of secondary battery | |
KR100664123B1 (en) |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
KR20080068543A (en) |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 |
GB2451616A (en) | Location or motion dependent automatic control in a cellular phone | |
US9252607B2 (en) | Communication terminal, charge control program and charge control method | |
JP2012112866A (en) | Internal resistance measurement device, battery residual amount measurement device, portable terminal and internal resistance measurement method | |
JPH07131410A (en) | Remaining available time notification method for portable devices | |
JP2001211480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reporting state of charge thereof | |
US670381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recharging and discharging and recharging operations | |
JP5897080B2 (en) |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system, battery remaining amount warning method and program | |
KR10058241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ication of discharge state of mobile communication battery | |
JP2002075463A (en) | Charge control device of secondary cell, and charging method of the same | |
JP2011172311A (en) | Charge controller and electronic apparatus | |
JPH07218562A (en) | Electric power source apparatus | |
JP3371851B2 (en) | Portable terminal device with battery malfunction determination function and battery malfunction determination method | |
JP4293076B2 (en) | Mobile phone, secondary battery management method and secondary battery management control program used for the mobile phone | |
JPH0629903A (en) | Charger for cordless telephone slave set | |
KR100735623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wireless terminal | |
KR101086702B1 (en) | Battery power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60109772A (en) | Battery capacity detecting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
JP3459511B2 (en) | Battery level indicator for communication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