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12065A -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 Google Patents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065A
KR20180012065A KR1020160094840A KR20160094840A KR20180012065A KR 20180012065 A KR20180012065 A KR 20180012065A KR 1020160094840 A KR1020160094840 A KR 1020160094840A KR 20160094840 A KR20160094840 A KR 20160094840A KR 20180012065 A KR20180012065 A KR 20180012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ne
black box
lane departure
war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태
김재구
Original Assignee
(주)씨앤에스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에스링크 filed Critical (주)씨앤에스링크
Priority to KR102016009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2065A/ko
Publication of KR20180012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06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차량의 주행 상태에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 차선을 촬영하는 차선정보 획득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성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와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차선정보 획득부로부터 입력받은 주행 차선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량의 차선이탈여부를 판단하는 차선이탈 판단부; 상기 차선이탈 판단부로부터 차선 이탈에 대한 제어 데이터가 발생하면, 차선 이탈을 경고해주기 위한 경고음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음 출력모듈; 및 상기 경고음 출력모듈로부터 수신한 경고음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차선 이탈을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경보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는 경우 차량에 내장된 스피커로 경고음을 출력하므로 기존에 블랙박스에 내장된 스피커로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 큰 출력의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확실하게 경고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BLACK-BOX WITH LANE DEPARTURE WARNING CAPABILITY}
본 발명은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랙박스(Black-box) 기능과 차선이탈경고(lane departure warning)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블랙박스에 관한 것이다.
블랙박스(Black box) 장치는 항공기뿐만 아니라 자동차 등과 같은 차량에도 장착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의 주행상태 및 사고 상황 등에 관한 정보를 기록으로 저장함으로써 차량 사고 발생 시 블랙박스에 보존된 기록을 토대로 차량 사고의 정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
국내 특허 공개 제2005-0091849호는 차량에 부착된 카메라로부터 전방 도로 영상을 감지하여 현재 달리고 있는 차선을 파악한 후, 운전자의 부주의나 졸음운전 등으로 차선을 이탈하려고 하면 경보음이 울리도록 해주는 장치인 차선이탈경고 시스템(LDWS: Lane Definition Warning System)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 특허 공개 제2007-0075789호는 방향지시등 작동 여부를 판단하여 차선 이탈 경보를 발생할 수 있고, 녹음된 방향 지시등 작동음과 일치하는 소리의 입력 여부로 방향 지시등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여 LDWS를 통해 차선 이탈 경보를 발생하는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은 차선 이탈은 경보해 줄 수 있으나, 사고 영상 기록이 불가능하고, 차량정보의 저장도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블랙박스는 차선 이탈에 대한 경보가 불가능하여, 소비자가 애프터 마켓을 통해 별도로 차선이탈경고 시스템을 구입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부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가 블랙박스 장치를 차량의 대쉬보드 등에 설치해야 하는 작업이 번거로우며, 대시보드 상에 각종 전자기기가 거치되어 시야를 가리고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블랙박스의 한계 및 차선이탈경고 시스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블랙박스 기능과 차선이탈경고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블랙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차선이탈을 경고함에 있어서, 블랙박스에 내장된 스피커 보다 출력이 훨씬 큰 차량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서 차선이탈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다 확실하게 차선이탈을 경고하여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블랙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블랙박스에서 차선 이탈에 대한 경고 기능도 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차선이탈경고 시스템을 구비하는 데 따르는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고, 복수의 장치 설치에 따른 불편함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블랙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복수 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차량의 주행 상태에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으로서,
차량의 주행 차선을 촬영하는 차선정보 획득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성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와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차선정보 획득부로부터 입력받은 주행 차선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량의 차선이탈여부를 판단하는 차선이탈 판단부;
상기 차선이탈 판단부로부터 차선 이탈에 대한 제어 데이터가 발생하면, 차선 이탈을 경고해주기 위한 경고음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음 출력모듈; 및
상기 경고음 출력모듈로부터 수신한 경고음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차선 이탈을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경보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블랙박스 시스템은 차량의 운행정보 확인장치(On-Board Diagnostics, OBD)와 인터페이스로 연결되고, 상기 운행정보 확인장치(OBD)와의 인터페이스는 CAN (Controller Area Network) 또는 K-Line을 통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진다.
상기 블랙박스는,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차량 외부의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차량의 위치, 움직임 및 충격에 관한 차량정보 데이터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차량정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블랙박스 제어부; 및 상기 영상신호가 포함된 블랙박스 정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차선이탈 판단부는 상기 차선정보 획득부로부터 회득한 차선의 위치에 대한 차선정보를 이용하여 기준점을 설정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차선정보를 상기 기준점과 비교하여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그 표준편차가 상기 기준점을 기초로 차량의 정상적인 운행상태에서의 표준편차로 설정된 기준표준편차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넘어서는지 판단하여, 넘어서는 경우 차량이 차선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고부는 차량의 스피커 이외에 차량 내의 오디오, 에어컨, 향기 발생기, 실내등, 또는 핸들 또는 안전벨트의 진동으로 차선 이탈을 경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는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는 경우 블랙박스에 내장된 스피커 보다 훨씬 큰 출력의 차량에 내장된 스피커로 바로 경고음을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확실하게 차선이탈을 경고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랙박스와는 별도의 차선이탈경고 시스템을 설치하지 아니하여, GPS 수신부, 메모리 등의 중복 설치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이탈경고 기능을 갖는 블랙박스가 장착된 차량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이탈경고 기능을 갖는 블랙박스가 장착된 차량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0)에는 차량 내부 또는 외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저장장치(200) 예컨대, 카메라가 탑재된 블랙박스(100)가 탈부착 형태로 거치된다. 이러한 블랙박스(100)는 운행정보 확인장치(120)의 커넥터에 접속되어 차량 상태 정보를 제공받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OBD 단말(120)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예로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이 해당된다.
또한 차량(10)에는 엔진제어부(ENGINE CONTROL UNIT: ECU)(110) 로부터 차량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탑재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자기진단(On Board Diagnostics: 이하 'OBD') 단말(110)이 탑재된다. 본 발명의 블랙박스(100)는 차량의 운행정보 확인장치(OBD)와 인터페이스로 연결되고, CAN 통신을 통해서 차량에 경고음을 재생하는 명령을 전송한다. 차선이탈 판단부 (108)에서 차선이탈로 판단하는 경우에, 운행정보 확인장치(110)의 OBD 제어부(113)에 차량의 스피커로 경고음을 재생하는 명령을 전송한다. OBD 제어부(113)의 제어에 따라서 경고신호 출력부(114)는 차선 이탈을 경고해주기 위한 경고음을 생성하여 차량에 내장된 스피커(미도시)로 출력한다.
상기 운행정보 확인장치(110)는 CAN 또는 K-Line을 통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진다. 데이터의 전송은 ISO9141-2 또는 KWP2000의 차량 고장진단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CAN 또는 K-Line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ISO9141-2와 KWP2000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와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에서 지정한 차량 고장진단 표준 프로토콜이며, CAN (Controller Area Network)은 소규모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통신 방식으로 차세대 차량용 진단 통신 방식으로 속도는 500 Kbps~1 Mbps로 기존 통신 속도에 비해 50배 이상 빠르며, K-Line은 OBD 법규에 의해 명명된 차량용 진단 통신라인으로 10.4 Kbps의 속도를 가진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블랙박스(100)는 영상신호 처리부(101), 감지부(102), 블랙박스 제어부(103), 데이터 저장부(104), GPS 수신부(105) 및 무선통신 모듈(106)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는 복수 개의 카메라(120)에 의하여 촬영된 차량 외부의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신호를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100)는 차량(10)의 전방, 하방, 우측 및 좌측에 구비된 카메라(120)를 통하여 촬영된 4채널의 영상을 영상신호 처리부(101)로 전송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120)의 개수 및 종류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카메라(120)는, 예를 들면,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Image Signal Processor: ISP)일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20)는 예를 들면, 둘 이상의 렌즈, 둘 이상의 이미지 센서 등을 구비하여 촬영된 영상을 멀티채널 영상 신호로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02)는 차량의 위치, 움직임 및 충격에 관한 차량정보 데이터를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부(102)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감지한 위치정보 감지 센서,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관성 센서, 외부로부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 센서 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PS 수신부(105)는 위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현재 수신 지점의 위도, 경도, 고도, 시간 등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관성 센서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등과 같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와 GPS 음영지역에서 차량 이동거리의 정확한 계산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랙박스 제어부(103)는 차량이 사고 상황인지를 판별하거나, 사고 분석 시 사고 전후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블랙박스 제어부(103)는 관성 센서의 출력값이 사고 여부의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일정시간 동안 출력값의 추이를 감시하여 변화량이 일정량을 초과하는 경우 사고 상황을 영상으로 촬영 및 녹화하여 이를 원격 서버(미도시)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감지 센서는 차량의 운전 중 또는 주차 중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인식하여 이를 블랙박스 제어부(103)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충격 감지 센서는 수직, 수평, 좌우 센서가 받는 중력가속도를 수치로 나타내어 주행 시 또는 주차 시 차량의 주행방향과 회전방향, 충격시 충격량과 충격방향을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랙박스 제어부(103)는 운전자가 차량에 없는 주차 후에도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한 충격 감지 센서의 출력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 이를 사고 발생으
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는 상기 카메라(120)에 의하여 촬영된 차량 외부의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영상신호 처리부(101)는 상기 카메라(120)에 의하여 촬영된 차량 외부의 영상을 압축 및/또는 암
호화 처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는 미리 지정된 신호 포맷을 가지게 된다.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는 상기 생성된 영상 신호를 데이터 저장부(104)에 저장하거나 또는 임시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실시간 저장한 후 데이터 저장부(104)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는, 예를 들면, 영상 신호의 인코딩 처리, 디코딩 처리, 암호화 처리, 해독 처리 등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는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통합되어 형성되는 데이터 파일 내의 유저 데이터 영역 내에 상기 감지부(102)로부터 제공받은 차량 정보 데이터를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부(104)는 암호화 처리된 데이터 파일, 상기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감지 정보가 저장되거나, 이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임의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부(104)에는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을 해독 처리하기 위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해독키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부(104)는, 예를 들면, 차량용 블랙박스 (100)에 내장되는 메모리 장치 또는/및 착탈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는 상기 감지부(102),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 및 블랙박스 제어부(103)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블랙박스 제어부(103)는 상기 감지부(102)에 의하여 감지된 차량정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120),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 및 차선정보 획득부(107) 등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블랙박스 제어부(103)는 블랙박스 (100)의 각 구성요소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블랙박스 제어부(103)는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 및 차선정보 획득부(107) 등의 주변 구성요소와 물리적 및/또는 개념적으로 통합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차선이탈 판단부(108)는 차선정보 획득부(107)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참조하여 차선 이탈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104)에 상기 정보를 저장, 데이터 파일 내에 상기 정보의 삽입, 저장 공간의 확보를 위한 상기 데이터 저장부(104) 내에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경고음 출력제어 모듈(109)은 상기 차선이탈 판단부(108)의 신호를 받아들이고 저장·해석하며, 운행정보 확인장치(110)의 경고신호 출력부(114)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운행정보 확인장치(110)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랙박스의 차선이탈경고 기능은 FCW(Forward Collsion Warning) 기능, BCW(Backward Collsion Warning) 기능이 있다. 차선이탈경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방 카메라 정보와 턴 시그널과 와이퍼 동작 시그널, 차량 CAN 네트워크를 통한 차량 브레이크 신호, 속도 신호를 받아 차선을 이탈할 경우 스피커를 통해 경고해주게 된다. 여기서 차선 이탈을 검출하는 방식은 종래 및 통상의 차량에 구비된 차선이탈경고 시스템에서 차선 이탈을 검출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이것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차선이탈에 대한 경고 시 차선 이탈경고 이력 정보를 저장하여, 추후 사고 원인 규명에 활용하거나 안전 운전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FCW 기능은 전방의 물체를 전방 카메라가 물체 감지 로직을 통하여 감지함으로써, 차량과 가까워질 경우 경고음 출력모듈(104)을 통해 경고음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CAN 통신을 통해 운행정보 확인장치(110)로 전송하고, OBD 제어부(1130의 제어에 따라서 경고신호 출력부(114)에서 차량에 내장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해줌으로써, 운전자가 사고를 예방하도록 한다.
무선통신 모듈(106)은 상기 영상신호가 포함된 블랙박스 정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원격 서버(미도시) 또는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운행정보 확인장치(OBD: 110)는 차량 운행정보 확인부 (111), 차량 상태정보 확인부(112), OBD 제어부(113) 및 경고신호 출력부(114)를 포함한다.
운행정보 확인장치(110)의 차량 운행정보 확인부(111)는 연비, 속도, 엔진오일 및 RPM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 상태정보 확인부(112)는 고장진단, 냉각수 온도 및 발전기 전압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OBD 제어부(113)는 차량 운행정보 확인부(111), 차량 상태정보 확인부 (112) 및 경고신호 출력부(114)의 구동 및 상기 블랙박스(100)와의 CAN 통신을 제어한다.
경고신호 출력부(114)는 상기 OBD 제어부(113)의 제어에 따라 블랙박스 제어부(103)으로부터 차선 이탈이 감지되어 경고음 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경고신호 출력부(114)에서 차선 이탈을 경고해주기 위한 경고음을 생성하여 차량에 내장된 스피커(미도시)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경고부는 차량의 스피커 이외에 차량 내의 오디오, 에어컨, 향기 발생기, 실내등 점멸, 또는 핸들 또는 안전벨트의 진동으로 차선 이탈을 경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고를 두 가지 이상을 조합해서 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졸거나 운전 중 스마트 폰을 보거나 할 경우 차선 이탈을 더 확실하게 경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이상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100: 블랙박스 110: 운행정보 확인장치
111: 차량 운행정보 확인부 112: 차량 상태정보 확인부
113: OBD 제어부 104: 경고신호출력 스피커
101: 영상신호 처리부 102: 감지부
103: 블랙박스 제어부 104: 데이터 저장부
105: GPS 수신부 106: 무선통신 모듈
107: 차선정보 획득부 108: 차선이탈 판단부
109: 경고음 출력 제어모듈

Claims (6)

  1. 복수 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차량의 주행 상태에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 차선을 촬영하는 차선정보 획득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성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와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차선정보 획득부로부터 입력받은 주행 차선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량의 차선이탈여부를 판단하는 차선이탈 판단부;
    상기 차선이탈 판단부로부터 차선 이탈에 대한 제어 데이터가 발생하면, 차선 이탈을 경고해주기 위한 경고음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음 출력모듈; 및
    상기 경고음 출력모듈로부터 수신한 경고음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차선 이탈을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경보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 시스템은 차량의 운행정보 확인장치(On-Board Diagnostics)와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OBD와의 인터페이스는 CAN (Controller Area Network) 또는 K-Line을 통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는,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차량 외부의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차량의 위치, 움직임 및 충격에 관한 차량정보 데이터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차량정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블랙박스 제어부; 및 상기 영상신호가 포함된 블랙박스 정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이탈 판단부는 상기 차선정보 획득부로부터 회득한 차선의 위치에 대한 차선정보를 이용하여 기준점을 설정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차선정보를 상기 기준점과 비교하여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그 표준편차가 상기 기준점을 기초로 차량의 정상적인 운행상태에서의 표준편차로 설정된 기준표준편차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넘어서는지 판단하여, 넘어서는 경우 차량이 차선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서오딘 것을 특징으로 하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차량의 스피커 이외에 차량 내의 오디오, 에어컨, 향기 발생기 및 실내등, 또는 핸들의 진동으로 차선 이탈을 경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이탈경고 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KR1020160094840A 2016-07-26 2016-07-26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Ceased KR20180012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840A KR20180012065A (ko) 2016-07-26 2016-07-26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840A KR20180012065A (ko) 2016-07-26 2016-07-26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065A true KR20180012065A (ko) 2018-02-05

Family

ID=6122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840A Ceased KR20180012065A (ko) 2016-07-26 2016-07-26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20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3154A (zh) * 2020-09-22 2020-12-25 沈阳工业大学 一种基于单目视觉的高级驾驶模拟系统及方法
CN112313134A (zh) * 2018-07-03 2021-02-02 黑拉有限责任两合公司 用于检测和处理被车辆驶过的车道的车道情况的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3134A (zh) * 2018-07-03 2021-02-02 黑拉有限责任两合公司 用于检测和处理被车辆驶过的车道的车道情况的方法
CN112313134B (zh) * 2018-07-03 2024-08-27 黑拉有限责任两合公司 用于检测和处理被车辆驶过的车道的车道情况的方法
CN112133154A (zh) * 2020-09-22 2020-12-25 沈阳工业大学 一种基于单目视觉的高级驾驶模拟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493B1 (ko) Obd 정보를 이용한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JP6104482B1 (ja) 事故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事故情報収集方法
US10474913B2 (en) Recording device and recording method
US201702748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or backing up video data in a motor vehicle
US9852636B2 (en) Traffic event data source identification, data collection and data storage
KR101696540B1 (ko) 급발진 사고 관련 운전 주행 기록 시스템
CN108028008B (zh) 用于运行机动车的发出紧急呼叫的方法和机动车
KR102374563B1 (ko) 차량의 사고 정보 자동 처리 시스템
JP2008186174A (ja) 走行状況記録装置
JP2000043764A (ja) 車両用走行状況記録装置及び車両状況監視装置
KR20150121529A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충격 감지에 따른 이벤트 영상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25131B1 (ko) 차량용 블랙박스,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99615A (ko) 블랙박스와 차선이탈경고기능 겸용 차량운행기록장치
KR101445370B1 (ko) Mdr 모듈이 장착된 멀티 블랙박스
KR101580567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이벤트 영상 제공 방법
KR20180012065A (ko)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US20190071043A1 (en) Advanced collision detection and enhanced automotive crash notification
KR102389728B1 (ko) 차량의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처리방법 및 장치
CN111667601A (zh) 用于获取事件相关数据的方法和设备
KR101311112B1 (ko) 차량 사고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WO2017059593A1 (zh) 基于行车记录仪实现行车数据记录的方法及系统
KR101039246B1 (ko) 가변 임계값을 이용한 이벤트 저장 장치 및 방법
KR20140050468A (ko) 차량용 사고 기록 장치 및 방법
JP6568406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KR102101965B1 (ko)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7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1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828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005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