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366B1 -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1366B1 KR101491366B1 KR20130152874A KR20130152874A KR101491366B1 KR 101491366 B1 KR101491366 B1 KR 101491366B1 KR 20130152874 A KR20130152874 A KR 20130152874A KR 20130152874 A KR20130152874 A KR 20130152874A KR 101491366 B1 KR101491366 B1 KR 1014913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user
- auxiliary battery
- remaining amount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153 supple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9469 supple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79 in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involving a local wireless network, e.g. Wi-Fi, ZigBee or Bluetooth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방법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방법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30: 배터리 관리부
130-1: 배터리 모니터링부
130-2: 배터리 충전부
Claims (22)
- 사용자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하는 통신부;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 정보를 생성하는 배터리 모니터링부;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자동 보충전을 수행하는 배터리 충전부; 및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 정보를 나타내는 충전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 자동 보충전 비활성화 명령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자동 보충전 비활성화 명령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이 미리 설정된 설정 값 이하의 값을 갖는가 판단하며, 상기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이 미리 설정된 설정 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자동 보충전을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자동 보충전 비활성화 명령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자동 보충전을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이동 통신,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태블릿(tablet)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자동 보충전 비활성 명령 신호는,
상기 자동 보충전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사용자 판단을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생성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부가 수행하는 자동 보충전은,
차량의 메인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력 또는 외부의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 사용자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하는 통신부;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 정보를 생성하는 배터리 모니터링부;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자동 보충전을 수행하는 배터리 충전부; 및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이 미리 설정된 설정 값 이하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 정보를 나타내는 충전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 자동 보충전 활성화 명령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자동 보충전 활성화 명령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자동 보충전을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자동 보충전 활성화 명령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자동 보충전을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이동 통신,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태블릿(tablet)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자동 보충전 활성 명령 신호는,
상기 자동 보충전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사용자 판단을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생성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부가 수행하는 자동 보충전은,
차량의 메인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력 또는 외부의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 정보를 나타내는 충전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 자동 보충전 비활성화 명령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자동 보충전 비활성화 명령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이 미리 설정된 설정 값 이하의 값을 갖는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이 미리 설정된 설정 값 이하인 경우에 자동 보충전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자동 보충전 비활성화 명령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자동 보충전을 비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 관리 방법은,
미리 설정된 주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충전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상기 보조 배터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보충전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차량의 메인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력 또는 외부의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자동 보충전 비활성 명령 신호는,
상기 자동 보충전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사용자 판단을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생성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방법.
-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이 미리 설정된 설정 값 이하의 값을 갖는 경우, 보조 배터리 잔여량 정보를 나타내는 충전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 자동 보충전 활성화 명령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자동 보충전 활성화 명령 신호가 수신 경우, 자동 보충전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자동 보충전 활성화 명령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자동 보충전을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방법.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 관리 방법은,
미리 설정된 주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방법.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충전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상기 보조 배터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방법.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보충전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차량의 메인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력 또는 외부의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방법.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자동 보충전 활성 명령 신호는,
상기 자동 보충전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사용자 판단을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생성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52874A KR101491366B1 (ko) | 2013-12-10 | 2013-12-10 |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52874A KR101491366B1 (ko) | 2013-12-10 | 2013-12-10 |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91366B1 true KR101491366B1 (ko) | 2015-02-06 |
Family
ID=5259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52874A Active KR101491366B1 (ko) | 2013-12-10 | 2013-12-10 |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1366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6383B1 (ko) | 2016-08-26 | 2017-07-27 | (주)드림텍 | 스마트 휴대단말기 연동 방식의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모니터링 시스템 |
KR101756384B1 (ko) | 2016-08-26 | 2017-07-27 | (주)드림텍 | 스마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충전 모니터링 방법 |
KR20180049588A (ko) * | 2016-11-03 | 2018-05-11 | 칩월드 주식회사 | 전기이륜차용 배터리 자동 인식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KR101870727B1 (ko) * | 2017-04-25 | 2018-06-25 | 주식회사 에코파워팩 | 차량용 보조 전원 공급 장치, 그를 이용한 차량 배터리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KR101903271B1 (ko) | 2017-02-03 | 2018-10-01 | 임만식 | 보조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
US10571990B2 (en) | 2017-05-16 | 2020-02-25 | Hyundai Motor Company | Method for optimizing the sleep mode of telematics multimedia unit data modem |
CN114161950A (zh) * | 2021-11-25 | 2022-03-11 | 阿尔特汽车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车辆电池的补电方法、系统以及车辆 |
WO2024131226A1 (zh) * | 2022-12-20 | 2024-06-27 |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 补电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WO2025018590A1 (ko) * | 2023-07-14 | 2025-01-2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차량 충전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98324A (ja) * | 1994-09-20 | 1996-04-12 | Nissan Motor Co Ltd | 電気車用充電制御装置 |
WO2012085615A1 (en) | 2010-12-21 | 2012-06-28 | Renault Trucks |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system of an automotive vehicle and power supply system adapted to such a method |
JP2013066365A (ja) | 2011-08-29 | 2013-04-11 | Sharp Corp | 車両駆動装置、車両充電システム、及び自動車 |
JP2013150497A (ja) | 2012-01-23 | 2013-08-01 | Toyota Motor Corp | 電気自動車 |
-
2013
- 2013-12-10 KR KR20130152874A patent/KR10149136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98324A (ja) * | 1994-09-20 | 1996-04-12 | Nissan Motor Co Ltd | 電気車用充電制御装置 |
WO2012085615A1 (en) | 2010-12-21 | 2012-06-28 | Renault Trucks |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system of an automotive vehicle and power supply system adapted to such a method |
JP2013066365A (ja) | 2011-08-29 | 2013-04-11 | Sharp Corp | 車両駆動装置、車両充電システム、及び自動車 |
JP2013150497A (ja) | 2012-01-23 | 2013-08-01 | Toyota Motor Corp | 電気自動車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6383B1 (ko) | 2016-08-26 | 2017-07-27 | (주)드림텍 | 스마트 휴대단말기 연동 방식의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모니터링 시스템 |
KR101756384B1 (ko) | 2016-08-26 | 2017-07-27 | (주)드림텍 | 스마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충전 모니터링 방법 |
KR20180049588A (ko) * | 2016-11-03 | 2018-05-11 | 칩월드 주식회사 | 전기이륜차용 배터리 자동 인식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KR101903271B1 (ko) | 2017-02-03 | 2018-10-01 | 임만식 | 보조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
KR101870727B1 (ko) * | 2017-04-25 | 2018-06-25 | 주식회사 에코파워팩 | 차량용 보조 전원 공급 장치, 그를 이용한 차량 배터리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US10571990B2 (en) | 2017-05-16 | 2020-02-25 | Hyundai Motor Company | Method for optimizing the sleep mode of telematics multimedia unit data modem |
CN114161950A (zh) * | 2021-11-25 | 2022-03-11 | 阿尔特汽车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车辆电池的补电方法、系统以及车辆 |
WO2024131226A1 (zh) * | 2022-12-20 | 2024-06-27 |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 补电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WO2025018590A1 (ko) * | 2023-07-14 | 2025-01-2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차량 충전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91366B1 (ko) |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 |
CN105922878B (zh) | 用于增大车辆行程长度的方法和用于车辆的控制单元 | |
KR101843626B1 (ko) | 차량 탑재용 기기 및 ev 관리 시스템 | |
US20150127203A1 (en) | Vehicle travel control assistance device | |
CN106364429B (zh) | 一种充电控制方法、设备及系统 | |
CN106611970A (zh) | 车辆蓄电池充电控制方法及装置 | |
US20160111908A1 (en) | Power supply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CN204809906U (zh) | 移动储能充电装置以及移动储能充电系统 | |
CN105978087A (zh) | 车辆的低压蓄电池充电控制方法、装置和车辆 | |
JP5846210B2 (ja) | 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 |
CN104701922B (zh) | 用于高速充电的多媒体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 |
CN111071042B (zh) | 控制系统及车辆 | |
CN104052098A (zh) | 对车辆的电池单元中的功率流的控制 | |
CN102107632A (zh) | 在can网络中作为网络节点的车辆电控单元的状态控制方法 | |
CN107139867A (zh) | 汽车点火判断方法、装置及车载设备 | |
KR20200091519A (ko)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
JP2023029273A (ja) | 燃料電池システムにおけるバッテリ過剰消費を低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KR102336723B1 (ko) |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 |
CN116572789A (zh) | 预约充电的控制方法和系统 | |
KR20180057187A (ko) | 보조배터리의 방전 방지방법 | |
CN208646780U (zh) | 车辆低压供电系统 | |
CN110065453B (zh) | 基于车辆定位器的省电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 |
JP2023029272A (ja) | 燃料電池システムにおけるシステムの過剰引出のフィードバックベースの低減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US20210300201A1 (en) | Control device | |
CN112389199B (zh) | 车载供电控制系统、电动车和车载供电控制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