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30636A -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의료용 성형체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의료용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636A
KR20180030636A KR1020187004174A KR20187004174A KR20180030636A KR 20180030636 A KR20180030636 A KR 20180030636A KR 1020187004174 A KR1020187004174 A KR 1020187004174A KR 20187004174 A KR20187004174 A KR 20187004174A KR 20180030636 A KR20180030636 A KR 20180030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propylene
resin composition
polypropylene resin
polym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5903B1 (ko
Inventor
신고 가타야마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0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90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1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08K5/3435Piperid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7Cyclic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61M1/1621Constructional aspe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02Applications for biomedical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A)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B)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 (C) 2 급 아미노기를 갖는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와, (D)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을 함유하는 조핵제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개시된다. 프로푸렌계 중합체의 함유량이, 90 질량% 보다 많고 99 질량% 이하이고,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10 질량% 미만이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의료용 성형체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FOR MEDICAL USE, WHICH USES SAME}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의료용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성형체는, 예를 들어 시린지의 외통 또는 다이어라이저의 하우징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시린지의 외통, 및 다이어라이저의 하우징과 같은 의료용 성형체의 수지 재료로서, 일반적으로,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COP),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COC), 폴리카보네이트 (PC) 와 같은 재료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보다 저렴한 재료인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의료용 성형체 분야에 대한 적용도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8269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44979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의료용 성형체에 관하여, 방사선에 의한 멸균 후에 있어서도, 용출물의 적음, 및 양호한 기계 특성을 유지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B)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 (C) 힌더드아미노기로서 2 급 아미노기를 갖는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와, (D)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을 함유하는 조핵제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함유량이, 프로필렌계 중합체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합계량에 대해, 9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이고,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프로필렌계 중합체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합계량에 대해,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다.
이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는, 방사선에 의한 멸균 후에 있어서도, 용출물의 적음, 및 양호한 기계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는, 2 급 아미노기를 갖는 구성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여도 된다. 이러한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더 현저하게 발휘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E) 하이드록시아미노기를 갖는 하이드록시아민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하이드록시아민 화합물을 함유함으로써, 방사선에 의한 멸균 후에 있어서도, 용출물의 적음, 및 양호한 기계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더 현저한 효과가 얻어진다.
프로필렌계 중합체에 있어서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5 질량% 미만이어도 된다.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이 적으면, 방사선에 대한 내성과 내열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성형체가 보다 얻어지기 쉽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이러한 의료용 성형체를 갖는 외통을 구비하는 시린지, 및 이러한 의료용 성형체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다이어라이저를 제공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의료용 성형체에 관하여, 방사선에 의한 멸균 후에 있어서도, 용출물의 적음, 및 양호한 기계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 은, 시린지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다이어라이저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예시하는 요소는,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치 범위에 관해서 예시되는 상한치 및 하한치를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1.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A)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B)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 (C) 힌더드아미노기로서 2 급 아미노기를 갖는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와, (D)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을 함유하는 조핵제를 함유한다.
(A) 프로필렌계 중합체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함유한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로 주로 구성되는 중합체이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여도 되고, 프로필렌과 그 밖의 공중합 모노머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결정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프로필렌계 중합체에 있어서의,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85 질량% 이상, 90 질량% 이상, 또는 95 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의 상한은 100 질량% 이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공중합 모노머는, 예를 들어, α-올레핀이어도 된다. α-올레핀은,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 20 의 α-올레핀이어도 된다. 탄소수 4 ∼ 20 의 α-올레핀의 구체예로는, 부텐-1, 펜텐-1, 헥센-1, 4-메틸펜텐-1, 헵텐-1, 옥텐-1, 및 데센-1 을 들 수 있다. 탄소수 4 ∼ 20 의 α-올레핀은, 부텐-1, 헥센-1, 및 옥텐-1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어도 된다.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 20 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프로필렌-헥센-1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헥센-1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여도 된다.
프로필렌계 중합체에 있어서의, 공중합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통상, 0 질량% 이상 15 질량% 미만이고, 성형체의 강성 및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10 질량% 미만, 또는 5 질량% 미만이어도 된다. 이 함유량은 0.01 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230 ℃ 에 있어서의 멜트 플로 레이트 (MFR) 는, 0.5 ∼ 500 g/10 분, 10 ∼ 100 g/10 분, 22 ∼ 80 g/10 분, 또는 25 ∼ 50 g/10 분이어도 된다. 프로필렌계 중합체가 적절한 멜트 플로 레이트를 갖고 있음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는 경우에, 양호한 유동성이 얻어지기 쉽다. 동일한 관점에서,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극한 점도[η]가, 0.5 ∼ 4 ㎗/g, 1 ∼ 3 ㎗/g, 또는 1 ∼ 2 ㎗/g 여도 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함유량은, 프로필렌계 중합체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합계량에 대해, 통상, 9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이다. 이로써, 방사선에 의한 멸균 후에 있어서도 용출물의 적음, 및 양호한 기계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함유량은, 92 질량% 이상, 또는 94 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98 질량% 이하, 또는 97 질량% 이하여도 된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모노머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16017호에 기재된 티탄 원자 및 전자 공여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체 규칙성 중합용 고체 촉매의 존재 하, 슬러리 중합법, 용액 중합법, 올레핀 모노머를 매체로 하는 액상 중합법, 기상 중합법에 의한 중합에 의해,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자 공여성 화합물의 비율은, 통상, 고체 촉매 중에 함유되는 티탄 원자 1 몰에 대해 0.01 ∼ 500 몰이고, 0.01 ∼ 100 몰, 또는 0.01 ∼ 50 몰이어도 된다.
(B)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한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스티렌을 단량체 단위로서 함유하는 엘라스토머이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에 있어서의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5 질량% 이상 80 질량% 이하여도 된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모노머의 알카디엔 등에서 유래하는 불포화 결합 (통상,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벤젠 고리의 불포화 결합은 제외한다) 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소 첨가에 의해 포화 결합으로 전화되어 있는 수소 첨가물이어도 된다. 수소 첨가에 의해 내열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블록과, 탄소수 2 ∼ 10 의 α-올레핀 및/또는 탄소수 4 ∼ 10 의 알카디엔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 블록으로 구성되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이어도 된다. 프로필렌계 중합체와의 상용성 및 내충격성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블록은,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이소프렌, 및 부타디엔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α-올레핀 및/또는 알카디엔을 단량체 단위로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폴리스티렌 블록과 이것에 결합한 폴리올레핀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디블록 타입의 공중합체여도 되고, 양 말단에 배치된 폴리스티렌 블록과, 그것들의 사이에 배치된 폴리올레핀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트리블록 타입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트리블록 타입의 공중합체는, 성형체의 내충격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서의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올레핀 블록의 비율은, 블록 공중합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질량% 이상, 60 질량% 이상, 또는 75 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95 질량% 이하여도 된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적절한 비율의 폴리올레핀 블록을 함유함으로써, 투명성, 내충격성, 강성, 및 끈적거림에 관해서 양호한 특성을 갖는 성형체가 얻어지기 쉽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멜트 플로 레이트 (MFR : 230 ℃, 2.16 ㎏) 는 1 ∼ 50 g/10 분이어도 된다. MFR 이 높으면 내충격성의 개량 효과가 저하되는 경향, 및 과도한 끈적거림이 잘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MFR 이 낮으면 수지 조성물 중으로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분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성형체의 투명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폴리프로푸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은, 프로필렌계 중합체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합계량에 대해, 통상,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다. 이로써, 방사선에 의한 멸균 후에 있어서도, 용출물의 적음, 및 양호한 기계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은, 2 질량% 이상, 또는 3 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6 질량% 이하, 또는 8 질량% 이하여도 된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리빙 아니온 중합, 리빙 카티온 중합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도 있다. 시판품의 예로는, 크레이톤 폴리머사 제조 상품명 「크레이톤」, 아사히화성사 제조 상품명 「터프텍」, 쿠라레 제조 상품명 「셉톤」, 「하이브랄」, 및 JSR 사 제조 상품명 「다이나론」을 들 수 있다.
(C)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힌더드아미노기로서 2 급 아미노기를 갖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를 함유한다.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가 갖는 2 급 아미노기의 산해리 정수 (pKa) 는, 8 미만, 또는 7 이하여도 된다. 이로써, 방사선에 의한 멸균 후에 있어서의 용출물 억제의 점에서, 보다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산해리 정수 (pKa) 는, 적정법에 의해 구해지는 값이다.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의 분자량은, 1000 이상이어도 된다.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의 분자량이 크면, 방사선에 대한 내성, 및 성형체로부터의 용출물 억제의 점에서 유리하다. 동일한 관점에서,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의 분자량은, 1500 이상, 또는 2000 이상이어도 된다.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의 분자량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000 이하여도 된다. 여기서의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해 구해지는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치여도 된다.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I) 로 나타내는 2,2,6,6-테트라알킬-4-피페리딜기를 갖는다. R1, R2, R3 및 R4 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1, R2, R3 및 R4 가 메틸기여도 된다. 방사선에 대한 내성의 관점에서, 식 (I) 의 2,2,6,6-테트라알킬-4-피페리딜기는, 산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와 결합하고 있어도 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는, 2 급 아미노기를 갖는 구성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여도 된다. 2 급 아미노기를 갖는 구성 반복 단위는, 예를 들어 하기 식 (Ⅱ) 로 나타내는 2 가의 구성 단위여도 된다.
[화학식 2]
식 (Ⅱ) 중의 R1, R2, R3 및 R4 는 식 (I) 중의 R1, R2, R3 및 R4 와 동일한 의미이다. R5 는 탄소수 10 ∼ 30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5 는 탄소수 14 ∼ 28, 탄소수 16 ∼ 26, 또는 탄소수 18 ∼ 22 의 알킬기여도 된다. 이 알킬기는, 직사슬상, 분기상, 고리상, 또는 이것들의 조합의 어느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R5 는 직사슬상의 알킬기여도 된다.
방사선에 의한 멸균 후에 있어서의 용출물 억제 및 양호한 기계 특성 유지의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의 함유량은, 프로필렌계 중합체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질량% 이상, 0.05 질량% 이상, 또는 0.1 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1 질량% 이하, 0.5 질량% 이하, 또는 0.3 질량% 이하여도 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이상 예시한 2 급 아미노기를 갖는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 이외의 광 안정제를 추가로 함유해도 된다.
(D) 조핵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을 함유하는 조핵제를 함유한다. 조핵제는, 통상, 입자의 형태를 갖고 있다.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은, 방향족 인산에스테르와 금속으로 형성되는 염으로,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또는 알루미늄염이어도 된다. 알칼리 금속염의 예로는, 리튬염, 나트륨염, 및 칼륨염을 들 수 있다. 알칼리 토금속염의 예로는, 베릴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스트론튬염, 및 바륨염을 들 수 있다. 내추출성이 우수하다는 효과의 관점에서,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은, 알루미늄염, 리튬염, 또는 나트륨염이어도 되고, 리튬염이어도 된다.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은, 예를 들어 하기 식 (20) 으로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20) 중, R6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 원자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3 ∼ 12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 원자수 6 ∼ 12 의 아릴기 또는 탄소 원자수 7 ∼ 12 의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고, M 은 알칼리 금속 원자, 알칼리 토금속 원자, 또는 알루미늄 원자를 나타낸다. M 이 알칼리 금속 원자일 때, p 는 1 이고, q 는 0 이며, M 이 알칼리 토금속 원자일 때, p 는 2 이고, q 는 0 이며, M 이 알루미늄 원자일 때, p 는 1 또는 2 이고, q 는 3 - p 이다.
R6 으로 나타내는 탄소 원자수 1 ∼ 4 의 알킬기의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및 iso-부틸기를 들 수 있다. R7 또는 R8 로 나타내는 탄소 원자수 1 ∼ 12 의 알킬기의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아밀기, tert-아밀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iso-옥틸기, tert-옥틸기, 2-에틸헥실기, 노닐기, iso-노닐기, 데실기, iso-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및 tert-도데실기를 들 수 있다. R7 및 R8 이 모두 tert-부틸기여도 된다.
M 으로 나타내는 알칼리 금속 원자의 예로는, 리튬, 나트륨, 및 칼륨을 들 수 있다. M 으로 나타내는 알칼리 토금속 원자의 예로는, 베릴륨, 칼슘, 마그네슘, 스트론튬, 및 바륨을 들 수 있다.
식 (20) 으로 나타내고, M 이 알루미늄 원자인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Al 염의 구체예로는,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메틸렌-비스(4,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에틸리덴-비스(4,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메틸렌-비스(4,6-디에틸페닐)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에틸리덴-비스(4,6-디에틸페닐)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에틸리덴-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닐)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에틸리덴-비스(4-메틸-6-t-부틸페닐)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메틸렌-비스(4-에틸-6-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에틸리덴-비스(4-에틸-6-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메틸렌-비스(4-iso-프로필-6-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 및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에틸리덴-비스(4-iso-프로필-6-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 또는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에틸리덴-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를 선택해도 되고,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를 선택해도 된다. 이것들을 1 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은, 시판품으로서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와 탄소수 8 ∼ 20 의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리튬염의 혼합물 (주식회사 ADEKA 제조, 상품명 : 아데카스타브 NA21) 을 들 수 있다.
방사선에 의한 멸균 후에 있어서의 용출물 억제의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의 함유량은, 프로필렌계 중합체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질량% 이상, 0.005 질량% 이상, 0.01 질량% 이상, 또는 0.05 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1 질량% 이하, 0.995 질량% 이하, 0.8 질량% 이하, 또는 0.5 질량% 이하여도 된다.
(E) 하이드록시아민 화합물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하이드록시아미노기를 갖는 하이드록시아민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히드로키르아민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N,N-디옥타데실하이드록시아민 (HO-N(C18H37)2) 과 같은 N,N-디알킬하이드록시아민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하이드록시아민 화합물의 함유량은, 프로필렌계 중합체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질량% 이상, 또는 0.05 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0.5 질량% 이하, 또는 0.3 질량% 이하여도 된다.
(그 밖의 성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중화제, 내후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가소제, 활제, 및 동해 (銅害) 방지제에서 선택되는 다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수지 조성물의 제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어, 프로필렌계 중합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 및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성분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용융 혼련하여 얻을 수 있다.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성형용의 펠릿의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원료를 텀블러 믹서, 헨셸 믹서, 리본 블라인더 등의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제하고, 이것을 일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밴버리 믹서 등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용융 혼련하는 방법에 의해, 펠릿화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2. 성형체
상기 서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체는, γ 선 등의 방사선 멸균, 전자선 멸균, 고압 증기 멸균 등의 멸균 처리에 대해 우수한 내성을 갖는 점에서, 사용시에 각종 약제와 접촉하는 의료용 성형체로서 유용하다. 의료용 성형체의 예는, 시린지의 외통, 및 다이어라이저의 하우징을 포함한다. 시린지는, 디스포저블 시린지여도 되고, 미리 충전된 약액을 함유하는 프리필드 시린지여도 된다.
도 1 은, 시린지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시린지 (10) 는, 외통 (11) 과, 플런저 (13) 와, 플런저 (13) 의 선단에 장착된 개스킷 (15) 을 구비한다. 외통 (11) 은, 선단에 형성된 구부 (口部) (11a) 와, 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기단부 (11b) 를 갖고 있고, 기단부 (11b) 의 개구로부터 플런저 (13) 가 외통 (11) 내에 삽입되어 있다.
외통 (11) 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성형체이다. 외통 (11) 의 두께, 사이즈 등은 통상적인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된다. 플런저 (13), 및 개스킷 (15) 은, 시린지의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것에서 선택할 수 있다.
도 2 는, 다이어라이저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다이어라이저 (20) 는, 통 형상의 하우징 (21) 과, 하우징 (21)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되면서 하우징 (21) 내에 수용된 복수의 중공사막 (25) 과, 하우징 (21) 의 양단에 장착된 헤더 (22, 23) 를 구비한다. 하우징 (21) 은, 일방의 단부에 형성된 투석액 출구 (21a) 와, 타방의 단부에 형성된 투석액 입구 (21b) 를 갖고 있다. 일방의 헤더 (22) 는 혈액 유입구 (22a) 를 갖고 있고, 타방의 헤더 (23) 는 혈액 유출구 (23a) 를 갖고 있다.
하우징 (21) 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성형체이다. 다이어라이저 (20) 의 사용시에, 하우징 (21) 의 내부는 투석액 입구 (21b) 로부터 도입되는 투석액으로 채워진다. 하우징 (21) 의 두께, 사이즈 등은 통상적인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된다. 중공사막 (25), 헤더 (22, 24) 는, 투석용의 다이어라이저의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것에서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원료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이하의 원료를 사용하였다.
(A) 프로필렌계 중합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16017호의 실시예 1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α-올레핀 중합용의 고체 중합 촉매를 준비하였다. 이 고체 중합 촉매의 존재 하에서, 프로필렌 및 에틸렌을 기상 중합함으로써, 파우더상의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특성을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멜트 플로 레이트는 25 g/10 분이고,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2.5 질량% 이며, 융점은 144.1 ℃ 였다.
(B)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스티렌-이소프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하이브랄 7311 F, 쿠라레 (주) 제조,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 12 질량%)
(C)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말레산이미드 및 α-올레핀 (C20-24) 의 공중합체 (식 (Ⅱa) (n 은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공중합체, Uvinul5050H,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 분자량 : 3500, pKa : 7.0)
[화학식 4]
Figure pct00004
(D) 조핵제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 (식 (20a) 로 나타내는 화합물) 와 탄소수 8 ∼ 20 의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리튬염의 혼합물 (ADEKASTAB NA-21, 주식회사 ADEKA 제조)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소르비톨계
·1,2,3-트리데옥시-4,6:5,7-비스-[(4-프로필페닐)메틸렌]-노니톨 (Millad NX8000J, 미리켄 케미칼사 제조)
(E) 산화 방지제
·N,N-디옥타데실하이드록시아민 50 질량% 와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50 질량% 의 혼합물 (Irgastab FS301,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
(중화제)
·마그네슘·알루미늄·하이드로옥사이드·카보네이트 (DHT-4C, 쿄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2. 시험 방법
(1) 프로필렌계 중합체에 있어서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프로필렌계 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의 IR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IR 스펙트럼 데이터로부터,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단위 : 질량%) 을, 고분자 분석 핸드북 (1995년, 키노쿠니야 서점 발행) 의 제616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i) 랜덤 공중합체에 관한 방법」에 따라 구하였다.
이어서,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을 하기 식에 대입하여, 프로필렌계 중합체에 있어서의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을 산출하였다.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질량%) = 100 (질량%) -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질량%)
(2) 멜트 플로 레이트 (MFR, 단위 : g/10 분)
JIS K 7210 의 조건 14 의 방법에 따라, 온도 230 ℃, 하중 21.18 N 의 조건에서 멜트 플로 레이트를 측정하였다.
(3) 융점 (단위 : ℃)
시차 주사 열량계 (TA Instruments 사 제조 DSC Q100 V9.9 Build 303) 를 사용하여, ISO11357-3 : 98 에 기초하여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융점을 측정하였다.
(4)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평가
(4-1) 용출물 시험용 펠릿의 제조
표 1 에 기재한 조성 (질량부) 의 원료를, 헨셸 믹서를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드라이 블렌드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이축 혼련 압출기 (주식회사 테크노벨 제조, 스크루 직경 20 ㎜φ) 에 의해, 질소 분위기 하, 210 ℃ 에서 용융 혼련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용출물 시험용의 펠릿을 얻었다.
(4-2) 인장 시험용 시험편의 제조
표 1 에 기재한 조성 (질량부) 의 원료를, 헨셸 믹서를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드라이 블렌드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단축 압출 조립기 (造粒機) (타나베 플라스틱스 기계 주식회사 제조, 스크루 직경 40 ㎜φ, VS40-28 형) 에 의해, 질소 분위기 하, 210 ℃ 에서 용융 혼련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펠릿을 IS100EN-3A 형 사출 성형기 (토시바 기계제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고, 성형 온도 220 ℃, 금형 온도 50 ℃ 에서 사출 성형하여, 인장 시험용의 시험편 (ADTM D638 Type1, 두께 3.2 ㎜) 을 얻었다.
(5) 감마선 조사
용출물 시험용의 펠릿, 및 인장 시험용의 시험편에 대해, 공기 분위기 하, 실온에서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용출물 시험용의 펠릿에는 25 kGy, 인장 시험용의 시험편에는 50 kGy 의 평균 선량으로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6) 용출물 시험
(6-1) 시험액의 조정
25 kGy 의 감마선을 조사한 펠릿 30 g 을 초순수로 씻은 후,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펠릿을 경질 유리제 용기에 넣고, 초순수 300 ㎖ 를 첨가하여 덮개를 하였다. 펠릿 및 초순수가 든 경질 유리제 용기를 고압 증기 멸균기를 사용하여 121 ℃ 에서 1 시간 가열한 후, 실온이 될 때까지 방치하였다. 방치 후의 용기 내의 액을 시험액으로 하였다. 초순수만을 넣은 경질 유리제 용기도 동시에 처리하여, 공 (空) 시험액을 준비하였다.
(6-2) 자외 흡수 스펙트럼 측정
제 16 개정 일본 약국방 2.7.02 플라스틱제 의약품 용기 시험법 1.2 용출물 시험의 「(iv) 자외 흡수 스펙트럼」에 기재된 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시험액 및 대조를 위한 공시험액의 자외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파장 220 ∼ 240 ㎚ 의 구간 및 241 ∼ 350 ㎚ 의 구간의 각각의 구간의 최대 흡광도를 기록하였다.
(7) 인장 파단 신도
50 kGy 의 감마선을 조사한 시험편에 대해, ASTM D638 에 기초하여, 인장 속도 50 ㎜/분, 측정 온도 23 ℃ 의 조건에서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인장 파단 신도를 측정하였다. 이것을 초기의 인장 파단 신도로 하였다.
50 kGy 의 감마선을 조사한 시험편을, 상태 조정을 위해서 60 ℃ 에서 1 주간, 또는 60 ℃ 에서 2 주간 방치하였다. 그 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장 파단 신도를 측정하여, 60 ℃ 에서 1 주간의 촉진 시험 후의 인장 파단 신도 및 60 ℃ 에서 2 주간의 촉진 시험 후의 인장 파단 신도를 구하였다. 인장 파단 신도 유지율을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인장 파단 신도 유지율 (%) ={(촉진 시험 후의 인장 파단 신도)/(초기의 인장 파단 신도)}× 100
Figure pct00006
실시예 1 의 용출물 시험에서는,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최대 흡광도가 작은 점에서, 감마선 조사 후의 펠릿으로부터의 용출물이 적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 실시예 1 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감마선 조사 후에도 인장 파단 성장의 큰 저하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성형체는, 방사선에 의한 멸균 후에 있어서도, 용출물의 적음, 및 양호한 기계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10 : 시린지
11 : 외통
11a : 구부
11b : 기단부
13 : 플런저
15 : 개스킷
20 : 다이어라이저
21 : 하우징
21a : 투석액 출구
21b : 투석액 입구
22, 23 : 헤더
22a : 혈액 유입구
23a : 혈액 유출구
25 : 중공사막

Claims (7)

  1. (A)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B)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
    (C) 힌더드아미노기로서 2 급 아미노기를 갖는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와,
    (D)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을 함유하는 조핵제를 함유하고,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함유량이,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및 상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합계량에 대해, 9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이며,
    상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및 상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합계량에 대해,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가, 2 급 아미노기를 갖는 구성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E) 하이드록시아미노기를 갖는 하이드록시아민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에 있어서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5 질량% 미만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성형체.
  6. 제 5 항에 기재된 의료용 성형체를 갖는 외통을 구비하는 시린지.
  7. 제 5 항에 기재된 의료용 성형체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다이어라이저.
KR1020187004174A 2015-07-17 2016-07-11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의료용 성형체 Active KR102535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43002 2015-07-17
JP2015143002A JP6731221B2 (ja) 2015-07-17 2015-07-17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医療用成形体
PCT/JP2016/070471 WO2017014096A1 (ja) 2015-07-17 2016-07-11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医療用成形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636A true KR20180030636A (ko) 2018-03-23
KR102535903B1 KR102535903B1 (ko) 2023-05-23

Family

ID=5783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174A Active KR102535903B1 (ko) 2015-07-17 2016-07-11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의료용 성형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70279B2 (ko)
EP (1) EP3327083B1 (ko)
JP (1) JP6731221B2 (ko)
KR (1) KR102535903B1 (ko)
CN (1) CN107835840B (ko)
WO (1) WO20170140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63468A (ko) * 2023-05-10 2024-11-19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주식회사 주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0167A (ja) * 2017-07-13 2020-11-0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エラストマー成形体、内視鏡用可撓管及び内視鏡用材料
JP7178773B2 (ja) * 2017-08-07 2022-11-28 住友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医療用成形体
JP7405549B2 (ja) * 2019-09-30 2023-12-26 株式会社カネカ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無架橋押出発泡体、および緩衝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9455A (ja) * 1995-08-22 1997-03-04 Mitsubishi Chem Corp 医療バッグ用重合体組成物及び医療用バッグ
JP2000178319A (ja) * 1998-12-14 2000-06-27 Mitsubishi Chemicals Corp 医療容器用プロピレン系ランダム共重合体及びその組成物、並びに医療容器
JP2002097322A (ja) * 2000-09-25 2002-04-02 Grand Polymer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2009082698A (ja) 2007-09-10 2009-04-23 Japan Polypropylene Corp 人工透析用部材
JP2015044979A (ja) 2013-07-31 2015-03-12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医療用プロピレン−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7446A (ja) * 1995-09-22 1997-03-31 Nippon Petrochem Co Ltd 耐白化性透明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JPH09296085A (ja) 1996-04-30 1997-11-18 Gurando Polymer:Kk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H10168243A (ja) 1996-12-09 1998-06-23 Japan Atom Energy Res Inst 耐放射線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2006225468A (ja) * 2005-02-16 2006-08-31 Japan Polypropylene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WO2009082019A1 (ja) 2007-12-21 2009-07-0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BRPI0916665B1 (pt) * 2008-08-06 2019-08-20 Borealis Ag Composição à base de compostos de polipropileno com elastômeros à base em blocos estirênicos, seu uso e seu processo de produção, filme, e recipiente
CN101602877B (zh) 2009-07-06 2011-05-25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抗辐照老化聚丙烯合金的制备方法
JP2012201793A (ja) * 2011-03-25 2012-10-22 Sumitomo Chemical Co Ltd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5919649B2 (ja) * 2011-05-26 2016-05-18 スズ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DE102013001014A1 (de) 2012-01-23 2013-07-2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propylenharzzusammensetzung umfassender Formgegenstand
JP2013216814A (ja) 2012-04-11 2013-10-24 Japan Polypropylene Corp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CN104672625B (zh) * 2013-11-29 2018-09-21 住友化学株式会社 树脂组合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9455A (ja) * 1995-08-22 1997-03-04 Mitsubishi Chem Corp 医療バッグ用重合体組成物及び医療用バッグ
JP2000178319A (ja) * 1998-12-14 2000-06-27 Mitsubishi Chemicals Corp 医療容器用プロピレン系ランダム共重合体及びその組成物、並びに医療容器
JP2002097322A (ja) * 2000-09-25 2002-04-02 Grand Polymer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2009082698A (ja) 2007-09-10 2009-04-23 Japan Polypropylene Corp 人工透析用部材
JP2015044979A (ja) 2013-07-31 2015-03-12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医療用プロピレン−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63468A (ko) * 2023-05-10 2024-11-19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주식회사 주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7083A1 (en) 2018-05-30
KR102535903B1 (ko) 2023-05-23
EP3327083B1 (en) 2020-04-01
EP3327083A4 (en) 2019-01-23
CN107835840B (zh) 2020-02-21
US10570279B2 (en) 2020-02-25
JP6731221B2 (ja) 2020-07-29
JP2017025156A (ja) 2017-02-02
WO2017014096A1 (ja) 2017-01-26
CN107835840A (zh) 2018-03-23
US20180201772A1 (en)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2452B2 (ja) 医療容器栓体用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医療容器栓体
JP2007051294A (ja) 耐脆化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可撓性製品
KR102535903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의료용 성형체
JP6350530B2 (ja) 滅菌済み医療用成形体の製造方法
JP6390231B2 (ja) 医療用プロピレン−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品
JP2589970B2 (ja) 改良された延性の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および製品
JP6565435B2 (ja) 放射線滅菌対応医療キット製剤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医療キット製剤
JP7178773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医療用成形体
JPH0551023B2 (ko)
JP2012152933A (ja) プロピレン系樹脂射出成形品
CN114761484A (zh) 面向医疗用途的注射成型品
JPH01178541A (ja) 低溶出性の医薬液剤・輸液・輸血用器具
JP6115286B2 (ja) 医療向け部材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医療用部材
JP480841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並びにその組成物からなる注射器外筒
JP2025037570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医療用成形体
JP2005314490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医療器具・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4087266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3697329B2 (ja)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H10182902A (ja) 注射器部品用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および注射器部品
JP2020196835A (ja) 成形体および医療用容器
HK40073487A (en) Injection-molded article for medical use
JPH03203942A (ja)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H1045978A (ja)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H09118793A (ja)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2589970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5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